KR20190022068A -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2068A
KR20190022068A KR1020170107825A KR20170107825A KR20190022068A KR 20190022068 A KR20190022068 A KR 20190022068A KR 1020170107825 A KR1020170107825 A KR 1020170107825A KR 20170107825 A KR20170107825 A KR 20170107825A KR 20190022068 A KR20190022068 A KR 20190022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interface
viewer
command
sho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9222B1 (ko
Inventor
김은지
Original Assignee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7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2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2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시청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리모콘 조작을 최소화하면서도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음성인식 기반의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이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은, 시청자의 음성신호를 변환하여 음성명령으로 인식하고, 음성명령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정의된 응답 인터페이스를 쇼핑방송 인터페이스 상에 중첩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시청자는 쇼핑 방송을 계속 시청하면서 별도의 리모콘 조작 없이 음성신호로 원하는 검색이나 다른 영상 정보를 디지털 TV 화면에 표시하여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shopping data broadcasting based on voice recognition}
본 발명은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홈쇼핑 방송은 텔레비전 방송을 통해 제공되어 왔다. 텔레비전 방송은 수상기 화면 전체를 사용한다. 방송 사업자가 제작한 방송프로그램 콘텐츠는 수상기 화면 전체를 통해서 방송되며, 마찬가지로 시청자는 텔레비전 화면 전체로 홈쇼핑 방송을 시청한다.
이러한 홈쇼핑 방송은 데이터방송을 통해서도 제공되기도 한다. 데이터방송은 기존 텔레비전 방송과 구별되어 정의된다. 텔레비전 방송은 음성과 영상으로 이루어진 방송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방송으로 정의되지만, 데이터방송은 음성/영상의 방송이 아닌 부호나 데이터의 형태로 정보를 전달하는 방송을 말한다. 즉, 데이터방송은 방송 전파에 디지털 신호를 실어서 전송하면 수신장치가 부호나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해독, 처리해 그 결과를 수신자가 직접 받아보거나 또는 그 정보에 의해 다른 기계장치 등을 제어하는 특성을 가진 뉴미디어로서 새로운 분야의 방송이다.
텔레비전 방송과 데이터방송은 상품을 주문하는 방식에도 차이를 가진다. 종래 텔레비전 방송의 경우 화면에 나타난 전화번호를 보고 소비자가 홈쇼핑 사업자에게 전화를 거는 전화 주문이 유일한 방법이었는데, 데이터방송의 경우 전화주문 이외에도 TV 리모콘을 이용하여 TV 화면에 정보를 입력하여 주문할 수도 있다.
한편, 리모콘 주문이 전화 주문에 비해 다소 편리하기는 하지만, 컴퓨터 키보드에 익숙한 사용자라면 리모콘 주문에 여전히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대부분 리모콘은 숫자 키와 방향 키를 구비하지만, 키보드와 같은 문자 키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홈쇼핑 데이터방송에 있어서 시청자의 리모콘 조작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주문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청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리모콘 조작을 최소화하면서도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음성인식 기반의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반의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은, 서비스서버로부터 쇼핑 데이터방송을 수신하는 셋톱박스가: 디지털 TV 상에 쇼핑방송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시청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음성명령이 상품요청명령인 경우, 상기 디지털 TV 상에 요청상품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시청자로부터 상기 요청상품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상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이벤트가 발생하면 선택된 상품에 대한 주문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명령이 주문명령인 경우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쇼핑방송 인터페이스에 재생되는 상품에 대한 주문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상품요청명령은 상품검색을 요청하는 명령이며,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상품요청명령에 포함된 소정의 상품에 대한 검색을 상기 서비스서버에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요청상품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상품요청명령은 상품추천을 요청하는 명령이며,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시청자를 위한 상품추천을 상기 서비스서버에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요청상품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선택이벤트는 상기 셋톱박스를 제어하는 리모콘 또는 상기 시청자의 음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문프로세스는 상기 셋톱박스에 내장된 통화모듈을 통하여 또는 상기 셋톱박스와 연동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상기 시청자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쇼핑방송 고객센터와 전화연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문프로세스는, 상기 셋톱박스가 기 설정된 시청자의 모바일 기기에 주문 URL을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주문 URL을 이용해 주문 웹페이지를 호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명령이 영상요청명령인 경우, 상기 셋톱박스는 다음 방송상품 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요청영상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쇼핑방송 인터페이스는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쇼핑 방송 VOD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음성명령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정의된 응답 인터페이스를 상기 쇼핑방송 인터페이스 상에 중첩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에 의하면, 셋톱박스가 시청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여 처리함으로써 시청자의 리모콘 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자가 현재 쇼핑 방송중인 상품에 대하여 음성신호로 주문명령을 하는 경우, 곧바로 전화연결을 하거나 모바일 기기로 주문 웹페이지를 호출할 수 있다. 만일 시청자가 음성신호로 특정상품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거나 추천상품을 요청하는 경우, 셋톱박스는 기존 화면 상에 새로운 응답 인터페이스를 중첩시켜 요청결과를 표시함으로써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음성신호로 다음 방송상품을 요청하는 경우, 셋톱박스는 기존 화면 상에 새로운 응답 인터페이스를 중첩시켜 다음 방송상품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쇼핑 데이터방송에 있어서 주문프로세스를 진행할 때 리모콘 대신 시청자의 음성명령을 기반으로 함으로써 리모콘 조작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응답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음성명령의 응답 결과를 표시함으로써 이제껏 쇼핑 데이터방송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디지털 TV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상품요청명령이 인식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전화연결을 통한 주문프로세스 진행 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주문 URL을 통한 주문프로세스 진행 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영상요청명령에 응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T 커머스"는 디지털 TV를 통해서 상품정보 검색, 구매, 결제를 포함한 일련의 상거래를 할 수 있는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홈쇼핑 방송" 또는 "쇼핑 방송"은 T 커머스 데이터방송으로 제공되는 쇼핑 방송으로 특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응답 인터페이스"는 시청자의 음성명령에 응답하여 그 결과를 디지털 TV 화면에 호출한 것으로, 요청상품 인터페이스, 주문프로세스 인터페이스, 요청영상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30), 음성인식 서버(40), 셋톱박스(20) 및 디지털 TV(10)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T 커머스 데이터방송 서비스가 시스템적으로 어떻게 제공되는지를 개념적으로 설명한 것에 국한되며, TV 방송에 관련된 모든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셋톱박스(20)는 디지털 TV(10)와 서비스 서버(30)에 연결되어 디지털 TV(10)와 서비스 서버(3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개하는 역할을 한다. 셋톱박스(20)는 고유한 셋톱박스 ID(SAID)를 부여받으며, 디지털 TV(10)가 셋톱박스(20)를 통해 서비스 서버(30)에 접속할 때 서비스 서버(30)는 셋톱박스(20)의 셋톱박스 ID를 입수하고, 외부 혹은 내부의 가입자 정보 관리 시스템에 문의하여 셋톱박스 ID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셋톱박스(20)는 보통 디지털 TV(10)와 케이블로 연결된다. 셋톱박스(20)는 네트워크 매개체를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30)와 연결되고, 서비스 서버(30)로부터 TV 방송, 데이터방송, 및 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지털 TV(10)에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네트워크 매개체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서비스 서버(30)와 연결된 케이블이 댁내로 인입하여 셋톱박스(20)에 연결될 수 있다. 리모콘은 디지털 TV(10) 및/또는 셋톱박스(20)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실행한다.
셋톱박스(20)는 내부에 음성인식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리센서를 통해 시청자의 음성신호를 수집한 후 단어, 문장 등으로 변환하여 음성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셋톱박스(20)는 소리센서를 통해 시청자의 음성신호를 수집한 후 음성인식 서버(40)에 전송하면 음성인식 서버(40)는 음성신호를 단어나 문장으로 변환하여 음성명령을 인식하여 셋톱박스(2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셋톱박스가 음성명령을 인식한다"라는 것은 셋톱박스(20)가 내부의 음성인식모듈 또는 외부의 음성인식 서버(40)를 통해 음성신호를 단어, 문장 등으로 변환하여 음성명령을 인식하는 경우를 포함한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셋톱박스(20)는 기존 전화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음성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화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셋톱박스(20)는 시청자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 웹페이지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셋톱박스(20)와 연동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기기를 작동시켜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전화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는 쇼핑 데이터방송의 콘텐츠를 셋톱박스(20)로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30)는 데이터방송 콘텐츠와 자원을 관리함에 있어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VOD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품추천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추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스크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로그 기록 데이터베이스, 또는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데이터베이스들은 서비스 서버(30)가 관리하는 시스템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혹은 외부 서버가 관리하는 저장소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저장수단들과, 데이터를 관리하고 처리하며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들과, 외부 디바이스나 외부 시스템과의 통신을 처리하는 수단들과, 인증과 보안을 위한 수단들을 더 포함하며, 여기에는 다양한 하드웨어 장비, 서버 장치, 소프트웨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가 수행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예를 들어 셋톱박스 ID와 매칭되는 가입자의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프로세스, 사용자 모바일 기기에 URL을 전송하는 프로세스, 등록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음성신호를 주고 받는 프로세스, 외부의 금융기관과 연계하여 결제처리를 하는 프로세스 등의 경우, 만일 데이터 자원이 외부에 상주하거나 외부로 전송해야 한다면, 외부 서버 및 장치들과의 통신을 통해서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2의 각 단계에서 디지털 TV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먼저 셋톱박스(20)는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쇼핑 데이터방송을 수신하면, 디지털 TV(10) 상에 쇼핑방송 인터페이스(100)를 표시한다(S10). 도 3은 디지털 TV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쇼핑방송 인터페이스(100)는 시청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영역 및 이를 둘러싼 스크린 영역(110)을 포함한다. 콘텐츠 영역은 쇼핑 방송 콘텐츠가 표시되는 VOD 영역(120), 복수의 독립된 기능 및 독립된 영역을 갖는 TV 애플리케이션 영역(130, 132, 134, 136) 및 이벤트를 공지하는 알림 영역(140)을 포함한다. 스크린 영역(110)은 쇼핑방송 인터페이스(100)에서 콘텐츠 영역이 아닌 영역으로서 콘텐츠 영역의 배경 스킨이 되는 영역을 지칭한다.
또한 콘텐츠 영역에는 단순히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로 정보만을 제공하는 일반 표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일반 표지로는 웹 사이트의 주소, 주문전화번호, 상담전화번호, 가격정보, 상품정보, 리모콘 트리거 안내정보, 날씨정보, 데이터방송 쇼핑 채널임을 알리는 문구, 기타 안내 문구나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VOD 영역(120)에는 방송편성표에 따라 서비스 서버(30)가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쇼핑 방송 VOD 콘텐츠가 재생된다. 셋톱박스(20)가 서비스 서버(30)에 접속하면 디지털 TV(10) 화면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쇼핑방송 인터페이스(100)가 표시된 다음에, 사용자가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전체 화면 보기를 명령할 경우에 전체 화면 보기로 전환될 수 있다.
TV 애플리케이션 영역(130, 132, 134, 136)은 쇼핑 방송의 실시간 순위 리스트를 표시하거나, 콘텐츠 영역을 위한 추천 콘텐츠를 표시하거나, 서비스 서버(30)에 의해 미리 정해진 상품 기획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TV 애플리케이션 영역(130, 132, 134, 136)은 VOD 영역(120)을 통해 현재 방송 중인 쇼핑 방송 VOD 콘텐츠에 대한 주문이벤트를 호출할 수도 있다.
이어서, 시청자가 음성신호를 생성하면 셋톱박스(20)는 이를 수신하고 내부의 음성인식모듈 또는 외부의 음성인식 서버(40)를 통해 음성신호를 단어, 문장 등으로 변환하여 음성명령을 인식한다(S20). 셋톱박스(20)는 디지털 TV(10)가 온 상태일 때는 지속적으로 음성신호를 수신하다가 음성신호에 특정 단어가 포함될 때부터 음성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시청자가 "지니야"라고 말하면 셋톱박스(20)는 그 후에 생성되는 음성신호를 변환하여 음성명령으로 인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명령이 상품요청명령, 주문명령, 영상요청명령 중 어느 하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1) 음성명령이 상품요청명령인 경우를 먼저 설명한다. 여기서, 상품요청명령은 상품검색을 요청하는 명령일 수도 있고, 상품추천을 요청하는 명령일 수도 있다. 도 4는 상품요청명령이 인식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시청자가 기정의된 음성신호, 예를 들어 "A청소기 상품찾아줘", "A청소기 상품보여줘", "A청소기 상품검색해줘" 등을 발생시키면, 셋톱박스(20)는 이러한 음성신호를 상품검색명령으로 인식하고(S30), 상품검색명령에 포함된 소정의 상품, 예컨대 "A청소기"에 대한 검색을 서비스 서버(30)에 요청한다. 서비스 서버(30)는 요청된 상품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그 결과를 셋톱박스(20)에 전송하고, 셋톱박스(20)는 검색된 상품들로 구성된 요청상품 인터페이스(200)를 디지털 TV(10) 상에 표시한다(S32). 요청상품 인터페이스(200)는 검색된 상품들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상품영역(210, 212, 214)으로 구성된다. 이어서 시청자가 요청상품 인터페이스(200)에 표시된 상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셋톱박스(20)는 선택된 상품에 대한 주문프로세스를 진행한다.
상품요청명령이 상품추천을 요청하는 명령일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진행된다. 예를 들어, 시청자가 기정의된 음성신호, 예를 들어 "추천상품", "상품추천", "상품 추천해줘", "살만한 상품 보여줘", "베스트상품 보여줘" 등을 발생시키면, 셋톱박스(20)는 이러한 음성신호를 상품추천명령으로 인식하고(S30), 상품추천명령을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30)에 상품추천을 요청한다. 서비스 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품추천정보를 얻어 셋톱박스(20)에 전송하고, 셋톱박스(20)는 추천상품들로 구성된 요청상품 인터페이스(200)를 디지털 TV(10) 상에 표시한다(S32). 요청상품 인터페이스(200)는 추천된 상품들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상품영역(210, 212, 214)으로 구성된다. 이어서 시청자가 요청상품 인터페이스(200)에 표시된 상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셋톱박스(20)는 선택된 상품에 대한 주문프로세스를 진행한다.
한편, 요청상품 인터페이스(200)에 표시된 상품들에 대한 선택이벤트는 셋톱박스(20)를 제어하는 리모콘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고, 시청자의 음성신호를 인식하여 발생할 수도 있다. 시청자의 선택이벤트는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명령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주문프로세서는 다음의 예들 중 적어도 하나로 실시될 수 있다.
도 5는 전화연결을 통한 주문프로세스 진행 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주문프로세스는 셋톱박스(20)에 내장된 통화모듈을 통하여 쇼핑방송 고객센터와 전화연결하여 진행될 수 있다(S60). 다른 예로는, 주문프로세스는 셋톱박스(20)와 연동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시청자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쇼핑방송 고객센터와 전화연결하여 진행될 수도 있다(S60). 시청자의 선택이벤트 또는 주문명령이 있는 경우, 셋톱박스(20)는 이에 응답하는 주문프로세스 인터페이스(300)를 쇼핑방송 인터페이스(100) 상에 중첩되도록 표시하여 시청자에게 음성인식이 잘 작동되고 현재 음성명령에 응답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린다. 예를 들어, 주문프로세스 인터페이스(300) 상에 "K쇼핑 상담전화를 연결합니다" 등의 문자정보를 표시하여 시청자가 현재 진행상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주문 URL을 통한 주문프로세스 진행 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주문프로세스는 셋톱박스(20)가 기 설정된 시청자의 모바일 기기에 주문 URL을 전송하고, 모바일 기기가 주문 URL을 이용하여 주문 웹페이지를 호출하여 진행될 수도 있다(S62). 이 경우에도 셋톱박스(20)는 시청자의 선택이벤트 또는 주문명령에 응답하는 주문프로세스 인터페이스(300)를 쇼핑방송 인터페이스(100) 상에 중첩되도록 표시한다. 예를 들어, 주문프로세스 인터페이스(300) 상에 "선택하신 상품의 주문 URL을 휴대폰으로 전송합니다" 등의 문자정보를 표시하여 시청자가 현재 진행상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2) 음성명령이 주문명령인 경우, 셋톱박스(20)는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어 현재 쇼핑방송 인터페이스(100)에 재생되는 상품에 대한 주문프로세스를 진행한다(S40). 예를 들어, 시청자가 기정의된 음성신호, 예를 들어 "상담전화", "주문전화", "전화주문해줘", "전화로 주문해줘" 등을 발생시키면, 셋톱박스(20)는 이러한 음성신호를 전화연결요청으로 인식하고, 내장된 통화모듈 또는 셋톱박스(20)와 연동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쇼핑방송 고객센터와 전화연결을 진행한다(S60). 만일 시청자가 기정의된 음성신호, 예를 들어 "주문", "바로주문", "바로주문해줘", "상품주문해줘", "방송상품 주문해줘" 등을 발생시키면, 셋톱박스(20)는 이러한 이러한 음성신호를 바로주문요청으로 인식하고, 기 설정된 시청자의 모바일 기기에 주문 URL을 전송하고, 시청자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주문 URL을 통해 주문 웹페이지를 호출하여 주문을 진행한다(S62).
(3) 음성명령이 영상요청명령인 경우, 셋톱박스(20)는 다음 방송상품 정보를 서비스 서버(30)에 요청하고, 서비스 서버(30)는 방송편성표를 기준으로 다음 방송상품 정보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셋톱박스(20)에 전송한다. 셋톱박스(20)는 그 결과를 수신하여 요청영상 인터페이스(400)에 표시한다(S52). 도 7은 영상요청명령에 응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다음 방송상품에 대한 이미지 정보는 요청영상 인터페이스(400) 중 상품 윈도우(410)에 표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쇼핑방송 인터페이스(100) 상에는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쇼핑 방송 VOD 콘텐츠가 표시되고 있는 동안, 시청자의 음성신호가 있는 경우 음성신호를 변환하여 음성명령으로 인식하고 그 처리결과를 응답 인터페이스로 표시한다. 따라서, 시청자는 쇼핑 방송을 계속 시청하면서 별도의 리모콘 조작 없이 음성신호로 원하는 검색이나 다른 영상 정보를 디지털 TV 화면에 표시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디지털 TV
20: 셋톱박스
30; 서비스 서버
40: 음성인식 서버
100: 쇼핑방송 인터페이스
110: 스크린 영역
120: VOD 영역
130, 132, 134, 136: TV 애플리케이션 영역
140: 알림영역
200: 요청상품 인터페이스
210, 212, 214: 상품영역
300: 주문프로세스 인터페이스
400: 요청영상 인터페이스

Claims (7)

  1. 서비스서버로부터 쇼핑 데이터방송을 수신하는 셋톱박스가:
    디지털 TV 상에 쇼핑방송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시청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음성명령이 상품요청명령인 경우, 상기 디지털 TV 상에 요청상품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시청자로부터 상기 요청상품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상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이벤트가 발생하면 선택된 상품에 대한 주문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명령이 주문명령인 경우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쇼핑방송 인터페이스에 재생되는 상품에 대한 주문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인식 기반의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요청명령은 상품검색을 요청하는 명령이며,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상품요청명령에 포함된 소정의 상품에 대한 검색을 상기 서비스서버에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요청상품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기반의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요청명령은 상품추천을 요청하는 명령이며,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시청자를 위한 상품추천을 상기 서비스서버에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요청상품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기반의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이벤트는 상기 셋톱박스를 제어하는 리모콘 또는 상기 시청자의 음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기반의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프로세스는 상기 셋톱박스에 내장된 통화모듈을 통하여 또는 상기 셋톱박스와 연동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상기 시청자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쇼핑방송 고객센터와 전화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음성인식 기반의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프로세스는, 상기 셋톱박스가 기 설정된 시청자의 모바일 기기에 주문 URL을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주문 URL을 이용해 주문 웹페이지를 호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음성인식 기반의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명령이 영상요청명령인 경우, 상기 셋톱박스는 다음 방송상품 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요청영상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기반의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
KR1020170107825A 2017-08-25 2017-08-25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 KR101969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825A KR101969222B1 (ko) 2017-08-25 2017-08-25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825A KR101969222B1 (ko) 2017-08-25 2017-08-25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068A true KR20190022068A (ko) 2019-03-06
KR101969222B1 KR101969222B1 (ko) 2019-04-15

Family

ID=6576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825A KR101969222B1 (ko) 2017-08-25 2017-08-25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2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8643A (ko) * 2019-05-31 2020-12-10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전자 기기의 음성 제어 방법, 장치, 컴퓨터 기기 및 저장 매체
KR102290430B1 (ko) * 2020-11-02 2021-08-18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상품 판매 방송에 대한 알림 신청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30039A (ko) * 2020-04-21 2021-10-29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Tv 기반 주문 시스템, tv 기반 주문 방법 및 이의 기록매체
WO2024034785A1 (ko) * 2022-08-10 2024-02-15 주식회사 지어소프트 Iptv를 이용한 음성 인식 온라인 마켓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838B1 (ko) * 2021-07-29 2023-02-08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을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9959A (ja) * 1999-07-09 2003-10-07 富士通株式会社 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および音声認識を使用するインターネット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
KR20150019496A (ko) * 2013-08-14 2015-02-25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상품 결제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89878B1 (ko) * 2015-08-14 2016-01-29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모바일 페어링을 이용한 스마트폰과 tv의 쇼핑 콘텐트 연동방법 및 연동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9959A (ja) * 1999-07-09 2003-10-07 富士通株式会社 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および音声認識を使用するインターネット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
KR20150019496A (ko) * 2013-08-14 2015-02-25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상품 결제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89878B1 (ko) * 2015-08-14 2016-01-29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모바일 페어링을 이용한 스마트폰과 tv의 쇼핑 콘텐트 연동방법 및 연동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8643A (ko) * 2019-05-31 2020-12-10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전자 기기의 음성 제어 방법, 장치, 컴퓨터 기기 및 저장 매체
KR20210130039A (ko) * 2020-04-21 2021-10-29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Tv 기반 주문 시스템, tv 기반 주문 방법 및 이의 기록매체
US11582525B2 (en) 2020-04-21 2023-02-14 Sk Stoa Co., Ltd. TV-based ordering system, method for ordering using TV-based order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290430B1 (ko) * 2020-11-02 2021-08-18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상품 판매 방송에 대한 알림 신청 방법 및 그 장치
US11575969B2 (en) 2020-11-02 2023-02-07 Sk Stoa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questing notification of product sales broadcast
WO2024034785A1 (ko) * 2022-08-10 2024-02-15 주식회사 지어소프트 Iptv를 이용한 음성 인식 온라인 마켓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222B1 (ko) 201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222B1 (ko)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
US65598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reign language support for a remote control device
US930100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broadcasting content
US20090325523A1 (en)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674193B2 (en)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device
US201001621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arch service during program broadcasting
KR101475449B1 (ko) 셋톱박스 id 기반 t 커머스 데이터방송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US100155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voice communications
KR20130042044A (ko) 대화형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의 원격 액세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01033858A1 (e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with live customer service
CN103081489A (zh) 用于在内容提供商环境中提供社交混搭的系统和方法
JP2003169352A (ja) 携帯端末、番組関連情報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708152B1 (ko) 홈쇼핑 데이터방송에서 선택적 시청을 제공하는 방법
KR20200008341A (ko) 화면을 제어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화면을 분석하는 서버
KR20090073944A (ko) 방송 컨텐츠 출력장치와 방송 컨텐츠 관련 검색어(또는질문) 순위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101988795B1 (ko) 마이페이지 영역을 이용하여 홈쇼핑 데이터방송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1724237B1 (ko) 홈쇼핑 데이터방송에서 배송현황을 제공하는 방법
KR101511311B1 (ko) 셋탑박스 제어 기록 및 콘텐츠 검색 기록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86919B1 (ko)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09005260A (ja) コンテンツ視聴装置
KR20090109153A (ko) 아이피 티브이기반 상세 지역별 정보와 광고 제공을 통한주문, 결제 및 배송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101873098B1 (ko) 마이페이지 영역을 이용하여 홈쇼핑 데이터방송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JP2012178875A (ja) コンテンツ受信端末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受信端末装置
JP2019036837A (ja) オブジェクト特定装置、オブジェクト特定システム、オブジェクト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53783A (ko) 리모콘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