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838B1 -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을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을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838B1
KR102497838B1 KR1020210100141A KR20210100141A KR102497838B1 KR 102497838 B1 KR102497838 B1 KR 102497838B1 KR 1020210100141 A KR1020210100141 A KR 1020210100141A KR 20210100141 A KR20210100141 A KR 20210100141A KR 102497838 B1 KR102497838 B1 KR 102497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
video
data
chatt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8219A (ko
Inventor
구영훈
권민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0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838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가 웹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서 획득된 라이브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웹 서버로부터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라이브 채팅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라이브 영상에 대한 데이터로부터의 라이브 영상과 상기 라이브 채팅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일체(一體)로 디스플레이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을 하나의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을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MEDIA STREAMING SERVER, METHOD OF PROVIDING LIVE VIDEO AND LIVE CAHT VIDEO AS STRAMING VIDEO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을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TV 기술 및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TV를 통한 다양한 정보가 시청자에게 전달되고 있다. 예를 들면 TV를 통하여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TV 홈쇼핑은 기술 변화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최근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를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IPTV 서비스에서는, 댁내 등 지정된 공간에 설치되는 셋탑박스 (Set-top Box)를 통해서 다양한 서비스를 IPTV 서비스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그 중 커머스 채널을 통해서 제공되는 쇼핑방송서비스(또는, 커머스 방송)도 제공될 수 있다.
쇼핑방송서비스를 제작하는 커머스 사업자의 경우, 일정한 금액을 지불하고 이에 상응하여 부여/약속되는 채널에 커머스 채널(즉, 쇼핑방송서비스)을 편성할 수 있다.
이에, IPTV 서비스 가입자가 셋탑박스에서 약속된 채널을 선택하면, 셋탑박스가 그 채널에 정규 편성된 커머스 채널을 수신하여 TV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IPTV 서비스 가입자는 커머스 채널을 시청 및 쇼핑방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데, 사용자에 요구에 따른 다양한 쇼핑 정보의 전달 및 쇼핑 정보 확인과 주문 등의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을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가 웹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서 획득된 라이브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웹 서버로부터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라이브 채팅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라이브 영상에 대한 데이터로부터의 라이브 영상과 상기 라이브 채팅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일체(一體)로 디스플레이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라이브 영상과 상기 라이브 채팅 영상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라이브 영상, 상기 라이브 채팅 영상과 상기 어플 화면 데이터를 하나의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팅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웹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채팅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채팅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및 제2 채팅 메시지를 생성 시간 순으로 나열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브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웹 서버가 제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촬영된 라이브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촬영된 라이브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제4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4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라이브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라이브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채팅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채팅 입력신호에 따라 데이터 서버로 상기 셋탑박스의 식별코드 및 상기 라이브 영상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라이브 채팅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를 통해 상기 셋탑박스와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라이브 채팅 영역으로 접근가능한 링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셋탑박스와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채팅 메시지가 포함된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웹 서버를 거쳐 수신되며,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라이브 채팅 영상을 재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을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과 셋탑박스 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영상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채팅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라이브 영상에 대한 주문 입력의 처리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셋탑박스로부터 수신된 채팅 입력신호에 대한 처리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라이브 영상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의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라이브 영상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의 네비게이션 바의 예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과 셋탑박스 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은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 웹 서버(200)와 데이터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 웹 서버(200), 데이터 서버(500)는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거나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들로 구현되어 분산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셋탑박스(301), 제2 셋탑박스(302), 제3 셋탑박스(303), …, 제n 셋탑박스(30n)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은 제1 셋탑박스(301), 제2 셋탑박스(302), 제3 셋탑박스(303), …, 제n 셋탑박스(30n)를 통해 이들에 연결된 출력 장치(401, 402, 403, …, 40n, 이하 400)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어할 수 있다. 출력 장치(400)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TV, 스마트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제1 단말기(T1), 제2 단말기(T2), 제3 단말기(T3), …, 제n 단말기(Tn)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제1 단말기(T1), 제2 단말기(T2), 제3 단말기(T3), …, 제n 단말기(Tn)는 예컨대 후술하는 것과 같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MP 또는 PDA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이거나, PC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셋탑박스(301), 제2 셋탑박스(302), 제3 셋탑박스(303), …, 제n 셋탑박스(30n) 중 적어도 하나는 셋탑박스(300)로 명명할 수 있다. 제1 단말기(T1), 제2 단말기(T2), 제3 단말기(T3), …, 제n 단말기(Tn) 중 적어도 하나는 단말기(T)로 명명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 웹 서버(200), 셋탑박스(300), 데이터 서버(500) 및/또는 단말기(T)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셋탑박스(300)와 출력 장치(400)는 네트워크로 또는 전기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셋탑박스(300)와 출력 장치(400)는 일체(一體)인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제어 장치(예로, 리모콘)를 이용해 셋탑박스(300) 및/또는 출력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 또는 출력 장치(400)는 리모콘과 근거리 통신망으로 통신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영상 스트리밍 시스템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동영상 스트리밍 시스템의 일부 구성요소는 복수의 장치로 분리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장치로 병합될 수도 있다.
셋탑박스(300)는 통상 가정에서 위성방송이나 케이블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장치이다. 위성방송이나 케이블 방송 또는 인터넷 방송 등의 데이터는 압축 및 변조(modulation) 등으로 처리된 데이터로 셋탑박스(300)에 전송되는데, 셋탑박스(300)는 수신한 데이터에 대해 복조(demodulation) 및 압축 해제 등의 처리를 하여 TV 등의 출력 장치(400)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셋탑박스(300)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로부터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스트리밍 동영상에 관한 출력 데이터를 TV 등의 출력 장치(400)로 전송하여, 출력 장치(400)에서 스트리밍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셋탑박스(300)는 고유의 셋탑 ID를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들의 집들에 비치된 셋탑박스(300)들 각각은 고유의 셋탑박스 ID를 가질 수 있다. 셋탑박스 ID는 예컨대 숫자, 알파벳과 같은 문자, 특수문자 및/또는 기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입출력 장치(예를 들어,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이 컨텐츠 송출 서버(60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컨텐츠 송출 서버(600)는 예컨대 일 방송 제공사의 서버일 수 있다. 물론 전술한 것과 같이 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이 컨텐츠 송출 서버(600)까지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송출 서버(600)는 컨텐츠를 다양한 방송 제공사들의 서버들로 송출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송출 서버(600)는 방송 제공사의 플랫폼 또는 형식(format)에 맞는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컨텐츠 송출 서버(600)는 저장된 컨텐츠를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로 송출하여, 스트리밍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가 TV 등의 출력 장치에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송출 서버(600)는, 네트워크 등의 기타 전송로(예: 분산 네트워크, contents delivery network, CDN)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700)로부터 동영상 등과 같은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7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을 통해 제공할 커머스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를 등록(예: 입수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서버(700)는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의 메타정보를 수신하여 컨텐츠 별로 메타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텐츠 제공 서버(700)는 데이터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고, 다양한 정보를 서로 통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다. 메타정보는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정보, 제작정보 및/또는 심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700)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메타정보를 직접 수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700)는 등록된 컨텐츠를 각 플랫폼 또는 형식에 따라 변환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600)로 송출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컨텐츠 제공 서버(700)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이를 컨텐츠 송출 서버(600)로 송출하며, 컨텐츠 송출 서버(600)가 해당 컨텐츠를 플랫폼 또는 형식에 따라 변환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컨텐츠 제공 서버(700)는, (동영상 등의) 컨텐츠의 데이터 또는 변환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분산 네트워크(CDN)를 통해 컨텐츠 송출 서버(6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서버(700)는, 컨텐츠 송출 서버(600)로부터 각 동영상의 영상식별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영상식별정보는 예를 들면 컨텐츠 송출 서버(600)에 저장된 컨텐츠의 URL 정보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700)는 등록된 동영상에 관한 이러한 영상식별정보를 데이터 서버(5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500)는 컨텐츠 제공 서버(700)로부터 동영상에 관한 영상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서버(500)는 아파치 톰캣, 오라클 등의 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팅 장치로서, 서버 기능을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서버(500)는 전술한 것과 같이 컨텐츠의 상품정보, 제작정보 및/또는 심의정보 등을 포함하는 메타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500)는 컨텐츠 송출 서버(600)에 저장된 동영상의 링크 정보와 같은 영상식별정보 등을 저장하고,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관련 정보를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셋탑박스(300)는 예를 들면 리모콘 등을 통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로 송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의 영상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이러한 영상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동영상 데이터(예: VOD(video on demand) 데이터)를 컨텐츠 송출 서버(600)로 요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셋탑박스(300)는 가입자의 요구(예: 리모콘을 통한 사용자 입력)를 제어신호로 변환해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셋탑박스(30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 및 제어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복수의 셋탑박스들(301, 302, …, 30n)과 통신하여 복수의 셋탑박스들(301, 302, …, 30n)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각 셋탑박스에 대응하는 어플 화면 데이터를 각각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상품 정보, 고객 정보, 주문 정보, 편성 정보 및/또는 영상식별정보 등을 수신하거나, 별도의 웹 서버(200)로부터 어플 화면 데이터의 생성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동영상의 영상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600)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700)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컨텐츠 송출 서버(600)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70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로부터의 동영상과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하나의 화면에 일체(一體)로 디스플레이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라이브 영상에 대한 데이터,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컨텐츠 송출 서버(600)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700) 또는 웹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라이브 영상에 대한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이러한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라이브 영상에 대한 식별코드는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어플 화면 데이터는 출력 장치(400)의 화면에 구현(예: 표시)할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대한 데이터이다. 이러한 어플 화면 데이터는 예컨대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생성한 어플 화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고,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와 어플 화면 데이터를 하나의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로 인코딩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컨텐츠 송출 서버(600)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70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와 생성한 어플 화면 데이터를 함께 인코딩하여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동영상 데이터와 어플 화면 데이터를 정해진 프로토콜 및/또는 형식으로 인코딩하고 선택적으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압축하여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생성한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셋탑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실시간으로 생성한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셋탑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예를 들면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제1 셋탑박스(301)로 전송할 제1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와 제2 셋탑박스(302)로 전송할 제2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제1 셋탑박스(301)로 제1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셋탑박스(302)로 제2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2개 이상의 셋탑박스들로 전송할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들을 생성하고,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들 각각을 각각의 셋탑박스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700)에 등록된 커머스 컨텐츠들은, 가입자에게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입자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또는 어플 화면)에 기초하여 셋탑박스(300)에 사용자 입력을 전달함으로써, 다양한 동영상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물론 컨텐츠 제공 서버(700)에 등록된 커머스 컨텐츠들은, 방송 편성 정보에 따라 가입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셋탑박스(300)와 통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600)로부터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영상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600)로부터 동영상 및/또는 VOD 데이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는 획득된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 등의 컨텐츠를 출력 장치(400)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셋탑박스들(301, 302, …, 30n)은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로부터 획득된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복수의 셋탑박스들(301, 302, …, 30n)과 연결된 각각의 출력 장치(401, 402, …, 40n)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탑박스(300)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출력 장치(400)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셋탑박스(300)가 송신하는 방송용 출력 데이터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와 어플 화면 데이터를 하나의 화면에 일체(一體)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인코딩하여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셋탑박스(300)는 네트워크 상의 영상 전송로를 통하여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로부터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 장치(400)의 화면에서 스트리밍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는 이와 통신하는 리모콘을 통해 화면 버튼 입력, 화면 상하 또는 좌우 스크롤, 채널 및/또는 상품 코드 등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셋탑박스(300)는 셋탑박스(3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는 셋탑박스(300)의 플랫폼 코드, 셋탑 아이디(STP ID), 접속 정보 등을 읽어 들여, 이를 기초로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는 이러한 출력 데이터가 출력 장치(400)와 같은 외부의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출력 장치(400)는 셋탑박스(300)에 연결된 단말로서, 셋탑박스(300) 내에서 처리 및/또는 생성된 출력 데이터를 전송 받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출력 장치(400)는 화면 데이터에 따라 화면을 표시하며 음성 데이터에 따라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 장치(400)는 케이블 등을 통해 셋탑박스(3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출력 장치(400)는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이 경우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셋탑박스(3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전자 장치 및/또는 서버들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링크로 정의될 수 있으며,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는 다양한 사용자 선택형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는 인터넷,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또는 울트라와이드밴드(Ultra Wide Band, UWB)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네트워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은,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에서 동영상과 어플 화면 데이터를 하나의 화면에 일체(一體)로 디스플레이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셋탑박스의 역할을 최소화하고,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구성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동영상을 하나의 스트리밍 동영상에 인코딩하여 재생함으로써, 동영상 재생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제1 클라우드 서버 및 제2 클라우드 서버의 변환을 제어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제1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선택 채널에 대응한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통하여 출력 장치(400) 내의 화면을 구현하고, 이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다.
웹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라이브 영상을 다른 사용자 단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웹 서버(200)는 라이브 영상과 함께 실시간 채팅 영역을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웹 서버(2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접속하여 영상을 공유하고 채팅 메시지를 공유하는 통신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채널은, 채팅방, 대화방, 동영상 공유방, 화상 채팅방, 화상 회의 공간 등일 수 있으며, 이외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포털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임의의 가상 공간일 수 있다. 웹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라이브 방송 요청에 대응하여 라이브 방송 채널을 생성하고, 라이브 방송 채널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된 라이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웹 서버(200)는 라이브 방송 채널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게 라이브 영상을 제공하고, 접속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라이브 채팅 메시지를 라이브 영상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웹 서버(200)로부터 라이브 방송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들에 제공되는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라이브 채팅 메시지들을 정해진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디스플레이하는 라이브 채팅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셋탑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스트리밍 동영상은,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영상을 일체(一體)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스트리밍 동영상은,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영상 외의 어플리케이션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스트리밍 동영상은,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영상 등을 포함하는 동영상의 형태일 수 있다. 스트리밍 동영상은, 셋탑박스(300)로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셋탑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 내에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영상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셋탑박스(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라이브 영상이라 함은, 별도의 웹 서버(200)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들에 제공되는 영상을 말한다. 라이브 영상은 사용자 단말에서 촬영된 영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미리 촬영된 영상을 말할 수 있다. 라이브 영상은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생성한 통신 채널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통신 채널을 통해 채팅 메시지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라이브 영상은 통신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채팅 메시지들을 제공하는 라이브 채팅 영역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라이브 영상은, 현재 시점에 촬영된 영상으로, 상품 판매를 위한 영상, 영화 시사회, 팬 사인회, 현장 공연 등의 영상 등일 수 있다. 도 7에서는 그러한 라이브 영상(LV)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라이브 채팅 영상은, 라이브 채팅 영역에서 제공되는 채팅 메시지들을 디스플레이한 영역에 대한 영상을 말한다. 라이브 채팅 영상은, 채팅 메시지가 새롭게 추가되면 추가된 채팅 메시지를 더 포함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그러한 라이브 채팅 영상(LC)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영상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라이브 채팅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실행되면,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셋탑박스(300)를 통해 그러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스트리밍 동영상을 재 생성하여 셋탑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라이브 채팅 영상에 대한 메시지 입력신호를 셋탑박스(300)로부터 수신하게 되면, 셋탑박스(300)의 식별코드와 라이브 영상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라이브 채팅 요청 신호를 데이터 서버(500)로 전송하여 데이터 서버(500)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라이브 채팅 영역으로 접근 가능한 링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링크 정보를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에는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영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T)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를 말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T)은 셋탑박스(300) 및 출력 장치(4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로 지정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T)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C, 태블릿 PC, PMP, PDA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프로세서(110)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의 저장 매체(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롬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는 구성이고, CPU는 롬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의 저장된 운영체제를 램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시킴으로써, 웹 서버(200)로부터 라이브 방송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들에 제공되는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라이브 채팅 메시지들을 정해진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디스플레이하는 라이브 채팅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셋탑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영상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라이브 채팅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실행되면, 프로세서(110)는 셋탑박스(300)를 통해 그러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스트리밍 동영상을 재 생성하여 셋탑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라이브 채팅 영상에 대한 메시지 입력신호를 셋탑박스(300)로부터 수신하게 되면, 셋탑박스(300)의 식별코드와 라이브 영상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라이브 채팅 요청 신호를 데이터 서버(500)로 전송하여 데이터 서버(500)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라이브 채팅 영역으로 접근 가능한 링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링크 정보를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에는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영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웹 서버(200), 셋탑박스(300), 데이터 서버(500), 컨텐츠 송출 서버(600), 컨텐츠 제공 서버(700), 사용자 단말(T) 등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의 근거리 통신부, 이동통신 망, 또는 유선 이더넷 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프로세서(11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 매체(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130)는 구체적으로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저장 매체(130)는 스트리밍 동영상 생성부(131),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리밍 동영상 생성부(131)는 셋탑박스(300)로부터의 라이브 영상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라이브 영상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스트리밍 동영상 생성부(131)는 웹 서버(200)에서 사용자 단말들로 제공하는 라이브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스트리밍 동영상 생성부(131)는 웹 서버(200)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채팅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스트리밍 동영상 생성부(131)는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라이브 채팅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스트리밍 동영상 생성부(131)는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내용을 필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에 포함된 비속어, 금지어 등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필터링 처리할 수 있다.
스트리밍 동영상 생성부(131)는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일체(一體)로 디스플레이 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스트리밍 동영상 생성부(131)는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영상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스트리밍 동영상 생성부(131)는 라이브 영상, 라이브 채팅 영상, 어플 화면 데이터를 하나의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로 인코딩할 수 있다.
스트리밍 동영상 생성부(131)는 웹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채팅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채팅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 및 제2 채팅 메시지를 생성 시간 순으로 나열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라이브 채팅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라이브 채팅 영상은 제1 채팅 메시지 및/또는 제2 채팅 메시지가 움직이는 효과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일 수 있다. 스트리밍 동영상 생성부(131)는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내용을 필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에 포함된 비속어, 금지어 등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필터링 처리할 수 있다.
라이브 영상은 웹 서버가 수신한 영상을 통신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일 수 있다. 웹 서버(200)는 수신한 영상을 통신 채널에서 제공되는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라이브 영상은 통신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변환된 영상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2)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출력 장치(400)의 디스플레이 되어야 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을 생성하고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셋탑박스(30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TV 시청 중 리모콘을 통하여 채널 선택 입력을 하게 되면, 이러한 선택 입력을 인식할 수 있고, 이러한 선택 입력에 대응한 스트리밍 동영상이 출력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채널 안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하게 되면, 해당 채널 안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이 출력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2)는 셋탑박스(300)로부터 채팅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채팅 입력신호에 따라 데이터 서버(500)로 셋탑박스(300)의 식별코드 및 라이브 영상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라이브 채팅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채팅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셋탑박스(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식별코드, 전화 번호 등을 입력하는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2)는 채팅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전화 번호,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식별정보, 사용자 아이디 등을 입력하는 어플 화면 데이터를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 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라이브 채팅 요청 신호를 수신한 데이터 서버(500)는 셋탑박스(300)와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 라이브 채팅 영역으로 접근 가능한 링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셋탑박스(300)와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은, 셋탑박스(30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라이브 채팅 영역으로 접근 가능한 링크 정보는 웹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영역이 디스플레이 하는 링크 정보를 말할 수 있다.
라이브 채팅 요청 신호를 수신한 데이터 서버(500)는 셋탑박스(300)와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 채팅 메시지를 입력하는 페이지로 이동하는 링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링크 정보에 접속하여 채팅 메시지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된 채팅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라이브 채팅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입력된 채팅 메시지는 라이브 채팅 영상에 포함되어 셋탑박스(3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영상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S110에서는 웹 서버(200)는 라이브 영상을 획득하고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로 전송할 라이브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라이브 영상은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어, 웹 서버(200)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영상일 수 있다.
S120에서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웹 서버(200)로부터 라이브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S130에서는 웹 서버(200)는 라이브 영상이 제공되는 동안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채팅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채팅 메시지들을 포함하는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S140에서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웹 서버(200)로부터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내용을 필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에 포함된 비속어, 금지어 등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필터링 처리할 수 있다.
S150에서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일체(一體)로 디스플레이 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라이브 채팅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라이브 채팅 영상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라이브 영상, 라이브 채팅 영상, 어플 화면 데이터를 하나의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로 인코딩할 수 있다.
S160에서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셋탑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를 통해 스트리밍 동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에 웹 서버(200)는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영역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채팅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S210에서는 웹 서버(200)에서 라이브 영상을 제공하는 통신 채널 또는 임의의 가상 공간에 접속한 제1 사용자 단말(T1)는 라이브 채팅 영역에 제1 채팅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S215에서는 웹 서버(200)는 제1 채팅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T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S220에서는 제2 사용자 단말(T2)는 라이브 채팅 영역에 제2 채팅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S225에서는 웹 서버(200)는 제2 채팅 메시지를 제2 사용자 단말(T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웹 서버(200)에서 라이브 영상을 제공하는 통신 채널에 접속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은 라이브 채팅 영역에 채팅 메시지를 각각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채팅 메시지들은 웹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라이브 채팅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S230에서는 웹 서버(200)는 제1 및 제2 채팅 메시지를 포함하는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S235에서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웹 서버(200)로부터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S240에서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새로 수신된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재 생성할 수 있다.
S245에서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셋탑박스(300)로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라이브 영상에 대한 주문 입력의 처리 과정의 흐름도이다.
S310에서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라이브 영상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이 디스플레이 동안에, 셋탑박스(300)로부터 주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주문 입력은 셋탑박스(3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라이브 영상의 식별코드, 셋탑박스의 식별코드, 주문하고자 하는 수량, 주문 방법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320에서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주문 입력에 대한 주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주문 입력에 포함된 정보로부터 주문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주문 데이터는, 주문 시간값, 셋탑박스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식별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330에서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셋탑박스의 주문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S340에서는 데이터 서버(500)는 주문 데이터를 기초로 상품 주문 요청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500)는 상품 주문 요청 데이터를 상품의 판매자 계정으로 전달하여 상품 주문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셋탑박스(300)로부터 수신된 채팅 입력신호에 대한 처리 과정의 흐름도이다.
S410에서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셋탑박스(300)로부터 라이브 채팅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에 입력된 채팅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채팅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셋탑박스(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식별코드, 전화 번호 등을 입력하는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S415에서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채팅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화 번호 등을 입력하는 어플 화면 데이터를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 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재 생성할 수 있다.
S420에서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셋탑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S425에서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셋탑박스(300)에서 입력된 데이터인 전화 번호,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식별코드, 사용자 아이디 등을 수신할 수 있다.
S430에서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입력된 데이터 및 라이브 영상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라이브 영상에 대한 채팅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435에서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라이브 영상에 대한 채팅 요청 신호를 데이터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S440에서는 데이터 서버(500)는 입력된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라이브 채팅 영역으로 접근 가능한 링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500)는 라이브 영상의 식별코드를 기초로 라이브 채팅 영역으로 접근 가능한 링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500)는 입력된 데이터를 기초로 셋탑박스와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S445에서는 데이터 서버(500)는 셋탑박스와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T)로 라이브 채팅 영역으로 접근 가능한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라이브 영상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의 예시 도면이다.
스트리밍 동영상은 라이브 영상(LV), 라이브 채팅 영상(LC), 라이브 영상에서 방송되는 상품 정보 영역(CA)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브 영상(LV)는 웹 서버로부터 수신된 라이브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라이브 영상(LV)은 웹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라이브 영상과 동일한 것일 수 있으나, 웹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라이브 영상과 다른 형식으로 인코딩된 것일 수 있다.
라이브 채팅 영상(LC)은 웹 서버에서 제공되는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것으로, 라이브 채팅 영역에 표시된 채팅 메시지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라이브 채팅 영상(LC)은 라이브 채팅 영역과 다른 배경색, 다른 폰트,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생성될 수 있다. 라이브 채팅 영상(LC)은 업데이트된 채팅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라이브 채팅 영상(LC)은 채팅 입력신호를 입력하는 영역(LC-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영역(CA)은 라이브 영상에서 방송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품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상품 정보 영역(CA)는 웹 서버로부터 획득된 방송되는 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스트리밍 동영상의 일 영역은 네이게이션 바(NA)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리밍 동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네비게이션 확장 입력이 수신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된 네비게이션 바가 표시될 수 있다.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0)는 네비게이션 확장 입력에 대응하여 확장된 네비게이션 바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을 생성하여 셋탑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110: 프로세서 120: 통신부
130: 저장 매체 200: 웹 서버
300, 301, 302, 303, 30n: 셋탑박스
400, 401, 402, 403, ??, 40n:출력 장치
500: 데이터 서버 600: 컨텐츠 송출 서버
700: 컨텐츠 제공 서버

Claims (13)

  1.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가 웹 서버를 통해 라이브 방송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들에 제공되는 라이브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채팅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라이브 채팅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라이브 영상에 대한 데이터로부터의 라이브 영상과 상기 라이브 채팅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일체(一體)로 디스플레이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리모콘을 통하여 채널 선택 입력을 한 셋탑박스로 전송하여, 상기 셋탑박스와 연결된 출력 장치에서 상기 스트리밍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채팅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채팅 입력신호에 따라 데이터 서버로 상기 셋탑박스의 식별코드 및 상기 라이브 영상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라이브 채팅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를 통해 상기 셋탑박스와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라이브 채팅 영역으로 접근 가능한 링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셋탑박스와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채팅 메시지가 포함된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웹 서버를 거쳐 수신되며,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셋탑박스와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채팅 메시지가 포함되는 라이브 채팅 영상을 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을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라이브 영상과 상기 라이브 채팅 영상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라이브 영상, 상기 라이브 채팅 영상과 상기 어플 화면 데이터를 하나의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을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웹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채팅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채팅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및 제2 채팅 메시지를 발생 시간 순으로 나열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되는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을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웹 서버가 제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촬영된 라이브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촬영된 라이브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제4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4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라이브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라이브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로 전송하는,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을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방법.
  5. 삭제
  6. 삭제
  7. 프로세서 및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웹 서버를 통해 라이브 방송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들에 제공되는 라이브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채팅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라이브 채팅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라이브 영상에 대한 데이터로부터의 라이브 영상과 상기 라이브 채팅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일체(一體)로 디스플레이하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리모콘을 통하여 채널 선택 입력을 한 셋탑박스로 전송하여, 상기 셋탑박스와 연결된 출력 장치에서 상기 스트리밍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채팅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채팅 입력신호에 따라 데이터 서버로 상기 셋탑박스의 식별코드 및 상기 라이브 영상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라이브 채팅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를 통해 상기 셋탑박스와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라이브 채팅 영역으로 접근 가능한 링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셋탑박스와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채팅 메시지가 포함된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웹 서버를 거쳐 수신되며, 상기 셋탑박스와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채팅 메시지가 포함되는 라이브 채팅 영상을 재 생성하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라이브 영상과 상기 라이브 채팅 영상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라이브 영상, 상기 라이브 채팅 영상과 상기 어플 화면 데이터를 하나의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웹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채팅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채팅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및 제2 채팅 메시지를 생성 시간 순으로 나열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라이브 채팅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로 전송하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웹 서버가 제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촬영된 라이브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촬영된 라이브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제4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4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라이브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라이브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로 전송하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11. 삭제
  12. 삭제
  13.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00141A 2021-07-29 2021-07-29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을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97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141A KR102497838B1 (ko) 2021-07-29 2021-07-29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을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141A KR102497838B1 (ko) 2021-07-29 2021-07-29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을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219A KR20230018219A (ko) 2023-02-07
KR102497838B1 true KR102497838B1 (ko) 2023-02-08

Family

ID=8522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141A KR102497838B1 (ko) 2021-07-29 2021-07-29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을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8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222B1 (ko) * 2017-08-25 2019-04-15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909B1 (ko) * 2014-03-17 2020-06-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057310B1 (en) * 2017-06-12 2018-08-21 Facebook, Inc. Interactive spectating interface for live videos
KR20210052019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그립컴퍼니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222B1 (ko) * 2017-08-25 2019-04-15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쇼핑 데이터방송의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219A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430B1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9922377B (zh) 播放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07771315A (zh) 基于动态图标映射显示及导航内容的系统和方法
WO2016202225A1 (zh) 内容项聚合方法和相关装置及通信系统
US10708648B2 (en) System for providing hybrid user interfaces and method thereof
CN113132194A (zh) 一种信息流转方法、装置、设备、服务器及存储介质
KR102497838B1 (ko)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을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12580B1 (ko) 미디어 제공 서버,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60060242A (ko)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622873B (zh) 由服务器播送音频和视频数据序列的方法
US20210321158A1 (en) Broadcasting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cover screen and broadcasting video corresponding thereto
CN112788349B (zh) 数据流推送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10499089B2 (en) System for providing cloud-based user interfaces and method therefor
KR102522681B1 (ko) 동영상 스트리밍 방법, 동영상 스트리밍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18733B1 (ko) 동영상 배너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569571B1 (ko) 동영상 스트리밍 방법, 동영상 스트리밍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US11595712B2 (en) TV broadcasting system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progress data for broadcasting
KR20230021498A (ko)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동영상 데이터와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서브영상을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90430B1 (ko) 상품 판매 방송에 대한 알림 신청 방법 및 그 장치
KR102637148B1 (ko) 미디어 서버, 주문 신호를 미리 등록된 주문 수단으로 바로 처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US202200607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p-up window for guiding a rerun of broadcast to user terminal
KR20230022063A (ko) 개인화 방송 추천 기능을 가지는 동영상 스트리밍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93528B1 (ko) 입고 알림신청 관리방법, 입고 알림신청 관리 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40002625A (ko) 미디어 서버, 예상 접속자 수에 따른 운영 계획을 설립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85407B1 (ko) 방송 연출 정보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