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580B1 - 미디어 제공 서버,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미디어 제공 서버,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580B1
KR102612580B1 KR1020210177023A KR20210177023A KR102612580B1 KR 102612580 B1 KR102612580 B1 KR 102612580B1 KR 1020210177023 A KR1020210177023 A KR 1020210177023A KR 20210177023 A KR20210177023 A KR 20210177023A KR 102612580 B1 KR102612580 B1 KR 102612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trigger
content
server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6068A (ko
Inventor
배연진
박승필
구영훈
김보성
권민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7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580B1/ko
Publication of KR20220136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near-video-on-deman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미디어 제공 서버가 셋탑 박스로부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셋탑 박스로 전송하여, 상기 셋탑 박스에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미디어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미디어 제공 서버,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MEDIA PROVIDING SERVER, METHOD OF SWITCHING TO OTHER CENTENT THROUGH A TRIGGER AREA AND COMPUTER PROGRAM}
본 개시의 실시예는 미디어 제공 서버,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TV 기술 및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TV를 통한 다양한 정보가 시청자에게 전달되고 있다. 예를 들면 TV를 통하여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TV 홈쇼핑은 기술 변화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최근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를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IPTV 서비스에서는, 댁내 등 지정된 공간에 설치되는 셋탑 박스 (Set-top Box)를 통해서 다양한 서비스를 IPTV 서비스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그 중 커머스 채널을 통해서 제공되는 쇼핑방송서비스(또는, 커머스 방송)도 제공될 수 있다.
쇼핑방송서비스를 제작하는 커머스 사업자의 경우, 일정한 금액을 지불하고 이에 상응하여 부여/약속되는 채널에 커머스 채널(즉, 쇼핑방송서비스)을 편성할 수 있다.
이에, IPTV 서비스 가입자가 셋탑박스에서 약속된 채널을 선택하면, 셋탑 박스가 그 채널에 정규 편성된 커머스 채널을 수신하여 TV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IPTV 서비스 가입자는 커머스 채널을 시청 및 쇼핑방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데, 사용자에 요구에 따른 다양한 쇼핑 정보의 전달 및 쇼핑 정보 확인과 주문 등의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되는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여 다른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미디어 제공 서버가 셋탑 박스로부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셋탑 박스로 전송하여, 상기 셋탑 박스에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은, 상기 셋탑 박스와 연결된 출력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은 기 설정된 트리거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한 입력은 상기 셋탑 박스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해 발생되어, 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제1 트리거 영역과 연결된 방송 컨텐츠, 커머스 컨텐츠, 광고 컨텐츠, 이벤트 컨텐츠, 구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데이터 서버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한 입력을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에서, 상기 셋탑 박스와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제1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1 트리거 메시지의 경로 정보를 기초로, 트리거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상기 제1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확인 입력이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1 트리거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셋탑 박스로 전송하여, 상기 셋탑 박스에서 상기 제1 트리거 메시지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디어 제공 방법은 미디어 제공 서버는 컨텐츠가 출력되는 셋탑 박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에서, 상기 셋탑 박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제2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는, 상기 데이터 서버를 거쳐, 상기 제2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셋탑 박스로, 상기 제2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트리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디어 제공 방법은 상기 셋탑 박스에서 상기 제2 트리거 메시지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디어 제공 서버는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셋탑 박스로부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셋탑 박스로 전송하여, 상기 셋탑 박스에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되는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여 다른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미디어 제공 서버를 통해 방송 컨텐츠를 송출하는 미디어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미디어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셋탑 박스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트리거 영역을 통해 컨텐츠로 전환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된 트리거 메시지를 통해 트리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된 전화 번호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로 트리거 메시지가 전송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시청 중인 셋탑 박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는 제공되는 트리거 영역에 대한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트리거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트리거 컨텐츠에 대한 예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학습”, “러닝” 등의 용어는 인간의 교육 활동과 같은 정신적 작용을 지칭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닌 절차에 따른 컴퓨팅(computing)을 통하여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수행함을 일컫는 용어로 해석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제공 서버를 통해 방송 컨텐츠를 송출하는, 미디어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디어 제공 시스템은 미디어 제공 서버(100)와 데이터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미디어 제공 시스템은 이 외에도 컨텐츠 송출 서버(200)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미디어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셋탑 박스(301), 제2 셋탑 박스(302), 제3 셋탑 박스(303), …, 제n 셋탑 박스(30n)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시스템은 제1 셋탑 박스(301), 제2 셋탑 박스(302), 제3 셋탑 박스(303), …, 제n 셋탑 박스(30n)를 통해 이들에 연결된 출력 장치(401, 402, 403, …, 40n, 이하 4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출력 장치(400)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TV, 스마트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제1 단말기(T1), 제2 단말기(T2), 제3 단말기(T3),…, 제n 단말기(Tn)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제1 단말기(T1), 제2 단말기(T2), 제3 단말기(T3),…, 제n 단말기(Tn)는 예컨대 후술하는 것과 같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MP 또는 PDA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이거나, PC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셋탑 박스(301), 제2 셋탑 박스(302), 제3 셋탑 박스(303),…, 제n 셋탑 박스(30n) 중 적어도 하나는 셋탑 박스(300)로 명명할 수 있다. 제1 단말기(T1), 제2 단말기(T2), 제3 단말기(T3),…, 제n 단말기(Tn) 중 적어도 하나는 단말기(T)로 명명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 컨텐츠 송출 서버(200), 셋탑 박스(300), 데이터 서버(500) 및/또는 단말기(T)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셋탑 박스(300)와 출력 장치(400)는 네트워크로 또는 전기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셋탑 박스(300)와 출력 장치(400)는 일체(一體)인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제어 장치(예로, 리모콘)를 이용해 셋탑 박스(300) 및/또는 출력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 또는 출력 장치(400)는 리모콘과 근거리 통신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댁내 등 지정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고, 셋탑 박스(300)는 커머스 채널을 통해서 쇼핑방송 서비스와 같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 및 컨텐츠 송출 서버(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 및 컨텐츠 송출 서버(20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기반하여 제어 신호 및/또는 출력 신호를 출력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수신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 장치(400)는 TV, 스마트 TV 등을 포함하며, 스마트 폰, PMP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모든 유형의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별도의 입력 장치 또는 출력 장치(40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시스템은 미디어 제공 서버(100)를 통해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미디어 제공 서버(100)에서 셋탑 박스(300)로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방송용 출력 데이터는 인코딩된 형식이거나, 인덱스 정보일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셋탑 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출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셋탑 박스(300)로 송신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각 사용자의 출력 장치(400)에는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스트리밍하면서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이때, 출력 장치(400)는 셋탑 박스(3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제어될 수 있으며, 셋탑 박스(300)의 제어에 의해 방송 컨텐츠 또는 커머스 컨텐츠 등을 출력시킬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부터의 명령어들을 통해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500)는 방송 컨텐츠, 매장 컨텐츠, 팝업 컨텐츠, 주문하기 컨텐츠, 커머스 컨텐츠 등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데이터 서버(5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상품 정보, 고객 정보, 주문 정보, 편성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300)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요청 신호의 응답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300)로 커머스 컨텐츠를 전송하고, 셋탑 박스(300)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T)에서 커머스 컨텐츠에 대한 주문 전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발생된 ARS 주문 전화는 ARS 서버(미도시)에서 처리하게 된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커머스 컨텐츠의 ARS 주문 전화에 대한 정보를 ARS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셋탑 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3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셋탑 박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300)의 정보를 읽어 들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300)의 플랫폼 코드, STP ID, 접속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300)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셋탑 박스(300)의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300)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재 생성하여 셋탑 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클라우드 솔루션을 통하여 동작 등의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 자체 대신에 이러한 내용의 캡쳐 정보를 셋탑 박스(300)를 통하여 출력 장치(400)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제1 클라우드 서버 및 제2 클라우드 서버의 변환을 제어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제1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선택 채널에 대응한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통하여 출력 장치(400) 내의 화면을 구현하고, 이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출력 장치(400)에서 구현될 화면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한 데이터를 셋탑 박스(300)로 전송하면서, 출력 장치(400)에서 재생될 방송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예컨대 URL) 역시 셋탑 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방송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예컨대 URL)를 이용해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방송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출력 장치(400)에 구현된 화면 내에서, 방송 영상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 내에 트리거 영역이 포함된 상태에서, 트리거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셋탑 박스(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트리거 영역이라 함은, 예컨대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 특정 상품에 대한 광고 방송 영상이 재생될 시, 해당 광고 방송 영상 내에 그 특정 상품에 대한 간략한 안내 메시지가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예컨대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특정 화장품에 대한 광고 방송 영상이 재생될 시, 해당 영상 내에 "빨간버튼을 누르세요” 또는 “리모콘의 빨간버튼을 클릭하여 SK스토아에서 이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와 같은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으며, 트리거 영역은 그러한 메시지가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도 7에서는 그러한 트리거 영역(TA)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또는,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영화가 재생되는 과정에서 특정 상품이 포함된 장면이 출력 장치(400)에서 재생될 시, 트리거 영역은 해당 장면 내에 그 특정 상품에 대한 간략한 안내 메시지가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예컨대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영화가 재생되는 과정에서 특정 화장품이 포함된 장면이 재생될 시, 해당 장면 내에 "빨간버튼을 누르세요” 또는 “리모콘의 빨간버튼을 클릭하여 SK스토아에서 이 테이블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와 같은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으며, 트리거 영역은 그러한 메시지가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 내에 트리거 영역이 포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의 빨간버튼을 클릭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 트리거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실행하면,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300)를 통해 그러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셋탑 박스(300)로 전송하여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셋탑 박스(300)에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와 통신하여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출력 데이터를 해석, 판독(인코딩 등)하여 TV 등의 출력 장치(4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방송 출력 데이터를 출력 장치(4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구비된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요청 신호를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셋탑 박스(300)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방송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관련 데이터를 출력 장치(400)로 전송하여, 출력 장치(400)에서 방송 영상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셋탑 박스(300)는 고유의 셋탑 ID를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들의 집들에 비치된 셋탑 박스(300)들 각각은 고유의 셋탑박스 ID를 가질 수 있다. 셋탑박스 ID는 예컨대 숫자, 알파벳과 같은 문자, 특수문자 및/또는 기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입출력 장치(예를 들어,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송출 서버(200)는 셋탑 박스(300)들로 하나 이상의 방송사, 또는 방송 채널의 방송 컨텐츠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텐츠 송출 서버(200)는 각 셋탑 박스(300)에서 요청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송출 서버(200)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방송 송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서버(500)는 방송 출력용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500)는 아파치 톰캣, 오라클 등의 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팅 장치로서, 서버 기능을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서버(500)는 전술한 것과 같이 컨텐츠의 상품정보, 제작정보 및/또는 심의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500)는 영상식별정보, 팝업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관련 정보를 미디어 제공 서버(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T)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를 말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T)은 셋탑 박스(300) 및 출력 장치(4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로 지정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T)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C, 태블릿 PC, PMP, PDA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는 제공할 커머스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를 등록(예: 입수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서버는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의 메타정보를 수신하여 컨텐츠 별로 메타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텐츠 제공 서버는 데이터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고, 다양한 정보를 서로 통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는 등록된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를 각 방송사의 플랫폼 또는 형식에 따라 변환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 송출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이를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 송출하며, 컨텐츠 송출 서버(200)가 해당 컨텐츠를 방송사의 플랫폼 또는 형식에 따라 변환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컨텐츠 제공 서버는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컨텐츠의 메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메타정보는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정보, 제작정보 및/또는 심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메타 정보를 직접 수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는,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의 데이터 또는 변환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분산 네트워크(CDN)를 통해 컨텐츠 송출 서버(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서버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각 동영상의 영상식별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영상식별정보는 예를 들면 컨텐츠 송출 서버(200)에 저장된 재생 URL 정보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프로세서(11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저장 매체(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롬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는 구성이고, CPU는 롬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저장된 운영체제를 램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 셋탑 박스(300), 데이터 서버(500) 사용자 단말(T)기(T) 등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의 근거리 통신부, 이동통신 망, 또는 유선 이더넷 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프로세서(11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 매체(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130)는 구체적으로 미디어 제공 서버(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미디어 제공 서버(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저장 매체(130)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1), 트리거 생성부(132), 트리거 처리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1)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출력 장치(400)의 디스플레이되는 채널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생성하고 컨텐츠를 셋탑 박스(30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TV 시청 중 리모콘을 통하여 채널 선택 입력을 하게 되면, 이러한 선택 입력을 인식할 수 있고, 이러한 선택 입력에 대응한 채널에 관련된 컨텐츠 영상이 출력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채널 안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하게 되면, 해당 채널 안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영상이 출력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1)는 방송 채널에 설정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때에 컨텐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 시킬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1)는 채널을 변경하기 전까지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동영상 등의 정보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1)는 셋탑 박스(300)와의 신호 연결을 통하여 방송 컨텐츠, 커머스 컨텐츠 등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통해 출력 장치(400)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인터페이스 정보, 출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커머스 컨텐츠들로 이동 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메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검색된 커머스 컨텐츠들의 리스트 화면, 커머스 컨텐츠에 대한 주문 절차 컨텐츠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1)를 통하여 셋탑 박스(3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구현 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1)는 화면 전체 영역 중 컨텐츠가 구현될 위치를 제어할 수 있고, 화면 상의 어플리케이션으로 표시되는 프레임 영역 중 어느 곳에 위치하여 구현될지를 제어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1)로부터 컨텐츠 출력 및 구현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획득하여 출력 장치(400)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영상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획득한 컨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트리거 생성부(132)는 트리거 영역이 디스플레이되는 셋탑 박스(300)로부터 (통신부(120) 및/또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트리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나 동영상 내에 트리거 영역이 포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의 빨간버튼을 클릭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 트리거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실행하면,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300)를 통해 그러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트리거 생성부(132)는 셋탑 박스(300)로부터 (통신부(120) 및/또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그러한 사용자의 입력(즉, 트리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트리거 입력에 대한 신호는 트리거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 영역은 정해진 규칙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트리거 영역의 규칙에 기초하여 트리거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트리거 영역에 대한 규칙은 표시되는 컨텐츠, 시청 시간, 사용자의 활동 이력(구매 이력, 시청 이력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정해진 규칙에 해당하는 경우에, 출력 장치(400)를 통해 트리거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셋탑 박스(300)는 트리거 영역이 출력되는 동안에, 트리거 출력 신호를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트리거 생성부(132)는 트리거 입력에 따른 트리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20) 및/또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셋탑 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로 트리거 컨텐츠의 제공과 관련된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셋탑 박스(300)에서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트리거 컨텐츠가 실행되도록 처리될 수 있다. 셋탑 박스(300)에는 제어 신호의 판독을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트리거 컨텐츠는, 예컨대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셋탑 박스(1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재생중인 광고 방송에서의 특정 제품(예컨대 화장품)과 관련된 인터넷 쇼핑 웹화면일 수 있다. 또는 트리거 컨텐츠는 특정 홈쇼핑 방송사의 화면으로서,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셋탑 박스(1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재생중인 광고 방송에서의 특정 제품(예컨대 화장품)과 관련된 화면일 수 있다. 즉,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특정 화장품에 대한 광고 방송 영상이 재생될 시, 해당 영상 내에 "빨간버튼을 누르세요” 또는 “리모콘의 빨간버튼을 클릭하여 SK스토아에서 이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와 같은 트리거 영역이 표시될 수 있으며, 그러한 상태에서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트리거 컨텐츠는 SK스토아라는 홈쇼핑 방송사의 해당 화장품에 대한 화면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또는, 트리거 컨텐츠는, 예컨대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셋탑 박스(1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재생중인 영화의 장면에 포함된 특정 제품(예컨대 화장품)과 관련된 인터넷 쇼핑 웹화면일 수 있다. 또는 트리거 컨텐츠는 특정 홈쇼핑 방송사의 화면으로서,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셋탑 박스(1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재생중인 영화의 장면에 포함된 특정 제품(예컨대 화장품)과 관련된 화면일 수 있다. 즉,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특정 화장품을 포함하는 영화의 장면이 재생될 시, 해당 영상 내에 "빨간버튼을 누르세요” 또는 “리모콘의 빨간버튼을 클릭하여 SK스토아에서 이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와 같은 트리거 영역이 표시될 수 있으며, 그러한 상태에서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트리거 컨텐츠는 SK스토아라는 홈쇼핑 방송사의 해당 화장품에 대한 화면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에서, 트리거 생성부(132)는 (통신부(120) 및/또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데이터 서버(500)로 트리거 입력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여 데이터 서버(500)에서 셋탑 박스(30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T)로 트리거 영역과 대응되는 트리거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500)는 트리거 입력에 대한 신호에 포함된 셋탑 박스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T)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T)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500)는 트리거 영역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트리거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결정한 후, 사용자 단말(T)로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T)로부터 트리거 영역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며, 이를 트리거 생성부(132)로 전송할 수 있다.
트리거 메시지라 함은, 트리거 입력과 연결되는 트리거 컨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 또는 경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트리거 메시지는 인터넷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T)에서 트리거 메시지를 받아 그 메시지에 포함된 해당 링크를 클릭하면, 트리거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T)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트리거 메시지는,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셋탑 박스(1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재생중인 광고 방송에서의 특정 제품(예컨대 화장품)과 관련된 인터넷 쇼핑 웹화면에 대한 인터넷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트리거 메시지는,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셋탑 박스(1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재생중인 광고 방송에서의 특정 제품(예컨대 화장품)과 관련된, 특정 홈쇼핑 방송사의 화면에 대한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특정 화장품에 대한 광고 방송 영상이 재생될 시, 해당 영상 내에 "빨간버튼을 누르세요” 또는 “리모콘의 빨간버튼을 클릭하여 SK스토아에서 이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와 같은 트리거 영역이 표시될 수 있으며, 그러한 상태에서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트리거 메시지는 SK스토아라는 홈쇼핑 방송사의 해당 화장품에 대한 화면에 대한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트리거 메시지는,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셋탑 박스(1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재생중인 영화의 장면에 포함된 특정 제품(예컨대 화장품)과 관련된 인터넷 쇼핑 웹화면에 대한 인터넷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트리거 메시지는,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셋탑 박스(1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재생중인 영화의 장면에 포함된 특정 제품(예컨대 화장품)과 관련된 화면에 대한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특정 화장품을 포함하는 영화의 장면이 재생될 시, 해당 영상 내에 "빨간버튼을 누르세요” 또는 “리모콘의 빨간버튼을 클릭하여 SK스토아에서 이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와 같은 트리거 영역이 표시될 수 있으며, 그러한 상태에서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트리거 메시지는 SK스토아라는 홈쇼핑 방송사의 해당 화장품에 대한 화면에 대한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트리거 생성부(132)는 셋탑 박스(300)로부터 트리거 입력이 수신된 경우에, (통신부(120) 및/또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데이터 서버(500)로 트리거 입력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여 데이터 서버(500)에서 셋탑 박스(30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T)로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트리거 메시지는 데이터 서버(500)에서 전송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트리거 생성부(132)를 포함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에서 셋탑 박스(30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T)로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에서 트리거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트리거 생성부(132)는 셋탑 박스(300)와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T)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20) 및/또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T)로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트리거 메시지는 트리거 입력으로 사용자 단말(T)로 전송되거나, 셋탑 박스(300)에서 트리거 영역의 출력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T)로 전송되거나, 셋탑 박스(300)를 통해서 출력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T)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트리거 메시지는 트리거 입력과 연결되는 트리거 컨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 경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 생성부(132)는 트리거 입력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트리거 컨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 경로 정보 등을 결정할 수 있다. 트리거 입력 마다 다른 트리거 컨텐츠와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트리거 생성부(132)는 트리거 생성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트리거 영역을 생성하여 셋탑 박스(3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트리거 생성부(132)는 셋탑 박스(300)가 트리거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트리거 생성 조건은 셋탑 박스(300)와 관련된 것으로, 셋탑 박스(30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 디스플레이 되었던 컨텐츠, 현재 시간값, 셋탑 박스(300)에서 실행된 구매 이력, 시청 이력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트리거 생성 조건은 트리거 컨텐츠 별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된 트리거 컨텐츠가 복수인 경우에는, 트리거 생성 조건들도 대응시켜 복수로 설정될 수 있다. 트리거 생성부(132)는 시간값을 기준으로 설정된 트리거 생성 조건에 대하여는 소정의 시간 간격 마다 판단할 수 있다. 트리거 생성 조건은 트리거 등록자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자는 제1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 A 트리거 영역을 제공하며, A 트리거 영역에 대해서는 A 트리거 컨텐츠로 이동하도록 등록할 수 있다. 등록자는 제1 시점에 B 트리거 영역을 제공하며, B 트리거 영역에 대해서는 B 트리거 컨텐츠가 실행되도록 등록할 수 있다. 등록자는 이전에 제1 상품을 구매한 이력이 있는 셋탑 박스(300)에 대해서, C 트리거 영역을 제공하며, C 트리거 영역에 대해서는 C 트리거 컨텐츠가 실행되도록 등록할 수 있다. 트리거 생성 조건은, 등록된 이후에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트리거 생성 조건은 제공된 트리거 영역에 대한 입력(반응도)에 따라서 트리거 영역의 제공 이후에, 변경될 수 있다. 등록자에 의해 D 트리거 생성 조건으로 등록된 D 트리거 컨텐츠에 대해서, D 트리거 컨텐츠에 대한 유입 데이터를 기초로 D 트리거 생성 조건은 변경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T)은 셋탑 박스(300)와 관련되어 저장된 식별 번호를 통해서 결정되며, 하나의 셋탑 박스(300)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T)이 관련되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T)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획득되며, 기 저장된 사용자 단말(T)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셋탑 박스(300)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T)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트리거 처리부(133)는 트리거 영역과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하, 트리거 입력)이 수신되면, 셋탑 박스(300)와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트리거 입력에 대응하는 트리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될 수 있다.
트리거 입력은 셋탑 박스(300) 또는 셋탑 박스(300)와 연결된 입력 장치를 통해서 획득될 수 있다. 트리거 입력에 대응하는 트리거 컨텐츠는 셋탑 박스(300)에 의해서 실행되며 셋탑 박스(300)와 연결된 출력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트리거 입력이 획득되면, 트리거 입력을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 전송하고, 미디어 제공 서버로부터 트리거 컨텐츠의 출력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트리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제어 신호에는 트리거 컨텐츠에 대한 경로 정보, 링크 정보 등이 포함되며, 셋탑 박스(300)는 트리거 컨텐츠에 대한 경로 정보, 링크 정보 등을 기초로 컨텐츠 송출 서버(200)에서 트리거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트리거 메시지에 대응하는 트리거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T)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T)에서, 트리거 메시지에 대해서 입력한 경우, 트리거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T)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T)는 외부의 서버로 접속하여 트리거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도 3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셋탑 박스(3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트리거 영역을 통해 컨텐츠로 전환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셋탑 박스(300)에서 트리거 영역이 출력될 수 있다(S110).
셋탑 박스(300)가 트리거 입력을 획득되면, 셋탑 박스(300)는 트리거 입력을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트리거 입력은 셋탑 박스(300) 또는 셋탑 박스(300)와 연결된 입력 장치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트리거 입력이 수신되면(S115), 트리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셋탑 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S120).
셋탑 박스(300)는 제어 신호를 판독하여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셋탑 박스(300)와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트리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트리거 컨텐츠의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 접속하고(S130),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트리거 컨텐츠를 수신 받아 출력 장치(400)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S135).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T)에서 디스플레이된 트리거 메시지를 통해 트리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S210에서는 셋탑 박스(300)에서, 트리거 영역이 출력되는 동안에, 트리거 영역에 대한 제1 트리거 입력이 획득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획득된 제1 트리거 입력을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S215).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제1 트리거 입력에 대한 신호를 데이터 서버(500)로 전송하여(S220), 제1 트리거 입력에 대응하는 제1 트리거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T)로 전송되도록 처리 할 수 있다.
S225에서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제1 트리거 입력에 대응하여, 셋탑 박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고, 제1 트리거 입력의 제1 트리거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구현된 트리거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T)에 대한 정보가 기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T)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 제공 서버(100)를 거쳐 요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트리거 메시지의 생성을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
데이터 서버(500)는 제1 트리거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T)로 전송할 수 있다(S230).
사용자 단말(T)은 제1 트리거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확인 입력이 발생되면, 사용자 단말(T)은 외부의 서버(미도시)로 접속하여, 제1 트리거 컨텐츠를 요청하고, 제1 트리거 컨텐츠를 수신 받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235, S240). 사용자 단말(T)는 제1 트리거 메시지에 포함된 제1 트리거 컨텐츠에 대한 접속 정보, 경로 정보,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서버로부터 제1 트리거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된 전화 번호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로 트리거 메시지가 전송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S310에서는 셋탑 박스(300)에서, 트리거 영역이 출력되는 동안에, 트리거 영역에 대한 제2 트리거 입력이 획득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획득된 제2 트리거 입력에 대응하는, 단말 식별 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여, 사용자 단말(T)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320). 여기서, 단말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T)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전화 번호, IP 주소 등 일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입력된 단말 식별 정보를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S325).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단말 식별 정보 및 제2 트리거 입력을 데이터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330).
데이터 서버(500)는 단말 식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T)를 결정하고, 제2 트리거 입력을 기초로, 제2 트리거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S335, S340).
사용자 단말(T)은 제2 트리거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확인 입력이 발생되면, 사용자 단말(T)은 외부의 서버(미도시)로 접속하여, 제2 트리거 컨텐츠를 요청하고, 제2 트리거 컨텐츠를 수신 받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345, S350). 사용자 단말(T)는 제1 트리거 메시지에 포함된 제2 트리거 컨텐츠에 대한 접속 정보, 경로 정보,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제2 트리거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시청 중인 셋탑 박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셋탑 박스(300)에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 시청 여부에 대한 시청 신호를 미디어 제공 서버(100)가 획득할 수 있다(S410, S415).
미디어 제공 서버(100)가 컨텐츠 시청 중인 셋탑 박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420).
데이터 서버(500)는 시청 셋탑 박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T)에 대한 제3 트리거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S425).
데이터 서버(500)는 제3 트리거 메시지를 시청 셋탑 박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T)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T)로부터 트리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트리거 입력은 제3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입력으로 획득될 수 있다(S435).
데이터 서버(500)는 제3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트리거 입력이 수신되면, 트리거 입력에 대응하는 셋탑 박스의 ID를 검색하고(S440), 셋탑 박스의 ID를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S445).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 ID를 기초로 셋탑 박스로 전송할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셋탑 박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450, S455).
셋탑 박스(300)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S460).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셋탑 박스(300)는 제어 신호에서 획득한 제3 트리거 컨텐츠의 경로 정보 등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200)에 접속하고(S465),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제3 트리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S470). 셋탑 박스(300)는 제3 트리거 컨텐츠를 셋탑 박스(300)의 출력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는 제공되는 트리거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S1)에 대한 예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 영역(TA)은 컨텐츠의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일부 영역에 트리거 영역(TA)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트리거 입력이 있을 경우,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와 관련된 커머스 컨텐츠(예컨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홈쇼핑 채널의 컨텐츠)가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트리거 영역(T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되는 컨텐츠(광고, 프로그램 등)와 오버랩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트리거 영역(TA)에는 색상값이 변환되는 처리, 예를 들어, 디밍(dimming) 처리 등이 실행될 수 있다.
도 8은 트리거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트리거 컨텐츠에 대한 예시 도면이다.
트리거 영역에 대한 입력이 획득되면, 트리거 컨텐츠(TC)가 출력되는데, 트리거 컨텐츠(TC)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SK스토아와 같은 홈쇼핑 방송사의 특정 상품(예컨대 화장품)을 포함하는 화면일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트리거 컨텐츠(TC)는 표시되는 컨텐츠(예컨대 특정 상품)와 관련되거나,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해서 등록된 이벤트 영역, 이벤트 응모 영역, 홈쇼핑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트리거 컨텐츠(TC)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즉, 트리거 컨텐츠(TC)는 특정 제품(예컨대 화장품)과 관련된 인터넷 쇼핑 웹화면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미디어 제공 서버
110: 프로세서 120: 통신부
130: 저장 매체 131: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132: 트리거 생성부 133: 트리거 처리부
200: 컨텐츠 송출 서버
300, 301, 302, 303, 30n: 셋탑 박스
400, 401, 402, 403, …, 40n:출력 장치
500: 데이터 서버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미디어 제공 서버가 셋탑 박스에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 상기 컨텐츠에 대한 시청 신호를 상기 셋탑 박스로부터 획득하고, 컨텐츠 시청 중인 셋탑 박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에서, 상기 셋탑 박스에 대응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로 지정되고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전자 장치인 사용자 단말로, 제2 트리거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서 바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2 트리거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 서버를 거쳐, 상기 제2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입력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한 경우, 상기 셋탑 박스로, 상기 제2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트리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셋탑 박스와 연결된 출력 장치에서 상기 트리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미디어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에서 상기 제2 트리거 메시지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미디어 제공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프로세서 및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셋탑 박스에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 상기 컨텐츠에 대한 시청 신호를 상기 셋탑 박스로부터 획득하고, 컨텐츠 시청 중인 셋탑 박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에서, 상기 셋탑 박스에 대응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로 지정되고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전자 장치인 사용자 단말로, 제2 트리거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서 바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2 트리거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서버를 거쳐, 상기 제2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입력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한 경우, 상기 셋탑 박스로, 상기 제2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트리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셋탑 박스와 연결된 출력 장치에서 상기 트리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18.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8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77023A 2021-03-31 2021-12-10 미디어 제공 서버,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12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023A KR102612580B1 (ko) 2021-03-31 2021-12-10 미디어 제공 서버,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235 2021-03-31
KR1020210177023A KR102612580B1 (ko) 2021-03-31 2021-12-10 미디어 제공 서버,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235 Division 2021-03-31 2021-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068A KR20220136068A (ko) 2022-10-07
KR102612580B1 true KR102612580B1 (ko) 2023-12-11

Family

ID=83595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023A KR102612580B1 (ko) 2021-03-31 2021-12-10 미디어 제공 서버,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5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646B1 (ko) * 2023-07-31 2023-10-24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제어 신호 학습형 단축 서비스 접근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187B1 (ko) * 2009-02-18 2011-07-28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사용자 맞춤형 iptv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광고 제공 방법
KR20130004671A (ko) * 2011-07-04 2013-01-14 주식회사 케이티 Iptv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85172B1 (ko) * 2018-11-26 2021-08-02 주식회사 케이티알파 Tv 광고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매칭되는 tv 앱을 호출하는 티커머스 경험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068A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79428A1 (en) Smart television and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of television screen shot
JP6543394B2 (ja) ユーザ機器デバイスをコンテンツ消費材料で自動構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961172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formation acquisition
KR20220127887A (ko) 생방송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US10349234B1 (en) Bi-directional integration and control of managed and unmanaged devices
JP7019669B2 (ja) 静的ナレッジグラフおよび時間的ナレッジグラフに基づいて用語の曖昧性を除去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3907357A (zh) 用于呈现视频流的系统和方法
KR101921621B1 (ko) 클라우드 기반의 실시간 비디오 가상화를 이용한 커머스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가상화 서버
US11962837B2 (en) Video update push method and terminal
KR102276814B1 (ko) 인터넷 방송 및 온라인 쇼핑의 연계시스템 및 그 연계 방법
CN110856005A (zh) 直播流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114298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information
KR20130116618A (ko) 스마트커넥팅을 이용한 상품광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전자상거래방법
KR102612580B1 (ko) 미디어 제공 서버,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4051160B (zh) 视频展示方法及装置
CN113556568B (zh) 一种云应用程序运行方法、系统、装置与存储介质
JP2017527872A (ja) クラウドストリーミングサービス提供方法、そのための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そのためのクラウドストリーミング用スクリプトコード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160165315A1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displaying channel list performed by the same, server, and control method performed by the server
EP3113030B1 (en) Method for providing image data based on cloud stream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US20170134780A1 (en) Movie data display method and device
KR102326580B1 (ko) 미디어 제공 서버, 셋탑 박스에서 시청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97838B1 (ko)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을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N113825007B (zh) 视频播放方法、装置及显示设备
CN103702221A (zh) 在线视频的内容发布呈现系统及发布呈现方法
KR102399543B1 (ko) 방송 인터페이스와 함께 팝업 화면을 제공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