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661A - 테이핑 헤드 - Google Patents

테이핑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661A
KR20190021661A KR1020170106673A KR20170106673A KR20190021661A KR 20190021661 A KR20190021661 A KR 20190021661A KR 1020170106673 A KR1020170106673 A KR 1020170106673A KR 20170106673 A KR20170106673 A KR 20170106673A KR 20190021661 A KR20190021661 A KR 20190021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adhesive
roller
cutt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양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팩메카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팩메카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팩메카닉스
Priority to KR1020170106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1661A/ko
Publication of KR20190021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6Applying adhesive tape
    • B65B51/067Applying adhesive tape to the closure flaps of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복적인 사용 과정에서 테이프의 말단에 대한 처리가 용이한 테이핑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부(1200),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고 테이프롤을 거치하는 장착부(1110), 테이프를 접착 대상물에 접착시키는 접착롤러와 접착암을 구비하는 접착부(1500), 접착롤러의 전방에 인접 배치되어 테이프를 인출하고 테이프의 자유단을 접착롤러로부터 전방으로 이격시키도록 하는 가이드판부를 구비하는 인출부(1700) 및 접착롤러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밀착롤러와 밀착암을 구비하는 밀착부(1600)를 포함하는 테이핑 헤드를 제공한다. 따라서, 테이프 말단에 대한 유지보수성이 개선된다.

Description

테이핑 헤드{TAPING HEAD}
본 발명은 박스의 테이핑 장치와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복적인 사용 과정에서 테이프의 말단에 대한 처리가 용이한 테이핑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된 물품 상자를 밀봉하고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개봉측을 테이핑한다.
최근에는 공산품들의 출하량이 증가하고 이러한 작업의 효율성을 위하여 소정의 자동화 공정을 거치게 되며 물품이 박스에 개봉된 상태로 수납되면, 제함기를 통하여 제함이 이루어지고 제함된 박스에 대해 테이핑 장치가 자동적으로 테이프를 박스의 개방측에 접착하여 밀봉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상 테이핑이라고 한다.
이러한 테이핑 장치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테이프롤을 거치하여 필요한 만큼을 접착력에 의하여 인출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롤러를 통하여 접착하고 커터를 통하여 절단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근래에는 이러한 테이핑 장치들의 개선에 대한 시도들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09000호는 종래기술의 박스 포장용 테이핑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테이핑 장치(1)는 상측으로 테이프 롤(2)을 결합하는 지지대(3)가 세워진 한 쌍의 플레이트(4) 내측 전후방에 링크(5)로 연결 구성되도록 하측으로 접착롤러(6)(7)가 결합된 롤러 설치판(8)(9)을 축 설치하여 내향 회동되고 스프링(10)의 장력에 의해 복원되게 하며, 박스(A) 내입측의 접착롤러(6)가 결합되는 롤러 설치판(8)에는 수 개의 가이드롤러(11)를 축 설치하여 플레이트(4)에 축 결합된 가이드롤러(12)의 안내로 공급되는 테이프 롤(2)에서 풀려지는 테이프(2a)를 접착롤러(6) 전방으로 안내 공급하며, 전후방에 배치되는 접착롤러(6)(7) 사이에는 박스(A) 내입시에만 상향 회동하도록 축 설치되고, 후단부와 플레이트(4) 상간에 복원스프링(13)이 장진된 회전체(14)에 절단날(15)을 고정하여 테이프(2a)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한 절단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테이핑 장치(1)를 이용하여 박스(A)의 개봉측을 테이핑 하면 박스(A)의 양 측면에 테이프의 단부가 접착 고정된다.
이러한 종래의 테이핑 장치들은 텐션을 제공하기 위한 링크 구조와 장력의 보장을 위한 롤러 등의 개선에 그치고 있고, 테이프의 말단의 처리에 관한 문제는 전무한 실정이다.
실제 테이핑 장치들은 테이프를 소정의 축에 거치하여 복수의 롤러들을 통하여 장력을 제공하고 접착롤러의 말단측으로 인출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가동의 중단이나 휴지상태에서는 말단이 노출된 채로 방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상시적으로 가동되는 경우에도 문제가 발생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동의 휴지기 과정에서 말단은 소정 길이로 인출된 상태에서 자유단으로서 유동하여 다른 위치에 있는 경우가 있고 장비의 부위에 접착되거나 접히는 현상도 자주 발생하여 사람이 일일이 이를 확인하고 다시 접착 가능한 상태로 놓아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 때문에 제함 및 테이핑 공정의 시간과 노력의 투입이 필요하고 이는 공정의 비경제성의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박스 포장 공정에 있어서 테이프의 말단을 접착 가능한 상태로 상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테이핑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는 테이핑 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부(1200),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고 테이프롤을 거치하는 장착부(1110), 테이프를 접착 대상물에 접착시키는 접착롤러와 접착암을 구비하는 접착부(1500), 접착롤러의 전방에 인접 배치되어 테이프를 인출하고 테이프의 자유단을 접착롤러로부터 전방으로 이격시키도록 하는 가이드판부를 구비하는 인출부(1700) 및 접착롤러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밀착롤러와 밀착암을 구비하는 밀착부(1600)를 포함하는 테이핑 헤드를 제공한다. 따라서, 테이프 말단에 대한 유지보수성이 개선된다.
상기 가이드판부는 접착암에 대해 상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가이드탄성부에 의하여 전방측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출부는 상기 가이드판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테이프의 좌우 유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양측에 배치되는 저면이 테이프의 접착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가이드판부는 접착면의 일부가 가이드부재의 단부측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접착롤러 및 밀착롤러의 사이에 배치되어 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터와, 커터를 상방 회동시키도록 하는 커팅암부와, 커팅암부에 대해 상하 회동되어 커터를 노출시킬 수 있는 커버부와, 접착 대상물과의 접촉에 따라 커버부를 회동시키는 커팅가이드를 구비하는 커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팅부는 접착 대상물의 인입에 따라 커팅암부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안착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팅가이드는 접착 대상물과의 비접촉시 안착면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부는 테이프롤이 풀리는 회전저항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로부터의 테이프의 경로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며, 장착부에 가장 인접된 제1롤러는 테이프의 접착면에 의한 접착을 방지하도록 금속재질의 돌기들과 테이프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정확한 테이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구조적인 안정성을 가지면서도 테이프의 인출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고, 테이프의 말단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유동과 접착을 방지하면서 상시적으로 테이핑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테이핑 공정의 추가적인 관리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정의 휴지 상태에서도 테이프의 접착력이 가이드부재의 말단 저면에 가해지고 있어 이러한 상태는 가이드판부에 의하여 상시적으로 유지되어 자유단의 바람직하지 않은 변형이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다시 테이핑 공정의 진행시 추가적인 조작이 생략될 수 있다고 이는 공정의 경제성과 신속성으로 이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박스 포장용 테이핑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 헤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테이핑 헤드를 하부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 헤드의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테이핑 헤드에서 테이프의 인출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인출 부위에 대한 회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 헤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프레임부와, 테이프롤을 거치하는 장착부와, 테이프를 접착 대상물에 접착시키는 접착롤러와, 접착롤러에 인접 배치되어 테이프가 인출되되 테이프의 자유단을 접착롤러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하는 인출부와, 접착롤러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밀착롤러와, 접착롤러 및 밀착롤러의 사이에 배치되어 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테이핑 헤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기본적으로 박스를 포장하는 테이핑 헤드를 실시예로 설명하나, 박스는 물론 롤이나 물품 자체 등 다양한 대상물을을 포장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에서는 접착 대상물로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테이핑 헤드는 그 자체로서 테이핑을 수행하는 장치를 구성할 수 있고, 자동화공정의 장치나 다른 기구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 헤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체적인 구조를 지지하는 프레임부(1200)에 장착부(1110), 접착부(1500), 밀착부(1600) 및 인출부(도 3의 1700)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프레임부(1200)는 양측에 배치되는 판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프레임부(1200)에 대해 접착부(1500)와 밀착부(1600)가 배치되는 방향을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장착부(1110)는 테이프롤(100)을 회전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암부(1120)에 의하여 프레임부(1200)에 고정 지지된다. 테이프롤(100)은 회전되면서 테이프(110)를 접착부(1500) 측으로 인출되도록 하는데, 상기 장착부(1110)는 복수의 롤러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장력의 형성을 위하여 어느 정도 회전 저항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러한 회전 저항의 정도는 롤러들과의 마찰력이나 접착력 등에 의하여 조정될 필요성이 있는바 장착부(1110)는 외주측에 테이프롤(100)이 거치되어 지지되되 회전저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부재(참조번호 미표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부재는 일실시예로서 회전축에 동축으로 배치되는 코일스프링과 코일스프링의 압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너트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200)의 하측에는 테이프(110)의 접착을 위한 접착부(1500)와 밀착부(1600)가 전후측에 배치된다. 상기 접착부(1500)와 밀착부(1600)는 암에 의하여 지지되는 마찰롤러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접착 대상물인 박스가 전방으로부터 인입되면서 접착부(1500)와 밀착부(1600)는 그 형상에 맞추어 프레임부(1200)에 인접되도록 움직인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접착부(1500)와 밀착부(1600)의 암들은 상호 연결되어 연동 작동되도록 소정의 링크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따라서, 접착부(1500)는 인출된 테이프(110)를 최초 접착 대상물에 압력을 주어 접착시키는 접착롤러(1510)와 접착롤러(1510)를 회전지지하되 프레임부(1200) 내부의 링크구조와 연결되어 상하방으로 회동 작동되는 접착암(1520)으로 구성된다. 또한, 밀착부(1600)는 1차적으로 접착된 테이프(110)를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서 접착을 시키도록 밀착롤러(1610)를 구비하며, 상기 밀착롤러(1610)를 회전지지하되 프레임부(1200) 내부의 링크구조와 연결되어 상하방으로 회동 작동되는 밀착암(16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 대상물의 인입에 따라 접착부(1500)의 회동 방향은 도 2의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이며, 밀착부(1600)의 회동 방향은 반시계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접착부(1500)와 밀착부(1600)는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접착부(1500)와 밀착부(1600)의 사이에서는 커팅부(1400)가 배치되며, 박스와 같은 접착 대상물에 대한 접촉상태의 해제에 따라 커터가 테이프(110)를 절단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팅부(1400)는 접착부(1500) 및 밀착부(1600)와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팅부(1400)에는 소정의 절단날인 커터가 배치되어 있는데, 바람직하지 않게 노출되어 접착대상물이나 테이프(110)에 손상을 가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신체의 상해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커팅부(1400)에는 접착 대상물과의 접촉상태의 해제를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커터를 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부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200)에는 복수의 롤러들이 배치되어 테이프의 인출을 안내하면서 접착부(1500) 측으로 적절한 장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시된 상태에서는 제1롤러(1310) 및 제2롤러(1320)가 노출되어 있는데 복수의 롤러들이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접착부(1500)와 밀착부(1600)는 소정의 링크 구조를 가지고 상호 인접되는, 즉 프레임부(12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동되어 회동될 수 있는바, 프레임부(1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도 3의 12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제공부(1230)의 복원력의 조절을 위하여 복수의 조절홈들을 포함하는 조절부(1201)가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장착부(1110)에 장착된 테이프롤(100)로부터 복수의 롤러들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테이프(110)는 접착부(1500) 측에서 전방에 접착면을 지향하여 말단이 배치되어 있고, 전방으로부터 접착 대상물이 인접됨에 따라 접착면의 접착이 개시되고 접착롤러(1510)와 밀착롤러(1610)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접착 대상물에 밀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 정전기력에 의하여 테이프(110)의 말단인 자유단이 정전기력에 의하여 접착롤러(1510) 측에 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최초 접착관계를 형성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전체적인 작동 불능을 의미하고 조작자는 접착대상물을 이동시켜 테이프(110)를 직접 접착 가능한 상태로 배치시킨 이후에 공정을 재진행하여야 하는 불경제로 이어진다. 또한, 작동의 휴지 단계에서 접착면이 테이프(110)의 다른 부위나 다른 구조에 접착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은 상기와 같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테이프(110)의 자유단이 접착롤러(1510)로부터 이격되어 접착 대상물을 상시적으로 지향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테이핑 헤드를 하부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방측에서 바라볼 때 인출부(1700)가 접착부(15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고, 테이프(110)의 말단인 자유단에서 접착면을 전방으로 노출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인출부(1700)에는 자유단의 폭방향으로의 유동을 제한하여 위치를 접착롤러(1510)에 대응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부재의 내측에서 자유단을 전방 및 상측으로 유지시켜 접착롤러(1510)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하는 가이드판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상태와 같은 자유단의 형태가 작동 및 휴지상태에서도 상시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5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상기와 같이 접착부(1500)는 접착롤러(1510)와 접착암(1520)으로 구성되고, 밀착부(1600)는 밀착롤러(1610)와 밀착암(16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암들은 선택에 따른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프레임부(120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링크 구조를 가지게 된다.
프레임부(1200)는 양측의 판부재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링크프레임(1240)이 배치되며, 상기 링크프레임(1240)은 접착암(1520)과 밀착암(1620)에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착부(1500) 및 밀착부(1600)가 접착 대상물의 테이핑을 위한 인입에 따라 상호 인접 및 프레임부(1200)의 내측을 지향한 이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접착암(1520)의 회전축과 밀착암(1620)의 회전축은 각각 프레임부(1200)에 형성되고, 그 말단이 각각 링크프레임(124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링크프레임(1240)과 접착암(1520) 및 밀착암(1620)의 회동 연결부위와 각각의 회전축은 상호 일치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 연결부위에 대해 회전축들이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링크프레임(1240)측에 탄성제공부(1230)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프레임부(1200)에 연결되어 접착암(1520)과 밀착암(1620)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시상태에서는 밀착부(1600) 측에 일단이 배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제공부(1230)의 타단은 조절부(1201)에 삽입되는 핀(참조번호 미표시)에 연결되고 상기 핀의 이동에 따라 복원력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팅부(1400)는 밀착부(1600)와 접착부(1500)의 사이에 배치되되 독립적으로 회동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러한 커팅부(1400)는 커팅암부(1420)에 커터(1401)가 결합되어 있고, 회전축은 프레임부(1200)의 전방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으로부터 접착 대상물의 인입을 감지하여 프레임부(1200)측에 삽입되어 테이프(110)의 접착에 장애를 주지 않도록 하고 접착 대상물과의 접촉 해제에 따라 인출되어 커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커팅암부(1420)의 인출방향으로의 복원력을 위하여 커팅탄성부(1430)가 프레임부(120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팅부(1400)는 절단을 수행하는 커터(1401)와, 상기 커터(1401)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커버부(1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 이러한 커버부(1410)는 커팅가이드(도 5의 1411)를 구비하여 접착 대상물과의 접촉을 감지하여 선택적 노출을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한다.
장착부(1110)로부터 인출부(1700)로 이어지는 테이프(110)의 경로 상에는 복수의 롤러들이 배치되어 적절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인출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장착부(1110)로부터 테이프(110)의 경로를 기준으로 근접된 순으로 제1롤러(1310), 제2롤러(1320), 제3롤러(1330) 및 제4롤러(1340)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변형 가능하다.
장착부(1110)에서 인출된 이후 테이프(110)의 접착면은 전방을 지향하고, 이에 따라 인출부(1700)측에서도 전방을 지향하여 접착면이 형성되어 있다. 제1롤러(1310)의 일부에서는 접착면을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안내를 수행하고, 제2롤러(1320)에서는 비접착면이 접촉되며, 제3롤러(1330)에서는 접착면이, 제4롤러(1340)에서는 비접착면이 접촉되는 방식으로 안내가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들에는 테이프(110)와의 접착물질에 의한 접착 및 정전기력에 의한 부착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비접착성을 가지거나 정전률이 낮은 물질로 구성되거나 이를 포함하는 코팅물질이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최초 접착면이 안내되는 제1롤러(1310)의 경우 내구성과 접착물질의 바람직하지 않은 점착 방지를 고려하여 엠보싱을 가지는 금속의 재질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롤러(1310)는 제2 내지 제4롤러에 비하여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제1롤러(1310)는 장력의 조절을 위하여 회전저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소정의 조절기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된 장착부(1110)의 조절부재의 예와 같이 회전축에 동축으로 배치되는 코일스프링과 코일스프링의 압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 헤드의 후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테이핑 헤드에서 테이프의 인출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인출부(1700)는 장착부(1110)에 인접된 전방측에 배치되며, 장착부(1110) 및 밀착부(1600)와 독립적으로 회동 구조를 가지게 됨은 상기한 바와 같다. 도 4에 나타나듯이 프레임부(1200)의 상단측에 커팅탄성부(1430)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커팅암부(1420)의 말단측에 고정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균형 있는 탄성복원력의 제공을 위하여 상기 커팅탄성부(1430)는 두 개의 코일스프링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1700)는 접착암(1520)에 결합되거나 그 일부의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인출되는 테이프(110)의 좌우측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17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710)는 전방을 기준으로 접착롤러(1510)의 회전 개시시점 측에서 양측 상면을 덮는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착면이 그 저면을 바라보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1710)의 하측으로는 가이드판부(1720)가 배치되어 테이프(110)의 자유단이 전방을 바라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접착 대상물에 의하여 힘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접착롤러(1510)와 테이프(110)의 자유단(111)의 이격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판부(1720)는 전후방 또는 상하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단부측에서 가이드부재(1710)의 저면과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가이드판부(1720)의 단부는 상시적으로 테이프(110) 말단의 접착면의 일부가 가이드부재(1710)의 단부 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판부(1720)는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통하여 가이드부재(1710)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받게 되며, 회동을 위한 구조는 접착롤러(1510)로부터 먼 측에 형성된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커팅부(1400)는 접착부(1500)와 독립적으로 상하방으로 회동되되 박스와 같은 접착 대상물을 인식하여 커터(1401)를 선택적으로 노출할 수 있도록 커버부(1410)를 구비하고 있음은 상기와 같다.
이러한 센싱의 구조를 위하여 상기 커팅부(1400)는 접착 대상물의 상면의 인입상태를 감지하여 점차적으로 커팅암부(1420)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도록 하는 안착면부(1412)와, 커버부(1410)와 일체로서 회동되며 접착 대상물과의 접촉에 따라 커버부(1410)를 후방 및 상방으로 회동시켜 커터(1401)를 노출하도록 하는 커팅가이드(1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팅가이드(1411)는 안착면부(1412) 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되어 배치되며, 절단작업의 수행시에는 단부가 안착면부(1412)에 대응되는 위치로 배치될 것이다. 이러한 커팅가이드(1411)는 그 사이에서 테이프(1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양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커버부(1410)와 커팅암부(1420)는 독립적으로 회동되며, 커버부(1410)의 하방으로의 탄성복원력 제공을 위하여 커팅암부(1420)에 형성되는 커버부(1410)의 회전축에는 복원스프링(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인출 부위에 대한 회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사항에서는 인출부(1700)의 후방을 바라보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접착암(1520)에는 가이드회동부(1721)가 배치되어 가이드판부(1720)의 상하 및/또는 전후방향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판부(1720)의 가이드부재(1710)와의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판부(1720)의 후방측에 가이드탄성부(17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판부(1720)는 접착암(1520)과 독립적으로 회동되며 테이프(110)의 자유단을 상시적으로 접착롤러(1510)로부터 전방으로 이격시키도록 한다. 정확하게는 테이프(110)의 말단측의 일부분에 전방측으로 힘을 가하게 되며, 테이프(110)가 가지고 있는 단면력에 의하여 자유단(111)은 어느 정도 전방 및 하방으로 선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휴지 상태에서도 테이프의 접착력이 가이드부재(1710)의 말단 저면에 가해지고 있어 이러한 상태는 상시적으로 유지되어 자유단(111)의 바람직하지 않은 변형이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다시 테이핑 공정의 진행시 추가적인 조작이 생략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테이핑 헤드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정확한 테이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구조적인 안정성을 가지면서도 테이프의 인출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고, 테이프의 말단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유동과 접착을 방지하면서 상시적으로 테이핑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테이핑 공정의 추가적인 관리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110...장착부 1120...암부
1200...프레임부 1201...조절부
1240...링크프레임 1310...제1롤러
1320...제2롤러 1330...제3롤러
1340...제4롤러 1400...커팅부
1401...커터 1410...커버부
1411...커팅가이드 1420...커팅암
1430...커팅탄성부 1500...접착부
1510...접착롤러 1520...접착암
1600...밀착부 1610...밀착롤러
1620...밀착암 1700...인출부
1710...가이드부재 1720...가이드판부
1721...가이드회동부

Claims (8)

  1. 프레임부(1200);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고 테이프롤을 거치하는 장착부(1110);
    테이프를 접착 대상물에 접착시키는 접착롤러와 접착암을 구비하는 접착부(1500);
    접착롤러의 전방에 인접 배치되어 테이프를 인출하고 테이프의 자유단을 접착롤러로부터 전방으로 이격시키도록 하는 가이드판부를 구비하는 인출부(1700); 및
    접착롤러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밀착롤러와 밀착암을 구비하는 밀착부(1600);를 포함하는 테이핑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부는,
    접착암에 대해 상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가이드탄성부에 의하여 전방측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받는 테이핑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가이드판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테이프의 좌우 유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테이핑 헤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양측에 배치되는 저면이 테이프의 접착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가이드판부는 접착면의 일부가 가이드부재의 단부측에 밀착되도록 하는 테이핑 헤드.
  5. 제1항에 있어서,
    접착롤러 및 밀착롤러의 사이에 배치되어 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터와, 커터를 상방 회동시키도록 하는 커팅암부와, 커팅암부에 대해 상하 회동되어 커터를 노출시킬 수 있는 커버부와, 접착 대상물과의 접촉에 따라 커버부를 회동시키는 커팅가이드를 구비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테이핑 헤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접착 대상물의 인입에 따라 커팅암부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안착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팅가이드는,
    접착 대상물과의 비접촉시 안착면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테이핑 헤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테이프롤이 풀리는 회전저항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재를 구비하는 테이핑 헤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로부터의 테이프의 경로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며,
    장착부에 가장 인접된 제1롤러는 테이프의 접착면에 의한 접착을 방지하도록 금속재질의 돌기들과 테이프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기구를 구비하는 테이핑 헤드.



KR1020170106673A 2017-08-23 2017-08-23 테이핑 헤드 KR20190021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673A KR20190021661A (ko) 2017-08-23 2017-08-23 테이핑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673A KR20190021661A (ko) 2017-08-23 2017-08-23 테이핑 헤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411A Division KR102144227B1 (ko) 2019-07-12 2019-07-12 테이핑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661A true KR20190021661A (ko) 2019-03-06

Family

ID=6576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673A KR20190021661A (ko) 2017-08-23 2017-08-23 테이핑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16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120A (ko) *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원테크코리아 봉지포장제품 번들포장에 사용되는 띠지테이프 부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120A (ko) *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원테크코리아 봉지포장제품 번들포장에 사용되는 띠지테이프 부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6646A (ko) 테이핑 헤드
CN101969018B (zh) 保护胶带的剥离装置
JP5353096B2 (ja) 包装紙接続装置、包装紙接続方法、及び、包装装置
US6537406B1 (en) Vacuum-assisted tape applicator
JP3821445B2 (ja) 封緘装置
CN105691748A (zh) 带施加器张力
US7937905B2 (en) Tape guide plate and finger plate with integral rollers
US2344340A (en) Apparatus for applying tape upon articles
KR20190021661A (ko) 테이핑 헤드
JP7125795B2 (ja) 貼付装置、および貼付装置を備えた包装装置
CN210312825U (zh) 贴胶工具
US3522131A (en) Device for printing numerical figures and other characters on labels and for pasting these labels consecutively onto articles and merchandise
KR101868272B1 (ko) 테이프 커팅 장치
US12005651B2 (en) Tape applicator with split wiper
US20170369265A1 (en) Splicing Method and Unit for Splicing Two Packaging Films for a Horizontal Packaging Machine
KR101615722B1 (ko) 포장용 박스 테이핑 장치
JP4064389B2 (ja) 封函装置
US2515130A (en) Adhesive tape dispenser and applier
JP5983712B2 (ja) 包装紙接続装置、包装紙接続方法、及び、包装装置
JP3186813U (ja) 封着機
JP2011157109A (ja) 封緘装置
KR20110091242A (ko) 테이프 접착장치
JP3973148B2 (ja) テープ折り曲げガイドとテープディスペンサ
JP2007055270A (ja) 封緘装置の粘着シート交換用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封緘装置の粘着シート交換方法
JPH1179137A (ja) 粘着テープ貼付機におけるテープ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