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288A - 사용자의 제스쳐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제스쳐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288A
KR20190021288A KR1020190019915A KR20190019915A KR20190021288A KR 20190021288 A KR20190021288 A KR 20190021288A KR 1020190019915 A KR1020190019915 A KR 1020190019915A KR 20190019915 A KR20190019915 A KR 20190019915A KR 20190021288 A KR20190021288 A KR 20190021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sture
mode
illumination
brightnes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우
노보람
정연우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01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1288A/ko
Publication of KR20190021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2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조명모듈을 포함하는 조명부; 상기 조명모듈의 주변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제스쳐(gesture)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제스쳐를 바탕으로 사전에 정의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스쳐는, 상기 센서모듈의 감지 영역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의 가장 가까운 거리이며, 상기 센서 모듈이 기동 시작 시에 인식한 거리에 대한 비율에 따라 설정되는 제1 제스쳐 및 제2 제스쳐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조명모듈에 전원이 인가되는 턴온 모드; 상기 조명모듈이 제1 밝기가 되도록 각 조명모듈에 전원이 인가되는 균등 모드; 상기 조명모듈 중에서 상기 제스쳐가 감지된 센서모듈로부터 일정한 거리 내의 조명모듈만 제2 밝기가 되도록 전원이 인가되고, 그 외의 조명모듈에는 제3 밝기가 되도록 전원이 인가되는 집중 모드; 및 상기 각 조명모듈에 전원이 차단되는 오프 모드;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제스쳐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조명장치{lighting device controlled using a user's gestur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제스쳐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조명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고 각 제스쳐에 따라 사전에 정해진 동작 모드로 작동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고도화될수록, 기능이 중시되는 제품에서, 소비자의 감성을 충족시키는 제품이 중시되고 있다. 특히 조명에 관한 감성을 유발하는 기술은 높은 궤도에 올라와 있는 실정이다. 인간은 빛과 함께할 때,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으며, 안정된 마음으로 아름다움과 행복을 추구하려는 본능을 가지게 된다. 더구나 태양빛의 스펙트럼 특성과 하루의 빛의 리듬, 계절적인 빛의 변화에 모든 동식물들은 다양한 생리적 반응을 일으키도록 되어 있는 만큼 색온도의 심적인 효과를 조명계획에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공간을 한층 더 쾌적하게 만드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현대인들은 많은 시간을 조명이 있는 공간에서 생활하고 있는 만큼 감성조명은 우리의 생활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미 조명은 빛을 발하는 단순 기능에서 벗어나 생활과 사회 전 분야에 걸쳐 하나의 예술문화로 자리매김했다. 감성조명은 이러한 시대 요구에 부응하고, 웰빙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에게 꼭 필요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조명등으로는 거실등, 방등, 주방등, 화장실 등이 있으며, 이들은 백열전구, 형광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외에 조명간판에 사용되는 광원으로도 형광등을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근래에는, 엘이디(LED, lighting emitting device)소자를 이용한 조명의 한계였던 휘도(밝기) 문제가 최근 크게 개선되면서 응용시장이 산업 전반으로 확산, 본격적인 엘이디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엘이디 소자는 저전력 소모량 등의 뛰어난 특성으로 이는 p형와 n형이 접합된 반도체 양쪽에 전극 단자를 만들고 단자간에 전압을 가하면 전류가 흘러 p-n접합 부근에서 빛을 방출하는 소자로서, 고휘도의 광도를 얻을 수 있는 단계까지 발전되어 왔다.
이런 엘이디 광원소자는 크게 SMD(Surface Mount Device)타입과 램프타입이 사용되어 다양한 색상과 빛의 파장을 달리한 엘이디조명이 개발되어 다양한 제품에 상용되고 있다. 특히 SMD 타입은 작은 크기로 조밀하게 복수하게 배치함으로써, 엘이디 소자의 단점을 거의 극복하고, 사용자에게 가장 밀접하게 사용되는 책상 스탠드에도 사용되고 있다.
책상 스탠드는 사용자에게 가까운 곳에 위치하며, 책상 전체를 고른 밝기로 비추기 위해서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넓은 면적으로 제작된다. 엘이디 스탠드 아래에서 작업을 하면, 한쪽 방향으로 그림자가 생김으로써, 작업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그림자가 발생한 쪽의 엘이디 스탠드의 밝기를 높이거나 다른 쪽 밝기를 낮춘다면 그림자를 없앨 수 있으나, 스위치 등의 조작으로 이러한 조정을 하게 되면 작업의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작업 집중력을 떨어뜨리지 않고 번거로운 스위치 조작 없이 엘이디 조명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의 제공이 요구 된다.
일본공개특허 제2016-15758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제스쳐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조명모듈을 포함하는 조명부; 상기 조명모듈의 주변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제스쳐(gesture)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제스쳐를 바탕으로 사전에 정의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스쳐는, 상기 센서모듈의 감지 영역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의 가장 가까운 거리이며, 상기 센서 모듈이 기동 시작 시에 인식한 거리에 대한 비율에 따라 설정되는 제1 제스쳐 및 제2 제스쳐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조명모듈에 전원이 인가되는 턴온 모드; 상기 조명모듈이 제1 밝기가 되도록 각 조명모듈에 전원이 인가되는 균등 모드; 상기 조명모듈 중에서 상기 제스쳐가 감지된 센서모듈로부터 일정한 거리 내의 조명모듈만 제2 밝기가 되도록 전원이 인가되고, 그 외의 조명모듈에는 제3 밝기가 되도록 전원이 인가되는 집중 모드; 및 상기 각 조명모듈에 전원이 차단되는 오프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가 상기 오프 모드이고 상기 제1 제스쳐가 감지되면, 상기 조명부를 상기 턴온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조명부가 상기 턴온 모드 또는 상기 균등 모드이고 상기 제2 제스쳐가 감지되면, 상기 조명부를 상기 집중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조명부가 상기 집중 모드이고 상기 제2 제스쳐가 감지되면, 상기 조명부를 상기 균등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조명부가 상기 턴온 모드, 상기 균등 모드 또는 상기 집중 모드이고 상기 제1 제스쳐가 감지되면, 상기 조명부를 상기 오프 모드로 제어하여,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제스쳐가 동일한 경우에도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조명부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본체케이스는 상기 조명부에서 발생된 빛이 투과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밝기는 상기 제2 밝기보다 더 어두운 밝기이며, 상기 제2 밝기는 상기 제1 밝기 및 상기 제3 밝기보다 더 밝고, 상기 제3 밝기는 상기 제1 밝기보다 더 어두운 밝기이고, 상기 제스쳐가 감지된 센서모듈의 주변 영역이 이외 영역보다 더 밝은 조명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제스쳐는 기준 거리의 20% 이하이고, 상기 제2 제스쳐는 상기 기준 거리의 20% 내지 40%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작업 중에 조명장치의 센서 전면에서 제스쳐를 취하는 것만으로 조명장치의 턴온/턴오프(turn on/turn off) 및 밝기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스쳐를 통해서 조명 장치의 일부의 밝기만을 밝게 하고 다른 부분의 밝기는 어둡게 함으로써 책상 위의 그림자를 제거하고 작업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동작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집중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제스처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조명장치(이하, "조명장치"라고 한다)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내부 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조명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내부 단면과 구성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본체케이스(150), 조명부(200), 센서부(300), 제어부(400) 및 전원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와 전원부(110)는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체케이스(150)의 어느 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케이스(150)는 내부에 조명부(200), 센서부(300), 제어부(400) 및 전원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200), 센서부(300), 제어부(400) 및 전원부(110)는 본체케이스(150)의 내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체케이스는 조명부(200)에서 발생된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어느 한 면이 투명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장치(100)가 책상 위를 조명하는 스탠드(stand)인 경우 상기 책상을 향하는 면(이하 "하부면"이라고 한다)이 투명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케이스(150)는 중심부에 동공이 형성된 타원형의 튜브(tube), 도넛(donut) 형상일 수 있지만, 이것은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케이스(150)가 도넛 형상인 것을 가정하고 설명한다.
조명부(200)는 하나 이상의 조명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을 전기가 인가된 경우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명모듈은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evice)일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은 인가되는 전기의 세기, 즉 전류의 크기 또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다른 세기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은 본체케이스(150)의 내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에서 방출된 빛은 본체케이스(150)의 일면을 투과하여 조명장치(100)의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모듈은 본체케이스(15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조명부(200)는 12개의 조명모듈(210, 212, 214, 220, 222, 224, 230, 232, 234, 240, 242, 24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것은 예시에 불과하며, 조명부(200)에 포함되는 조명모듈의 개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조명부(200)에는 12개의 조명모듈이 포함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센서부(300)는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sensor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은 센싱(sensing) 방향에 위치한 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모듈은 적외선, 초음파, 라이다(LiDAR), 광센서 또는 레이저(laser)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센서부(300)는 4개의 센서모듈(310, 320, 330, 34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310, 320, 330, 340)은 본체케이스(15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예시에 불과하지만,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4개의 센서모듈(310, 320, 330, 340)을 가정하고, 센서모듈(310, 320, 330, 340)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 케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것으로 가정한다.
센서모듈(310, 320, 330, 340)은 조명모듈(210, 212, 214, 220, 222, 224, 230, 232, 234, 240, 242, 244)의 주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치는 도 5에 관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센서부(300)는 조명장치(100)의 사용자의 제스쳐(gesture)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스쳐는 상기 사용자의 조명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가리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스쳐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센서모듈(310, 320, 330, 340)에 감지된 정보를 가리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스쳐는 상기 사용자의 실체 일부와 센서모듈(310, 320, 330, 340)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손이 센서모듈(310, 320, 330, 340)의 센싱 영역에 들어왔을 때, 센서모듈(310, 320, 330, 340)에 감지된 상기 손과의 거리가 상기 제스쳐일 수 있다. 센서부(300)는 센서모듈(310, 320, 330, 340) 중에서 상기 손이 감지된 센서모듈과 상기 손과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스쳐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스쳐는 제1 제스쳐와 제2 제스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스쳐는 상기 거리가 10[cm] 이하인 것을 가리킨다. 상기 제2 제스쳐는 상기 거리가 10 [cm] 초과 30 [cm] 이하인 것을 가리킨다. 상기 제1 제스쳐와 상기 제2 제스쳐는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스쳐는 절대 거리 값이 아닌, 센서모듈이 초기에 인식한 거리의 비율을 가리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이 기동 시작 시에 인식한 거리를 기준 거리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제스쳐는 상기 기준 거리의 20 [%] 이하, 상기 제2 제스쳐는 상기 기준 거리의 20 [%] 초과 40 [%] 이하인 것을 가리킬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상기 기준 거리는 조명장치(100)와 책상과의 거리일 수 있다.
제어부(400)는 조명부(200)를 동작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센서부(300)에서 감지된 제스쳐를 이용하여 전원부(1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조명부(200)에 인가하는 방식을 달리함으로써, 조명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가 조명부(200)의 상기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것은 도 4의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턴온 모드는 조명부(200)의 턴온, 턴오프 및 밝기에 따른 사전에 정의된 동작 상태를 가리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작 모드는, 턴온 모드, 균등 모드, 집중 모드 및 오프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턴온 모드는 조명모듈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가리킨다. 상기 균등 모드는 조명모듈이 제1 밝기가 되도록 각 조명모듈에 동일한 세기의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가리킨다. 상기 집중 모드는, 상기 제스쳐가 감지된 센서모듈로부터 일정한 거리 내의 조명모듈만 제2 밝기가 되도록 전원이 인가되고, 그 외의 조명모듈에는 제3 밝기가 되도록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가리킨다. 상기 오프 모드는 상기 각 조명모듈에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가리킨다.
상기 제1 밝기는 상기 제2 밝기보다 더 어두운 밝기이다. 상기 제3 밝기는 상기 제1 밝기보다 더 어두운 밝기이다, 상기 제2 밝기는 상기 제1 밝기 및 상기 제3 밝기보다 더 밝은 밝기이다. 상기 제1 밝기, 제2 밝기 및 제3 밝기는 서로 다른 밝기일 수 있으며, 이것은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부(110)는 제어부(400)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상기 전원을 제공 받아, 상기 조명 모드에 따라 상기 전원의 세기를 조정하여 조명부(200)에 포함된 조명모듈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밝기, 상기 제2 밝기 및 상기 제3 밝기의 밝기의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전원의 세기를 조정하여 조명부(200)에 포함된 각 조명모듈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사용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조명장치(100)는 책상 위의 스탠드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500)는 책상 앞에 앉아서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조명장치(100)와의 상대적인 위치 때문에 오른쪽 부분에 그림자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그림자를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자(500)는 조명장치(100)의 센서모듈(320)에 손을 가져다 대고 제2 제스쳐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스쳐가 센서모듈(320)에서 감지되면, 조명장치(100)는 조명부(200)가 상기 집중 모드로 동작하게 제어할 수 있다. 조명부(200)는 상기 집중 모드에서, 센서모듈(320)의 일정거리 이내의 조명모듈의 밝기를 상기 제2 밝기로 조정하고, 그 이외의 조명모듈의 밝기를 상기 제3 밝기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모듈(320) 주변이 다른 곳보다 더 밝은 조명을 받게 됨으로써, 상기 그림자가 억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가 제스쳐의 감지에 따라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한다.
제어부(400)는 조명부(200)가 상기 오프 모드이고 상기 제1 제스쳐가 감지되면, 조명부(200)를 상기 턴온 모드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S100). 조명부(200)는 상기 턴온 모드가 되면 조명부(200)에 포함된 모든 조명모듈에 순차적으로 전기를 공급하여 턴온(turn on) 시킬 수 있다.
제어부(400)는 조명부(200)가 상기 턴온 모드로 바뀐 이후 사전에 정해진 세틀링 타임(settling time)이 지나면, 조명부(200)가 상기 균등 모드로 동작하게 제어할 수 있다(S110). 조명부(200)는 상기 균등 모드가 되면, 상기 모든 조명모듈이 모두 동일한 상기 제1 밝기가 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가 조명부(200)에 포함된 모든 조명모듈에 동일한 세기의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조명부(200)가 상기 균등 모드가 되게 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조명부(200)가 상기 턴온 모드인 때에 상기 제2 제스쳐가 감지되면, 조명부(200)가 상기 집중 모드로 동작하게 제어할 수 있다(S120). 조명부(200)는 상기 집중 모드로 동작 지시를 받으면, 상기 제2 제스쳐가 감지된 영역에 포함된 조명모듈이 제2 밝기가 되게 하고, 그 외의 조명모듈은 제3 밝기가 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제스쳐가 감지된 영역은 그 외의 영역에 대비하여 더 밝은 조명을 받을 수 있다.
제어부(400)는 조명부(200)가 상기 균등 모드인 때에 상기 제2 제스쳐가 감지되면, 조명부(200)가 상기 집중 모드로 동작하게 제어할 수 있다(S130). 조명부(200)가 상기 집중 모드일 때의 동작은 S120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400)는 조명부(200)가 상기 집중 모드인 때에 상기 제2 제스쳐가 감지되면, 조명부(200)가 상기 균등 모드로 동작하게 제어할 수 있다(S140). 조명부(200)가 상기 균등 모드일 때의 동작은 S110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400)는 조명부(200)가 상기 균등 모드인 때에 상기 제1 제스쳐가 감지되면, 조명부(200)가 상기 오프 모드로 동작하게 제어할 수 있다(S150). 조명부(200)가 상기 오프 모드가 되면 조명부(200)에 포함된 모든 조명모듈이 턴오프(turn-off) 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가 조명부(2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조명부(200)가 상기 오프 모드가 되게 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조명부(200)가 상기 집중 모드인 때에 상기 제1 제스쳐가 감지되면, 조명부(200)가 상기 오프 모드로 동작하게 제어할 수 있다(S160). 조명부(200)가 상기 오프 모드일 때의 동작은 S150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집중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집중모드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장치(100)의 본체케이스(150)에 설치된 조명부(200)와 센서부(300)는 4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본체케이스(150)의 평면 방향의 단면은 가상의 4개 분할면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5의 분할은 집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4개의 분할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 분할면(510)은 센서모듈(310)과 조명모듈(210, 212, 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할면(520)은 센서모듈(320)과 조명모듈(220, 222, 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분할면(530)은 센서모듈(330)과 조명모듈(230, 232, 2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분할면(540)은 센서모듈(340)과 조명모듈(240, 242, 2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제2 분할면(520)의 아래쪽에 사용자(500)의 손이 위치되어 제2 제스쳐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2 제스쳐는 제2 분할면(520)에 포함된 센서모듈(320)에 의해서 감지되고, 제어부(400)는 조명부(200)가 상기 집중 모드로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400)는 제2 분할면(520)에 포함된 조명모듈(220, 222, 224)의 밝기가 제2 밝기가 되게 전기를 공급하고, 그 외의 조명모듈(210, 212, 214, 230, 232, 234, 240, 242, 244)의 밝기가 제3 밝기가 되게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분할면(520)의 아래쪽은 제1 분할면(510), 제3 분할면(530) 및 제4 분할면(540)의 아래쪽보다 더 밝아 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사용자의 제스처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조명장치
200 : 조명부
210, 212,214, 220, 222, 224, 230, 232, 234, 240, 242, 244 : 조명모듈
300 : 센서부
310, 320, 330, 340 : 센서모듈
400 : 제어부
500: 사용자

Claims (5)

  1.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조명모듈을 포함하는 조명부;
    상기 조명모듈의 주변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제스쳐(gesture)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제스쳐를 바탕으로 사전에 정의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스쳐는,
    상기 센서모듈의 감지 영역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의 가장 가까운 거리이며, 상기 센서 모듈이 기동 시작 시에 인식한 거리에 대한 비율에 따라 설정되는 제1 제스쳐 및 제2 제스쳐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조명모듈에 전원이 인가되는 턴온 모드; 상기 조명모듈이 제1 밝기가 되도록 각 조명모듈에 전원이 인가되는 균등 모드; 상기 조명모듈 중에서 상기 제스쳐가 감지된 센서모듈로부터 일정한 거리 내의 조명모듈만 제2 밝기가 되도록 전원이 인가되고, 그 외의 조명모듈에는 제3 밝기가 되도록 전원이 인가되는 집중 모드; 및 상기 각 조명모듈에 전원이 차단되는 오프 모드;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가 상기 오프 모드이고 상기 제1 제스쳐가 감지되면, 상기 조명부를 상기 턴온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조명부가 상기 턴온 모드 또는 상기 균등 모드이고 상기 제2 제스쳐가 감지되면, 상기 조명부를 상기 집중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조명부가 상기 집중 모드이고 상기 제2 제스쳐가 감지되면, 상기 조명부를 상기 균등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조명부가 상기 턴온 모드, 상기 균등 모드 또는 상기 집중 모드이고 상기 제1 제스쳐가 감지되면, 상기 조명부를 상기 오프 모드로 제어하여,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제스쳐가 동일한 경우에도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조명부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는 상기 조명부에서 발생된 빛이 투과하는 면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밝기는 상기 제2 밝기보다 더 어두운 밝기이며,
    상기 제2 밝기는 상기 제1 밝기 및 상기 제3 밝기보다 더 밝고,
    상기 제3 밝기는 상기 제1 밝기보다 더 어두운 밝기이고,
    상기 제스쳐가 감지된 센서모듈의 주변 영역이 이외 영역보다 더 밝은 조명을 제공받는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스쳐는 기준 거리의 20% 이하이고,
    상기 제2 제스쳐는 상기 기준 거리의 20% 내지 40%인 조명장치.
KR1020190019915A 2019-02-20 2019-02-20 사용자의 제스쳐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조명장치 KR201900212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915A KR20190021288A (ko) 2019-02-20 2019-02-20 사용자의 제스쳐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915A KR20190021288A (ko) 2019-02-20 2019-02-20 사용자의 제스쳐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조명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663A Division KR20180121222A (ko) 2017-04-28 2017-04-28 사용자의 제스쳐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288A true KR20190021288A (ko) 2019-03-05

Family

ID=65760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915A KR20190021288A (ko) 2019-02-20 2019-02-20 사용자의 제스쳐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128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7587A (ja) 2015-02-24 2016-09-01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7587A (ja) 2015-02-24 2016-09-01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照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355B1 (ko) 가시광 살균기능 겸용 led 조명등기구
KR101924119B1 (ko) 살균기능이 구비된 led 조명등기구용 전원공급장치
KR101555891B1 (ko) 조명 장치
US9392651B2 (en) Lighting methods and apparatus with selectively applied face lighting component
KR200445690Y1 (ko) Led감성조명장치
JP4418692B2 (ja) 照明装置
EP3261415A1 (en) Automatic sensing system and automatic sensing control method for led lighting
EP2096351A3 (de) Beleuchtungsanordnung zur Unterstützung der menschlichen Sehfunktion sowie des Wohlbefindens
JP2010238407A (ja)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WO2008146232A1 (en) Lighting device
JP2011165577A (ja) 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JP6111397B2 (ja) 調光装置
KR20050029180A (ko) 지능형 조명 장치
JP6017797B2 (ja) 照明装置
KR20180121222A (ko) 사용자의 제스쳐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조명장치
KR20190021288A (ko) 사용자의 제스쳐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조명장치
JPH11260121A (ja) 手すり照明装置
KR200164907Y1 (ko) 밝기및색상조절이가능한조명등
JP6012961B2 (ja) 照明装置およびコントローラ
JP2017174757A (ja) 光源、照明器具、および照明システム
CN208719870U (zh) 一种可以进行分区域点亮的照明灯具
CN218154107U (zh) 一种感应式灯具
JP6074292B2 (ja) 照明装置
KR20040043259A (ko) 조명부가 설치된 화장 거울
KR200285339Y1 (ko) 조명이 부착된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