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551A - 승강형 조명타워 - Google Patents

승강형 조명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551A
KR20190020551A KR1020170105654A KR20170105654A KR20190020551A KR 20190020551 A KR20190020551 A KR 20190020551A KR 1020170105654 A KR1020170105654 A KR 1020170105654A KR 20170105654 A KR20170105654 A KR 20170105654A KR 20190020551 A KR20190020551 A KR 20190020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amper
support portion
bracket
moun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996B1 (ko
Inventor
김기석
조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05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996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21V21/38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with a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6Adjustable mountings using wires or co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05Outdoor lighting of working places, building sit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형 조명타워에 관한 것으로, 이는 중공의 본체; 상기 본체를 따라 승강 가능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이 설치된 지지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본체의 중심선에 대해 회전축이 경사진 경사휠을 갖추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는 댐퍼를 포함하여서, 구동부의 부하를 줄이고 갑작스러운 추락의 위험성을 감소시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강형 조명타워 {Up and down type lighting tower}
본 발명은 구동부의 부하를 경감하고, 갑작스런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승강형 조명타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타워는 넓은 범위, 예를 들면 항만, 공항, 철도역, 도로, 주차장, 각종 운동장이나 산업설비를 조명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를 갖도록 세워져 빛을 주변으로 방사하여 조명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조명타워는 복수의 조명등이 지지부에 부착된 상태로 높은 조명타워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가 조명등의 수리 및 교체시에 하강시키어야만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해, 조명타워는 통상 복수의 조명등이 부착된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이 승강부는 예컨대 지지부에 연결된 와이어, 구동축에 연결되어 와이어를 권취하는 구동풀리, 구동풀리에서 이격되어 와이어를 지지하는 피동풀리,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춘 구동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조명타워의 유지보수를 위해 승강부는 1년에 1 ~ 2회 정도 사용하게 된다. 이 때문에, 모터, 감속기, 구동축 등을 갖춘 구동부가 상시 사용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조명타워의 유지보수 비용이 불필요하게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구동부가 조명등 및 지지부의 무게를 모두 지지하면서 작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구동부에 부하가 크게 작용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감속기 또는 별도의 안전수단도 추가로 필요하게 되어 전체 조명타워의 비용을 상승시키는 한편, 구성요소의 추가에도 불구하고 조명등 및 지지부의 하강시 안전성을 확보하기가 여전히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KR 2010-0013144 A
이에 본 발명은 구동부의 부하를 경감하고, 갑작스런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형 조명타워를 제공하는 데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조명타워는, 중공의 본체; 상기 본체를 따라 승강 가능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이 설치된 지지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본체의 중심선에 대해 회전축이 경사진 경사휠을 갖추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댐퍼가 나선형으로 조명타워의 본체를 감아 돌아 하강하게 됨으로써, 구동부의 부하를 줄이면서 조명등 및 지지부를 승강시킬 수 있고, 별도의 구성요소와 동력을 추가하지 않고서도 갑작스러운 추락의 위험성을 감소시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조명타워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조명타워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조명타워의 지지부와 댐퍼 및 본체의 접촉상태와 힘의 평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조명타워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평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조명타워는, 중공의 본체(10); 이 본체를 따라 승강 가능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21)이 설치된 지지부(20); 본체에 설치되어,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30); 및 본체의 중심선(C)에 대해 회전축(42)이 경사진 경사휠(41)을 갖추면서, 본체와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는 댐퍼(40)를 포함하고 있다.
본체(10)는 지면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21)을 소정의 높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본체는 그 내부가 중공이면서 하광상협(下廣上狹), 즉 아래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는 조명등 및 지지부(20) 등의 하중을 지지하고 풍하중에 의한 횡력에 저항하기 위해 고강도 구조물로 설계되는 것이 좋다.
지지부(20)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21)을 장착하고서 본체(10)의 외부에서 본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원주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조명등이 배치될 수 있다.
조명등(21)은 램프(미도시)를 수용하는 하우징(22)과, 램프를 보호하기 위해 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30)는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해 지지부(2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예컨대 지지부에 연결된 와이어(31), 와이어를 권취하는 구동풀리(32), 구동풀리에서 이격되어 와이어를 지지하는 피동풀리(33), 및 구동풀리에 연결되어 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갖춘 구동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풀리(32)와 구동부(34)는 중공인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동풀리(33)는 본체(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와이어(31)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롭게 선회하면서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구동부(34)는 모터와 감속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4)의 모터가 회전하면서 구동풀리(3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에 따라 와이어(31)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지지부(20)와 조명등(21)의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지지부(20)는 구동부(34)가 갖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거나 정지하게 되고, 모터가 정지한 상태에서 지지부의 위치 또는 높이가 본체(10) 상에 고정되게 된다.
선택적으로, 와이어(31)와 구동풀리(32) 및 피동풀리(33) 대신에 체인과 구동스프로켓 및 피동스프로켓이 채택되어도 무방하다.
댐퍼(40)는 본체(10)와 지지부(20) 사이에 개재되도록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의 외주면에 끼워지면서, 댐퍼의 내주면에 설치된 경사휠(41)에 의해 본체와 접촉하고 본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경사휠(41)이 본체(10)의 중심선(C)에 대해 그 회전축(42)이 소정의 각도(α)로 경사져 있어서, 조명등(21) 및 지지부(20)가 승강하게 될 때, 댐퍼(40)는 테이퍼진 본체의 외주면을, 나선형의 궤도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댐퍼(40)는 그 외주면에, 즉 댐퍼(40)와 지지부(20)의 사이에 설치된 베어링(4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의 내륜은 댐퍼에 고정되고, 베어링의 외륜은 지지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베어링(43)에 의해, 댐퍼(40)는 지지부(20)와 조명등(21)에 대해 축력을 전달할 수 있지만, 회전력을 차단하게 된다. 다시 말해, 조명등 및 지지부가 승강하게 될 때, 지지부가 댐퍼(40)에 대해서는 상대회전하게 되지만, 본체(10)에 대해서는 회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조명타워는, 댐퍼(40)와 경사휠(41) 사이에 개재되어, 경사휠을 본체(10)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수단(50)으로는 예컨대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51)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댐퍼(40)에는 방사상으로 장착홀(44)이 형성되고, 경사휠(41)에는 그 회전축(42)을 지지하는 브라켓(45)이 구비될 수 있다. 경사휠의 브라켓에는 포스트(46)와 이 포스트에서 방사상으로 연장한 스토퍼(47)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댐퍼(40)의 장착홀(44) 내에 탄성부재(51)가 삽입되고, 장착홀에 삽입된 탄성부재에 경사휠(41)의 브라켓(45)이 갖는 포스트(46)가 끼워질 수 있다. 이로써, 탄성부재의 일단은 장착홀에 접촉하고 타단은 브라켓의 스토퍼(47)에 접촉한다.
또, 댐퍼(40)의 장착홀(44)에는, 경사휠(41)의 브라켓(45)이 갖는 포스트(46)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을 갖고서 스토퍼(47)가 장착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장착홀의 개방단부에 고정되는 덮개(48)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40)의 가압수단(50)은, 본체(10)가 하광상협의 테이퍼진 형태이기 때문에, 본체의 상부에서 압축되는 길이가 짧고, 본체의 하부에서 압축되는 길이가 길게 된다. 이에 상응하게, 본체의 상부에서 본체에 대한 가압수단의 가압력은 약해지고, 본체의 하부에서 본체에 대한 가압수단의 가압력은 강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조명타워의 작동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조명타워의 지지부와 댐퍼 및 본체의 접촉상태와 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조명타워의 조명등(21)을 상승시킬 때에는 구동부(34)의 모터가 회전하면서 구동풀리(32)를 정회전시켜 와이어(31)가 감기면서 지지부(20)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에는 조명등(21) 및 지지부(20)의 자중(W)을 견디는 장력(T)이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베어링(43)을 매개로 하여 지지부(20)에 연결된 댐퍼(40)는 테이퍼진 본체(10)의 외주면에서 나선형의 궤도를 따라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베어링에 의해, 지지부가 댐퍼에 대해서는 상대회전하게 되지만, 본체에 대해서는 회전하지 않는다.
동시에, 댐퍼(40)의 가압수단(50)이 본체(10)에 대해 가압력(P)을 가하게 되는데, 본체의 테이퍼진 형태로 인해 댐퍼가 본체의 상부로 상승됨에 따라 점차 본체에 대한 가압수단의 가압력은 약해지고, 이로써 가압수단에 연결된 경사휠(41)의 본체에 대한 마찰력(F)도 점차 감소되면서, 조명등(21) 및 지지부(20)의 상승을 위한 구동부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한편, 조명타워의 유지보수를 위해 조명등(21)을 하강시킬 때에는 구동부(34)의 모터가 다시 회전하면서 구동풀리(32)를 역회전시켜 와이어(31)가 풀리면서 지지부(20)가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베어링(43)을 매개로 하여 지지부(20)에 연결된 댐퍼(40)는 테이퍼진 본체(10)의 외주면에서 나선형의 궤도를 따라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베어링에 의해, 지지부가 댐퍼에 대해서는 상대회전하게 되지만, 본체에 대해서는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댐퍼(40)의 가압수단(50)이 본체(10)에 대해 가압력(P)을 가하게 되는데, 본체의 테이퍼진 형태로 인해 댐퍼가 본체의 하부로 하강됨에 따라 점차 본체에 대한 가압수단의 가압력은 강해지고, 이로써 가압수단에 연결된 경사휠(41)의 본체에 대한 마찰력(F)도 점차 증대되면서, 조명등(21) 및 지지부(20)의 하강을 위한 구동부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더구나, 예컨대 와이어(또는 체인)의 절단 또는 구동부의 손상 등에 의해 조명등(21) 및 지지부(20)가 자중(W)에 의해 급강하를 하게 되더라도, 댐퍼(40)의 경사휠(41)이 본체(10)의 외주면에서 나선형의 궤도를 따라 활주하게 되면서 조명등 및 지지부가 직하방향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해하여 그 속도를 저감시킴은 물론, 경사휠(41)이 지면에 가까이 도달할 때까지 그 직경이 증가하는 테이퍼진 본체로 인하여 가압수단(50)이 작용하는 수평방향의 가압력(P)과, 이로 인한 경사휠의 마찰력(F)도 점차 증대되기 때문에, 조명등 및 지지부가 갖는 추락의 위험성을 감소시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 20: 지지부
21: 조명등 30: 승강부
31: 와이어 40: 댐퍼
41: 경사휠 43: 베어링
50: 가압수단 51: 탄성부재

Claims (7)

  1. 중공의 본체;
    상기 본체를 따라 승강 가능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이 설치된 지지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본체의 중심선에 대해 회전축이 경사진 경사휠을 갖추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는 댐퍼
    를 포함하는 조명타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타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댐퍼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댐퍼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베어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타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와 상기 경사휠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경사휠을 상기 본체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타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타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에는 방사상으로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휠에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장착홀 내에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상기 브라켓이 갖는 포스트가 끼워져,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장착홀에 접촉하고 타단은 상기 브라켓의 스토퍼에 접촉하며,
    상기 브라켓이 갖는 포스트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을 갖고서 상기 장착홀의 개방단부에 고정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타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지지부에 연결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에서 이격되어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피동풀리, 및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춘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타워.
KR1020170105654A 2017-08-21 2017-08-21 승강형 조명타워 KR101967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654A KR101967996B1 (ko) 2017-08-21 2017-08-21 승강형 조명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654A KR101967996B1 (ko) 2017-08-21 2017-08-21 승강형 조명타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551A true KR20190020551A (ko) 2019-03-04
KR101967996B1 KR101967996B1 (ko) 2019-04-10

Family

ID=65759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654A KR101967996B1 (ko) 2017-08-21 2017-08-21 승강형 조명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9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92311A (zh) * 2023-07-11 2023-10-17 浙江八方电信有限公司 可升降式灯杆型景观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640A (ko) * 2007-10-10 2009-04-15 박천돈 승강식 조명탑의 안전브레이크 장치
KR20090118786A (ko) * 2008-05-13 2009-11-18 주식회사 케이엠에스 리프트와 회전장치가 있는 다용도 대형 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640A (ko) * 2007-10-10 2009-04-15 박천돈 승강식 조명탑의 안전브레이크 장치
KR20090118786A (ko) * 2008-05-13 2009-11-18 주식회사 케이엠에스 리프트와 회전장치가 있는 다용도 대형 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92311A (zh) * 2023-07-11 2023-10-17 浙江八方电信有限公司 可升降式灯杆型景观塔
CN116892311B (zh) * 2023-07-11 2024-02-20 浙江八方电信有限公司 可升降式灯杆型景观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996B1 (ko) 201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669B1 (ko) 동조질량댐퍼를 이용한 내진 조명타워
KR101967996B1 (ko) 승강형 조명타워
EP1516846A2 (en) Lifting device for lifting persons along the shaft of a wind generator.
KR101967995B1 (ko) 승강형 조명타워
KR101063308B1 (ko)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구조를 갖는 승,하강식 조명타워
CN203771256U (zh) 电动升降式高杆灯
KR200398050Y1 (ko) 승하강식 조명타워
KR200252537Y1 (ko) 조명탑 및 등기구 승강 권취드럼 안전장치
KR20100049889A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조명탑의 조명등 승강장치
JP2773852B2 (ja) 伸縮支柱の落下防止機構
ES2278070T7 (es) Conjunto de poleas para un sistema de ascensor.
JPH06176614A (ja) 支柱型照明灯の灯具昇降装置
KR200435725Y1 (ko) 승강식 조명타워의 회전식 승강캐리어장치
JP4536560B2 (ja) ポール灯
KR200392021Y1 (ko) 신축성 가로등주
JP3762271B2 (ja) 昇降式架台付き照明柱及びその架台昇降方法並びにウインチ運搬用キャリヤー
KR102034680B1 (ko) 선박용 레이더 포스터의 승하강 장치
KR101006241B1 (ko) 리프트 승강식 조명탑의 안전장치
KR20220072642A (ko) 길이 조절 가능한 가로등 장치
KR101680803B1 (ko)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
KR100965203B1 (ko) 전등기구 분리 및 아암대의 회동 가능한 안전 가로등
KR101273645B1 (ko)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CN105293311A (zh) 一种具有防风功能的塔吊
KR101879689B1 (ko) 승강형 조명타워
KR101587184B1 (ko) 승강식 조명타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