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400A - 패널교체가 용이한 거푸집. - Google Patents

패널교체가 용이한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400A
KR20190020400A KR1020170105289A KR20170105289A KR20190020400A KR 20190020400 A KR20190020400 A KR 20190020400A KR 1020170105289 A KR1020170105289 A KR 1020170105289A KR 20170105289 A KR20170105289 A KR 20170105289A KR 20190020400 A KR20190020400 A KR 20190020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ame
weight
mold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우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우강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우강재
Priority to KR1020170105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0400A/ko
Publication of KR20190020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3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 E04G2009/02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by a flange of the board's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교체가 용이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몰탈에 접촉하는 패널(10)과, 상기 콘크리트 양생시 종방향으로 가해지는 무게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보강바(40)를 가지며 상기 패널(10)이 설치되는 프레임(2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20)은 3면의 철재 프레임을 용접에 의해 결합한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상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된 면으로 패널(10)을 삽입한 후 상기 보강돌기(31)와 상기 결합홈(32)를 맞대어 겹쳐지게 망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두드려 결합함으로 개방 프레임(21)이 완전 밀착하여 분리되지 못하도록 하여, 거푸집부재의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거푸집 패널을 경량화하고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여 제조 비용도 줄일 수 있다.
또한, 거푸집패널의 파손시 재활용하여 반복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함으로 제품의 코스트를 절감하는 패널교체가 용이한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패널교체가 용이한 거푸집.{Easy to replace panels.}
본 발명은 패널교체가 용이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거푸집부재의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거푸집 패널을 경량화하고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여 제조 비용도 줄일 수 있다.
또한, 거푸집패널의 파손시 재활용하여 반복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함으로 제품의 코스트를 절감하는 패널교체가 용이한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건축분야에서 건축 구조물을 구축하는 데 있어 내, 외 벽체 및 기둥 등의 성형 시 반죽 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거푸집이 사용되고 있다. 거푸집은 축조하여야 할 건축물의 종류 및 높이에 따라 여러 형태의 재질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통상적으로는 목재 합판을 거푸집에 많이 사용해왔다.
목재의 거푸집 패널을 보면, 일정한 크기를 갖는 판재를 기본으로 하고, 판재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판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철재 등으로 지지되는 형태의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유로폼을 들 수 있다.
유로폼은 직사각형의 합판, 직사각형 합판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 직사각형 합판의 상,하측 가장자리 및 수직 프레임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보강하는 다수의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거푸집 패널에 관련된 대부분의 종래 기술은 거푸집 패널의 내구성 내지 작업성, 예를들어 콘크리트의 양생 시에 콘크리트 고착 방지, 콘크리트 박리용이, 콘크리트 손상 방지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부적 기술에 관련되어 있다.
물론, 종래기술과 같이, 거푸집 패널의 내구성 내지 작업성을 높이는 기술도 중요하지만, 상당한 시간 사용한 합판이 들뜨므로 거푸집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
수명이 다한 합판을 손쉽게 교체하여 재생산의 시간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고, 또한 최근에는 상기한 목재 합판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또는 폐합성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성형한 판재를 거푸집용 판재로 대체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는 목재 합판에 비하여 수명이 길고 콘크리트 접합면과 비교적 용이하게 탈리되는 이점은 있으나, 휨 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며 제품자체의 중량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휨강성 및 경량화에는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또한, 경량화를 통한 시공성이 용이함을 도모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에 폐면, 폐지, 폐목재, 톱밥 등을 첨가하여성형한 거푸집용 판재가 제시되어 있으나, 이는 표면이 거칠고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패널 면과 콘크리트 접합면의 탈형이 잘되지 않는 즉, 박리의 어려움이 있고, 이 역시 휨 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이 약하기 때문에 프레임의 사용량을 증가해야 하므로 결국 전체적인 중량이 커져 취급이 매우 불편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설, 토목 현장에서 반복사용 후 이를 수거하여 간단한 보수작업으로 재활용하여 다시 유통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 제작비용과 제품 구매가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패널교체가 용이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몰탈에 접촉하는 패널(10)과, 상기 콘크리트 양생시 종방향으로 가해지는 무게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보강바(40)를 가지며 상기 패널(10)이 설치되는 프레임(20)을 포함한다.
상기 보강바(40)는 콘크리트 몰탈에 의해 종방향으로 가해지는 무게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강바(40)는 도면의 예시와 같이 중앙에 1개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그 사용처에 따라 다수개의 수직 및 수평으로 달리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패널(10)의 두께는 7~15mm 정도로 할 수 있다.
상기 패널(10)은 나무, 금속,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10)은 경량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알루미늄(aluminium),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폴리염화비닐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섬유의 내부에 수지를 함침시킨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등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패널(10)이 프레임의 일측방을 따라 결합할 수 있다.
종래 거푸집인 도 3(a)와 같이 패널(10)의 폭의 크기와 프레임(20) 내부의 폭의 크기가 일치함으로 위에서 바로 장착하지만, 본 발명의 패널교체가 용이한 거푸집의 예시인 도 3(b)과 같이 3면의 프레임(20) 용접에 의해 결합한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상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된 면으로 패널(10)을 삽입한 후 개방된 프레임(21)을 망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완전 밀착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3면의 프레임(20) 용접에 의해 결합된 상기 프레임(20)에 보강돌기(31)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프레임(21)에 결합홈(32)가 형성된다.
상기 도 2와 같이 3면의 프레임(20) 용접에 의해 결합한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상자 형태로 구성된 상기 프레임(20)에 상기 개방된 면으로 패널(10)을 삽입한 후 상기 보강돌기(31)와 상기 결합홈(32)를 맞대어 겹쳐지게 망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두드려 결합함으로 개방된 프레임(21)이 완전 밀착하여 분리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볼트가 삽입되고 돌출 볼트에는 너트가 결합되는 형태로 완전 밀착하여 분리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패널교체가 용이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거푸집부재의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거푸집 패널을 경량화하고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여 제조 비용도 줄일 수 있다.
또한, 거푸집패널의 파손시 재활용하여 반복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함으로 제품의 코스트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거푸집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의 패널과 프레임을 분리하여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 거푸집 구성(a)과 본 발명의 거푸집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프레임의 부분 상세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패널교체가 용이한 거푸집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거푸집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의 패널과 프레임을 분리하여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종래 거푸집 구성(a)과 본 발명의 거푸집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프레임의 부분 상세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몰탈에 접촉하는 패널(10)과, 상기 콘크리트 양생시 종방향으로 가해지는 무게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보강바(40)를 가지며 상기 패널(10)이 설치되는 프레임(20)을 포함한다.
상기 보강바(40)는 콘크리트 몰탈에 의해 종방향으로 가해지는 무게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강바(40)는 도면의 예시와 같이 중앙에 1개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그 사용처에 따라 다수개의 수직 및 수평으로 달리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패널(10)의 두께는 7~15mm 정도로 할 수 있다.
상기 패널(10)은 나무, 금속,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10)은 경량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알루미늄(aluminium),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폴리염화비닐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섬유의 내부에 수지를 함침시킨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등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패널(10)이 프레임의 일측방을 따라 결합할 수 있다.
종래 거푸집인 도 3(a)와 같이 패널(10)의 폭의 크기와 프레임(20) 내부의 폭의 크기가 일치함으로 위에서 바로 장착하지만, 본 발명의 패널교체가 용이한 거푸집의 예시인 도 3(b)과 같이 3면의 프레임(20) 용접에 의해 결합한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상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된 면으로 패널(10)을 삽입한 후 개방 프레임(21)을 망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완전 밀착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3면의 프레임(20) 용접에 의해 결합된 상기 프레임(20)에 보강돌기(31)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 프레임(21)에 결합홈(32)가 형성된다.
상기 도 2와 같이 3면의 프레임(20) 용접에 의해 결합한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상자 형태로 구성된 상기 프레임(20)에 상기 개방된 면으로 패널(10)을 삽입한 후 상기 보강돌기(31)와 상기 결합홈(32)를 맞대어 겹쳐지게 망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두드려 결합함으로 개방 프레임(21)이 완전 밀착하여 분리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볼트가 삽입되고 돌출 볼트에는 너트가 결합되는 형태로 완전 밀착하여 분리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패널교체가 용이한 거푸집은 건설, 토목 현장에서 반복사용 후 이를 수거하여 간단한 보수작업으로 재활용하여 다시 유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 제작비용과 제품 구매가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패널 20: 프레임
21: 개방 프레임 31: 보강돌기
32: 결합홈 40: 보강바

Claims (1)

  1. 콘크리트 몰탈에 접촉하는 패널(10)과, 상기 콘크리트 양생시 종방향으로 가해지는 무게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보강바(40)를 가지며 상기 패널(10)이 설치되는 프레임(20)을 포함한다.
    프레임(20)은 3면의 철재 프레임을 용접에 의해 결합한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상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된 면으로 패널(10)을 삽입한 후 상기 보강돌기(31)와 상기 결합홈(32)를 맞대어 겹쳐지게 망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두드려 결합함으로 개방 프레임(21)이 완전 밀착하여 분리되지 못하도록 하는 패널교체가 용이한 거푸집.
KR1020170105289A 2017-08-21 2017-08-21 패널교체가 용이한 거푸집. KR20190020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289A KR20190020400A (ko) 2017-08-21 2017-08-21 패널교체가 용이한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289A KR20190020400A (ko) 2017-08-21 2017-08-21 패널교체가 용이한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400A true KR20190020400A (ko) 2019-03-04

Family

ID=6576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289A KR20190020400A (ko) 2017-08-21 2017-08-21 패널교체가 용이한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04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404A (ko) * 2019-05-02 2020-11-11 피지피 주식회사 유로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404A (ko) * 2019-05-02 2020-11-11 피지피 주식회사 유로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0001B2 (en) Formwork panel for concrete-work shutterings
KR100905339B1 (ko) 교체 가능한 거푸집
KR20190020400A (ko) 패널교체가 용이한 거푸집.
CN215760469U (zh) 建筑物结构变形缝部位剪力墙铝模板定位加固件装置
KR101300317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교체 시공 방법
CN202299394U (zh) 组合式建筑面模板系统
KR200493155Y1 (ko) 모듈형 콘크리트거푸집
KR200479355Y1 (ko) Psc 박스거더의 스트럿 설치구간에 사용되는 거푸집
KR100579702B1 (ko) 건축용 구조부재
JP2017002469A (ja) 型枠構造物
KR20210132296A (ko) 패널교체가 용이한 거푸집
KR100785414B1 (ko)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KR200303750Y1 (ko) 건축물 축조용 거푸집 보강대의 클램프
KR200408443Y1 (ko)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알루미늄 패널
KR20170060606A (ko)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200375728Y1 (ko) 인코너 설치용 철재 거푸집
KR200292763Y1 (ko) 일체형 알루미늄 단위 거푸집판넬
CN202064626U (zh) 一种建筑模具
KR200462050Y1 (ko) 거푸집 판넬
KR200433889Y1 (ko) 거푸집 판넬
KR20100012378U (ko) 벽체 거푸집용 마감패널
JP3709275B2 (ja) 壁面構造物
CN215368690U (zh) 一种建筑钢塑模板
CN104790654A (zh) 一种组合式平面建筑模板结构
CN220550857U (zh) 一种模块化现浇混凝土模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