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913A - 가상 현실 안경 - Google Patents

가상 현실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913A
KR20190019913A KR1020187031836A KR20187031836A KR20190019913A KR 20190019913 A KR20190019913 A KR 20190019913A KR 1020187031836 A KR1020187031836 A KR 1020187031836A KR 20187031836 A KR20187031836 A KR 20187031836A KR 20190019913 A KR20190019913 A KR 20190019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reality glasses
data cable
fastening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4229B1 (ko
Inventor
하오 지앙
순 왕
원후이 딩
후이밍 장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19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G02B2027/0156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with optionally usabl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69Supporting or connecting means other than the external wa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현실 안경에 관한것으로, 가상 현실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외부 전자 기기와 조립있는 안경 본체와, 제 1 단에 위치하는 제 1 연결 플러그 및 제 2 단에 위치하는 제 2 연결 플러그를 포함하는 데이터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연결 플러그는 상기 데이터 케이블과 상기 안경 본체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안경 본체의 제 1 인터페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제 2 연결 플러그는 상기 외부 전자 기기의 제 2 인터페이스에 결합한다.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케이블이 가상 현실 안경 안경 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가상 현실 안경과 데이터 케이블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부동한 인터페이스 유형의 외부 전자 기기에 적합되도록 외부 전자 기기의 인터페이스 유형에 따라 가상 현실 안경에 사용되는 데이터 케이블을 교환할 수 있어, 가상 현실 안경의 범용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가상 현실 안경
본 발명은 단말 기술 분야에 관한것으로, 특히 가상 현실 안경에 관한 것이다.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기술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시스템이며, 시뮬레이션 환경을 생성할 수 있고, 3 차원 동적 경관, 엔티티 행동 인터랙션 등의 방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몰입 형 애플리케이션 체험을 제공한다.
관련 기술에서는 가상 현실 기능 유닛을 구비하는 가상 현실 안경을 제공함과 함께, 사용자의 휴대폰, 태블릿 등의 외부 전자 기기에 의해 가상 현실 콘텐츠의 재생을 제공함으로써, 쉽게 실행할 수있는 가상 현실 해결 수단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부동한 외부 전자 기기 사이의 사이즈, 규격, 재료 등은 비교적 큰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전자 기기에 대해 효가적으로 위치를 제한할 수없는 경우, 전자 기기의 사용 과정에 떨림, 흔들림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사용자의 사용 과정의 몰입감에 영향을 주며, 더욱이 사용자에게 현기증 등의 불편감을 가져다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상 현실 안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현실 안경이 제공되며, 가상 현실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외부 전자 기기와 조립할 수있는 안경 본체와, 제 1 단에 위치하는 제 1 연결 플러그 및 제 2 단에 위치하는 제 2 연결 플러그를 포함하는 데이터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연결 플러그는 상기 데이터 케이블과 상기 안경 본체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안경 본체의 제 1 인터페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제 2 연결 플러그는 상기 외부 전자 기기의 제 2 인터페이스와 결합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안경 본체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사용자 얼굴을 향하는 표면은 제 1 표면이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외부 전자 기기를 조립하기 위한 표면은 제 2 표면이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제 1 표면 측에 형성된 내부 공간과 상기 하우징의 제 2 표면 측에 형성된 외부를 연통하는 통풍구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안경 본체는 상기 제 1 표면과 적합한 밀착부와,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사용자의 얼굴에 적합한 결합부를 구비하는 보호 구조를 더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보호 구조는 완충 성능을 갖는 재질로 제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케이블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 사이의 이격 거리에 적응하도록 플렉시블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안경 본체의 상기 하우징은 제 1 오목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오목홈 내에 위치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케이블은 상기 제 1 단에 위치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단에 위치하는 제 2 연결부와 상기 제 1 단과 상기 제 2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데이터 케이블 본체를 구비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오목홈은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데이터 케이블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케이블은 적어도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데이터 케이블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또한 상기 제 1 오목홈에 적합한 사출 성형 부재를 더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연결 플러그가 상기 제 1 단과 상기 제 2 단의 연결 방향에 수직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 1 오목홈의 바닥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연결 플러그가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안경 본체에 연결될 수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연결 플러그가 상기 제 1 단과 상기 제 2 단의 연결 방향에 평행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 1 오목홈의 측벽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연결 플러그가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평행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안경 본체에 연결될 수있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케이블이 상기 안경 본체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데이터 케이블 본체의 적어도 일부 표면은 각각 상기 안경 본체의 하우징의 표면과 일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전자 기기를 상기 안경 본체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구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 구조는 제 1 체결부 제 2 체결부 및 전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부의 양단은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 중의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전동부가 다른 하나를 구동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동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에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는 각각 랙을 구비하고, 상기 랙은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가 연동을 발생하도록 각각 상기 전동부의 양단의 기어와 치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동부는
상기 제 1 체결부와 결합하는 제 1 전동 부재와,
상기 제 2 체결부와 결합하는 제 2 전동 부재와,
상기 제 1 전동 부재 및 상기 제 2 전동 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2 체결부 사이에 연동이 발생할 수있도록 상기 제 1 전동 부재 및 상기 제 2 전동 부재를 연동시기 위한 제 3 전동 부재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3 전동 부재는 상기 제 1 전동 부재 및 상기 제 2 전동 부재와 각각 결합하는 제 1 전동축 및 제 2 전동축과, 상기 제 1 전동축 및 상기 제 2 전동축과 결합하는 결합 소자를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전동축과 상기 제 2 전동축의 회동 방향은 서로 반대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합 소자는
적어도 한 쌍의 서로 맞물리는 베벨 기어 세트 및 모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제 2 단은 상기 제 1 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여기서,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제 1 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체결부와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제 1 단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제 2 연결 플러그가 미리 설정된 최대 경사 개방 각도와 수평 체결 각도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수평 체결 각도로 상기 외부 전자 기기의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갖는 일단에 체결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체결부는 상기 외부 전자 기기의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일단에 체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수평 체결 각도로 상기 외부 전자 기기의 일단에 체결할 수있는 제 1 체결 베이스와,
상기 제 1 체결 베이스가 최대 경사 개방 각도와 수평 체결 각도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상기 제 1 체결 베이스와 힌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 1 체결 베이스가 상기 안경 본체상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안경 본체의 제 1 슬라이드 레일에 따라 슬라이드할 수있는 제 1 가동 판을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케이블은 상기 제 1 단에 위치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단에 위치하는 제 2 연결부와, 상기 제 1 단과 상기 제 2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데이터 케이블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제 2 연결부가 상기 제 1 체결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 2 연결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연결부는 제 1 체결부에 체결되어 조립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억지끼워지거나,
또는,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에 위치하는 범프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범프에 적합한 제 2 오목홈을 구비하여, 상기 제 2 연결부와 상기 제 1 체결부가 상기 범프와 상기 제 2 오목홈의 결합을 통하여 체결되어 조립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제 1 체결부의 상기 안경 본체에서 떨어진 표면이 상기 안경 본체의 내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커버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기 안경 본체에 근접하는 일측은 상기 수용 공간에 조립 된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제 2 연결부의 표면과 맞닿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체결부는 상기 외부 전자 기기의 대응하는 단면과 맞닿는 당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당접 부재는 상기 외부 전자 기기와 상기 제 2 체결부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 시키도록 상기 외부 전자 기기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일부 돌기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당접 부재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고무·플라스틱 발포 재료, 실리카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된 개구내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바닥에 설치되는 탄성 소자를 구비하는 기기 팝업 구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개구는 상기 안경 본체의 상기 외부 전자 기기에 대향하는 표면에 위치하고,
여기서, 상기 외부 전자 기기가 상기 안경 본체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지지 부재를 누름으로써 상기 탄성 소자에 변형이 발생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개구내에 퇴피하고, 또한, 체결 구조가 상기 외부 전자 기기에 대한 체결을 해제할 경우, 상기 탄성 소자는 상기 지지 부재를 구동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개구에서 돌출하도록 하여, 상기 외부 전자 기기를 지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기 팝업 구조는 상기 제 2 체결부 주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착용시에 상기 안경 본체를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하는 착용 구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착용 구조는
사용자의 머리에 적합한 환상 구조를 형성하도록 각각 상기 안경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밴드와,
개구가 형성된 스토퍼를 구비하는 연결부와,
일단이 상기 안경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 2 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밴드는 상기 제 1 밴드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밴드 및 상기 제 2 밴드 중의 적어도 하나는 탄성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상기 실시예에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케이블이 가상 현실 안경의 본체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가상 현실 안경과 데이터 케이블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부동한 인터페이스 유형의 외부 전자 기기에 적합하도록 외부 전자 기기의 인터페이스 유형에 따라 가상 현실 안경에 사용되는 데이터 케이블을 교환할 수 있어, 가상 현실 안경의 범용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일반적인 설명 및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단순한 예시적이고 해석적인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의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해당하는 실시예를 예시하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 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안경과 외부 전자 기기의 조립 모식도이다.
도 2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케이블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안경의 착용 모식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모식도이다.
도 5a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케이블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5b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데이터 케이블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5c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데이터 케이블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5d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케이블의 측면 모식도이다.
도 5e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케이블의 측면 사시 모식도이다.
도 5f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케이블의 횡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안경의 부분 분해 모식도이다.
도 7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가상 현실 안경의 부분 분해 모식도이다.
도 8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가상 현실 안경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9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케이블과 제 1 체결부의 장착 모식도이다.
도 10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데이터 케이블과 제 1 체결부의 장착 모식도이다.
도 1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체결 구조가 외부 전자 기기를 체결하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체결 구조가 외부 전자 기기에 대한 체결을 해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안경을 제 1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1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안경의 전동부의 전동 개략도이다.
도 15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체결 구조가 외부 전자 기기를 체결하는 모식도이다.
도 16a-16b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안경의 부분 분해 모식도이다.
도 16c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자 기기를 조립하지 않은 경우의지지 부재의 상태 모식도이다.
도 16d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자 기기를 조립 한 후의 모식도이다.
도 16e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자 기기를 분리하는 과정의 모식도이다.
도 16f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자 기기를 분리하는 과정의 모식도이다.
도 17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당접 부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8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안경의 구조 분해 모식도이다.
도 19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0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안경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2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가상 현실 안경의 구조 분해 모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사례를 도면에 표시한다. 하기의 서술이 도면에 관련될 때, 달리 명시하지 않는 경우, 서로 다른 도면에서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술한 실시방식은 본 발명에 부합되는 모든 실시 방식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방식들은 다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일부측면에 부합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인 "일종", "상기", 및 "해당"은 아래위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및 / 또는”라는 용어에 대하여 하나 또는 복수와 관련되어 열거된 항목들의 임의의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각종 정보를 서술하고 있지만, 이러한 정보가 전술한 용어에 제한된다고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다만 동일한 부류의 정보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정황하에서, 제 1 정보는 제 2 정보로 명명 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정보는 제 1 정보로 명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언어 환경에 따라 사용되는 "만약”이라는 단어는 "……때” 또는 "……할 때” 또는 "결정에 호응하여”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안경과 외부 전자 기기의 조립 모식도이다. 도 1과 같이, 해당 가상 현실 안경(100)은 안경 본체(1)와 데이터 케이블(2)을 구비하고, 여기서 해당 안경 본체(1)는 사용자가 해당 가상 현실 안경(100)을 착용 한 후, 외부 전자 기기(200)가 재생하는 가상 현실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가상 현실 콘텐츠를 재생하는 외부 전자 기기(200)와 조립하는 데 사용된다.
도 2와 같이, 해당 데이터 케이블(2)은 제 1 단(A)에 위치하는 제 1 연결 플러그(21)와 제 2 단(B)에 위치하는 제 2 연결 플러그(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1 연결 플러그(21)는 해당 데이터 케이블(2)과 안경 본체(1)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도 3에 나타내는 안경 본체(1)의 제 1 인터페이스(11)와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제 2 연결 플러그(22)는 도 4에 나타내는 외부 전자 기기(200)의 제 2 인터페이스(201)와 결합할 수 있어, 데이터 케이블(2)을 통해 가상 현실 안경(100)과 외부 전자 기기(200) 사이의 신호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케이블(2)은 사용자가 제 2 인터페이스(201)의 규격에 따라 가상 현실 안경(1)에 해당하는 유형의 데이터 케이블(2)을 배치할 수 있도록, 안경 본체(1)와 신속하게 분해, 분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경 본체(1)는 부동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외부 전자 기기(200)에 적용할수 있으므로, 가상 현실 안경(100)의 범용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제 2 인터페이스(201)의 규격이 USB Type-C의 인터페이스 인 경우, 데이터 케이블(2)은 제 2 연결 플러그(2)가USB Type-C의 플러그인 연결선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인터페이스(201)의 규격이 Lighting(번개)의 인터페이스 인 경우, 데이터 케이블(2)은 제 2 연결 플러그(2)가 Lighting의 플러그인 연결선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안경 본체(1)는 하우징(14)을 구비할 수 있고, 해당 하우징(14)의 사용자 얼굴을 향하는 표면은 제 1 표면(12)이고, 하우징(14)의 외부 전자 기기(200)를 조립하기 위한 표면은 제 2 표면(13)이며, 제 1 인터페이스(11)는 사용자가 데이터 케이블(2)을 안경 본체(1)에 삽착(揷着, 끼워붙임) 또는 분해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우징(14)의 측벽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해당 가상 현실 안경(100)을 착용 한 후, 관용의 오른손으로 해당 데이터 케이블(2)을 삽착 또는 분해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대부분의 사용자의 작업 습관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스(11)를 하우징(14)의 외면 오른쪽에 설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인터페이스(11)를 하우징(14)의 외면 왼쪽 또는 하우징(14)의 내면의 왼쪽 또는 하우징(14)의 내면의 오른쪽 등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가상 현실 안경(100)에 사용되는 데이터 케이블(2)의 구체적인 구조를 제한하지 않고, 실제적으로는 임의의 구조의 데이터 케이블(2)은 안경 본체(1)에 적합하도록 모두 본 발명의 가상 현실 안경(100)에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a와 같이 데이터 케이블(2)은 제 1 단(A)에 위치하는 제 1 연결부(23), 제 2 단(B)에 위치하는 제 2 연결부(24), 및 제 1 단(A)과 제 2 단(B) 사이에 위치하는 데이터 케이블 본체(25)를 구비할 수 있다. 해당 제 1 연결부(23), 제 2 연결부(24)와 데이터 케이블 본체(25) 사이는 물리 회선을 통해 전기적 연결을 실현한다. 해당 제 1 연결부(23)의 단부는 제 1 연결 플러그(21)를 구비하고, 제 2 연결부(24)의 단부는 제 2 연결 플러그(22)를 구비한다. 여기서, 데이터 케이블 본체(25)는 플렉시블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될수 있거나, 혹은 데이터 케이블(2) 전체는 모두 플렉시블 소재로 제조될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전자 기기(200)의 외형 사이즈가 부동함으로 인해 제 1 인터페이스(11)와 제 2 인터페이스(201) 사이의 이격 거리가 변화하는 경우, 이에 따라 해당 데이터 케이블(2)은 적응성 변형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 된 실시예에서는 외부 전자 기기(200)의 외형 사이즈가 비교적 커서 제 1 인터페이스(11)와 제 2 인터페이스(201) 사이의 이격 거리가 비교적 작은 경우, 해당 이격 거리에 적응하도록 데이터 케이블(2)은 만곡이 발생할 수 있다.
도 5b 및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데이터 케이블(2)은 사출 성형에 의해 제 1 연결부(23), 제 2 연결부(24) 및 데이터 케이블 본체(25)를 감싸는 사출 성형 부재(26)를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해당 데이터 케이블(2)의 내부 회로를 보호하여 손상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다른 구조와의 적응성 조립 등을 실현할 수 있다(이하에서 이 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함으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사출 성형 부재(26)는 한 번에 사출 성형 되어도 좋고, 여러번으로 사출 성형되어도 좋다.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5d는 사출 성형 후의 데이터 케이블(2)의 정면도이다. 도 5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5e는 데이터 케이블(2)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5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5f는 데이터 케이블(2)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사출 성형 방법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일종의 경우에는 제 1 연결부(23), 제 2 연결부(24) 및 데이터 케이블 본체(25)를 모두 사출 금형에 넣어, 외부를 감싸는 사출 성형 부재(26)를 한 번에 성형할 수 있다.
다른 일종의 경우에는 제 1 연결부(23), 제 2 연결부(24) 및 데이터 케이블 본체(25)를 모두 제 1 금형에 넣어, 제 1 연결부(23), 제 2 연결부(24) 및 데이터 케이블 본체(25)를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 1 사출 성형 부재(261)를 형성하고, 또한 단독적으로 제 2 금형에 의해 사출하여 제 1 사출 성형 부재(261)와 적합하는 제 2 사출 성형 부재(262)를 얻은 후, 제 1 사출 성형 부재(261)와 제 2 사출 성형 부재(262)를 조립하여 사출 성형 부재(26)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일종의 경우에는 제 1 연결부(23), 제 2 연결부(24) 및 데이터 케이블 본체(25)를 모두 제 1 금형에 넣고 사출하여 제 1 사출 성형 부재(261)를 얻은 후, 제 1 사출 성형 부재(261)의 전체를 제 2 금형에 넣고 사출하여 제 2 사출 성형 부재(262)를 얻어, 사출 성형 부재(26)로 직접 성형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11)가 하우징(14)의 외면의 오른쪽에 설치되는 경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경 본체(1)의 하우징(14)의 표면에 제 1 오목홈(142)이 형성되어도 좋고, 데이터 케이블(2)은 해당 제 1 오목홈(142)이 제 1 연결부(23) 및 데이터 케이블 본체(25)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실시예에서 형성 한 사출 성형 부재(26)를 통해 해당 제 1 오목홈(142)과 적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 케이블(2)에 대한 수용 및 위치 결정을 실현하여, 데이터 케이블(2)이 산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11)는 해당 제 1 오목홈(142)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 1 인터페이스(11)는 해당 제 1 오목홈(142)의 하우징(14)의 내측 방향을 향하는 측면에 위치한다. 그리고 해당 제 1 인터페이스(11)의 인터페이스 규격은 데이터 케이블(2)의 제 1 연결 플러그(21)의 규격과 적합하다.
또한 데이터 케이블(2)이 안경 본체(1)에 조립 된 후, 제 1 연결부(23) 및 데이터 케이블 본체(25)의 적어도 일부 표면은 안경 본체(1)의 하우징(14)의 표면과 일치할 수 있다(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다). 따라서 데이터 케이블(2)과 안경 본체(1)사이의 전체성의 향상에 유리하며, 가상 현실 안경(100)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제 1 오목홈(142)의 구조 및 제 1 인터페이스(11)의 제 1 오목홈(142) 내에서의 설치 방법에 따라, 제 1 연결 플러그(21)는 제 1 인터페이스(11)와 삽착 결합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오목홈(142)은 하우징(14)의 외면이 해당 하우징(14)의 안쪽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해당 제 1 오목홈(142)의 깊이는 데이터 케이블(2)의 데이터 케이블 본체(25)를 설치하기 적합한 두께일 수 있으며, 해당 제 1 오목홈(142)의 폭은 데이터 케이블(2)의 데이터 케이블 본체(25)를 설치하기 적합한 폭일 수 있다. 또한 해당 제 1 오목홈(142)의 내측벽의 모양은 또한 데이터 케이블(2)의 데이터 케이블 본체(25)의 일단의 모양에 적합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11)는 제 1 연결 플러그(21)가 하우징(14)의 외면에 수직되는 방향에 따라 해당 제 1 인터페이스(11)에 삽착되어 안경 본체(1)에 연결되도록, 제 1 오목홈(142)의 해당 깊이 방향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 1 오목홈(142)의 표면은 제 1 연결 플러그(21)가 하우징(14)의 외면에 수직되는것이 아니라 경사지게 제 1 인터페이스(11)에 삽착될 수 있도록 경사 모양을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제 1 연결 플러그(23)와 하우징(14)의 외면 사이의 각도 관계를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해당 제 1 오목홈(142) 및 제 1 인터페이스(11)에 결합하기 위하여, 제 1 연결 플러그(21)는 데이터 케이블 본체(25)가 하우징(14)에 평행되는 경우, 제 1 연결 플러그(21)가 하우징(14)에 수직되게 제 1 인터페이스(11)에 삽착될수 있도록, 제 1 단(A)과 제 2 단(B)의 연결 방향에 수직될수 있으므로(도 6에 나타낸 데이터 케이블(2)은 도 2, 도 5a ~ 5f에 나타낸 실시예와 일치함), 이를 통해 상기의 "해당 제 1 오목홈(142)이 제 1 연결부(23) 및 데이터 케이블 본체(25)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을 최대한 실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오목홈(142)은 하우징(14)의 외면이 해당 하우징(14)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해당 제 1 오목홈(142)의 깊이는 데이터 케이블(2)의 데이터 케이블 본체(25)를 설치하는데 적합한 두께일 수 있으며, 해당 제 1 오목홈(142)의 폭은 데이터 케이블(2)의 데이터 케이블 본체(25)를 설치하는데 적합한 폭일 수 있다. 또한 해당 제 1 오목홈(142)의 내측벽의 모양은 또한 데이터 케이블(2)의 데이터 케이블 본체(25)의 일단을 설치하는데 적합한 모양일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11)는 제 1 연결 플러그(23)가 하우징(14)의 외면에 평행되는 방향에 따라 해당 제 1 인터페이스(11)에 삽착되어 안경 본체(1)에 연결되도록, 제 1 오목홈(142)의 측벽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 1 오목홈(142)의 표면은 제 1 연결 플러그(23)가 하우징(14)의 외면에 평행되는것이 아니라 경사지게 제 1 인터페이스(11)에 삽착될 수 있도록 경사 모양을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제 1 연결 플러그(23)와 하우징(14)의 외면 사이의 각도 관계를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해당 제 1 오목홈(142) 및 제 1 인터페이스(11)에 결합하기 위하여, 도 8에 나타낸 데이터 케이블(2)에 있어서, 제 1 연결 플러그(21)는 데이터 케이블 본체(25)가 하우징(14)에 평행되는 경우, 제 1 연결 플러그(21)가 하우징(14)에 평행되게 제 1 인터페이스(11)와 삽착될 수 있도록, 제 1 단(A)과 제 2 단(B)의 연결 방향에 평행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상기의 "해당 제 1 오목홈(142)이 제 1 연결부(23) 및 데이터 케이블 본체(25)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을 최대한 실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1 인터페이스(11)는 제 1 오목홈(142)의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데이터 케이블(2)의 제 1 연결 플러그(21)의 위치 및 구조도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연결 플러그(21)가 제 1 인터페이스(11)에 조립되는 경우, 상기의 "해당 제 1 오목홈(142)이 제 1 연결부(23) 및 데이터 케이블 본체(25)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을 최대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인터페이스(11)가 하우징(14)의 외면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제 1 인터페이스(11)가 하우징(14)의 외면의 왼쪽 또는 내면의 오른쪽, 내면의 왼쪽 등의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도, 도 6 또는 도 7의 방법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다음의 실시예는 모두 상기의 도 2, 도 5a ~ 5f 및 도 6에 도시 된 실시예의 데이터 케이블(2)을 예로 설명한다.
데이터 케이블(2)의 제 2 연결 플러그(22)와 외부 전자 기기(200)의 제 2 인터페이스(201)의 조립에 관하여, 데이터 케이블(2)의 제 2 연결부(24)를 안경 본체(1)의 해당하는 구조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제 2 연결부(24)의 흔들림에 의하여 제 2 연결 플러그(22)와 제 2 인터페이스(201) 사이의 연결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가상 현실 안경(100)은 도 8에 도시한 체결 구조(3)를 갖출수 있고, 해당 체결 구조(3)는 제 1 체결부(31) 및 제 2 체결부(32)를 구비하고, 제 1 체결부(31) 및 제 2 체결부(32)에 의하여 외부 전자 기기(200)를 양쪽으로부터 체결할 수있고, 체결 후의 상태는 도 1을 참조할 수 있다. 해당 체결 구조(3)는 하기의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함으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데이터 케이블(2)의 제 2 연결부(24)는 상기 제 1 체결부(31) 또는 제 2 체결부(32)와 결합하여, 안경 본체(1)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것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체결부(31)는 제 2 체결부(32)와 비교하여 보다 데이터 케이블(2)에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케이블(2)의 제 2 연결부(24)는 해당 데이터 케이블이 안경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될 수 있도록, 제 1 체결부(31)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체결부(31)에 수용 공간(311)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해당 수용 공간(311)은 데이터 케이블(2)의 제 2 연결부(24)를 수용하는 데 사용될수 있으며, 또한 제 2 연결부(24)와 연결하는 제 2 연결 플러그(22)는 제 2 인터페이스(201)와 쉽게 조립되도룩, 제 1 체결부(31)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외부 전자 기기(200)의 대응하는 단면과 대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여전히 도 9에 나타낸 실시예로 예를 들어, 제 2 연결부(24)가 플렉시블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경우, 수용 공간(311)의 폭 사이즈가 제 2 연결부(24)의 폭 사이즈보다 다소 작게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연결부(24)와 제 1 체결부(31)는 제 2 연결부(24)와 수용 공간(311)의 억지끼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수용 공간(311)을 형성하는 측벽에는 범프(3111)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대응되게 제 2 연결부(24)에는 범프(3111)에 적합한 제 2 오목홈(2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연결부(24)가 제 1 체결부(31)에 조립되는 경우, 범프(3111)와 제 2 오목홈(241)이 결합될 수 있어 제 2 연결부(24)에 대하여 고정 및 위치 제한을 함으로써, 제 2 연결부(24)와 제 1 체결부(31) 사이의 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외력이 제 2 연결부(24)에 작용하여 반대 방향을 따라 범프(3111)와 제 2 오목홈(241)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는 경우, 해당 제 2 연결부(24)를 제 1 고정부(3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 공간(311)은 제 1 체결부(31)의 안경 본체(1)에서 떨어져 있는 표면이 안경 본체(1)의 내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경 본체(1)를 향하는 방향에 따라 데이터 케이블(2)의 제 2 연결부(24)를 체결하여 조립할 수 있어 조작이 편리하다.
또한 가상 현실 안경(100)은 도 8에 도시한 커버 플레이트(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커버 플레이트(4)는 안경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안경 본체(1)에 조립되는 외부 전자 기기(200)를 차폐 및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4)의 안경 본체(1)에 근접하는 일측은(즉, 커버 플레이트(4)의 내면) 수용 공간(311)에 조립되는 데이터 케이블(2)의 제 2 연결부(24)의 표면(즉 제 2 연결부(24)의 커버 플레이트(4)에 대향하는 외면)과 맞닿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커버 플레이트(4)의 조립 방향에서 데이터 케이블(2)에 대해 위치 제한함으로써, 제 1 체결부(31)에 대한 제 2 연결부(24)의 이동을 규제하여, 데이터 케이블(2)의 제 2 연결부(24)가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해를 쉽게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체결 구조(3)와 외부 전자 기기(200)의 결합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 구조(3)의 제 1 체결부(31)는 외부 전자 기기(200)의 제 2 인터페이스(201)를 구비하는 일단에 체결하고, 제 2 체결부(32)는 외부 전자 기기(200)의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에 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체결부(31)와 데이터 케이블(2)의 제 1 단(A) 사이의 거리는 제 2 체결부(32)와 데이터 케이블(2)의 제 1 단(A) 사이의 거리보다 작고, 따라서 데이터 케이블(2)의 제 2 연결 플러그(22)와 외부 전자 기기(200)의 제 2 인터페이스(201)의 삽착을 실현함과 동시에, 데이터 케이블(2)의 길이를 최대한 단축할 수 있어, 데이터 케이블(2)이 가상 현실 안경(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산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해당 체결 구조(3)는 전동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전동부(33)의 양단은 각각 제 1 체결부(31) 및 제 2 체결부(32)에 결합할 수 있으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체결부(31) 및 제 2 체결부(32) 중의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해당 전동부(33)가 다른 하나를 구동하여 해당 미리 설정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규격의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있는 한편 데이터 케이블(2)의 제 2 연결 플러그(22)와 외부 전자 기기(200)의 제 2 인터페이스(201) 사이의 삽착 및 분리에 유리하며, 따라서 외부 전자 기기(200)와 가상 현실 안경(100)의 분해 및 분리를 실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체결부(31) 및 제 2 체결부(32)는 제 4 전동 부재(312) 및 제 5 전동 부재(321)를 각각 구비할 수 있고, 해당 제 4 전동 부재(312) 및 제 5 전동 부재(321)는 전동부(33)의 양단의 제 1 전동 부재(331) 및 제 2 전동 부재(332)에 각각 결합한다. 이와 같이, 외력이 제 2 체결부(32)에 작용하여 제 2 체결부(32)가 도시 된 화살표 C의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제 5 전동 부재(321)는 제 2 전동 부재(332)가 회동하도록 구동하고, 진일보로 제 1 전동 부재(331)가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동하여, 제 4 전동 부재(312)를 도시 된 화살표 D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체결부(31) 및 제 2 체결부(32)는 서로 멀어 질 수 있다. 제 2 체결부(32)가 화살표 C로 표시된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제 1 체결부(31) 및 제 2 체결부(32)는 서로 근접할 수 있다. 외력이 제 1 체결부(31)에 작용하여 해당 제 1 체결부(31)를 이동시키는 경우, 제 2 체결부(32)를 연동시킬 수도 있고,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제 4 전동 부재(312) 및 제 5 전동 부재(321)는 각각 제 1 체결부(31) 및 제 2 체결부(32)에 고정되는 랙일 수있고, 제 1 전동 부재(331) 및 제 2 전동 부재(332)는 각각 해당 랙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랙의 성형 방법에 따라 랙과 제 1 체결부(31) 또는 제 2 체결부(32) 사이에는 여러가지 구조 관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 1 체결부(31)에 결합되는 랙을 예로 들면, 해당 랙은 볼트, 용접, 접착 등의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제 1 체결부(31)에 고정되도록 제 1 체결부(31)와 독립적으로 형성할 수있고, 또는 제 1 체결부(31)에 해당 랙을 직접 가공 성형할 수 있다. 제 4 전동 부재(312), 제 5 전동 부재(321)는 모두 상기의 임의의 구조 관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양자의 대응하는 구조 관계는 동일할 수 있고, 부동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동부(33)는 제 1 전동 부재(331) 및 제 2 전동 부재(332)에 결합되는 제 3 전동 부재(3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제 3 전동 부재(333)는 제 1 전동 부재(331)와 제 2 전동 부재(332)가 연동을 발생되도록할 수있으며, 또한 진일보로 제 1 체결부(31)와 제 2 체결부(32) 사이에 연동이 발생되도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와 같이 해당 제 3 전동 부재(333)는 제 1 전동 부재(331) 및 제 2 전동 부재(332)와 각각 결합하는 제 1 전동축(3331) 및 제 2 전동축(3332)과, 제 1 전동축(3331) 및 제 2 전동축(3332)에 결합되는 결합 소자(3333)를 구비할 수있고, 여기서 제 1 전동축(3331)과 제 2 전동축(3332)의 회동 방향은 서로 반대되고, 이를 통해 제 4 전동 부재(312)와 제 5 전동 부재(321)가 부동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각각 구동하여, 제 1 체결부(31)와 제 2 체결부(32)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는 도 14의 점선 블록과 같이 해당 결합 소자(3333)는 제 1 베벨 기어(3333A) 및 제 2 베벨 기어(3333B)로 이루어진 제 1 베벨 기어 세트와 제 3 베벨 기어(3333C) 및 제 4 베벨 기어(3333D)로 이루어진 제 2 베벨 기어 세트와 제 2 베벨 기어(3333B)와 제 4 베벨 기어(3333D) 사이에 연결되는 회동 축(3333E)을 구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제 1 베벨 기어 세트와 제 2 베벨 기어 세트 사이의 결합에 의해 이동을 전달 함과 동시에 이동 방향을 변경하여, 제 1 체결부(31)와 제 2 체결부(32) 사이의 시프트 연동을 실현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 소자(3333)는 3 쌍이상의 베벨 기어 세트 및 그와 결합되는 회동축을 구비할 수있고,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 소자(3333)는 제 1 전동축(3331) 및 제 2 전동축(3332)과 각각 결합되는 2 개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 현실 안경(100)은 그 중의 하나의 모터가 작동 상태에 있음을 감지 한 경우, 다른 모터를 작동 상태로 전환하여 동일한 기간에 제 1 체결부(31) 및 제 2 체결부(32)가 이동하도록 각각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동축(3331) 및 제 2 전동축(3332)은 각각 대응하는 모터의 동력 출력축일 수 있다. 또는 모터가 다른 전동 구조에 의해 제 1 전동축(3331) 또는 제 2 전동축(3332)에 각각 결합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 연결 플러그(22)에 대한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외부 전자 기기(200)에 대한 조립을 용이하게할 수 있다. 도 15와 같이 외부 전자기기(22)가 최종적으로 제 2 표면(13)에 조립된 경우, 외부 전자 기기(200)의 인터페이스와 제 2 연결 플러그(22)는 모두 수평 체결 각도에 위치한다. 제 2 연결 플러그(22)의 각도의 조절이 불가능한 경우, 제 2 연결 플러그(22)는 항상 수평 체결 각도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외부 전자 기기(200)의 인터페이스와 제 2 연결 플러그(22)를 삽착하는 경우, 제 2 체결부(32)에 의해 저해되어 외부 전자 기기(200)는 제 2 표면(13)과 미리 설정된 협각을 유지하는 상태에서만 제 2 연결 플러그(22)와 삽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외부 전자 기기(200)가 필연적으로 해당 제 2 연결 플러그(22)와 일정한 협각을 이루기때문에, 외부 전자 기기(200)와 제 2 연결 플러그(22)사이의 삽착이 곤란해지고, 또한 제 2 연결 플러그(22)를 삽착하는 과정에서 부러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 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케이블(2)의 제 2 연결부(24)와 제 1 체결부(31)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본 발명은 제 1 체결부(31)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 2 연결 플러그(22)가 미리 설정된 경사 개방 각도(즉, 도 15의 점선으로 나타낸 경우)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제 2 연결 플러그(22)가 외부 전자 기기(200)와 평행되는 위치까지 회동된 경우, 제 2 연결 플러그(22)가 외부 전자 기기(200)의 인터페이스에 평행되게 접속되도록 확보할 수 있어, 이로 인해 삽착이 쉬울뿐만아니라, 제 2 연결 플러그(22)가 부러지는 등의 의도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도 16a, 도 16b와 같이 해당 제 1 체결부(31)는 서로 힌지 연결되는 제 1 체결 베이스(313) 및 제 1 가동 판(314)을 포함할 수 있어, 해당 제 1 체결 베이스(313)는 미리 설정된 최대 경사 개방 각도와 수평 체결 각도 사이에서 제 1 가동 판(314)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제 2 연결 플러그(22)가 미리 설정된 최대 경사 개방 각도와 수평 체결 각도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구동하여, 데이터 케이블(2)과 외부 전자 기기(200)의 조립을 용이하게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체결 베이스(313)는 수평 체결 각도에서 외부 전자 기기(200)의 제 2 인터페이스(201)를 구비하는 일단에 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가동 판(314)은 안경 본체(1)의 제 1 슬라이드 레일(16)에 대하여 슬라이드하여, 제 1 체결 베이스(313)가 안경 본체(1)에 대하여 왕복 운동을 하도록 구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체결부(31)와 제 2 체결부(32) 사이는 도 11 ~ 13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전동부(33)를 통해 결합되고, 또한, 제 2 체결부(32)가 제 2 슬라이드 레일(17)에 대하여 왕복 운동을할 수 있을 경우, 제 2 연결 플러그(22)가 수평 이동 및 수평 방향에 대해 회동하는 2 개의 자유도를 갖도록 하며, 또한 외부 전자 기기(200)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제 1 가동 판(314)의 전동부(33)와 대향하는 일측에 전동부(33)와 결합하는 제 4 전동 부재(312)를 설치할 수있고, 제 1 슬라이드 레일(16)의 해당 위치에 개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4 전동 부재(312)가 상기 개구를 통해 전동부(33)의 제 1 전동 부재(331)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체결부(32)의 전동부(33)와 대향하는 일측에 전동부(33)와 결합하는 제 5 전동 부재(321)를 설치할 수있고, 제 2 슬라이드 레일(17)의 해당 위치에 개구하여, 이로 인해 제 5 전동 부재(321)가 상기 개구를 통해 전동부(33)의 제 2 전동 부재(332)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체결부(32)는 외부 전자 기기(200)의 대응하는 단면과 맞닿는 당접 부재(322)를 구비하여도 좋고, 도 16c 내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당접 부재(322)는 상기 외부 전자 기기(200)와 제 2 체결부(32)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 시키도록, 해당 외부 전자 기기(200)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일부 돌기(3221)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마찰력의 작용에 의해 제 2 체결부(32)에 대한 외부 전자 기기(200)의 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당접 부재(322) 및 / 또는 일부 돌기(3221)는 예를 들어, 실리카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고무·플라스틱 발포 재료 등과 같은 완충 성능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완충 성능을 가지는 당접 부재(322) 및 / 또는 일부 돌기(3221)는 외부 전자 기기(200)의 하우징이 마모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돌기(3221)는 당접 부재(322)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되는 원주형일 수있고, 당접 부재(322)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 된 줄무늬 등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도 16b와 같이 외부 전자 기기(200)의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상 현실 안경(100)은 기기 팝업 구조(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당 기기 팝업 구조(5)는 미리 설정된 개구(18)내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51) 및 지지 부재(51)의 바닥에 설치되는 탄성 소자(5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개구(18)는 안경 본체(1)의 외부 전자 기기(200)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표면에 위치하고, 즉 제 2 표면(13)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해당 탄성 소자(52)는 베이스(521)와 스프링(522)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521)는 하나의 상단 개구가 설치되고, 스프링(522)은 상기 상부 개구를 통해 해당 베이스(521)내에 설치되고 또한 해당 상부 개구와 해당 미리 설정된 개구(18)가 적합하고, 지지 기둥(51)이 해당 미리 설정된 개구(18)를 관통하여 스프링(522)과 적합하여, 기둥(51) 및 스프링(522)이 미리 설정된 개구(18)에 따라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외부 전자 기기(200)에 대한 팝업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6c와 같이 외부 전자 기기(200)가 조립하지 않은 경우, 지지 부재(51)는미리 설정된 개구(18)로부터 적어도 일부는 돌출할 수있고, 탄성 소자(52)는 거의 변형이 존재 하지 않는다. 도 16d와 같이 외부 전자 기기(200)가 대응하는 표면에 체결되는 경우, 해당 외부 전자 기기(200)는 상기 지지 부재(51)를 누르고, 또한 지지 부재(51)의 바닥의 탄성 소자(52)는 압력을 받아 초기 상태에서 압축 상태로 변화하고, 또한, 지지 부재(51)는 적어도 일부는 해당 미리 설정된 개구(18)로 퇴피한다. 예를 들어, 도 16b에 도시 된 실시예에서는 스프링(522)이 초기 상태에서 압축되어 압축 상태로 변화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16e와 같이 체결 구조(3)가 해당 외부 전자 기기(200)에 대한 체결을 해제하는 경우, 해당 탄성 소자(52)는 외부의 탄성력이 사라지기 때문에, 압축 상태에서 서서히 초기 상태로 회복되고, 예를 들어, 도 16b에 도시 된 실시예에서는 스프링(522)이 압축 상태에서 서서히 초기 상태로 회복됨으로써, 외부 전자 기기(200)로 향하는 반작용력이 발생하여 해당 지지 부재(51)가 해당 미리 설정된 개구(18)로부터 벗어나도록 구동하여 해당 외부 전자 기기(200)를 지지하고, 이를 통해 외부 전자 기기(200)와 대향하는 표면 사이에 일정한 협각을 형성하여, 도 16f와 같이 사용자가 해당 외부 전자 기기(200)에 대한 분해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기기 팝업 구조(5)가 외부 전자 기기(200)에 대한 상향의 지지에 의하여 제 2 연결 플러그(22)가 제 2 연결부(24)에 대하여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기기 팝업 구조(5)를 제 2 체결부(32)의 주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설치할 수도있다. 여기서 외부 전자 기기(200)가 팝업되는 과정에서 균형을 유지하여 경사지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기 팝업 구조(5)는 복수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방안에 따르면, 도 18과 같이 가상 현실 안경(100)은 안경 본체(1)를 사용자 얼굴에 고정하는 착용 구조(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착용 구조(6)는 제 1 밴드(61), 연결부(62) 및 제 2 밴드(6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밴드(61)의 양단은 사용자의 머리에 적합한 환상 구조를 형성하도록 각각 안경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밴드(63)는 일단이 안경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연결부(62)에 연결된다. 가상 현실 안경(100)이 착용 상태에 있는 경우, 해당 제 1 밴드(61) 및 제 2 밴드(63)는 거의 수직 상태에 위치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 현실 안경(100)을 안정적으로 착용하도록 확보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과 같이 해당 연결부(62)는 스토퍼(621)를 갖출 수 있고, 해당 스토퍼(621)는 개구(6211)가 설치되고, 이에 따라 제 1 밴드(61)가 연결부(62)의 일측에서 개구(6211)를 통하여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하고, 제 1 밴드(61)와 제 2 밴드(63)사이의 분리를 용이하게 실현하여, 사용자가 해당 가상 현실 안경(100)을 용이하게 착용하도록 한다. 또한, 제 1 밴드(61) 및 제 2 밴드 63 중의 하나는 부동한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에 적응하도록, 탄성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있고, 또한 모두 탄성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21과 같이 해당 가상 현실 안경(100)은 보호 구조(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보호 구조(7)는 안경 본체(1)의 사용자 얼굴을 향하는 표면과 적합한 밀착부(71)와 사용자 얼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사용자 얼굴에 적합한 결합부(7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해당 보호 구조(7)는 사용자의 사용 쾌적감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완충 성능을 갖는 재질로 제조할 수있고, 밀착부(71)는 접착 또는 벨크로 방식으로 대응하는 표면에 밀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하우징(14)은 통풍구(141)를 구비할 수있고, 상기 통풍구(141)는 가상 현실 안경(100)이 방열하도록 하우징(14)의 내부 공간과 하우징(14)의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당업자는 명세서에 대한 이해 및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에 대한 실시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변형, 사용 또는 적당한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사용 또는 적당한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르며, 본 발명에서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 기술 또는 통상의 기술 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취지는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도면에 도시된 특정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그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상황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 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28)

  1. 가상 현실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외부 전자 기기와 조립할 수있는 안경 본체와,
    제 1 단에 위치하는 제 1 연결 플러그 및 제 2 단에 위치하는 제 2 연결 플러그를 포함하는 데이터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연결 플러그는 상기 데이터 케이블과 상기 안경 본체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안경 본체의 제 1 인터페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제 2 연결 플러그는 상기 외부 전자 기기의 제 2 인터페이스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경 본체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사용자 얼굴을 향하는 표면은 제 1 표면이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외부 전자 기기를 조립하기 위한 표면은 제 2 표면이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제 1 표면 측에 형성된 내부 공간과 상기 하우징의 제 2 표면 측에 형성된 외부를 연통하는 통풍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경 본체는 상기 제 1 표면과 적합한 밀착부와, 사용자 얼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사용자 얼굴에 적합한 결합부를 구비하는 보호 구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호 구조는 완충 성능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케이블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 사이의 이격 거리에 적응하도록 플렉시블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경 본체의 상기 하우징은 제 1 오목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오목홈 내에 위치하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은 상기 제 1 단에 위치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단에 위치하는 제 2 연결부와 상기 제 1 단과 상기 제 2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데이터 케이블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오목홈은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데이터 케이블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케이블은 적어도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데이터 케이블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또한 상기 제 1 오목홈에 적합한 사출 성형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플러그가 상기 제 1 단과 상기 제 2 단의 연결 방향에 수직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 1 오목홈의 바닥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연결 플러그가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안경 본체에 연결될 수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연결 플러그가 상기 제 1 단과 상기 제 2 단의 연결 방향에 평행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 1 오목홈의 측벽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연결 플러그가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평행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안경 본체에 연결될 수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케이블이 상기 안경 본체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데이터 케이블 본체의 적어도 일부 표면은 각각 상기 안경 본체의 하우징의 표면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기기를 상기 안경 본체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구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 구조는 제 1 체결부 제 2 체결부 및 전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부의 양단은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 중의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전동부가 다른 하나를 구동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동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는 각각 랙을 구비하고, 상기 랙은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가 연동을 발생하도록 각각 상기 전동부의 양단의 기어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동부는
    상기 제 1 체결부와 결합하는 제 1 전동 부재와,
    상기 제 2 체결부와 결합하는 제 2 전동 부재와,
    상기 제 1 전동 부재 및 상기 제 2 전동 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2 체결부 사이에 연동이 발생할 수있도록 상기 제 1 전동 부재 및 상기 제 2 전동 부재를 연동시기 위한 제 3 전동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3 전동 부재는 상기 제 1 전동 부재 및 상기 제 2 전동 부재와 각각 결합하는 제 1 전동축 및 제 2 전동축과, 상기 제 1 전동축 및 상기 제 2 전동축과 결합하는 결합 소자를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전동축과 상기 제 2 전동축의 회동 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결합 소자는
    적어도 한 쌍의 서로 맞물리는 베벨 기어 세트 및 모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제 2 단은 상기 제 1 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여기서,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제 1 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체결부와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제 1 단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제 2 연결 플러그가 미리 설정된 최대 경사 개방 각도와 수평 체결 각도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수평 체결 각도로 상기 외부 전자 기기의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갖는 일단에 체결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체결부는 상기 외부 전자 기기의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일단에 체결할 수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수평 체결 각도로 상기 외부 전자 기기의 일단에 체결할 수있는 제 1 체결 베이스와,
    상기 제 1 체결 베이스가 최대 경사 개방 각도와 수평 체결 각도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상기 제 1 체결 베이스와 힌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 1 체결 베이스가 상기 안경 본체상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안경 본체의 제 1 슬라이드 레일에 따라 슬라이드할 수있는 제 1 가동 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케이블은 상기 제 1 단에 위치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단에 위치하는 제 2 연결부와, 상기 제 1 단과 상기 제 2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데이터 케이블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제 2 연결부가 상기 제 1 체결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 2 연결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는 제 1 체결부에 체결되어 조립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억지끼워지거나,
    또는,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에 위치하는 범프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범프에 적합한 제 2 오목홈을 구비하여, 상기 제 2 연결부와 상기 제 1 체결부가 상기 범프와 상기 제 2 오목홈의 결합을 통하여 체결되어 조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제 1 체결부의 상기 안경 본체에서 떨어진 표면이 상기 안경 본체의 내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9에 기재된 가상 현실 안경.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기 안경 본체에 근접하는 일측은 상기 수용 공간에 조립 된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제 2 연결부의 표면과 맞닿을 수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2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부는 상기 외부 전자 기기의 대응하는 단면과 맞닿는 당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당접 부재는 상기 외부 전자 기기와 상기 제 2 체결부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 시키도록 상기 외부 전자 기기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일부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당접 부재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고무·플라스틱 발포 재료, 실리카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25. 청구항 11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개구내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바닥에 설치되는 탄성 소자를 구비하는 기기 팝업 구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개구는 상기 안경 본체의 상기 외부 전자 기기에 대향하는 표면에 위치하고,
    여기서, 상기 외부 전자 기기가 상기 안경 본체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지지 부재를 누름으로써 상기 탄성 소자에 변형이 발생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개구내에 퇴피하고, 또한, 체결 구조가 상기 외부 전자 기기에 대한 체결을 해제할 경우, 상기 탄성 소자는 상기 지지 부재를 구동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개구에서 돌출하도록 하여, 상기 외부 전자 기기를 지지할 수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기기 팝업 구조는 상기 제 2 체결부 주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27. 청구항 1에 있어서,
    착용시에 상기 안경 본체를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하는 착용 구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착용 구조는
    사용자의 머리에 적합한 환상 구조를 형성하도록 각각 상기 안경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밴드와,
    개구가 형성된 스토퍼를 구비하는 연결부와,
    일단이 상기 안경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 2 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밴드는 상기 제 1 밴드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삽입될 수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안경.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 1 밴드 및 상기 제 2 밴드 중의 적어도 하나는 탄성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7에 기재된 가상 현실 안경.
KR1020187031836A 2017-07-19 2017-11-24 가상 현실 안경 KR1021942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591296.2A CN107238930A (zh) 2017-07-19 2017-07-19 虚拟现实眼镜
CN201710591296.2 2017-07-19
PCT/CN2017/112879 WO2019015192A1 (zh) 2017-07-19 2017-11-24 虚拟现实眼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913A true KR20190019913A (ko) 2019-02-27
KR102194229B1 KR102194229B1 (ko) 2020-12-23

Family

ID=59991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836A KR102194229B1 (ko) 2017-07-19 2017-11-24 가상 현실 안경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80383B2 (ko)
EP (2) EP3855237A3 (ko)
JP (1) JP6649466B2 (ko)
KR (1) KR102194229B1 (ko)
CN (1) CN107238930A (ko)
RU (1) RU2688278C1 (ko)
WO (1) WO20190151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666A (ko) 2019-07-23 2021-02-02 백종민 안경 부착형 길 안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3413B2 (en) * 2016-09-28 2019-05-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linking mobile computing devices for virtual reality experiences
CN107238930A (zh) 2017-07-19 2017-10-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虚拟现实眼镜
USD885385S1 (en) * 2017-12-13 2020-05-26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Virtual reality goggles
CN108445638A (zh) * 2018-05-21 2018-08-24 小派科技(上海)有限责任公司 头戴式显示装置
CN110134197A (zh) * 2019-06-26 2019-08-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可穿戴式控制设备、虚拟/增强现实系统及控制方法
CN112037673B (zh) * 2020-09-16 2022-07-15 中航华东光电有限公司 一种微小型oled头显像源产品架构
CN112053594A (zh) * 2020-10-12 2020-12-08 浙江丹晨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国防教育用虚拟现实装置
KR102385962B1 (ko) * 2020-11-20 2022-04-15 (주)한보이앤씨 접안패드 및 접안패드 제작방법
CN113375912A (zh) * 2021-07-13 2021-09-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7999527A (zh) * 2021-09-22 2024-05-07 苹果公司 具有模块化条带的可头戴式显示器
WO2024058459A1 (ko) * 2022-09-13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발열원들에 대한 방열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6931280B (zh) * 2023-09-15 2023-12-22 歌尔股份有限公司 头戴显示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228A (ko) *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60267712A1 (en) * 2015-03-09 2016-09-15 Google Inc. Virtual reality headset connected to a mobile computing device
KR20170023030A (ko) * 2014-05-30 2017-03-02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아메리카 엘엘씨 가상 환경 컨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hmd)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7025A (ja) * 1999-06-16 2000-12-26 Shimadzu Corp ウェアラブルコンピュータ用ベース
CN1815437A (zh) * 2005-02-04 2006-08-09 乐金电子(中国)研究开发中心有限公司 一种外置头戴式手机显示装置及方法
US20070248238A1 (en) * 2005-12-13 2007-10-25 Abreu Marcio M Biologically fit wearable electronics apparatus and methods
US20080273166A1 (en) * 2007-05-04 2008-11-06 William Kokonaski Electronic eyeglass frame
US8957835B2 (en) * 2008-09-30 2015-02-17 Apple Inc.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for retain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US10748447B2 (en) * 2013-05-24 2020-08-18 Lincoln Global, Inc.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a computerized eyewear device to aid in welding
US9854196B2 (en) * 2012-11-28 2017-12-26 Beijing Lenovo Software Ltd. Head-mounted electronic device and audio processing method
GB2499102B (en) 2013-01-11 2013-12-25 Mvr Global Ltd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9529194B2 (en) * 2013-11-21 2016-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JP2017511041A (ja) * 2014-02-18 2017-04-13 マージ ラブ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バイ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ゴーグル
CA2945842C (en) * 2014-04-14 2020-09-22 Tremolant Inc. Augmented reality communications
CN105223692A (zh) * 2014-05-26 2016-01-06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装置和电子设备
JP2016005125A (ja) * 2014-06-17 2016-01-12 株式会社ネクストシステム ヘッドマウント型装置及びヘッドマウント型情報表示システム
KR102230076B1 (ko) * 2014-09-01 2021-03-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DE102014017534A1 (de) * 2014-11-24 2016-05-25 Carl Zeiss Ag Anzeigevorrichtung, die auf den Kopf eines Benutzers aufsetzbar ist
SE538390C2 (en) * 2014-11-27 2016-06-07 Mobile Vr Sweden Ab Device for viewing stereoscopic 3D images
US9897812B2 (en) * 2015-01-22 2018-02-20 Oculus Vr, Llc. Strap system for virtual reality head-mounted display
CN104849864A (zh) * 2015-06-05 2015-08-19 罗明杨 虚拟现实眼镜
KR102568772B1 (ko) * 2015-09-25 2023-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KR20170046415A (ko) * 2015-10-21 201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62876A (ko) * 2015-11-30 201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장치 및 이에 탈부착 가능한 장치
CN205643854U (zh) * 2016-03-31 2016-10-12 中山品创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vr眼镜
CN205643859U (zh) * 2016-04-22 2016-10-12 深圳多哚新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虚拟现实设备及其前盖装置
CN205720885U (zh) * 2016-05-25 2016-11-23 陈伟平 一种带线孔的虚拟现实眼镜
CN205899147U (zh) * 2016-07-27 2017-01-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虚拟现实眼镜
CN106154555B (zh) * 2016-08-24 2020-08-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虚拟现实眼镜
CN206057698U (zh) * 2016-08-31 2017-03-29 廖建康 一种一体式vr虚拟现实3d眼镜
CN106597671A (zh) * 2017-02-13 2017-04-26 林映元 便携式虚拟现实眼镜及3d显示装置
CN106873159A (zh) * 2017-02-27 2017-06-2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虚拟现实头戴设备
US10466740B2 (en) * 2017-05-31 2019-11-05 Facebook Technologies, Llc Metal frame of head mount device having impact absorbing walls
CN107238930A (zh) * 2017-07-19 2017-10-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虚拟现实眼镜
CN207216148U (zh) * 2017-07-19 2018-04-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虚拟现实眼镜
RU2691842C1 (ru) * 2017-07-19 2019-06-18 Бейдзин Сяоми Мобайл Софтвэр Ко., Лтд. Линия подачи данных для очков виртуальной реальност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030A (ko) * 2014-05-30 2017-03-02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아메리카 엘엘씨 가상 환경 컨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hmd) 시스템
KR20160105228A (ko) *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60267712A1 (en) * 2015-03-09 2016-09-15 Google Inc. Virtual reality headset connected to a mobile comput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666A (ko) 2019-07-23 2021-02-02 백종민 안경 부착형 길 안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5192A1 (zh) 2019-01-24
JP2019527861A (ja) 2019-10-03
KR102194229B1 (ko) 2020-12-23
US10580383B2 (en) 2020-03-03
JP6649466B2 (ja) 2020-02-19
RU2688278C1 (ru) 2019-05-21
EP3855237A2 (en) 2021-07-28
EP3432052B1 (en) 2021-02-17
EP3432052A2 (en) 2019-01-23
CN107238930A (zh) 2017-10-10
EP3855237A3 (en) 2021-10-20
US20190027115A1 (en) 2019-01-24
EP3432052A3 (en)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9913A (ko) 가상 현실 안경
US8735721B2 (en) Case for housing and protecting an electronic device
US9869874B2 (en) Portable virtual reality glasses
US9756915B2 (en)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movable sensor cover
US9466927B2 (en) Docking station with integral device support structure
CN105764281A (zh) 保护壳
KR200467827Y1 (ko) 다용도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US20190307217A1 (en)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WO2021109903A1 (zh) 保护壳体和头戴式设备
CN211149071U (zh) 头戴式设备
CN210630774U (zh) 电子产品保护套
JP6630428B2 (ja) 仮想現実メガネのデータ接続線
CN107275904B (zh) 虚拟现实眼镜的数据连接线
US20220299780A1 (en) Head-mounted device
CN114415373A (zh) 头戴式设备
KR200480392Y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휴대용 단말기 고정 프레임
CN211426935U (zh) 头戴式设备
CN211426931U (zh) 头戴式设备
JP6299205B2 (ja) 電子機器
CN215910873U (zh) 头戴式装置
CN211149072U (zh) 头戴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