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679A -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 - Google Patents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679A
KR20190019679A KR1020170104911A KR20170104911A KR20190019679A KR 20190019679 A KR20190019679 A KR 20190019679A KR 1020170104911 A KR1020170104911 A KR 1020170104911A KR 20170104911 A KR20170104911 A KR 20170104911A KR 20190019679 A KR20190019679 A KR 20190019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vessel
surgery
holder
ligation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684B1 (ko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길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70104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68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9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61B17/128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78Operations on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혈관 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로드부와 로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몸체부와 로드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술 시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를 수행하는 작업부재를 포함하며, 몸체부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재와 파지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술자는 복강경 수술 시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클리핑(Clipping)하는 시점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정교한 수술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Laparoscopic Surgery Apparatus}
본 발명은 의료분야에서 사용되는 의료기기의 일종인 복강경 수술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혈관 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강경 수술은 복부에 큰 절개창을 열고 시행하는 개복 수술과 달리, 복부에 0.5~1.5cm 크기의 작은 구멍(절개창)을 여러 개 내고, 그 안으로 비디오카메라와 각종 기구들을 넣고 시행하는 수술 방법으로 ‘최소 침습 수술’이라고도 불린다. 복강경 수술은 전통적인 개복 수술과 비교하였을 때, 환자의 입장에서는 절개창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상처가 작게 남아 미용적으로 보기 좋고, 창상으로 인한 통증이 훨씬 작다. 또한 빠른 회복속도를 보이므로 개복 수술에 비하여 재원기간이 짧고, 일상생활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최근에는 일부 암을 제외한 거의 모든 분과의 대부분 질환에서 복강경 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통상적인 복강경 수술의 경우 환자가 마취된 이후 환자의 배꼽 부위에 바늘을 찔러서 기복(복강 내에 이산화탄소를 넣어서 복강을 부풀어오르게 하는 것) 상태를 만들고, 적절한 위치에 필요한 개수만큼의 투관침을 뚫는다. 투관침을 통하여 카메라를 넣으면 이를 통해 복강 내 영상이 수술자 앞의 모니터에 비춰지며, 수술자는 모니터를 보면서 적절한 복강경 수술기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시술을 수행한다.
상술한바와 같이 시술자는 작은 절개창의 삽입된 카메라를 통하여 수술이 시술되기 때문에 시야가 제한되고 수술기재의 가동범위의 제한 등이 수반된다. 특히 복강경 수술 시 혈관의 결찰 또는 박리를 위한 클리핑(Clipping)이 필요한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종래의 복강경 수술기구로는 수술 시 동시에 클리핑(Clipping)을 진행할 수 없어 외부적인 조력을 받아 수술기구를 번갈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작은 절개창을 통해 수술이 진행되는 복강경 수술의 특성상 이러한 수술기구의 반복적인 교체는 수술시간이 늘어나며 수술 과정이 복잡해지는 일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클립을 이용하는 방법은 간단하고 조작이 쉬우며 수술 종료 시점에 제거하게 되므로 조직 손상이 없어 상처 회봉에도 도움이 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클리핑(Clipping)을 할 때 시술자의 압력에 따라 클립이 원하는 부위에 결찰되는 시점을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시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동시에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로드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술 시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를 수행하는 작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재와 상기 파지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업부재는, 혈관의 결찰 시 사용되는 수술용 클립(Clip)이 거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양측에 구비되어 수술 시 혈관을 지지하거나 혈관을 벌려주는 혈관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혈관지지부재는 상기 힌지결합부재의 회동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트리거(Trigg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의 동작에 의해 상기 홀더에 거치되는 수술용 클립이 수술 시 필요한 부위로 클리핑(Clipping) 하는 동작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유압 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트리거에 가해지는 외력을 일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리거에 가해지는 제1압력에 의해 상기 수술용 클립이 상기 홀더에 형성되는 거치부재에 거치되고, 상기 제1압력보다 더 큰 제2압력에 의해 상기 수술용 클립이 클리핑 하는 동작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전력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력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상기 작업부재에 열에너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부는 회전이 가능한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작업부재가 상기 로드부 안으로 인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강경 수술 시 시술자는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클리핑(Clipping)하는 시점을 시술자가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정교한 수술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의 작업부재의 확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의 몸체부의 확대도이다.
도4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와 전력생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따른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의 실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는 제2구성요소는 제1구송요소로도 명명 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따라서 논리적으로 기술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도1의 작업부재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3은 도1의 몸체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100)는 로드부(110), 로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몸체부(130)와 로드부에서 몸체부가 구비되는 측면의 타측에 구비되는 작업부재(15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로드부(110)는 수술환경에 맞춰 시술자에게 적합한 정도의 길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작업부재(150)는 수술이 진행되는 로드부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몸체부(130)는 상기 작업부재의 반대편 로드부의 타단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작업부재(150)는 혈관의 결찰 시 사용되는 수술용 클립(Clip)이 거치되는 홀더(151)와 상기 홀더의 양측에 구비되어 수술시 혈관을 지지하거나 혈관을 벌려주는 혈관지지부재(153)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홀더에 거치되는 수술용 클립(Clip)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을 것이며 예를 들어 Hans Clip, Automated Clip 등의 다양한 종류의 클립이 거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재(131)와 상기 파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부재(133)와 상기 몸체부의 어느 일면에 구비되는 트리거(135)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재와 회동부재는 시술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로드부(110)의 어느 일측에는 회전이 가능한 회전부재(1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1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드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작업부재(150)가 상기 로드부의 안으로 인입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수술에서는 수술에 참여하는 인원들 간에 다양한 수술기구들이 전달되어 진다. 이 때 수술 시 사용되는 의료기기는 특성상 보통 날카로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수술 시 또는 보관 시 사용자에게 상처를 낼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수술 시에 생기는 상처는 2차적인 감염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회전부재(111)의 구비에 따라 작업부재(150)는 상기 로드부 안으로 인입이 가능하여 시술자가 수술 시에는 회전부재를 회전하여 상기 작업부재를 상기 로드부의 끝단에 위치시키고, 보관 시나 상대방에게 전달할 때에는 상기 작업부재를 로드부에 인입시켜 보다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의 실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100)는 몸체부에 형성된 파지부재(131)와 상기 힌지결합부재(133)에 의해 사용자에게 고정되며 상기 힌지결합부재(133)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작업부재(150)에 구비되는 혈관지지부재(153)가 혈관을 지지하거나 혈관을 서로 이격하기 위해서 양옆으로 벌어지는 작동을 수행할 것이다. 한편 도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되는 태양은 일점을 기준으로 상기 혈관지지부재(153)가 벌어지거나(도5b), 서로 평행하게 벌어질 수 있으며(도5a) 반드시 도면에 표시된 실시상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또한 상기 혈관지지부재(153)의 형상은 혈관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격시키거나지지 할 수 있는 여러 형상을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면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격되는 혈관의 거리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혈관지지부재(153)는 수술 시 조직박리에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혈관의 결찰을 위해 클리핑하는 동작에서 혈관을 서로 이격시켜 시술자가 원하는 혈관에 정확히 클리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100)의 클리핑(Clipping) 동작은 상기 몸체부(130)의 어느 일측에 구비된 트리거(Trigger)(135)에 의해 구동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시술자가 상기 트리거(135)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홀더(151)에 거치되는 수술용 클립(Clip)이 시술자가 원하는 부위에 클리핑(Clipping)하는 동작을 수행할 것이다. 덧붙여 상기 홀더(151)는 상기 수술용 클립이 상기 홀더의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거치부재(1511)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거치부재(1511)는 홀더에 안착된 수술용 클립이 홀더(15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수술용 클립이 클리핑(Clipping) 동작을 위해 상기 홀더에서 이탈되는 경우 상기 수술용 클립의 끝단을 모아주면서 시술자가 원하는 부위에 클리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핑(Clipping) 동작은 상기 트리거(135)에 시술자가 제1압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홀더(151)에 거치되어 있는 수술용 클립이 상기 홀더의 거치부재(1511)에 위치하게 되어 클리핑(Clipping) 동작을 준비하고 시술자가 상기 제1압력보다 더 큰 압력인 제2압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수술용 클립이 상기 홀더(151)에서 이탈하여 시술자가 원하는 부위에 클리핑(Clipping)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와 전력생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를 참고하면 상기 복강경 수술기구의 몸체부(130)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 케이블 단자를 통해 외부에 위치한 전력생성부(200)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전력생성부(200)는 상기 복강경 수술기구(100)에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공급된 전력은 작업부재(150)에 열에너지로 전달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생성부(20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Bovie, 전기수술기, 전기소작기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전력생성부(200)에서 전달되는 전력을 상기 작업부재(150)의 홀더(151) 또는 혈관지지부재(153)에 열에너지로 전달함으로써 시술자는 수술 시 예기치 못한 혈관의 손상에 따른 출혈이 발생할 시, 또는 클리핑(Clipping)을 수행하기에는 혈관의 크기가 매우 미세한 경우에는 상기 전달된 열에너지를 통해 혈관의 출혈(Bleeding)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100 :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
110 : 로드부
111 : 회전부재
130 : 몸체부
131 : 파지부재
133 : 힌지결합부재
134 : 트리거
150 : 작업부재
151 : 홀더
153 : 혈관지지부재
200 : 전력생성부

Claims (7)

  1.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로드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술 시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를 수행하는 작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재와 상기 파지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혈관 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재는,
    혈관의 결찰 시 사용되는 수술용 클립(Clip)이 거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양측에 구비되어 수술 시 혈관을 지지하거나 혈관을 벌려주는 혈관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혈관지지부재는 상기 힌지결합부재의 회동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트리거(Trigg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의 동작에 의해 상기 홀더에 거치되는 수술용 클립이 수술 시 필요한 부위로 클리핑(Clipping) 하는 동작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유압 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트리거에 가해지는 외력을 일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에 가해지는 제1압력에 의해 상기 수술용 클립이 상기 홀더에 형성되는 거치부재에 거치되고, 상기 제1압력보다 더 큰 제2압력에 의해 상기 수술용 클립이 클리핑 하는 동작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전력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력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상기 작업부재에 열에너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회전이 가능한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작업부재가 상기 로드부 안으로 인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
KR1020170104911A 2017-08-18 2017-08-18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 KR102042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911A KR102042684B1 (ko) 2017-08-18 2017-08-18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911A KR102042684B1 (ko) 2017-08-18 2017-08-18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679A true KR20190019679A (ko) 2019-02-27
KR102042684B1 KR102042684B1 (ko) 2019-11-08

Family

ID=65560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911A KR102042684B1 (ko) 2017-08-18 2017-08-18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6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651A (ko) 2020-01-20 2021-07-28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4102A (ja) * 2002-01-03 2005-05-19 スタリオン・インストゥルメンツ・コーポレイション 切開、焼灼およびステープル留めする装置を併設した装置
KR20100091952A (ko) * 2007-10-31 2010-08-19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의료용 머니퓰레이터
KR101511086B1 (ko) * 2013-12-02 2015-04-10 국립암센터 속집게가 내장된 폐루프형 지혈클립 장치
KR20170022569A (ko) * 2015-08-21 2017-03-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압식 내시경 장치
US20170119398A1 (en) * 2013-07-10 2017-05-0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Grasping and Wound Closing/Hemostasis/Clipp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4102A (ja) * 2002-01-03 2005-05-19 スタリオン・インストゥルメンツ・コーポレイション 切開、焼灼およびステープル留めする装置を併設した装置
KR20100091952A (ko) * 2007-10-31 2010-08-19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의료용 머니퓰레이터
US20170119398A1 (en) * 2013-07-10 2017-05-0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Grasping and Wound Closing/Hemostasis/Clipping Device
KR101511086B1 (ko) * 2013-12-02 2015-04-10 국립암센터 속집게가 내장된 폐루프형 지혈클립 장치
KR20170022569A (ko) * 2015-08-21 2017-03-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압식 내시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684B1 (ko)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6933B2 (en) Surgical instrument housing incorporating a channel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499948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laparoscopic surgery
JP4049275B2 (ja) 最小侵入外科手術用のシステム、方法、機器
EP0920280B1 (en) Fingertip-mounted minimally invasive surgical instruments
US5441059A (en) Method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
KR102013539B1 (ko) 최소 절개 수술 조립체 및 방법
US20130085494A1 (en) Laparoscopic device with three jaws
JP2012522576A (ja) 外科用装置および方法
WO1999017661A1 (en) Subcutaneous endoscopic dissector
EP2939618B1 (en) Surgical instrument
KR102268211B1 (ko) 교환 수술 접근 포트 어셈블리 및 그의 사용 방법
KR20190019679A (ko) 혈관결찰 또는 조직박리가 가능한 복강경 수술기구
CN204484195U (zh) 腹腔镜手术用拉钩
US11864752B2 (en) Endoscopic stitching device for supporting suture needles in various orientations
CN113712617A (zh) 一种多功能持针器械
JP2014512870A (ja) 腹腔鏡下手術用開創器
CN214857060U (zh) 一种多功能持针器械
WO2007067556A2 (en) Endoscopic combination grasping and cutting instruments and related methods of generally concurrently cutting and capturing suture remnants
CN215458488U (zh) 一种腹腔镜用免穿刺套管微针套拉器
WO2007075882A2 (en) Atraumatic curvilinear atrial retractors and related methods
Otani et al. Haemostatic dissection devices: today's clinical experience and future options
Borin Laparoscopic and robotic instrumentation for urologic reconstructive surgery in adults
JP3689145B2 (ja) 血管保護具
CN111839627A (zh) 端口部位切口闭合装置
JPH0819550A (ja) トロカール管及びそれを備えたトロカ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