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447A -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 - Google Patents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447A
KR20190019447A KR1020170104350A KR20170104350A KR20190019447A KR 20190019447 A KR20190019447 A KR 20190019447A KR 1020170104350 A KR1020170104350 A KR 1020170104350A KR 20170104350 A KR20170104350 A KR 20170104350A KR 20190019447 A KR20190019447 A KR 20190019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ance belt
lubricant
magnetic
magnetic support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산
Priority to KR1020170104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9447A/ko
Publication of KR20190019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4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5/00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 C10M175/0066Use of electrical and magnet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32Magnetic separation acting on the medium containing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e.g. magneto-gravimetric-, magnetohydrostatic-, or magnetohydrodynamic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2Wires, ropes or cables lubricants
    • C10N2240/5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사용 시에도 재생윤활제의 생산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윤활제 입자와 산화철 등 철분입자의 분리배출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소정의 폭을 가진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의 일측에서 상기 이송벨트를 걸어 구동시키는 구동롤러와, 상기 이송벨트의 타측에서 이송벨트가 걸려 표면의 일부를 따라 이동하고 자력이 발생하는 마그네틱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마그네틱지지체 사이에는 자력발생체가 없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Lubricant Recycling Machine For Steel Wire Drawing}
본 발명은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틸와이어의 인발 가공 등에 사용된 건식 폐윤활제에서 산화철 및 철분입자를 제거함으로써 건식 폐윤활제를 재생할 수 있는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에 관한 것이다.
연강 또는 경강의 금속선재를 인발 가공 시 사용하는 건식 신선윤활제는 인발과정의 높은 온도로 인한 탄화반응과 선재가 다이(dies)를 거치는 과정에서 철분입자가 유입됨으로서 재사용하지 못하고 그대로 폐기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공정 도중에 발생되는 폐윤활제는 45%이상이 사용 가능한 상태이고, 신선가공 공정 중 일부 공정에서는 순도가 떨어지는 재생윤활제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그것을 재활용함으로서 수입에 의존하는 건식 윤활제의 상당량을 대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기되는 건식 윤활제를 수거하여 재생하기 위한 건식 폐윤활제 재생장치가 개발될 필요가 있었으나, 아직까지 상용화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한편, 도 1은 건식 폐윤활제의 재생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마그네틱 분리기로서, 각종 원료로부터 자력으로 철분을 분리할 목적으로 개발된 마그네틱 분리기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 개발된 마그네틱 분리기는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하는 회전드럼(3)이 설치되고, 그 회전드럼(3)의 내부에 고정된 영구자석(2)이 원호의 형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원료공급구를 통해 투입된 원료(1)는 회전드럼의 상부표면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리고, 그 과정에서 원료(1)에 포함되어 있던 철분은 내부의 자석(2)에 끌려 회전드럼(3)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자석에 끌리지 않는 순수한 원료(5)는 원료배출구(5)로 낙하됨으로써 순수한 원료만이 분리되어 저장될 수 있고, 회전드럼(3)과 함께 회전된 철분(6)은 자석(2)이 없는 영역에 도달될 때, 회전드럼(3)으로부터 이탈하여 철분배출구(8)로 낙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9는 원료를 털어내는 브러시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마그네틱 분리기는 원형의 회전드럼(3)을 사용하여 분리작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낙하하는 철분입자가 회전드럼(3)의 표면에 효과적으로 달라붙지 못하고 있었다. 즉, 회전드럼(3)에 부딪히는 충격과 빠른 낙하속도 및 작은 접촉면적으로 의하여 원료와 함께 많은 양의 철분입자가 원료배출구(5)로 낙하됨으로써, 분리되는 원료(5)의 순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건식 폐윤활제에서 철분을 분리하는 공정에 적용할 경우, 분리되는 재생윤활제의 순도가 매우 낮아지게 됨으로써 재생윤활제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 분리기는 생산되는 원료의 입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건식 폐윤활제의 분리에 적용할 경우, 생산되는 재생윤활제의 입도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식 윤활제 입자와 산화철 등 철분입자의 분리배출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이 보다 간단하면서도 재생되는 폐윤활제의 입도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폭을 가진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의 일측에서 상기 이송벨트를 걸어 구동시키는 구동롤러와, 상기 이송벨트의 타측에서 이송벨트가 걸려 표면의 일부를 따라 이동하고 자력이 발생하는 마그네틱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마그네틱지지체 사이에는 자력발생체가 없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소정의 간격은 빈공간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이송벨트를 긴장시키는 텐션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지지체는 상부의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과 연결되는 측부의 곡면과 상기 곡면과 연결되는 하부의 평면을 포함하는 형상인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는, 상기 이송벨트의 외부표면에 돌출되어 상기 폭의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턱이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건식 폐윤활제를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와, 상기 파쇄기의 하측에 설치되어 파쇄된 상기 건식 폐윤활제를 받아 윤활제 입자와 산화철 입자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마그네틱분리기와, 상기 마그네틱분리기에서 분리되어 배출된 상기 윤활제 입자와 상기 산화철 입자를 받아 각각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마그네틱 분리기는, 소정의 폭을 가진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의 일측에서 상기 이송벨트를 걸어 구동시키는 구동롤러와, 상기 이송벨트의 타측에서 이송벨트가 걸려 표면의 일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구동롤러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자력이 발생하는 마그네틱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지지체의 상측에서 상기 이송벨트는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롤러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에서 마그네틱지지체의 하측에서 상기 이송벨트의 이동시, 상기 이송벨트가 상기 마그네틱지지체의 표면과 접촉하는 자력접촉구간과, 상기 간격이 위치하는 영역이고 상기 마그네틱지지체의 표면에서 이탈되는 자력이탈구간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의 간격은 빈공간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벨트를 긴장시키는 텐션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지지체는 상부의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과 연결되는 측부의 곡면과 상기 곡면과 연결되는 하부의 평면을 포함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는 상기 이송벨트의 외부표면에 돌출되어 상기 폭의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턱이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에서 상기 파쇄기는 폐윤활제를 파쇄하기 위한 한 쌍의 파쇄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파쇄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파쇄되는 폐윤활제의 입도를 조절 할 수 있는 간격조절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는 상기 마그네틱분리기와 상기 구동롤러 사이에 상측을 지나는 이송벨트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폐윤활제 입자가 이송벨트의 상부에 착지하고,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되어 마그네틱지지체의 측부에서 윤활제 입자가 낙하하며, 구동롤러와 마그네틱지지체 사이의 영역에서 산화철이 낙하하는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윤활제 입자와 산화철의 분리가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 개발된 회전드럼의 구조와 비교해 볼 때, 낙하충격이 거의 없으므로 재생윤활제 포집용기에 떨어질 위험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생산되는 재생윤활제의 순도를 높일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입도분리기를 제거하고, 파쇄기에서 한 쌍의 파쇄롤러의 간격을 조절하여 필요로 하는 입도의 재생윤활제를 생산하는 방식이므로, 파쇄기가 입도조절기능을 구비함으로서 전체 구성이 간략화되고 입도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이송벨트의 외부표면에 돌출턱이 형성되어 산화철 등 철분입자가 이송되는 이송벨트의 뒤쪽으로 계속 끌려 누적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즉, 이송벨트가 자력이탈구간(B)으로 진입 시, 돌출턱이 이송벨트의 표면에서 산화철 입자의 상대이동을 막아 산화철 입자를 자력이탈구간(B)으로 강제로 진입시키고 있다. 따라서, 자력접촉구간(A)에 산화철 등 철분입자가 누적됨으로써 재생윤활제 포집용기에 산화철 입자 등이 떨어지는 현상을 감소 또는 방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그네틱 분리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윤활제의 산화철 선별제거용 마그네틱 분리기가 설치된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에서 파쇄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의 작용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재생기기는 건식 폐윤활제를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20)와, 상기 파쇄기(20)의 하측에 설치되어 파쇄된 상기 건식 폐윤활제를 받아 윤활제 입자와 산화철 입자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마그네틱분리기(30)와, 상기 마그네틱분리기(30)에서 분리되어 배출된 상기 윤활제 입자와 상기 산화철 입자를 받아 각각 저장하는 저장수단(51,5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공급되는 폐윤활제는 금속선재의 인발가공 시 발생하는 고온의 열로 인하여 덩어리 형태로 수거된다. 그 수거된 폐윤활제는 투입구(11)에 투입된 후, 수평이송스크류(12)와 수직이송스크류(13)에 의해 파쇄기(20) 상측의 공급박스(14)까지 이송된다. 공급박스(14)에 공급되는 폐윤활제는 순차적으로 파쇄기(20)에서 파쇄되어 그 입자가 조밀해진다.
상기 파쇄기(20)는 수거된 건식 폐윤활제를 덩어리의 형태에서 요구되는 입도로 파쇄시키고 있다.
도 3은 상기 파쇄기(2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파쇄롤러(21,22)에 의해 그 사이에 투입되는 폐윤활제 덩어리를 잘게 부수어 작은 입자를 생산한다.
상기 한쌍의 파쇄롤러(21,22) 중, 일측의 파쇄롤러(21)가 전동체인(243)에 의해 전동기(24)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일측 롤러의 회전력이 전동체인(212)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전동기어(214,224)에 의해 타측의 파쇄롤러(22)에 전달되고 있다.
이 때, 한쌍의 파쇄롤러(21,22)는 서로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연결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파쇄롤러(21,22)는 그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즉, 타측의 파쇄롤러(22)의 중심축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밀거나 당길 수 있는 간격조절구(266)가 설치되고, 간격조절구(266)의 회전에 따라 타측의 파쇄롤러(22)가 좌우로 이동하여 한 쌍의 파쇄롤러(21,22)의 간격이 조절된다. 이에 따라, 파쇄기(20)에 공급되는 폐윤활제는 상기 한 쌍의 파쇄롤러(21,22)의 사이를 통과함으로서, 그 파쇄되는 입도가 결정된다. 한 쌍의 파쇄롤러(21,22) 사이의 간격이 크면 큰 입자도 통과할 수 있으므로 파쇄되어 나오는 입자의 크기(mesh)가 크고, 그 간격이 좁아지면 사이에서 빠져나오는 입자가 작아지므로 더 잘게 파쇄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파쇄롤러(21,2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전동체인(212,222)의 늘어짐은 한 쌍의 보조전동기어(214,224)를 지지하는 지지대(23)을 스프링(25)이 견인하여 해소할 수 있다. 즉,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보조전동기어(214,224)의 지지축이 하향으로 탄지된 상태에서 소정 범위 내에서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므로 타측의 파쇄롤러(21,22)가 좌우로 이동하더라도 전동체인(212,222)은 항상 긴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마그네틱분리기(30)는 파쇄기(20)의 하측에 설치되어 파쇄된 건식 폐윤활제를 받아 윤활제 입자와 산화철 입자를 분리하여 배출하고 있다.
도 4은 도 2에 설치된 마그네틱분리기(30)를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마그네틱분리기(30)는, 소정의 폭을 가진 이송벨트(31)와, 상기 이송벨트(31)의 일측에서 상기 이송벨트(31)를 걸어 구동시키는 구동롤러(32)와, 상기 이송벨트(31)의 타측에서 이송벨트(31)가 걸려 표면의 일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구동롤러(32)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자력이 발생하고 있는 마그네틱지지체(34)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벨트(31)는 PVC 재질의 필름의 형태로 구성되고, 그 외부표면에는 이송벨트(3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턱(312)이 설치된다. 상기 돌출턱(312)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벨트(31) 둘레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롤러(32)는 이송벨트(31)의 일측에서 이송벨트(31)를 걸어 구동력을 전달하고 있다. 상기 구동롤러(32)의 표면은 고무 등으로 코팅되어 이송벨트(31)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롤러(32)의 회전방향은 마그네틱지지체(34)의 상측에서 상기 이송벨트(31)가 일측의 구동롤러(32)로부터 타측의 마그네틱지지체(34)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돌출턱(312)은 마그네틱지지체(34)의 하측에서 마그네틱지지체(34)의 자력에 끌리는 산화철 입자들이 마그네틱지지체(34)를 용이하게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작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마그네틱지지체(34)는 구동롤러(3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하우징(342)과 하우징(342) 내부에 삽입되는 자석(341)으로 구성된다. 상기 간격을 둠으로써 이송벨트(31)가 마그네틱지지체(34)의 하부에서 마그네틱지지체(34)가 위치하는 자력의 발생영역과 빈공간이 형성되어 자력발생체가 위치하지 않는 영역을 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력발생체가 위치하지 않은 영역을 이송벨트(31)가 경유하면 비로소 산화철 등 철분입자가 낙하됨으로서 앞서 낙하되는 윤활제 입자들과 분리되어 포집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42)의 외면 형상은 상부의 경사면(34a)과 그 경사면(34a)과 연결되는 측부의 곡면(34b)과 그 곡면(34b)과 연결되는 하부의 평면(34c)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벨트(31)가 상기 경사면(34a), 곡면(34b) 및 평면(34c)부분을 순차적으로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이송벨트(31)가 이송시키는 산화철이 마그네틱지지체(34)의 자력을 받고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42)의 재질은 스테인레스가 바람직하나, 강재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342)이 자성이 없는 재질일 경우에는 이송벨트(31) 상에서 이동하는 산화철이 자석(341)이 설치된 위치에서 자력을 받고 있고, 하우징(342)이 자성이 있는 금속재질로 구성된 경우, 설치된 자석(341)에 의해 하우징(342)이 자력을 가지므로 산화철이 하우징(342)을 벗어나기 전까지는 자력을 받게 된다.
한편, 하우징(342)에 설치되는 자석(341)은 상기 이송벨트(31)가 이송되는 하우징(342)의 표면 근처에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이송벨트(31)가 이송시키는 산화철에 자력을 미치고 있다. 상기 자석(341)은 하우징(342)에 자석설치공을 다수개 형성하여 각각에 삽입함으로서 설치할 수 있다.
하우징(342)이 스테인레스 등 자성이 없는 재질일 경우, 자석(341)을 일정간격으로 조밀하게 배치함으로서 산화철이 하우징(342)의 상기 곡면 및 하측의 평면부분을 지나는 동안 중력에 의해 낙하하지 않고 이송벨트(31)에 붙어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자석(341)은 자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석이 바람직하나, 영구자석도 설치가 가능하다. 전자석을 설치할 경우, 입도(粒度)에 따라 자석(341)의 세기를 조절하여 폐윤활제의 재생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자석의 세기가 크면 산화철이 함유된 입자가 대부분 산화철로 분리되어 배출될 것이고, 자석의 세기가 작으면 약간의 산화철이 함유된 입자는 이송벨트(31)의 표면에 붙어 있지 않고 아래로 떨어지게 될 것이므로 재생되는 폐윤활제의 비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용도에 따른 윤활제의 순도의 허용범위에 따라, 전자석의 세기를 조절하여 재생윤활제의 생산량이 조절될 수 있다.
구동롤러(32)의 하측에는 이송벨트(31)을 긴장시키기 위한 텐션롤러(36)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저장수단(51,52)은 상기 마그네틱분리기(30)의 하측에 설치된 포집용기(41,42)와, 각각의 포집용기(41,42)에 분리된 재생윤활제와 산화철을 각각 이송하는 이송스크류(413,423)와, 이송스크류(413,423)에 의해 이송된 재생윤활제와 산화철을 각각 저장하는 저장용기(51,52)를 포함한다.
상기 포집용기는 재생윤활제용 포집용기(41)와, 산화철용 포집용기(42)로 구분된다. 재생윤활제용 포집용기(41)는 마그네틱지지체(34)에서 곡면(34b) 부근에서 자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떨어지는 윤활제 입자(61)들을 포집하고, 산화철용 저장용기(42)는 마그네틱지지체(34)의 하부의 평면(34c)을 지나 자력의 영향을 벗어나는 영역에서 산화철이 떨어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산화철 입자(62)를 포집하고 있다.
상기 포집된 윤활제 입자(61) 및 산화철 입자(62)는 각각의 저장용기에 설치된 이송스크류(413,423)의 회전으로 각 저장용기(51,52)로 이송되어 저장된다.
다음은, 마그네틱분리기(30)에 의한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먼저 파쇄기(20)로부터 파쇄된 폐윤활제가 마그네틱분리기(30)의 상부를 지나는 이송벨트(31)에 공급된다.
상기 파쇄기(20)는 한 쌍의 파쇄롤러(21,2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간격조절수단(26)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필요로 하는 재생윤활제의 입도에 따라 그 간격을 조절하여 파쇄되는 입자의 크기를 결정한다.
상기 파쇄기(20)에서 파쇄된 폐윤활제 입자가 이송벨트(31)에 공급되면 이송벨트(31)는 폐윤활제 입자를 마그네틱지지체(34)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마그네틱지지체(34)의 상면으로 이송된 폐윤활제 입자 중 산화철 입자는 자력의 영향을 서서히 받아 이송벨트(31)의 표면에 붙어 있게 되나, 윤활제 성분의 입자는 자력에 영향받지 않고 이송되어 마그네틱지지체(34)의 곡면(34b) 부근에서 아래로 낙하하여 재생윤활제 포집용기(41)에 포집된다. 상기 곡면(34b) 부근에서 산화철이 미소량 포함된 윤활제 입자의 경우, 자력의 세기에 따라 낙하여부가 결정될 것이다.
한편, 산화철이 포함되어 있는 입자들은 마그네틱지지체(34)의 곡면(34b)부근에서 낙하하지 않고 자력에 이끌려 이송벨트(31)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로 마그네틱지지체(34)의 하부 평면(34c)을 따라 이송된다.
상기 산화철이 포함된 입자들은 마그네틱지지체(34)의 측부 곡면과 하부 평면 즉 소정 크기 이상의 자력이 작용하고 있는 자력접촉구간(A)에서 중력의 작용을 이기고 이송벨트(31)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으나, 이송벨트(31)가 자력발생체가 없는 영역 즉, 자력이탈구간(B)에 진입하면 영향받는 자력의 세기가 약해지면서 중력에 의해 산화철 입자(62)가 하부로 낙하하기 시작한다. 도 5의 확대된 그림은 그와 같은 작용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이송벨트(31)의 외부표면에 돌출된 돌출턱(312)은 상기 자력접촉구간(A)에서 자력이탈구간(B)으로 이송벨트(31)가 이동하는 영역에서 산화철을 포함하는 입자가 이송되지 않고 뒤쪽으로 계속 끌려 누적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즉, 이송벨트(31)가 자력이탈구간(B)으로 진입시 이송벨트(31) 표면의 산화철 입자는 이송벨트(31)의 표면에서 미끄러져 자석(341)이 위치하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턱(312)이 형성됨으로서 이송벨트(31)의 표면에서 산화철 입자의 상대이동을 막아 산화철 입자가 자력이탈구간(B)으로 진입하여 이동하도록 강제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만일, 상기 돌출턱(31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이송벨트(31)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마그네틱지지체(34)의 하부측 방향으로 산화철이 미끄러져 계속 축적되는 경우, 새로이 이송되어 오는 산화철 입자와 충돌하여 산화철 입자의 일부가 재생윤활제 포집용기(41) 내로 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6은 마그네틱분리기(3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마그네틱분리기(30′)는 그 양 측면에 가이드(35)가 설치되고, 구동롤러(32)와 마그네틱지지체(34) 사이의 공간에 양측 가이드(35)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대(37)와, 지지대의 상측에 설치된 진동장치(38)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35)는 볼트(356)가 마그네틱지지체(34) 및 지지대(37)의 볼트결합공(346,376)에 결합됨으로써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파쇄된 폐윤활제 입자들의 이탈을 막고 이송벨트(31)의 이송을 안내하고 있다.
상기 진동장치(38)는 편심추를 회전시키는 소형모터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진동장치(38)는 마그네틱분리기(30′)와 구동롤러(32) 사이에서 상측을 지나는 이송벨트(31)에 진동을 전달함으로서 파쇄된 폐윤활제 입자가 고르게 펴지도록 유도하여 마그네틱지지체(34) 부근에서 산화철 입자가 탈락하지 않고 이송벨트(31)의 표면에 양호하게 붙어 있도록 한다. 즉, 파쇄된 폐윤활제 입자가 다량으로 한꺼번에 이송벨트(31)에 적재되면, 이송벨트(31)의 표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산화철 입자가 마그네틱지지체(34)의 측부 곡면(34b)에 도달 시 윤활제 입자와 함께 낙하하여 재생윤활제의 불순물 함유율을 높이게 될 것이다.
따라서, 진동에 의해 산화철 입자가 이송벨트(31)의 상면에서 고르게 펼쳐짐으로써 산화철 입자의 분리작용이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공급수단 2; 이송수단
3; 파쇄기 5; 입도분리기
5a,5b,5c,5d; 메쉬영역 6; 마그네틱부재
6a; 브러쉬 7a; 수집호퍼
7b; 호퍼 8a,8b,8c; 저장수단
9a,9b,9c; 이송스크류 20; 파쇄기
30; 마그네틱분리기 11; 투입구
12; 수평이송스크류 13; 수직이송스크류
14; 공급박스 21,22; 파쇄롤러
23; 보조전동기 24; 전동기
25; 스프링 26; 간격조절수단
31; 이송벨트 32; 구동롤러
34; 마그네틱지지체 36; 텐션롤러
35; 가이드 37; 지지대
38; 진동장치 41,42; 포집용기
51,52; 저장용기 61; 윤활제 입자
62; 산화철 입자 212,222; 전동체인
214,224; 보조전동기어 243; 전동체인
312; 돌출턱 341; 자석
342; 하우징 346,376; 볼트결합공
413,423; 이송스크류 266; 간격조절구
30′; 마그네틱분리기

Claims (6)

  1. 소정의 폭을 가진 이송벨트(31)와,
    상기 이송벨트(31)의 일측에서 상기 이송벨트(31)를 걸어 구동시키는 구동롤러(32)와,
    자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벨트(31)의 타측에서 이송벨트(31)가 걸려 표면의 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마그네틱지지체(34)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롤러(32)와 상기 마그네틱지지체(34) 사이에는 자력발생체가 없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빈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31)를 긴장시키는 텐션롤러(3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지지체(34)는 상부의 경사면(34a)과 상기 경사면과 연결되는 측부의 곡면(34b)과 상기 곡면과 연결되는 하부의 평면(34c)을 포함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31)는 그 외부표면에 돌출되어 상기 폭의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턱(312)이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
  5. 건식 폐윤활제를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20)와,
    상기 파쇄기(20)의 하측에 설치되어 파쇄된 상기 건식 폐윤활제를 받아 윤활제 입자와 산화철 입자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마그네틱분리기(30)와,
    상기 마그네틱분리기(30)에서 분리되어 배출된 상기 윤활제 입자와 상기 산화철 입자를 받아 각각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마그네틱분리기(30)는,
    소정의 폭을 가진 이송벨트(31)와,
    상기 이송벨트(31)의 일측에서 상기 이송벨트(31)를 걸어 구동시키는 구동롤러(32)와,
    상기 이송벨트(31)의 타측에서 이송벨트(31)가 걸려 표면의 일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구동롤러(32)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자력이 발생하는 마그네틱지지체(34)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지지체(34)의 상측에서 상기 이송벨트(31)가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롤러(32)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지지체(34)의 하측에서 상기 이송벨트(31)의 이동시,
    상기 이송벨트(31)가
    상기 마그네틱지지체(34)의 표면과 접촉하는 자력접촉구간(A)과,
    상기 간격이 위치하는 영역으로서 상기 마그네틱지지체(34)의 표면에서 이탈되는 자력이탈구간(B)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
KR1020170104350A 2017-08-17 2017-08-17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 KR20190019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350A KR20190019447A (ko) 2017-08-17 2017-08-17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350A KR20190019447A (ko) 2017-08-17 2017-08-17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447A true KR20190019447A (ko) 2019-02-27

Family

ID=65560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350A KR20190019447A (ko) 2017-08-17 2017-08-17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94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70471A (zh) * 2019-12-26 2020-04-28 张良芹 一种聚氨酯通用塑料挤出造粒后处理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70471A (zh) * 2019-12-26 2020-04-28 张良芹 一种聚氨酯通用塑料挤出造粒后处理工艺
CN111070471B (zh) * 2019-12-26 2021-07-23 茵莱力动(大庆)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聚氨酯通用塑料挤出造粒后处理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9767B2 (ja) 純粋な鉄のスクラップを達成するよう金属スクラップの集塊からすべての非磁性粒子を分離するためのプロセスおよび装置
TWI819051B (zh) 太陽能電池模組之電氣構件回收裝置以及回收系統
US20060081516A1 (en) Fines removal apparatus and methods/systems regarding same
KR20140141342A (ko) 순환 골재 생산장치
EP0649681B1 (en) Electrostatic separation and classification apparatus
CN113289737A (zh) 一种钢铁冶炼钢渣回收再利用处理方法
US3948448A (en) Method for the fine comminution of solid materials with a rolling mill and comminution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2010021020A (ja) 鉛蓄電池用極板の格子体材料・活物質分離回収方法及び装置
CA3111388A1 (en) Linear object removal method, linear object removal device, and electronic/electric apparatus component scrap processing method
KR20190019447A (ko) 선재 인발용 폐윤활제 재생기기
KR101151382B1 (ko) 폐윤활제의 산화철 선별제거용 마그네틱 분리기 및 그것이 설치된 폐윤활제 재생장치
CN116984554A (zh) 一种铸造用型砂筛分装置
JP3088954B2 (ja) 原子炉用燃料ペレットの選別装置
RU5043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деления ферромагнитных включений из продуктов измельчения изношенных шин
JP2020513313A (ja) ポリシリコンのための分離装置
CN215997083U (zh) 一种自动金属磁选装置
CN206417554U (zh) 骨料输送提升机
US8109453B2 (en) Method of using a materials crusher and bottom dump feeder
JP2947052B2 (ja) 焼結原料の装入装置
RU63710U1 (ru) Сепаратор для отдел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частиц из потока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CN214183552U (zh) 一种带式震动重选机
JPS6259995B2 (ko)
TWI762942B (zh) 原料分配裝置、電子/電氣機器零件屑之處理方法、及電子/電氣機器零件屑之原料分配方法
CN112537600B (zh) 机械物料传动设备
RU231257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сыпучести слежавшегося гранулированного материал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