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846A - 금연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연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8846A
KR20190018846A KR1020170103471A KR20170103471A KR20190018846A KR 20190018846 A KR20190018846 A KR 20190018846A KR 1020170103471 A KR1020170103471 A KR 1020170103471A KR 20170103471 A KR20170103471 A KR 20170103471A KR 20190018846 A KR20190018846 A KR 20190018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rying
weight
parts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3417B1 (ko
Inventor
서광열
Original Assignee
서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열 filed Critical 서광열
Priority to KR1020170103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41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8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5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comprising as heat source a carbon fuel or an oxidized or thermally degraded carbonaceous fuel, e.g. carbohydrates, cellulos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18Selection of materials, other than tobacco, suitable for smoking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금연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민들레잎 및 허하운드가 함유되어 이루어지며, 민들레 잎과 허하운드 잎을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제1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증숙하는 증숙단계, 상기 증숙단계를 통해 증숙된 혼합물을 덖음하는 덖음단계 및 상기 덖음단계를 통해 덖어진 혼합물을 건조하는 제2건조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상기의 금연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금연초는 인체에 유해한 니코틴이나 타르의 방출량이 낮으면서도, 일반 담배와 유사한 맛과 향을 나타내어 우수한 금연보조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금연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MPOSITION FOR HERBAL CIGARETT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REROF}
개시된 내용은 금연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해한 니코틴이나 타르의 방출량이 낮으면서도, 일반 담배와 유사한 맛과 향을 나타내어 우수한 금연보조효과를 나타내는 금연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담배는 많은 사람에게 널리 애용되고 있는 기호식품의 하나이다. 그러나 담배에는 각종 해로운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국민건강증진법 등에서는 미성년자에 대한 담배판매를 금지하고, 흡연의 해로움을 알리는 문구를 담뱃갑의 앞뒷면에 표기하는 등 흡연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담배에는 니코틴, 타르 및 일산화탄소 등과 같은 각종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연기 속에 함유된 기체와 작은 입자를 통해 사람의 호흡기로부터 체내로 흡입된다. 이중 니코틴은 중독성이 있어 금단현상의 원인이 되며, 신경을 마비시켜 담배를 처음 피우거나 너무 많이 피웠을 때 가벼운 구토증, 현기증, 두통을 발생시킨다. 타르는 담뱃진 속에 들어있는 물질로, 현재 밝혀진 바에 따르면 15종 이상의 발암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일산화탄소는 산소 대신 적혈구에 있는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가 몸속의 여러 기관으로 운반되는 것을 방해한다.
따라서, 담배는 폐암, 심장병, 뇌출혈, 위궤양, 불임 등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최근에는 금연을 시도하는 사람이 많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니코틴에 의한 중독현상에 의해 스스로 담배를 끊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금연을 돕기 위해서 각종 보조기구 또는 보조용품이 개발되고 있는 최근에는 니코틴 성분이 함유된 전자담배나 카페인이 첨가된 금연 보조용 담배 등이 개발되고 있는데, 건조된 담뱃잎 가루에 카페인 자체를 투여하거나, 건조 커피 원주 파편 또는 건초 찻잎 가루를 넣어 금단현상을 줄이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담배의 경우 니코틴성분을 여전히 다량 흡입하게 되며, 일반 담배와 맛과 향이 달라 흡연자들이 다시 일반담배로 흡연을 하여 욕구를 해소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카페인을 담뱃잎 가루에 투입하는 선행기술은 담뱃잎을 사용하기 때문에, 담뱃잎이 타면서 발생하는 니코틴, 타르 성분을 흡입하게 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해소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069342호(2011.09.26) 한국특허등록 제10-1193900호(2012.10.17)
개시된 내용은 인체에 유해한 니코틴이나 타르의 방출량이 낮으면서도, 일반 담배와 유사한 맛과 향을 나타내어 우수한 금연보조효과를 나타내는 금연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일 실시예로서 이 개시의 내용은 민들레잎 및 허하운드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초용 조성물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금연초용 조성물은 민들레잎 100 중량부 및 허하운드 10 내지 20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금연초용 조성물에는 상기 금용초용 조성물에 함유된 민들레잎 100 중량부 대비 아욱 1 내지 4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이 개시의 내용은 민들레 잎과 허하운드 잎을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제1건조단계, 상기 제1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증숙하는 증숙단계, 상기 증숙단계를 통해 증숙된 혼합물을 덖음하는 덖음단계 및 상기 덖음단계를 통해 덖어진 혼합물을 건조하는 제2건조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초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원료혼합단계는 민들레 잎 100 중량부에 허하운드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원료혼합단계와 상기 제1건조단계 사이에는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함유된 민들레 잎 100 중량부 대비 아욱 1 내지 4 중량부를 혼합하는 아욱혼합단계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금연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인체에 유해한 니코틴이나 타르의 방출량이 낮으면서도, 일반 담배와 유사한 맛과 향을 나타내어 우수한 금연보조효과를 나타내는 금연초를 제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시된 금연초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시된 금연초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개시된 금연초용 조성물의 원료성분인 민들레, 허하운드 및 아욱의 건조물을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개시된 금연초용 조성물은 민들레잎 및 허하운드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민들레잎 100 중량부 및 허하운드 10 내지 2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민들레잎은 개시된 금연초용 조성물의 주재료가 되는 성분으로, 발화 후에 연기를 흡입하게 되면 특유의 쓴맛으로 인해 일반 담배와 유사한 맛과 향을 내면서도 니코틴이나 타르의 방출량은 낮아 흡연자들의 흡연욕구를 해소함과 동시에 건강을 증진시키며, 니코틴 중독으로부터 흡연자를 보호하는 금연초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민드레잎은 차로 끓여먹기도 하는 인체에 좋은 영향을 주는 성분이 함유되어있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비타민, 미네랄 및 필수 아미노산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대표적으로 혈액순환 촉진, 해독 작용, 소화계통 강화 등의 효능을 나타낸다.
상기 허하운드는 10 내지 20 중량부가 함유되며, 개시된 금연초용 조성물의 발화성능을 개선하여 불이 잘 붙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허하운드는 허브의 한 종류로서 예로부터 약용으로 사용하던 것으로, 감기와 천식 등 호흡기질환에 효능이 있고 해독 작용이 있으며 신경을 진정시키는 작용을 하며, 박하향을 내는데, 금연초를 피는 사용자들의 호흡기 질환을 개선하며 특유의 박하향으로 인해 청량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허하운드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허하운드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금연초의 맛과 향이 강해져 일반담배와 확연하게 구분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금연초용 조성물에는 상기 금연초용 조성물에 함유된 민들레잎 100 중량부 대비 아욱 1 내지 4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금연초가 발화된 후에는 금연초가 타는 속도를 늦추기 때문에, 금연초를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아욱은 허브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향이 좋아 피부 미용수로 쓰일 뿐 아니라, 불안과 우울감 감소, 스트레스 해소, 혈색회복에 좋은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아욱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아욱의 함량이 4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금연초에 발화성능이 지나치게 낮아져 금연초에 불이 잘 붙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개시된 금연초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민들레 잎과 허하운드 잎을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S101),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제1건조단계(S103), 상기 제1건조단계(S103)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증숙하는 증숙단계(S105), 상기 증숙단계(S105)를 통해 증숙된 혼합물을 덖음하는 덖음단계(S107) 및 상기 덖음단계(S107)를 통해 덖어진 혼합물을 건조하는 제2건조단계(S109)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는 민들레 잎과 허하운드 잎을 혼합하는 단계로, 민들레잎 100 중량부 및 허하운드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되, 민들레잎을과 허하운드 잎을 각각 0.1 내지 0.5 밀리미터의 크기로 절단한 후에 교반장치에 투입하고 200 내지 300rpm의 속도로 5 내지 10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다.
상기의 과정으로 진행되는 원료혼합단계(S101)를 거치면 민들레 잎과 허하운드 잎이 고르게 혼합된 혼합물이 제공된다.
상기 제1건조단계(S103)는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로,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60 내지 70℃의 온도로 30 내지 60분 동안 건조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과정을 통해 진행되는 제1건조단계(S103)를 거치면 상기 혼합물에 함유된 수분의 2/3 정도가 제거되며, 형태안정성이 향상된다.
상기 증숙단계(S105)는 상기 제1건조단계(S103)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증숙하는 단계로, 상기 제1건조단계(S103)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75 내지 85℃의 온도로 1 내지 2시간 동안 증숙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증숙단계(S105)를 거치면 상기 혼합물에 함유되어 있는 민들레 잎이나 허하운드 잎에 함유된 독소성분이 제거되며 일반 담배잎과 유사한 향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덖음단계(S107)는 상기 증숙단계(S105)를 통해 증숙된 혼합물을 덖음하는 단계로, 상기 증숙단계(S105)를 통해 증숙된 혼합물을 90 내지 100℃의 온도로 3 내지 4시간 동안 덖음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덖음단계(S107)를 통해 덖어진 혼합물은 특유의 풀냄새가 제거되며, 발화후에는 혼합물을 구성하는 민들레 잎과 허하운드 잎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방출량이 향상되어 상품성이 우수한 금연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덖음단계(S107)는 응달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응달에서 덖어진 혼합물은 특유의 향이 강해져 맛과 향이 우수한 금연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건조단계(S109)는 상기 덖음단계(S107)를 통해 덖어진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로, 상기 덖음단계(S107)를 통해 덖어진 혼합물을 상온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자연건조하는 단계로, 이때, 제2건조단계(S109)는 햇빛이 잘 드는 양지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와 상기 제1건조단계(S103) 사이에는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함유된 민들레 잎 100 중량부 대비 아욱 1 내지 4 중량부를 혼합하는 아욱혼합단계(S102)가 더 진행될 수도 있는데, 상기의 아욱혼합단계(S102)를 통해 아욱이 혼합되면 금연초가 발화된 후에 타는 속도를 늦추기 때문에,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금연초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개시된 금연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인체에 유해한 니코틴이나 타르의 방출량이 낮으면서도, 일반 담배와 유사한 맛과 향을 나타내어 우수한 금연보조효과를 나타내는 금연초를 제공한다.
S101 ; 원료혼합단계
S103 ; 제1건조단계
S105 ; 증숙단계
S107 ; 덖음단계
S109 ; 제2건조단계

Claims (6)

  1. 민들레잎 및 허하운드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초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연초용 조성물은 민들레잎 100 중량부 및 허하운드 10 내지 2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초용 조성물.
  3. 상기 금연초용 조성물에는 상기 금용초용 조성물에 함유된 민들레잎 100 중량부 대비 아욱 1 내지 4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초용 조성물.
  4. 민들레 잎과 허하운드 잎을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제1건조단계;
    상기 제1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증숙하는 증숙단계;
    상기 증숙단계를 통해 증숙된 혼합물을 덖음하는 덖음단계; 및
    상기 덖음단계를 통해 덖어진 혼합물을 건조하는 제2건조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초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료혼합단계는 민들레 잎 100 중량부에 허하운드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초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료혼합단계와 상기 제1건조단계 사이에는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함유된 민들레 잎 100 중량부 대비 아욱 1 내지 4 중량부를 혼합하는 아욱혼합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초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70103471A 2017-08-16 2017-08-16 금연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3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471A KR102013417B1 (ko) 2017-08-16 2017-08-16 금연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471A KR102013417B1 (ko) 2017-08-16 2017-08-16 금연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846A true KR20190018846A (ko) 2019-02-26
KR102013417B1 KR102013417B1 (ko) 2019-08-23

Family

ID=6556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471A KR102013417B1 (ko) 2017-08-16 2017-08-16 금연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41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548A (ko) * 2001-01-11 2002-07-18 서광열 민들레 잎 건강초
CN1618351A (zh) * 2003-11-17 2005-05-25 杜耀旭 蒲公英非烟草物卷烟及其制备方法
KR20050108851A (ko) * 2004-05-14 2005-11-17 박성진 양아욱등을 이용한 금연 보조 담배
KR101069342B1 (ko) 2011-04-26 2011-10-04 하종석 흡입식 금연보조제
KR101193900B1 (ko) 2011-11-16 2012-10-29 이춘구 전자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5967A (ko) * 2012-12-28 2014-07-08 이현중 금연 보조구 제조 방법과 그에 따른 금연 스틱
KR20170024084A (ko) * 2014-06-30 2017-03-06 사이키 메디컬 엘티디. 흡입기 장치용 약물 투약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548A (ko) * 2001-01-11 2002-07-18 서광열 민들레 잎 건강초
CN1618351A (zh) * 2003-11-17 2005-05-25 杜耀旭 蒲公英非烟草物卷烟及其制备方法
KR20050108851A (ko) * 2004-05-14 2005-11-17 박성진 양아욱등을 이용한 금연 보조 담배
KR101069342B1 (ko) 2011-04-26 2011-10-04 하종석 흡입식 금연보조제
KR101193900B1 (ko) 2011-11-16 2012-10-29 이춘구 전자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5967A (ko) * 2012-12-28 2014-07-08 이현중 금연 보조구 제조 방법과 그에 따른 금연 스틱
KR20170024084A (ko) * 2014-06-30 2017-03-06 사이키 메디컬 엘티디. 흡입기 장치용 약물 투약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417B1 (ko) 201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3362C2 (ru) Никотинозамещающая цитизиновая оральная атомизируемая жидкость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JP4247632B2 (ja) 緑茶を主成分とする煙草代替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79406A (ko) 카페인이 첨가된 금연 보조용 담배의 제조방법
CN104397871A (zh) 一种含茶叶提取物的电子烟烟油及其制备方法
CN106867667A (zh) 一种烟用香精香料的制备及其应用
WO2005110129A1 (fr) Filtre a cigarettes ecologique et sans danger pour la sante
KR20190018846A (ko) 금연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077553B (zh) 一种低焦油茶叶卷烟烟丝的制备方法与茶叶卷烟
CN109043641A (zh) 沉香叶和沉香油混合的卷烟及其制作工艺
KR102215922B1 (ko) 담배 대용품용 조성물
KR20020080039A (ko) 담배의 잎을 대체하는 담배의 제조방법
KR20160037040A (ko) 두충엽을 이용한 금연초와 그 제조방법
KR101724825B1 (ko) 치커리와 가공 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
KR19990083879A (ko) 차조기를 주재로한 끽연물의 제조방법
KR20050030921A (ko) 엽연초 분말을 이용한 담배의 제조방법
CN105146730B (zh) 一种低焦油卷烟烟丝的制备方法与卷烟
KR200231166Y1 (ko) 니코틴과 카페인을 첨가한 금단현상 치료 보조용 건조찻잎 권련
KR200317018Y1 (ko) 금연 보조 담배
KR200251152Y1 (ko) 향신료와 니코틴과 카페인을 첨가한 금단현상 치료보조용 건조 은행잎 권련
CN105852191A (zh) 一种胶基型嚼烟及其制备方法
KR200251170Y1 (ko) 건조 찻잎을 첨가한 금연 보조용 권련
KR200237401Y1 (ko) 향신료와 니코틴과 카페인을 첨가한 금단현상 치료보조용 건조 박하 잎 권련
KR200231164Y1 (ko) 니코틴과 카페인을 첨가한 금단현상 치료 보조용 건조인삼 권련
CN1557176A (zh) 一种茶叶吸品
KR200231203Y1 (ko) 향신료와 니코틴과 카페인을 첨가한 금단현상 치료보조용 건조 커피 원두 권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