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0921A - 엽연초 분말을 이용한 담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엽연초 분말을 이용한 담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0921A
KR20050030921A KR1020050016581A KR20050016581A KR20050030921A KR 20050030921 A KR20050030921 A KR 20050030921A KR 1020050016581 A KR1020050016581 A KR 1020050016581A KR 20050016581 A KR20050016581 A KR 20050016581A KR 20050030921 A KR20050030921 A KR 20050030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bacco
nicotine
powder
cigaret
cigar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6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0977B1 (ko
Inventor
이태수
Original Assignee
이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수 filed Critical 이태수
Priority to KR1020050016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977B1/ko
Publication of KR20050030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9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배잎, 즉 건조된 엽연초를 미세한 가루로 분쇄하고 소량의 찹쌀가루와 혼합하여 물에 끓인 것을 궐련용지 양면에 골고루 살포하고 이를 열풍 건조하여 가압한 후 이를 가늘게 썰어서 담배의 주 원료로 사용하는 니코틴 함량이 낮은 담배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담배는 맛과 향 면에서는 기존 담배와 흡사하면서도 니코틴의 함량이 현저히 줄어들어 중독성이 없는 우수한 담배로서 금연을 목적으로 한 보조담배로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엽연초 분말을 이용한 담배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CIGARET WITH POWDER OF TOBACCO LEAVES}
본 발명은 엽연초 분말을 이용한 담배의 제조방법,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담배잎, 즉 건조된 엽연초를 150∼200 메쉬 정도의 미세한 가루로 분쇄하고 엽연초 가루 9: 찹쌀가루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여기에 3∼5배량의 물에 넣고 끓인 것을 통상의 궐련용지 양면에 골고루 살포하고 이를 열풍 건조하여 가압한 후 가늘게 썰어서 담배의 주 원료로 사용하는 니코틴 함량이 낮은 담배의 제조 방법이다.
담배에는 7천여가지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중 30여 가지는 인체에 치명적인 유독성 물질로서 특히 대표적인 것으로는, 암 유발인자로 판명된 타르, 혈액 속의 산소를 고갈시키는 일산화탄소, 기관지염을 일으키는 물질, 중독성이 강한 니코틴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니코틴은 자체 독성뿐만 아니라, 그 중독성이 마약과 같이 강력한 물질로서 수많은 흡연자들이 금연하기 힘들어하는 이유도 바로 니코틴 중독에 의한 습관성 의존 때문이다. 과거에는 니코틴이 신체적 의존성이 없는 것으로 오인되어 코카인과 구별하였지만, 니코틴도 신체적 의존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니코틴을 "심리적 의존이 있어 계속 약물을 찾는 행동을 하고 신체적 의존이 있어 복용을 중단하지 못하고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해치는 물질"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다양한 형태의 저니코틴 담배의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등록특허공보 2001-292073호의 경우 100℃ 정도의 끓는 물에 넣어 30분∼2시간 열침한 후, 잎담배를 물에서 건져내어 50∼55℃ 정도로 보온하여 3주∼5주 방치한 후 수세 건조하여서 통상의 담배 제조공정에 따라 막궐련 또는 필터담배의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으나 제조방법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많이 들며 기호성이 떨어져서 아직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엽연초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다른 식물의 잎 또는 약초잎(예컨대 두충잎)을 담배의 형태로 만들어 담배를 제조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니코틴 함량의 저하는 만족스럽지 못하였으며, 후자의 경우 니코틴은 전혀 없었으나 이러한 담배를 연기로 흡입하였을 때 인체에 어떠한 해를 끼칠 것인지는 연구조사된 바 없고 기존의 엽연초의 담배맛과는 전혀 다른 맛과 향으로 인하여 엽연초 담배 맛에 길들여진 기존 담배 애호가들의 기호에 맞출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니코틴에 중독되지 않는 담배를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하여 오던 중, 건조된 엽연초를 150∼200 메쉬 정도의 미세한 가루로 분쇄하고 엽연초 가루 9: 찹쌀가루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여기에 3∼5배량의 물에 넣고 끓인 것을 통상의 궐련용지 양면에 이를 골고루 분무 살포한 다음 이를 가열 건조시키면서 가압 접착시키고 이를 가늘게 썰어서 담배의 주 원료로 사용하는 니코틴 함량이 낮은 담배의 제조 방법이 기존의 담배와 맛과 향은 거의 같으면서도 니코틴의 함량이 기존의 담배에 비하여 현저히 줄어들어 중독성이 없다는 사실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된 엽연초를 150∼200 메쉬 정도의 미세한 가루로 분쇄하고 엽연초 가루 9: 찹쌀가루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여기에 3∼5 배량의 물에 넣고 끓인 것을 통상의 궐련용지 양면에 이를 골고루 분무 살포한 다음 이를 열풍 건조하여 가압한 후 이를 절단하여 담배의 주 원료로 사용하는 니코틴 함량이 낮은 담배를 제조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니코틴의 함량을 낮춘 담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니코틴의 함량이 낮은 담배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확건조된 엽연초를 즉 건조된 엽연초를 150∼200 메쉬 정도의 미세한 가루로 분쇄하고 150∼200 메쉬로 분쇄한 찹쌀가루와 9:1로 혼합하여 3∼5배량의 물에 넣고 85∼90℃ 정도에서 충분히 저어주면서 약 10분간 끓인 것을 통상의 궐련용지 양면에 골고루 분무 살포하고 이를 열풍으로 건조시켜 가압한 후 이를 기존의 담배 분말과 유사하게 가늘게 썰어서 담배의 주 원료로 사용하는 니코틴 함량이 낮은 담배를 제조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니코틴의 함량을 낮춘 담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담배에 포함되는 니코틴의 함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담배가루와 찹쌀을 혼합하여 끓인 혼합액의 살포량을 조절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함량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담배가루에 찹쌀을 소량 첨가 혼합하는 이유는 물에 희석된 담배가루를 골고루 부유할 수 있게 하고 또 분무된 후에 담배가루가 궐련용지에서 분리되거나 비산되는 일이 없이 권련용지와 일체로 잘 접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담배는 기존의 엽연초를 첨가하여 니코틴의 함량을 다소 높게 조절하거나 기호성을 높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담배는 필요시 일반 담배와 마찬가지로 박하, 향료 등을 첨가하여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확건조된 엽연초를 분쇄기에 넣고 150∼200 메쉬 정도의 미세한 가루로 제조하였다. 이것을 150-200 메쉬로 분쇄한 찹쌀가루와 9:1의 비율로 혼합한 후 여기에 4배량의 물에 투입하고 저어주면서 85∼90도에서 10분간 끓여 담배가루와 찹쌀가루가 혼합된 액을 만들었다. 이 담배가루와 찹쌀가루가 혼합된 액을 권련용지 상면에 골고루 살포하고 열풍을 쏘여 건조시키고 이를 가압하여 궐련용지에 담배가루와 찹쌀가루가 일체로 되게 하였다. 이것을 뒤집어서 다시 권련용지의 반대 면에 담배가루혼합액을 골고루 뿌려주고 열풍을 쏘여 건조시킨 후 다시 가압하여 궐련용지의 상하에 부착한 담배가루와 찹쌀가루 혼합층이 궐련용지와 일체로 되게 한 것을 건조한 후 이를 미세하게 썰어서 이를 통상의 궐련용지에 말고 필터를 첨부하여 담배를 제조하였다. 이때 궐련용지의 상하 양면에 분무 살포된 담배가루와 찹쌀가루 혼합액의 양은 권련용지 10g당 6.25g으로 하여 니코틴 함량 비율을 10%로 맞추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궐련용지의 상하 양면에 분무 살포된 담배가루와 찹쌀가루의 혼합액 양을 권련용지 10g당 14.2855g으로 하여 니코틴 함량 비율을 20%로 맞춘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담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궐련용지의 상하 양면에 분무 살포된 담배가루와 찹쌀가루의 혼합액 양을 권련용지 10g당 25.0g으로 하여 니코틴 함량 비율을 30%로 맞춘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담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담배와 실시예 1 내지 3과 같은 처리를 하지 않은 엽연초로 제조된 담배(대조구 1)를 비교하여 니코틴 함량 평가를 실시한 결과, 하기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1]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담배의 니코틴 함량은 10%, 20% 또는 30%의 비율로 맞출 수 있다. 이는 무처리 엽연초로 제조된 담배에 비하여 10배 내지 3.3배나 적은 양이다. 즉 궐련용지에 대한 담배가루혼합액의 살포량에 따라서 1/10 또는 3/10 수준 등 원하는 수준으로 니코틴의 함량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인 것이다. (표 1 참조)
비교예 2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담배와, 시판되는 국산담배(대조구 2)를 비교하여 니코틴 함량 평가를 실시한 결과, 하기 표 2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2]
상기 표 1과 표 2로부터 무처리 엽연초(대조구 1)의 니코틴 함량이 1.02 wt%인데 비하여, 시판되는 일반담배(대조구 2)의 니코틴 함량이 0.550 wt%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대조구 1의 경우는 농가에서 높은 열로 건조시켜 수분함량이 매우 적은 반면, 대조구 2는 흡습제 처리가 되어 있고 각종 첨가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비록 일반시판 담배의 니코틴 함량이 무처리 엽연초에 비하여 다소 떨어지기는 하나, 여전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에 1 내지 4의 니코틴 함량보다 높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표 2 참조).
따라서, 종래의 일반 담배의 경우에는 매일 피우는 담배로부터 다량의 니코틴이 체내에 흡입되고 있으므로 갑자기 담배를 끊으려 할 경우 니코틴의 중독성 내지는 신체의존성으로 인하여 금단 증상이 생겨 담배를 끓기가 어려운 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담배는 자체의 니코틴의 함량이 적기 때문에 체내에 흡입되어 축적되는 니코틴의 양도 적어지게 된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담배를 수일간 피우게 되면 적은 양의 니코틴만 흡입하는 경우에도 금단 현상이 점점 줄게 되고, 보다 용이하게 담배를 끊을 수 있게 된다.
실시예 4
또 본 발명의 니코틴 함량 조절은 상기 표1의 처리 방법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즉 실시예 1과 같이하여 만들어진 본 발명의 니코틴 함량 10%의 담배에 기존의 엽연초 분말을 일정량씩 첨가해 줌으로써 용이하게 니코틴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1에 의해 얻어진 니코틴 함량 10%의 담배에 기존의 엽연초 분말을 첨가하여 니코틴 함량을 20% 및 30%등 임의로 조절할 수도 있다(표3 참조)
[표 3]
비교예 3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담배와, 실시예 1 내지 4와 같은 처리를 하지 않은 엽연초로 제조된 담배(대조구 1)를 시중에서 유통되는 국산담배(대조구 2)와 대비하여 기호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는 관능테스트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시예 1: 니코틴의 함량이 대조구 1보다 10배, 대조구 2의 일반 담배보다 5배 이상 니코틴이 감소된 것이어서 니코틴의 흡수에 의한 자극성이 적기 때문에 대조구 1 및 2 보다 맛이 약하고 순하다. 장기간 일반담배를 피워온 사람은 이 담배를 피울 경우 니코틴의 함량이 감소된 것이기 때문에 니코틴의 자극성이 약하여 처음에는 다소 기호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나 곧 본 발명의 담배 맛에 적을 할 수 있게 된다.
(2) 실시예 2: 대조구 1보다는 다소 담배 맛이 약하지만 큰 차이가 없는데 이는 니코틴의 함량이 대조구 1의 20% 정도이기 때문에 이 담배를 피울 경우 연기의 흡입 외에도 상당량의 니코틴을 흡입할 수 있어 지금까지 일반담배를 피우던 사람도 니코틴에 의한 자극성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너무 담배를 심히 피우던 사람은 니코틴의 자극성이 약하여 다소 기호성이 떨어지기도 하지만 곧 본 발명의 담배 맛에 적응할 수 있게 된다.
(3) 실시예 3: 대조구 1과 담배 맛에 거의 차이가 없는데 이는 니코틴의 함량이 대조구 1의 33% 정도이기 때문에 이 담배를 피울 경우 연기의 흡입 외에도 상당량의 니코틴을 흡입할 수 있어 지금까지 일반담배를 피우던 사람도 니코틴에 의한 자극성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흡연시 느끼는 담배맛은 연기를 들여마실 때의 느끼는 맛보다도 연기속에 포함된 니코틴의 자극성에 의한 맛이 담배맛을 좌우한다고 볼 수 있는데, 실시예 3의 경우는 비교적 많은 양의 니코틴이 남아 있어서 대조구 1과 큰 차이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4) 대조구 1: 연기를 흡입할 때 느끼는 맛과 니코틴의 신경 자극성에 의해서 느끼는 복합적인 담배맛이 일반국산담배를 피울 때 느끼는 담배 맛과 별반 차이가 없다.
비교예 4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담배와, 실시예 1 내지 3과 같은 처리를 하지 않은 엽연초로 제조된 담배(대조구 1) 및 시중에서 유통되는 두충잎을 이용한 금연초(대조구 3)를 비교하여 흡연시 신체상에 나타나는 몇 가지 부작용을 조사한 결과, 하기 표 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4]
상기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담배는 기존의 담배 원료로 이용되던 엽연초 분말과 궐련용지를 주로 이용한 것이고 소량의 찹쌀가루가 첨가되었으나 이 찹쌀가루는 누룽지 타는 냄새와 유사한 순한 냄새이어서 대조구 1과 마찬가지로 흡연시 메스꺼움, 목의 통증, 고약한 냄새, 혀에 대한 강한 자극, 불쾌감 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조구 3은 메스꺼움이 나타나고, 강한 자극으로 인한 목의 통증이 있으며, 담배잎과 달리 두충잎이 타는 특이하고 고약한 냄새가 나며, 혀에 대한 자극이 심하고 불쾌감이 있다.
이와 같은 부작용은 두충나무 잎을 가공하여 만든 금연초 포장에도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 부작용으로 구역질, 가래, 어지러움, 두중감, 불안감, 목의 통증, 무기력, 두통, 갈증, 집중력 저하가 나타난다고 인쇄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확인되는 사항이기도 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건조된 엽연초를 미세한 가루로 분쇄하고 소량의 찹쌀가루와 혼합하여 물에 끓인 것을 궐련용지 양면에 살포한 다음 이를 열풍 건조하여 가압한 후 이를 가늘게 썰어서 니코틴 함량이 낮은 담배를 제조함으로써 맛과 향 면에서는 기존 담배와 흡사하면서도 니코틴의 함량이 현저히 줄어들어 중독성이 적은 우수한 담배가 얻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담배는 금연을 목적으로 한 보조담배로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담배 제조 시 엽맥을 제거하지 않고 엽연초 전량을 담배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a)건조된 엽연초를 150∼200 메쉬 정도로 분쇄하여 담배가루 9 : 찹쌀가루 1의 비율로 혼합하고 여기에 3∼5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85∼90℃에서 10분간 끓이는 단계,
    (b)상기 (a)에 의해서 끓인 액을 통상의 궐련용지 양면에 살포하며 이를 150∼200℃의 열풍으로 건조시켜 가압한 하는 단계를 거쳐서 이를 통상의 담배 제조방법에 따라 가늘게 썰어서 담배의 주 원료로 사용하는, 니코틴 함량이 낮은 담배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의 단계에서 담배가루와 찹쌀가루를 물에 끓인 액을 궐련용지 양면에 분무 살포하는 양의 차이에 의해서 니코틴의 함량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함량이 낮은 담배의 제조 방법.
  3. 상기 제1항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니코틴 함량이 낮은 담배에 기존의 엽연초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담배의 니코틴 함량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함량이 낮은 담배의 제조 방법.
KR1020050016581A 2005-02-28 2005-02-28 엽연초 분말을 이용한 담배의 제조 방법 KR100700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581A KR100700977B1 (ko) 2005-02-28 2005-02-28 엽연초 분말을 이용한 담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581A KR100700977B1 (ko) 2005-02-28 2005-02-28 엽연초 분말을 이용한 담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921A true KR20050030921A (ko) 2005-03-31
KR100700977B1 KR100700977B1 (ko) 2007-03-30

Family

ID=37387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6581A KR100700977B1 (ko) 2005-02-28 2005-02-28 엽연초 분말을 이용한 담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9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5027A1 (en) * 2005-12-26 2007-07-05 Tai-Soo Lee Cigarette with low nicotine contents
KR20200107225A (ko) 2019-03-06 2020-09-16 조준성 라이조푸스 균주를 이용한 담배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18404A3 (en) 2015-06-26 2023-09-06 Altria Client Service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tobacco plants and products having altered alkaloid level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9667A (en) 1987-07-31 1989-04-11 Nikola Drazic Treatment of tobacco to reduce tar and nicotine content
JPH01289476A (ja) * 1988-05-17 1989-11-21 Tokutaro Mori ニューシガレット
US5829453A (en) 1995-06-09 1998-11-03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Low-density tobacco filler and a method of making low-density tobacco filler and smoking articles therefrom
KR100296868B1 (ko) * 1998-12-04 2001-10-26 김은영 니코틴이없는담배
KR100384405B1 (ko) * 2001-02-14 2003-05-22 이규선 니코틴과 타아르를 저감시키는 담배의 제조방법
KR100499288B1 (ko) * 2003-02-12 2005-07-04 이태수 니코틴 함량이 낮은 담배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5027A1 (en) * 2005-12-26 2007-07-05 Tai-Soo Lee Cigarette with low nicotine contents
KR20200107225A (ko) 2019-03-06 2020-09-16 조준성 라이조푸스 균주를 이용한 담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0977B1 (ko) 200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7632B2 (ja) 緑茶を主成分とする煙草代替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3067068A (en) Tobacco-like composition
KR20010079406A (ko) 카페인이 첨가된 금연 보조용 담배의 제조방법
KR20000038203A (ko) 니코틴이 없는 담배
JP3718200B2 (ja) 黄土含有タバコおよびその製法
CN109953369A (zh) 一种沉香香烟的制备方法
US4813438A (en) Non-tobacco smoking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6772769B2 (en) Preparation of tobacco having reduced contents of nicotine and tar
KR100700977B1 (ko) 엽연초 분말을 이용한 담배의 제조 방법
JP2002501736A (ja) 喫煙物
KR102575957B1 (ko) 케나프 잎을 이용한 담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27575B1 (ko) 낮은 니코틴 함량의 담배 제조 방법
KR930000313B1 (ko) 담배에 인삼과 당귀를 함유시켜서 되는 담배의 제조방법
CN1985686A (zh) 点燃式药草香烟型戒烟制品
US5003995A (en) Compositions and articles for stimulating taste receptors
KR100499288B1 (ko) 니코틴 함량이 낮은 담배의 제조방법
KR20160037040A (ko) 두충엽을 이용한 금연초와 그 제조방법
KR100480428B1 (ko) 두충엽을 주원료로한 끽연물 제조방법
KR100851254B1 (ko) 뽕잎을 주성분으로 한 담배 및 그 제조방법
JP2022506893A (ja) 新規タバコ代替品
KR101924754B1 (ko)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담배
KR102013417B1 (ko) 금연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060794B (zh) 一种香烟接装纸的直镀印刷方法及其生产的香烟接装纸
KR20010001890A (ko) 두충과 쑥을 이용한 끽연물 제조방법
JP3068084B1 (ja) タバコ代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