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184A - 주행 환경에 대응하여 조절이 가능한 isg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주행 환경에 대응하여 조절이 가능한 isg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184A
KR20190017184A KR1020170101611A KR20170101611A KR20190017184A KR 20190017184 A KR20190017184 A KR 20190017184A KR 1020170101611 A KR1020170101611 A KR 1020170101611A KR 20170101611 A KR20170101611 A KR 20170101611A KR 20190017184 A KR20190017184 A KR 20190017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g
vehicle
information
engine
traveling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8607B1 (ko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1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60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7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18Start-stop drive, e.g. in a traffic j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27Drive off, accelerating from standst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63Lane change; Overtaking manoeuv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20/04Pedal travel sensor, stroke sensor; Sensing brake requ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63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64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using a remote, e.g. cordless, transmitter or receiver unit, e.g. remote keypad or mobile ph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B60W2550/14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05Type of road, e.g. motorways, local streets, paved or unpaved r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016Start-stop drive, e.g. in a traffic j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차량과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지도 정보 제공 서버에 있어서, 지도 정보 제공 서버의 제어 방법은 차량에 탑재되거나 차량과 연동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지도 정보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현재 상태와 비교하여 지도 데이터에서 차분 업데이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차분 업데이트 정보 중 기 설정된 패턴에 대응하는 부분 업데이트 정보를 선별하는 단계, 및 선별된 부분 업데이트 정보를 차량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행 환경에 대응하여 조절이 가능한 ISG 장치 및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DLE STOP AND GO CONTROL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
본 발명은 주행 환경에 대응하여 조절이 가능한 ISG(Idle Stop & Go)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중 주행 환경에 대응하여 ISG 제어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연비(연료 효율성)가 중요해지면서, 한 가지 기술로만 연비 개선을 도모하는 것은 그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차량에는 연비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
차량에 탑재된 전자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컴퓨터가 차의 운전 상태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최적 연비 상태로 운전되도록 엔진, 변속기, 공력저감장치 등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차량 정차 시 자동으로 엔진을 끄고 켜는 자동변속기용 ISG (Idle Stop & Go) 시스템은 도심 주행 조건이 많은 경우에 운전조건 특성상 실 주행 연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ISG 기술은 차량 정지하면 자동으로 엔진이 꺼지고, 차량이 출발할 때는 자동으로 엔진이 켜져서 공회전 시 연비 악화를 막을 수 있다. 하지만, 주행 중 차량이 정지하는 경우는 매우 다양하다. 교통 상황, 도로 조건 등을 고려하지 않고 정차된 경우마다 엔진을 자동으로 끄면, 연비 개선을 위해 시동을 켜고 끄는 일이 지속적으로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출발 시에 재시동으로 인해 움직임이 늦어지거나, 차량에 탑재된 다른 장치들(예, 에어컨, 멀티미디어 장치 등)이 연동되어 같이 꺼지고 켜지는 등으로 인한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 내 배터리의 전력을 소모하는 경우가 잦아질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연비 향상에 도움이 안될 수도 있고, 사용자 또는 운전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KR 10-2013-0063160 A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된 ISG(Idle Stop & Go) 장치에서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주행 경로를 반영하여 각 구간 별로 ISG 임계값 및 ISG 동작 여부를 수신하여 해당 임계값을 바탕으로 엔진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으로부터 목적지 또는 주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해당 차량의 주행 경로의 각 구간 별로 주행 상황, 환경을 감안하여 ISG 동작 여부 및 ISG 임계값을 결정하여 차량에 제공할 수 있는 텔레매틱스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자신이 인식한 주행 상황, 조건 등에 따라 ISG(Idle Stop & Go) 장치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고 선택, 제어할 필요없이, 텔레매틱스 서버를 통해 자동으로 ISG 장치의 동작과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운전자 또는 사용자의 주행 중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제어 방법은 차량 정보,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를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된 주행 경로 상의 ISG 사용 여부 및 ISG 임계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ISG 사용여부 및 상기 ISG 임계값에 대응하여 엔진의 시동 및 중지를 결정하는 단계; 주행 조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조건이 변경되면 상기 차량 정보, 상기 위치 정보, 상기 목적지 정보를 재수집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경로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주행 경로는 복수의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구간마다 상기 ISG 사용 여부 및 상기 ISG 임계값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엔진 제어 방법은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주행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주행 경로를 도로의 종류 및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간마다 상기 ISG 사용 여부 및 상기 ISG 임계값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의 시동 및 중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ISG 사용 여부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의 눌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눌린 상태로 상기 ISG 임계값 이상 유지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상기 ISG 임계값 이상 눌리면 상기 엔진을 중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엔진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눌리지 않으면, 상기 엔진을 시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SG 사용 여부는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도로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고속도로 구간에서는 상기 ISG 사용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SG 임계값은 1초 내지 7초의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조건은 기 설정된 갱신 주기, 차선 변경, 도로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SG 사용여부는 상기 기 설정된 갱신 주기의 적어도 2배 이상마다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전술한 차량의 엔진 제어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는 차량 정보,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를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된 주행 경로 상의 ISG 사용 여부 및 ISG 임계값을 수신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상기 ISG 사용여부 및 상기 ISG 임계값에 대응하여 엔진의 시동 및 중지를 결정하는 엔진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는 주행 조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행 조건이 변경되면,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상기 차량 정보, 상기 위치 정보, 상기 목적지 정보를 재수집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주행 경로를 수신하고, 상기 주행 경로는 복수의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구간마다 상기 ISG 사용 여부 및 상기 ISG 임계값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주행 경로를 결정하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상기 주행 경로를 도로의 종류 및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구간마다 상기 ISG 사용 여부 및 상기 ISG 임계값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는 브레이크 페달의 눌림 여부를 감지, 모니터링하는 브레이크 페달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엔진 제어기는 상기 ISG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페달 위치 센서로부터 브레이크 페달의 눌림 여부를 전달받아,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눌린 상태로 상기 ISG 임계값 이상 유지되는 지를 확인하고, 기 브레이크 페달이 상기 ISG 임계값 이상 눌리면 상기 엔진을 중지시키고, 상기 엔진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눌리지 않으면 상기 엔진을 시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SG 사용 여부는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도로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고속도로 구간에서는 상기 ISG 사용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조건은 기 설정된 갱신 주기, 차선 변경, 도로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는 상기 차선 변경을 확인할 수 있는 차선 변경 보조 시스템; 상기 도로 변경을 확인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장치; 및 상기 갱신 주기는 확인할 수 있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선 변경은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통해 전송되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결정되어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차량의 주행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 주행 경로에 대한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주행 경로에 포함된 도로의 속성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교통 정보와 상기 도로의 속성에 대응하여 ISG 사용여부와 ISG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ISG 사용여부와 상기 ISG 임계값을 상기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위치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와 상기 목적지 정보를 통해 차량의 주행 경로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엔진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도로의 속성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주행 중인 차선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ISG 사용여부와 상기 ISG 임계값은 상기 차선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구간 중 고속도로에서는 상기 ISG 사용을 중지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ISG 임계값은 1초 내지 7초의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엔진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기 설정된 갱신 주기, 차선 변경, 도로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행 조건을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조건이 수신되면 상기 ISG 사용여부 및 상기 ISG 임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재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SG 사용여부는 상기 기 설정된 갱신 주기의 적어도 2배 이상마다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전술한 차량용 엔진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버는 차량과 연동하여, 상기 차량의 엔진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를 확인하고, 주행 경로에 대한 교통 정보를 수집하며, 주행 경로에 포함된 도로의 속성을 확인하는 경로 확인부; 상기 교통 정보와 상기 도로의 속성에 대응하여 ISG 사용여부와 ISG 임계값을 결정하는 ISG 산출부; 및 상기 ISG 사용여부와 상기 ISG 임계값을 상기 차량에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 확인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와 상기 목적지 정보를 통해 차량의 주행 경로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는 상기 도로의 속성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주행 중인 차선을 확인하는 차선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ISG 산출부는 상기 ISG 사용여부와 상기 ISG 임계값은 상기 차선에 대응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SG 산출부는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구간 중 고속도로에서는 상기 ISG 사용을 중지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기 설정된 갱신 주기, 차선 변경, 도로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행 조건을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주행 조건이 전달되면, 상기 ISG 산출부는 상기 ISG 사용여부 및 상기 ISG 임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재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SG 산출부는 상기 ISG 사용여부를 상기 기 설정된 갱신 주기의 적어도 2배 이상마다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량에 별도의 제어기, 제어 장치의 추가 없이 소프트웨어의 추가와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이용하여 운전자 또는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ISG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간 통신(Vehicle to Vehicle, V2V), 차량과 도로 인프라 간 통신(Vehicle to Infra, V2I), 차량과 보행자 간 통신(Vehicle to Pedestrian, V2P), 차량과 개인 단말 간 통신(Vehicle to Nomadic Devices, V2N) 등을 포함하는 차량에 적용 가능한 통신 기술(Vehicle to Everything, V2X)을 통하여 신호등의 점멸시간을 고려하여 근처에 있는 차량에 ISG 작동여부를 설정할 수 있고, 만약 차량의 통신 기술(V2X)을 지원하지 않는 신호등이거나, 신호등 점멸 시 등 여러 조건에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도 차량이 주행을 할 수 있는 모든 곳의 도로 정보와 ISG 연동 값을 실시간으로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어 별도의 사회 기반시설의 제약 없이도 실시간으로 최적화된 ISG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1은 ISG(Idle Stop & Go)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는 주행 조건 또는 주행 환경에 대응하여 ISG(Idle Stop & Go)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을 설명한다.
도3은 ISG의 사용 여부와 임계값을 결정하는 제1방법을 설명한다.
도4는 차량의 ISG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5는 ISG의 사용 여부와 임계값을 결정하는 제2방법을 설명한다.
도6은 ISG 장치를 포함한 차량에 ISG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서버를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ISG (Idle Stop & Go)는 연비 개선 기술 중 하나로서, 차량이 일정 시간 동안 공회전(차량이 시동은 걸려있지만 주행하지 않는 상태)하는 경우 엔진을 자동으로 끄고 켜는 기술로서, 차량이 공회전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이다. 차량은 도로 주행 중 신호 대기, 교통 혼잡 등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차량이 움직이지 않음에도 엔진이 켜져 있다면 연료가 낭비될 수 있고, 불필요한 동작으로 인한 배기 가스가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주행 중 엔진을 끄고 다시 켜는 재시동의 경우, 출발이 지연되거나 오르막길에서 차가 뒤로 밀리는 현상 등의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엔진을 재시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 및 모터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하지만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 및 모터의 성능을 개선하더라도, ISG (Idle Stop & Go)이 정해진 기 설정된 알고리즘 또는 로직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 또는 운전자가 주행 중 마주하는 다양한 주행 조건, 주행 환경에 따라 조정되거나 변화되지 못하는 ISG (Idle Stop & Go) 장치에 대해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도1은 ISG(Idle Stop & Go)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ISG 장치는 차량이 시동 상태(40)에서 동작할 수 있다.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 ISG 장치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차량이 시동 상태(40), 즉 엔진이 켜져 있는 경우,에 ISG 장치는 브레이크 페달이 눌렸는 가를 판단할 수 있다(42). 만약 브레이크 페달이 눌려 있지 않는 경우, 차량은 움직이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의 시동 상태(40)는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만약 브레이크 페달이 눌려 있다면, ISG 장치는 공회전이 기 설정된 시간(예, N초, N은 자연수) 이상 지속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44). 예를 들어, ISG 장치는 브레이크 페달이 어느 정도 시간 동안 눌려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차량의 공회전이 기 설정된 시간 보다 짧은 경우, 차량의 엔진을 끌 필요는 없다.
만약 차량의 공회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긴 경우, ISG 장치는 차량의 엔진을 끌 수 있다(46). 차량의 엔진이 꺼진 후에도, ISG 장치는 브레이크 페달이 눌려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48). 만약 브레이크 페달이 계속 눌려 있는 경우, 엔진은 꺼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46). 그러나, 브레이크 페달이 눌려 있지 않다면, ISG 장치는 차량의 엔진을 재시동하여 시동 상태(40)를 유지할 수 있다.
도1에서는 ISG 장치가 브레이크 페달의 눌림 여부만을 확인하여 엔진을 끄고, 재시동하는 내용을 설명하고 있지만, ISG 장치는 베터리 전압, 엔진 온도 등 다양한 변수 또는 값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SG 장치는 운전석 안전벨트가 채워진 상태, 운전석 도어 및 엔진 후드 등이 닫혀 있는 상태, 브레이크 부압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때, 배터리 충전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때, 외부 온도 및 차량 내부 온도, 차량 공조 장치 등의 동작 조건 등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때 등등의 동작 조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주행 안전과 운전자 보호를 위해, 사용자 또는 운전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데도 ISG 장치가 강제로 차량의 엔진을 끌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충전 상태가 충분하지 않거나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운전석 안전 벨트가 해제되고 운전석 도어가 열리는 경우 등등에서는 ISG 장치가 엔진을 강제로 끌 수 있다.
ISG 장치 또는 시스템을 사용하면 연비를 약 3~6% 혹은 그 이상 개선 시킬 수도 있고 배기가스 절감에도 도움이 되고 있지만, 사용자 또는 운전자들이 불편함을 느끼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ISG 장치는 일정 시간 차량이 공회전을 하게 되면 시동 끄도록(OFF)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교통 상황과 도로 조건 중 일부에서는 사용자 또는 운전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고속도로에 차량이 정차하는 경우는 많지 않지만, 귀성길, 교통 사고 등으로 차량이 다소 정체되어 있는 구간의 경우 차량이 고속도로 위에 서다가다를 반복하게 된다. 이 때 차량에 ISG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면 그 차량은 매번 시동을 끄고(OFF) 켜고(ON)를 반복하게 되어 사용자 또는 운전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ISG 장치의 불편함을 느낀 사용자 또는 운전자는 ISG 장치를 사용하지 않거나, ISG 장치의 동작 여부를 수동으로 설정해야 한다. 주행 중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차량 내 인터페이스(예, 버튼 등)를 통해 ISG 장치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편의성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주행 안전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ISG 장치가 엔진을 끄고, 켜는 것을 결정하는 조건은 기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1을 참조하면, ISG 장치가 엔진을 크기 위해서는 차량의 공회전인 N초이상이어야 한다. 만약 N초가 1초라면, 고속도로에서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브레이크를 1초만 계속 밟고 있는 경우 ISG 장치는 엔진을 끌 수 있다. 운전자 또는 사용자는 차량의 주행 중 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엔진을 끄기 위한 조건, 즉 ISG 임계값이 달라지는 경우 ISG 장치로 인한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도2는 주행 조건 또는 주행 환경에 대응하여 ISG(Idle Stop & Go)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36)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서버(34)에 접속할 수 있다. 차량(36)은 차량 정보,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를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텔레매틱스 단말기(24)를 포함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단말기(24)는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된 주행 경로 상의 ISG 사용 여부 및 ISG 임계값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36)은 ISG 사용여부 및 ISG 임계값에 대응하여 엔진의 시동 및 중지를 결정하는 엔진 제어기(26)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량(36)은 주행 조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주행 조건이 변경되면, 텔레매틱스 단말기(24)는 차량 정보,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 등을 재수집하고 네트워크 서버(34)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36)은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바탕으로 주행 경로를 결정하는 네비게이션 장치(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에 내비게이션 장치(28)가 탑재된 경우, 내비게이션 장치(28)에 포함된 지도 정보를 바탕으로 주행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주행 경로는 도로의 종류 및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단말기(24)는 구분된 복수의 구간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서버(34)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34)는 각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구간마다 서로 다른 ISG 사용 여부 및 ISG 임계값을 차량(36)으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 탑재된 텔레매틱스 단말기(34)는 네트워크 서버(34)로부터 주행 경로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36)은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네트워크 서버(34)에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34)는 차량에서 전달되는 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바탕으로 주행 경로를 결정하여 차량(36)에 전달할 수 있다. 주행 경로는 복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고, 구간마다 ISG 사용 여부 및 ISG 임계값은 상이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34)로부터 ISG 사용 여부 및 ISG 임계값을 수신한 차량(36)은 엔진의 크기와 켜기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36)은 브레이크 페달의 눌림 여부를 감지, 모니터링하는 브레이크 페달 위치 센서(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엔진 제어기(26)는 ISG 사용 여부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 위치 센서(22)로부터 브레이크 페달의 눌림 여부를 전달받을 수 있다. 엔진 제어기(26)는 브레이크 페달이 눌린 상태로 ISG 임계값 이상 유지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브레이크 페달이 ISG 임계값 이상 눌렸다고 판단되면, 엔진 제어기(26)는 엔진을 끌 수 있다. 또한, 엔진이 꺼진 또는 중지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눌리지 않으면, 엔진 제어기(26)는 엔진을 다시 시동할 수 있다.
차량(36)이 주행 중인 경우, 차량의 주행 조건 또는 주행 환경에 따라 ISG 사용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ISG 사용 여부는 주행 경로에 포함된 도로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차량이 고속도로 상에서 주행 중인 경우에는 ISG 사용을 중지할 수 있다.
차량(36)은 주행 조건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고, 이러한 주행 조건에는 기 설정된 갱신 주기, 차선 변경, 도로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량(36)에는 차선 변경을 확인할 수 있는 차선 변경 보조 시스템, 도로 변경을 확인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장치(28), 및 갱신 주기는 확인할 수 있는 타이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차선 변경은 텔레매틱스 단말기(24)를 통해 전송되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서버(34)에 의해 결정되어 전달될 수 있다. 차량(36)이 차선 변경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 혹은 센서를 포함하고 있지 않더라도, 차량(36)이 전송하는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서버(34)는 주행 중인 차량(36)의 차선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차량(36)이 시동한 후 길 안내를 요청 시 네트워크 서버(34)로부터 주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서버(34)는 텔레매틱스 센터의 예로서 간주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34)는 (36)으로 주행 경로에 대한 교통 정보와 각 도로의 ID, 구간 별 ISG 임계값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34)에서 결정되어 전달되는 정보는 ISG 사용 여부 및 ISG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36)이 주행하는 도로(예, 화성시 00023 (ID) 2차선 도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36)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2차선 도로 중 어느 차선에서 주행 중인지를 네트워크 서버(34)가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서버(34)는 일정 시간 마다 도로마다 차선별 ISG 사용여부 및 ISG 임계값을 결정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34)로부터 전달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36)에 탑재된 ISG 장치는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차량(36)은 주행 조건의 변경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서버(34)에 ISG 사용 여부 및 ISG 임계값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해당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경로의 안내를 위한 데이터를 수신한 후 기 설정된 시간(예, 10초, 30초, 1분 등)이 경과하면, 실시간 교통 정보를 반영하기 위해 네트워크 서버(34)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ISG 사용 여부 및 ISG 임계값을 요청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36)이 주행 중 차선 변경을 인지할 수 있다면, 차량(36)이 차선 변경에 따라 새로운 차선에서의 ISG 사용 여부 및 ISG 임계값을 네트워크 서버(34)에 요청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36)의 위치 정보에 따라 차량(36)이 새로운 도로에 진입한 경우, ISG 사용 여부 및 ISG 임계값을 네트워크 서버(34)에 요청할 수 있다
도3은 ISG의 사용 여부와 임계값을 결정하는 제1방법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서버가 ISG 사용 여부 및 ISG 임계값을 결정하는 방법은 차량의 주행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72), 주행 경로에 대한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주행 경로에 포함된 도로의 속성을 확인하는 단계(74), 교통 정보와 도로의 속성에 대응하여 ISG 사용여부와 ISG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76), 및 ISG 사용여부와 ISG 임계값을 상기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78)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와 연동하는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네트워크 서버는 차량이 전달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ISG 사용여부와 ISG 임계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버는 주행 경로에 포함된 구간 중 고속도로에서는 ISG 사용을 중지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가 결정하는 ISG 임계값은 1초 내지 7초의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는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에 대응하여 ISG 사용여부를 결정하고, ISG 장치에서 사용할 ISG 임계값을 결정하여 전달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네트워크 서버가 ISG 사용 여부 및 ISG 임계값을 결정하는 방법은 기 설정된 갱신 주기, 차선 변경, 도로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행 조건을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주행 조건이 수신되면 ISG 사용여부 및 ISG 임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재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는 ISG 사용여부는 기 설정된 갱신 주기의 적어도 2배 이상마다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갱신 주기는 약 10초, 20초, 30초와 같은 짧은 시간일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가 ISG 임계값을 자주 산출하는 것은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 차선의 주행 조건과 주행 환경을 자주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ISG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또는 운전자의 만족도를 높여주고, 연비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가 짧은 시간마다 계속 변경되거나,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주행 조건 및 주행 환경이 짧은 시간마다 변경되지는 않기 때문에, 네트워크 서버가 ISG 사용여부를 매번 결정하는 것은 불필요한 연산일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서버는 ISG 임계값을 계산하는 주기가 m번(m은 자연수) 지날 때마다 한번씩 ISG 사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차량이 동일한 도로를 계속 주행 중인 경우 ISG 사용여부를 반복하여 결정할 필요가 없을 수 있으나,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가 달라지는 경우 ISG 사용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서버는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가 달라지는 경우, ISG 임계값을 결정하는 주기와 상관없이 ISG 사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4는 차량의 ISG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ISG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차량 정보,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를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10),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된 주행 경로 상의 ISG 사용 여부 및 ISG 임계값을 수신하는 단계(11), 및 ISG 사용여부 및 ISG 임계값에 대응하여 엔진의 시동 및 중지를 결정하는 엔진 제어기를 운영하는 단계(12)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 조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ISG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갱신 주기를 초과하였는 지 확인하는 단계(14), 차량이 차선을 변경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16), 또는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를 변경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주행 조건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이미 수신된 ISG 사용여부 및 ISG 임계값에 대응하여 엔진의 시동 및 중지를 결정하는 엔진 제어기를 운영할 수 있다(12). 차량이 모니터링하는 주행 조건에는 기 설정된 갱신 주기, 차선 변경, 도로 변경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ISG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주행 조건이 변경되면 차량 정보,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를 재수집하고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이 주행 중 주행 조건이 변경되면, 주행 조건에 대응하는 ISG 사용여부 및 ISG 임계값을 수신하기 위해, 수집된 정보를 네트워크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ISG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차량은 주행 경로를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주행 경로는 복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간마다 ISG 사용 여부 및 ISG 임계값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이 네트워크 서버에 요청하는 ISG 사용여부는 기 설정된 갱신 주기의 적어도 2배 이상마다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실시예에 따라, 차량이 ISG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바탕으로 주행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주행 경로를 도로의 종류 및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복수의 구간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이 복수의 구간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서버에 전달하면, 네트워크 서버는 해당 구간에 대응하여 서로 상이할 수 있는 ISG 사용 여부 및 ISG 임계값을 차량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ISG 사용여부 및 ISG 임계값에 대응하여 엔진의 시동 및 중지를 결정하는 엔진 제어기를 운영하는 단계(12)는 ISG 사용 여부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의 눌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브레이크 페달이 눌린 상태로 ISG 임계값 이상 유지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브레이크 페달이 ISG 임계값 이상 눌리면 엔진을 중지시키는 단계, 및 엔진이 중지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눌리지 않으면 엔진을 시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가 결정하여 차량에 전달하는 ISG 사용 여부는 차량이 주행하는 경로에 포함된 도로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행 경로에 포함된 고속도로 구간에서는 ISG 사용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전달되는 ISG 임계값은 1초 내지 7초의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SG 임계값이 3초인 경우, 차량의 공회전이 3초이상 지속되면 ISG 장치는 엔진을 끌 수 있다.
도5는 ISG의 사용 여부와 임계값을 결정하는 제2방법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네트워크 서버에서 ISG의 사용 여부와 ISG 임계값을 결정하는 방법은 차량의 주행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50), 주행 경로에 대한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주행 경로에 포함된 도로의 속성을 확인하는 단계(52), 교통 정보와 도로의 속성에 대응하여 ISG 사용여부와 ISG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58), 및 ISG 사용여부와 ISG 임계값을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6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량의 주행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50)는 차량의 위치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위치와 목적지 정보를 통해 차량의 주행 경로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에서 ISG의 사용 여부와 ISG 임계값을 결정하는 방법은 도로의 속성 및 차량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주행 중인 차선을 확인하는 단계(56), 및 차선별 주행 중인 차량들의 ISG 설정을 기준으로 ISG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SG 사용여부와 ISG 임계값은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뿐만 아니라 차선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네트워크 서버에서 ISG의 사용 여부와 ISG 임계값을 결정하는 방법은 기 설정된 갱신 주기, 차선 변경, 도로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행 조건을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주행 조건이 수신되면 ISG 사용여부 및 ISG 임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재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서버는 ISG 임계값을 결정하는 주기의 적어도 2배 이상마다 ISG 사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는 ISG 사용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수식을 이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위 수식을 참조하면, 현재 시점으로부터 10초 전, 20초 전에 특정 도로 또는 특정 차선을 주행하는 전체 차량의 수에서 10초 전, 20초 전에 ISG 장치를 통해 엔진을 끈(OFF) 차량의 수의 비율을 %단위로 표현할 수 있고, 이를 기준값(예, 80%)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전체 차량에 대하여 ISG 장치를 통해 엔진을 끈 차량의 비율이 높은 경우, 상당 비율의 차량이 ISG 장치를 통해 공회전 중 엔진을 끄고 있는 주행 조건임을 인정할 수 있고, ISG 장치의 사용 여부는 “사용”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하지만, 위 수식에서 차량들의 상당수가 ISG 장치를 통해 엔진을 끄고 있는 상태가 적은 경우(기준값 아래의 경우), 해당 도로와 해당 차선에서는 ISG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고, ISG 장치의 사용 여부는 “비사용”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서버는 현재 시점으로부터 10초 전 도로 혹은 차선의 상황과 20초 전 도로 혹은 차선의 상황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초 전 전체 차량 중 ISG 사용 차량 수의 제1비율과 20초 전 전체 차량 중 ISG 사용 차량 수의 제2비율을 비교할 수 있다. 만약 10초 전의 제1비율이 20초 전의 제2비율보다 낮은 경우, 해당 차선 혹은 해당 도로의 정체는 해소되고 있는 상태라고 추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제1비율이 제2비율보다 높다면 해당 차선 또는 해당 도로의 정체는 심해지고 있는 상태로 추정할 수 있다.
만약 해당 차선에 진입한 차량과 통과한 차량의 속도를 비교하여 감속되었을 경우 정체되고 있음을 의미하기에 ISG를 활성화 하기 위해 기준값을 낮출 수 있다. 반대로 진입한 차량의 속도가 가속되었을 경우라면 원활한 상황이므로 기준값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진입 차량 대비 감속/가속을 판단하는 X값과 기준값 80%에서 증가/감소 시키기 위한 Y값은 도로 특성을 고려하여 도로별로 네트워크 서버에서 데이터 베이스(DB)를 통해 해당 정보들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서버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고 관리되는 정보와 값을 바탕으로 ISG 사용여부 뿐만 아니라 ISG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ISG 임계값도 ISG 사용여부와 같이 현재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두 시점을 선정하여 해당 도로와 차선에서의 ISG 장치의 사용 비율을 통해 해당 도로와 차선의 주행 환경을 추정할 수 있고, 이러한 주행 환경을 반영하여 ISG 임계값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도로 또는 해당 차선이 정체 중이면 ISG 임계값을 감소시킬 수 있고(예, 3초를 2초), 해당 도로 또는 해당 차선에 정체가 해소되고 있다고 추정되면 ISG 임계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예, 2초를 3초). 한편, ISG 사용여부가 “비사용”으로 결정된 경우, 네트워크 서버는 ISG 임계값을 산출하거나 결정할 필요가 없다.
한편, 네트워크 서버가 ISG 임계값을 결정할 때마다 ISG 사용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또한, ISG 사용여부의 결정은 주행 경로를 업데이트 할 때마다 갱신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의 길이가 길수록 ISG 사용 여부의 결정을 주행 경로를 업데이트를 하는 주기를 기준으로 몇 주기마다 한번씩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가 ISG 사용 여부와 ISG 임계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현재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을 가지는 두 시점을 기준의 데이터를 참조하였으나, 보다 많은 시점의 기준 데이터를 사용하여 ISG 사용 여부와 ISG 임계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보다 많은 기준 데이터를 사용할수록 ISG 사용 여부와 ISG 임계값을 사용자 또는 운전자가 주행하는 도로, 차선의 주행 조건, 주행 환경에 대응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도6은 ISG 장치를 포함한 차량에 ISG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서버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36)과 연동하여, 차량(36)의 엔진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서버(34)는 ISG 장치의 운영을 위한 ISG 사용 여부와 ISG 임계값을 결정하기 위한 ISG 제어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ISG 제어부(80)는 차량(36)의 주행 경로를 확인하고, 주행 경로에 대한 교통 정보를 수집하며, 주행 경로에 포함된 도로의 속성을 확인하는 경로 확인부(82), 교통 정보와 도로의 속성에 대응하여 ISG 사용여부와 ISG 임계값을 결정하는 ISG 산출부(88), 및 ISG 사용여부와 ISG 임계값을 차량에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86)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34)에 포함된 경로 확인부(82)는 차량의 위치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와 목적지 정보를 통해 차량의 주행 경로를 검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34)는 차량(36)이 주행하는 또는 주행할 수 있는 도로의 교통 상황을 수집하고 저장할 수 있는 교통 상황 저장부(66), 차량(36)으로부터 전달된 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바탕으로 주행 경로를 찾기 위한 지도 데이터 저장부(68) 및 차량(36)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히스토리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차량 데이터 저장부(7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교통 상황 저장부(66), 지도 데이터 저장부(68), 차량 데이터 저장부(70) 등은 차량(36)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차량(36)의 주변에서 주행하고 있는 다른 차량들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34)는 복수의 차량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클라우스 서비스 장치로서 복수의 차량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도로 상황, 주행 조건, 주행 환경 등을 추정하거나 예상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ISG 제어부(80)는 도로의 속성 및 차량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주행 중인 차선을 확인하는 차선 확인부(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ISG 산출부(88)는 ISG 사용여부와 ISG 임계값은 차선에 대응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SG 산출부(88)는 주행 경로에 포함된 구간 중 고속도로에서는 ISG 사용을 중지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34) 내 데이터 송수신부(86)는 기 설정된 갱신 주기, 차선 변경, 도로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행 조건을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86)를 통해 주행 조건이 전달되면, ISG 산출부(88)는 ISG 사용여부 및 ISG 임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재결정할 수 있다. ISG 산출부(88)는 ISG 사용여부를 교통 정보를 갱신하거나 ISG 임계값을 갱신하기 위한 기 설정된 갱신 주기의 적어도 2배 이상마다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ISG 장치의 제어 방법은 기존 차량에서 별도의 제어기 추가 없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을 추가하여 고객에게 효율적인 ISG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에 적용 가능한 통신 기술(Vehicle to Everything, V2X)을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통하여 여러 제안되어 있는 서비스의 경우 신호등의 점멸시간을 고려하여 근처에 있는 차량에 ISG 작동여부를 설정하는 기능이 대다수이며, 만약 V2X를 지원하지 않는 신호등이거나, 신호등 점멸 시 등 여러 조건에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경우 최적의 ISG 시스템 제어가 불가능할 수 있으나, 전술한 실시예를 이용하는 경우 차량이 주행을 할 수 있는 모든 곳의 도로 정보와 ISG 연동 값을 실시간으로 매핑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별도의 사회 기반시설의 제약 없이 당사의 기술만으로 고객에게 실시간으로 최적화된 ISG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34: 네트워크 서버 36: 차량
30: 엔진 22: 브레이크 페달 위치 센서
24: 텔레매틱스 단말기 26: 엔진 제어기
28: 내비게이션 장치 80: ISG 서비스 장치
66: 교통 상황 저장소 68: 지도 데이터 저장소
70: 차량 데이터 저장소

Claims (33)

  1. 차량 정보,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를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된 주행 경로 상의 ISG 사용 여부 및 ISG 임계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ISG 사용여부 및 상기 ISG 임계값에 대응하여 엔진의 시동 및 중지를 결정하는 단계;
    주행 조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조건이 변경되면 상기 차량 정보, 상기 위치 정보, 상기 목적지 정보를 재수집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엔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경로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주행 경로는 복수의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구간마다 상기 ISG 사용 여부 및 상기 ISG 임계값은 상이할 수 있는, 차량의 엔진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주행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주행 경로를 도로의 종류 및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간마다 상기 ISG 사용 여부 및 상기 ISG 임계값은 상이할 수 있는, 차량의 엔진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시동 및 중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ISG 사용 여부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의 눌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눌린 상태로 상기 ISG 임계값 이상 유지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상기 ISG 임계값 이상 눌리면 상기 엔진을 중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엔진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눌리지 않으면, 상기 엔진을 시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엔진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SG 사용 여부는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도로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의 엔진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고속도로 구간에서는 상기 ISG 사용을 중지하는, 차량의 엔진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SG 임계값은 1초 내지 7초의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차량의 엔진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조건은 기 설정된 갱신 주기, 차선 변경, 도로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엔진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ISG 사용여부는 상기 기 설정된 갱신 주기의 적어도 2배 이상마다 결정되는, 차량의 엔진 제어 방법.
  10.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청구항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의 엔진 제어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1. 차량 정보,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를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된 주행 경로 상의 ISG 사용 여부 및 ISG 임계값을 수신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상기 ISG 사용여부 및 상기 ISG 임계값에 대응하여 엔진의 시동 및 중지를 결정하는 엔진 제어기
    를 포함하는,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주행 조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행 조건이 변경되면,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상기 차량 정보, 상기 위치 정보, 상기 목적지 정보를 재수집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는,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주행 경로를 수신하고,
    상기 주행 경로는 복수의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구간마다 상기 ISG 사용 여부 및 상기 ISG 임계값은 상이할 수 있는,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주행 경로를 결정하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상기 주행 경로를 도로의 종류 및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구간마다 상기 ISG 사용 여부 및 상기 ISG 임계값은 상이할 수 있는,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의 눌림 여부를 감지, 모니터링하는 브레이크 페달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엔진 제어기는
    상기 ISG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페달 위치 센서로부터 브레이크 페달의 눌림 여부를 전달받아,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눌린 상태로 상기 ISG 임계값 이상 유지되는 지를 확인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상기 ISG 임계값 이상 눌리면 상기 엔진을 중지시키고, 상기 엔진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눌리지 않으면 상기 엔진을 시동하는,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ISG 사용 여부는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도로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고속도로 구간에서는 상기 ISG 사용을 중지하는,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조건은 기 설정된 갱신 주기, 차선 변경, 도로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 변경을 확인할 수 있는 차선 변경 보조 시스템;
    상기 도로 변경을 확인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장치; 및
    상기 갱신 주기는 확인할 수 있는 타이머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 변경은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통해 전송되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결정되어 전달되는,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20. 차량의 주행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
    주행 경로에 대한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주행 경로에 포함된 도로의 속성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교통 정보와 상기 도로의 속성에 대응하여 ISG 사용여부와 ISG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ISG 사용여부와 상기 ISG 임계값을 상기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엔진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위치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와 상기 목적지 정보를 통해 차량의 주행 경로를 검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엔진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속성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주행 중인 차선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ISG 사용여부와 상기 ISG 임계값은 상기 차선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차량용 엔진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구간 중 고속도로에서는 상기 ISG 사용을 중지하도록 결정되는, 차량용 엔진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ISG 임계값은 1초 내지 7초의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차량용 엔진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25. 제20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갱신 주기, 차선 변경, 도로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행 조건을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조건이 수신되면 상기 ISG 사용여부 및 상기 ISG 임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재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엔진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ISG 사용여부는 상기 기 설정된 갱신 주기의 적어도 2배 이상마다 결정되는, 차량용 엔진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27.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청구항 제2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엔진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8. 차량과 연동하여, 상기 차량의 엔진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를 확인하고, 주행 경로에 대한 교통 정보를 수집하며, 주행 경로에 포함된 도로의 속성을 확인하는 경로 확인부;
    상기 교통 정보와 상기 도로의 속성에 대응하여 ISG 사용여부와 ISG 임계값을 결정하는 ISG 산출부; 및
    상기 ISG 사용여부와 상기 ISG 임계값을 상기 차량에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서버.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확인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와 상기 목적지 정보를 통해 차량의 주행 경로를 검색하는, 네트워크 서버.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속성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주행 중인 차선을 확인하는 차선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ISG 산출부는 상기 ISG 사용여부와 상기 ISG 임계값은 상기 차선에 대응하여 결정하는, 네트워크 서버.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ISG 산출부는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구간 중 고속도로에서는 상기 ISG 사용을 중지하도록 결정하는, 네트워크 서버.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기 설정된 갱신 주기, 차선 변경, 도로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행 조건을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주행 조건이 전달되면, 상기 ISG 산출부는 상기 ISG 사용여부 및 상기 ISG 임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재결정하는, 네트워크 서버.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ISG 산출부는 상기 ISG 사용여부를 상기 기 설정된 갱신 주기의 적어도 2배 이상마다 결정하는, 네트워크 서버.
KR1020170101611A 2017-08-10 2017-08-10 주행 환경에 대응하여 조절이 가능한 isg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368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611A KR102368607B1 (ko) 2017-08-10 2017-08-10 주행 환경에 대응하여 조절이 가능한 isg 장치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611A KR102368607B1 (ko) 2017-08-10 2017-08-10 주행 환경에 대응하여 조절이 가능한 isg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184A true KR20190017184A (ko) 2019-02-20
KR102368607B1 KR102368607B1 (ko) 2022-03-02

Family

ID=65562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611A KR102368607B1 (ko) 2017-08-10 2017-08-10 주행 환경에 대응하여 조절이 가능한 isg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6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8072A (zh) * 2019-07-29 2021-02-0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自动控制车辆关闭的系统及方法
CN113771831A (zh) * 2020-06-10 2021-12-10 李尔公司 用于控制交通工具启动-停止系统的系统和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8544A (ja) * 2003-01-15 2004-08-05 Mazda Motor Corp 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4239090A (ja) * 2003-02-03 2004-08-26 Mazda Motor Corp アイドルストップ実行条件情報共有方法、同システム、同プログラム及び同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30063160A (ko) 2011-12-06 2013-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sg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6113947A (ja) * 2014-12-15 2016-06-2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
KR20170023660A (ko) * 2015-08-24 2017-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Ⅰsg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8544A (ja) * 2003-01-15 2004-08-05 Mazda Motor Corp 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4239090A (ja) * 2003-02-03 2004-08-26 Mazda Motor Corp アイドルストップ実行条件情報共有方法、同システム、同プログラム及び同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30063160A (ko) 2011-12-06 2013-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sg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6113947A (ja) * 2014-12-15 2016-06-2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
KR20170023660A (ko) * 2015-08-24 2017-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Ⅰsg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8072A (zh) * 2019-07-29 2021-02-0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自动控制车辆关闭的系统及方法
CN112298072B (zh) * 2019-07-29 2024-05-1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自动控制车辆关闭的系统及方法
CN113771831A (zh) * 2020-06-10 2021-12-10 李尔公司 用于控制交通工具启动-停止系统的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607B1 (ko)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1881B2 (ja) エンジン停止制御装置及び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並びにこれらの方法
EP1960982B1 (en) Vehicular drive assist system and vehicular drive assist method
US10858007B2 (en) Vehicle control system
JP6877368B2 (ja) 地理ゾーンに関する履歴データに基づいた車両制御戦略の適合
US10875534B2 (en) Vehicle control device
JP2020057443A (ja) 変化する道路条件に関し乗り物を支援する技術
JP5319402B2 (ja) エコラン状態通知装置及びエコラン状態通知方法
JP4973475B2 (ja) 充電制御装置
US20190256096A1 (en) Driver Assistance System
CN102774383B (zh) 一种红绿灯的提示方法及提示装置
JP2005098749A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10994720B2 (en) Method for operating a start-stop system and a motor vehicle
JP4978439B2 (ja) 車両用走行支援装置
JPWO2018147207A1 (ja) 自動車の走行制御装置、及び自動車の走行制御システム
CN104442833A (zh) 降低停车灯用制动的方法和系统
KR101738818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제어 방법
KR20190017184A (ko) 주행 환경에 대응하여 조절이 가능한 isg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03306091A (ja) ドライバ判定装置
KR101765592B1 (ko) Ⅰsg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8952979A (zh) 一种发动机控制方法及装置
JP2018114913A (ja) 運転支援装置
Lee et al. Development of advanced idle stop-and-go control utilizing V2I
KR102575161B1 (ko) 차량 통신을 이용한 isg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4630776A (zh) 用于控制车速的控制设备和方法
CN114291090A (zh) 用于车辆的自启停功能的控制方法、程序产品和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