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422A - 옥외용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옥외용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422A
KR20190016422A KR1020180004974A KR20180004974A KR20190016422A KR 20190016422 A KR20190016422 A KR 20190016422A KR 1020180004974 A KR1020180004974 A KR 1020180004974A KR 20180004974 A KR20180004974 A KR 20180004974A KR 20190016422 A KR20190016422 A KR 20190016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uspension member
image
suppor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4892B1 (ko
Inventor
시게키 시바타
류노스케 칸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로고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52853A external-priority patent/JP69000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69392A external-priority patent/JP68827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69399A external-priority patent/JP686954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로고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로고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16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1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3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combustion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2037/077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foldable construction for storage or transport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1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for use in baking ovens or cooking 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은 옥외용 연소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형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킨다.
(구성) 옥외용 연소장치(B1)는 화상(100)과 오덕을 구비하고 있다. 화상(100)은 고형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 공간을 갖고 있다. 오덕은 연소 공간의 상측 또는 연소 공간내에 배치되는 환상의 연료 지지부(X)를 갖고 있다. 이 연료 지지부(X)내에 고형 연료가 배치 가능하며, 상기 고형 연료를 연료 지지부(X)에 기대 세워서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옥외용 연소장치{OUTDOOR COMBUS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바베큐 그릴이나 분화대 등의 옥외용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옥외용 연소장치가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 옥외용 연소장치는 숯이나 장작 등의 고형 연료를 수용 가능한 화상(火床)과, 이 화상의 상단에 십자 형상으로 현가된 오덕(trivet)을 구비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 10-127498호 공보
이 종류의 옥외용 연소장치에서는 내부에 배치되는 고형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고형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옥외용 연소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형태의 옥외용 연소장치는 고형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 공간을 갖는 화상과, 연소 공간의 상측 또는 연소 공간내에 배치되는 환상의 연료 지지부를 갖는 오덕을 구비하고 있다. 연료 지지부내에 고형 연료가 배치 가능하며, 상기 고형 연료를 연료 지지부에 기대 세워서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옥외용 연소장치에 의한 경우, 고형 연료가 연료 지지부에 기대 세워서 지지되므로, 고형 연료의 연소에 의해 생기는 상승 기류에 의해 고형 연료가 연소하기 쉬워지고, 그 결과, 고형 연료의 연소효율이 향상된다.
화상은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제1지지부와,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한쌍의 제1지지부에 대향하는 한쌍의 제2지지부와, 제1방향에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제3지지부와,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한쌍의 제3지지부에 대향하는 한쌍의 제4지지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오덕은 한쌍의 제1지지부와 한쌍의 제2지지부에 지지된 한쌍의 제1현가부재와, 한쌍의 제1현가부재에 교차하도록 한쌍의 제3지지부와 한쌍의 제4지지부에 지지된 한쌍의 제2현가부재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옥외용 연소장치는 화상의 상측에서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제1지지부와, 화상의 상측에서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한쌍의 제1지지부에 대향하는 한쌍의 제2지지부와, 화상의 상측에서 제1방향에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제3지지부와, 화상의 상측에서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한쌍의 제1지지부에 대향하는 한쌍의 제4지지부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오덕은 한쌍의 제1지지부와 한쌍의 제2지지부에 지지된 한쌍의 제1현가부재와, 한쌍의 제1현가부재에 교차하도록 한쌍의 제3지지부와 한쌍의 제4지지부에 지지된 한쌍의 제2현가부재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어느 경우나, 연료 지지부는 한쌍의 제1현가부재와 한쌍의 제2현가부재의 교차부, 한쌍의 제1현가부재 교차부 사이의 부분 및 한쌍의 제2현가부재의 교차부 사이의 부분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옥외용 연소장치는 화상내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고형 연료를 적재 가능한 연료 적재부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옥외용 연소장치에 의한 경우, 고형 연료를 연료 지지부 및 연료 적재부에 기대 세워서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고형 연료를 기대 세워서 지지시키기 쉬워진다.
화상은 고형 연료를 적재 가능한 바닥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옥외용 연소장치에 의한 경우, 고형 연료를 연료 지지부 및 화상의 바닥부에 기대 세워서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고형 연료를 기대 세워서 지지시키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옥외용 연소장치는 제1현가부재와, 화상과, 구획판을 구비하고 있다. 화상은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를 갖고 있다. 제1현가부재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에 지지되고, 화상에 현가되어 있다. 구획판은 제1현가부재로부터 수하되어 있고 또한 화상내의 공간을 대략 수평방향에 있어서 제1, 제2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옥외용 연소장치에 의한 경우, 제1현가부재가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에 지지되고, 화상에 현가되어 있으므로, 구획판 및 제1현가부재가 쓰러지기 어렵다.
다른 형태의 옥외용 연소장치는 제2현가부재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은 제3지지부 및 제4지지부를 더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지지부 및 제4지지부는 제2현가부재가 제1현가부재에 교차하고, 또한 제1현가부재 또는 구획판에 접촉하도록, 제2현가부재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제1현가부재 및 구획판의 적어도 한쪽은 상방향으로 개방된 오목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3지지부 및 제4지지부는 제2현가부재가 제1현가부재에 교차하고 또한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제2현가부재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느 경우나, 제1현가부재 및 제2현가부재가 조리용기 또는 꼬치를 지지 가능한 오덕으로서 사용 가능하므로, 바베큐 그릴의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다기능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옥외용 연소장치는 화상과, 이 화상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와, 제1현가부재와, 구획판을 구비하고 있다. 제1현가부재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에 현가되어 있다. 구획판은 제1현가부재로부터 수하되어 있고 또한 화상내의 공간을 대략 수평방향에 있어서 제1, 제2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옥외용 연소장치에 의한 경우, 제1현가부재가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에 지지되어, 현가되어 있으므로, 구획판 및 제1현가부재가 쓰러지기 어렵다.
또 다른 형태의 옥외용 연소장치는 화상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제3지지부 및 제4지지부와, 제2현가부재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지지부 및 제4지지부는 제2현가부재가 제1현가부재에 교차하고, 또한 제1현가부재 또는 구획판에 접촉하도록, 제2현가부재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제1현가부재 및 구획판의 적어도 한쪽은 상방향으로 개방된 오목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지지부 및 제4지지부는 제2현가부재가 제1현가부재에 교차하고 또한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제2현가부재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느 경우나, 제1현가부재 및 제2현가부재가 조리용기 또는 꼬치를 지지 가능한 오덕으로서 사용 가능하므로, 바베큐 그릴의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다기능화를 꾀할 수 있다.
화상은 환상으로 배치된 3개 이상의 측판을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측판은 한쌍의 측변을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측판 중 인접하는 측판의 측변끼리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측판 중 하나의 측판이 제1지지부를 갖고, 다른 하나의 측판이 제2지지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획판은 하나의 측판 및 다른 하나의 측판 사이에 개재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옥외용 연소장치에 의한 경우, 구획판이 2개의 측판 사이에 개재하고 있으므로, 화상이 접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1현가부재는 봉상 또는 판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획판은 제1현가부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옥외용 연소장치는 구획판이 제1현가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그 수납성이 향상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형태의 옥외용 연소장치는 화상내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고형 연료를 적재 가능한 연료 적재부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료 적재부는 구멍을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획판은 구획판 본체와, 볼록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획판 본체는 제1현가부재로부터 연료 적재부에 수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볼록부는 구획판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구멍에 삽입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옥외용 연소장치에 의한 경우, 볼록부가 연료 적재부의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구획판의 제1현가부재를 축으로 하는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구획판은 제1현가부재로부터 연료 적재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또한 연료 적재부에 접촉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구획판이 연료 적재부에 접촉함으로써, 구획판이 연료 적재부에 지지된다.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는 복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현가부재는 복수이며, 조리용기 또는 꼬치를 지지 가능한 오덕으로서 사용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옥외용 연소장치에 의한 경우, 복수의 제1현가부재가 오덕과 구획판을 지지하는 부재를 겸하고 있으므로,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다기능화를 꾀할 수 있다.
제3지지부 및 제4지지부는 복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현가부재도 복수이다. 복수의 제2현가부재가 오덕으로서 사용 가능하므로, 조리용기 또는 꼬치를 안정되게 지지 가능해진다.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옥외용 연소장치용의 구획판은 구획판 본체를 갖고 있다. 구획판 본체는 옥외용 연소장치의 제1, 제2지지부에 현가된 제1현가부재로부터 화상내에 수하되어 있고 또한 화상내의 공간을 대략 수평방향에 있어서 제1, 제2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구획판에 의한 경우, 구획판 본체가 제1, 제2지지부에 현가된 제1현가부재로부터 화상내에 수하되므로, 구획판이 쓰러지기 어렵다.
구획판 본체에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오목부에는 옥외용 연소장치의 제3, 제4지지부에 제1현가부재에 교차하도록 현가된 제2현가부재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구획판에 의한 경우, 오목부에 제2현가부재가 삽입되므로, 구획판 및 제2현가부재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옥외용 연소장치용의 구획판은 볼록부를 더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볼록부는 구획판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화상내에 지지된 고형 연료를 적재 가능한 연료 적재부의 구멍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구획판에 의한 경우, 볼록부가 연료 적재부의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구획판의 제1현가부재를 축으로 하는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구획판 본체는 화상내에 지지되고, 고형 연료를 적재 가능한 연료 적재부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구획판에 의한 경우, 구획판 본체가 연료 적재부에 지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옥외용 연소장치는 연소 공간을 갖는 화상과, 연소 공간의 상측 또는 연소 공간내에 있어서 화상의 일부보다 상기 화상의 중앙부측 또한 화상의 일부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상측에 배치되는 꼬치 유지구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의 일부는 상기 일부를 관통한 제1유지구멍을 갖고 있다. 꼬치 유지구는 제2유지구멍을 갖고 있다. 제2유지구멍은 꼬치 유지구를 상하로 관통하고 있고 또한 제1유지구멍의 비스듬하게 상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옥외용 연소장치에 의한 경우, 꼬치 유지구는 연소 공간의 상측 또는 연소 공간내에 있어서, 화상의 일부보다 상기 화상의 중앙부측에 위치하고, 또한 화상의 일부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상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꼬치의 하단부를 화상의 측판의 제1유지구멍과 꼬치 유지구의 제2유지구멍에 삽입함으로써, 꼬치가 화상내에서 비스듬히 경사시켜서 유지된다. 이 때문에, 꼬치에 꽂힌 식재와 화상의 연소 공간내의 열원의 거리를 가깝게 할 수 있다.
화상은 일부를 갖는 측판을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측판의 적어도 일부가 꼬치 유지구에 대향하도록 화상의 중앙부측으로 아래로 경사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옥외용 연소장치에 의한 경우, 제1유지구멍이 형성되는 측판의 적어도 일부가 꼬치 유지구에 대향하도록 화상의 중앙부측으로 아래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꼬치의 하단부가 제1유지구멍에 삽입되기 쉬워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옥외용 연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예 1의 옥외용 연소장치의 제1설계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옥외용 연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예 2의 옥외용 연소장치의 제1설계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옥외용 연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옥외용 연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옥외용 연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상기 실시예 5의 옥외용 연소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c는 상기 실시예 5의 옥외용 연소장치의 도 1 중의 1C-1C 단면도이다.
도 7d는 상기 실시예 5의 옥외용 연소장치의 도 1 중의 1D-1D 단면도이다.
도 7e는 상기 실시예 5의 옥외용 연소장치의 제1설계 변형예의 정면도이다.
도 7f는 상기 실시예 5의 옥외용 연소장치의 제1설계 변형예의 도 1d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8a는 상기 실시예 5의 옥외용 연소장치의 제2설계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상기 실시예 5의 옥외용 연소장치의 제3설계 변형예의 정면도이다.
도 8c는 상기 실시예 5의 옥외용 연소장치의 제3설계 변형예의 도 1d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9a는 상기 실시예 5의 옥외용 연소장치의 제4설계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상기 실시예 5의 옥외용 연소장치의 제5설계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옥외용 연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상기 실시예 6의 옥외용 연소장치의 제1설계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1a는 상기 실시예 6의 옥외용 연소장치의 제2설계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상기 실시예 6의 옥외용 연소장치의 제3설계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옥외용 연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옥외용 연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a는 상기 실시예 1의 옥외용 연소장치의 제2설계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14b는 상기 실시예 1의 옥외용 연소장치의 제2설계 변형예의 정면도이다.
도 14c는 상기 실시예 1의 옥외용 연소장치의 제2설계 변형예의 화상의 측판과 꼬치 유지구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개략적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d는 상기 실시예 1의 옥외용 연소장치의 제2설계 변형예의 꼬치 유지구가 현가부재에 현가된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적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4를 포함하는 여러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그 설계 변형예를 포함하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연소장치(B1)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옥외용 연소장치(B1)는 바베큐 그릴 및/또는 분화대이다. 도 1에는 실시예 1의 옥외용 연소장치(B1)가 나타내어져 있고, 도 2에는 실시예 1의 옥외용 연소장치(B1)의 제1설계 변형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Z-Z' 방향은 옥외용 연소장치(B1)의 높이 방향이며, X-X' 방향은 Z-Z'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Y-Y' 방향은 Z-Z' 방향 및 X-X'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옥외용 연소장치(B1)는 화상(100)을 구비하고 있다. 화상(100)은 내부에 연소 공간을 갖고 있다. 화상(100)은 4개 이상의 측판(110)을 갖고 있다. 측판(110)은 한쌍의 측변을 갖고 있다. 측판(110)은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화상(100)은 하기 1)∼4)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더 갖고 있다.
1)화상(100)은 상하 반대의 중공의 사각 뿔대상(도 1 및 도 2 참조)으로서, 4개의 상하 반대의 사다리꼴형상의 측판(110), 4개의 힌지부(121) 및 2개의 힌지부(122)를 갖고 있다. 또는 화상(100)은 사각통형상으로서, 4개의 직사각형상의 측판(110), 4개의 힌지부(121) 및 2개의 힌지부(122)를 갖고 있다. 어느 경우나, 측판(110)은 2개의 측판(110a)과, 2개의 측판(110b)을 포함한다. 측판(110a,110b)은 전개 상태에서 사각환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측판(110a)은 Y-Y'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측판(110b)은 X-X'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측판(110a) 중 Y방향측의 측판(110a)은 2개의 측판(110b)과 인접하고 있고, Y방향측의 측판(110a)의 X방향측, X' 방향측의 측변과 2개의 측판(110b)의 한쌍의 측변 중 Y방향측의 측변이 힌지부(121)에 의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Y' 방향측의 측판(110a)도 2개의 측판(110b)과 인접하고 있고, Y' 방향측의 측판(110a)의 X방향측, X' 방향측의 측변과 2개의 측판(110b)의 Y' 방향측의 측변이 힌지(121)부에 의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측판(110b)은 상기 측판(110b)을 이분하여 대칭형상을 이루는 제1판(111b) 및 제2판(112b)을 각각 갖고 있다. 제1판(111b)은 측판(110b)의 상기 Y방향측의 측변 및 그 반대측의 대변을 갖고, 제2판(112b)은 측판(110b)의 상기 Y' 방향측의 측변 및 그 반대측의 대변을 갖고 있다. 측판(110b)의 각각에 있어서, 제1판(111b)의 대변과 제2판(112b)의 대변이 힌지부(12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전개 상태의 화상(100)의 측판(110b)의 제1판(111b) 및 제2판(112b)을 화상(100)의 내측에 각각 골접기시키고, 또한 측판(110a) 사이에서 접힌 제1판(111b) 및 제2판(112b)을 협지시킴으로써, 화상(100)이 평판상으로 접힌다.
2)화상(100)은 상하 반대의 중공의 다각 뿔대상으로서, 4개 이상의 짝수의 상하 반대의 사다리꼴 형상의 측판(110) 및 4개 이상의 힌지부(121)를 갖고 있다. 또는 화상(100)은 통형상으로서, 4개 이상의 짝수의 측판(110) 및 4개 이상의 힌지부(121)를 갖고 있다. 어느 경우나, 측판(110)은 전개 상태에서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측판(110) 중 인접하는 측판(110)의 측변끼리가 힌지부(121)에 의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화상(100)은 4개의 짝수의 측판(110)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전개 상태의 화상(100)의 측판(110) 중 2세트의 인접하는 측판(110)을 서로 면접촉시킴으로써 화상(100)이 평판상으로 접힌다. 화상(100)은 6개 이상의 짝수의 측판(110)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전개 상태의 화상(100)의 2세트의 인접하는 측판(110)을 서로 면접촉시킴과 아울러, 2세트의 인접하는 측판(110) 사이의 측판(110)을 2개씩 서로 면접촉시킴으로써 화상(100)이 평판상으로 접힌다.
3)화상(100)은 4개 이상의 짝수의 삼각형의 측판(110) 및 4개 이상의 힌지부(121)를 갖고 있다. 측판(110)은 전개 상태에서 환상(즉, 상하 반대의 중공의 다각 뿔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측판(110) 중 인접하는 측판(110)의 측변끼리가 힌지부(121)에 의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의 화상(100)은 상기 2)와 마찬가지로, 전개 상태로부터 평판상으로 접을 수 있다.
4)화상(100)은 4개 이상의 측판(110)을 갖고 있다. 측판(110)은 조립상태에서 다각환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측판(110) 중 인접하는 측판(110)의 측변끼리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인접하는 측판(110)의 한쪽의 측변에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쪽의 측판(110)의 측변에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화상(100)의 측판(110)은 맞물림 돌출부를 맞물림 구멍에 맞물림시킴으로써 조립되며, 맞물림 돌출부를 맞물림 구멍으로부터 뺌으로써 분해된다.
상기한 측판(110) 중 하나의 측판(110) 및 다른 하나의 측판(110)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이 대향하는 2개의 측판(110)을 제1세트의 측판(110)이라고 칭한다. 하나의 측판(110)(도 1 및 도 2에서는 하나의 측판(110a))이 한쌍의 제1지지부(S1)를 갖고, 다른 하나의 측판(110)(도 1 및 도 2에서는 또 하나의 측판(110a))이 한쌍의 제2지지부(S2)를 갖고 있다. 한쌍의 제1지지부(S1)는 하나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 자체, 하나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방향(Z방향)으로 개구된 슬릿(도 1 참조), 하나의 측판(110)에 형성된 관통구멍(도 2 참조), 또는 하나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Z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출부 등이며, 한쌍의 제2지지부(S2)는 다른 하나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 자체, 다른 하나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방향(Z방향)으로 개구된 슬릿(도 1 참조), 다른 하나의 측판(110)에 형성된 관통구멍(도 2 참조), 또는 다른 하나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Z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출부 등이다. 한쌍의 제1지지부(S1)는 하나의 측판(110)의 길이 방향(제1방향(도 1 및 도 2에서는 X-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한쌍의 제2지지부(S2)는 다른 하나의 측판(110)의 길이 방향(제1방향(도 1 및 도 2에서는 X-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제1지지부(S1) 중 한쪽과 한쌍의 제2지지부(S2) 중 한쪽이 서로 대향하고, 한쌍의 제1지지부(S1) 중 다른쪽과 한쌍의 제2지지부(S2) 중 다른쪽이 서로 대향하고 있다. 한쌍의 제1지지부(S1) 및 한쌍의 제2지지부(S2)는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지만, 약간 상위해도 좋다.
상기한 측판(110) 중 제1세트의 측판(110) 이외의 하나의 측판(110) 및 다른 하나의 측판(110)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이 대향하는 2개의 측판(110)을 제2세트의 측판(110)이라고 칭한다. 제2세트의 측판(110)의 하나의 측판(110)(도 1 및 도 2에서는 하나의 측판(110b))은 한쌍의 제3지지부(S3)를 갖고, 다른 하나의 측판(110)(도 1 및 도 2에서는 또 하나의 측판(110b))이 한쌍의 제4지지부(S4)를 갖고 있다. 한쌍의 제3지지부(S3)는 하나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 자체, 하나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방향(Z방향)으로 개구된 슬릿(도 1 참조), 하나의 측판(110)에 형성된 관통구멍(도 2 참조), 또는 하나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Z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출부 등이며, 한쌍의 제4지지부(S4)는 다른 하나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 자체, 다른 하나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방향(Z방향)으로 개구된 슬릿(도 1 참조), 다른 하나의 측판(110)에 형성된 관통구멍(도 2 참조), 또는 다른 하나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Z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출부 등이다. 한쌍의 제3지지부(S3)는 하나의 측판(110)의 길이 방향(제2방향(도 1 및 도 2에서는 Y-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한쌍의 제4지지부(S4)는 다른 하나의 측판(110)의 길이 방향(제2방향(도 1 및 도 2에서는 Y-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제3지지부(S3) 중 한쪽과 한쌍의 제4지지부(S4) 중 한쪽이 서로 대향하고, 한쌍의 제3지지부(S3) 중 다른쪽과 한쌍의 제4지지부(S4) 중 다른쪽이 서로 대향하고 있다. 한쌍의 제3지지부(S3) 및 한쌍의 제4지지부(S4)는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지만, 약간 상위해도 좋다.
옥외용 연소장치(B1)는 연료 적재부(50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연료 적재부(500)는 도 1 및 2에 나타내어지는 루스터(화격자) 또는 내열판으로서, 화상(100)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숯이나 장작 등의 고형 연료가 적재 가능하다. 연료 적재부(500)는 복수의 구멍을 갖고 있다. 연료 적재부(500)가 루스터인 경우, 루스터의 격자간의 간극이 구멍이 된다. 연료 적재부(500)가 내열판인 경우, 내열판을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연료 적재부(500)는 화상(100)의 측판(110)의 하부에 접촉해서 지지되는 구성, 또는 화상(100)의 측판(110)의 하부에 형성된 맞물림부에 맞물려져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옥외용 연소장치(B1)는 오덕을 더 구비하고 있다. 오덕은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 및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를 갖고 있다.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의 각각은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간의 거리보다 큰 길이 치수를 갖는 직선상의 금속봉(도 1 및 도 2 참조)이나 금속판 등이다.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한쪽이 Z-Z' 방향으로 구부려져 있어도 좋고,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한쪽이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는 한쌍의 제1지지부(S1) 및 한쌍의 제2지지부(S2)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세트의 측판(110)에 현가되어 있다. 이 현가상태에서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는 한쌍의 제1지지부(S1)와 같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의 각각은 하기 a1)∼d1) 중 어느 하나와 같이 제1세트의 측판(110)에 현가되어 있다.
a1)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제1세트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인 경우, 제1현가부재(200)의 제1, 제2부가 상측 가장자리 상에 각각 적재되어 있다. 이 경우, 제1현가부재(200)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짐으로써 제1현가부재(200)의 제1, 제2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대한 적재가 해제된다.
b1)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제1세트의 측판(110)의 슬릿인 경우(도 1 참조), 제1현가부재(200)의 제1, 제2부가 슬릿내에 상방으로부터 각각 삽입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제1현가부재(200)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짐으로써 제1현가부재(200)의 제1, 제2부가 슬릿으로부터 각각 이탈한다.
c1)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제1세트의 측판(110)의 관통구멍인 경우(도 2 참조), 제1현가부재(200)가 관통구멍내에 대략 수평방향으로부터 각각 삽입되고, 제1현가부재(200)의 제1, 제2부가 관통구멍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제1현가부재(200)가 삽입시와 역방향으로 잡아 당겨짐으로써, 제1현가부재(200)가 관통구멍으로부터 각각 이탈한다. 또, 제1현가부재(200)가 상기한 바와 같이 구부려져 있는 경우나 제1현가부재(200)가 후기하듯이 오목부(210)를 갖고 있는 경우, 관통구멍은 제1현가부재(200)의 Z-Z' 방향의 치수보다 큰 긴구멍(예를 들면 각진 긴구멍이나 둥근 긴구멍)으로 하면 좋다.
d1)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제1세트의 측판(110)의 한쌍의 돌출부인 경우, 제1현가부재(200)의 제1, 제2부가 돌출부 사이에 상방으로부터 각각 삽입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제1현가부재(200)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제1현가부재(200)의 제1, 제2부가 돌출부 사이로부터 각각 이탈한다.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의 각각은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 사이의 거리보다 큰 길이 치수를 갖는 직선상의 금속봉(도 1 및 도 2 참조)이나 금속판 등이다.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한쪽이 Z-Z' 방향으로 구부려져 있어도 좋고,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한쪽이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는 한쌍의 제3지지부(S3) 및 한쌍의 제4지지부(S4)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세트의 측판(110)에 현가되어 있다. 이 현가상태에서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는 한쌍의 제3지지부(S3)와 같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의 각각은 하기 a2)∼d2) 중 어느 하나와 같이 제2세트의 측판(110)에 현가되어 있다.
a2)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가 제2세트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인 경우, 제2현가부재(400)의 제1, 제2부가 상측 가장자리 상에 각각 적재되어 있다. 이 경우, 제2현가부재(400)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제2현가부재(400)의 제1, 제2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대한 적재가 해제된다.
b2)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가 제2세트의 측판(110)의 슬릿인 경우(도 1 참조), 제2현가부재(400)의 제1, 제2부가 슬릿내에 상방으로부터 각각 삽입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제2현가부재(400)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제2현가부재(400)의 제1, 제2부가 슬릿으로부터 각각 이탈한다.
c2)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가 제2세트의 측판(110)의 관통구멍인 경우(도 2 참조), 제2현가부재(400)가 관통구멍내에 대략 수평방향으로부터 각각 삽입되고, 제2현가부재(400)의 제1, 제2부가 관통구멍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제2현가부재(400)가 삽입시와 역방향으로 잡아 당겨짐으로써, 제2현가부재(400)가 관통구멍으로부터 각각 이탈한다. 또, 제2현가부재(400)가 상기한 바와 같이 구부려져 있는 경우, 관통구멍은 제2현가부재(400)의 Z-Z' 방향의 치수보다 큰 긴구멍(예를 들면 각진 긴구멍이나 둥근 긴구멍)으로 하면 좋다.
d2)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가 제2세트의 측판(110)의 한쌍의 돌출부인 경우, 제2현가부재(400)의 제1, 제2부가 돌출부 사이에 상방으로부터 각각 삽입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제2현가부재(400)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제2현가부재(400)의 제1, 제2부가 돌출부 사이로부터 각각 이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가 한쌍의 제1지지부(S1) 및 한쌍의 제2지지부(S2)에 지지되고, 또한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가 한쌍의 제3지지부(S3) 및 한쌍의 제4지지부(S4)에 지지된 상태에서,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 및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는 평면에서 볼 때 우물정자(井) 형상으로 교차하고 있다.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와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의 4개의 교차부,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의 교차부 사이의 부분 및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의 교차부 사이의 부분이 사각환상의 연료 지지부(X)를 구성하고 있다. 연료 지지부(X)는 화상(100)의 연소 공간내(화상(100)내)에 배치된다. 연료 지지부(X)내에 숯이나 장작 등의 고형 연료(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가 배치 가능하며, 상기 고형 연료를 연료 지지부(X) 및 연료 적재부(500)에 기대 세워서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의 상단이 Z-Z' 방향에 있어서의 거의 같은 높이 위치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1 참조). 이 경우, 제1현가부재(200)의 제2현가부재(400)와 교차하는 부분에는 상방향(Z방향)으로 개구된 오목부(210)가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현가부재(400)는 오목부(210)에 삽입되어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의 상단의 Z-Z'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 위치가 거의 같아지도록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에 지지되어 있다. 제1지지부(S1), 제2지지부(S2),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거의 같은 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의 높이 위치와,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의 높이 위치가 상위해도 좋다. 상위한 경우, 제2현가부재(400)가 제1현가부재(200)의 오목부(210)에 삽입되도록,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의 적어도 한쪽을 대략 Ω자 형상으로 하면 좋다.
옥외용 연소장치(B1)는 다리부(600)를 더 구비하고 있다. 다리부(600)는 화상(100)을 중공 지지하고 있다. 예를 들면 다리부(600)는 하기 ① 또는 ②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① 다리부(600)는 중공의 다각 뿔대상(도 1 및 도 2에서는 중공의 사각 뿔대상)을 이루고 있고, 상하 반대의 중공의 다각 뿔대상의 화상(100)을 부시(bush)형상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② 다리부(600)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화상(100)의 측판(11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3개 이상의 다리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옥외용 연소장치(B1)는 재받이(700) 또는 도시하지 않은 바닥판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재받이(700)는 한쌍의 훅(hook)에 의해 다리부(600)에 매달아 지지되고, 화상(100)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재받이(700)가 화상(100)내로부터 낙하하는 고형 연료의 재 등을 받는다. 바닥판은 화상(100)내의 연료 적재부(500)보다 하측(Z'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화상(100)내로부터 낙하하는 고형 연료의 재를 받는다.
이상과 같은 옥외용 연소장치(B1)에 의한 경우, 고형 연료가 연료 지지부(X) 및 연료 적재부(500)에 기대 세워서 지지되므로, 고형 연료의 연소에 의해 생기는 상승 기류에 의해 고형 연료가 연소하기 쉬워지고, 그 결과, 고형 연료의 연소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연료 지지부(X)는 오덕의 일부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연소 지지부(X)를 구비하고 있어도 옥외용 연소장치(B1)의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물론, 오덕 위에 남비나 주전자 등의 조리용기를 적재해서 조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그 설계 변형예를 포함하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연소장치(B2)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에는 실시예 2의 옥외용 연소장치(B2)가 나타내어져 있고, 도 4에는 실시예 2의 옥외용 연소장치(B2)의 제1설계 변형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Z-Z' 방향은 옥외용 연소장치(B2)의 높이 방향이며, X-X' 방향은 Z-Z'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Y-Y' 방향은 Z-Z' 방향 및 X-X'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옥외용 연소장치(B2)는 하기 상위점에서 옥외용 연소장치(B1)와 상위한 이외는 옥외용 연소장치(B1)와 같은 구성이다.
상위점 1)오덕의 제1현가부재(200)의 각각이 측판(110) 중 인접하는 측판(110)(이하, 제1의 인접하는 측판(110)이라고도 칭한다.)에 현가되어 있다. 제1의 인접하는 측판(110)이 2세트 있다.
상위점 2)오덕의 제2현가부재(400)의 각각이 제1현가부재(200)에 교차하도록 측판(110) 중 인접하는 측판(110) (이하, 제2의 인접하는 측판(110)이라고도 칭한다.)에 현가되어 있다. 제2의 인접하는 측판(110)도 2세트 있다. 이하, 옥외용 연소장치(B2)에 대해서는 이들의 상위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고, 옥외용 연소장치(B1)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에 관해서는 생략한다.
한쌍의 제1지지부(S1')의 각각이 제1의 인접하는 측판(110) 중 한쪽의 측판(110)에 설치되어 있고, 한쌍의 제2지지부(S2')의 각각이 제1의 인접하는 측판(110) 중 다른쪽의 측판(110)에 형성되어 있다.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옥외용 연소장치(B1)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와 같은 구성이다. 각 제1지지부(S1')는 한쪽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 한쪽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방으로 개구된 슬릿, 한쪽의 측판(110)에 형성된 관통구멍, 또는 한쪽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출부 등이며, 각 제2지지부(S2')는 다른쪽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 다른쪽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방으로 개구된 슬릿, 다른쪽의 측판(110)에 형성된 관통구멍, 또는 다른쪽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출부 등이다.
한쌍의 제1지지부(S1')는 한쪽의 제1지지부(S1') 및 다른쪽의 제1지지부(S1')를 포함한다. 한쌍의 제2지지부(S2')는 한쪽의 제2지지부(S2') 및 다른쪽의 제2지지부(S2')를 포함한다.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는 한쪽의 제1현가부재(200) 및 다른쪽의 제1현가부재(200)를 포함한다.
한쪽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에 한쪽의 제1현가부재(200)가 지지되고, 이에 따라 한쪽의 제1현가부재(200)가 2세트 중 제1세트의 제1의 인접하는 측판(110)에 현가되어 있고, 다른쪽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에 다른쪽의 제1현가부재(200)가 지지되고, 이에 따라 다른쪽의 제1현가부재(200)가 제2세트의 제1의 인접하는 측판(110)에 현가되어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현가부재(200)가 구부려져 있는 경우나 제1현가부재(200)가 오목부(210)를 갖고 있는 경우, 관통구멍은 제1현가부재(200)의 Z-Z' 방향의 치수보다 큰 긴구멍(예를 들면 각진 긴구멍이나 둥근 긴구멍)으로 하면 좋다.
한쌍의 제3지지부(S3')의 각각이 제2의 인접하는 측판(110) 중 한쪽의 측판(110)에 설치되어 있고, 한쌍의 제4지지부(S4')의 각각이 제2의 인접하는 측판(110) 중 다른쪽의 측판(110)에 형성되어 있다.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옥외용 연소장치(B1)의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와 같은 구성이다. 각 제3지지부(S3')는 한쪽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 한쪽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방으로 개구된 슬릿, 한쪽의 측판(110)에 형성된 관통구멍, 또는 한쪽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출부 등이며, 각 제4지지부(S4')는 다른쪽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 다른쪽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방으로 개구된 슬릿, 다른쪽의 측판(110)에 형성된 관통구멍, 또는 다른쪽의 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출부 등이다.
한쌍의 제3지지부(S3')는 한쪽의 제3지지부(S3') 및 다른쪽의 제3지지부(S3')를 포함한다. 한쌍의 제4지지부(S4')는 한쪽의 제4지지부(S4') 및 다른쪽의 제4지지부(S4')를 포함한다.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는 한쪽의 제2현가부재(400) 및 다른쪽의 제2현가부재(400)를 포함한다.
한쪽의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에 한쪽의 제2현가부재(400)가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에 교차하도록 지지되고, 이에 따라 한쪽의 제2현가부재(400)가 2세트 중 제1세트의 제2의 인접하는 측판(110)에 현가되어 있고, 다른쪽의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에 다른쪽의 제2현가부재(400)가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에 교차하도록 지지되고, 이에 따라 다른쪽의 제2현가부재(400)가 제2세트의 제2의 인접하는 측판(110)에 현가되어 있다.
또, 제2현가부재(400)가 상기한 바와 같이 구부려져 있는 경우, 관통구멍은 제2현가부재(400)의 Z-Z' 방향의 치수보다 큰 긴구멍(예를 들면 각진 긴구멍이나 둥근 긴구멍)으로 하면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가 한쌍의 제1지지부(S1) 및 한쌍의 제2지지부(S2)에 지지되고, 또한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가 한쌍의 제3지지부(S3) 및 한쌍의 제4지지부(S4)에 지지된 상태에서,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 및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는 평면으로 볼 때 우물정자 형상으로 교차하고 있다.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와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의 4개의 교차부,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의 교차부 사이의 부분 및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의 교차부 사이의 부분이 사각환상의 연료 지지부(X)를 구성하고 있다. 연료 지지부(X)는 화상(100)의 연소 공간내(화상(100)내) 또는 화상(100)의 연소 공간의 상측에 배치된다. 연료 지지부(X)내에 숯이나 장작 등의 고형 연료(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가 배치 가능하며, 상기 고형 연료를 연료 지지부(X) 및 연료 적재부(500)에 기대 세워서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옥외용 연소장치(B2)는 옥외용 연소장치(B1)와 같은 기술적 특징 및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예 3)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포함하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연소장치(B3)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옥외용 연소장치(B3)는 바베큐 그릴이다. 도 5에는 실시예 3의 옥외용 연소장치(B3)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Z-Z' 방향은 옥외용 연소장치(B2)의 높이 방향이며, X-X' 방향은 Z-Z'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Y-Y' 방향은 Z-Z' 방향 및 X-X'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옥외용 연소장치(B3)는 하기 상위점에서 옥외용 연소장치(B1)와 상위하는 이외는 옥외용 연소장치(B1)와 같은 구성이다.
상위점 1)다리부(600')의 구성이 다리부(600)의 구성과 상위하다.
상위점 2)옥외용 연소장치(B3)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80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위점 3)화상(100')이 다리부(600') 및 연결부(800)의 적어도 한쪽에 지지되어 있다.
상위점 4)다리부(600'), 연결부(800) 및 화상(100') 중 하나가 한쌍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를 갖고, 다리부(600'), 연결부(800) 및 화상(100') 중 하나가 한쌍의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를 갖고 있다. 또, 다리부(600'), 연결부(800) 및 화상(100') 중 하나가 한쌍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를 갖고, 나머지 하나가 한쌍의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옥외용 연소장치(B3)에 대해서는 이들의 상위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고, 옥외용 연소장치(B1)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에 관해서는 생략한다.
다리부(600')는 예를 들면 하기 ① 또는 ②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① 다리부(600')는 서로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다리(610')를 갖고 있다. 다리(610')는 예를 들면 하향 대략 U자 형상(도 5 참조), H자 형상 또는 X자 형상 등의 내열성을 갖는 파이프, 봉 또는 판 등으로 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리부(600')는 한쌍의 지지부재(620')를 더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부재(620')는 다리(610')에 각각 부착된 부착부와, 부착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지지부 본체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② 다리부(600')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Z-Z' 방향으로 연장된 봉 또는 폴인 3개 이상의 다리(610')를 갖고 있다. 이 다리(610')는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리부(600')가 상기 ①의 구성인 경우, 연결부(800)는 하나 또는 복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인 경우, 연결부(800)는 내열성을 갖는 평면으로 볼 때 대략 O자 형상의 파이프나 봉, 통 또는 상측 개방의 상자로서, 다리부(600')의 다리(610')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후자의 경우, 연결부(800)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O자 형상, 측면에서 볼 때 대략 U자 형상, 직선상 또는 그 밖의 형상의 내열성을 갖는 파이프, 봉 또는 판으로서, 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연결부(800)가 다리부(600')의 다리(610')의 양단 중 한쪽의 단간을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 또는 복수의 연결부(800)가 다리(610')의 다른쪽의 단간을 연결하고 있다. 또, 도 5에서는 연결부(800)는 2개로서, 그 중의 한쪽이 다리(610')의 X방향의 단간을 연결하고, 다른쪽이 다리(610')의 X' 방향의 단간을 연결하고 있다.
다리부(600')가 상기 ②의 구성인 경우, 연결부(800)는 하나 또는 복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의 경우, 연결부(800)는 내열성을 갖는 평면으로 볼 때 대략 O자 형상의 파이프나 봉, 통 또는 상측 개방의 상자로서, 다리부(600')의 다리(610')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후자의 경우, 연결부(800)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O자 형상, 측면에서 볼 때 대략 U자 형상, 직선상 또는 그 밖의 형상의 내열성을 갖는 파이프, 봉 또는 판으로서, 하나 또는 복수의 연결부(800)가 다리부(600')의 다리(610') 사이를 각각 연결하고 있다. 또,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연결부(800)는 화상(100')을 수용하는 프레임을 겸하고 있어도 좋다.
화상(100')은 상부 개방의 상자형으로서, 복수의 측판(110') 및 바닥판(120')을 갖고 있다. 또한 화상(100')의 내부에는 연소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120')은 다각형상의 판으로서, 복수의 변을 갖고 있다. 측판(110')은 바닥판(120')의 변으로부터 Z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또한 다각환상으로 배치된 판이다. 측판(110')의 인접하는 측변끼리가 접속되어 있다. 측판(110') 중, 대향하는 2개의 측판(110')이 옥외용 연소장치(B1)의 제1세트의 측판(110)에 해당되고, 다른 대향하는 2개의 측판(110')이 옥외용 연소장치(B1)의 제2세트의 측판(110)에 해당된다. 측판(110') 중, 인접하는 측판(110')이 옥외용 연소장치(B2)의 제1의 인접하는 측판(110)에 해당되고, 인접하는 측판(110')이 옥외용 연소장치(B2)의 제2의 인접하는 측판(110)에 해당된다.
화상(100')은 복수의 피지지부(130') 및 복수의 매달기 지지부(140')의 적어도 한쪽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피지지부(130')는 측판(110')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매달기 지지부(140')는 측판(110')에 각각 형성된 훅(도 5 참조)이나 체인 등이다. 또, 도 5에서는 매달기 지지부(140')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다.
화상(100')은 다리부(600') 및 연결부(800)의 내측에 배치되고 또한 다리부(600') 또는 연결부(800)에 지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화상(100')은 하기 1)∼6) 중 어느 하나와 같이 다리부(600') 또는 연결부(800)에 지지되어 있다. 단, 하기 1), 2), 4) 및 5)는 다리부(600')가 상기 ①의 구성인 경우에 한정된다.
1)화상(100')은 도 5에 나타내듯이, 피지지부(130')가 다리부(600')의 지지부재(620')의 지지부 본체 상에 적재되어 지지되어 있다.
2)화상(100')은 피지지부(130')가 다리부(600')의 다리(610')의 수평부 상에 적재되어 지지되어 있다.
3)화상(100')은 피지지부(130')가 연결부(800) 상에 적재되어 지지되어 있다.
4)화상(100')은 매달기 지지부(140')가 다리부(600')의 지지부재(620')에 걸려서 지지되어 있다.
5)화상(100')은 매달기 지지부(140')가 다리부(600')의 다리(610')의 수평부에 걸려서 지지되어 있다.
6)화상(100')은 매달기 지지부(140')가 연결부(800)에 걸려서 지지되어 있다.
또, 화상(100')은 상기 1)∼3) 중 임의의 하나와 상기 4)∼6) 중 임의의 하나를 조합해서 다리부(600') 및 연결부(800)의 쌍방에 지지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100')이 지지부재(620') 이외에 지지되는 경우에는 지지부재(620')는 생략 가능하다.
연료 적재부(500)는 도 5에 나타내듯이, 화상(100')의 바닥판(120') 상에 적재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연료 적재부(500)는 화상(100')의 측판(110')의 하부에 형성된 맞물림부에 맞물려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쌍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의 각각은 이하의 a1)∼e1) 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a1)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화상(100')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1지지부(S1"), 제2지지부(S2")는 각각 상기 제1지지부(S1), 상기 제2지지부(S2), 또는 상기 제1지지부(S1'), 상기 제2지지부(S2')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b1)화상(100')이 한쌍의 피지지부(130')를 갖고 있는 경우, 제1지지부(S1")는 피지지부(130') 중 하나의 피지지부(130')의 상측 가장자리, 하나의 피지지부(130')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방으로 개구된 오목부, 또는 하나의 피지지부(13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출부 등이며, 제2지지부(S2")는 다른 하나의 피지지부(130')의 상측 가장자리, 다른 하나의 피지지부(130')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방으로 개구된 오목부, 또는 다른 하나의 피지지부(13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출부 등이다. 또, 한쌍의 제1지지부(S1") 및 한쌍의 제2지지부(S")는 피지지부(130')의 길이 방향(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제1지지부(S1")와 한쌍의 제2지지부(S")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c1)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상기 ①의 구성의 다리부(600')의 한쌍의 다리(610')의 수평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1지지부(S1")는 다리(610') 중 하나의 다리(610')의 수평부의 상측 가장자리(도 5 참조), 하나의 다리(610')의 수평부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방으로 개구된 오목부 또는 슬릿, 하나의 다리(610')의 수평부에 형성된 관통구멍, 또는 하나의 다리(610')의 수평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출부 등이며, 제2지지부(S2")는 다른 하나의 다리(610')의 수평부의 상측 가장자리(도 5 참조), 다른 하나의 다리(610')의 수평부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방으로 개구된 오목부 또는 슬릿, 다른 하나의 다리(610')의 수평부에 형성된 관통구멍, 또는 다른 하나의 다리(610')의 수평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출부 등이다. 또, 한쌍의 제1지지부(S1") 및 한쌍의 제2지지부(S")는 수평부의 길이 방향(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제1지지부(S1")와 한쌍의 제2지지부(S")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d1)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상기 ①의 구성의 다리부(600')의 한쌍의 다리(610')에 부착된 지지부재(620')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1지지부(S1")는 하나의 다리(610')의 지지부재(620')의 상측 가장자리, 하나의 다리(610')의 지지부재(620')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방으로 개구된 오목부 또는 슬릿, 하나의 다리(610')의 지지부재(620')에 형성된 관통구멍, 또는 하나의 다리(610')의 지지부재(62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출부 등이며, 제2지지부(S2")는 다른 하나의 다리(610')의 지지부재(620')의 상측 가장자리, 다른 하나의 다리(610')의 지지부재(620')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방으로 개구된 오목부 또는 슬릿, 다른 하나의 다리(610')의 지지부재(620')에 형성된 관통구멍, 또는 다른 하나의 다리(610')의 지지부재(62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출부 등이다. 또, 한쌍의 제1지지부(S1") 및 한쌍의 제2지지부(S")는 지지부재(620')의 길이 방향(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제1지지부(S1")와 한쌍의 제2지지부(S")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e1)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연결부(800)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1지지부(S1")는 연결부(800) 중 하나의 연결부(800)의 상측 가장자리, 하나의 연결부(800)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방으로 개구된 오목부 또는 슬릿, 하나의 연결부(800)에 형성된 관통구멍, 또는 하나의 연결부(80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출부 등이며, 제2지지부(S2")는 다른 하나의 연결부(800)의 상측 가장자리, 다른 하나의 연결부(800)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방으로 개구된 오목부 또는 슬릿, 다른 하나의 연결부(800)에 형성된 관통구멍, 또는 다른 하나의 연결부(80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출부 등이다. 또, 한쌍의 제1지지부(S1") 및 한쌍의 제2지지부(S")는 연결부(800)의 길이 방향(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제1지지부(S1")와 한쌍의 제2지지부(S")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b1)∼e1)의 경우, 제1지지부(S1"), 제2지지부(S2")는 화상(100')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현가부재(200)가 구부려져 있는 경우나 제1현가부재(200)가 오목부(210)를 갖고 있는 경우, 제1지지부(S1"), 제2지지부(S2")인 관통구멍은 제1현가부재(200)의 Z-Z' 방향의 치수보다 큰 긴구멍(예를 들면 각진 긴구멍이나 둥근 긴구멍)으로 하면 좋다.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의 각각은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고, 화상(100')의 측판(110') 사이, 다리(610')의 수평부 사이, 지지부재(620') 사이 또는 연결부(800) 사이에 현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의 각각은 하기 a2)∼d2) 중 어느 하나와 같이 현가되어 있다.
a2)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상측 가장자리인 경우, 제1현가부재(200)의 제1, 제2부가 상측 가장자리 상에 각각 적재되어 있다. 이 경우, 제1현가부재(200)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제1현가부재(200)의 제1, 제2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대한 적재가 해제된다.
b2)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오목부 또는 슬릿인 경우, 제1현가부재(200)의 제1, 제2부가 오목부 또는 슬릿내에 상방으로부터 각각 삽입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제1현가부재(200)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제1현가부재(200)의 제1, 제2부가 오목부 또는 슬릿으로부터 각각 이탈한다.
c2)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관통구멍인 경우, 제1현가부재(200)가 관통구멍내에 대략 수평방향으로부터 각각 삽입되고, 제1현가부재(200)의 제1, 제2부가 관통구멍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제1현가부재(200)가 삽입시 역방향으로 잡아 당겨짐으로써, 제1현가부재(200)가 관통구멍으로부터 각각 이탈한다.
d2)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한쌍의 돌출부인 경우, 제1현가부재(200)의 제1, 제2부가 돌출부 사이에 상방으로부터 각각 삽입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제1현가부재(200)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제1현가부재(200)의 제1, 제2부가 돌출부 사이로부터 각각 이탈한다.
한쌍의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가 화상(100')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3지지부(S3"), 제4지지부(S4")는 각각 상기 제3지지부(S3), 제4지지부(S4), 또는 상기 제3지지부(S3'), 제4지지부(S4')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쌍의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가 피지지부(130'), 다리(610')의 수평부, 지지부재(620') 또는 연결부(800)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3지지부(S3"), 제4지지부(S4")는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가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에 교차하도록 제2현가부재(400)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외에, 제1지지부(S1"), 제2지지부(S2")의 b2)∼d2)의 어느 하나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5에서는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연결부(800)의 상측 가장자리이다.
어느 경우나, 한쌍의 제3지지부(S3") 및 한쌍의 제4지지부(S4")는 한쌍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의 배열 방향(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제3지지부(S3")와 한쌍의 제4지지부(S4")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가 한쌍의 제1지지부(S1") 및 한쌍의 제2지지부(S2")에 지지되고, 또한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가 한쌍의 제3지지부(S3") 및 한쌍의 제4지지부(S4")에 지지된 상태에서,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 및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는 평면으로 볼 때 우물정자 형상으로 교차하고 있다.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와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의 4개의 교차부,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의 교차부 사이의 부분 및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의 교차부 사이의 부분이 사각환상의 연료 지지부(X)를 구성하고 있다. 연료 지지부(X)는 상기한 제1∼제4지지부(S1"∼S4")가 화상(100')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화상(100')의 연소 공간내(화상(100')내) 또는 화상(100')의 연소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한 제1∼제4지지부(S1"∼S4")가 화상(100')보다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화상(100')의 연소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연료 지지부(X)내에 숯이나 장작 등의 고형 연료(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가 배치 가능하며, 상기 고형 연료를 연료 지지부(X) 및 연료 적재부(500)에 기대 세워서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현가부재(200)가 오목부(210)를 갖는 경우, 제1지지부(S1"), 제2지지부(S2"),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거의 같은 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고,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와,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가 상위해도 좋다. 상위한 경우, 제2현가부재(400)가 제1현가부재(200)의 오목부(210)에 삽입되도록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의 적어도 한쪽을 대략 Ω자 형상으로 하면 좋다.
옥외용 연소장치(B3)는 옥외용 연소장치(B1)기술적 특징 및 효과와 같은 기술적 특징 및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예 4)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포함하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연소장치(B4)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옥외용 연소장치(B4)는 바베큐 그릴이다. 도 6에는 실시예 4의 옥외용 연소장치(B4)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Z-Z' 방향은 옥외용 연소장치(B2)의 높이 방향이며, X-X' 방향은 Z-Z'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Y-Y' 방향은 Z-Z' 방향 및 X-X'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 도 6에서는 연료 적재부(500)가 도시생략되어 있으므로, 도 5를 빌려서 참조한다.
옥외용 연소장치(B4)는 하기 상위점에서 옥외용 연소장치(B3)와 상위하는 이외는 옥외용 연소장치(B3)와 같은 구성이다.
상위점 1)옥외용 연소장치(B4)는 연결부(800) 대신에 프레임(900)을 구비하고 있다.
상위점 2)옥외용 연소장치(B4)의 다리부(600')는 프레임(900)에 부착되어 있다.
상위점 3)화상(100")이 프레임(900)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위점 4)프레임(900) 및 화상(100") 중 하나가, 한쌍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를 갖고, 프레임(900) 및 화상(100") 중 하나가 한쌍의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를 갖고 있다. 또, 프레임(900) 및 화상(100") 중 하나가 한쌍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를 갖고, 나머지 하나가 한쌍의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옥외용 연소장치(B4)에 대해서는 이들의 상위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고, 옥외용 연소장치(B3)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에 관해서는 생략한다.
프레임(900)은 상부 개방의 다각형의 상자형 또는 다각형의 통이다. 전자의 경우, 프레임(900)은 다각형상의 바닥부 및 바닥부의 각 변으로부터 Z-Z'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다각환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측벽(910)을 갖고 있다. 후자의 경우, 프레임(900)은 Z-Z'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다각환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측벽(910)을 갖고 있다. 어느 경우나, 측벽(910) 중 인접하는 측벽(910)의 측변끼리가 접속되어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측벽(910) 중 대향하는 2개의 측벽(910)을 제1세트의 측벽(910)이라고 칭하고, 다른 대향하는 2개의 측벽(910)을 제2세트의 측벽(910)이라고 칭한다. 또한 측벽(910) 중 인접하는 측벽(910)을 제1의 인접하는 측벽(910)이라고 칭하고, 인접하는 측벽(910)을 제2의 인접하는 측벽(910)이라고 칭한다.
다리부(600')는 예를 들면 하기 ① 또는 ②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① 다리부(600')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한쌍의 다리(610')를 갖고 있다. 이 다리(610')는 서로 대향하도록 프레임(900)의 측벽(910) 또는 바닥부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다. 또, 다리(610')는 예를 들면 하향 대략 U자 형상, H자 형상, 하향 T자 형상, 하향 V자 형상 또는 X자 형상 등의 내열성을 갖는 파이프, 봉 또는 판으로 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② 다리부(600')는 Z-Z' 방향으로 연장된 봉 또는 폴인 3개 이상의 다리(610')를 갖고 있다. 이 다리(610')는 환상으로 배치되도록 프레임(900)의 측벽(910) 또는 바닥부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다. 또, 도 6에서는 다리부(600')는 4개의 다리(610')를 갖고, 그 중의 2개가 프레임(900)의 X방향측의 측벽(910)의 외면에 부착되고, 나머지 2개가 X' 방향측의 측벽(910)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다.
화상(100")은 상부 개방의 다각형의 상자형으로서, 복수의 측판(110") 및 바닥판(120'')을 갖고 있다. 화상(100")의 내부에는 연소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120'')은 다각형상의 판으로서, 복수의 변을 갖고 있다. 측판(110")은 바닥판(120'')의 변으로부터 Z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또한 다각환상으로 배치된 판이다. 측판(110")이 인접하는 측변끼리가 접속되어 있다. 측판(110") 중, 대향하는 2개의 측판(110")이 옥외용 연소장치(B1)의 제1세트의 측판(110)에 해당되고, 다른 대향하는 2개의 측판(110")이 옥외용 연소장치(B1)의 제2세트의 측판(110)에 해당된다. 측판(110") 중, 인접하는 측판(110")이 옥외용 연소장치(B2)의 제1의 인접하는 측판(110)에 해당되고, 인접하는 측판(110")이 옥외용 연소장치(B2)의 제2의 인접하는 측판(110)에 해당된다.
화상(100")은 프레임(900)의 바닥 위에 적재되고, 프레임(900)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는 화상(100")은 프레임(900)의 측벽(910)의 내면에 형성된 맞물림부에 의해 프레임(900)내에서 지지되어 있다.
연료 적재부(500)(도 5를 빌려서 참조)는 화상(100")의 바닥판(120'') 상에 적재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화상(100")의 측판(110")의 하부에 형성된 맞물림부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쌍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의 각각은 이하의 1) 또는 2)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화상(100")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1지지부(S1'''), 제2지지부(S2''')는 각각 상기 제1지지부(S1), 상기 제2지지부(S2), 또는 상기 제1지지부(S1'), 상기 제2지지부(S2')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프레임(900)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1지지부(S1''')는 제1세트의 측벽(910) 또는 제1세트의 인접하는 측벽(910)의 하나의 측벽(910)의 상측 가장자리 자체, 하나의 측벽(910)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방으로 개구된 오목부 또는 슬릿, 하나의 측벽(910)에 형성된 관통구멍, 또는 하나의 측벽(91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출부 등이며, 제2지지부(S2''')는 다른 하나의 측벽(910)의 상측 가장자리 자체, 다른 하나의 측벽(910)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방으로 개구된 오목부 또는 슬릿, 다른 하나의 측벽(910)에 형성된 관통구멍, 또는 다른 하나의 측벽(91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돌출부 등이다.
2)의 경우, 한쌍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는 화상(100")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한쌍의 제1지지부(S1''') 및 한쌍의 제2지지부(S2''')는 측벽(910)의 길이 방향(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제1지지부(S1''')와 한쌍의 제2지지부(S2''')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현가부재(200)가 구부려져 있는 경우나 제1현가부재(200)가 오목부(210)를 갖고 있는 경우,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인 관통구멍은 제1현가부재(200)의 Z-Z' 방향의 치수보다 큰 긴구멍(예를 들면 각진 긴구멍이나 둥근 긴구멍)으로 하면 좋다.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의 각각은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고, 화상(100")의 측판(110") 사이 또는 프레임(900)의 측벽(910) 사이에 현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의 각각은 하기 a1)∼d1) 중 어느 하나와 같이 측벽(910) 사이에 현가되어 있다.
a1)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상측 가장자리인 경우, 제1현가부재(200)의 제1, 제2부가 상측 가장자리 상에 각각 적재되어 있다. 이 경우, 제1현가부재(200)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제1현가부재(200)의 제1, 제2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대한 적재가 해제된다.
b1)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오목부 또는 슬릿인 경우, 제1현가부재(200)의 제1, 제2부가 오목부 또는 슬릿내에 상방으로부터 각각 삽입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제1현가부재(200)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제1현가부재(200)의 제1, 제2부가 오목부 또는 슬릿으로부터 각각 이탈한다.
c1)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관통구멍인 경우, 제1현가부재(200)가 관통구멍내에 대략 수평방향으로부터 각각 삽입되고, 제1현가부재(200)의 제1, 제2부가 관통구멍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제1현가부재(200)가 삽입시 역방향으로 잡아 당겨짐으로써, 제1현가부재(200)가 관통구멍으로부터 각각 이탈한다.
d1)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한쌍의 돌출부인 경우, 제1현가부재(200)의 제1, 제2부가 돌출부 사이에 상방으로부터 각각 삽입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제1현가부재(200)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제1현가부재(200)의 제1, 제2부가 돌출부 사이로부터 각각 이탈한다.
한쌍의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가 화상(100')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3지지부(S3'''), 제4지지부(S4''')는 각각 상기 제3지지부(S3), 제4지지부(S4), 또는 상기 제3지지부(S3'), 제4지지부(S4')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쌍의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가 프레임(900)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3지지부(S3'''), 제4지지부(S4''')는 제2현가부재(400)가 제1현가부재(200)에 교차하도록 제2현가부재(400)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외에, 프레임(900)에 형성된 제1지지부(S1'''), 제2지지부(S2''')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쌍의 제3지지부(S3") 및 한쌍의 제4지지부(S4")는 한쌍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의 배열 방향(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제3지지부(S3")와 한쌍의 제4지지부(S4")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 도 6에서는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프레임(900)의 측벽(910)의 상측 가장자리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가 한쌍의 제1지지부(S1''') 및 한쌍의 제2지지부(S2''')에 지지되고, 또한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가 한쌍의 제3지지부(S3''') 및 한쌍의 제4지지부(S4''')에 지지된 상태에서,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 및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는 평면으로 볼 때 우물정자 형상으로 교차하고 있다.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와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의 4개의 교차부,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의 교차부 사이의 부분 및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의 교차부 사이의 부분이 사각환상의 연료 지지부(X)를 구성하고 있다. 연료 지지부(X)는 상기한 제1∼제4지지부(S1'''∼S4''')가 화상(100")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화상(100")의 연소 공간내(화상(100")내) 또는 화상(100")의 연소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한 제1∼제4지지부(S1'''∼S4''')가 화상(100")보다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화상(100")의 연소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연료 지지부(X)내에 숯이나 장작 등의 고형 연료(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가 배치 가능하며, 상기 고형 연료를 연료 지지부(X) 및 연료 적재부(500)에 기대 세워서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현가부재(200)가 오목부(210)를 갖는 경우, 제1지지부(S1'''), 제2지지부(S2'''),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거의 같은 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고,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와,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가 상위해도 좋다. 상위한 경우, 제2현가부재(400)가 제1현가부재(200)의 오목부(210)에 삽입되도록,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의 적어도 한쪽을 대략 Ω자 형상으로 하면 좋다.
옥외용 연소장치(B4)는 옥외용 연소장치(B1)의 기술적 특징 및 효과와 같은 기술적 특징 및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예 5)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포함하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연소장치(B1')에 대해서 도 7a∼도 9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a∼도 7d에는 실시예 5의 옥외용 연소장치(B1')가 나타내어져 있고, 도 7e∼도 7f에는 실시예 5의 옥외용 연소장치(B1')의 제1설계 변형예가 나타내어져 있고, 도 8a에는 실시예 5의 옥외용 연소장치(B1')의 제2설계 변형예가 나타내어져 있고, 도 8b 및 도 8c에는 실시예 5의 옥외용 연소장치(B1')의 제3설계 변형예가 나타내어져 있고, 도 9a에는 실시예 5의 옥외용 연소장치(B1')의 제4설계 변형예가 나타내어져 있고, 도 9b에는 실시예 5의 옥외용 연소장치(B1')의 제5설계 변형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 도 7a, 도 8a 및 도 9a∼도 9b에 나타내는 Z-Z' 방향은 옥외용 연소장치(B1')의 높이 방향이며, X-X' 방향은 Z-Z'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Y-Y' 방향은 Z-Z' 방향 및 X-X'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옥외용 연소장치(B1')는 이하의 상위점에서 상위하는 이외에, 실시예 1의 옥외용 연소장치(B1)와 동일한 구성이다.
상위점 1)옥외용 연소장치(B1')의 화상(100)이 상기 4)의 구성인 경우, 3개 이상의 측판(110)을 갖고 있으면 좋다. 그 이외는 옥외용 연소장치(B1')의 화상(100)은 옥외용 연소장치(B1)의 화상(100)과 같은 구성이다. 또, 상기 1)의 구성인 경우의 화상(100)이 도 7a∼도 9b에 나타내어져 있다.
상위점 2)화상(100)의 제1세트의 측판(110)에 있어서, 하나의 측판(110)(도 7a∼도 9b에서는 하나의 측판(110a))이 적어도 하나의 제1지지부(S1)를 갖고, 다른 하나의 측판(110)(도 7a∼도 9b에서는 또 하나의 측판(110a))이 적어도 하나의 제2지지부(S2)를 갖고 있으면 좋다. 즉, 옥외용 연소장치(B1')에서는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는 한쌍일 필요는 없다.
상위점 3)화상(100)의 제2세트의 측판(110)에 있어서, 하나의 측판(110)(도 7a∼도 9b에서는 하나의 측판(110b))은 적어도 하나의 제3지지부(S3)를 갖고, 다른 하나의 측판(110)(도 7a∼도 9b에서는 또 하나의 측판(110b))이 적어도 하나의 제4지지부(S4)를 갖고 있으면 좋다. 즉, 옥외용 연소장치(B1')에서는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한쌍일 필요는 없다.
상위점 4)옥외용 연소장치(B1')는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즉, 옥외용 연소장치(B1')에서는 제1현가부재(200)는 한쌍일 필요는 없다.
상위점 5)옥외용 연소장치(B1')는 적어도 하나의 제2현가부재(400)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즉, 옥외용 연소장치(B1')에서는 제2현가부재(400)는 한쌍일 필요는 없다.
상위점 6)옥외용 연소장치(B1')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30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이하, 옥외용 연소장치(B1')에 대해서는 이들의 상위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고, 옥외용 연소장치(B1)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에 관해서는 생략한다.
옥외용 연소장치(B1')의 연료 적재부(500)는 복수의 구멍(510)을 갖고 있다. 연료 적재부(500)는 연료 적재부(500)가 루스터인 경우(도 7a, 도 7c, 도 7d, 도 7f, 도 8a, 도 8c, 도 9a, 도 9b 참조), 루스터의 격자간의 간극이 구멍(510)이 된다. 연료 적재부(500)가 내열판인 경우, 내열판을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510)이 형성되어 있다.
제1현가부재(200)는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에 의해 약 수평으로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세트의 측판(110)에 현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현가부재(200)는 상기 a1)∼d1) 중 어느 하나와 같이 제1세트의 측판(110)에 현가되어 있다.
구획판(300)은 제1현가부재(20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또한 제1현가부재(200)로부터 떨어지도록 연장된 내열판이다. 구획판(300)은 도 7a∼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이어도 좋고, 만곡 또는 절곡되어 있어도 좋다. 구획판(300)은 제1현가부재(200)가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에 지지된 상태에서, 화상(100)내에 제1현가부재(200)로부터 연료 적재부(500)에 수하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화상(100)내를 대략 수평방향(도 7a∼도 9b에서는 X-X' 방향)에 있어서 제1, 제2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이 구획판(300)은 제1현가부재(200)로부터 바로 아래(Z' 방향)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고, 제1현가부재(200)로부터 비스듬히 하방향(Z' 방향 및 X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 또는 Z' 방향 및 X'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제1, 제2공간내에 고형 연료를 넣는 양을 다르게 하거나, 제1, 제2공간내의 한쪽에만 고형 연료를 넣거나 할 수 있다. 구획판(300)이 제1공간 또는 제2공간측으로 경사져 있는 경우, 제1공간 또는 제2공간내에 고형 연료를 넣음으로써, 구획판(300)이 고형 연료의 방사열의 일부를 비스듬하게 상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획판(300)은 예를 들면 하기 A) 또는 B)의 부착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A)구획판(300)은 도 7a∼도 9b에 나타내듯이, 구획판 본체(310)와, 그 상단에 형성된 훅(320)을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훅(320)이 제1현가부재(200)에 걸려서 구획판(300)이 제1현가부재(200)에 부착되어 있다.
B)구획판(300) 및 제1현가부재(200) 중 어느 한쪽에,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에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구멍이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맞물림 돌출부가 맞물림 구멍에 맞물림으로써 구획판(300)이 제1현가부재(200)에 부착되어 있다.
구획판(300)은 연료 적재부(500)에 대하여 Z-Z' 방향으로 간극을 갖고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구획판(300)은 연료 적재부(500)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획판(300)은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340)(도 7a, 도 7c, 도 7d, 도 7f, 도 8a 및 도 8c 참조)를 더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340)는 구획판(30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연료 적재부(500)의 구멍(51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340)는 연료 적재부(500)의 제1현가부재의 바로 아래 구멍(510)에 삽입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340)는 구획판(300)이 제1현가부재(200)로부터 비스듬히 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바로 아래 구멍(510)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떨어진 구멍(510)내에 삽입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볼록부(340)는 생략 가능하다. 구획판(300)의 길이 치수는 제1세트의 측판(110) 사이에 개재해서 양측판(110)에 접촉하는 치수 또는 약간의 간극을 갖고 배치되는 치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구획판(300)의 길이 치수는 제1세트의 측판(110)의 적어도 한쪽에 접촉하지 않는 치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현가부재(200)는 2개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7a∼도 8c에서는 제1현가부재(200)는 2개이며, 도 9a 및 도 9b에서는 제1현가부재(200)는 4개이지만, 이들은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개 이상의 제1현가부재(200) 중 인접하는 2개의 제1현가부재(200)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도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는 제1현가부재(200)의 수에 따른 수 또는 그 이상으로 하면 좋다. 복수의 제1지지부(S1)는 제1세트의 측판(110) 중 하나의 측판(110)(도 7a, 도 7B, 도 8a, 도 8b 및 도 9a∼도 9b에서는 하나의 측판(110a))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제2지지부(S2)는 제1세트의 측판(110) 중 다른 하나의 측판(110)(도 7a, 도 7c, 도 8a 및 도 9a∼도 9b에서는 또 하나의 측판(110a))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 도 7a∼도 7d에 나타내어지는 실시예 5의 옥외용 연소장치(B1')와 도 7e 및 도 7f에 나타내어지는 제1설계 변경예의 옥외용 연소장치(B1')는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의 수가 상위한 이외는 같은 구성이다. 도 7e 및 도 7f에 나타내어지는 제1설계 변경예의 옥외용 연소장치(B1')에서는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의 수가 같으며, 제2지지부(S2)는 제1지지부(S1)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8b 및 도 8c에 나타내어지는 제3설계 변경예의 옥외용 연소장치(B1')에서도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의 수가 같으며, 제2지지부(S2)는 제1지지부(S1)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300)은 제1현가부재(200) 중 임의의 하나에서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획판(300)도 복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획판(300)이 복수인 경우, 구획판(300)에 의해 구획되는 화상(100)내의 공간은 구획판(300)의 수+1(상기 제1, 제2공간을 포함한다.)이 된다.
제2현가부재(400)는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에 의해 대략 수평으로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세트의 측판(110)에 현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현가부재(400)는 상기 a2)∼d2) 중 어느 하나와 같이 제2세트의 측판(110)에 현가되어 있다.
제2현가부재(400)가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2현가부재(400)는 제1현가부재(200)에 교차하고 또한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의 상단이 Z-Z' 방향에 있어서의 거의 같은 높이 위치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7a∼도 7f, 도 8b∼도 8c 및 도 9a 참조). 이 경우, 제1현가부재(200)의 제2현가부재(400)와 교차하는 부분에는 상방향(Z방향)으로 개구된 오목부(210)가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획판(300)의 오목부(210)에 대응하는 부분(즉, 구획판(300)의 제2현가부재(400)에 교차하는 부분)에는 상방향(Z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고 또한 오목부(210)에 연통하는 오목부(330)가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현가부재(400)는 오목부(210) 및 오목부(330)에 삽입되고,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의 상단의 Z-Z'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 위치가 거의 같아지도록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에 지지되어 있다. 제1지지부(S1), 제2지지부(S2),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거의 같은 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의 높이 위치와,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의 높이 위치가 상위해도 좋다. 상위한 경우, 제2현가부재(400)가 제1현가부재(200)의 오목부(210) 및 구획판(300)의 오목부(330)에 삽입되도록,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의 적어도 한쪽을 대략 Ω자 형상으로 하면 좋다. 또, 제2현가부재(400)는 오목부(210) 및 오목부(330)의 적어도 한쪽에 삽입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또, 구획판(300)의 길이 치수가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형성된 측판(110)의 적어도 한쪽에 접촉하지 않고 또한 제2현가부재(400)에 교차하지 않는 치수인 경우, 오목부(330)는 생략된다.
또는 제2현가부재(400)가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2현가부재(400)는 제1현가부재(200)에 교차하고, 또한 제1현가부재(200) 또는 구획판(300)에 상측으로부터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8a 및 도 9b 참조). 이 경우,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보다 제1현가부재(200)의 Z-Z' 방향의 치수분, 상측(Z방향측)에 위치하므로 제2현가부재(400)도 제1현가부재(200)보다 상측(Z방향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현가부재(400)가 제1현가부재(200) 또는 구획판(300)에 상측으로부터 접촉하도록,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의 적어도 한쪽을 대략 Ω자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 도 8a 및 도 9b에서는 구획판(300)은 제2현가부재(400)가 제1현가부재(200)에 접촉하는 부분이 노치되어 있지만, 노치하지 않고, 제2현가부재(400)가 구획판(300)에 상측으로부터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제2현가부재(400)는 2개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7a∼도 9b에서는 제2현가부재(400)는 2개이지만, 이들은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개 이상의 제2현가부재(400) 중 인접하는 2개의 제2현가부재(400)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도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제2현가부재(400)의 수에 따른 수 또는 그 이상으로 하면 좋다. 복수의 제3지지부(S3)는 제2세트의 측판(110) 중 하나의 측판(110)(도 7a∼도 9b에서는 하나의 측판(110b))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제4지지부(S4)는 제2세트의 측판(110) 중 다른 하나의 측판(110)(도 7a∼도 9b에서는 또 하나의 측판(110b))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 도 8b 및 도 8c에 나타내어지는 옥외용 연소장치(B1')에서는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의 수가 같으며, 제3지지부(S3)는 제4지지부(S4)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제2현가부재(400),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생략 가능하다.
또, 제1현가부재(200)가 복수이며 또한 제2현가부재(400)가 생략될 경우, 제1현가부재(200)는 주전자, 남비나 후라이팬 등의 조리용기 또는 꼬치를 지지 가능한 오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1현가부재(200)는 내용물을 포함하는 조리용기의 하중, 또는 꼬치와 이것에 찔린 식재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고, 또한 제1현가부재(200)간의 간격은 조리용기의 바닥부의 직경 또는 꼬치의 길이 치수보다 작게 하면 좋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가 상기한 바와 같이 교차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는 조리용기 또는 꼬치를 지지 가능한 오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는 내용물을 포함하는 조리용기의 하중, 또는 꼬치와 이것에 찔린 식재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가지면 좋다. 또, 제1현가부재(200) 중 인접하는 2개의 제1현가부재(200)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또는 제2현가부재(400) 중 인접하는 2개의 제2현가부재(400)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화상(100) 상에 위치하는 경우도 이것을 오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옥외용 연소장치(B1')에서도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와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의 4개의 교차부,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의 교차부 사이의 부분 및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의 교차부 사이의 부분에 의해, 사각환상의 연료 지지부(X)를 구성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옥외용 연소장치(B1')는 도시하지 않은 석쇠 및/또는 철판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석쇠 및/또는 철판은 i) 적어도 제1현가부재(200) 및 구획판(300)보다 Z방향측에 위치하도록 화상(100)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고, ⅱ) 화상(100)에 추가해서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고, ⅲ) 화상(100)에 추가해서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고, ⅳ) 복수의 제1현가부재(200)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고, v)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현가부재(200) 및/또는 제2현가부재(400)가 오덕으로서 사용할 경우, 석쇠 및/또는 철판은 상술의 지지로부터 분리해도 좋다.
이하, 옥외용 연소장치(B1')의 화상(100)에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 및 구획판(300)을 부착하는 순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전개 상태의 화상(100)을 준비한다. 이 화상(100)은 다리부(600)에 지지되어 있고, 화상(100)내에 연료 적재부(500)가 배치되어 있다. 다리부(600)에는 재받이(700)가 매달아 지지되고, 화상(10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재받이(700) 대신에, 화상(100)내에 바닥판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그 후에 제1현가부재(200) 및 구획판(300)을 준비한다. 제1현가부재(200)를 화상(100)의 제1세트의 측판(110)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에 지지시킨다. 이에 따라 제1현가부재(200)가 제1세트의 측판(110)에 현가된다. 제1현가부재(200)를 제1세트의 측판(110)에 현가시키기 전후에 구획판(300)을 제1현가부재(200)에 부착한다. 예를 들면 구획판(300)의 훅(320)을 제1현가부재(200)에 건다. 또는 맞물림 돌출부를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구멍에 맞물림시킴으로써 구획판(300)을 제1현가부재(200)에 부착한다. 제1현가부재(200)를 제1세트의 측판(110)에 현가시킬 때, 또는 구획판(300)을 제1현가부재(200)에 부착할 때에, 구획판(300)을 제1현가부재(200)로부터 연료 적재부(500)에 수하하도록 화상(100)내에 배치시킨다. 이 때, 구획판(300)은 연료 적재부(500)에 간극을 갖고 배치시켜도 좋고, 연료 적재부(500)에 접촉시켜도 좋다. 구획판(300)이 볼록부(340)를 갖고 있는 경우, 구획판(300)을 화상(100)내에 배치시킬 때에, 볼록부(340)를 연료 적재부(500)의 구멍(510)에 삽입시킨다. 이렇게 구획판(300)이 화상(100)내에 배치됨으로써, 화상(100)내의 공간이 제1, 제2공간으로 구획된다.
제1현가부재(200)가 복수인 경우, 상기한 대로 제1현가부재(200)를 화상(100)의 제1세트의 측판(110)에 각각 현가시킨다. 옥외용 연소장치(B1')가 적어도 하나의 제2현가부재(400)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제2현가부재(400)를 화상(100)의 제2세트의 측판(110)의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에 지지시킨다. 이에 따라 제2현가부재(400)가 제2세트의 측판(110)에 현가된다. 제1현가부재(200)가 오목부(210)를 갖고 또한 구획판(300)이 오목부(330)를 갖는 경우, 제2현가부재(400)를 제2세트의 측판(110)에 현가시킬 때, 제2현가부재(400)를 오목부(210) 및 오목부(330)에 삽입된다. 제1현가부재(200)가 오목부(210)를 갖고 또한 구획판(300)이 오목부(330)를 갖지 않는 경우, 제2현가부재(400)가 제2세트의 측판(110)에 현가 시킬 때, 제2현가부재(400)가 오목부(210)에 삽입된다. 제1현가부재(200)가 오목부(210)를 갖지 않고 또한 구획판(300)이 오목부(330)를 갖지 않는 경우, 제2현가부재(400)는 제1현가부재(200)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한다.
이상과 같은 옥외용 연소장치(B1')는 옥외용 연소장치(B1)와 동일한 기술적 특징 및 효과에 추가해서, 이하의 기술적 특징 및 효과를 발휘한다.
1)옥외용 연소장치(B1')는 구획판(300)이 쓰러지기 어렵다. 왜냐하면, 제1현가부재(200)가 화상(100)의 제1세트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에 지지되고, 제1세트의 측판(110)간에 현가되어 있고, 이 제1현가부재(200)에 구획판(300)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2)옥외용 연소장치(B1')가 복수의 제1현가부재(200)를 구비하고, 또한 복수의 제1현가부재(200)가 오덕인 경우, 제1현가부재(200)에 의해 조리용기 또는 꼬치를 지지할 수 있다. 또는 옥외용 연소장치(B1')가 교차하는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를 적어도 하나씩 구비하고, 또한 이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가 오덕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에 의해 조리용기 또는 꼬치를 지지할 수 있다. 어느 경우나, 제1현가부재(200)는 구획판(300)을 지지하는 부재와 오덕을 겸하고 있으므로, 옥외용 연소장치(B1')의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다기능화를 꾀할 수 있다. 구획판(300)을 제1현가부재(200)로부터 분리해서 제1현가부재(200)를 단순한 오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옥외용 연소장치(B1')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가 2개 이상씩 있는 경우, 조리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3) 제1현가부재(200)가 오목부(210)를 갖고 또한 구획판(300)이 오목부(330)를 갖는 경우, 제2현가부재(400)가 오목부(210) 및 오목부(330)에 삽입 지지되고,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의 상단의 높이 위치가 거의 같아지므로,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가 보다 조리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는 제1현가부재(200)가 오목부(210)를 갖고 또한 구획판(300)이 오목부(330)를 갖지 않는 경우도, 제2현가부재(400)가 오목부(210)에 삽입 지지되고,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의 상단의 높이 위치가 거의 같아지므로,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가 조리용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4)구획판(300)이 연료 적재부(500)에 접촉할 경우, 제1현가부재(200)에 구획판(300)이 부착된 상태에서, 제1현가부재(200)가 조리용기 또는 꼬치를 지지함에 있어서, 구획판(300)이 조리용기 또는 꼬치와 연료 적재부(500) 사이에 개재해서 조리용기 등을 지지하는 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 경우, 옥외용 연소장치(B1')는 조리용기 등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5)구획판(300)의 훅(320)이 제1현가부재(200)에 걸려 있는 경우(구획판(300)이 상기 구성A)의 경우), 구획판(300)이 제1현가부재(200)를 지점으로 해서 요동할 가능성이 있다. 또는 구획판(300)이 제1현가부재(200)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구획판(300)이 상기 구성B)의 경우)이어도 제1현가부재(200)가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를 지점으로 해서 회전함과 아울러, 구획판(300)이 제1현가부재(20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일이 있다. 옥외용 연소장치(B1')의 구획판(300)이 볼록부(340)를 갖고 있는 경우, 볼록부(340)가 연료 적재부(500)의 구멍(51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구획판(300)의 요동이 방지된다.
6)구획판(300)이 측판(110) 사이에 개재해서 양자에 접촉할 경우, 화상(100)이 부주의하게 접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는 구획판(300)이 측판(110) 사이에 개재해서 양자에 약간의 간극을 갖고 배치될 경우, 구획판(300)의 양측의 측판(110)이 내측으로 변위하면, 측판(110)이 구획판(300)의 양단에 각각 접촉하므로, 화상(100)이 부주의하게 접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실시예 6)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6을 포함하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연소장치(B2')에 대해서 도 10a∼도 11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a에는 실시예 6의 옥외용 연소장치(B2')가 나타내어져 있고, 도 10b에는 실시예 6의 옥외용 연소장치(B2')의 제1설계 변형예가 나타내어져 있고, 도 11a에는 실시예 6의 옥외용 연소장치(B2')의 제2설계 변형예가 나타내어져 있고, 도 11b에는 실시예 6의 옥외용 연소장치(B1')의 제3설계 변형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 도 10a∼도 11b에 나타내는 Z-Z' 방향은 옥외용 연소장치(B2')의 높이 방향이며, X-X' 방향은 Z-Z'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Y-Y' 방향은 Z-Z' 방향 및 X-X'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옥외용 연소장치(B2')는 하기 상위점에서 옥외용 연소장치(B1')와 상위한 이외는 옥외용 연소장치(B1')와 같은 구성이다.
상위점 1)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가 측판(110) 중 인접하는 측판(110) (이하, 제1의 인접하는 측판(110)이라고도 칭한다.)에 현가되어 있다.
상위점 2) 적어도 하나의 제2현가부재(400)가 제1현가부재(200)에 교차하도록 측판(110) 중 인접하는 측판(110) (이하, 제2의 인접하는 측판(110)이라고도 칭한다.)에 현가되어 있다.
이하, 옥외용 연소장치(B2')에 대해서는 이들의 상위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고, 옥외용 연소장치(B1')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에 관해서는 생략한다.
제1의 인접하는 측판(110) 중 한쪽의 측판(110)이 적어도 하나의 제1지지부(S1')를 갖고, 다른쪽의 측판(110)이 적어도 하나의 제2지지부(S2')를 갖고 있다.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는 옥외용 연소장치(B2)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와 같은 구성이다.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에 제1현가부재(200)가 지지되어 제1의 인접하는 측판(110)에 현가되어 있다.
구획판(300)은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에 지지된 제1현가부재(20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또한 제1현가부재(200)로부터 수하되고, 화상(100)내를 대략 수평방향에 있어서 제1, 제2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는 이외는 옥외용 연소장치(B1')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구획판(300)과 같다.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는 제1현가부재(200)의 수에 따른 수 또는 그 이상으로 하면 좋다. 복수의 제1지지부(S1')는 같은 측판(110)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도 11a 및 도 11b 참조), 다른 측판(110)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도 10a 및 도 10b참조). 복수의 제2지지부(S2')는 같은 측판(110)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도 11a 및 도 11b 참조), 다른 측판(110)(도 10a 및 도 10b 참조)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제1의 인접하는 측판(110)이 2세트 있고,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2개씩 있다. 2세트 중 제1세트의 인접하는 측판(110)의 한쪽의 측판(110)(Y방향측의 측판(110a))에 하나의 제1지지부(S1')가 설치되어 있고, 제2세트의 인접하는 측판(110)의 한쪽의 측판(110)(X방향측의 측판(110b))에 또 하나의 제1지지부(S1')가 형성되어 있다. 제1세트의 인접하는 측판(110)의 다른쪽의 측판(110)(X' 방향측의 측판(110b))에 하나의 제2지지부(S2')가 설치되어 있고, 제2세트의 인접하는 측판(110)의 다른쪽의 측판(110)(Y' 방향측의 측판(110b))에 또 하나의 제2지지부(S2')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서는 제1의 인접하는 측판(110)이 2세트 있고,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4개씩 있다. 2세트 중 제1세트의 인접하는 측판(110)의 한쪽의 측판(110)(Y방향측의 측판(110a))에 2개의 제1지지부(S1')가 상기 측판(110)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제2세트의 인접하는 측판(110)의 한쪽의 측판(110)(X방향측의 측판(110b))에 남고 2개의 제1지지부(S1')가 상기 측판(110)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제1세트의 인접하는 측판(110)의 다른쪽의 측판(110)(X' 방향측의 측판(110b))에 2개의 제2지지부(S2')가 상기 측판(110)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제2세트의 인접하는 측판(110)의 다른쪽의 측판(110)(Y' 방향측의 측판(110b))에 남고 2개의 제2지지부(S2')가 상기 측판(110)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제2의 인접하는 측판(110) 중 한쪽의 측판(110)이 적어도 하나의 제3지지부(S3')를 갖고, 다른쪽의 측판(110)이 적어도 하나의 제4지지부(S4')를 갖고 있다.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옥외용 연소장치(B2)의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와 같은 구성이다.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제2현가부재(400)의 수에 따른 수 또는 그 이상으로 하면 좋다. 복수의 제3지지부(S3')는 같은 측판(110)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다른 측판(110)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의 제4지지부(S4')는 같은 측판(110)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다른 측판(110)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도 10a 및 도 11b 참조).
도 10a∼도 11b에서는 제2의 인접하는 측판(110)이 2세트 있고,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가 2개씩 있다. 2세트 중 제1세트의 인접하는 측판(110)의 한쪽의 측판(110)(X방향측의 측판(110a))에 하나의 제3지지부(S3')가 설치되어 있고, 제2세트의 인접하는 측판(110)의 한쪽의 측판(110)(Y' 방향측의 측판(110b))에 또 하나의 제3지지부(S3')가 설치되어 있다. 제1세트의 인접하는 측판(110)의 다른쪽의 측판(110)(Y방향측의 측판(110b))에 하나의 제4지지부(S4')가 설치되어 있고, 제2세트의 인접하는 측판(110)의 다른쪽의 측판(110)(X' 방향측의 측판(110b))에 또 하나의 제4지지부(S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2현가부재(400),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생략 가능하다.
옥외용 연소장치(B2')에서도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와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의 4개의 교차부,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의 교차부 사이의 부분 및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의 교차부 사이의 부분에 의해, 사각환상의 연료 지지부(X)를 구성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옥외용 연소장치(B2')는 옥외용 연소장치(B1')와 마찬가지로, 화상(100)에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 및 구획판(300)을 부착할 수 있고, 또한 화상(100)에 적어도 하나의 제2현가부재(400)를 부착할 수 있다. 옥외용 연소장치(B2')는 옥외용 연소장치(B1')와 동일한 기술적 특징 및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예 7)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7을 포함하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연소장치(B3')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옥외용 연소장치(B3')는 바베큐 그릴이다. 도 12에는 실시예 7의 옥외용 연소장치(B3')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Z-Z' 방향은 옥외용 연소장치(B2')의 높이 방향이며, X-X' 방향은 Z-Z'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Y-Y' 방향은 Z-Z' 방향 및 X-X'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옥외용 연소장치(B3')는 하기 상위점에서 옥외용 연소장치(B1')와 상위하는 이외는 옥외용 연소장치(B1')와 같은 구성이다.
상위점 1)옥외용 연소장치(B3')는 다리부(600) 대신에 옥외용 연소장치(B3)의 다리부(600')를 구비하고 있다.
상위점 2)옥외용 연소장치(B3')는 옥외용 연소장치(B3)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80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위점 3)화상(100')이 다리부(600') 및 연결부(800)의 적어도 한쪽에 지지되어 있다.
상위점 4)다리부(600'), 연결부(800) 및 화상(100') 중 하나가 옥외용 연소장치(B3)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를 갖고, 다리부(600'), 연결부(800) 및 화상(100') 중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를 갖고 있다.
이하, 옥외용 연소장치(B3')에 대해서는 이들의 상위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고, 옥외용 연소장치(B1') 및 옥외용 연소장치(B3)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에 관해서는 생략한다.
옥외용 연소장치(B3')의 화상(100')은 옥외용 연소장치(B3)의 화상(100')과 동일한 구성이다. 옥외용 연소장치(B3')의 연료 적재부(500)도 옥외용 연소장치(B3)의 연료 적재부(500)와 동일한 구성이다. 도 12 중의 510은 연료 적재부(500)의 구멍이다.
옥외용 연소장치(B3')의 적어도 하나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는 옥외용 연소장치(B3)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의 a1∼e1과 동일한 구성이다.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는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에 대략 수평으로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고, 화상(100')의 측판(110') 사이, 다리(610')의 수평부 사이, 지지부재(620') 사이 또는 연결부(800) 사이에 현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현가부재(200)는 옥외용 연소장치(B3)의 상기 a2)∼d2)와 같이 현가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300)은 제1현가부재(200)가 상기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에 지지된 상태에서, 화상(100')내에 제1현가부재(200)로부터 연료 적재부(500)에 수하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화상(100')내를 수평방향(도 12에서는 X-X' 방향)에 있어서 제1, 제2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는 이외는 상기 옥외용 연소장치(B1')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구획판(300)과 같다.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는 제1현가부재(200)의 수에 따른 수 또는 그 이상으로 하면 좋다. 복수의 제1지지부(S1")는 상기 하나의 측판(110'), 피지지부(130'), 다리(610')의 수평부, 지지부재(620') 또는 연결부(800)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면 좋지만, 상기 옥외용 연소장치(B2')와 같이, 다른 측판(110'), 피지지부(130'), 다리(610')의 수평부, 지지부재(620') 또는 연결부(800)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의 제2지지부(S2")는 상기 다른 하나의 측판(110'), 피지지부(130'), 다리(610')의 수평부, 지지부재(620') 또는 연결부(800)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면 좋지만, 상기 옥외용 연소장치(B2')와 같이, 다른 측판(110'), 피지지부(130'), 다리(610')의 수평부, 지지부재(620') 또는 연결부(800)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300)은 제1현가부재(200) 중 임의의 하나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획판(300)도 복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획판(300)이 복수인 경우, 구획판(300)에 의해 구획되는 화상(100')내의 공간은 구획판(300)의 수+1(상기 제1, 제2공간을 포함한다.)이 된다.
옥외용 연소장치(B3')의 적어도 하나의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옥외용 연소장치(B3)의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옥외용 연소장치(B3')의 적어도 하나의 제2현가부재(400)는 옥외용 연소장치(B3)의 제2현가부재(400)와 마찬가지로,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에 지지되어 있으면 좋다.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제2현가부재(400)의 수에 따른 수 또는 그 이상으로 하면 좋다. 복수의 제3지지부(S3")는 상기 하나의 측판(110'), 피지지부(130'), 다리(610')의 수평부, 지지부재(620') 또는 연결부(800)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면 좋지만, 상기 옥외용 연소장치(B2')와 같이, 다른 측판(110'), 피지지부(130'), 다리(610')의 수평부, 지지부재(620') 또는 연결부(800)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의 제4지지부(S4")는 상기 다른 하나의 측판(110'), 피지지부(130'), 다리(610')의 수평부, 지지부재(620') 또는 연결부(800)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면 좋지만, 상기 옥외용 연소장치(B2')와 같이, 다른 측판(110'), 피지지부(130'), 다리(610')의 수평부, 지지부재(620') 또는 연결부(800)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제2현가부재(400),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생략 가능하다.
또, 제1현가부재(200)가 복수이며 또한 제2현가부재(400)가 생략될 경우, 옥외용 연소장치(B1')와 마찬가지로, 제1현가부재(200)는 조리용기 또는 꼬치를 지지 가능한 오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가 상기한 바와 같이 교차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는 옥외용 연소장치(B1')와 마찬가지로, 조리용기 또는 꼬치를 지지하는 오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현가부재(200) 중 인접하는 2개의 제1현가부재(200)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또는 제2현가부재(400) 중 인접하는 2개의 제2현가부재(400)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는 화상(100) 상에 위치할 경우, 이것을 오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옥외용 연소장치(B3')에서도,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와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의 4개의 교차부,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의 교차부 사이의 부분 및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의 교차부 사이의 부분에 의해, 사각환상의 연료 지지부(X)를 구성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옥외용 연소장치(B3')는 도시하지 않은 석쇠 및/또는 철판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석쇠 및/또는 철판은 i) 적어도 제1현가부재(200) 및 구획판(300)보다 Z방향측에 위치하도록, 화상(100'), 다리부(600') 및/또는 연결부(800)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고, ⅱ) 화상(100'), 다리부(600') 및/또는 연결부(800)에 추가해서,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고, ⅲ) 화상(100'), 다리부(600') 및/또는 연결부(800)에 추가해서,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고, ⅳ) 복수의 제1현가부재(200)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고, v)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현가부재(200) 및/또는 제2현가부재(400)가 오덕인 경우, 석쇠 및/또는 철판은 상술의 지지로부터 분리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옥외용 연소장치(B3')는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화상(100')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옥외용 연소장치(B1')와 마찬가지로, 화상(100')에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 및 구획판(300)을 부착할 수 있고,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가 화상(10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옥외용 연소장치(B1')와 마찬가지로, 화상(100')에 적어도 하나의 제2현가부재(400)를 부착할 수 있다.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지지부재(620'), 다리부(600') 또는 연결부(80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1현가부재(200)를 지지부재(620'), 다리부(600') 또는 연결부(800)의 상측 가장자리에 적재, 지지부재(620'), 다리부(600') 또는 연결부(800)의 오목부 또는 슬릿내에 상방으로부터 각각 삽입, 지지부재(620'), 다리부(600') 또는 연결부(800)의 관통구멍에 각각 삽입, 또는 지지부재(620'), 다리부(600') 또는 연결부(800)의 한쌍의 돌출부 사이에 각각 삽입하면 좋다. 그 후에 옥외용 연소장치(B1')와 마찬가지로, 구획판(300)을 제1현가부재(200)에 부착하면, 구획판(300)이 제1현가부재(200)로부터 연료 적재부(500)에 수하하도록 화상(100')내에 배치된다. 이 때, 구획판(300)은 연료 적재부(500)에 간극을 갖고 배치시켜도 좋고, 연료 적재부(500)에 접촉시켜도 좋다. 구획판(300)이 볼록부(340)를 갖고 있는 경우, 구획판(300)을 화상(100')내에 배치시킬 때에, 볼록부(340)를 연료 적재부(500)의 구멍(510)에 삽입시킨다. 이렇게 구획판(300)이 화상(100')내에 배치됨으로써, 화상(100')내의 공간이 제1, 제2공간으로 구획된다.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가 지지부재(620'), 연결부(800) 또는 다리부(60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2현가부재(400)를 지지부재(620'), 연결부(800) 또는 다리부(600')의 상측 가장자리에 적재, 지지부재(620'), 연결부(800) 또는 다리부(600')의 오목부 또는 슬릿내에 상방으로부터 각각 삽입, 지지부재(620'), 연결부(800) 또는 다리부(600')의 관통구멍에 각각 삽입, 또는 지지부재(620'), 연결부(800) 또는 다리부(600')의 한쌍의 돌출부 사이에 각각 삽입하면 좋다. 제1현가부재(200)가 오목부(210)를 갖고 또한 구획판(300)이 오목부(330)를 갖는 경우, 제2현가부재(400)가 오목부(210) 및 오목부(330)에 삽입된다. 제1현가부재(200)가 오목부(210)를 갖고 또한 구획판(300)이 오목부(330)를 갖지 않는 경우, 제2현가부재(400)가 오목부(210)에 삽입된다. 제1현가부재(200)가 오목부(210)를 갖지 않고 또한 구획판(300)이 오목부(330)를 갖지 않는 경우, 제2현가부재(400)는 제1현가부재(200)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한다.
옥외용 연소장치(B3')는 옥외용 연소장치(B1')의 기술적 특징 및 효과와 같은 기술적 특징 및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예 8)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8을 포함하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연소장치(B4')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옥외용 연소장치(B4')는 바베큐 그릴이다. 도 13에는 실시예 8의 옥외용 연소장치(B4')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 도 13에 나타내는 Z-Z' 방향은 옥외용 연소장치(B2')의 높이 방향이며, X-X' 방향은 Z-Z'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Y-Y' 방향은 Z-Z' 방향 및 X-X'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 도 13에서는 연료 적재부(500)가 도시 생략되어 있으므로, 도 12를 빌려서 참조한다.
옥외용 연소장치(B4')는 하기 상위점에서 옥외용 연소장치(B3')와 상위하는 이외는 옥외용 연소장치(B3')와 같은 구성이다.
상위점 1)옥외용 연소장치(B4')는 연결부(800) 대신에, 프레임(900)을 구비하고 있다. 옥외용 연소장치(B4')의 프레임(900)은 옥외용 연소장치(B4)의 프레임(900)과 동일한 구성이다.
상위점 2)옥외용 연소장치(B4')의 다리부(600')는 프레임(900)에 부착되어 있다. 옥외용 연소장치(B4')의 다리부(600')는 옥외용 연소장치(B4)의 다리부(600')와 동일한 구성이다.
상위점 3)화상(100")이 프레임(900)내에 배치되어 있다. 옥외용 연소장치(B4')의 화상(100")은 옥외용 연소장치(B4)의 화상(100")과 동일한 구성이다.
상위점 4)프레임(900) 및 화상(100") 중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를 갖고, 프레임(900) 및 화상(100") 중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를 갖고 있다.
이하, 옥외용 연소장치(B4')에 대해서는 이들의 상위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고, 옥외용 연소장치(B3')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에 관해서는 생략한다.
옥외용 연소장치(B4')의 적어도 하나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는 옥외용 연소장치(B4)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와 동일한 구성이다.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는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에 대략 수평으로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고, 화상(100")의 측판(110") 사이 또는 프레임(900)의 측벽(910) 사이에 현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현가부재(200)는 하기 a1)∼d1) 중 어느 하나와 같이 측벽(910) 사이에 현가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300)은 제1현가부재(200)가 상기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에 지지된 상태에서, 화상(100")내에 제1현가부재(200)로부터 연료 적재부(500)에 수하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화상(100")내를 수평방향에 있어서 제1, 제2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는 이외는 상기 옥외용 연소장치(B1')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구획판(300)과 같다. 또, 옥외용 연소장치(B4')의 연료 적재부(500)는 옥외용 연소장치(B4)의 연료 적재부(500)와 동일한 구성이다.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는 제1현가부재(200)의 수에 따른 수 또는 그 이상으로 하면 좋다. 복수의 제1지지부(S1''')는 화상(100")의 상기 하나의 측판(110") 또는 측벽(910)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어도 좋지만, 상기 옥외용 연소장치(B2')와 같이, 다른 측판(110") 또는 측벽(910)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의 제2지지부(S2''')는 화상(100")의 상기 다른 하나의 측판(110") 또는 측벽(910)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어도 좋지만, 상기 옥외용 연소장치(B2')와 같이, 다른 측판(110") 또는 측벽(910)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300)은 제1현가부재(200) 중 임의의 하나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획판(300)도 복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획판(300)이 복수인 경우, 구획판(300)에 의해 구획되는 화상(100")내의 공간은 구획판(300)의 수+1(상기 제1, 제2공간을 포함한다.)이 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가 화상(10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3지지부(S3'''), 제4지지부(S4''')는 각각 옥외용 연소장치(B1')의 상기 제3지지부(S3), 제4지지부(S4), 또는 옥외용 연소장치(B2')의 상기 제3지지부(S3'), 제4지지부(S4')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가 프레임(90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3지지부(S3'''), 제4지지부(S4''')는 제2현가부재(400)가 제1현가부재(200)에 교차하도록 제2현가부재(400)를 대략 수평으로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외는 프레임(900)에 설치된 제1지지부(S1'''), 제2지지부(S2''')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13에서는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프레임(900)의 측벽(910)의 상측 가장자리이다.
제1현가부재(200)가 오목부(210)를 갖고 또한 구획판(300)이 오목부(330)를 갖는 경우, 제1지지부(S1'''), 제2지지부(S2'''),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거의 같은 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고,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와,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가 상위해도 좋다. 상위한 경우, 제2현가부재(400)가 제1현가부재(200)의 오목부(210) 및 구획판(300)의 오목부(330)에 삽입되도록,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의 적어도 한쪽을 대략 Ω자 형상으로 하면 좋다. 또, 오목부(330)는 옥외용 연소장치(B1')와 마찬가지로 생략 가능하다.
제2현가부재(400)가 제1현가부재(200) 또는 구획판(300)에 상측으로부터 접촉할 경우,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보다 제1현가부재(200)의 Z-Z' 방향의 치수분, 상측(Z방향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현가부재(400)가 제1현가부재(200) 또는 구획판(300)에 상측으로부터 접촉하도록,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의 적어도 한쪽을 대략 Ω자 형상으로 해도 좋다.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제2현가부재(400)의 수에 따른 수 또는 그 이상으로 하면 좋다. 복수의 제3지지부(S3''')는 상기 하나의 측판(110") 또는 측벽(910)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면 좋지만, 상기 옥외용 연소장치(B2')와 같이, 다른 측판(110") 또는 측벽(910)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의 제4지지부(S4''')는 상기 다른 하나의 측판(110") 또는 측벽(910)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면 좋지만, 상기 옥외용 연소장치(B2')와 같이, 다른 측판(110") 또는 측벽(910)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제2현가부재(400),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는 생략 가능하다.
또, 제1현가부재(200)가 복수이며 또한 제2현가부재(400)가 생략될 경우, 옥외용 연소장치(B1')와 마찬가지로, 제1현가부재(200)는 조리용기 또는 꼬치를 지지 가능한 오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옥외용 연소장치(B1')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가 상기한 바와 같이 교차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는 조리용기 또는 꼬치를 지지 가능한 오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현가부재(200) 중 인접하는 2개의 제1현가부재(200)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또는 제2현가부재(400) 중 인접하는 2개의 제2현가부재(400)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는 화상(100) 상에 위치할 경우, 이것을 오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옥외용 연소장치(B4')에서도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와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의 4개의 교차부,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의 교차부 사이의 부분 및 한쌍의 제2현가부재(400)의 교차부 사이의 부분에 의해, 사각환상의 연료 지지부(X)를 구성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옥외용 연소장치(B4')는 도시하지 않은 석쇠 및/또는 철판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석쇠 및/또는 철판은 i) 적어도 제1현가부재(200) 및 구획판(300)보다 Z방향측에 위치하도록, 화상(100") 및/또는 프레임(900)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고, ⅱ) 화상(100") 및/또는 프레임(900)에 추가해서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고, ⅲ) 화상(100") 및/또는 프레임(900)에 추가해서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고, ⅳ) 복수의 제1현가부재(200)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고, v)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 및 제2현가부재(400)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현가부재(200) 및/또는 제2현가부재(400)가 오덕인 경우, 석쇠 및/또는 철판은 상술의 지지로부터 분리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옥외용 연소장치(B4')는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화상(10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옥외용 연소장치(B1')와 마찬가지로, 화상(100")에 적어도 하나의 제1현가부재(200) 및 구획판(300)을 부착할 수 있고,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가 화상(10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옥외용 연소장치(B1')와 마찬가지로, 화상(100")에 적어도 하나의 제2현가부재(400)를 부착할 수 있다.
제1지지부(S1''') 및 제2지지부(S2''')가 프레임(900)의 측벽(91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1현가부재(200)를 측벽(910)의 상측 가장자리에 적재, 측벽(910)의 오목부 또는 슬릿내에 상방으로부터 각각 삽입, 측벽(910)의 관통구멍에 각각 삽입, 또는 측벽(910)의 한쌍의 돌출부 사이에 각각 삽입하면 좋다. 그 후에 옥외용 연소장치(B1')와 마찬가지로, 구획판(300)을 제1현가부재(200)에 부착하면, 구획판(300)이 제1현가부재(200)로부터 연료 적재부(500)에 수하하도록 화상(100")내에 배치된다. 이 때, 구획판(300)은 연료 적재부(500)에 간극을 갖고 배치시켜도 좋고, 연료 적재부(500)에 접촉시켜도 좋다. 구획판(300)이 볼록부(340)(도 13a를 빌려서 참조)를 갖고 있는 경우, 구획판(300)을 화상(100")내에 배치시킬 때에, 볼록부(340)를 연료 적재부(500)의 구멍(510)에 삽입시킨다. 이렇게 구획판(300)이 화상(100")내에 배치됨으로써, 화상(100")내의 공간이 제1, 제2공간으로 구획된다.
제3지지부(S3''') 및 제4지지부(S4''')가 측벽(91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2현가부재(400)를 측벽(910)의 상측 가장자리에 적재, 측벽(910)의 오목부 또는 슬릿내에 상방으로부터 각각 삽입, 측벽(910)의 관통구멍에 각각 삽입, 또는 측벽(910)의 한쌍의 돌출부 사이에 각각 삽입하면 좋다. 제1현가부재(200)가 오목부(210)를 갖고 또한 구획판(300)이 오목부(330)를 갖는 경우, 제2현가부재(400)가 오목부(210) 및 오목부(330)에 삽입된다. 제1현가부재(200)가 오목부(210)를 갖고 또한 구획판(300)이 오목부(330)를 갖지 않는 경우, 제2현가부재(400)가 오목부(210)에 삽입된다. 제1현가부재(200)가 오목부(210)를 갖지 않고 또한 구획판(300)이 오목부(330)를 갖지 않는 경우, 제2현가부재(400)는 제1현가부재(200)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한다.
옥외용 연소장치(B4')는 옥외용 연소장치(B1')의 기술적 특징 및 효과와 같은 기술적 특징 및 효과를 발휘한다.
또, 상기한 옥외용 연소장치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하게 서술한다.
본 발명의 화상은 고형 연료를 수용 가능한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화상(100)은 상기 힌지부(121)를 생략하고, 측판(110)의 측변끼리가 용접 등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측판(110)은 다각형이면 좋고, 또한 측판(110)의 수는 3개 이상이면 좋다. 또는 화상(100)은 원통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측판(110)의 수는 1개이다. 화상(100',100")은 원통 형상의 측판과, 그 Z' 방향의 개구를 막는 원판상의 바닥판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화상은 대략 반구쉘상 또는 밥공기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리부는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화상을 중공으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유지하는 구성 또는 프레임을 중공으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유지하는 구성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연결부(800)가 생략되고, 다리부(600')가 화상(100')을 직접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연결부는 다리부의 다리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면 좋고, 적어도 하나 이면 좋다. 본 발명의 연결부는 지지부재(620')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프레임은 그 내측에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화상을 배치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상 및 연결부는 다른 부재일 필요는 없고, 화상이 연결부를 겸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지지부, 제2지지부는 옥외용 연소장치의 화상, 프레임, 다리부, 연결부 및, 이들 중의 하나로 형성된 봉, 판 또는 파이프 등의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제1현가부재가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에 현가되도록, 상기 제1현가부재를 지지하는 것이면 좋다. 제1지지부, 제2지지부가 화상 이외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1지지부, 제2지지부는 화상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또, 본 발명의 제2지지부는 옥외용 연소장치의 화상, 프레임, 다리부, 연결부 중 제1지지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지지부, 제2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씩 있으면 좋고, 3개 이상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3지지부, 제4지지부는 옥외용 연소장치의 화상, 프레임, 다리부, 연결부 및 이들 중 하나에 형성된 봉, 판 또는 파이프 등의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제2현가부재가 제3지지부 및 제4지지부에 현가되도록, 상기 제2현가부재를 지지하는 것이면 좋다. 제3지지부, 제4지지부가 화상 이외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3지지부, 제4지지부는 화상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또, 본 발명의 제4지지부는 옥외용 연소장치의 화상, 프레임, 다리부, 연결부 중 제3지지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3지지부, 제4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씩 있으면 좋고, 3개 이상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오덕은 화상의 연소 공간의 상측 또는 상기 연소 공간내에 배치되는 환상의 연료 지지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환상의 연료 지지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의 현가부재가 연장되어 있고, 이 현가부재가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제1∼제4지지부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오덕의 한쌍의 제2현가부재는 생략 가능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오덕의 한쌍의 제1현가부재는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한쌍의 제1지지부 및 한쌍의 제2지지부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고, 그 대신에, 한쌍의 제3지지부 및 한쌍의 제4지지부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화상이 고형 연료를 적재 가능한 바닥부를 갖는 경우, 고형 연료를 연료 지지부 및 연료 적재부가 아닌 연료 지지부 및 화상의 바닥부에 기대 세워서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현가부재 및 구획판은 별체일 필요는 없고, 일체화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어느 형태의 제1, 제2지지부에 지지되는 한쌍의 제1현가부재의 사이에 구획판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현가부재로부터 구획판이 수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구획판에만 제2현가부재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구획판은 연료 적재부가 아닌 화상의 바닥측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연료 적재부는 생략 가능하며, 그 경우, 화상의 바닥에 고형 연료가 적재 가능하게 하면 좋다.
옥외용 연소장치(B1,B1')는 꼬치 유지구(1000)(도 14a∼도 14d 참조)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꼬치 유지구(1000)는 내열판 또는 내열 블록 등이며,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에 현가되어 있다. 예를 들면 꼬치 유지구(1000)는 이하와 같이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에 현가되어 있다.
1)꼬치 유지구(1000)의 양단부가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용접, 비스 고정 또는 나사 고정 등의 주지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2)꼬치 유지구(1000)의 양단부에 형성된 훅(1001)(도 14d 참조)이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에 걸려서 상기 훅(1001)이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에 상기 주지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꼬치 유지구(1000)의 중간부는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보다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한다.
3)꼬치 유지구(1000)의 양단부에 형성된 훅(1001)이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에 분리 가능하게 걸려져 있다. 이 경우, 꼬치 유지구(1000)의 중간부는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보다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한다.
4)꼬치 유지구(1000)의 양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내에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가 삽입탈락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어 있다.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가 제1지지부(S1), 제2지지부(S2)에 각각 지지되고, 꼬치 유지구(1000)가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에 지지된 상태에서, 꼬치 유지구(1000)는 화상(100)의 연소 공간내 또는 연소 공간의 상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화상(100)의 측판(110)의 상단부보다 중앙부측이며 또한 화상(100)의 측판(110)의 비스듬히 위에 배치된다. 화상(100)의 측판(110)은 도 14c에 나타내듯이, 꼬치 유지구(1000)에 Z-Z'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화상(100)의 중앙부측으로 아래로 경사져 있어도 좋고, 경사되어 있지 않고 Z-Z'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측판(110)의 상단부에는 측판(110)이 경사져 있는지 아닌지에 상관없이, 적어도 하나의 제1유지구멍(113)이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 적어도 하나의 제1유지구멍(113)은 측판(110)을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제1유지구멍(113)은 복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제1유지구멍(113)은 일렬 또는 복수열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의 제1유지구멍(113)은 지그재그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a∼도 14d에서는 제1유지구멍(113)은 복수이며, 복수의 둥근 구멍의 제1유지구멍(113)과, 복수의 각진 구멍의 제1유지구멍(113)을 포함하고 있다. 또, 적어도 하나의 제1유지구멍(113)의 형태는 도시하지 않은 꼬치가 삽입 탈락 가능하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꼬치 유지구(10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유지구멍(1100)이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 적어도 하나의 제2유지구멍(1100)은 꼬치 유지구(1000)를 상하(Z-Z' 방향)로 관통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유지구멍(1100)은 이 적어도 하나의 제1유지구멍(113)보다 화상(100)의 중앙부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제1유지구멍(113)에 대하여 비스듬히 상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제2유지구멍(1100)은 복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제2유지구멍(1100)은 일렬 또는 복수열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의 제2유지구멍(1100)은 지그재그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a∼도 14d에서는 제2유지구멍(1100)은 복수이며, 복수의 둥근 구멍의 제2유지구멍(1100)과, 복수의 각진 구멍의 제2유지구멍(1100)을 포함하고 있다. 또, 적어도 하나의 제2유지구멍(1100)의 형태는 꼬치가 삽입 탈락되기 가능하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제1유지구멍(113) 및 제2유지구멍(1100)에 꼬치의 하단부가 삽입되면, 꼬치가 화상(100)의 중앙부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제1유지구멍(113) 및 제2유지구멍(1100)에 의해 화상(100)내에 유지된다.
이상과 같은 옥외용 연소장치(B1,B1')에 의한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꼬치가 화상(100)의 중앙부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제1유지구멍(113) 및 제2유지구멍(1100)에 의해 화상(100)내에 유지된다. 그 결과, 꼬치에 찔린 식재와 화상(100)의 연소 공간내의 열원 거리를 가깝게 할 수 있다.
또, 한쌍의 제1현가부재(200)는 제1지지부(S1), 제2지지부(S2)가 아닌 제1지지부(S1'), 제2지지부(S2'), 또는 제1지지부(S1"), 제2지지부(S2"), 또는 제1지지부(S1'''), 제2지지부(S2''')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1유지구멍(113)은 화상(100)의 측판(110)의 상단부, 또는 화상(100')의 측판(110')의 상단부, 또는 화상(100')의 측판(110')의 상단부에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의 각 형태 및 설계 변형예에 있어서의 옥외용 연소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치수, 수 및 배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이며,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예의 각 형태 및 설계 변경예는 서로 모순하지 않는 한, 서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Z-Z' 방향은 본 발명의 높이 방향인 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X-X' 방향은 Z-Z' 방향에 교차하는 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Y-Y' 방향은 Z-Z' 방향 및 X-X' 방향에 교차하고 있고 또한 Z-Z' 방향 및 X-X' 방향이 위치하는 평면 상에 위치하지 않는 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B1, B2, B3, B4, B1', B2', B3', B4': 옥외용 연소장치
100, 100', 100": 화상
110(110a, 110b), 110', 110": 측판
200: 제1현가부재
210: 오목부
300: 구획판
400: 제2현가부재
500: 연료 적재부
600, 600': 다리부
700: 재받이
800: 연결부
900: 프레임
1000: 꼬치 유지구
S1, S1', S1", S1''': 제1지지부
S2, S2', S2", S2''': 제2지지부
S3, S3', S3", S3''': 제3지지부
S4, S4', S4", S4''': 제4지지부

Claims (14)

  1. 고형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 공간을 갖는 화상과,
    상기 연소 공간의 상측 또는 상기 연소 공간내에 배치되는 환상의 연료 지지부를 갖는 오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연료 지지부내에 고형 연료가 배치 가능하며, 상기 고형 연료를 상기 연료 지지부에 기대 세워서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옥외용 연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은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제1지지부와,
    상기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한쌍의 제1지지부에 대향하는 한쌍의 제2지지부와,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제3지지부와,
    상기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한쌍의 제3지지부에 대향하는 한쌍의 제4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오덕은 상기 한쌍의 제1지지부와 상기 한쌍의 제2지지부에 지지된 한쌍의 제1현가부재와,
    상기 한쌍의 제1현가부재에 교차하도록 상기 한쌍의 제3지지부와 상기 한쌍의 제4지지부에 지지된 한쌍의 제2현가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연료 지지부는 상기 한쌍의 제1현가부재와 상기 한쌍의 제2현가부재의 교차부와,
    상기 한쌍의 제1현가부재와 상기 한쌍의 제2현가부재의 상기 교차부 사이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옥외용 연소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의 상측에서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제1지지부와,
    상기 화상의 상측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한쌍의 제1지지부에 대향하는 한쌍의 제2지지부와,
    상기 화상의 상측에서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제3지지부와,
    상기 화상의 상측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한쌍의 제1지지부에 대향하는 한쌍의 제4지지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오덕은 상기 한쌍의 제1지지부와 상기 한쌍의 제2지지부에 지지된 한쌍의 제1현가부재와,
    상기 한쌍의 제1현가부재에 교차하도록 상기 한쌍의 제3지지부와 상기 한쌍의 제4지지부에 지지된 한쌍의 제2현가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연료 지지부는 상기 한쌍의 제1현가부재와 상기 한쌍의 제2현가부재의 교차부와,
    상기 한쌍의 제1현가부재와 상기 한쌍의 제2현가부재의 상기 교차부 사이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옥외용 연소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내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고형 연료를 적재 가능한 연료 적재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옥외용 연소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은 상기 고형 연료를 적재 가능한 바닥부를 갖고 있는 옥외용 연소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현가부재로부터 수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화상내의 공간을 대략 수평방향에 있어서 제1,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더 구비하고 있는 옥외용 연소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현가부재는 상기 제1현가부재에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1현가부재 또는 상기 구획판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3지지부 및 상기 제4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는 옥외용 연소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현가부재 및 상기 구획판 중 적어도 한쪽은 상방향으로 개방된 오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2현가부재는 상기 제1현가부재에 교차하고 또한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3지지부 및 상기 제4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는 옥외용 연소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은 환상으로 배치된 3개 이상의 측판을 갖고 있고, 상기 측판은 한쌍의 측변을 갖고 있고, 상기 측판 중 인접하는 측판의 측변끼리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측판 중 하나의 측판이 상기 제1지지부를 갖고, 다른 하나의 측판이 상기 제2지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구획판은 상기 하나의 측판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측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옥외용 연소장치.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현가부재는 봉상 또는 판상이며,
    상기 구획판은 상기 제1현가부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옥외용 연소장치.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내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고형 연료를 적재 가능한 연료 적재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연료 적재부는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구획판은 상기 제1현가부재로부터 상기 연료 적재부로 수하된 구획판 본체와,
    상기 구획판 본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구멍에 삽입된 볼록부를 갖고 있는 옥외용 연소장치.
  12.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고형 연료를 적재 가능한 연료 적재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구획판은 상기 제1현가부재로부터 상기 연료 적재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연료 적재부에 접촉하고 있는 옥외용 연소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공간의 상측 또는 상기 연소 공간내에 있어서 상기 화상의 일부보다 상기 화상의 중앙부측 또한 상기 화상의 상기 일부에 대하여 비스듬히 상측에 배치되는 꼬치 유지구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화상의 상기 일부는 상기 일부를 관통한 제1유지구멍을 갖고,
    상기 꼬치 유지구는 제2유지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제2유지구멍은 상기 꼬치 유지구를 상하로 관통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제1유지구멍의 비스듬히 상측에 배치되는 옥외용 연소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은 상기 일부를 갖는 측판을 갖고 있고,
    상기 측판의 적어도 상기 일부가 상기 꼬치 유지구에 대향하도록 상기 화상의 중앙부측으로 아래로 경사져 있는 옥외용 연소장치.
KR1020180004974A 2017-08-08 2018-01-15 옥외용 연소장치 KR102404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52853A JP6900036B2 (ja) 2017-08-08 2017-08-08 屋外用燃焼装置および屋外用燃焼装置用の仕切り板
JPJP-P-2017-152853 2017-08-08
JP2017169392A JP6882774B2 (ja) 2017-09-04 2017-09-04 屋外用燃焼装置
JP2017169399A JP6869541B2 (ja) 2017-09-04 2017-09-04 屋外用燃焼装置
JPJP-P-2017-169392 2017-09-04
JPJP-P-2017-169399 2017-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422A true KR20190016422A (ko) 2019-02-18
KR102404892B1 KR102404892B1 (ko) 2022-06-07

Family

ID=6541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974A KR102404892B1 (ko) 2017-08-08 2018-01-15 옥외용 연소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4892B1 (ko)
CN (2) CN20882250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3779A1 (it) * 2022-03-01 2023-09-01 MANZON Anna Dispositivo per la cottura di alimenti mediante la combustione di materiale combustibile solido
RU2804536C1 (ru) * 2022-12-30 2023-10-0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РЕСТВЕЙ" (ООО "РЕСТВЕЙ") Очаг-печь-мангал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826U (ja) * 1992-11-04 1994-05-24 新高化学工業株式会社 魚焼き器兼用コンロ
JPH10127498A (ja) 1996-11-01 1998-05-19 Unie Frame:Kk 野外用携帯こんろ
JP3156915U (ja) * 2009-06-19 2010-01-28 芳生 白内 遠火近火や反転可能な焼串保持具
JP3177784U (ja) * 2012-06-06 2012-08-16 株式会社新進 簡易コンロ
DE202013103423U1 (de) * 2013-07-30 2013-09-19 Walther Metallwaren Gmbh Aufnahmevorrichtung für brennbares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1108A (en) * 1977-01-17 1978-12-26 Bauder Edward M Andiron for supporting logs
JP3177784B2 (ja) * 1991-12-27 2001-06-18 横浜ゴム株式会社 ゴムストリップの巻付け装置
JP3156915B2 (ja) * 1996-06-14 2001-04-16 池田物産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回転調整機構
US8028690B1 (en) * 2007-08-31 2011-10-04 Jeffrey Lohaus Fire pit
JP2010243042A (ja) * 2009-04-03 2010-10-28 Showapress Co Ltd 焚き火台
JP2011075270A (ja) * 2009-09-29 2011-04-14 Sanwa Koki Kk 組立式焚き火台
JP5734141B2 (ja) * 2011-09-05 2015-06-10 株式会社ロゴスコーポレーション 串焼き具
CN205126009U (zh) * 2015-11-09 2016-04-06 黄冠威 折叠烧烤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826U (ja) * 1992-11-04 1994-05-24 新高化学工業株式会社 魚焼き器兼用コンロ
JPH10127498A (ja) 1996-11-01 1998-05-19 Unie Frame:Kk 野外用携帯こんろ
JP3156915U (ja) * 2009-06-19 2010-01-28 芳生 白内 遠火近火や反転可能な焼串保持具
JP3177784U (ja) * 2012-06-06 2012-08-16 株式会社新進 簡易コンロ
DE202013103423U1 (de) * 2013-07-30 2013-09-19 Walther Metallwaren Gmbh Aufnahmevorrichtung für brennbares Materi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3779A1 (it) * 2022-03-01 2023-09-01 MANZON Anna Dispositivo per la cottura di alimenti mediante la combustione di materiale combustibile solido
RU2804536C1 (ru) * 2022-12-30 2023-10-0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РЕСТВЕЙ" (ООО "РЕСТВЕЙ") Очаг-печь-мангал
RU223065U1 (ru) * 2023-07-12 2024-01-3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оссийский би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РОСБИОТЕХ)"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81050B (zh) 2023-03-14
CN208822507U (zh) 2019-05-07
KR102404892B1 (ko) 2022-06-07
CN109381050A (zh)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499B1 (ko) 조립식 화로
US4619190A (en) Vertical bed portable cooking grill
US5016607A (en) Barbecue grill assembly
US6978777B2 (en) Cooking stove including invertible support rack, support rack with dual cooking surfaces, and methods of using same
JP3177784U (ja) 簡易コンロ
US20120073570A1 (en) Collapsible Wind Proof Fuel Cell Frame with Portable Cooking Fuel Cell
US5331942A (en) Fuel support grill rack
KR20190016422A (ko) 옥외용 연소장치
JP6900077B1 (ja) 折畳み式焚き火台
JP6058600B2 (ja) 調理カバー及びこれを備えたオーブン
JP6900036B2 (ja) 屋外用燃焼装置および屋外用燃焼装置用の仕切り板
KR101687647B1 (ko) 캠핑용 걸이형 선반
JP2021113628A (ja) 焚き火台
JP6882774B2 (ja) 屋外用燃焼装置
US7624729B2 (en) Easily lighted grill
KR200244899Y1 (ko)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
JP7164254B1 (ja) 焚火台
JP3218702U (ja) バーベキューコンロ
KR102473462B1 (ko) 휴대용 폴딩 타입형 화로대 조립구조
JP6869541B2 (ja) 屋外用燃焼装置
JP3546391B2 (ja) 組立式バーベキューコンロ
JP2002360447A (ja) 組立式バーベキューこんろ
CN1547994A (zh) 用于烹饪玉米的烹饪装置
JP2013517439A (ja) 携帯用炭火焼きコンロの補強脚装置
JP3232932U (ja) 組立式スト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