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387A -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 방법 및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 - Google Patents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 방법 및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387A
KR20190016387A KR1020170100555A KR20170100555A KR20190016387A KR 20190016387 A KR20190016387 A KR 20190016387A KR 1020170100555 A KR1020170100555 A KR 1020170100555A KR 20170100555 A KR20170100555 A KR 20170100555A KR 20190016387 A KR20190016387 A KR 20190016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slide
raman scattering
positive control
anti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146B1 (ko
Inventor
정두련
이규성
강민희
주재범
이상엽
황준기
이세희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70100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146B1/ko
Priority to PCT/KR2018/008949 priority patent/WO2019031807A2/ko
Publication of KR20190016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involving physiochemical end-point determination, e.g. wave-guides, FETS, grat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5Raman scat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5Raman scattering
    • G01N21/658Raman scattering enhancement Raman, e.g. surface plasm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6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immune complex formed in liquid ph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11Bacteri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19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bacteria
    • G01N2333/29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bacteria from Richettsiales (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 방법 및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의 진단 방법은 플라즈모닉 나노 구조가 형성된 진단용 슬라이드의 웰(well) 상에 항원액을 점적(drip)하는 단계, 웰 상에 간접면역형광항체법(indirect immunofluorescence antibody)을 이용하여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를 항체의 역가에 따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를 분석하여 질병의 양성 또는 음성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 방법 및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A DISEASE DIAGNOSIS METHOD AND SLIDE USING PLASMONIC ENHANCEMENT EFFECT}
본 발명은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하여 질병의 양성 또는 음성여부를 진단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에 관한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즈모닉 나노 구조가 형성된 슬라이드에 간접면역형광항체법을 이용하여 표면증강라만산란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질병의 양성 또는 음성여부를 진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질병의 진단 방법 및 진단용 슬라이드에 관한 것이다.
질병 진단을 위한 실험실적 검사방법에는 바일-펠릭스(Weil-Felix OX-K agglutination)법, 병소 감염 진단(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법, PCR(Polymerase Chain Reaction)법 등이 있으며, 간접면역형광항체법(indirect immunofluorescence antibody: IFA)이 표준 검사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간접면역형광항체법과 함께 검사방법이 간편하고 신속한 결과를 제공하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immunochromatography: ICA)이 민간검사기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질병 진단 방법에 있어서 민간검사기관과 질병관리본부의 사용하는 항원균주, 슬라이드 제작방식, 2차 항체, 혈청학적 진단기준이 불일치하고, 간접면역형광항체검사의 특성과 관련하여 판독시 오차 (±1 항체역가의 허용범위), 검사자의 변이, 검체 보관 조건에 따른 변이, 항체 사용 및 항원형 선택의 적정성을 고려할 때 단일 컷-오프(cut-off)를 진단기준으로 적용하는 것은 부적절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검사법은 치료 종료 후 진단을 확인하는데 이용되어 임상적 유용성이 낮고 항체 역가 평가에 있어 정량적인 수치를 객관화하기 힘들다.
더불어, 최근 특이 유전자를 대상으로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방법들로 질병을 진단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으나 항생제 투여 환자의 경우 유전자 확인이 안되는 단점이 있고, 고가의 시약, 장비 설비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goEL 유전자에 대한 loop amplification 법은 아직까지 시료의 오염문제나 특이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7051호 (2012.08.06)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접면역형광항체법에 플라즈모닉 형광신호증폭효과를 도입함으로써, 형광신호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검출 민감도를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하여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형광 신호의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여 항체 역가 평가를 객관화하고 이를 통해 종래 진단기준의 모호함을 극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항체 역가 수준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복수개의 웰들 및 항체 역가 수준의 다양성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슬라이드 상에 형성함으로써, 항체 역가 수준 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고, 검사 비용 및 소요시간을 단축시켜 검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 방법은, 플라즈모닉 나노 구조가 형성된 진단용 슬라이드의 웰(well) 상에 항원액을 점적(drip)하는 단계, 웰 상에 간접면역형광항체법(indirect immunofluorescence antibody)을 이용하여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를 항체의 역가에 따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를 분석하여 질병의 양성 또는 음성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용 슬라이드에는 복수개의 웰들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개의 웰들 중 동일한 제 1 항체 역가를 가지는 둘 이상의 웰들은 제 1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이고, 제 1 항체 역가와는 상이한 항체 역가를 가지는 둘 이상의 웰들은 제 2 양성대조군이며, 제 1 양성대조군 및 제 2 양성대조군과의 비교를 위한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이 상기 진단용 슬라이드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의 분석에서는, 동일한 항체 역가를 갖는 양성대조군에서 측정된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의 형광 강도(intensity) 피크(peak)값을 평균하여 질병의 양성 또는 음성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값이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 방법에 있어서 질병에는 쯔쯔가무시증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모닉 나노 구조는 웰 상에서 복수개의 금속들이 이용되어 형성된 합금 나노섬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에는, 플라즈모닉 나노 구조가 형성된 복수개의 웰(well)들이 포함되고, 복수개의 웰들 중 동일한 제 1 항체 역가를 가지는 둘 이상의 웰들은 제 1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이고, 제 1 항체 역가와는 상이한 항체 역가를 가지는 둘 이상의 웰들은 제 2 양성대조군이며, 제 1 양성대조군 및 제 2 양성대조군과의 비교를 위한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이 상기 진단용 슬라이드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용 슬라이드에는 항체의 역가 수준을 나타낸 역가표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에 있어서 질병에는 쯔쯔가무시증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는 유리, 실리콘, 종이,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되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를 이용한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의 분석에서는 플루오레세인(fluorescein), 플루오레세인이소티오시안산염(fluorescein isothiocyanate), 콩고 레드(congo red),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로다민(rhodamine), 크리스털 바이올렛(crystal violet), 톨루이딘 블루(toluidine blue) 중 어느 하나가 형광물질 또는 라만신호 표지자로써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공되는 질병의 진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슬라이드에 의하면, 플라즈모닉 나노 구조를 형성하여 간접면역형광항체법을 이용 시 종래의 간접면역형광항체법의 문제점인 판독 시 오차, 검사자의 변이 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플라즈모닉 표면증강라만산란을 이용하여 항체 역가에 대한 객관화된 수치를 측정하고 데이터화 할 수 있으며, 정량 분석이 가능해짐에 따라 항혈청 변화 추이를 고감도로 판별하여 질병 진단 및 질병 역학조사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검사 방법에서는 한 개의 검체에 대하여 단계 희석을 수행하여 형광 신호를 읽는 방식으로 항체의 역가를 판정하게 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웰에서 신호를 판독함으로써 항체의 역가를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 비용 및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a) 간접면역형광항체법을 이용한 종래의 진단방법의 예, (b) 형광현미경을 통한 관찰의 문제점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항체의 역가 수준에 따른 양성검체 및 음성검체에서 측정된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의 예, (b) 동일한 항체 역가를 가지는 양성대조군에서 형광 강도 피크값의 평균값을 구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질병 진단 방법 대비 본 발명의 항체 역가 수준에 따른 형광 안정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종래의 방법을 이용한 슬라이드 대비 플라즈모닉 나노 구조가 형성된 슬라이드에서 발생되는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를 표시하는 그래프의 예, (b) 항체 역가 수준에 따른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를 표시하는 그래프의 예, (c) 항체의 역가 농도에 따른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의 상대적 강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의 예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a) 간접면역형광항체법을 이용한 종래의 진단방법의 예, (b) 형광현미경을 통한 관찰의 문제점을 나타낸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간접면역형광항체법을 이용한 종래의 진단의 경우 형광현미경을 통해 확인된 사진을 12구역으로 나누어 무작위로 4구역의 균수를 판독자가 육안으로 카운팅함으로써 측정한 후 측정된 4구역의 균수의 총합을 4로 나누고 12를 곱하여 전체의 균수를 추정하고 이를 통해 양성인지 음성인지를 진단한다. 판독자가 육안으로 카운팅하고 전체 균수를 카운팅하는 것이 아닌 일부만 카운팅하여 전체 평균수를 추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오차 발생률이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판독자의 시력 등에 따라 카운팅 편차가 발생될 수 있고, 사람의 눈의 정확도는 그리 높지 않다는 점에서 정확한 결과 데이터를 획득하는데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실제 형광 양성을 보이는 세포가 다수인 도면과 육안으로 확인했을 시 형광 양성을 보이는 세포가 많이 보이는 도면이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종래의 형광 관찰법의 경우 검사자의 변이, 판독 시 오차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다분한 단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항체의 역가 수준에 따른 양성대조군 및 음성대조군에서 측정된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의 예, (b) 동일한 항체 역가를 가지는 양성대조군에서 형광 강도 피크값의 평균값을 구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100)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 방법은, 플라즈모닉 나노 구조가 형성된 진단용 슬라이드(100)의 웰(well)(110) 상에 항원액을 점적(drip)하는 단계(S100), 웰(110) 상에 간접면역형광항체법(indirect immunofluorescence antibody)을 이용하여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200), 생성된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를 항체의 역가에 따라 측정하는 단계(S300) 및 측정된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를 분석하여 질병의 양성 또는 음성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라즈모닉 효과란, 금속 내의 자유전자가 집단적으로 진동하며 강한 전기장을 생성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금속 나노 입자에서는 빛에 의한 전기장과 플라스몬이 결합되면서 광 흡수가 일어나서 선명한 색을 띠게 된다. 다시 말해서, 금속 나노 입자에서는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가 발생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써 이러한 표면증간라만산란 신호를 이용하여 질병의 발병여부를 판단하고자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단용 슬라이드(100)에는 플라즈모닉 나노 구조가 형성된 복수개의 웰(well)(110)들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개의 웰(110)들 중 동일한 제 1 항체 역가를 가지는 둘 이상의 웰(110)들은 제 1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120)이고, 제 1 항체 역가와는 상이한 항체 역가를 가지는 둘 이상의 웰(110)들은 제 2 양성대조군(130)이며, 제 1 양성대조군(120) 및 제 2 양성대조군(130)과의 비교를 위한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140)이 상기 진단용 슬라이드(1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 2 양성대조군(130)은 항체의 역가를 단계별로 희석함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는 양성검체의 경우 항체의 농도가 가장 높은 경우 가장 강한 형광 강도를 나타내며, 단계적으로 희석됨에 따라 형광 강도가 점점 약해진다. 반면, 음성검체의 경우 항원항체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가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육안으로 확인하던 종래의 방식에 비해 더욱 정밀하고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의 분석에서는, 동일한 항체 역가를 갖는 양성대조군에서 측정된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의 형광 강도(intensity) 피크(peak)값을 평균하여 질병의 양성 또는 음성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값이 산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웰(110)당 1초의 측정시간을 설정하여, 복수개의 동일한 항체 역가를 가지는 웰(110)들로부터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복수개의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에서 태그(tag)된 형광 물질의 지문 표면증강라만산란(fingerprint SERS) 피크값의 평균을 산출하여 판정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항체 역가를 갖는지 여부는 표준 항혈청에 대한 교정(calibration)값을 이용하여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의 양성 또는 음성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기준은 기 설정된 컷-오프 값(cut-off value)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를 분석하여 산출된 판정값이 컷-오프 값보다 작을 경우 음성, 컷-오프 값과 같거나 그보다 클 경우 양성으로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 방법에 있어서 질병에는 쯔쯔가무시증뿐만 아니라 보렐리아균에 의한 라임병(Lyme Borreliosis) 등 면역형광염색을 이용한 혈청학적 검사가 시행되는 모든 질병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람의 질병뿐만 아니라 강아지의 바베시아증(Babesiosis) 등 동물의 질병도 포함될 수 있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모닉 나노 구조는 웰(110) 상에서 복수개의 금속들이 이용되어 형성된 합금 나노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속나노 필름의 고체상 비젖음 현상이 이용되어 형성된 합금 나노섬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를 이용한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100)에는, 플라즈모닉 나노 구조가 형성된 복수개의 웰(well)(110)들이 포함되고, 복수개의 웰(110)들 중 동일한 제 1 항체 역가를 가지는 둘 이상의 웰(110)들은 제 1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120)이고, 제 1 항체 역가와는 상이한 항체 역가를 가지는 둘 이상의 웰(110)들은 제 2 양성대조군(130)이며, 제 1 양성대조군(120) 및 제 2 양성대조군(130)과의 비교를 위한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140)이 상기 진단용 슬라이드(1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 2 양성대조군(130)은 항체의 역가를 단계별로 희석함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100)에는 항체의 역가 수준을 나타낸 역가표시부(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역가표시부(150)는 항체의 역가를 단계별로 희석하여 복수개의 양성대조군이 형성되었을 경우, 항체의 역가 수준을 구분하기 위해 진단용 슬라이드(1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역가표시부(150)에 의하여 검사자는 역가의 수준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검사 시간 등을 단축시켜 검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100)는 유리, 실리콘, 종이,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되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100)를 이용한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의 분석에서는 플루오레세인(fluorescein), 플루오레세인이소티오시안산염(fluorescein isothiocyanate), 콩고 레드(congo red),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로다민(rhodamine), 크리스털 바이올렛(crystal violet), 톨루이딘 블루(toluidine blue) 중 어느 하나가 형광물질 또는 라만신호 표지자로써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질병 진단 방법 대비 본 발명의 항체 역가 수준에 따른 형광 안정성의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합금 나노섬이 형성되지 않은 종래의 슬라이드 대비 금과 은의 비율을 달리하여 금-은 합금 나노섬이 형성된 슬라이드(100)의 형광 안정성을 비교해본 결과, 종래의 방법을 이용한 슬라이드에 비해 약 2배 이상의 형광 안정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종래의 방법을 이용한 슬라이드 대비 플라즈모닉 나노 구조가 형성된 슬라이드(100)에서 발생되는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를 표시하는 그래프의 예, (b) 항체 역가 수준에 따른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를 표시하는 그래프의 예, (c) 항체의 역가 농도에 따른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의 상대적 강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라즈모닉 나노 구조가 형성된 슬라이드(100)에서는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가 발생되는 반면, 종래의 방법을 이용한 슬라이드는 플라즈모닉 금속 나노 구조가 없기 때문에 표면증강라만산란 효과가 없어 거의 신호가 나오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생하는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를 항체의 역가에 따라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고, 이를 통해 도 6의 (c)에서와 같이, 항체 역가의 신호를 정량화 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c)를 참조하면, 항체의 역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점점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와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방법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와 관련하여, 전술한 방법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 110: 웰(well)
120: 제 1 양성대조군 130: 제 2 양성대조군
140: 음성대조군 150: 역가표시부

Claims (11)

  1.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 방법에 있어서,
    플라즈모닉 나노 구조가 형성된 진단용 슬라이드의 웰(well) 상에 항원액을 점적(drip)하는 단계;
    상기 웰 상에 간접면역형광항체법(indirect immunofluorescence antibody)을 이용하여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를 항체의 역가에 따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질병의 양성 또는 음성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슬라이드에는 복수개의 웰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웰들 중 동일한 제 1 항체 역가를 가지는 둘 이상의 웰들은 제 1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이고, 상기 제 1 항체 역가와는 상이한 항체 역가를 가지는 둘 이상의 웰들은 제 2 양성대조군이며, 상기 제 1 양성대조군 및 제 2 양성대조군과의 비교를 위한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이 상기 진단용 슬라이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의 분석에서는, 동일한 항체 역가를 갖는 양성대조군에서 측정된 상기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의 형광 강도(intensity) 피크(peak)값을 평균하여 상기 질병의 양성 또는 음성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값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에는 쯔쯔가무시증이 포함되는 것인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모닉 나노 구조는 상기 웰 상에서 복수개의 금속들이 이용되어 형성된 합금 나노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
  6.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슬라이드에는 플라즈모닉 나노 구조가 형성된 복수개의 웰(well)들이 포함되고
    상기 복수개의 웰들 중 동일한 제 1 항체 역가를 가지는 둘 이상의 웰들은 제 1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이고, 상기 제 1 항체 역가와는 상이한 항체 역가를 가지는 둘 이상의 웰들은 제 2 양성대조군이며, 상기 제 1 양성대조군 및 제 2 양성대조군과의 비교를 위한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이 상기 진단용 슬라이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슬라이드에는 항체의 역가 수준을 나타낸 역가표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에는 쯔쯔가무시증이 포함되는 것인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모닉 나노 구조는 상기 웰 상에서 복수개의 금속들이 이용되어 형성된 합금 나노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는 유리, 실리콘, 종이,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를 이용한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의 분석에서는 플루오레세인(fluorescein), 플루오레세인이소티오시안산염(fluorescein isothiocyanate), 콩고 레드(congo red),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로다민(rhodamine), 크리스털 바이올렛(crystal violet), 톨루이딘 블루(toluidine blue) 중 어느 하나가 형광물질 또는 라만신호 표지자로써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
KR1020170100555A 2017-08-08 2017-08-08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 KR102127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555A KR102127146B1 (ko) 2017-08-08 2017-08-08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
PCT/KR2018/008949 WO2019031807A2 (ko) 2017-08-08 2018-08-07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 방법 및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555A KR102127146B1 (ko) 2017-08-08 2017-08-08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387A true KR20190016387A (ko) 2019-02-18
KR102127146B1 KR102127146B1 (ko) 2020-06-26

Family

ID=65272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555A KR102127146B1 (ko) 2017-08-08 2017-08-08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7146B1 (ko)
WO (1) WO201903180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635A1 (ko) * 2022-02-08 2023-08-1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머신 러닝 기반 라만 분광 분석을 이용한 염증 질환 분류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781B1 (ko) * 2020-11-30 2022-08-22 한국과학기술원 초박형 하이드로젤 스킨 3d 플라즈모닉 복합 구조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0679A (ja) * 1999-07-16 2010-10-14 William Marsh Rice Univ 生体感知用途のための金属微細シェル
KR20120087051A (ko) 2011-01-27 2012-08-06 주식회사 사이언스앳홈 표면 증강 라만 산란 입자 및 광학 이미징 기술을 이용한 질병진단
US20130023435A1 (en) * 2009-12-22 2013-01-24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Sers-based analyte detection
WO2013066986A1 (en) * 2011-10-31 2013-05-10 Puget Sound Blood Genter Antibody response phenotyping
KR20130095393A (ko) * 2012-02-20 2013-08-28 대한민국(관리부서 질병관리본부장) 간접면역형광항체법에 의한 레지오넬라증 진단용 항원슬라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다가 항원슬라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0679A (ja) * 1999-07-16 2010-10-14 William Marsh Rice Univ 生体感知用途のための金属微細シェル
US20130023435A1 (en) * 2009-12-22 2013-01-24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Sers-based analyte detection
KR20120087051A (ko) 2011-01-27 2012-08-06 주식회사 사이언스앳홈 표면 증강 라만 산란 입자 및 광학 이미징 기술을 이용한 질병진단
WO2013066986A1 (en) * 2011-10-31 2013-05-10 Puget Sound Blood Genter Antibody response phenotyping
KR20130095393A (ko) * 2012-02-20 2013-08-28 대한민국(관리부서 질병관리본부장) 간접면역형광항체법에 의한 레지오넬라증 진단용 항원슬라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다가 항원슬라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635A1 (ko) * 2022-02-08 2023-08-1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머신 러닝 기반 라만 분광 분석을 이용한 염증 질환 분류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1807A2 (ko) 2019-02-14
WO2019031807A3 (ko) 2019-05-09
KR102127146B1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0012B2 (ja) 診断装置および方法
Wood et al. Validation of cell‐based fluorescence assays: practice guidelines from the ICSH and ICCS–part V–assay performance criteria
CN102047114B (zh) 在成分检验中的自校准梯度稀释以及在薄膜样本中执行的梯度稀释设备
US20220389523A1 (en) Image acquisition methods for simultaneously detecting genetic rearrangement and nuclear morphology
US9097712B2 (en) Flow-through cell counting assay
Chan et al. Cellometer vision as an alternative to flow cytometry for cell cycle analysis, mitochondrial potential, and immunophenotyping
UA124522C2 (uk) Спосіб кількісної оцінки рівнів простатичного антигену
Cooper et al. Azoospermia: virtual reality or possible to quantify?
Du et al. The evolution of guidelines for the validation of flow cytometric methods
KR102127146B1 (ko) 플라즈모닉 효과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질병 진단용 슬라이드
JP2014530594A5 (ko)
Xiao et al. CD8 cell counting in whole blood by a paper-based time-resolved fluorescence lateral flow immunoassay
Kimbi et al. Asymptomatic malaria in school children and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Partec Cyscope® in the Mount Cameroon Region
Sheng et al.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agglutination based on the automatic hematology analyzer an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erythrocyte-specific antibody
Yamamoto et al. Development of a highly sensitive, quantitative, and rapid detection system for Plasmodium falciparum-infected red blood cells using a fluorescent blue-ray optical system
Mehta et al. Laboratory Diagnosis Of Malaria-Various Method And It's Comparision.
US20140275292A1 (en)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human stem cell markers for detec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circulating tumor cells
TORLAKOVIC et al. Quality Assurance in Immunohistochemistry in the Age of Precision Medicine
US20120264109A1 (en) Lymphocyte analysis for monitoring the progression of immunodeficiency virus
Barakauskas et al. Detecting IgA deficiency during anti-tissue transglutaminase (tTG) testing
Matovu et al. Field evaluation of LED fluorescence microscopy for demonstration of Trypanosoma brucei rhodesiense in patient blood
JP2023015426A (ja) マラリア検査方法及びマラリア検査装置
EP3317647B1 (en) Time and space digitally resolved quantification of luminescent targets
Campton et al. Analytic validation of an assay to detect androgen receptor splice variant ARv7 protein expression on circulating tumor cells from prostate cancer patients
Hertzog et al. ANTIBODY TITER ASSESSMENT BY IMAGE CYTOME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