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692A -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692A
KR20190014692A KR1020170098468A KR20170098468A KR20190014692A KR 20190014692 A KR20190014692 A KR 20190014692A KR 1020170098468 A KR1020170098468 A KR 1020170098468A KR 20170098468 A KR20170098468 A KR 20170098468A KR 20190014692 A KR20190014692 A KR 20190014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line
side portion
lid
packaging box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6451B1 (ko
Inventor
김동호
박윤미
모국진
Original Assignee
김동호
모국진
박윤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호, 모국진, 박윤미 filed Critical 김동호
Priority to KR1020170098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45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에 관한 발명으로, 측면부를 구획하는 측부 절곡선의 형상이,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양 단부에 형성되고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지니면서 기울어진 한 쌍의 사이드부를 포함하여 측부 절곡선을 기준으로 양쪽의 측면부의 접힘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전개된 상태의 포장상자의 조립 시,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측면부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FOLDABLE PACKAGING BOX}
본 발명은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부를 구획하는 측부 절곡선의 형상이,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양 단부에 형성되고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지니면서 기울어진 한 쌍의 사이드부를 포함하여 측부 절곡선을 기준으로 양쪽의 측면부의 접힘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전개된 상태의 포장상자의 조립 시,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측면부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개된 포장상자를 접는 경우, 측면부를 구분하는 접힘선을 따라서 측면부를 접게 된다. 종래의 접힘선의 형상은 확대하여 보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홈이 파여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종래의 접힘선을 따라서 측면부를 접는 경우, 접힘선을 따라서 정확히 접지 못하고, 접힘선에서 어긋나게 접어 완성 시 측면부의 모양이 고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완성된 포장상자를 바닥에 세울 경우, 모양이 삐뚤어져 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측면부의 재질이 종이가 아닌 흔히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의 경우, 폴리에틸렌 고유의 강성으로 인해 종이처럼 원활하게 접혀지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접힘선을 따라서 폴리에틸렌 재질의 측면부를 접는 경우 불필요하게 많은 힘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억지로 힘을 주어 측면부를 접는 과정에서, 측면부가 휘게 되어 직육면체 형태의 포장상자를 완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에 관한 발명으로, 측면부를 구획하는 측부 절곡선의 형상이,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양 단부에 형성되고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지니면서 기울어진 사이드부를 포함하여 측부 절곡선을 기준으로 양쪽의 측면부의 접힘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전개된 상태의 포장상자의 조립 시 사용자가 측면부를 접는데 큰 힘을 들이지 않게 하여 포장상자의 조립 시간을 단축하게 하고, 휨 형상이 없는 올바른 형태의 포장상자를 완성시키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는 사각형 형상의 제1 측면부, 제1 측면부의 우측에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면부, 제2 측면부의 우측에 연장 형성되는 제3 측면부, 제3 측면부의 우측에 연장 형성되는 제4 측면부, 제1 측면부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1 덮개부, 제2 측면부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2 덮개부, 제3 측면부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3 덮개부, 제4 측면부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4 덮개부, 제1 측면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1 바닥부, 제2 측면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2 바닥부, 제3 측면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3 바닥부, 제4 측면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4 바닥부,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를 길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1 측부 절곡선, 제2 측면부와 제3 측면부를 길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2 측부 절곡선, 제3 측면부와 제4 측면부를 길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3 측부 절곡선을 포함하는 측부 절곡선, 제1 측면부와 제1 덮개부를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1 상부 절곡선, 제2 측면부와 제2 덮개부를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2 상부 절곡선, 제3 측면부와 제3 덮개부를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3 상부 절곡선, 제4 측면부와 제4 덮개부를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4 상부 절곡선을 포함하는 상부 절곡선 및 제1 측면부와 제1 바닥부를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1 하부 절곡선, 제2 측면부와 제2 바닥부를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2 하부 절곡선, 제3 측면부와 제3 바닥부를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3 하부 절곡선, 제4 측면부와 제4 바닥부를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4 하부 절곡선을 포함하는 하부 절곡선을 포함하고, 측부 절곡선은, 절곡 베이스부 및 절곡 베이스부의 양 단부에서 절곡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의 소정의 각도는 45°초과 90°미만의 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의 상부 절곡선의 형상은 상면의 일부가 개방되고,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의 하부 절곡선의 중심부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되, 하단부가 하부 절곡선과 평행한 돌출부가 형성되고, 바닥부는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절단되어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는 제1 측면부의 좌측에 연장 형성되는 제5 측면부를 포함하고, 제5 측면부는 제4 측면부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측부 절곡선이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양단부에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서로 마주보도록 기울어지는 한 쌍의 사이드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인해, 측면부의 접힘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포장상자를 조립할 때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측면부를 접을 수 있다. 또한, 포장상자를 접는 시간을 단축하여 업무 효율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상부 절곡선이 상면이 개방되고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인바, 덮개부의 접힘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포장상자를 조립할 때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덮개부를 접을 수 있다. 또한, 측부 절곡선과는 달리 덮개부가 함몰되지 않아 소비자가 손쉽게 덮개부를 해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걸림부가 제1 슬릿에 삽입되어 관통 가능하고, 제1 덮개부 상부면이 제2 슬릿에 삽입되어 관통 가능한 구조로 인해, 덮개부의 조립의 고정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고, 사용자가 손쉽게 덮개부를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돌출부의 구성으로 인해, 조립된 포장상자가 바닥이나 특정 평면에서 넘어지는 확률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돌출부를 단열부재로 구성하여, 포장상자의 내구성을 증대시킨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전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측부 절곡선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상부 절곡선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하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전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는 크게 측면부(100), 덮개부(200), 바닥부(300), 상부 절곡선(400), 하부 절곡선(500) 및 측부 절곡선(600)을 포함한다.
측면부(100)는 제1 측면부(110), 제2 측면부(120), 제3 측면부(130), 제4 측면부(140) 및 제5 측면부(1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부(100)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세로 방향이며,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이다.
제1 측면부(110), 제2 측면부(120), 제3 측면부(130) 및 제4 측면부(140)는 도 2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1 측면부(110) 및 제3 측면부(130)가 동일한 형상이고, 제2 측면부(120) 및 제4 측면부(140)가 동일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1 측면부(110) 및 제3 측면부(130)가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고, 제2 측면부(120) 및 제4 측면부(140)가 서로 마주보게 위치된다.
제5 측면부(150)는 제1 측면부(110)의 좌측에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 측면부(150)는 제1 측면부(110) 내지 제4 측면부(140)가 접혀 도 1과 같이 직육면체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을 때, 제4 측면부(140)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제5 측면부(150)의 표면에 접착성 있는 소재를 도포하게 되면, 접착성 있는 소재가 제5 측면부(150)와 동시에 제4 측면부(140)에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5 측면부(150)는 제1 측면부(110)와 제4 측면부(140)를 지지 및 고정하게 되고, 이로 인해 포장상자의 흔들림이 적어져 직육면체 상자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덮개부(200)는 제1 덮개부(210), 제2 덮개부(220), 제3 덮개부(230) 및 제4 덮개부(2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덮개부(210)는 제1 측면부(11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며, 제2 덮개부(220)는 제2 측면부(12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며, 제3 덮개부(230)는 제3 측면부(13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며, 제4 덮개부(240)는 제4 측면부(14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된다. 제2 덮개부(220) 및 제4 덮개부(240)의 형상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덮개부(210) 및 제3 덮개부(230)의 형상은 상이하며, 제1 덮개부(210) 및 제3 덮개부(230)의 상세한 형상은 후술하도록 한다.
바닥부(300)는 제1 바닥부(310), 제2 바닥부(320), 제3 바닥부(330) 및 제4 바닥부(340)를 포함한다. 제1 바닥부(310)는 제1 측면부(11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제2 바닥부(320)는 제2 측면부(12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제3 바닥부(330)는 제3 측면부(13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제4 바닥부(340)는 제4 측면부(14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다.
제1 바닥부(310) 및 제3 바닥부(330)의 형상이 동일하고, 제2 바닥부(320) 및 제4 바닥부(340)의 형상이 동일하다. 이로 인해, 제1 바닥부(310) 및 제3 바닥부(330)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제2 바닥부(320) 및 제4 바닥부(340)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측부 절곡선(600)은 제1 측부 절곡선(610), 제2 측부 절곡선(620), 제3 측부 절곡선(630) 및 제4 측부 절곡선(640)을 포함한다. 절곡선(6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특히 제1 측부 절곡선(610)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측부 절곡선(610)은 제1 측면부(110) 및 제2 측면부(120)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측면부(110) 및 제2 측면부(120)를 길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측부 절곡선(610)으로 인해, 제1 측면부(110) 및 제2 측면부(120)는 제1 측부 절곡선(610)을 기준으로 좌, 우로 접힐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원리로, 제2 측부 절곡선(620)은 제2 측면부(120) 및 제3 측면부(130)를 길이 방향으로 구획하고, 제3 측부 절곡선(630)은 제3 측면부(130) 및 제4 측면부(140)를 길이 방향으로 구획하고, 제4 측부 절곡선(640)은 제1 측면부(110) 및 제5 측면부(150)를 구획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측부 절곡선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측부 절곡선(600)의 형상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서는 일 예로 제1 측부 절곡선(610)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며, 이하 제2 측부 절곡선(620) 내지 제4 측부 절곡선(640) 모두 제1 측부 절곡선(610)과 동일하다.
제1 측부 절곡선(610)은 베이스부(611) 및 사이드부(612)를 포함한다. 베이스부(611)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판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611)의 양 단부에는 한 쌍의 사이드부(612)가 각각 연장 형성된다. 사이드부(612) 또한 베이스부(611)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지니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판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사이드부(612)는 서로 마주보면서 베이스부(611)에서 연장 형성된다.
사이드부(612)의 상부에는 측면부(100)가 연장 형성된다. 도 3을 기준으로, 좌측 사이드부(612)의 상부에는 제1 측면부(110)가 연장 형성되고, 우측 사이드부(612)의 상부에는 제2 측면부(120)가 연장 형성된다.
사이드부(612)는 베이스부(611)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지니면서 기울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사이드부(612)는 베이스부(611)를 기준으로 'θ'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사이드부(612) 사이에는 공간(613)이 형성된다.
이때, 소정의 각도는 45°초과 90°미만의 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 쌍의 사이드부(612)는 서로를 마주 보는 방향으로 베이스부(611)를 향하여 기울어지게 된다.
종래에는 도 2와 같이 펼쳐진 포장상자를 접는 경우, 일반적으로 측면부를 구분하는 접힘선을 따라서 측면부를 접게 된다. 종래의 접힘선의 형상은 확대하여 보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홈이 파여있는 것이 일반적이였다. 그러나 사용자가 종래의 접힘선을 따라서 측면부를 접는 경우, 접힘선을 따라서 정확히 접지 못하고, 선에서 어긋나게 접어 완성 시 측면부의 모양이 고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측면부의 재질이 종이가 아닌 흔히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의 경우, 폴리에틸렌 고유의 강성으로 인해 종이처럼 원활하게 접혀지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접힘선을 따라서 폴리에틸렌 재질의 측면부를 접는 경우 불필요하게 많은 힘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억지로 힘을 주어 측면부를 접는 과정에서, 측면부가 휘게 되어 직육면체 형태의 포장상자를 완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에 의하면, 사이드부(612)가 베이스부(611)를 향하여 안으로 기울어지므로, 사이드부(612)와 결합된 측면부(100) 또한 베이스부(611)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도 3의 화살표 방향을 참조하면, 제1 측면부(110) 및 제2 측면부(120)는 제1 측부 절곡선(610)의 베이스부(611)의 중심부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포장상자의 형태를 완성하기 위해 제1 측면부(110) 및 제2 측면부(120)를 제1 측부 절곡선(610)을 기준으로 접는 경우, 이미 제1 측면부(110) 및 제2 측면부(120)는 제1 측부 절곡선(610)의 중심부를 향하여 힘을 받고 있으므로, 종래의 경우보다 사용자가 적은 힘을 들이면서 수월하게 접을 수 있다.
또한, 측면부가 접혀 고정될 때, 종래의 경우에는 접힘 상태를 유지하는 힘이 부족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각 측면부가 서로 벌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포장상자의 형태가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측면부(110) 및 제2 측면부(120)가 접혀 고정될 때에도 한 쌍의 사이드부(612)가 45°초과 90°미만의 범위이므로 서로 벌어지는 방향이 아닌, 서로 마주보도록 기울어져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측면부(110) 및 제2 측면부(120)가 해당 위치에서의 고정력이 종래의 경우보다 상승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소정의 각도가 0°이상 45°이하인 경우를 살펴본다. 소정의 각도가 0°인 경우에는, 한 쌍의 사이드부(612)가 베이스부(611)와 각도를 이루지 못하고 붙어버리게 되므로, 접힘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지 못한다. 또한, 45°인 경우에는, 한 쌍의 사이드부(612)가 베이스부(611)와 평행하게 된다. 45°초과 90°미만의 범위인 경우에는 한 쌍의 사이드부(612)가 베이스부(611)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기울어져 접힘이 용이하게 될 수 있으나, 평행일 경우 서로 마주보도록 기울어질 수 없기 때문에, 접힘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지 못한다.
또한, 90°이상인 경우를 살펴본다. 90°이상인 경우, 한 쌍의 사이드부(612)가 베이스부(611)를 중심으로 서로 벌어지는 형상이 되므로, 오히려 측면부(100)를 접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접힘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지 못한다.
따라서, 소정의 각도는 45°초과 90°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최적의 각도는 67.5°인 것이 바람직하다. 67.5°는 45°와 90°의 중간 각도이다. 45°에 치우칠수록 측면부(100)를 접는데 힘이 적게 드나, 전개도 상태에서의 고정 안정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90°에 치우칠수록 전개도 상태에서의 고정 안정성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으나, 측면부(100)를 접는데 힘이 많이 들게 된다. 따라서, 양 장점의 중간 지점인 67.5°를 최적의 각도로 선정함으로써, 포장상자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게 된다.
하부 절곡선(500) 또한 측부 절곡선(600)의 형상과 동일하며, 그 기능 및 효과가 동일하다.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부 절곡선(400)은 제1 상부 절곡선(410), 제2 상부 절곡선(420), 제3 상부 절곡선(430) 및 제4 상부 절곡선(440)을 포함한다. 상부 절곡선(400)은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특히, 제1 상부 절곡선(410)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상부 절곡선(410)은 제1 측면부(110)와 제1 덮개부(210)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측면부(110)와 제1 덮개부(210)를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상부 절곡선(410)으로 인해, 제1 측면부(110)와 제1 덮개부(210)는 제1 상부 절곡선(410)을 기준으로 상, 하로 접힐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원리로, 제2 상부 절곡선(420)은 제2 측면부(120) 및 제2 덮개부(220)를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획하고, 제3 상부 절곡선(430)은 제3 측면부(130) 및 제3 덮개부(230)를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획하고, 제4 상부 절곡선(440)은 제4 측면부(140) 및 제4 덮개부(240)를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획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상부 절곡선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부 절곡선(400)의 형상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서는 일 예로 제1 상부 절곡선(410)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며, 이하 제2 상부 절곡선(420) 내지 제4 상수 절곡선(440) 모두 제1 상부 절곡선(410)과 동일하다.
제1 상부 절곡선(410)은 도 4의 확대도와 같이, 상면의 일부가 개방되고, 중공부(411)가 형성된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상부 절곡선(410)은 소정의 반지름(r)을 지닌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상부 절곡선(410)의 일단부는 제1 덮개부(210) 중 제1 덮개부 하부면(211)이 연장 형성되고, 제1 상부 절곡선(410)의 타단부는 제1 측면부(110)가 연장 형성된다.
포장상자를 접는 경우, 상부 절곡선(400)을 기준으로 덮개부(200)를 내측 방향으로 접게 된다. 측부 절곡선(600)과 같은 원리로, 상부 절곡선(400)을 기준으로 덮개부(200) 및 측면부(100)는 원통 형상의 상부 절곡선(400)으로 인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는 구조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덮개부(200) 및 측면부(100)를 접을 때 종래의 경우보다 사용자가 적은 힘을 들이면서 수월하게 접을 수 있다
이때, 접힙선이 상부 절곡선(400)이 아닌 측면부(100)에 형성되는 측부 절곡선(600) 형상이라면, 덮개부(200)는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접히게 되므로 중력으로 인해 덮개부(200)가 함몰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소비자가 포장상자 내부의 물건을 확인하기 위해 덮개부(200)를 해체하는 경우, 덮개부(200) 함몰되어 있어 해제하는데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부 절곡선(400)의 형상이 상면의 일부가 개방되고, 중공부(411)가 형성된 원통 형상이라면, 접힘선의 측면이 소위 말하는 '커브드' 형상이게 된다. 이로 인해, 덮개부(200)를 접어 포장상자의 형태를 완성한 경우, 덮개부(200)가 측면부(100)의 수직되는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상승되어 뜨는 형상이 된다. 따라서, 소비자가 포장상자 내부의 물건을 확인하기 위해 덮개부(200)를 해체하는 경우, 덮개부(200)가 상승되어 있으므로 손쉽게 해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를 접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를 접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측면부(110) 내지 제5 측면부(150)를 측부 절곡선(600)을 기준으로 90°각도로 접는다. 이후, 제5 측면부(150)를 제4 측면부(140)에 맞닿게 하면, 제5 측면부(150)에 도포된 접착 소재의 성질로 인해 제5 측면부(150)가 제4 측면부(140)와 밀착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직육면체 형상의 포장상자의 기본 틀을 형성하게 된다.
제1 덮개부(210)는 제1 덮개부 하부면(211) 및 제1 덮개부 상부면(212)을 포함한다. 도 2의 분해도를 참조하면, 제1 덮개부 하부면(211)은 제1 상부 절곡선(41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제1 덮개부 하부면(211)의 상부에는 제1 덮개부 상부면(212)이 연장 형성된다. 제1 덮개부 상부면(212)은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품 진열대의 고리에 원활히 삽입되게 하기 위함이다.
제1 측면부(110)의 상부의 일 지점에는 제1 슬릿(1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슬릿(112)은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제3 덮개부 상부면(232)에 형성된 걸림부(2321)가 삽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슬릿(112)에 걸림부(2321)가 삽입되는 과정은 도 7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제3 덮개부(230)는 제3 덮개부 하부면(231) 및 제3 덮개부 상부면(232)을 포함한다. 제3 덮개부 하부면(231)은 제3 측면부(130)의 상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제3 덮개부 상부면(232)은 제3 덮개부 하부면(231)의 상부에서 연장 형성된다.
제3 덮개부 하부면(231)의 중심부의 일 지점에는 제2 슬릿(23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슬릿(2311)은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덮개부 상부면(212)이 삽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덮개부 상부면(212)이 제2 슬릿(2311)에 삽입되는 과정은 도 6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제3 덮개부 상부면(212)의 중심부의 일 지점에는 걸림부(2321)가 형성된다. 걸림부(2321)의 형상은 좌, 우가 대칭되는 사다리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부(2321)가 소정의 각도로 틸팅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걸림부(2321)의 형상을 따라 제3 덮개부 상부면(212)에는 걸림부 절단선(232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2 덮개부(220) 및 제4 덮개부(240)가 포장상자 내부의 중공부를 향하도록 제2 상부 절곡선(420) 및 제4 상부 절곡선(440)을 기준으로 90°각도로 접는다.
이후, 제1 덮개부(210)를 제1 상부 절곡선(410)을 따라 일부 접고, 제3 덮개부(230)를 제3 상부 절곡선(430)을 따라 일부 접은 다음, 제1 덮개부 상부면(212)을 제2 슬릿(2311)에 삽입한다. 이때, 제1 덮개부 상부면(212) 만이 제2 슬릿(2311)에 삽입되어 관통하고, 제1 덮개부 하부면(211)은 관통할 수 없도록, 제2 슬릿(2311)의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의 폭은, 제1 덮개부 상부면(212)의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의 폭보다 크고, 제1 덮개부 하부면(211)의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 덮개부(210)와 제3 덮개부(230)가 결합되게 된다.
종래의 포장상자를 접는 경우에는, 4개의 덮개부를 한번에 접어 덮개부를 결합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덮개부를 접는데 큰 불편함을 야기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에 의하면, 제2 덮개부(220) 및 제4 덮개부(240)의 접힘 형태를 제1 덮개부(210) 및 제3 덮개부(230)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누르고 있으므로, 제1 덮개부(210)를 제2 슬릿(2311)에 삽입하는 과정만으로 손쉽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덮개부 상부면(212)에 제2 슬릿(2311)에 완전히 삽입되어 관통된 상태에서, 제1 덮개부(210) 및 제3 덮개부(230)를 포장상자의 중공부를 향하도록 제1 상부 절곡선(410) 및 제3 상부 절곡선(430)을 따라 90°각도로 접는다.
이후, 걸림부(2321)가 걸림부 절단선(2321a)에서 이탈되게 하도록 도 7과 같이 제3 덮개부(230)의 단부를 휘게 한다. 이때, 걸림부(2321)는 걸림부 절단선(2321a)을 따라서는 개방되어 있으나, 양단부가 제3 덮개부(230)에 구속되어 있으므로 틸팅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걸림부(2321)를 제1 슬릿(112)에 완전히 삽입되어 관통하게 되면, 걸림부(2321)는 제1 측면부(110)의 상단부와 제1 슬릿(112)의 사이의 면적에 밀착되게 된다. 걸림부(2321)의 양단부가 제3 덮개부(230)에 구속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걸림부(2321)가 제3 덮개부(230)를 제1 측면부(110)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발생하게 되고, 제3 덮개부(230)와 제1 측면부(110)가 고정된다.
따라서, 제1 덮개부 상부면(212)이 제3 덮개부(230)의 제2 슬릿(2311)에 삽입되어 1차적으로 결합이 되고, 제3 덮개부(230)의 걸림부(2321)가 제1 측면부(110)의 제1 슬릿(112)에 삽입되어 2차적으로 결합이 된다. 이로 인해, 덮개부(200)의 조립이 견고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걸림부(2321)를 제1 슬릿(112)으로부터 탈거시키는 과정만으로 덮개부(200)를 열 수 있으므로, 소비자가 손쉽게 포장상자를 해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돌출부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측면부(100)의 하단부의 중심부에는 바닥부(300)를 향하여 돌출된 직사각형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제1 측면부(110)의 하부에는 제1 돌출부(111), 제2 측면부(120)의 하부에는 제2 돌출부(121), 제3 측면부(130)의 하부에는 제3 돌출부(131), 제4 측면부(140)의 하부에는 제4 돌출부(141)가 형성된다.
이때, 하부 절곡선(500)은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되어 절개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하부 절곡선(510)에는 제1 오목부(511), 제2 하부 절곡선(520)에는 제2 오목부(521), 제3 하부 절곡선(530)에는 제3 오목부(531), 제4 하부 절곡선(540)에는 제4 오목부(5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사용자가 바닥부(300)를 하부 절곡선(500)을 따라서 접게 되면, 돌출부 모두가 바닥부(300)를 기준으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된다.
종래의 경우에는 돌출부의 구성이 없어 바닥부만 존재하게 된다. 이때, 바닥부는 제1 바닥부 내지 제4 바닥부의 겹침으로 바닥부를 구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바닥부가 완전한 평면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로 인해 포장상자를 바닥이나 특정 평면에 세워둘 경우, 조금만 건드려도 넘어져 전시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돌출부에 따르면, 제1 돌출부(11) 내지 제4 돌출부(141)가 12시, 3시, 6시 및 9시 방향에 위치되어 포장상자 전체를 지지하게 되고, 돌출부의 형상은 사각형인 바, 하단부가 평면과 평행하게 된다. 이로 인해, 포장상자가 바닥이나 특정 평면에서 넘어지는 확률을 낮춰주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돌출부는 단열부재일 수 있다. 포장상자에서 바닥 또는 특정 평면과 맞닿는 부분은 돌출부가 유일하므로, 돌출부가 단열부재라면, 외부 환경으로부터 포장 상자 내부의 물질을 보호할 수 있다. 예컨대, 내부의 물질은 열에 약한 물질일 수 있다.
이때, 단열부재는 하기의 화학식 1 내지 5로 이루어진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R1, R2는 C1 내지 C10의 알킬기 또는 H이고, R3는 C1 내지 C13의 알킬기 또는 H이고, n은 2 이상인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R1, R2는 C1 내지 C10의 알킬기 또는 H이고, R3는 C1 내지 C13의 알킬기 또는 H이고, n은 2 이상인 정수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R1, R2는 C1 내지 C10의 알킬기 또는 H이고, R3는 C1 내지 C13의 알킬기 또는 H이고, n은 2 이상인 정수이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R1, R2는 C1 내지 C10의 알킬기 또는 H이고, R3는 C1 내지 C13의 알킬기 또는 H이고, n은 2 이상인 정수이다)
[화학식 5]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R1, R2 및 R3는 C1 내지 C10의 알킬기 또는 H이고, R4는 C1 내지 C13의 알킬기 또는 H이고, n은 2 이상인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 내지 5로 이루어진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단열부재를 제조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볍고, 일반적인 저항형 단열재에 비하여 단열성이 더 우수한 특징을 가진다. 특히 내구성이 우수하여 외력에 의한 변형이 적은 장점으로 가진다. 따라서 이를 사용한 포장상자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상술한 단열부재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하기의 실험은 상기 단열부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시일 뿐,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제조예]
하기의 표 1과 같이 스티로폼(발포 스타이렌(發泡styrene) 수지)을 사용한 비교예 1과 화학식 1 내지 5로 표시되는 단열부재를 동일한 두께와 크기로 제조하여 하기의 실시예 1 내지 5를 준비하였다.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재료 스티로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열재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열재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열재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단열재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단열재
[실험예 1: 내구성 및 단열성 실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내구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상기 단열부재에 동일한 질량과 형상을 가진 쇠구슬을 동일한 높이에서 낙하시켜 동일한 강도의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고, 그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의 변형정도를 관찰하여 그 값을 1 내지 10 등급으로 분류하여 나타내었다. 비교예를 5등급으로 하여 기준으로 삼았으며, 상기 등급은 수치가 클 수록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단열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단열성 평가로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 이루어진 밀폐상자를 구비하고, 그 안에 35℃, 그 밖을 -10℃로 유지한 뒤 밀폐상자 내부온도가 외기 온도의 차이가 절반이 되는데 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하여 그 값을 1 내지 10의 등급으로 분류하여 나타내였다. 비교예를 5등급으로 하여 기준으로 삼았으며, 상기 등급은 수치가 클수록 단열성이 우수한 것이다.
위 실험은 10회씩 반복하였으며, 그 평균 값을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내구성 5 7.8 6.8 8.8 7.7 8.1
단열성 5 7.9 8.8 7.1 8.1 8.9
(단위 : 지수)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5에 의하는 경우 일반 스티로폼인 비교예 1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그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단열성이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5의 경우 내구성 및 단열성이 고르게 높아 이를 사용하는 경우 단열부재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단열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5로 이루어진 단열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내구성이 우수하고, 단열효과가 높은 돌출부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입력부 110…제1 측면부
111…제1 돌출부 112…제1 슬릿
120…제2 측면부 121…제2 돌출부
130…제3 측면부 131…제3 돌출부
140…제4 측면부 141…제4 돌출부
150…제5 측면부 200…덮개부
210…제1 덮개부 212…제1 덮개부 상부면
211…제1 덮개부 하부면 220…제2 덮개부
230…제3 덮개부 232…제3 덮개부 상부면
231…제3 덮개부 하부면 2321…걸림부
2321a…걸림부 절단선 2311…제2 슬릿
300…바닥부 310…제1 바닥부
320…제2 바닥부 330…제3 바닥부
340…제4 바닥부 400…상부 절곡선
410…제1 상부 절곡선 411…중공부
420…제2 상부 절곡선 430…제3 상부 절곡선
440…제4 상부 절곡선 500…하부 절곡선
510…제1 하부 절곡선 511…제1 오목부
520…제2 하부 절곡선 521…제2 오목부
530…제3 하부 절곡선 531…제3 오목부
540…제4 하부 절곡선 541…제4 오목부
600…측부 절곡선 610…제1 측부 절곡선
611…베이스부 612…사이드부
620…제2 측부 절곡선 630…제3 측부 절곡선
640…제4 측부 절곡선

Claims (5)

  1. 사각형 형상의 제1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의 우측에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면부;
    상기 제2 측면부의 우측에 연장 형성되는 제3 측면부;
    상기 제3 측면부의 우측에 연장 형성되는 제4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1 덮개부;
    상기 제2 측면부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2 덮개부;
    상기 제3 측면부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3 덮개부;
    상기 제4 측면부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4 덮개부;
    상기 제1 측면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1 바닥부;
    상기 제2 측면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2 바닥부;
    상기 제3 측면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3 바닥부;
    상기 제4 측면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4 바닥부;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를 길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1 측부 절곡선, 상기 제2 측면부와 상기 제3 측면부를 길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2 측부 절곡선, 상기 제3 측면부와 상기 제4 측면부를 길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3 측부 절곡선을 포함하는 측부 절곡선;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1 덮개부를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1 상부 절곡선, 상기 제2 측면부와 상기 제2 덮개부를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2 상부 절곡선, 상기 제3 측면부와 상기 제3 덮개부를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3 상부 절곡선, 상기 제4 측면부와 상기 제4 덮개부를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4 상부 절곡선을 포함하는 상부 절곡선; 및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1 바닥부를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1 하부 절곡선, 상기 제2 측면부와 상기 제2 바닥부를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2 하부 절곡선, 상기 제3 측면부와 상기 제3 바닥부를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3 하부 절곡선, 상기 제4 측면부와 상기 제4 바닥부를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4 하부 절곡선을 포함하는 하부 절곡선;을 포함하고,
    상기 측부 절곡선은,
    절곡 베이스부 및 상기 절곡 베이스부의 양 단부에서 상기 절곡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부를 포함하는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45°초과 90°미만의 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절곡선의 형상은,
    상면의 일부가 개방되고,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절곡선의 중심부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되, 하단부가 상기 하부 절곡선과 평행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절단되어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의 좌측에 연장 형성되는 제5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 측면부는 상기 제4 측면부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
KR1020170098468A 2017-08-03 2017-08-03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 KR101976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468A KR101976451B1 (ko) 2017-08-03 2017-08-03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468A KR101976451B1 (ko) 2017-08-03 2017-08-03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692A true KR20190014692A (ko) 2019-02-13
KR101976451B1 KR101976451B1 (ko) 2019-05-09

Family

ID=65366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468A KR101976451B1 (ko) 2017-08-03 2017-08-03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4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331B1 (ko) * 2019-08-14 2021-02-22 (주)애니팩 포장재 가공장치
KR20210066385A (ko) * 2019-11-28 2021-06-07 박항아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1715U (ja) * 1982-09-28 1984-04-05 ライオン株式会社 段ボ−ル箱
KR840001660Y1 (ko) * 1979-12-26 1984-09-13 유니온 카바이드 코퍼레이션 넓게 접혀지는 힌지
JPH0332027U (ko) * 1989-08-05 1991-03-28
JPH0526814U (ja) * 1991-03-15 1993-04-06 石塚株式会社 収納ケース
JP2001199429A (ja) * 1999-11-22 2001-07-2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材料が弱体化した部分を有する包装素材
US20030104916A1 (en) * 2001-12-03 2003-06-05 Kunitsugu Suzuki Plastic sheet having creasing lines and creasing-line-forming blade for plastic sheet
US20060226208A1 (en) * 2002-11-05 2006-10-12 Heinz Focke Hinge-lid packet for cigarette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660Y1 (ko) * 1979-12-26 1984-09-13 유니온 카바이드 코퍼레이션 넓게 접혀지는 힌지
JPS5951715U (ja) * 1982-09-28 1984-04-05 ライオン株式会社 段ボ−ル箱
JPH0332027U (ko) * 1989-08-05 1991-03-28
JPH0526814U (ja) * 1991-03-15 1993-04-06 石塚株式会社 収納ケース
JP2001199429A (ja) * 1999-11-22 2001-07-2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材料が弱体化した部分を有する包装素材
US20030104916A1 (en) * 2001-12-03 2003-06-05 Kunitsugu Suzuki Plastic sheet having creasing lines and creasing-line-forming blade for plastic sheet
US20060226208A1 (en) * 2002-11-05 2006-10-12 Heinz Focke Hinge-lid packet for cigarett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331B1 (ko) * 2019-08-14 2021-02-22 (주)애니팩 포장재 가공장치
KR20210066385A (ko) * 2019-11-28 2021-06-07 박항아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451B1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2307B2 (en) Shock-protecting packaging
KR101976451B1 (ko)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
US9656777B2 (en) Stackable container blank, stackable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080067106A1 (en) Packing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forming same
KR101763588B1 (ko) 포장용 종이상자
KR102152413B1 (ko) 조립이 간편한 포장용 박스
JP2015016889A (ja) トレイ型の包装箱
US11661256B2 (en) Packaging system for an appliance
JP2017178340A (ja) トレイ、ブランクシートおよびブランク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90022919A (ko) 포장용 상자
US20120048917A1 (en) Adjustable paper box
JP5935608B2 (ja) 積み重ね可能なキャリーカートン
JP3144988U (ja) 収納箱
KR20150024507A (ko) 접이식 충격흡수 패드가 구비되는 포장박스
JP2014201340A (ja) 構造体
CN219383142U (zh) 一种飞机型包装盒
TWM518675U (zh) 緩衝包裝結構與包裝組件
JP3172815U (ja) 梱包用箱
JP4781387B2 (ja) 段ボール製トレー
JP7322476B2 (ja) 包装ケース
JP2010018337A (ja) 容量可変箱
JP2018008730A (ja) 段ボール製緩衝材
US20060289332A1 (en) Package assembly
JP6599003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梱包体および梱包材
JP2006193165A (ja) 梱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