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660Y1 - 넓게 접혀지는 힌지 - Google Patents

넓게 접혀지는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660Y1
KR840001660Y1 KR2019840006411U KR840006411U KR840001660Y1 KR 840001660 Y1 KR840001660 Y1 KR 840001660Y1 KR 2019840006411 U KR2019840006411 U KR 2019840006411U KR 840006411 U KR840006411 U KR 840006411U KR 840001660 Y1 KR840001660 Y1 KR 8400016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late member
folded
line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6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시스 칸츠 죤
Original Assignee
유니온 카바이드 코퍼레이션
에드워드 지.그리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107,085 external-priority patent/US4268555A/en
Application filed by 유니온 카바이드 코퍼레이션, 에드워드 지.그리어 filed Critical 유니온 카바이드 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19840006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6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6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6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5/00Labelling fabrics or comparable materials or articles with deformable surface, e.g. paper, fabric rolls, stockings,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넓게 접혀지는 힌지
제1도는 제치선을 내기전의 골판지 물질과 제치선 헤드를 도시한 부분 수직 단면도.
제2도는 제치선을 낸 후의 골판지 물질과 제치선 헤드를 도시한 부분 수직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을 실시한 넓게 접혀지는 힌지의 납작하게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을 실시한 넓게 접혀지는 힌지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넓게 접혀지는 힌지를 이용한 골판지 상자와 나무 깔판으로된 콘테이너 조립체의 사시도.
본 고안은 상자, 콘테이너등과 같은 구조체에 사용하기 특히 유용한 판부재로된 넓게 접혀지는 힌지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어, 상자, 콘테이너등과 같은 것을 위한 구조용 골판지는 한 장소에서 제조되어 납작한 상태로 접혀져 물품의 사용장소에 운반되고 그 장소에서 펼쳐져서 사용상태로 조립된다. 이와 같은 물품은 판부재로 형성된 넓게 접혀지는 힌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물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종래의 제치선을 내는 기술은 단일 윤곽(凸형)의 제치선 헤드와 凹형 표면을 필요로 하였다. 골판지는 회전축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제치선 헤드와 凹형 표면 사이에 삽입된다. 이러한 종래의 제치선을 내는 방법에 의하면 판지를 다른판지에 쌓은 경우에 정열시키기가 곤란하며, 또 그 자체를 접어 포개기가 어렵고 저장 및 수송을 위하여 납작한 상태로 접혀질때외 측판의 파열을 초래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주목적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물품이 갖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제치선 판지로 된 넓게 접혀지는 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서 힌지되는 부위에는 판부재를 서로에 고착시켜 이루어진 넓게접혀지는 힌지는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내측면에 단일의 직선 凹형 제치선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판 부재와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측면상에 이중으로 배열된 두쌍의 직선 凹형 제치선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판부재를 구비하고, 외측 제치선 각각은 쌍을 이루는 내측제치선과 사이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이중으로 대향쌍을 형성한 제치선은 내측판부재의 제치선과 사이를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부재들 각각은 두꺼운 골판재료로 형성된 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골판재료는 두꺼운 종이플라스틱 물질(예를들면 폴리에틸렌), 경금속판과 같은 것으로된 평행하게 간격진 라이너판(liner coard) 사이에 종이, 플라스틱 물질, 금속판 또는 복합체, 종이와 플라스틱 물질등의 조합체등으로 형성되어 정현적으로 배열된 내부골판 매체를 끼워 넣은 상업적으로 유용한 여러가지 골판 재료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골판 매체는 (아교, 열용착 등과 같은 수단에 의해서) 통상적인 골판지 물질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형태로 라이너판의 내부벽에 결착된다.
판부재들은 희망에 따라 이러한 골판재료로부터 단일판 또는 다수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자의 판부재는 적어도 이층(double-ply)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단일층 물질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판부재는 다이 절단등과 같은 수단에 의해 원하는 형태로 성형된다.
넓게 접혀지는 힌지는 통상의 윤관과는 다른 특수한 형태의 제치선에 의해서 구현된다. 이러한 접힘 제치선은 통상적으로 골판지 제조기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조립체를 구체화한 물품을 납작하게 접을때에 이 물품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제치선은 凸형 돌기를 가진 한쌍의 로울러 다이 사이에 골판지 물질을 반연속적으로 통과시킴으로서 얻어지며, 이 골판지물질의 양면에 凸형 다이가 뒤집어진 형태의 제치선을 초래하는 이중 凹형 윤곽을 갖는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골판제품은 일반적으로 제품을 납작하게 접을 수 있도록 그 양단 연부에 “U”자 형상을 한 부분이 제공된다.
이러한 제치선에 의해 형성된 단연부는 외측 판지 사이에 다른 몸체부재를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품을 납작하게 접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모서리 틈새가 제공된다.
다음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문에 사용된 “판”이라는 용어는 단층으로된 골판물질이나 또는 상기에 약간 언급된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공정들중의 어느 한 공정을 사용함으로써 서로 접착되어지는 다층으로된 골판물질을 의미한다.
제1도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골(16)을 갖고 이중으로 된 이련의 판(12. 14)을 접착하여 구성되는 외측판부재(10)는 한쌍의 마주보는 제치선헤드 (18. 20) 사이를 통과한다. 제치선 헤드 각각은 한쌍의 직선 凸형 제치선 소재(22)를 갖는다. 제치선 헤드가 개방위치에 있는 도면의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들은 판부재 (10)에 직선 凹형 제치선을 형성해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두쌍의 직선 凹형 제치선은 외측 제치선 각각이 쌍을 이루는 내측 제치선에 대하여 사이를 두고 형성되게끔 판부재(10)의 양측면상을 쌍을 이루며 배열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치선 프레스를 폐쇄했다. 다시 개방하면, 판부재 (10)에는 제치선(24a,24b,24c,24d)이 형성되어진다. 부가하여, 나중에 힌지의 한 부분으로 사용될때 유효한 작용을 할 수 있는 위치에 탄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판부재의 양측면상에 있는 제치선 사이의 영역(26a,26b)을 압축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축작용은 제치선 헤드의 제치선 소재(22)외측에 있는 평면부(30a,30b)에 대하여 제치선 소재(22) 사이에 있는 제치선 헤드의 평면부(28a,28b) 사이의 간격을 좁게해 주므로써 달성될 수 있다.
넓게 접혀지는 힌지의 외측판부재(10)에 직선으로 제치선을 낸후에, 이 판부재는 종래의 제치선을 내는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제치선을 갖는 내측판부재(32)에 접합된다. 이러한 접합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판부재(32)의 외부면과 외측판부재(10)의 내부면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예를들어 골판지의 경우에는 아교나 다른 접착제에 의해 이루어지고, 열가소성 물질 또는 금속의 경우에는 열이나 기타 다른 결합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접합은 본 고안의 힌지 영역에서는 이루어지지 말아야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접합은 제3도에 도시된 영역(34)을 넘지 않고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하여 판부재로 형성된 넓게 접혀지는 힌지를 납작하게 접은 상태가 제3도에 도시되어 있고, 또한 그 펼친 상태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판 부재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외측 제치선(24a,24b)은 힌지부분이 접혀짐에 따라 팽창하고 반대로 내측 제치선(24c,24d)은 수축한다. 내측판부재(32)의 단일 제치선(36)은 힌지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하게 접혀진 상태가 될때 실질적으로 일체가 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부분이 펼쳐진 상태가 있는 경우, 외측 제치선(24a,24b)은 거의 밀폐되고 반면에 내측 제치선(24c,24d)은 제3도의 경우보다 더욱 벌어진다. 힌지판의 중심부(37,38)는 힌지가 납작하게 접힌 상태에 있을때는 “U”자형태로 되고 펼친 상태에 있을때는 거의 납작하게 된다.
골판지 부재로 형성된 넓게 접혀지는 힌지는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고형물질의 저장 및 수송시에 사용되는 상자를 제작할때에 특히 유용하다. 이와 같은 상자의 한 실시예가(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힌지를 사용한 상자 (40)는 나무깔판(42)에 의해서 지지되는 두꺼운 골판지로된 콘테이너 조립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팔각형 상자(40)에 있어서, 골판지는 겹침 접속부 즉 이음매(44)와 제치선을 가지며 이들에 의해서 상자(40)의 여덟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조립되어진다. 한쌍의 대향 모서리(46,48)가 본 고안에 의한 넓게 접혀지는 힌지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 모서리는 상자를 저장 및 수송하기 위해 납작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상자의 양단부를 형성한다.
본 고안을 실시하여 상업용 크기를 갖고 고형물질의 저장 및 수송용으로 쓰이는 상자가 제작, 시험되었다. 상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형태의 것이며 미립자로 된 2268kg(50001b)의 고형 폴리에틸렌 수지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갖는다. 상자 몸체는 제치선이 있는 두꺼운 골판지로 된 내측부재와 동일한 재료로써 상기 내측부재에 고착된 외측부재로 장성된다. 내측판지에는 상자의 모서리를 형성하기 위한 여덟개의 제치선과 상자의 기저부를 접고 지지하기 위해 추가의 사선형 제치선을 갖고 하방으로 늘어진 연장부가 형성된다. 내측판지(하방으로 늘어진 20.32cm의 가장자리 연장부는 제외) 및 동일한 크기의 외측판지의 전체 펼쳐진 칫수는 414.02cm× 96.52 cm (163inch×38inch)정도되었다. 외측판지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납작한 상자를 형성할 수 있도록 그 내부면과 외부면 양쪽의 두위치에 제치선이 새겨져 있다. 따라서, 외측판지에는 이 외측 판지에 고착되는 내측판지가 여덟개의 제치선을 갖는 것과 비교하여 열네개의 제치선이 형성되어 있다. 납작한 상태로 접혀진 조립체 상자는 최소한의 공간에서 저장 및 수송이 가능하고, 또한 조립된 상자는 내부에 물질이 채워진 상태는 물론 비어 있는 상태에서도 압축에 대해 큰 강도를 나타낸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Claims (1)

  1. 힌지되는 부위에서 판부재를 서로에 고착시켜 이루어진 넓게 접혀지는 힌지에 있어서,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내측면에 단일의 직선 凹형 제치선(36)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판부재(32)와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측면상에 이중으로 배열된 두쌍의 직선 凹형 제치선(24a내지 24b)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판부재(10)를 갖고, 각 외측 제치선(24a,24b)은 쌍을 이루는 내측 제치선(24c,24d)과 사이를 두고 배치되며, 상기 이중으로 대향쌍을 형성한 제치선은 내측판부재(32)의 제치선과 사이를 두고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넓게 접혀지는 힌지.
KR2019840006411U 1979-12-26 1984-07-05 넓게 접혀지는 힌지 KR8400016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6411U KR840001660Y1 (ko) 1979-12-26 1984-07-05 넓게 접혀지는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085 1979-12-26
US06/107,085 US4268555A (en) 1979-12-26 1979-12-26 Wide-folding hinge
KR1019800004907 1980-12-23
KR2019840006411U KR840001660Y1 (ko) 1979-12-26 1984-07-05 넓게 접혀지는 힌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907 Division 1979-12-26 1980-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660Y1 true KR840001660Y1 (ko) 1984-09-13

Family

ID=27348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6411U KR840001660Y1 (ko) 1979-12-26 1984-07-05 넓게 접혀지는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6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692A (ko) * 2017-08-03 2019-02-13 김동호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692A (ko) * 2017-08-03 2019-02-13 김동호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59357A (en) Bag-in-a-box
US4341338A (en) Corrugated box bulk materials
JP2888645B2 (ja) 矩形状の基部を有する容器およびその製造
US4013168A (en) Shipping container
CA1146513A (en) Wide-folding hinge
CA1272700A (en) Packing case and method of preparation
US3339820A (en) Closure for the outer carrier in a combination package
US3653578A (en)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975413A (en) Shipping container
JPS6159986B2 (ko)
US3503550A (en) Multipiece paperboard container
CA1051392A (en) Two cell bulk container
US5468206A (en) Container
US3945558A (en) Paperboard bulk bin
US4174803A (en) Multicell corrugated bulk container
US4823956A (en) Composite container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US4165030A (en) Two cell bulk box
US3285492A (en) Shipping carton
US3246824A (en) Palletized carton
US3696988A (en) Container construction
US5042684A (en) Bag-less box for flowable materials
US4094455A (en) Combination shipping and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US20030052038A1 (en) Corrugated container with integral pallet
KR840001660Y1 (ko) 넓게 접혀지는 힌지
US4244507A (en) Corrugated container having superior stacking streng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