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206A -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206A
KR20190014206A KR1020170096159A KR20170096159A KR20190014206A KR 20190014206 A KR20190014206 A KR 20190014206A KR 1020170096159 A KR1020170096159 A KR 1020170096159A KR 20170096159 A KR20170096159 A KR 20170096159A KR 20190014206 A KR20190014206 A KR 20190014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chassis
reflective sheet
hole
backlight unit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047B1 (ko
Inventor
이철세
박규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6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047B1/ko
Priority to US15/847,841 priority patent/US10466535B2/en
Publication of KR20190014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02F2001/133314
    • G02F2001/13331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갖는 바텀 샤시, 및 상기 바텀 샤시 상에 배치된 반사 시트로서, 평탄한 면을 갖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와 연결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반사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경사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에 삽입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BACKLIGHT UNI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 중 액정 표시 장치는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기판과 그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을 재배열하고, 이를 통해 각 화소 별로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 표시를 구현할 수 있다.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백라이트 유닛을 안착 지그 상에 고정시킨 후 표시 패널을 백라이트 유닛과 결합시키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그러나 백라이트 유닛의 바텀 샤시의 바닥부 상에 시트형 부재, 예컨대 반사 시트가 직접 배치되는 경우, 안착 지그에 의해 반사 시트가 손상되어 표시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또, 안착 지그가 삽입되는 바텀 샤시의 관통홀 부근에 엠보를 형성하여 바텀 샤시와 반사 시트를 부분적으로 이격 시킬 경우 백라이트 유닛의 치수 공차가 커지고 이에 따라 부품 간 오정렬이 발생하여 제품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 중에 발생하는 반사 시트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출광 효율이 우수한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 품질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안착 지그를 이용하여 공정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백라이트 유닛의 낮은 치수 공차를 유지하여 수율을 개선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갖는 바텀 샤시, 및 상기 바텀 샤시 상에 배치된 반사 시트로서, 평탄한 면을 갖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와 연결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반사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경사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에 삽입된다.
상기 반사 시트는 평면상 절개부를 가지고, 상기 절개부는 절개 홀 및 상기 절개 홀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절개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절개부 주변의 반사 시트는 상기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또, 상기 바텀 샤시 상에 배치되어 광을 방출하는 광원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반사 시트는 광원 삽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반사 시트의 광원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텀 샤시는 상기 반사 시트와 대면하는 일면 및 그 타면을 가지고, 상기 바텀 샤시의 상기 타면은 엠보 패턴을 가지되,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경사부가 삽입된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은 상기 엠보 패턴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반사 시트 상에 배치된 미들 몰드, 및 상기 미들 몰드 상에 배치된 광학 시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미들 몰드는 측벽부, 상기 미들 몰드의 측벽부와 연결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부, 및 상기 미들 몰드의 측벽부와 연결되어 소정의 상면 면적을 갖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미들 몰드의 고정부와 상기 바텀 샤시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미들 몰드의 측벽부는 상기 바텀 샤시 내에 수용되며, 상기 미들 몰드의 지지부의 상면은 상기 광학 시트를 지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과 상기 반사 시트의 절개 홀은 정렬되어 있고, 상기 반사 시트의 절개 홀은 상기 광학 시트와 중첩하며,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절개 홀은 두 개일 수 있다.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을 가로지르도록 절개한 단면에서,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경사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제1 경사부,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경사부와 상이한 경사를 가지며, 상기 제1 경사부와 이격된 제2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2 경사부는 상기 바텀 샤시의 하나의 관통홀에 동시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경사부의 단부와 상기 제2 경사부의 단부는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의 마주보는 내측벽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상기 바텀 샤시는 평면상 두 개의 장변과 두 개의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경사부가 삽입된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은 두 개이며, 상기 바텀 샤시의 정중앙을 지나는 기준선에 대하여, 상기 두 개의 관통홀은 어느 일측에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갖는 바텀 샤시, 상기 바텀 샤시 상에 배치된 반사 시트로서, 평탄한 면을 갖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와 연결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반사 시트, 및 상기 반사 시트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경사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에 삽입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바닥부와 측벽부를 갖는 바텀 샤시 및 상기 바텀 샤시 내에 수용된 반사 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기 바텀 샤시의 바닥부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반사 시트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를 가지며, 상기 절개부는 절개 홀 및 상기 절개 홀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절개 슬릿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바텀 샤시의 바닥부의 상기 관통홀을 통해 안착 지그를 삽입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는 단계, 상기 지지된 백라이트 유닛 상에 표시 패널을 배치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표시 패널을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기 바텀 샤시의 바닥부의 상기 관통홀로부터 상기 안착 지그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바닥부와 상기 측벽부를 갖는 바텀 샤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바텀 샤시의 상기 바닥부 상에 광원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바텀 샤시의 상기 바닥부 상에 상기 반사 시트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 시트는 광원 삽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 시트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과 상기 반사 시트의 절개 홀이 정렬되고, 상기 바텀 샤시의 광원 삽입홀에 상기 광원이 삽입되도록 반사 시트를 배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 상기 바텀 샤시를 준비하는 단계는,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두 개의 상기 관통홀을 갖는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의 상기 두 개의 관통홀에 각각 고정 핀을 삽입하여 상기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스 공정 또는 벤딩 공정을 통해 상기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을 가공하여 상기 바텀 샤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텀 샤시의 상기 바닥부 상에 상기 반사 시트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반사 시트는 평평한 형상이고,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의 평면상 크기는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절개 홀의 평면상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절개 홀은 평면상 원 형상이고, 상기 절개 홀의 직경은 10mm 이하이며, 상기 절개 슬릿의 길이는 상기 절개 홀의 직경의 5배 이하일 수 있다.
또, 상기 안착 지그는, 볼록한 곡면을 갖는 단부를 갖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형성된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와 상기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지그를 삽입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기 바텀 샤시의 바닥부는 상기 안착 지그의 상기 단차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 지그를 삽입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절개부 주변은 상기 안착 지그의 상기 단부에 의해 상방 압력을 받아 부분적으로 만곡될 수 있다.
상기 안착 지그를 분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절개부 주변은 상기 안착 지그의 상기 홈부에 의해 하방 압력을 받아 부분적으로 만곡되고, 상기 반사 시트는 부분적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또,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 시트와 이격되도록 상기 반사 시트 상에 광학 시트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반사 시트의 절개 홀은 상기 광학 시트와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와 상기 표시 패널을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광학 시트 상에 상기 표시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 시트의 절개 홀은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텀 샤시의 관통홀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반사 시트를 포함하여 출광 효율과 표시 품질이 우수한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 지그를 이용하여 공정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반사 시트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바텀 샤시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표시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는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X)은 평면 내 임의의 일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Y)은 상기 평면 내에서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3 방향(Z)은 상기 평면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바텀 샤시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사시도로서,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 부근을 표현하도록 제1 방향(X)을 따라 절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표시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백라이트 유닛(300), 표시 패널(100) 및 탑 샤시(2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표시 장치(10)가 영상 표시를 구현하기 위한 소자를 포함하는 패널 부재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은 하부 기판(110), 상부 기판(120) 및 그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표시를 위해 백라이트 유닛(300)을 요하는 다른 표시 패널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부 기판(110)과 상부 기판(120)은 실런트와 같은 실링 부재(미도시)에 의해 합착된 상태일 수 있다.
표시 패널(100)에는 평면상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A)이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여 각 화소 별로 서로 다른 이미지를 표현함으로써 실질적인 영상 표시에 기여하는 영역이다. 본 명세서에서, '화소(pixel)'은 평면 시점에서 색 표시를 위해 표시 영역(DA)이 구획되어 정의되는 단일 영역을 의미하며, 하나의 화소는 다른 화소와 서로 독립적으로 색을 표현할 수 있는 최소 단위를 나타낸다. 즉, 상기 각 화소는 색 표시를 구현하기 위해서 기본 색 중 하나의 색을 고유하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색의 예로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평면 시점에서, 표시 영역(DA)은 비표시 영역(NA)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에는 구동 회로(미도시) 및/또는 구동 소자(130)와 연결되는 패드부(미도시)가 위치하여 구동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탑 샤시(200)는 표시 패널(100)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10)의 하우징 부재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탑 샤시(200)는 측벽부(210) 및 측벽부(210)의 상단으로부터 표시 장치(10)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샤시(200)의 측벽부(210)는 표시 패널(100) 및 백라이트 유닛(300)을 둘러싸는 형상이고, 탑 샤시(200)의 돌출부(220)는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A)을 부분적으로 커버하여 베젤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탑 샤시(200)는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포함하여 평면상 대략 사각띠 형상일 수 있다.
탑 샤시(200)의 두 개의 장변 부분 및 두 개의 단변 부분은 물리적 경계 없이 모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두 개의 장변 부분 및 두 개의 단변 부분은 각각 별도로 제조되어 서로 조립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장변 부분은 어느 단변 부분과 서로 끼움 결합되거나, 스크류 결합되거나, 또는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탑 샤시(200)의 측벽부(210)는 제1 스크류(410)를 통해 백라이트 유닛(300)과 결합되고, 탑 샤시(200)의 돌출부(220)는 표시 패널(100)을 제3 방향(Z)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탑 샤시(200)의 측벽부(210)는 제1 스크류(410)를 통해 미들 몰드(370) 및 바텀 샤시(310)와 함께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또, 탑 샤시(200)의 돌출부(220)는 미들 몰드(370)와 함께 표시 패널(100)을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탑 샤시(2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패널(100)과 백라이트 유닛(300) 간의 결합 관계 및 하우징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패널(100)과 백라이트 유닛(300)은 양면 테이프 등의 접합 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백라이트 유닛(300)은 특정 파장을 갖는 광을 표시 패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300)은 표시 패널(100)과 제3 방향(Z)으로 중첩하여 표시 패널(1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백라이트 유닛(300)은 바텀 샤시(310), 바텀 샤시(310) 내에 수용된 광원부(330), 반사 시트(350), 미들 몰드(370) 및 광학 시트(390)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샤시(310)는 광원부(330)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300)의 하우징 부재일 수 있다. 바텀 샤시(310)는 그 내부에 광원부(330) 등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텀 샤시(310)는 바닥부(311) 및 바닥부(3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측벽부(312)를 포함하여 대략 상자 형상일 수 있다. 바텀 샤시(310)는 한 쌍의 단변과 한 쌍의 단변을 포함하여 평면상 대략 직사각형일 수 있다.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 및 복수의 측벽부(312)는 물리적 경계 없이 모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바닥부(311)와 복수의 측벽부(312)는 각각 별도로 제조되어 서로 조립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와 측벽부(312)는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되되, 측벽부(312)는 벤딩 공정을 통해 형성되어 바닥부(311)와 연결되어 구부러진 형태일 수 있다.
바텀 샤시(310)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고 열 전도성이 우수한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텀 샤시(310)는 철,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 이들의 합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텀 샤시(310)는 그 표면이 아연 등으로 도금 또는 코팅된 상태일 수 있다.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310h)을 가질 수 있다. 관통홀(310h)은 평면상 대략 원형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은 두 개일 수 있다. 관통홀(310h)에는 후술할 반사 시트(350)의 경사부(363)가 삽입될 수 있다. 관통홀(310h)에 대해서는 도 5 등과 함께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는 하나 이상의 엠보 패턴(311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의 외측면(하면)은 기준면(311S) 및 기준면(311S)으로부터 돌출된 엠보 패턴(311P)을 가질 수 있다. 기준면(311S)은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의 평면상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실질적으로 평탄한 면일 수 있다. 예컨대, 기준면(311S)의 평면상 면적은 바닥부(311)의 평면상 면적의 약 50% 이상, 약 60% 이상, 약 70% 이상, 약 80% 이상, 또는 약 90% 이상일 수 있다. 엠보 패턴(311P)은 기준면(311S)으로부터 돌출되어 바텀 샤시(310)의 외측면에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다. 엠보 패턴(311P) 및 엠보 패턴(311P)이 형성하는 상기 그루브는 백라이트 유닛(300)과 다른 구성요소 간의 결합에 사용되거나, 부품 실장에 사용되거나, 공간 확보를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텀 샤시(310)의 두께는 대략 균일할 수 있다. 바텀 샤시(310)의 기준면(311S) 부분, 즉 엠보 패턴(311P)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의 두께와 바텀 샤시(310)의 엠보 패턴(311P) 부분에서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텀 샤시(310)의 엠보 패턴(311P)은 프레스 공정을 통해 형성되며 엠보 패턴(311P) 부분에서의 바텀 샤시(310)의 두께는 엠보 패턴(311P)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의 바텀 샤시(31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바텀 샤시(310)의 두께는 약 0.5mm 내지 1.2mm 이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과 엠보 패턴(311P)은 서로 중첩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평면 시점에서, 반사 시트(350)의 경사부(363)가 삽입되는 관통홀(310h)은 엠보 패턴(311P)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후술할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관통홀(310h)에 고정 핀을 삽입하여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프레스 공정 또는 벤딩 공정을 통해 바텀 샤시(310)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핀은 바텀 샤시(310)의 제조 과정에서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의 수평 방향(즉,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의 위치를 고정함과 동시에 관통홀(310h) 간의 이격 거리를 이용하여 백라이트 유닛(300)의 치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상기 고정 핀이 삽입되는 관통홀(310h)이 엠보 패턴과 중첩하여 높이 방향(즉, 제3 방향(Z))으로의 이격 거리가 증가할 경우 두 개의 관통홀(310h) 사이의 제1 방향(X)으로의 이격 거리뿐만 아니라 관통홀(310h)과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 사이의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치수를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치수 관리가 어려워지고 치수 공차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광원부(330)는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330)는 광원 회로 기판(331) 및 광원 회로 기판(331) 상에 실장된 광원(332)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 회로 기판(331)은 광원(332)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 및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광원 회로 기판(331)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제1 방향(X)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일 수 있다.
광원(332)은 광원 회로 기판(33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332)은 광을 직접적으로 방출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광원(332)은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광원(332)은 백색 광을 방출하거나, 청색 광을 방출하거나, 또는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방출할 수도 있다. 복수의 광원(332)은 광원 회로 기판(331)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 등은 하나의 광원 회로 기판(331) 상에 5개의 광원(332)이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평면 시점에서, 광원(332)은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DA)과 제3 방향(Z)으로 중첩하며 표시 패널(100) 측으로 직접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300)은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일 수 있다. 복수의 광원(332)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배열되어 대략 매트릭스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백라이트 유닛(300)은 도광판을 더 포함하고 도광판의 측부에 광원이 배치된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일 수도 있다.
반사 시트(350)는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시트(350)는 광원부(3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시트(350)는 반사 시트(350) 측으로 입사된 광을 반사하여 표시 패널(100) 측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390)가 반사형 편광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반사형 편광 소자에 의해 반사된 편광 성분은 반사 시트(350)에 의해 다시 반사되어 상측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 광원(332)이 방출한 광 중 표시 패널(100) 측이 아닌 방향으로 누설된 광은 또한 반사 시트(350)에 의해 다시 반사되어 상측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원부(330)로부터 제공된 광의 이용 효율을 증가시키고 표시 장치(10)의 휘도와 표시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반사 시트(350)는 광 반사율이 높은 재료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반사 시트(350)는 가요성을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사 시트(350)는 그 표면이 티타늄(Ti), 은(Ag) 등의 금속 또는 티타늄 산화물 등의 금속 산화물 등으로 코팅된 상태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사 시트(350)는 절개부(351)를 가질 수 있다. 반사 시트(350)의 절개부(351)는 대략 원 형상의 절개 홀(351h) 및 절개 홀(351h)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절개 슬릿(351t)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시점에서, 반사 시트(350)의 절개 홀(351h)은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과 정렬된 상태일 수 있다. 또, 반사 시트(350)의 절개 홀(351h)은 광학 시트(390) 및 표시 패널(100)과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시트(350)의 절개 홀(351h)은 평면 시점에서 표시 영역(D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절개 슬릿(351t)은 절개 홀(351h)로부터 대략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 등은 하나의 절개부(351)가 네 개의 절개 슬릿(351t)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절개 슬릿(351t)은 세 개이거나, 또는 다섯 개 이상일 수도 있다. 반사 시트(350)의 절개부(351) 주변의 반사 시트 부분은 경사면을 형성하며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인접한 두 개의 절개 슬릿(351t) 사이의 반사 시트 부분은 경사면을 형성하며 관통홀(310h)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절개 슬릿(351t)이 세 개 이상인 경우 반사 시트(350)의 후술할 경사부(363)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반사 시트(350)가 부분적으로 경사면을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반사 시트(350)가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로부터 들뜨는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 반사 시트(350)의 절개부(351)는 두 개일 수 있다. 즉, 반사 시트(350)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 및 반사 시트(350)의 절개부(351)는 각각 두 개일 수 있다. 후술할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 및 반사 시트(350)의 절개부(351)의 절개 홀(351h)에는 안착 지그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안착 지그는 백라이트 유닛(3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수평 방향(즉,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으로의 백라이트 유닛(3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안착 지그가 삽입/결합되는 포인트가 한 개인 경우 백라이트 유닛(300)이 평면상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없다. 또, 안착 지그가 삽입/결합되는 포인트가 세 개 이상인 경우, 세 개의 삽입 포인트 중 어느 두 개 사이의 이격 거리를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치수 관리가 어려워져 치수 공차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안착 지그가 삽입/결합되는 포인트가 본 실시예와 같이 두 개인 경우 백라이트 유닛(3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 두 개의 관통홀(310h) 사이의 제1 방향(X)으로의 이격 길이만을 제어하여 치수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치수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에 표시 패널(100)을 결합시킬 수 있어 얼라인 불량을 최소화하고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의 정중앙을 지나는 기준선에 대하여, 두 개의 관통홀(310h)은 어느 일측에 치우쳐 위치하고, 반사 시트(350)의 정중앙을 지나는 기준선에 대하여, 두 개의 절개부(351)는 어느 일측에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관통홀(310h)은 모두 바텀 샤시(310)의 어느 장변 측 꼭지점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두 개의 절개부(351)는 모두 반사 시트(350)의 어느 장변 측 꼭지점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안착 지그가 삽입되는 관통홀(310h) 및 절개부(351)를 장변에 인접하여 형성함으로써, 즉 백라이트 유닛(300)의 무게 중심선에 가깝도록 형성함으로써 안착 지그가 백라이트 유닛(3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동시에, 두 개의 관통홀(310h) 및 절개부(351)을 상기 기준선에 대해 어느 일측에 치우쳐 형성함으로써 사이의 이격 거리를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치수 관리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서 반사 시트(350)는 광원 삽입홀(3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 삽입홀(353)은 평면상 광원(33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광원부(330)의 광원(332)은 반사 시트(350)의 광원 삽입홀(353)에 삽입되어 반사 시트(350)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300)으로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적용한 다른 실시예에서, 광원 삽입홀은 생략될 수 있다.
미들 몰드(370)는 반사 시트(3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미들 몰드(370)는 바텀 샤시(310)와 결합되어 광학 시트(390) 및 표시 패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미들 몰드(370)는 제1 측벽부(371), 제1 측벽부(371)에 비해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측벽부(372), 제1 측벽부(371)와 제2 측벽부(372)를 연결하며 소정의 상면 면적을 가지고 광학 시트(390)를 지지하는 지지부(373) 및 제1 측벽부(371)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부(374)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 몰드(370)는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포함하여 평면상 대략 사각띠 형상일 수 있다. 미들 몰드(370)의 두 개의 장변 부분 및 두 개의 단변 부분은 물리적인 경계 없이 모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두 개의 장변 부분 및 두 개의 단변 부분은 각각 별도로 제조되어 서로 조립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장변 부분은 어느 단변 부분과 서로 끼움 결합되거나, 스크류 결합되거나, 또는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미들 몰드(370)의 지지부(373)는 소정의 상면 면적을 가지고 광학 시트(390) 및 표시 패널(100)을 지지 및/또는 고정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지지부(373)는 광학 시트(390) 및/또는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미들 몰드(370)의 제1 측벽부(371)는 바텀 샤시(31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측벽부(371)는 미들 몰드(370)의 지지부(373)와 고정부(374)를 연결할 수 있다. 미들 몰드(370)의 고정부(374)는 제1 측벽부(371)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미들 몰드(370)의 고정부(374)와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 사이에는 반사 시트(350)가 개재되어 제3 방향(Z)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 미들 몰드(370)는 제2 스크류(420)를 통해 바텀 샤시(31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 몰드(370)의 고정부(374)는 제2 스크류(420)를 통해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와 함께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미들 몰드(370)의 제2 측벽부(372)는 바텀 샤시(310)의 측벽부(312)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미들 몰드(370)의 제1 측벽부(371)와 제2 측벽부(372)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바텀 샤시(310)의 측벽부(312)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미들 몰드(370)는 제1 스크류(410)를 통해 탑 샤시(20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 몰드(370)의 제2 측벽부(372)는 제1 스크류(410)를 통해 바텀 샤시(310)의 측벽부(312) 및 탑 샤시(200)의 측벽부(210)와 함께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백라이트 유닛(300)과 탑 샤시(200) 간의 결합 관계, 미들 몰드(370)의 형상과 결합 관계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미들 몰드(370)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고 내구성이 우수한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 몰드(37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의 플라스틱, 비금속무기재료, 또는 카본 파이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학 시트(390)는 광원(332)과 이격되어 광원(33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390)는 표시 패널(100)과 제3 방향(Z)으로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390)의 가장자리부는 미들 몰드(370)의 지지부(373)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광학 시트(390)는 광원(332)으로부터 방출되어 표시 패널(100) 측으로 진행하는 광의 경로 및/또는 편광 특성을 변조하여 표시 장치(10)의 휘도, 시야각 특성 등을 개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광학 시트(390)는 프리즘 시트, 렌즈 시트 등의 집광 시트, 확산 시트, 반사형 편광 시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등은 광학 시트(390)가 세 장의 개별 광학 시트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광학 시트(390)는 낱장, 두 장, 또는 네 장 이상이거나, 복수의 광학 시트(390)가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된 상태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 5를 더욱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 시트(35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사시도로서,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을 가로지르도록 제1 방향(X)을 따라 절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의 반사 시트(350)는 평탄부(361) 및 경사부(363)를 포함하고, 경사부(36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에 삽입될 수 있다.
평탄부(361)는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의 일면(도면상 상면)과 대략 평행한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다. 평탄부(361)는 반사 시트(350)의 평면상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실질적인 주된 반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부(361)는 반사 시트(350)의 평면상 면적의 약 50% 이상, 약 60% 이상, 약 70% 이상, 약 80% 이상, 또는 약 90%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경사부(363)는 평탄부(361)와 연결되어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경사부(363)는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의 상기 일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사부(363)는 평탄부(361)와 물리적 경계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부(363)는 반사 시트(350)가 부분적으로 구부러지며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경사부(36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에 형성된 관통홀(310h)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반사 시트(350)의 절개부(351)의 인접한 두 개의 절개 슬릿(351t) 사이의 반사 시트 부분이 경사부(363)를 이룰 수 있다.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을 가로지르도록 절개한 단면에서, 경사부(363)는 제1 경사부(363a) 및 제2 경사부(36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부(363a)와 제2 경사부(363b)는 서로 상이한 경사를 가지며, 서로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제1 경사부(363a)와 제2 경사부(363b) 사이의 이격 공간은 후술할 절개 홀(351h)을 정의한다.
제1 경사부(363a) 및 제2 경사부(363b)는 모두 바텀 샤시(310)의 어느 하나의 관통홀(310h) 내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경사부(363a)의 단부와 제2 경사부(363b)의 단부는 관통홀(310h)의 마주보는 내측벽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반사 시트(350)의 경사부(36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에 삽입되되, 관통홀(310h)을 관통하여 바텀 샤시(310)의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백라이트 유닛(300) 및 표시 장치(10)의 내구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의 반사 시트(35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사 시트(350)를 수평 방향(즉,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 중에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에 안착 지그를 삽입함에도 불구하고 반사 시트(350)가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반사 시트(350)의 절개부(351)가 표시 패널(100)을 통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우선 도 6을 참조하면,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310')을 준비하고 고정 핀(500)과 결합시킨다.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310')은 바텀 샤시를 제조하기 위해 제공되는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310')은 철,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 이들의 합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금속 플레이트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310')은 그 표면이 아연 등으로 도금된 상태일 수 있다.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310')은 하나 이상의 관통홀(310h)을 가질 수 있다. 관통홀(310h)은 후술할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에 형성된 관통홀(310h)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310')의 관통홀(310h)에는 고정 핀(500)이 삽입될 수 있다. 고정 핀(500)은 바텀 샤시의 제조 과정에서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310')의 수평 방향(즉,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 고정 핀(500)은 바텀 샤시의 제조 과정에서 바텀 샤시 및 백라이트 유닛의 치수 관리에 사용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관통홀(310h) 간의 이격 거리를 이용하여 바텀 샤시와 백라이트 유닛의 치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할 바텀 샤시의 바닥부의 크기, 측벽부의 길이와 높이, 엠보 패턴의 위치 등은 관통홀(310h)을 기준으로 특정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서,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310')의 관통홀(310h)은 두 개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관통홀(310h)에 고정 핀(500)이 삽입될 수 있다. 고정 핀(500)이 삽입/결합되는 포인트가 두 개인 경우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310')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를 고정함과 동시에 치수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후술할 바와 같이,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310')의 관통홀(310h)에서 고정 핀(500)이 분리된 후 안착 지그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안착 지그는 백라이트 유닛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수평 방향(즉,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으로의 백라이트 유닛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안착 지그가 삽입/결합되는 포인트가 두 개인 경우 백라이트 유닛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를 고정함과 동시에 치수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310')의 정중앙을 지나는 기준선에 대하여, 두 개의 관통홀(310h)은 어느 일측에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관통홀(310h)은 모두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310')의 어느 장변 측 꼭지점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관통홀(310h)에 고정 핀(500)이 삽입된 상태에서 바텀 샤시(310)를 제조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텀 샤시(310)를 제조하는 단계는 프레스 공정 또는 벤딩 공정을 통해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310')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텀 샤시(310)를 제조하는 단계는 프레스 공정을 이용하여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310')의 일면 상에 엠보 패턴(311P)을 형성하는 단계 및 벤딩 공정을 이용하여 바텀 샤시(310)의 측벽부(312)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샤시(310)는 바닥부(311) 및 측벽부(312)를 포함하되,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310h) 및 엠보 패턴(311P)을 가질 수 있다.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은 상술한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310')에 형성된 관통홀(310h)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텀 샤시(310)의 엠보 패턴(311P)은 관통홀(310h)과 중첩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바텀 샤시(310)의 고정 및 치수 관리에 사용되는 관통홀(310h)이 기준면(311S)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관통홀(310h)과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 사이의 제3 방향(Z)으로의 이격 거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낮은 치수 공차를 유지할 수 있다. 바텀 샤시(310)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와 함께 상술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 바텀 샤시(310) 내에 광원부(330), 반사 시트(350'), 미들 몰드(370) 및 광학 시트(390)를 배치하고 이들을 결합하여 백라이트 유닛(300)을 제조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백라이트 유닛(300)을 제조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310h)을 갖는 바텀 샤시(310)를 준비하는 단계,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 상에 광원 회로 기판(331) 및 광원(332)을 포함하는 광원부(330)를 배치하는 단계,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 상에 반사 시트(350')를 배치하는 단계, 바텀 샤시(310) 상에 미들 몰드(370)를 배치하고 바텀 샤시(310)와 미들 몰드(370)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미들 몰드(370) 상에 광학 시트(390)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샤시(310)는 바닥부(311) 및 측벽부(312)를 포함하되,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310h)을 가질 수 있다. 바텀 샤시(310)는 도 6 및 도 7에 따라 제조된 바텀 샤시(310)일 수 있다. 광원부(330)는 광원 회로 기판(331) 및 광원 회로 기판(331) 상에 실장된 광원(332)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샤시(310) 및 광원부(330)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와 함께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반사 시트(350')는 평면상 하나 이상의 절개부(351')를 가질 수 있다. 반사 시트(350')의 절개부(351')는 대략 원 형상의 절개 홀(351h') 및 절개 홀(351h')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절개 슬릿(351t')을 포함할 수 있다. 절개 슬릿(351t')은 절개 홀(351h')로부터 대략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8은 하나의 절개부(351')가 네 개의 절개 슬릿(351t')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접한 두 개의 절개 슬릿(351t') 사이의 사이각(θ)은 약 120° 이하, 또는 약 90° 이하, 또는 약 72° 이하, 또는 약 60° 이하일 수 있다. 두 개의 절개 슬릿(351t') 사이의 사이각이 120° 이하, 또는 90° 이하, 또는 예각을 형성하는 경우 후술할 경사부(363)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도 11과 함께 후술할 바와 같이, 반사 시트가 부분적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며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에 삽입되는 경우에도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로부터 들뜨는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백라이트 유닛(300)을 제조하는 단계에서의 반사 시트(350')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형상일 수 있다. 즉, 바텀 샤시(310) 상에 반사 시트(350')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반사 시트(350')의 절개부(351') 주변의 반사 시트 부분은 경사면을 형성하지 않고 평탄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반사 시트(350')는 광원 삽입홀(3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 삽입홀(353)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이격 배열되어 대략 매트릭스를 이룰 수 있다.
또, 반사 시트(350')를 배치하는 단계는,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과 반사 시트(350')의 절개 홀(351h')이 정렬되고, 반사 시트(350')의 광원 삽입홀(353)에 광원(332)이 삽입되도록 반사 시트(350')를 배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반사 시트(350')의 절개 홀(351h') 및 광원 삽입홀(353)은 각각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 및 광원(332)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의 평면상 크기는 반사 시트(350')의 절개 홀(351h')의 평면상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반사 시트(350')가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의 일면(도면상 상면)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노출되는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의 상기 일면이 없도록 함으로써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바텀 샤시(310)가 표시 패널(100)을 통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사 시트(350')의 절개 홀(351h')의 직경은 약 5mm 이상 10mm 이하일 수 있다. 절개 홀(351h')의 직경이 5mm 이상이면 후술할 안착 지그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기에 충분하고, 절개 홀(351h')의 직경이 10mm 이하이면 절개 홀(351h')이 표시 패널(100)을 통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절개 슬릿(351t')의 길이는 절개 홀(351h')의 직경의 약 5배 이하, 약 4배 이하, 또는 약 3배 이하일 수 있다. 절개 슬릿(351t')의 길이가 절개 홀(351h')의 직경의 5배 이하이면 절개 슬릿(351t')이 표시 패널(100)을 통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절개부(351') 부근의 반사 시트 부분이 후술할 경사부를 형성할 때 경사부가 바텀 샤시(310) 하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반사 시트(350')를 배치한 다음 미들 몰드(370)를 이용하여 반사 시트(350')를 고정하고, 제2 스크류(420)를 이용하여 미들 몰드(370)의 고정부(374)와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를 결합한다. 그 다음 미들 몰드(370)의 지지부(373) 상에 광학 시트(390)를 배치 및 고정한다.
광학 시트(390)는 광원(332) 및 반사 시트(350')와 이격될 수 있다. 또, 광학 시트(390)는 광원(332) 및 반사 시트(350')와 직접 대면할 수 있다. 또, 반사 시트(350')의 절개 홀(351h') 및 절개 슬릿(351h')을 포함하는 절개부(351')는 광학 시트(390)와 제3 방향(Z)으로 중첩할 수 있다. 미들 몰드(370) 및 광학 시트(390)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와 함께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300)의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의 관통홀(310h)을 통해 안착 지그(600)를 삽입한다. 안착 지그(600)를 삽입하는 단계는 백라이트 유닛(3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수평 방향(즉,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의 백라이트 유닛(300)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서, 안착 지그(600)는 두 개이며, 상술한 두 개의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안착 지그(600)는 대략 핀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 지그(600)는 단부(600e)를 갖는 바디부(600b), 바디부(600b)의 측면에 형성된 단차부(600s) 및 바디부(600b)의 측면에 형성되며 단부(600e)와 단차부(600s) 사이에 위치하는 끼움 홈부(600g)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 지그(600)의 단부(600e)는 볼록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안착 지그(600)의 단부(600e)가 곡면을 가짐으로써,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 및 반사 시트(350'')의 절개 홀(351h'')을 통해 안착 지그(600)가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백라이트 유닛(300)의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을 통해 삽입되는 경우에도,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 상에 배치된 시트형 부재, 예컨대 반사 시트(350'')가 안착 지그(600)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안착 지그(600)의 측면은 단차부(600s)를 가질 수 있다. 안착 지그(600)를 삽입하여 백라이트 유닛(300)을 지지하는 단계에서,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의 하면은 안착 지그(600)의 단차부(600s)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 안착 지그(600)의 측면은 오목한 홈부(600g)를 가질 수 있다. 홈부(600g)는 안착 지그(600)의 측면으로부터 파인 형상을 가지고, 홈부(600g)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대상이 후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안착 지그(600)를 삽입하는 단계에서, 반사 시트(350'')의 절개부(351'') 주변의 반사 시트 부분은 안착 지그(600)의 단부(600e)에 의해 상방 압력을 받아 부분적으로 만곡되어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 지그(600)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반사 시트(350'')의 인접한 두 개의 절개 슬릿(351t'') 사이의 반사 시트 부분은 안착 지그(600)의 단부(600e)에 의해 상방 압력을 받아 부분적으로 만곡될 수 있다.
한편, 본 단계에서 안착 지그(600)가 삽입되는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은 도 6에서 고정 핀(500)이 삽입되는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310')의 관통홀(310h)과 동일한 홀일 수 있다. 즉, 바텀 샤시(310)의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관통홀과 백라이트 유닛(300) 제조 후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관통홀을 일원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바텀 샤시(310)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바텀 샤시(310)의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관통홀과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관통홀을 일원화함으로써 치수 관리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치수 공차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면, 안착 지그(600)에 의해 백라이트 유닛(300)이 지지 및 고정된 상태에서 표시 패널(100) 및 탑 샤시(200)를 백라이트 유닛(300)과 결합한다.
표시 패널(100)은 광학 시트(39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A) 부분이 미들 몰드(370)의 지지부(373)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DA)은 광학 시트(390) 및 광원(332)과 제3 방향(Z)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사 시트(350'')의 절개 홀(351h'') 및 절개 슬릿(351t'')을 포함하는 절개부(351'')는 표시 패널(100)과 제3 방향(Z)으로 중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바텀 샤시(310)의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관통홀과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관통홀을 일원화하여 낮은 치수 공차를 유지함으로써 표시 패널(100)을 정밀하게 정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표시 장치(10)의 오정렬 불량을 억제하여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고 수율을 개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 패널(100)을 배치한 다음 탑 샤시(200)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100)을 고정하고, 제1 스크류(미도시)를 이용하여 탑 샤시(200)의 측벽부(210), 미들 몰드(370)의 제2 측벽부(372) 및 바텀 샤시(310)의 측벽부(312)를 결합한다. 표시 패널(100) 및 탑 샤시(200)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와 함께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 및 탑 샤시(200)를 결합하는 단계에서, 반사 시트(350'')의 절개부(351'') 주변의 반사 시트 부분은 상측으로 만곡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과 결합된 백라이트 유닛(300)의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의 관통홀(310h)로부터 안착 지그(600)를 분리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안착 지그(600)를 분리하는 단계에서, 반사 시트(350)의 절개부(351) 주변의 반사 시트 부분은 안착 지그(600)의 홈부(600g)에 의해 하방 압력을 받아 부분적으로 만곡되어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 지그(600)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반사 시트(350)의 인접한 두 개의 절개 슬릿(351t) 사이의 반사 시트 부분은 안착 지그(600)의 홈부(600g)에 걸려 하방 압력을 받아 부분적으로 만곡되며 경사부(36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사 시트(350)의 절개부(351) 주변의 반사 시트 부분은 부분적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며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표시 장치의 반사 시트(35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사 시트(350)를 수평 방향(즉,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 중에 바텀 샤시(310)의 관통홀(310h)에 안착 지그를 삽입함에도 불구하고 반사 시트(350)가 바텀 샤시(310)의 바닥부(311)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반사 시트(350)의 절개부(351)가 표시 패널(100)을 통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탑 샤시
300: 백라이트 유닛
310: 바텀 샤시
330: 광원부
350: 반사 시트
370: 미들 몰드
390: 광학 시트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갖는 바텀 샤시; 및
    상기 바텀 샤시 상에 배치된 반사 시트로서, 평탄한 면을 갖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와 연결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반사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경사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시트는 평면상 절개부를 가지고,
    상기 절개부는 절개 홀 및 상기 절개 홀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절개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절개부 주변의 반사 시트는 상기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 내로 삽입되는 백라이트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샤시 상에 배치되어 광을 방출하는 광원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반사 시트는 광원 삽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반사 시트의 광원 삽입홀에 삽입되는 백라이트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샤시는 상기 반사 시트와 대면하는 일면 및 그 타면을 가지고,
    상기 바텀 샤시의 상기 타면은 엠보 패턴을 가지되,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경사부가 삽입된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은 상기 엠보 패턴과 중첩하지 않는 백라이트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시트 상에 배치된 미들 몰드; 및
    상기 미들 몰드 상에 배치된 광학 시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미들 몰드는 측벽부, 상기 미들 몰드의 측벽부와 연결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부, 및 상기 미들 몰드의 측벽부와 연결되어 소정의 상면 면적을 갖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미들 몰드의 고정부와 상기 바텀 샤시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미들 몰드의 측벽부는 상기 바텀 샤시 내에 수용되며,
    상기 미들 몰드의 지지부의 상면은 상기 광학 시트를 지지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과 상기 반사 시트의 절개 홀은 정렬되어 있고,
    상기 반사 시트의 절개 홀은 상기 광학 시트와 중첩하며,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절개 홀은 두 개인 백라이트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을 가로지르도록 절개한 단면에서,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경사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제1 경사부,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경사부와 상이한 경사를 가지며, 상기 제1 경사부와 이격된 제2 경사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2 경사부는 상기 바텀 샤시의 하나의 관통홀에 동시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경사부의 단부와 상기 제2 경사부의 단부는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의 마주보는 내측벽 사이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샤시는 평면상 두 개의 장변과 두 개의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경사부가 삽입된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은 두 개이며,
    상기 바텀 샤시의 정중앙을 지나는 기준선에 대하여, 상기 두 개의 관통홀은 어느 일측에 치우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
  10.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갖는 바텀 샤시;
    상기 바텀 샤시 상에 배치된 반사 시트로서, 평탄한 면을 갖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와 연결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반사 시트; 및
    상기 반사 시트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경사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표시 장치.
  11. 바닥부와 측벽부를 갖는 바텀 샤시 및 상기 바텀 샤시 내에 수용된 반사 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기 바텀 샤시의 바닥부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반사 시트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를 가지며, 상기 절개부는 절개 홀 및 상기 절개 홀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절개 슬릿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바텀 샤시의 바닥부의 상기 관통홀을 통해 안착 지그를 삽입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는 단계;
    상기 지지된 백라이트 유닛 상에 표시 패널을 배치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표시 패널을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기 바텀 샤시의 바닥부의 상기 관통홀로부터 상기 안착 지그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바닥부와 상기 측벽부를 갖는 바텀 샤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바텀 샤시의 상기 바닥부 상에 광원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바텀 샤시의 상기 바닥부 상에 상기 반사 시트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 시트는 광원 삽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 시트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과 상기 반사 시트의 절개 홀이 정렬되고, 상기 바텀 샤시의 광원 삽입홀에 상기 광원이 삽입되도록 반사 시트를 배치하는 단계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샤시를 준비하는 단계는,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두 개의 상기 관통홀을 갖는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의 상기 두 개의 관통홀에 각각 고정 핀을 삽입하여 상기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스 공정 또는 벤딩 공정을 통해 상기 바텀 샤시 제조용 프레임을 가공하여 상기 바텀 샤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샤시의 상기 바닥부 상에 상기 반사 시트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반사 시트는 평평한 형상이고,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의 평면상 크기는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절개 홀의 평면상 크기보다 큰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절개 홀은 평면상 원 형상이고,
    상기 절개 홀의 직경은 10mm 이하이며,
    상기 절개 슬릿의 길이는 상기 절개 홀의 직경의 5배 이하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지그는,
    볼록한 곡면을 갖는 단부를 갖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형성된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와 상기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지그를 삽입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기 바텀 샤시의 바닥부는 상기 안착 지그의 상기 단차부에 의해 지지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지그를 삽입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절개부 주변은 상기 안착 지그의 상기 단부에 의해 상방 압력을 받아 부분적으로 만곡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지그를 분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절개부 주변은 상기 안착 지그의 상기 홈부에 의해 하방 압력을 받아 부분적으로 만곡되고, 상기 반사 시트는 부분적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바텀 샤시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 시트와 이격되도록 상기 반사 시트 상에 광학 시트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반사 시트의 절개 홀은 상기 광학 시트와 중첩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와 상기 표시 패널을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광학 시트 상에 상기 표시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 시트의 절개 홀은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70096159A 2017-07-28 2017-07-28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360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159A KR102360047B1 (ko) 2017-07-28 2017-07-28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5/847,841 US10466535B2 (en) 2017-07-28 2017-12-19 Backlight uni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acklight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159A KR102360047B1 (ko) 2017-07-28 2017-07-28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206A true KR20190014206A (ko) 2019-02-12
KR102360047B1 KR102360047B1 (ko) 2022-02-08

Family

ID=65138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159A KR102360047B1 (ko) 2017-07-28 2017-07-28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66535B2 (ko)
KR (1) KR1023600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496220U (zh) * 2019-01-02 2019-10-15 北京京东方茶谷电子有限公司 背光模组和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2307A1 (ja) * 2015-07-01 2017-01-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41439B (en) 2004-06-30 2005-10-1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Positioning mechanism for reducing noise in back light unit
JP4543813B2 (ja) * 2004-08-04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このバックライト装置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101222152B1 (ko) * 2006-02-06 2013-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1239823B1 (ko) * 2006-06-26 2013-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US20150362653A1 (en) * 2014-06-17 2015-12-17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2307A1 (ja) * 2015-07-01 2017-01-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66535B2 (en) 2019-11-05
US20190033662A1 (en) 2019-01-31
KR102360047B1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1720B2 (en)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292476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5150762B2 (ja) 光源ユニット、照明装置、表示装置、テレビ受信装置、及び光源ユニット用反射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8041639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WO2011080979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9612474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20092568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2015143862A (ja) 表示装置
US20130128128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KR20110003777A (ko) 광학 어셈블리,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083936A (ja) 液晶表示装置モジュール
US20120086885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20080011959A (ko) 사이드 몰드,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 장치
US20180231839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JP5476478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1111444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190034368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8144287B2 (en) Optical member unit, lighting device for display, display, and television receiver
WO2011055635A1 (ja) 光源ユニット用母材、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20120287352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WO2011089960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8203668B2 (en) Optical member unit, lighting device for display, display, and television receiver
WO2011062023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9116277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20160059005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