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006A - 전도성 ptfe-mwcnt복합소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도성 ptfe-mwcnt복합소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006A
KR20190014006A KR1020190006570A KR20190006570A KR20190014006A KR 20190014006 A KR20190014006 A KR 20190014006A KR 1020190006570 A KR1020190006570 A KR 1020190006570A KR 20190006570 A KR20190006570 A KR 20190006570A KR 20190014006 A KR20190014006 A KR 20190014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ptfe
stirring chamber
temperatur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철균
Original Assignee
엘에프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프피(주) filed Critical 엘에프피(주)
Priority to KR1020190006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4006A/ko
Publication of KR20190014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0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9/1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8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9/82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the receptacle comprising a rotary part, e.g. the bottom, and a stationary part, e.g. the wall, with optional use of a stirrer; the receptacle comprising parts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 B01F15/00357
    • B01F15/00396
    • B01F15/00487
    • B01F15/0078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40Parts or components, e.g. receptacles,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 B01F29/401Receptacles, e.g. provided with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8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9/84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3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5Closure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receptacles; Operating mechanisms therefor
    • B01F35/451Closure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receptacles; Operating mechanisms therefor by rotating them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opening
    • B01F9/0034
    • B01F9/1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PTFE와, MWCNT와 유기용매를 투입해 1차교반후 커플링제커플링제여 중간 결과물을 생성하고, 중간 결과물에서 유기용매를 원심분리하여 제거후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제품화시킨 전기 저항이 1.0E+00Ω.㎝ ~ 1.0E-02Ω.㎝의 체적 저항률(Volume Resistivity)인 전기 전도성 기능을 갖는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PTFE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시키면서도 낮은 전기저항으로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고분자 수지 소재로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도성 PTFE-MWCNT복합소재 제조방법{Polytetra fluoroethylene-carbon nano tube composite fabrication method with good electronic property}
본 발명은 화학적 저항이 우수한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Polytetrafluoroethylene) 수지에 탄소계열 소재를 병합하여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전도성 폴리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이하, "PTFE-MWCNT"라 칭함) 복합소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 유해 화합물을 다루는 산업군이 아주 많다. 유해 화합물이란, 염산, 질산, 황산 등 강산, 강알카리, 독성을 가진 물질을 말하며, 이는 반도체 유해 화합물을 만드는 케미컬 제조 공장 PCB, 도금 공장 등이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급속히 유해 화합물 유출 사고가 증가하여 환경오염, 이로 인한 화재 등으로 인한 2차 사고, 사고로 인한 재산적 손실이 증가하고 있다. 이 사고를 분석하여 보면 작업자의 부주의가 가장 크고 다음이 시설 관리의 미흡이다. 이러한 시설관리의 핵심으로 유체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내화학성이 뛰어난 고감도 센서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반도체 산업에서 산성용액으로 세척하는 공정에서의 용액 유출 사고를 감지하는 장치 즉 고감도 센서(sensor)가 필요하며 빠른 신호의 전달을 위하여 우수한 전기 전도성이 필요하다. 우수한 전기 전도체인 금속은 산성 물질에 화학적 저항이 매우 취약하여 사용이 불가하다.
이와 같이 센서의 소재로 부식의 문제 때문에 금속을 사용하지 못하고, 또한 반도체 등의 고청정 관리 구역에서는 소재에서 파티클(Particle)이 발생되지 않아야 되기 때문에 이를 만족시키는 센서의 소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은 이에 적합한 센서의 신소재가 필요하고, 신소재는 파티클(Particle)이 발생되지 않아야 하며, 부식이 되지 않는 내화학성을 가져야 되고, 고온에서 견디고 특히 고효율 센서의 기능을 하는 금속을 대체 할 수 있는 신소재가 필요하다.
종래에도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서, 고분자 수지에 전기 도전성을 위한 도전 충진제를 혼합한 복합소재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각종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고분자 수지의 제조시 도전성 충진제로서, 공지의 카본블랙(carbon black), 그라파이트(graphite), 은(silver), 구리(copper), 니켈(nikel),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은 미세한 금속성 분말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전성 충진제들이 상기 고분자에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는, 상기 충진제들이 고분자 수지 내부에서 입자끼리 연속성을 가지는 경로(pathway)의 형성이 필요하다. 즉, 금속 입자나 카본블랙 입자가 물질 속에서 아주 가까이 접촉되어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입자들이 서로 전자를 연결(jumping)시켜줄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카본블랙을 우레탄 수지에 배합하여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 수지의 중량에 대하여 대체로 15~30 중량% 정도의 카본 블랙이 사용되지만, 보다 좋은 전도성을 얻기 위하여는 40 중량% 이상 사용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다량의 카본블랙의 투입은 그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을 어렵게 하고, 수지의 용융 점도탄성(melt viscoelasticity)을 감소시키며, 상기 충진제 입자들이 서로 응집하여 점도가 극도로 상승하는 원인이 된다. 그 결과, 고분자 수지 자체 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마모에 의한 오염 및 전기 전도성 단락 등의 에 의한 문제가 발생 된다. 한편, 금속분말을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금속분말은 카본블랙 보다 비표면적이 작아 2~3배 이상의 양만큼 배합하여야 전도성이 일어나는데, 이 경우 분산성이 나빠지고, 비중이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고분자 수지 또는 탄성체에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는 구체적인 예로서는, 일본특개평 9-000816호, 일본특개평 2000-077891호, 미국특허 6,768,524호, 미국특허 6,784,363호 및 미국특허 4,548,862호 등이 있다.
또한, 고분자 수지와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전도성 복합소재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7647호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의 제조방법"과,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8154호 "유동층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적용한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등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선행 문헌의 기술들은 상기와 같이 유해 화학물질의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소재와 같이 아주 높은 내화학성을 요구하면서도 금속을 충분히 대신할 만큼의 전기 전도도가 요구되며, 다양한 특성을 요구하는 화학공정에서의 용액누출 고감도 감지센서의 소재로는 적합하다고 할 수 없었다.
따라서, 화학물질에 강한 내화학성과 낮은 전기저항, 클린(Clean) 공정 등의 오염방지가 요구되는 특정한 장소 및 환경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7647호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8154호 "유동층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적용한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학물질에 강한 내화학성과 낮은 전기저항, 클린(Clean) 공정 등의 오염방지가 요구되는 특정한 장소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도성 PTFE-MWCNT 복합소재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저항이 1.00E+00Ω.㎝ ~ 1.00E-02Ω.㎝ 체적저항률이 되는 전도성 PTFE-MWCNT 복합소재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적 저항이 우수한 고분자 소재에서 화학적 저항이 가장 우수하다고 알려진 PTFE(Polytetrafluoroethylene)수지를 선정하고,
고분자물질에 전기 전도성을 위하여 충진시키는 충진제 중에서 전기 전도도가 가장 뛰어나다고 알려진 최첨단 나노 소재인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를 선정하여,
내화학성을 물성을 갖고 있는 PTFE에 전기 전도성 충진제로서 MWCNT를 합성한 복합소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도성 PTFE-MWCNT 복합소재는
PTFE 파우더 10 ~ 30 중량%, MWCNT 1 ~ 10중량%, 유기용매 59.9 ~ 88.1중량%, 커플링제인 C60H123O15P3Ti 0.1 ~ 0.9중량%를 투입하여 교반후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건조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을 갖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은,
PFTE와 MWCNT를 준비하며, 나노입자 특성인 반데르바알스력(Van der Waals force's)에 의한 뭉침 현상을 제거하여 분산된 MWCNT로 준비하고, 교반 챔버의 온도를 미리 설정한 범위 내의 온도로 조절하는 준비단계와;
교반 챔버에 PTFE 파우더와, 분산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및 유기 용매를 미리 설정된 총량 대비 각 원료별 비율로 투입하는 원료투입단계와;
교반 챔버 내의 압력을 미리 설정한 범위 내의 압력으로 조절하면서 투입된 총 원료량에 비례하는 교반 시간동안 교반하는 1차 교반단계와;
1차 교반 후에 커플링제인 C60H123O15P3Ti를 총 원료량에 비례하여 미리 정해둔 범위의 량을 투입하는 커플링제 투입단계와,
커플링제를 투입한 후, 미리 정해둔 시간동안 교반하는 2차 교반단계와;
2차 교반후, 액상의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유기용매 제거단계와;
액상의 유기용매를 제거한 조성물을 저온 건조시켜 PTFE에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가 합성된 복합소재를 제조하는 저온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합성된 복합소재를 분쇄 가공하여 파우더(Powder), 시트(Sheet), 필름(Film) 또는 바(Bar) 중 어느 하나의 제품으로 제품화하는 제품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1차 및 2차 교반단계는,
교반 챔버 내에 삽입된 혼합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혼합 스크류 회전단계와,
교반 챔버를 상기 혼합 스크류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교반 챔버 회전단계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스크류는 5,000 ~ 1,5000 RPM의 회전속도로 고속 회전시키고, 상기 교반 챔버는 1 ~ 200 RPM으로 저속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교반 챔버 회전단계는, 간헐적 회전방식으로 온/오프를 반복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투입되는 원료는,
투입되는 원료의 100 중량% 대비,
PTFE 파우더 10 ~ 30 중량%, MWCNT 1 ~ 10중량%, 유기용매 59.9 ~ 88.1중량%, 커플링제인 C60H123O15P3Ti 0.1 ~ 0.9중량%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교반단계는,
교반되는 원료의 점도(Viscosity)가 3,000CPS ~ 5,000 CPS가 되는 교반시간을 실험적으로 구하여 1차 교반시간을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 챔버의 온도는 30 ~ 60도의 온도범위로 유지하고, 압력은 10~20N/㎠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 제거단계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액상의 유기용매를 분리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교반장치는,
고분자소재 원료를 교반시켜 고분자 복합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교반장치로서,
교반 물질을 투입해 교반시키기 위한 내통과, 그 내통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감싸는 외통이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내통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 챔버와;
교반 챔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상면에 결합되어 교반 챔버의 상면을 밀폐시키기 위한 뚜껑과;
상기 뚜껑을 승하강시켜 교반 챔버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 승하강장치와;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교반 챔버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혼합 스크류와;
상기 교반 챔버를 회전시키 위한 교반 챔버 회전장치와;
상기 뚜껑을 관통하는 회전축을 회전시켜 혼합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혼합 스크류 회전장치와;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압력변이 설치되어 교반 챔버 내부 압력을 검출하고,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장치과;
상기 교반챔버의 내통과 외통 사이의 공간에 주입된 온도조절매체 및 상기 온도조절매체의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교반챔버 내부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장치;
상기 교반 챔버 회전장치와, 상기 혼합 스크류 회전장치와, 상기 압력조절장치 및 온도조절장치를 운전자의 설정입력과 조작에 의해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 챔버 내통의 상단 테두리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뚜껑의 하면 테두리에 설치되고, 정지된 뚜껑에 대해 교반 챔버의 내통이 회전 가능하게 상호 미끄럼 접촉되는 교반챔버 미끄럼 접촉판과, 뚜껑 미끄럼 접촉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뚜껑의 미끄럼 접촉판이 형성된 내측에, 상기 교반 챔버 내통의 내주연에 대응되어 미끄러짐이 가능한 직경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내통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PTFE와, MWCNT 및 유기용매를 교반장치에 투입하여 적정한 열과 압력을 가압한 상태에서 고속으로 교반시키고 적정 점도에서 커플링 에이젼트를 투입해 교반시킴으로써, PTFE 분자구조에서 하나의 F대신에 CNT가 교환되어 결합하는 구조로 그라프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금속을 대체할수 있는 낮은 전기저항을 갖는 전도성 PTFE-MWCNT 수지를 제조할 수 있고, PTFE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초전도성 복합소재로서 제조될수 있어서 반도체 공정, 화학물 제조공정, PCB 제조공정 및 도금 공정과 같은 곳에서 강알칼리 독성을 가지는 유해화합물의 누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소재로서 본 발명의 전기 전도성 기능을 갖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분자 소재 중에서 화학적 저항이 가장 우수하다고 알려진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수지를 선정하였고, 도전 충진제로서 CNT를 첨가하여 합성한 전기 전도성 기능이 있는 PTFE+CNT 복합소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따라 PTFE 자체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초전도성 기능을 갖는 복합소재를 제공할 수 있어서, 화학물질에 강한 내화학성과 낮은 전기저항, Clean 공정 등의 오염방지가 요구되는 특정한 장소 및 환경에서는 사용이 가능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소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까지 낮은 전기적 저항대인(1.0E+00Ω.㎝ ~ 1.0E-02Ω.㎝의 Volume Resistivity)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1.0E+00Ω.㎝ ~ 1.0E-02Ω.㎝의 체적 저항율(Volume Resistivity)) 전기적 저항을 실현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초전도성 PTFE+CNT 나노복합소재를 이용한 전기, 전자, 통신, 자동차, 의료, 항공 등등의 여러 분야에서 적용이 가능하게 되어 높은 품질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고분자 수지에 전기 전도성을 부여한 조성물의 전기 저항에 대한 분류 비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조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탄소나노투브 투입량에 따른 전기 저항 변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표면의 광택 및 오염도 측정 비교 사진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PTFE+MWCNT 복합재료의 전기 체적 저항 측정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고분자 수지 복합 교반장치의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고분자 수지 복합 교반장치 블록도.
도 8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의 뚜껑 탄력지지수단의 구성도.
도 9 및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끄럼 접촉판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교반 챔버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
도 12은 본 발명에 의한 교반 챔버의 또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기초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PTFE+CNT의 복합소재 제조방법과 전기 저항치가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저항치로서 초전도성 고분자 수지임을 설명한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응용 및 변형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폴리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PTFE)에 전기 전도성 부여를 위한 탄소나노튜브를 결합한 전기 전도성 기능을 갖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를 제공한다.
상기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은, 내화학성, 비점착성, 방오성, 내열성, 마찰특성이 우수한 소재이고, 탄소나노튜브는, PTFE에서 부족한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기 것으로서 복합소재 전체가 전기 전도성을 가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의 기본 성질을 유지하면서 금속과 같은 우수한 전기 전도도를 갖는 복합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분자 소재중에서도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난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PTFE(Polytetra fluoroethylene)[CF2CF2]를 기반으로 연구개발 되었다.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 polytetrafluoroethylene)은 내약품성, 전기적 특성(Electrical characteristic ; 절연특성), 비점착성, 방오성, 내열성, 마찰특성 등의 여러 가지 특성이 뛰어나다. PTFE 소재는 일반적으로 마찰감소가 필요한 회전체의 씰링(sealing), 가스켓(gasket), 및 오링(O-ring), 화학물질의 이송파이프(pipe), 내열성 오염방지 필름(film) 등의 여러 가지 산업 분야에서 넓게 사용되고 있다.
PTFE(Polytetra fluoroethylene)는 외부의 다른 물질을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에 내화학성 및 방오성이 현존하는 고분자 물질 중에서 가장 우수하다. 그러나 그런 뛰어난 특성으로 인하여 PTFE(Polytetra fluoroethylene) 고분자 수지에 특수한 기능으로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기란 매우 어렵다.
한편, 금속을 대체하려면 전기 저항이 최소(<1.0E+00Ω.㎝ Volume Resistivity) 낮은 저항을 보여야 한다.
도 1은 고분자 수지에 전기 전도성을 부여한 조성물의 전기 저항에 대한 분류 비교도이다.
일반적인 고분자 수지는 절연체로서 체적 저항률(Volume Resistivity; 이하, '전기 저항'이라 혼용함)( <1.00E+13Ω.㎝ ~ 1.00E+14Ω.㎝ ↑)이고, 고분자 수지에 도전성 충진제를 투입하여 전기 저항(1.00E+07Ω.㎝ ~ 1.00E+12Ω.㎝ )의 대전체(Antisatic), 전기 저항 (l.00E+04Ω.㎝ ~ 1.00E+06Ω.㎝)의 산일체(Dissipative), 전기 저항(1.00E+01Ω.㎝ ~ 1.00E+3Ω.㎝ )의 전도체(Conductive)의 용도로 분류되고 있으며, 고분자 수지에 도전성 충진제를 투입한 기존 조성물들이 이에 해당된다. 일반적인 PTFE수지의 전기 저항은 (1.0E+15Ω.㎝ ↑)특성을 보인다.
금속을 대체할 전기 저항은 1.00E+00Ω.㎝ 이하를 요구하고 있는데, 현재까지 낮은 전기적 저항대인 (1.0E+00Ω.㎝ ~ 1.0E-02Ω.㎝의 Volume Resistivity) 불가능 하였으나, 본원 발명에 의한 PTFE+MWCNT 복합소재('특허 조성물')는 ( 1.00E-01Ω.㎝ ~ 1.00E-02Ω.㎝ Volume Resistivity)의 전기 저항을 실현하였다.
상기 저항의 표식에서 (1.0E+00Ω.㎝ ~ 1.0E-02 ohm): 1.0은 정수이며, +는 가 아님을 나타내며 00 ~ 은 10의0승 이고 -02 10의 마이너스 2승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고분자 수지에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을 응용하여 PTFE(Polytetra fluoroethylene)고분자 물질에 전기 전도성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탄소계열의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그래핀, 흑연 등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첨가하여야 하는데 합성이 매우 어려운 게 현실이며, 국내의 소재 생산업체는 전무하다.
경쟁 현황을 보면 세계적으로 아직 PTFE와 CNT를 합성한 복합 소재가 없어서 직접적으로 비교를 할 수 없으나, 현재 가장 이 분야에서 앞서가는 회사는 프랑스의 세인트 고바인 사로 볼 수 있다. 세인트 고바인 사는 전도성 물질로 카본 블랙(Carbon Black)을 사용하고 있어서 파티클(Particle) 때문에 고청정 지역에서 사용하는데 문제가 있다. 고바인사의 전도성 PTFE 제품의 Spec은 전기저항에서 3승 옴으로 금속 대체재로 사용할 수 있는 -2승 옴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다른 회사로는 다이네온 사가 있는데 물질의 형태가 카본블랙(Carbon Black)을 사용한 잉크(INK) 형태이기 때문에 내구성과 적용에 제한이 있다.
또한, 그래핀, 카본블랙, 흑연, 카본 파이버 등은, 전기 전도도 면에서 탄소나노튜브에 비해 떨어지고, 전도성 입자가 서로 전자를 연결(jumping)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량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PTFE의 기본 특성이 떨어지고, 마모나 오염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며, 전기 전도성 영역에서는 탄소나노튜브와 하나 이상의 물질을 혼합 사용이 좋은 효과가 있으나 혼합 사용시 단락에 의한 오염이 발생되는 결과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한 고바인사의 PTFE 제품은 (<1.0E+03Ω.㎝ Volume Resistivity) 이상으로서 금속을 대체할 정도의 전기전도도를 가지지 못하여 민감도를 요구하는 센서분야의 소재와 같은 곳에는 사용하기 어렵고, 사용분야에 제한이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모 등에 의한 오염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도전성 충진제로서 탄소나노튜브를 단독으로 투입하는 것을 선정하여 해결하고, 전기 전도성 문제는, 탄소나노튜브와 PTFE를 그라프트(Graft)방식을 활용하여 매트릭스(Matrix) 상에 PTFE와의 결합화하여 탄소나노튜브의 전기 전도성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단락에 의한 오염 문제를 해결하였다. 여기서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수도 있고,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가성비 측면에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PTFE와, MWCNT 및 유기용매를 교반 챔버에 넣고 교반하다가 커플링제인 C60H123O15P3Ti를 투입해 교반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특수 열가압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저항(<1.0E+00Ω.㎝ ~ 1.0E-2Ω.㎝ Volume Resistivity)인 전기 전도도를 갖도록 고분자 물질 PTFE(Polytetra fluoroethylene)에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하여 전기 전도성이 금속을 대체하기에 충분하면서도 PTFE의 내화학성, 내마모성, 고내열성, 고광택 등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전기 전도성 기능을 갖는 PTFE+MWCNT 복합소재를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조공정도이다.
PTFE+MWCNT 복합소재 조성물 제조 순서는 100 Weight% 기준에서
1. 교반 챔버 온도를 30도 ~ 60도 자동 냉각, 가열하는 준비단계(S10).
2. 교반 챔버에 PTFE 파우더(10um~250um) 수지를 10중량%~30중량% 투입하고, 교반 챔버에 MWCNT탄소나노튜브 1중량% ~ 10중량% 투입하며, 유기 용매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를 59.9중량% ~ 88.1중량% 투입하는 원료 투입단계(S20).
3. 교반기 압력(10~20N/㎠)을 조절하면서 교반기 혼합 스크류를 RPM 5,000~15,000의 변환 구동하고, 교반 챔버를 반대방향으로 RPM 10 - 200의 변환 구동하여 교반하는 1차교반단계(S30).
4. 교반 챔버 내부의 점도(Viscosity)가 3,000 CPS ~ 5,000 CPS가 되면 커플링제(Coupling Agent)인 C60H123O15P3Ti를 0.1중량% ~ 0.9중량% 투입하는 커플링제 투입단계(S40).
5. 커플링제를 투입 이후 30分 ~ 60分 반응 교반시켜 정지하는 2차 교반단계(S50).
6. 교반 챔버에서 원심분리기로 이송하여 액상의 유기 용매 제거하는 유기용매제거단계(S60).
7. 액상 유기용매가 제거된 복합소재 조성물의 잔존 가스를(<50PPM)관리하는 저온건조 단계(S70).
8. 상기 저온건조단계(S70)에서 완성된 복합소재를 제품화하기 위하여 적정 사이즈로 분쇄한 후 파우더로 제품화하거나 파우더를 이용하여 시트, 바 등으로 제품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조 방법은,
준비단계(S10)는, PTFE파우더와, MWCNT 파우더와, 유기용매 및 커플링제를 원료로서 준비한다. 여기서 MWCNT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한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는 자체적인 뭉침 현상이 있는 소재로서 분산처리를 거친 MWCNT를 사용한다. 즉, 반데르 바알스 힘(van der Waals force)을 약화시켜 주변 온도에 의한 뭉침 현상을 제거한 분산 처리된 MWCNT를 준비한다. 그리고 교반챔버를 적당한 온도가 되도록 조절하는데 본 발명의 실험에서는 30 - 60℃로 조절하는 것을 예로 하였고, 초기에 30℃정도로 온도를 조절한다.
원료투입단계(S20)는, PTFE파우더와, MWCNT 파우더와, 유기용매를 투입한다. 유기용매는, 솔벤트가 포함되는 것으로서, PTFE는, 10 - 50nm 크기를 투입하게 되고, 솔벤트를 포함하는 유기용매를 투입하여 교반시킴으로써, 0.5㎛ 이하 크기로 만들면서 PTFE의 반데르바알스 힘을 약화시켜 재응집을 방지한다. CNT는 분산처리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 5 ~ 15nm 크기를 투입한다.
1차 교반단계(S30)는, 교반챔버 내에 삽입 설치되는 회전스크류와, 교반챔버 자체를 회전시켜 교반시킨다. 이때 교반 챔버 내부 온도와 압력을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온도는 준비단계에서 설정된 약 10℃이상에서 교반을 시작하며, 압력은, 약 1기압 즉, 10N/㎠의 압력으로 교반을 시작한다. 즉, 초기시작단계에서는 압력과 온도를 별도 조절하지 않고 통상의 실온 및 대기압하에서 교반을 시작할 수 있다. 다만, 교반 중에는 온도상승과 압력이 상승 되므로 실험적으로 구해진 온도와 압력 범위를 유지하도록 조절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교반 시작시 온도를 10 ~ 30℃로 상승시키되, 교반중 100℃를 넘지 않도록 조절하고, 시작단계에서 10N/㎠ 압력으로 교반을 시작하고, 교반시 압력을 조절하여 교반 종료단계에서 20N/㎠를 추종하도록 압력을 조절하여 교반한다.
교반방법은, 교반챔버 내부의 회전스크류는 5,000 ~ 15,000RPM의 범위에서 속도를 가변시키면서 회전시키고, 교반챔버는 10 ~ 200 RPM 범위에서 속도를 가변시키면서 회전시킨다. 이때 교반기 내부의 회전스크류와, 교반챔버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중 역회전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내부 교반되는 물질들이 받는 회전 압력이 더 배가되어 좀 더 교반이 잘되게 한다. 고속회전 교반으로 인해 내부 압력과 온도가 상승 되는데, 압력은 10N/㎠ ~ 20N/㎠정도로 제한하고, 온도는 100℃를 넘지 않도록 한다. 온도 및 압력은 교반챔버에 온도조절수단과 압력조절수단을 설치해 조절함과 아울러 교반되는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연동시킬 수도 있다.
커플링제 투입단계(S40)는, 교반 물질의 점도가 미리 설정된 점도일때 커플링제인 C60H123O15P3Ti를 정해진 레시피에 따른 용량을 투입한다. 교반 챔버 내부에서 교반되는 물질의 점도를 측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원료 투입 총량에 대응하여 교반되는 원료의 점도(Viscosity)가 3,000CPS ~ 5,000 CPS가 되는 1차 교반시간을 실험적으로 구하여 1차 교반시간을 결정한다. 따라서 투입 원료 총량에 대응되는 1차 교반시간이 경과되면 교반되는 내부 물질의 점도는 3,000CPS ~ 5,000 CPS의 범위에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이에 따라 1차교반 시간이 경과되면 커플링제를 투입한다.
커플링제는, PTFE와 하나 이상의 물질과 계면간의 친화력 및 성반응을 높일 수 있도록 C60H123O15P3Ti를 사용하되, 중량 100% 중량당비에서 0.3중량%~0.6중량% 첨가한다.
이때, 상기 C60H123O15P3Ti는 Titanium(4+) dioctyl phosphate 2,2-bis[(allyloxy)methyl]-1-butanolate (1:3:1)로 명명되며, 평균분자량(Average mass):1225.398 Da인 커플링제로서, 구조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01
2차 교반단계(S50)는, 커플링제를 투입하여 반응교반을 시키는 단계로서, 온도와 압력 및 시간을 실험적으로 구하여 정해둔 레시피에 따라 2차 교반단계를 실행한다. 2차 교반을 하게 되면, 고체가 가스 및 액체를 흡수하여 80wt%의 페이스트 상태 중간 결과물이 형성된다.
유기용매 제거단계(S60)는, 상기 교반단계에 의해 생성된 페이스트 상태의 중간 결과물을 원심분리기로 옮겨 액체와 가스를 분리 제거한다.
저온 건조단계(S70)는, 중간 결과물에서 액체 상태의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난 페이스트상태의 중간 결과물을 제습과 함께 저온 건조시킨다. 저온 건조에 의해 굳어진(bake) 상태로 만들면 원하는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후, 이렇게 얻어진 조성물을 사용 용도에 맞게 제품화 한다. 베이크 상태로 덩어리진 조성물을 분쇄하여 분말화 한 파우더나, 분쇄하여 분말을 시트로 압착시킨 시트 또는 로드로 압출하거나 기타 원하는 형태로 제품화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전도성 기능을 갖는 PTFE + CNT 복합소재를 제공한다.
PTFE + CNT 교반 시 최적 비율, 최적 압력, 최적 온도 조건은,
PTFE와 하나 이상의 물질과 계면간의 친화력 및 반응성을 높이기 위하여 커플링제인 C60H123O15P3Ti를 중량100% 중량당비에서 0.3중량%~0.6중량%를 첨가하였으며, 챔버온도는 2차 교반단계에서 60~70℃를 유지하고, 압력은 10~20N/㎠, 혼합 스크류 회전속도는 5,000~10,000 RPM, 시간은 30~60분 조건에서 그라프트(Graft) 방식으로 중합물을 제작하였으며, 일반 PTFE와의 기계적 물성, 전기적 물성을 상대비교하였다[표 1]. 이때 기계적인 물성, 전기적 물성 그리고 외관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아울러, PTFE 분자간의 결합에 열을 가하여 분자간의 사이를 벌림으로써 포텐셜(potential)을 상승시키는데, 적정온도는 PTFE의 융해점의 온도(약 325℃)가 가장 이상적이나 아쉽게도 PTFE는 열에 의한 경화가 발생되어 탄소나노튜브와의 그라프팅(GRAFTING )접합 공정이 불가하다.
따라서, 높은 열은 최종 제품 성형 작업에서 이루어져야 되며,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최소한의 열을 사용하여 분자간의 거리를 넓히기 위해서 압력 챔버(chamber)를 이용하였으며, 압력은 시작 10 N/㎠에서 종료단계에 20N/㎠을 유지한다. 상기의 실험을 통해 기존 제품보다 우수한 물성의 조성물 제조가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탄소나노튜브는 뭉침(Bundle)을 개선한 분산 처리된(Dispersed) MWCNT를 사용하였으며, 종횡비(Aspect ratio)는 지름(Diameter) 5nm이하, 길이(Length) 50nm 이하의 종횡비가 적용되었다. 상기의 종횡비가 본 연구에서는 조성물의 표면 광택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탄소나노투브 투입량에 따른 전기 저항 변화 그래프이다.
낮은 저항값을 얻기 위하여 조성물 weight 100% 중량당비에서 탄소나노튜브의 중량%는 전기적 저항 체적 저항률(Volume Resistivity) 1.0E+00Ω.㎝은 3~4중량% 이며, 전기적 저항 체적 저항률(Volume Resistivity) 1.0E-02Ω.㎝은 4~6%의 중량이 바람직하며, 더욱 더 낮은 저항값을 얻기 위하여 7~10중량%를 첨가하였으나 전기적 저항 체적 저항률(Volume Resistivity) 1.0E-02Ω.㎝은 변하지 않았다. 실험의 목표치는 CNT의 투입량을 증가시키는 것과 비례하여 저항치가 감소될 것을 기대하였으나, 실질적으로 저항의 변화가 없는 수렴구간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TFE에 CNT가 첨가되지 않을시 전기 저항은 1.0E+14Ω.㎝으로 절연체이고, CNT 5wt% 시, 전기저항 1.0E-01Ω.㎝을 보이고, CNT 6wt% 시 전기저항 1.0E-02Ω.㎝를 얻을 수 있었고, CNT 7wt% 시 전기저항 1.0E-02Ω.㎝로서 투입량이 증가되어도 전기 저항치는 변화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 탄소나노튜브는 조성물 weight 100% 중량당비 6중량%~7중량% 함량이 1.0E-02Ω.㎝의 최대 영역이며, 그 첨가량이 늘어나도 전기적 저항이 변하지 않는 수렴 구간이 확인되었다.
PTFE와 하나 이상의 물질과 계면간의 친화력 및 성반응을 높이기 위하여 커플링제인 C60H123O15P3Ti를 Weight 100% 중량당비에서 0.3중량%~0.6중량% 첨가하였으며, 챔버 온도 60℃~70℃를 유지하며 압력 10~20N/㎠, 혼합스크류 5,000~10,000 RPM, 시간 30분~60분 그라프트(Graft) 중합물을 제작하여 기존 외국사의 전도성 PTFE(polytetrafluoroethylene)와의 기계적 물성, 물리적 물성을 상대비교 하였다.
기존 전도성 PTFE(polytetrafluoroethylene)와 연구개발 PTFE의 기계적 물성, 물리적 물성 비교

인장강도
kgf/㎠
ASTM D638

굴곡탄성
kgf/㎠
ASTM D790

충격강도
kqf/㎠
ASTM D256

비중
ASTM D792

외관

저 항
Ω.㎝
ASTM D257

기존제품

250 ~ 350

4,650

10 ~ 12

2.0 ~ 2.2

우수

1.0E+02 ~ 03

본발명제품

400 ~ 500

5,800

11 ~ 13

2.0 ~ 2.2

매우우수

1.0E-01 ~ -02
여기서, 기존제품은 프랑스 세인트 고바인사의 전도성 PTFE 제품이고, 이 기존 제품과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 제품을 비교하였다. 기존의 카본 블랙을 첨가한 제품에 비해 본원발명에 의한 제품은 거의 대부분 측정 분야에서 향상되었고, 특히 금속 대체가 가능한 낮은 전기 저항을 가진 것을 알 수 있다.본 발명은 조성물을 0.3mm의 두께로 시트를 제작하여 통상의 실험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여 인장강도, 굴곡탄성, 충격강도 및 비중을 실험하여 측정비교하고, 외관은 시각적으로 판단하였으며, 저항은 시편을 제작해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실험하여 기존제품과 본원발명제품을 비교해본 결과 인장강도, 굴곡탄성, 충격강도는 기존제품보다 우수하고, 비중은 같으며, 외관은 매우 우수하고, 특히나 저항은 기존제품과 비교할 수 없는 정도의 큰 특성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금속을 대체하기 위한 목적의 저항치를 충분히 구현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표면의 광택 및 오염도 측정 비교 사진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PTFE+MWCNT 복합재료의 전기 체적 저항 측정 설명도이다.
본 연구의 조성물제조 공정도와 기존의 제품과 연구개발 제품을 0.3mm의 필름을 만들어 표면의 상태와 오염도를 측정하여 검증 기록하였다.
도 4의 사진 도면에서 좌측 첫번째 사진 (가)의 1.일반 전도성 PTFE는, 기존 외국사의 카본블랙을 첨가한 전도성 PTFE를 샘플로 하였고, 이는 마모로 인한 슬러지 발생과, 전기 전도도의 단락이 발생 되었다. 가운데 사진 (나)의 2. CNT 5%+PTFE는, PTFE에 5중량%의 CNT를 첨가하여 합성한 복합재료에 대한 것으로서, 표면 상태에 흰색의 얼룩 반점 및 핀홀이 나타나는 등 표면 상태가 불량하였다. 우측 사진 (다)의 3.CNT5%+PTFE+C.A는, PTFE에 5중량%의 탄소나노튜브와 커플링제인 C60H123O15P3Ti를 투입하여 합성한 결과를 보인 것으로서, 표면 조도, 분산 오염 상태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즉, PTFE에 CNT를 5중량%를 투입 합성할 때 C60H123O15P3Ti를 첨가하여 교반 합성한 결과가 가장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조성물 평가 비교(◎ : 매우 좋음, ○ : 좋음, △ : 보통, X : 나쁨)

▶기존전도성
PTFE

▶탄소나노튜브 5%
▶PTFE

▶탄소나노튜브 5%
▶PTFE
▶Coupling Agent

▶탄소나노튜브 8%
▶PTFE
▶Coupling Agent

조성물
외관 조도





조성물
내부 단면





조성물
조도 및 오염성




여기서, 기존 전도성 PFTE는 고바인사의 카본블록을 첨가한 전도성 PTFE를 샘플로 하였다. 외관조도는 각 샘플 시트의 외관을 시각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내부 단면을 절단된 단면을 확인하였고, 조도 및 오염도는 조도는 조명 반사도를 살펴본 것이고, 오염도는 표면을 문질렀을 때 오염물질이 묻어나는지를 검사하였다. 또한, 표에는 표시되지 않았으나 단락 오염도 즉, 전기 전도도가 균일한지의 여부는 도 5의 (다와 같이 측정접점을 이용하여 시트의 전 면적의 각 위치에서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실험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PTFE+CNT 복합 재료의 전기 체적 저항 측정은 도 5의 (가)와 같이 0.3mm 두께의 시트를 제작하고, 폭 1인치 즉, 15㎝ X 10㎝ X 0.3mm로 시편을 준비하고, 표면의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 이후 (나)의 두번째 사진과 같은 저저항계측기(HIOKI M-3548)을 사용하고, ASTM D257 측정방법에 준하여 1인치/sq 구간내의 체적 저항을 측정하였다, 측정대의 저항은 1.0E+14Ω.㎝ 이상의 조건을 유지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시편, 즉, PTFE에 5중량%의 CNT와 커플링 에이젼트를 투입해 교반하여 제조된 복합 소재의 시편을 위의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1.0E-02Ω.㎝의 결과를 얻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분자 소재 중에서 화학적 저항이 가장 우수하다고 알려진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수지를 선정하였다. 일반적인 PTFE수지의 전기적 저항은 Volume Resistivity (1.0E+15Ω.㎝ ↑)특성을 보인다. 현재까지 낮은 전기 저항대인 1.0E+00Ω.㎝ ~ 1.0E-02Ω.㎝의 Volume Resistivity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1.0E+00Ω.㎝ ~ 1.0E-02Ω.㎝의 체적 저항율(Volume Resistivity))을 실현하였다.
PTFE(Polytetrafluoroethylene)는 이미 화학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었지만 기존의 전도성 PTFE(Polytetrafluoroethylene)소재의 전기적 저항은(1.0E+01Ω.㎝ ~ 1.0E+03Ω.㎝ Volume Resistivity) 이며, 탄소 소재인 카본블랙과 금속을 병합하여 개발되어 마모 및 오염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화학물질에 강한 내화학성과 낮은 전기저항, Clean 공정 등의 오염방지가 요구되는 특정한 장소 및 환경에서는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PTFE(Polytetrafluoroethylene)의 자체 물성을 보존하며 기존의 제품보다 월등한 전기적 저항(1.0E+00Ω.㎝ ~ 1.0E-02Ω.㎝ Volume Resistivity)을 실현 하였으며 단락에 의한 오염에서도 매우 뛰어난 효과가 검증되었다.
이 결과는 단순하게 전도성 물질의 함량만을 높인다고 하여서 저항과 오염이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본 연구개발 조성물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도 3, 도 4 및 [표 1], [표 2]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기존의 전도성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제품보다 10배에서~100,000배 정도 우수한 전기저항 성능과 카본에 의한 오염이 없는 제품 개발을 성공하였으며, 이것은 국가 경제발전과 수입에 의존해온 전도성 PTFE 제품의 고단가, 납기, A/S 문제를 해결하게 되었으며 반도체, 화학, 의료, 전자기파(EMC)설계 등등 여러 산업 영역에서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와 같이 전도성 PTFE+MWCNT 복합소재는 기존의 제품보다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이용한 전기, 전자, 통신, 자동차, 의료, 항공 등등의 여러 분야에서 적용이 가능하게 되어 높은 품질의 제품 생산이 가능함을 입증 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전도도 기능을 갖는 PTFE+CNT 복합소재 제조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에 맞는 교반장치를 필요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고분자 수지 복합 교반장치의 개요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고분자 수지 복합 교반장치 블록도이다.
PTFE와, CNT와, 메탈커플링 에이젼트를 투입해 교반하여 전기 전도도 기능을 갖는 PTFE-CNT 복합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교반장치로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원료를 투입하여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 챔버(10)와;
교반 챔버(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상면에 결합되어 교반 챔버(10)의 상면을 밀폐시키기 위한 뚜껑(20)과;
상기 뚜껑(20)을 관통하여 교반 챔버(10)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혼합 스크류(40)와;
상기 교반 챔버(10)를 회전시키 위한 교반 챔버 회전장치(80)와;
상기 뚜껑(20)을 승하강시켜 교반 챔버(10)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 승하강장치(30)와;
상기 뚜껑(20)을 관통하는 회전축을 회전시켜 혼합 스크류(40)를 회전시키기 위한 혼합 스크류 회전장치(50)와;
상기 교반 챔버(10) 상단 테두리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뚜껑(20)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정지된 뚜껑(20)에 대해 교반 챔버(10)가 회전 가능하게 상호 미끄럼 접촉되는 미끄럼 접촉판(11)(21)과;
상기 뚜껑(20)을 관통하여 압력변이 설치되어 교반 챔버(10) 내부 압력을 검출하고,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장치(70)과;
상기 뚜껑(20)의 하면에 가열/냉각 수단이 설치되어 교반 챔버(10)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60)과;
상기 뚜껑 승하강장치(30)와, 상기 교반 챔버 회전장치(80)와, 상기 혼합 스크류 회전장치(50)와, 상기 압력조절장치(70) 및 온도조절장치(60)를 운전자의 설정입력과 조작에 의해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장치(1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은 교반되는 원료물질을 표현한 것이고, 미설명부호 2는 교반 챔버 회전 지지체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는,`
원료를 투입해 회전 교반시키는 교반 챔버(10)는,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교반 챔버(2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태이므로, 회전 교반을 위해서는 뚜껑(20)이 필요하다. 뚜껑(20)은 승하강장치(30)에 의해 승하강되어 교반챔버(10)에 회전가능하게 밀착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부로 상승되어 교반 챔버(10)를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뚜껑 승하강장치(30)는, 선택적 구성이 될 수 있는데, 뚜껑 승하강 장치가 없는 경우는 뚜껑을 교반 챔버 상부에 결합시킨상태로 고정시키는 뚜껑 고정장치를 구비하면 된다. 고정장치를 해체하고 수동으로 뚜껑을 들어서 개폐시키고, 고정장치를 결합해 뚜껑을 고정시키는 구조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동식으로 뚜껑을 승하강시켜 개폐하는 구조를 실시예로 도시하였다.
교반챔버(10)는 내부에 혼합 스크류(40)가 삽입 설치되고, 교반 챔버(10) 자체를 회전시키는 교반챔버 회전장치(80)가 설치된다. 혼합 스크류에 비해 저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교반 챔버 회전장치(80)에 의해 회전 구동과,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혼합 스크류(40)는, 회전축이 뚜껑(20)을 관통해 챔버 내부에서 혼합 스크류에 상하 2개의 임펠러가 설치된 것을 예로 하였다. 상하 임펠러는 동일 크기나 동일한 형상일 수도 있으나, 상하 임펠러의 설치 각도가 서로 다르거나, 서로 다른 형상과 서로 다른 크기일 수도 있다.
혼합 스크류(40)는 뚜껑(20)의 외부에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혼합 스크류 구동장치(50)에 의해 회전 구동시킨다. 임펠러를 상하 2개를 설치하고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성하게 되면, 상측 임펠러에 의해 상측 원료는 하측으로 하측 임펠러에 의해 하측 원료는 상측으로 서로 대류 교환되게 할 수도 있고, 상하측이 서로 교차되면서 불규칙 교반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하 임펠러의 크기나 형상 및 설치 각도 등은 교반 효율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효율성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뚜껑 승하강장치(30)는, 뚜껑(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스크류(31)의 단부가 결합 고정되고, 상부 지지대(33)에 상기 볼스크류(31)를 승하강시키는 회전너트수단(32)이 설치되며, 모터(34)의 회전력을 벨트(35)를 통해 회전너트수단(32)에 연결하여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너트수단(3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스크류(31)가 일방향으로 이동되고, 회전너트수단(32)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스크류(32)가 타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를 이용해 뚜껑(20)을 승하강시키는 구조이다.
상기 모터(34)의 정/역방향 회전을 선택하여 뚜껑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고, 뚜껑(20)을 상승시켜 교반챔버(10)의 상부 입구를 개방시키거나, 뚜껑(20)을 하강시켜 교반챔버(10)의 상부 입구에 밀착시켜 밀폐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8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의 뚜껑 탄력지지수단의 구성도이다.
또한, 상기 볼스크류(31)의 하단부가 상기 뚜껑(20)에 볼스크류 결합부(23) 내부에서 상하로 소정간격 이동이 가능하게 상하 여유공간을 가지고 결합되며, 뚜껑(20)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볼스크류(31)에 고정시킨 고정편(37)을 형성하고, 고정편(37)과 뚜껑 사이에 탄성수단(36)을 개제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탄성수단을 개제하게 되면, 도 8의 (가)와 같은 상태에서 도 8의 (나)와 같이 뚜껑이 교반챔버 상면에 접촉되었을때 볼스크류(37)가 뚜껑 내부의 볼스크류 결합부(23)에서 이동되는 간격만큼 탄성수단(36)이 압축되어 뚜껑(20)을 탄력적으로 교반챔버 상면으로 밀어주므로 실링 효과를 향성시킬 수 있다.
한편, 뚜껑(20)을 교반챔버(10)에 결합시키면, 뚜껑(20)은 정지된 구성이고, 교반챔버(10)는 회전되는 구성이므로, 일반 결합구조로는 뚜껑(20)으로 교반챔버(10)를 밀폐시킬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교반챔버(10)의 상단면에 원형의 도우넛 형상을 이루는 미끄럼 접촉판(11)을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뚜껑(20)의 하단 외주면에 미끄럼 접촉판(21)을 설치한다.
그리고 뚜껑(20)의 하단면에는 상기 교반 챔버(10)의 용기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출부(2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뚜껑(20)을 교반 챔버(10)에 결합시키면, 상기 돌출부(22)가 교반챔버(10) 속으로 삽입되고, 교반채버의 미끄럼 접촉판(11)과 뚜껑의 미끄럼 접촉판(21)이 서로 맞대기된 형태가 된다. 이상태에서 교반챔버(10)가 회전되면, 상하 미끄럼접촉판(21)(11)이 밀착된 상태로서 교반챔버(10) 내부 압력을 밀폐시키는 것이다. 상기 미끄럼 접촉판(11)(21)을 일반소재로 사용하게 되면 접촉면과 접촉면 사이의 실링이 완벽하지 않고, 발열이나 마모 문제 등이 발생되어 교반챔버(10) 내부 압력의 누설이 발생되어 적정압력 유지가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미끄럼 접촉판(11)(21)으로서, PTFE 소재(즉, 테프론)로 이루어진 원형 고리판을 사용한다. PTFE소재는 회전체의 실링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고, 본 발명에서도 회전체인 하부의 교반챔버(10)와 고정체인 상부의 뚜껑(20) 사이의 미끄럼 접촉판(11)(21)으로 설치되어 교반 챔버(10) 내부 압력에 대해서도 안전하게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뚜껑(20)의 승하강장치(30)에는 하부로 탄력지지하는 탄력지지수단을 더 포함시켜 설치하면 압력상승시나 회전으로 인한 압력 누설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끄럼 접촉판의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챔버의 미끄럼 접촉판(11)은 상면의 외측단에 걸림턱(11a)이 형성되고 내측이 개방되는 단턱부(11b)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뚜껑(20)의 미끄럼 접촉판(21)의 외주면이 상기 걸림턱(11a)에 걸리도록 단턱부(11b)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교반챔버(10)와 뚜껑(20)은, 뚜껑(20)의 돌출부(22)의 외측면과 교반챔버(10)의 내측산단 및 미끄럼 접촉판(11)의 내측면이 접촉되고, 단턱부(11a)의 상면과 걸림턱(11a)의 내측면이 뚜껑(20)에 형성된 미끄럼 접촉판(21)의 하면 및 외측면과 접촉되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2단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접촉경로가 생겨서 실링력을 향상시킨다.
도 10는 다른 실시예를 보인 미끄럼판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챔버(20)에 형성되는 미끄럼 접촉판(11)의 상면에 안착홈(11c)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20)에 형성되는 미끄럼 접촉판(21)의 하면에 상기 안착홈(11c)에 대응된 돌출부와 안착홈(11c)의 내측 걸림턱부분에 대응된 단턱부(21a)가 형성된구조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뚜껑(20)의 미끄럼접촉판(21)의 돌출부분이 교반챔버(10)의 미끄럼 접촉판(11)에 형성된 안착홈(11c)에 삽입 안착되고, 안착홈(11c)의 내측 걸림턱부분은 뚜껑의 미끄럼 접촉판의 단턱부(21a)에 삽입되어 서로 맞대기 결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의 돌출부(22)의 외측면이 교반챔버(10)의 상단내측면 및 교반챔버 미끄럼 접촉판(11)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고, 안착홈(11c) 속에 뚜껑(20)의 미끄럼 접촉판(21)의 돌출부분이 삽입되므로 다단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접촉면이 생겨나므로 실링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교반챔버(10)의 미끄럼 접촉판(11)과 뚜껑(20)의 미끄럼 접촉판(21)은 첫째 평면형으로 구성되어 면접촉으로 실링하는 구조이다. 뚜껑(20)을 교반챔버(10)에 가압 밀착한 상태로 교반챔버(10)를 회전시킬 때 교반 챔버(10)의 내부 압력에 대해서는 뚜껑(20)의 승하강장치(30)가 지지하여 대응하고 미끄럼 접촉판(11)(21)의 접촉면은 테프론의 특성상 틈이 없는 면접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확실한 실링이 구현된다.
둘째, 상하 미끄럼 접촉판 중 어느 하나에 단턱부를 형성해 다른쪽 미끄럼 접촉판을 단턱부에 안착시키는 구조는 적어도 2단의 직각 절곡 접촉면이 발생되므로 평판 면접촉일때 보다 접촉면 구간이 길어지고 힘의 전달이 차단되어 실링 효과가 더 상승될 수 있다.
셋째, 상하 미끄럼 접촉판중 어느 하나에 요홈 형태의 안착홈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게 다른쪽 미끄럼 접촉판의 내측부에 단턱부를 형성하여 안착시키게 되면, 접촉면의 구간이 더 길어지면서 다단의 직각 절곡 접촉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실링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의 중앙을 관통해서 혼합 스크류(40)가 설치되고, 압력조절장치(70)가 설치된다. 도 1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교반 챔버(10)에는 온도조절장치(60)가 필요하다. 제조방법에서 챔버 내의 제어온도는 10 ~ 100℃ 미만이고, 2차 교반에서 60 ~ 70℃를 유지하는 것이므로, 뚜껑의 하면에 가열/냉각수단을 설치해 교반챔버 내부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가열/냉각수단은 펠티어 효과를 이용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22)의 하면에 가열/냉각수단으로 열전소자를 설치하고, 열전소자의 방열판을 뚜껑의 외부 몸체로 연결하여 뚜껑의 몸체를 통해 방열하게 구성하며, 챔버 내부 온도를 검출하여 설정온도를 추종하도록 상기 열전소자의 전류 방향을 제어하여 가열 또는 냉각 모드로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압력조절장치(70)는 압력측정장치 및 압력조절변을 뚜껑(20)을 관통해 챔버 내부의 노출되게 설치하고, 외부에 가압장치 및 압력변 제어장치를 설치하여 압력을 가압 또는 배기시킬 수 있게 하며, 가압장치를 연결하여 압력조절변을 통해 가압하고, 압력조절변을 열어서 배기시켜 압력을 낮출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는 교반 제조공정에서 요구되는 압력으로 교반 챔버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교반 챔버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챔버의 다른 실시예로는,
효율적인 온도조절을 위하여 교반 챔버(10)는, 내통(110)과 외통(120)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2중 통으로 구성하고, 내통(110)과 외통(120) 사이에 온도 조절 매체(91)를 주입하며, 교반 챔버(10) 정지시 온도조절매체(91)의 온도를 조절하여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장치(9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조절장치(90)는 열전소자 모듈을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온도조절매체(91)를 외부에서 열교환시켜 순환시키는 열교환 순환장치를 온도조절장치(90)로서 설치할 수도 있다. 이들은 교반 챔버(10)가 회전체이므로, 회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만 열전소자의 콘트롤 전원을 외부에서 연결하여 온도조절을 할 수 있고, 열매체 순환방식은 주입 및 배출구를 열교환순환장치에 연결하여 온도조절매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교반챔버(10)를 정지시키고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유는, PTFE+CNT 복합소재 교반 제조시에 요구되는 온도가 미세하게 조절해야하거나 고온 또는 저온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고, 중간에 교반챔버를 정지시키는 시점이 있기 때문에 초기 작업 전과, 2차 교반 시작전에 온도 및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시점이 있다.
즉, 2차교반시에는 교반챔버를 정지시킨 후 메탈 커플링 에이젼트를 투입한 후에 2차 교반을 하게 되므로, 교반챔버 정지시점이 있다, 이때 교반챔버의 압력과 온도를 조절한 후, 회전을 시작시켜 2차교반을 하게된다.
도 12은 본 발명에 의한 교반 챔버의 또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챔버의 또 다른 실시예는,
교반 챔버(10)를 내통(110)과 외통(120)이 분리형으로 구성되고, 내통(110)만 회전시키는 구조로 구성되며, 내통(110)과 외통(120) 사이에 온도조절매체(91)를 주입하고, 외통(120)의 외부에서 온도조절매체(91)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130)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통(110)만 회전시키는 구조에서는 내통(110)과 외통(120) 사이의 주입된 온도조절매체(91)를 직접 가열하는 히팅수단과,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을 온도조절장치로서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온도조절매체를 외부에서 열교환하여 순환시키는 구조의 온도조절장치(13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열교환매체는 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히팅 및 냉각수단을 설치한 온도조절장치는, 펠티어 효과를 이용하는 열전소자 이용하고, 온도조절매체(91)의 온도를 검출하여 설정온도에 추종하도록 자동으로 온/오프 및 전류방향을 제어하여 자동제어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교반 챔버(10)를 내통(110)과 외통(120) 분리형으로 구성하고, 내통(110)만 교반챔버 회전장치(80)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경우, 내통(110)과 외통(120) 사이에 열교환매체 예를 들어, 물을 채워두고, 내통(110)을 회전시키는 공정중에도 교반챔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교반 챔버의 내통을 회전시키는 회전속도는 비교적 저속 회전이므로, 내통과 외통 사이에 채워진 온도조절매체(예; 물)에 가해지는 회전력은 낮은 편이므로 압력 밀폐상태가 아닌 결합구조만으로도 누출 염려는 없다, 다만 내통과 외통의 상단면 사이에도 미끄럼 접촉판을 설치해 실링시키면서도 내통만 회전이 지지되는 구조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교반장치는, 온도 콘트롤을 정밀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콘트롤장치(100)는, 사용자 조작 판넬을 구비하고, 사용자 조작판넬을 통한 사용자 조작에 의거하여 제어정보를 설정하고, 각 장치들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고분자 수지의 교반작업 예컨데, PTFE+CNT 복합소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교반장치를 구동시키는 경우, 먼저 뚜껑 승하강장치(30)를 작동시켜 뚜껑(20)을 상승시킨다. 교반챔버(10)가 오픈된 상태에서 교반 원료를 투입한다. 교반원료로서 PTFE와 CNT 및 유기용매를 미리 정해진 레시피에 맞춰 정량을 투입하고, 뚜껑(20)을 닫는다. 뚜껑(20)을 닫기 위해서 콘트롤장치(100)는 뚜껑 승하강장치(30)를 작동시켜 뚜껑(20)을 하강시킨다. 적정한 압력으로 뚜껑(20)이 교반챔버(10)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뚜겅이 닫히게 한다. 이때 적정한 위치에 이동시키기 위하여 승하강 길이를 모터의 제어값으로 설정하거나 센서를 설치해 승하강 위치를 결정한다.
뚜껑(20)을 닫은 상태에서, 콘트롤장치(100)는 설정된 압력과 설정된 온도가 되도록 제어한다. 초기 시작 압력과 온도로 조절한 후, 혼합 스크류 회전장치(50)와, 교반 챔버 회전장치(80)를 구동시켜 1차 교반을 시작한다.
이때 상기 콘트롤장치(100)는, 상기 혼합 스크류 회전장치(50)와 상기 교반 챔버 회전장치(8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내부의 원료가 받는 회전력은 배가되므로 초고속 회전력을 가하는 것과 같아져 온도와 압력 및 회전속도에 의거하여 PTFE의 포텐셜이 상승되어 분자구조에서 하나의 "F"대신에 쉽게 "CNT"가 대체 결합할 수 있는 여기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혼합 스크류 회전장치(50)는 5,000 ~ 15,000 RPM으로 회전제어를 하고, 상기 교반 챔버 회전장치(80)는 10 ~ 100 RPM으로 회전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교반챔버(10)는 장치적 안전성을 위하여 저속회전으로 제어하고, 내부 혼합 스크류(40)는 고속회전으로 제어한다. 이때 각각의 회전속도는 변화를 주면서 제어한다. 변화를 준다는 것은 일정시간 가속, 일정시간 감속, 일정시간 정속 등등을 미리 설정된 교반 패턴에 의해 속도 가변시켜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반 챔버의 온도조절장치(60)는, 초기 온도를 10 ~ 30℃ 온도로 제어하고, 교반 시작 후 10 ~ 100℃ 온도범위에서 온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 챔버의 압력조절장치는, 초기 압력을 1 ~ 10N/㎠로 제어하고, 교반시작후 10 ~ 20N/㎠의 압력범위로 압력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통상적인 상온상태에서 교반을 시작하면 되고, 특별한 경우에 온도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되, 1차 교반이 끝나고 메탈 커플링 에이젼트(C.A)를 투입한 후, 온도 및 압력을 다시 조정하여 2차 교반에 적합한 온도와 압력을 맞춘 후 2차 교반을 시작한다.
교반장치는, 도면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뚜껑을 열고서 상기 교반챔버(10)를 기울여서 내부 교반 물질을 다른 용기로 쏟아부울 수 있도록 교반챔버를 기울일수 있는 교반챔버 기울임장치를 더 포함된다. 즉, 교반 챔버(10)를 기울여서 내부 중간 결과물을 다른 용기로 옮겨 부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2차 교반단계가 완료되면 페이스트와, 가스 액체가 혼합된 상태로서, 이를 다른 용기에 담아 원심 분리기로 이동하고, 원심 분리기에서 액상의 유기용매를 원심분리하여 제거하고, 페이스트 상태의 결과물을 얻고, 이를 건조시켜 최종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교반장치는, 액체와 페이스트가 혼합된 중간 결과물을 원심분리기로 옮기기 위하여 교반챔버 자체를 기울여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는, 첫번째 특징은 교반 챔버의 내부에 고속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혼합 스크류와, 교반 챔버 자체를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원료 교반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특징은 회전체인 교반챔버의 상부 입구를 고정체인 뚜껑으로 밀폐시키도록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는 교반 챔버는 회전시키면서 뚜껑은 고정된 상태로서 PTFE를 이용한 미끄럼 마찰 접촉판을 서로 대응설치하여 원료 교반 공정에서 가해지는 챔버의 회전과, 챔버내의 압력에 대해서도 압력 누설없이 회전 실링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세번째 특징은 교반장치의 온도조절을 용이하게 하도록 열전소자를 이용해 가열 및 냉각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교반장치를 내통과 외통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그 사이에 열교환매체를 주입하여 그 열교환매체의 온도조절에 의해 교반기 챔* 내부 온도를 조절한다는 것이다. 이는 교반 챔버 내부의 온도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교반물질의 균일한 교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교반 챔버를 내통과 외통으로 이중 구성하되, 내통만 회전되는 구조로 구성하고, 내통과 외통 사이에 온도조절매체를 주입하고, 그 온도조절매체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온도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교반 챔버를 회전시키는 제조공정 중에도 온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정밀한 온도조절이 필요한 공정에 효과가 있다.
S10 : 준비단계 S20 : 원료투입단계
S30 : 1차교반단계 S40 : 커플링제 투입단계
S50 : 2차교반단계 S60 : 유기용매 제거단계
S70 : 건조단계
10 : 교반 챔버 11, 21 : 미끄럼 접촉판
20 : 뚜껑 22 : 돌출부
30 : 뚜껑 승하강장치 31 : 볼 스크류
32 : 회전너트수단 33 : 상부 지지대
40 : 혼합 스크류 50 : 혼합 스크류 회전장치
60, 90, 130 : 온도조절장치 70 : 압력조절장치
80 : 교반챔버 회전장치 91 : 열교환매체
100 : 콘트롤장치 110 : 내통
120 : 외통

Claims (5)

  1. 내외통으로 이루어지고 내통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챔버, 교반챔버와 밀폐 결합되는 뚜껑, 뚜껑을 관통해 교반 챔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혼합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챔버의 압력과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교반 챔버를 준비하고, PFTE와 MWCNT를 준비하며, 상기 교반 챔버의 온도를 미리 설정한 범위 내의 온도로 조절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교반 챔버에 PTFE 파우더와, 분산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 및 유기 용매를 미리 설정된 총량 대비 각 원료별 비율로 투입하는 원료투입단계와;
    상기 교반 챔버의 온도와 압력을 미리 설정한 범위 내로 조절하면서 투입된 총 원료량에 비례하는 교반시간동안 교반하는 1차 교반단계와;
    1차 교반 후에 커플링제인 C60H123O15P3Ti를 총 원료량에 비례하여 미리 정해둔 범위의 량을 투입하는 커플링제 투입단계와,
    커플링제인 C60H123O15P3Ti를 투입한 후, 미리 정해둔 시간동안 교반하는 2차 교반단계와;
    2차 교반후, 액상의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유기용매 제거단계와;
    액상의 유기용매를 제거한 조성물을 저온 건조시켜 PTFE에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가 합성된 복합소재를 제조하는 저온 건조단계;
    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PTFE-MWCNT 복합소재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챔버의 초기 온도를 10 ~ 30℃ 온도로 제어하고, 교반시작후 10 ~ 100℃ 온도범위에서 온도조절을 제어하며,
    상기 교반 챔버의 초기 압력을 1 ~ 10N/㎠로 제어하고, 교반시작후 10 ~ 20N/㎠의 압력범위로 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PTFE-MWCNT 복합소재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TFE는 10 ~ 50nm 크기의 원료를 투입하고, 유기용매에 솔벤트를 첨가하여 교반공정에 의해 0.5㎛ 이하의 크기로 만들고, PTFE의 재응집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원료투입 단계에서 투입하는 탄소나노튜브는,
    5 ~ 15㎚로 분산시킨 분산된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PTFE-MWCNT 복합소재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교반단계는,
    교반 챔버 내에 삽입된 혼합 스크류를 5,000 ~ 15,000 RPM으로 회전시키는 혼합 스크류 회전단계와,
    교반 챔버를 상기 혼합 스크류와 반대방향으로 10 ~ 100 RPM으로 회전시키는 교반 챔버 회전단계를 동시에 진행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PTFE-MWCNT 복합소재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되는 원료는,
    투입되는 원료의 100 중량% 대비,
    PTFE 파우더 10 ~ 30 중량%, MWCNT 1 ~ 10중량%, 유기용매 59.9 ~ 88.1중량%, 커플링제인 C60H123O15P3Ti 0.1 ~ 0.9중량%를 투입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PTFE-MWCNT 복합소재 제조방법.
KR1020190006570A 2019-01-18 2019-01-18 전도성 ptfe-mwcnt복합소재 제조방법 KR201900140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570A KR20190014006A (ko) 2019-01-18 2019-01-18 전도성 ptfe-mwcnt복합소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570A KR20190014006A (ko) 2019-01-18 2019-01-18 전도성 ptfe-mwcnt복합소재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290A Division KR101963603B1 (ko) 2017-07-28 2017-07-28 고분자 복합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교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006A true KR20190014006A (ko) 2019-02-11

Family

ID=65370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570A KR20190014006A (ko) 2019-01-18 2019-01-18 전도성 ptfe-mwcnt복합소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400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8398A (zh) * 2018-12-24 2019-04-23 抚州国泰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制备复合胶颗粒原料的风干混合装置
CN112812477A (zh) * 2021-02-07 2021-05-18 成都希瑞方晓科技有限公司 一种填充改性聚四氟乙烯及其制备方法
CN116355337A (zh) * 2023-06-01 2023-06-30 山东美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氟聚合物-碳纳米管改性聚四氟乙烯及其制备工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8398A (zh) * 2018-12-24 2019-04-23 抚州国泰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制备复合胶颗粒原料的风干混合装置
CN112812477A (zh) * 2021-02-07 2021-05-18 成都希瑞方晓科技有限公司 一种填充改性聚四氟乙烯及其制备方法
CN116355337A (zh) * 2023-06-01 2023-06-30 山东美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氟聚合物-碳纳米管改性聚四氟乙烯及其制备工艺
CN116355337B (zh) * 2023-06-01 2023-08-08 山东美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氟聚合物-碳纳米管改性聚四氟乙烯及其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603B1 (ko) 고분자 복합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교반장치
KR20190014006A (ko) 전도성 ptfe-mwcnt복합소재 제조방법
KR20190032336A (ko) 고분자 복합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교반장치
KR101954647B1 (ko) 전기 전도성 기능을 갖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 제조방법
Lozano et al. A study on nano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s (II): Investigation of the mixing rheology and conduction properties
CN1813314A (zh) 包含碳纳米管的导电组合物及其制造方法
JP5568399B2 (ja) 球状アルミナ粉末、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EP2281782A1 (en) Alumina powder,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same, and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EP2832771A1 (en) Composite particles, powder coating material, coating film,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particles
Wen et al. Fabrication of high performance printed flexible conductors by doping of polyaniline nanomaterials into silver paste
KR20190012773A (ko) 고분자 복합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교반장치
TW201840691A (zh) 半導體製品製造用之藥液流動時與藥液接觸之構件
KR20210029333A (ko) 전기전도성을 갖는 ptfe-cnt 복합소재
Galindo et al. Microwave heating of polymers: Influence of carbon nanotubes dispersion on the microwave susceptor effectiveness
KR20190012780A (ko) 전기 전도성 기능을 갖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르에틸렌-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교반장치
CN1311594C (zh) Ic插座
CN1088463C (zh) 加有填料的聚四氟乙烯成型用粒状粉末及其制造方法
JPH10152563A (ja) 液状シリコーンゴムベースの連続的製造方法
CN114907655A (zh) 一种ptfe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061018B1 (ko) 전기 전도성 기능을 갖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
KR20190025860A (ko) 전기 전도성 기능을 갖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 제조방법
KR20190014005A (ko) 전도성 ptfe-mwcnt 복합소재
KR20190025861A (ko) 전기 전도성 기능을 갖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 제조방법
CN1113594A (zh) 表面改性的导电性颜料
WO2019022528A1 (ko) 전기 전도성 기능을 갖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르에틸렌-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