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587A - Air conditioner for a mot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for a mot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587A
KR20190013587A KR1020180087380A KR20180087380A KR20190013587A KR 20190013587 A KR20190013587 A KR 20190013587A KR 1020180087380 A KR1020180087380 A KR 1020180087380A KR 20180087380 A KR20180087380 A KR 20180087380A KR 20190013587 A KR20190013587 A KR 20190013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lets
air conditioner
functional
conditio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3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제럴드 릭터
마이클 피에트
요하네스 스타우스베르크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13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587A/en
Priority to KR1020200124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3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42Modula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64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ir streams of different temperatures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ing device in which inserts for mixing temperatures or expanding functions are provided so that an air flow in the air conditioning device is not adversely affec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device (1) for a vehicle, which includes: at least one air conditioning device housing (2); a plurality of air temperature regulation and air distribution devices disposed in the housing; and air outlets for discharging air, which has a temperature controlled by the air conditioning device (1), into a compartment. In this case, the air outlets are arranged in different air discharge pla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dividual air outle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on both outer sides of a central housing wall region (9)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air outlets (6.1, 6.2; 7.1, 7.2) to prevent the air from flowing therethrough, and thus the air outlets are disposed separately from at least one air discharge plane. In this case,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air outlets below the central housing wall region (9) of the air conditioning device housing (2) forms a functional area (10), and at least one functional member or functional module (16, 20) is mounted in the functional area.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AIR CONDITIONER FOR A MOTOR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공기 흐름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기능성 모듈들의 장착이 허용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n automobile in which mounting of functional modules is permitted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air flow.

자동차의 공기 조화 장치들은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다양한 공기 흐름들 간의 온도를 목표한 바대로 분포시킴으로써 탑승자의 쾌적함을 보장해야 한다. 이 경우 레그룸 영역의 공기 흐름들은 탑승자의 가슴 영역으로 토출되는 공기 흐름보다 뚜렷하게 높은 온도를 가져야 한다. 이와 달리 앞유리로 토출되는 공기는 많은 경우 앞유리에 김이 서려 뿌옇게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레그룸으로 유입되는 공기 흐름과 같거나 약간만 낮은 온도를 가져야 한다. 종래 방식의 공기 조화 장치 아키텍처들은 열교환기가 공기 조화 장치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배열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흐르는 부분 공기 흐름이 가열된다. 공기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열 교환기 뒤에 위치하는 소위 공기 혼합 챔버인 혼합 공간 내부로 안내된다. 온도 조절을 위해, 열교환기 위쪽에서 제2 부분 공기 흐름은 상기 열교환기를 지나쳐 공기 혼합 챔버 내부로 안내된다. 원하는 온도는 적합한 혼합비에 의해 달성된다. 그러나 공기 혼합 챔버들은 이용 가능한 설치 공간으로 인해, 완전한 혼합을 달성하기에는 너무 작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공기의 혼합 챔버로부터 유출되어 차량 실내로 이어지는 공기 토출구들은 상당한 상이하게 온도 조절되고, 그 결과 디프로스트 토출구와 같이 특히 상부 토출구들에 필요한 온도가 너무 낮아 탑승자의 쾌적함이 달성될 수 없다. 또한, 지금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공기 조화 장치들은 공기 조화 장치의 전체 폭에 걸쳐 y-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 토출구들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공기 토출구들에는 균형 잡힌 공기 흐름들이 공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공기 조화 장치들은 또한, 앞서 언급한 원하는 온도 층화를 달성하기 위해 특정 혼합 부재들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온풍이 열교환기로부터 덕트들을 통해 예를 들면, 디프로스트 토출구와 같은 공기 조화 장치의 상부 영역으로 안내된다. 상기와 같은 해결책은, 예컨대 DE 10 2007 013 432 A1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경우 온풍 덕트는 열교환기 다음에서 온풍을 취하여 이를 목표한 바대로 공기 조화 장치의 상부 영역의 공기 토출구들로 안내하며, 이렇게 하여 상기 공기 토출구들에서 상응하게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덕트들은 대개 공기 흐름의 중앙에 위치하는데, 이 경우 상기 덕트들은 공기 경로 단면적을 줄이고 공기 흐름을 방해한다. 따라서 특히, 증발기로부터 공기 토출구들로 흐르는 공기의 공기 흐름이 방해를 받게 된다. 이러한 점은 멀티존 적용예들의 온도 모듈과 같이 다른 기능적 삽입체들에도 유사하게 적용되며, 이때 상기 삽입체들의 공기 안내 부재들은 공기 조화 장치의 공기 안내 부재들과 유사하며 마찬가지로 공기 조화 장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경로 단면적을 줄이고 공기 흐름을 방해하는 모든 삽입체들은 압력 손실, 공기 유량 감소 그리고 공기 토출구들로 유입되는 공기 흐름의 유동 불균형을 야기한다. 공기 흐름의 감소 외에도, 삽입체들은 또한, 차량에서 듣고 감지할 수 있는 진동을 증가시켜 방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The air conditioners of an automobile must ensure the comfort of the passengers by distributing the desired temperature among the various air flows ent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In this case, the airflows in the legroom area must have a significantly higher temperature than the airflow discharged into the occupant's chest area. In contrast, the air discharged into the windshield must have a temperature that is equal to or slightly lower than the airflow entering the legroom to prevent the windshield from spilling into the windshield.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architectures have an arrangement in which a heat exchanger is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air conditioner. In this case, the partial air flow flow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is heated. The air is guided into the mixing space which is a so-called air mixing chamber located behind the heat exchanger, with reference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or temperature control, a second partial air flow over the heat exchanger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r and is guided into the air mixing chamber. The desired temperature is achieved by a suitable mixing ratio. However, due to the available installation space, the air mixing chambers are too small to achieve perfect mixing. For this reason, the air outlets flowing out of the mixing chamber of the air and leading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are temperature-controlle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required for the upper ejection openings is too low, In addition, most of the air conditioners known so far have air outlets extending in the y-direction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air conditioner. Balanced air flows must be supplied to the air outlets as described above. However, air conditioners also require certain mixing members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desired temperature stratification. To solve this problem, for example, warm air is led from the heat exchanger through the ducts to the upper region of the air conditioner, for example, a defrost outlet. Such a solution is described, for example, in DE 10 2007 013 432 A1 . In this case, the hot air duct takes warm air from the heat exchanger and guides the hot air to the air outlets in the upper region of the air conditioner as desired, so that the temperature can be correspondingly raised at the air outlets. As described above, the ducts inserted into the air conditioner housing are usually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air flow, in which case the ducts reduce the air path cross-sectional area and interfere with the air flow. Thus, in particular, the air flow of the air flowing from the evaporator to the air outlets is disturbed. This applies analogously to other functional inserts, such as the temperature module of the multi-zone application, in which the air guide members of the inserts are similar to the air guide members of the air conditioner and likewise arrang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 All inserts that reduce the air path cross-sectional area and interfere with the air flow cause pressure loss, air flow reduction and flow imbalance of the air flow into the air outlets. In addition to reducing airflow, the inserts also have a negative impact on sound insulation by increasing the vibrations that can be heard and sensed in the vehicle.

DE 101 47 114 A1호에는 온풍 가이드의 대안적인 배치가 기술되어 있다. 이 경우 추가 덕트가 공기 조화 장치를 둘러싸고 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채널이 공기 흐름 내에 있지 않다. 그러나 공기 조화 장치를 둘러싸고 이루어지는 상기와 같은 대안적인 배치가 불리한 영향을 받지는 않지만, 작은 단면적과 필요한 편향부들로 인해 상기 덕트의 효율이 낮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적은 온풍 흐름만 상부 공기 토출구들로 안내될 수 있다. DE 101 47 114 A1 describes an alternative arrangement of a warm air guide. In this case, an additional duct surrounds the air conditioner, so that the channel is not in the air flow. However, such alternative arrangements around the air conditioner are not adversely affected, but the efficiency of the duct is low due to the small cross-sectional area and the required deflection. Therefore, only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rm air flow can be guided to the upper air outlets.

본 발명의 과제는, 공기 조화 장치 내에서의 공기 흐름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 않도록 온도 혼합 또는 기능 확장을 위한 삽입체들이 허용되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inserts for temperature mixing or function expansion are allowed so as not to adversely affect the air flow in the air conditioner.

상기 과제는 자동차들에 적합한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서 해결된다. 개선예들은 종속항들에 명시되어 있다.The above problem is solved by an air conditioner having the features of claim 1 suitable for automobiles. Improvements are specified in the dependent claims.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복수의 공기 온도 조절 및 공기 분배 장치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온도 조절되어 객실로 토출되는 공기를 위한 공기 토출구들을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공기 토출구들은 상이한 공기 토출 평면들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경우 개별 공기 토출구들이 서로 이격되어, 각각 공기 토출구들 사이에 위치하고 공기가 관류할 수 없는 중앙 하우징 벽 영역의 양측 외부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개별 공기 토출구들은 하나 이상의 공기 토출 평면으로 각기 따로 배치되어 있다.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의 중앙 하우징 벽 영역 아래에서 공기 토출구들 사이 설치 공간이 기능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기능 영역 내에는 하나 이상의 기능 부재 또는 기능 모듈이 내장되어 있다.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t least one air conditioner housing, a plurality of air temperature control and air distribution apparatuses disposed in the housing, and air outlets for air to be discharged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by temperature control by the air conditioner, The air outlets are arranged in different air discharge pla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since the individual air outle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housing wall area located between the air outlets and in which air can not flow, They are arranged separately in a plane. The space between the air outlets under the central housing wall area of the air conditioner housing forms a functional area and at least one functional member or function module is built in the functional area.

상이한 토출구 평면들은 일반적으로 각각 하나 또는 다수의 디프로스트 토출구, 하나 또는 복수의 벤트 토출구 그리고 하나 또는 복수의 레그룸 토출구에 의해 점유되어 있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공기 토출구 평면, 예컨대 디프로스트 토출구 평면, 벤트 토출구 평면 또는 레그룸 토출구 평면의 개별 공기 토출구들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각각 외부를 향해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중앙에 공기가 관류하지 않은 영역이 주어진다. 이 영역은 하우징 벽에 의해 토출구들 사이에 형성한다.Different discharge orifice planes are generally occupied by one or more defrosting outlets, one or more vent outlets and one or more leg room outlets,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prior art, the individual air outlets in the plane of the air outlet port, for example, the defrost outlet port plane, the vent outlet port plane or the leg room outlet port plane, are individually and externally directed. As a result, there is a region in the center where air is not perfused. This region is formed between the ejection openings by the housing wall.

본 발명의 콘셉트는, 공기 토출구들로 유입되는 공기 흐름이 방해받지 않는 방식으로 배치된 분리된 공기 토출구들을 갖는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 장치는 이 경우 별도의 공기 토출구들과 소위 기능 영역을 갖추고 있으며, 이때 상기 기능 영역은 공기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장착을 허용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공기 토출구들은 y-방향으로, 즉 공기 조화 장치의 폭을 따라 각각의 공기 토출구들 사이에 간격을 두고 분리된다. 이러한 간격을 형성하는 하우징 벽 영역 아래의 영역은 기능적 특징들을 위한 공간으로서 사용된다. 증발기 또는 열교환기로부터 오는 공기 흐름은 분리된 공기 토출구들로 분할되기 때문에, 공기가 관류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한다. 따라서 공기 토출구들 사이에서 간격을 형성하는 하우징 벽 영역 아래에 위치한 상기와 같은 영역은 기능 부재 또는 기능 모듈을 장착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며, 따라서 기능 영역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housing having separate air outlets arranged in such a way that air flow into the air outlets is not disturbed. In this case, the air conditioner has separate air outlets and a so-called functional area, in which the functional area allows mounting without affecting the air flow. More specifically, the air outlets are spaced apart in the y-direction, that is, between the respective air outlets along the width of the air conditioner. The area beneath the housing wall area forming this gap is used as a space for functional features. Since the air flow from the evaporator or heat exchanger is divided into separate air outlets, there is a region where air does not flow. Such an area, which is located below the housing wall area which forms an interval between the air outlets, therefore provides sufficient space for mounting the functional member or functional module and can therefore also be referred to as the functional area.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장점들은, 한편으로는 주요 모드들에서의 공기 가이드에 필요하지 않는 설치 공간을 공기 조화 장치 내부에 형성하는 것,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공기 흐름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기능 부재/기능 모듈을 설치할 수 있다는 데 있다.Therefore, the advantages of the solu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on the one hand, to form an installation space inside the air conditioner which is not necessary for the air guides in the main modes, and on the other hand, Function module / function module can be installed.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부재/기능 모듈은 냉풍을 하나 또는 복수의 레그룸 공기 토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냉풍 덕트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least one functional member / function module is a cold air duct for guiding cold air to one or a plurality of leg room air outlets.

본 발명의 추가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부재/기능 모듈은 온풍을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상부 공기 토출구 중 하나 이상의 공기 토출구로, 즉 하나 이상의 디프로스트 토출구 및/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벤트 토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온풍 덕트이다.In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 or more functional members / function modules direct hot air from the heat exchanger to one or more air outlets of the top air outlet, i. E. To one or more defrost outlets and / or one or more vent outlets It is the hot air duct to do.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 기능 모듈은 열교환기로부터 상부 공기 출구들 중 적어도 하나, 즉 적어도 하나의 제상 출구 및/ 또는 하나 이상의 환기구로 열풍을 전달하기 위한 온풍 덕트이다.The at least one functional element / functional module is a hot air duct for transferring hot air from at least one of the upper air outlets, i.e., at least one defrost outlet and / or one or more vent holes, from the heat exchanger.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되는 하우징 벽 영역 아래 기능 공간에 내장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은 차량의 리어존들의 개별 온도 제어를 위한 멀티존 모듈이다. 이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 멀티존 모듈이 분리된, 또는 공통 축일 경우 분리 방식으로 제어 가능한 온도 플랩을 구비하는 일 실시 형태는 차량의 프런트존 및 리어존에 대한 상이한 온도 조절을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 or more functional modules embedded in the functional space below the separate housing wall area are multi-zone modules for individual temperature control of the rear zones of the vehicle. In this case, one embodiment with particularly preferred temperature flaps, in which the multi-zone modules are separate, or separately in the case of a common axis, is to allow different temperature regulation for the front zone and rear zone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는, 공기 흐름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기능성 모듈들의 장착이 허용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low the mounting of the functional modules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air flow.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실시예들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도면부에서:
도 1은 복수의 공기 토출 평면을 갖는 공기 조화 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때 상기 공기 토출 평면들은 분리된 공기 토출구들을 구비하며,
도 2는 분리된 공기 토출구들 사이 하우징의 중앙에 있는 기능 영역 내부에서 y-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이 경우 상기 기능 영역 내에는 레그룸 토출구들로 이어지는 냉풍 덕트 형태의 기능 모듈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3은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 내부에 있는 냉풍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c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토출 평면 내에서 각각 분리된 공기 토출구들 그리고 하우징 중앙에서 차량의 리어존들의 분리된 온도 조절을 위한 기능 모듈로서 멀티존 모듈 형태의 기능 모듈을 갖는 공기 조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경우
도 4a는 온도 플랩들 없이, 내부 멀티존 모듈의 부분들을 갖는 공기 조화 장치의, 증발기 다음 부분에 위치하는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내부 멀티존 모듈의 부분을 바라보고 y-축에 대해 횡 방향으로 공기 조화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4c는 4-존 변형예에 따라, 증발기와 열교환기 사이에 위치 설정된 차량의 프런트존 및 리어존을 위한 온도 플랩들의 배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Further details, features and advantage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1 having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lanes, wherein the air discharge planes have separate air outlets,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y-direction inside the function area at the center of the housing between the separated air outlets. In this case, the function module in the form of a cool air duct leading to the leg room outlets Lt; / RTI >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ld air duct inside the air conditioner housing,
4A to 4C are air conditioning systems having a function module in the form of a multi-zone module as a function module for controlling the separate temperature of the rear zones of the vehicle at the air outlets and the air outlets respectively separated in one or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lanes In this cas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parts of an internal multi-zone module without temperature flaps, showing a region located in the next part of the evaporator,
Figure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inner multi-zone module and showing the air conditioning device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y-axis, and
4C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emperature flaps for the front zone and the rear zone of the vehicle position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four-zone variant 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공기 조화 장치(1)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이때 상기 도면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2)과 이어져 있는 팬의 팬 하우징(3)과 함께, 상기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2)을 볼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2) 내에는 증발기 및 열교환기와 같은 공기 온도 조절 장치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장치는 도 1에서는 하우징 벽(4)에 의해 덮여 있어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2) 내에는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온도 조절되어 객실로 토출되는 공기를 위한 복수의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차량 실내의 상이한 영역들을 위한 공기 토출구(5; 6.1, 6.2; 7.1, 7.2; 8)들, 예컨대 앞유리로 토출되는 공기를 위한 디프로스트 토출구(5) 및 탑승자의 가슴 영역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위한 벤트 토출구(6.1, 6.2; 7.1, 7.2)들 그리고 레그룸 영역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위한 레그룸 토출구(8)들은 마찬가지로 상응하게 상이한 토출 평면들에서 위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토출구(6.1, 6.2; 7.1, 7.2)들의 2개의 상이한 토출 평면은 각각 2개의 분리된 벤트 토출구(6.1, 6.2 또는 7.1 7.2)를 포함하고, 이들 토출구는 공기 조화 장치의 횡 방향(y)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벤트 토출구(6.1, 6.2 또는 7.1, 7.2) 사이에 위치하고 하우징 벽(4)의 일부분에 의해 형성된 중앙 하우징 벽 영역(9) 양측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공기 조화 장치의 전체 폭에 걸쳐 y-방향으로 연장되는 개별 디프로스트 토출구 대신, 상기 하우징 벽(4)의 일부분에 의해 형성된 중앙 영역의 양측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분리된 디프로스트 토출구를 제공하는 가능성(도 1에 도시되지 않음)도 존재한다.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figure, the fan housing 3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housing 2 together with the fan housing 3, (2) can be seen. In the air conditioner housing 2, air temperature control devices such as an evaporator and a heat exchanger are disposed, which are covered by the housing wall 4 in FIG. 1 and are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air conditioner housing 2, a plurality of air outlets for air to be discharged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are regulated by the air conditioner. (5; 6.1, 6.2; 7.1, 7.2; 8) for different areas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such as a defrost outlet (5) for air discharged into the windshield and air discharged to the occupant's chest area The vent outlets (6.1, 6.2; 7.1, 7.2) and the leg room outlets (8) for air entering the leg room area are likewise located at correspondingly different discharge planes. As shown in Fig . 1 , the two different discharge planes of the vent outlets 6.1, 6.2, 7.1 and 7.2 each include two separate vent outlets 6.1, 6.2 or 7.1 7.2, (9) located between the vent outlets (6.1, 6.2 or 7.1, 7.2)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lateral direction (y) of the apparatus and formed by a portion of the housing wall . In place of the individual defrosting outlets extending in the y-direction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air conditioner, two separate defrosting outlets arrang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a central region formed by a part of the housing wall 4 (Not shown in FIG . 1 ).

예컨대, 증발기 및 열교환기와 같은 공기 온도 조절 장치들로부터 오는 공기 흐름은 분리된 공기 토출구(6.1, 6.2 또는 7.1, 7.2)들로 분할되기 때문에 공기가 관류하지 않는 간극이 발생한다. 중앙 하우징 벽 영역(9) 아래 벤트 토출구들 사이에 있는 상기와 같은 간극은 예컨대, 온풍 덕트와 같이 공기 가이드를 위한 기능 부재 또는 기능성 삽입체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된다.For example, airflow from air temperature regulators such as evaporators and heat exchangers is split into separate air outlets (6.1, 6.2 or 7.1, 7.2), thus creating a gap where air does not flow. Such a gap between the vent outlets underneath the central housing wall area 9 is used to mount a functional member or functional insert for the air guide, such as, for example, a hot air duct.

도 2는 y-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공기 조화 장치(1)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이때 절단면은 기능 영역(10)으로서 이용되는 간극 내부에서, 하우징 벽(4)의 중앙 하우징 벽 영역(9) 아래,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은 분리된 벤트 토출구들 사이에 놓여 있다. 공기 조화 장치는 공기 온도 조절 및 공기 분배 장치들을 포함한다. 도 2의 개략도에 따르면, 공기 온도 조절 장치로는 증발기(11), 열교환기(12) 및 추가 가열 소자(13)가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고, 동시에 y-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즉 공기 조화 장치(1)의 횡 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다. 추가 공기 분배 장치로는 냉풍 및 온풍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해 온도 플랩(14, 15)들, 즉 열교환기(12) 앞에 위치한 온풍 플랩(14) 그리고 공기 조화 장치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 열교환기(12) 위쪽에 위치한 냉풍 플랩(15)이 제공되어 있다. 기능 영역(10) 내에는 냉풍 덕트(16) 형태의 기능 삽입체(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냉풍 덕트 내에는 냉풍 덕트 플랩(17)이 배치되어 있다. 냉풍 덕트(16)는 열교환기(12) 위쪽 영역의 온풍과의 사전 혼합 없이 냉풍 플랩(15) 바로 다음에서, 증발기(11)를 거친 냉풍을 취한 다음 이러한 냉풍을 레그룸 영역으로 안내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공기 조화 장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전체 폭에 걸쳐 y-방향으로 연장되는, 즉 서로 이격된 복수의 공기 토출구들로 분리되지 않는, 관련된 공기 플랩들을 갖는 공기 토출구들도 도시한다. 이는 디프로스트 플랩(18)을 구비한 디프로스트 토출구(5) 및 레그룸 토출 플랩(19)을 구비한 레그룸 토출구(8)와 관련이 있다. Figure 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onditioner 1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y-direction in which the cutting surface is located inside the gap used as the functional area 10, in the central housing wall area 9 of the housing wall 4 ) below, it is also placed between the discharge port 2 in the event separation is not shown.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ir temperature control and air distribution devices. 2 , an evaporator 11, a heat exchanger 12 and an additional heating element 13 are arranged one after another in the air flow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parallel to the y-direction, That is, in parallel with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1. The additional air distribution device includes temperature flaps 14 and 15, that is, a warm air flap 14 locat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r 12, and a heat exchanger 12 (not shown) disposed in the lower area of the air conditioner, And a cool air flap 15 is provided at the upper side. A function insert 16 in the form of a cold air duct 16 is formed in the function area 10 and a cool air duct flap 17 is disposed in the cool air duct. The cold air duct 16 takes cold air through the evaporator 11 immediately after the cold air flap 15 without pre-mixing with warm air in the region above the heat exchanger 12 and then guides such cold air to the leg room area.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2 also has air outlets with associated air flaps extending in the y-direction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air conditioner, i.e., not separated by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ir outlets Respectively. This relates to a leg room outlet 8 having a defroster outlet 5 with a defrost flap 18 and a leg room outlet flap 19. [

도 3은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2) 내부에 있는 냉풍 덕트(16)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이 경우 상기 냉풍 덕트의 상부 입구는 디프로스트 토출구(5) 아래에 그리고 온풍 풀랩(14) 위에 위치한다. 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ld air duct 16 inside the air conditioner housing 2 where the upper inlet of the cold air duct is located below the deproton outlet 5 and above the hot air fan lap 14 .

도 4a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토출 평면 내에서 각각 분리된 공기 토출구들을 갖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이 경우에는 온도 플랩들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기능 영역(10)으로서 이용되는 설치 공간이 명확히 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설치 공간은 중앙 하우징 벽 영역(9) 아래 분리된 벤트 토출구들 사이에 위치하고, 도 4a에서는 공기 토출 평면마다 단 하나의 벤트 토출구(6.1; 7.1)를 볼 수 있다. 기능 영역(10) 내에는 차량의 리어존들을 개별 온도 조절하기 위한 내부 멀티존 모듈(20)의 형태의 기능 삽입체(20)가 내장되어 있다. 도 4a는 -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 증발기 다음에 위치한 공기 조화 장치(10)의 영역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이때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내에는 멀티존 모듈(20)이 삽입되어 있다. 즉, 도 4a에는 증발기가 도시되지 않았지만, 실제로 공기 조화 장치(1)의 전체 연장부에 걸쳐 y-방향으로 연장되는 열교환기(12)가 도시되어 있다. 멀티존 모듈(20)의 각 부분(21.1, 21.2)과 하우징 중간 벽(22)의 연장부는 x-방향 및 z-방향에서, y-방향의 각각의 연장부보다 훨씬 더 크며, 이때 상기 하우징 중간 벽 상에는 바람직하게 U자형 볼 형태(bowl-shaped)로 형성된 멀티존 모듈(20)의 부분(21.1, 21.2)들이 양측에 고정되어 있다. 멀티존 모듈(20)의 부분(21.1, 21.2)들과 하우징 중간 벽(22)은 그들의 하부면에 열교환기(12)의 높이 및 두께 상응하는 리세스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부분(21.1, 21.2)들과 하우징의 중앙 벽(22)의 리세스들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12)가 상기 리세스들 내에 배치됨으로써, 멀티존 모듈(20)을 횡 방향(y)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상호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멀티존 모듈(20)은 마찬가지로 도 4b의 상응하는 단면도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의 증발기(11)까지 그리고 이에 따라 증발기(11)와 열교환기(12) 사이의 영역까지 도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Fig. 4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1 having air outlets respectively separated in one or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lanes, in which case the temperature flaps are not shown. The installation space used as the functional area 10 can be clearly seen, wherein the installation space is located between the vent outlets separated below the central housing wall area 9, and in FIG. 4A , (6.1; 7.1). In the functional area 10, a function insert 20 in the form of an internal multi-zone module 20 for controlling the individual temperature of the rear zones of the vehicle is incorporated. 4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area of the air conditioner 10 positioned next to the evaporator with reference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wherein the multi-zone module 20 is inserted in the air conditioner. That is, although the evaporator is not shown in Fig. 4A , a heat exchanger 12 is shown which actually extends in the y-direction over the entire extension of the air conditioner 1. [ The extensions of each portion 21.1, 21.2 of the multi-zone module 20 and of the housing intermediate wall 22 are much larger than the respective extensions of the y-direction in the x-direction and z-direction, On the wall, portions 21.1, 21.2 of the multi-zone module 20, preferably formed in a bowl-shaped U shape, are fixed on both sides. The portions 21.1, 21.2 of the multi-zone module 20 and the housing intermediate wall 22 have a recess corresponding to the height and thickness of the heat exchanger 12 on their lower surface. In this case, the recesses 21.1, 21.2 and the recesses of the central wall 22 of the housing are arranged such that the heat exchanger 12 is located within the recesses, as shown in Figure 4a , ) In the lateral direction (y). As a result, the multi-zone module 20 is likewise designed to reach almost the evaporator 11 and thus the region between the evaporator 11 and the heat exchanger 12, as shown in the corresponding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4b .

도 4b는, 분리 벽으로서 작용하는 볼 형상의 멀티존 모듈(20)의 부분(21.1)의 수직 영역을 외부로부터 바라보고 y-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공기 조화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이때 상기 멀티존 모듈은 4-존 변형예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면적은 제1 또는 제2 존으로 흐르는 공기 유동을 위한 제어 부재들 및 공기 유동 경로들을 나타낸다. 공기 조화 장치(1)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공기 온도 조절 및 공기 분배 장치들을 포함한다. 공기 분배 장치로는 팬(23) 및 공기 플랩들이 제공되어 있고, 공기 온도 조절 장치로는 증발기(11), 열교환기(12) 및 추가 가열 소자(13)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팬(23), 증발기(11), 열교환기(12) 및 추가 가열 소자(13)는 잇달아 배치되어 있고, 동시에 y-방향에 평행하게, 즉 공기 조화 장치(1)의 횡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다. 추가 공기 분배 장치로는 냉풍 및 온풍 공기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해 온도 플랩(14, 15)들, 즉 열교환기(12) 앞에 위치한 온풍 플랩(14)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2) 상부에 위치한 냉풍 플랩(15)이 제공되어 있다. 더 나아가 도 4b는 상이한 공기 토출구들 또는 공기 토출 덕트들 그리고 프런트존들을 위한 관련된 공기 토출구들을 도시하는데, 즉 디프로스트 플랩(18)을 구비한 디프로스트 토출구(5), 상응하는 벤트 플랩(24, 25)들을 구비한 벤트 토출구(6.2, 7.2)들 그리고 프런트존 중 하나의 프런트 존을 위한 레그룸 토출구 플랩(19)을 구비한 레그룸 토출구(8)를 도시한다. 도 4b는 각각 토출 평면 내에서 분리된 벤트 토출구(6.1, 6.2; 7.1, 7.2) 중 하나의 벤트 토출구(6.2; 7.2)만 도시한다(도 1 참조). 4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onditioner in a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y-direction, looking from the outside of the vertical region of the portion 21.1 of the ball-shaped multi-zone module 20 serving as a separation wall, The multi-zone module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4-zone variant. Wherein the cross-sectional area represents control members and air flow paths for air flow into the first or second zone. The air conditioner 1, as already mentioned, includes air temperature control and air distribution devices. The air distribution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fan 23 and air flaps, and the air temperature regulat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n evaporator 11, a heat exchanger 12 and an additional heating element 13. The fan 23, the evaporator 11, the heat exchanger 12 and the additional heating element 13 are arranged one after another and are parallel to the y-direction, that is, parallel to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1 . Additional air distribution devices include temperature flaps 14 and 15, i.e., a warm air flap 14 locat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r 12, and a cold air flap 14 positioned above the heat exchanger 12, 15) are provided. 4b further shows the associated air outlets for the different air outlets or air discharge ducts and front zones, namely the defrost outlets 5 with the defrost flaps 18, the corresponding vent flaps 24, Vent outlets (6.2, 7.2) equipped with leg openings (25, 25) and leg room outlet flaps (19) for the front zone of one of the front zones. FIG. 4B shows only one vent outlet 6.2, 7.2 of the vent outlets 6.1, 6.2, 7.1 and 7.2, respectively, in the discharge plane (see FIG. 1 ).

도 4c는 증발기와 열교환기 사이에 위치 설정된, 4-존 변형에 상응하는 멀티존 모듈을 갖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온도 플랩들의 배치를 정면도로 도시한다. 이 경우 프런트존들을 위한 냉풍 및 온풍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재로서 온도 플랩(14.1, 14.2; 15.1, 15.2)들은 중앙에 배치된 리어존들을 위한 냉풍 및 온풍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재로서 상대적으로 더 작은 온도 플랩(14.3, 14.4; 15.3, 15.4)들과 동일한 축(26, 27)들 상에서 상기 멀티존 모듈(20)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러나 이때 상기 온도 플랩(14.1, 14.2; 15.1, 15.2)들은 상기 온도 플랩(14.3, 14.4; 15.3, 15.4)들과 무관하게 그리고 상호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리어존들을 위한 온풍을 제어하기 위한 2개의 중간 온풍 플랩(14.3, 14.4)은 각각 외부에서 인접한, 프런트존들을 위한 온풍을 제어하기 위한 온풍 플랩(14.1, 14.2)들과 동일한 축(26) 상에 배치되어 있다. 유사하게 리어존들을 위한 냉풍을 제어하기 위한 2개의 중간 냉풍 플랩(15.3, 15.4)은 각각 외부에서 인접한, 프런트존들을 위한 냉풍을 제어하기 위한 2개의 냉풍 플랩(15.1, 15.2)과 동일한 축(27) 상에 배치되어 있다. Figure 4c shows a front view of the arrangement of the temperature flaps of the air conditioner 1 with a multi-zone module corresponding to a four-zone deformation, position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heat exchanger.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flaps (14.1, 14.2; 15.1, 15.2) as control members for controlling the cold winds and the hot wind flows for the front zones are relatively controlled as control members for controlling the cold and warm air flows for the centrally disposed rear zones The temperature flaps 14.1, 14.2; 15.1, 15.4 are arranged on the same side of the multi-zone module 20 on the same axis 26, 27 as the smaller temperature flaps 14.3, 14.4; 15.3, 15.4, 15.2) can be controlled independently of the temperature flaps (14.3, 14.4; 15.3, 15.4) an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other words: two intermediate warm-air flaps 14.3 and 14.4 for controlling the warm air for the rear zones, respectively, are located on the same axis 26 (Fig. 14), with the warm-air flaps 14.1 and 14.2 for controlling the hot wind for the front zones, As shown in Fig. Similarly, two intermediate cold flaps 15.3 and 15.4 for controlling cold winds for the rear zones are located on the same axis 27 (see Fig. 15), two cold flaps 15.1 and 15.2 for controlling the cold wind for the front zones, As shown in Fig.

1: 공기 조화 장치
2: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
3: 팬 하우징
4: 하우징 벽
5: 공기 토출구, 디프로스트 토출구
6.1: 공기 토출구, 벤트 토출구
6.2: 공기 토출구, 벤트 토출구
7.1: 공기 토출구, 벤트 토출구
7.2: 공기 토출구, 벤트 토출구
8: 공기 토출구, 레그룸 토출구
9: 중앙 하우징 벽 영역
10: 기능 영역
11: 증발기
12: 열교환기
13: 전기 가열 소자
14: 온도 플랩, 온풍 플랩
14.1: 멀티존 모듈의 측면에 위치 설정된 프런트존용 온풍 플랩
14.2: 멀티존 모듈의 측면에 위치 설정된 프런트존용 온풍 플랩
14.3: 멀티존 모듈 내에 위치 설정된 리어존용 온풍 플랩
14.4: 멀티존 모듈 내에 위치 설정된 리어존용 온풍 플랩
15: 온도 플랩, 냉풍 플랩
15.1: 멀티존 모듈의 측면에 위치 설정된 프런트존용 냉풍 플랩
15.2: 멀티존 모듈의 측면에 위치 설정된 프런트존용 냉풍 플랩
15.3: 멀티존 모듈 내에 위치 설정된 리어존용 냉풍 플랩
15.4: 멀티존 모듈 내에 위치 설정된 리어존용 냉풍 플랩
16: 기능 모듈, 레그룸 토출구로의 냉풍 덕트
17: 냉풍 덕트의 공기 플랩
18: 디프로스트 플랩
19: 레그룸 토출구 플랩
20: 기능 모듈, 멀티존 모듈
21.1: 멀티존 모듈의 부분
21.2: 멀티존 모듈의 부분
22: 하우징 중간 벽
23: 팬
24: 벤트 플랩
25: 벤트 플랩
26: 온풍 플랩용 축
27: 냉풍 플랩용 축
1: Air conditioner
2: Housing of air conditioner
3: Fan housing
4: Housing wall
5: air outlet, di-frost outlet
6.1: Air outlet, vent outlet
6.2: Air outlet, vent outlet
7.1: Air outlet, vent outlet
7.2: Air outlet, vent outlet
8: air outlet, leg room outlet
9: central housing wall area
10: Function area
11: Evaporator
12: Heat exchanger
13: Electric heating element
14: temperature flap, warm air flap
14.1: Warm-air flap for front zone located on the side of multi-zone module
14.2: Warm-air flap for the front zone located on the side of the multi-zone module
14.3: Hot-wind flap for rear zone positioned in multi-zone module
14.4: Hot-wind flap for rear zone positioned in multi-zone module
15: temperature flap, cold air flap
15.1: Cold wind flap for the front zone located on the side of the multi-zone module
15.2: Cold wind flap for the front zone located on the side of the multi-zone module
15.3: Cold wind flap for rear zone positioned in multi-zone module
15.4: Cold wind flap for rear zone located in multi-zone module
16: Function module, cold air duct to leg room outlet
17: Air flap of cold air duct
18: De Frost Flap
19: Leg room outlet flap
20: Function module, multi zone module
21.1: Part of a multi-zone module
21.2: Part of a multi-zone module
22: housing middle wall
23: Fans
24: Bent flap
25: Bent flap
26: Axis for warm air flap
27: Axis for cold air flap

Claims (6)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1)로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2)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복수의 공기 온도 조절 및 공기 분배 장치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 장치(1)에 의해 온도 조절되어 객실로 토출되는 공기를 위한 공기 토출구들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 토출구들은 상이한 공기 토출 평면들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개별 공기 토출구들은 서로 이격되어, 각각 공기 토출구(6.1, 6.2; 7.1, 7.2)들 사이에 위치하고 공기가 관류할 수 없는 중앙 하우징 벽 영역(9)의 양측 외부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하나 이상의 공기 토출 평면으로 분리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2)의 중앙 하우징 벽 영역(9) 아래에서 공기 토출구들 사이에 있는 설치 공간이 기능 영역(10)을 형성하고, 상기 기능 영역 내에는 하나 이상의 기능 부재 또는 기능 모듈(16, 20)이 내장된, 공기 조화 장치.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1), comprising:
The air conditioner comprises at least one air conditioner housing (2), a plurality of air temperature control and air distribution devices arranged in the housing, and a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Wherein the air outlets are arranged in different air discharge planes and the individual air outle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located between the air outlets (6.1, 6.2; 7.1, 7.2) Are arranged on the outside of both sides of the central housing wall area (9) so as to be separated by one or more air discharge planes and arranged between the air outlets below the central housing wall area (9) of the air conditioner housing (2) Wherein the installation space forms a functional area (10), and one or more functional members or functional modules (16, 20) with built-in air conditio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토출 평면들이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디프로스트 토출구(5), 하나 또는 복수의 벤트 토출구(6.1, 6.2; 7.1, 7.2) 그리고 하나 또는 복수의 레그룸 토출구(8)에 의해 점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t discharge planes are each occupied by one or more defrosting outlets (5), one or more vent outlets (6.1, 6.2; 7.1, 7.2) and one or more legroom outlets (8) , Air conditioning syste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부재/기능 모듈이 냉풍을 하나 또는 복수의 레그룸 공기 토출구(8)로 안내하기 위한 냉풍 덕트(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one functional member / functional module is a cold air duct (16) for guiding cold air to one or more leg room air outlet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부재/기능 모듈이 온풍을 상기 열교환기(12)로부터 상부 공기 토출구 중 하나 이상의 공기 토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온풍 덕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t least one functional member / function module is a hot air duct for guiding warm air from the heat exchanger (12) to at least one air outlet of the upper air outle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이 차량의 리어존들을 개별적으로 온도 조절하기 위한 멀티존 모듈(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t least one function module is a multi-zone module (20)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r zones of the vehicle.
제5항에 있어서,
차량의 프런트존 및 리어존의 상이한 온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멀티존 모듈(20)이 각기 따로 제어 가능한 온도 플랩(14.1, 14.2, 14.3; 15.1, 15.2, 15.3, 15.4)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In order to enable different temperature control of the front and rear zones of the vehicle, it is preferred that the multi-zone module 20 has temperature flaps 14.1, 14.2, 14.3; 15.1, 15.2, 15.3, 15.4, Characterized by an air conditioning device.
KR1020180087380A 2017-07-28 2018-07-26 Air conditioner for a motor vehicle KR201900135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409A KR102336365B1 (en) 2017-07-28 2020-09-25 Air conditioner for a mot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17178 2017-07-28
DE102017117178.9 2017-07-28
DE102018117956.1A DE102018117956A1 (en) 2017-07-28 2018-07-25 Air conditioner for a motor vehicle
DE102018117956.1 2018-07-2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409A Division KR102336365B1 (en) 2017-07-28 2020-09-25 Air conditioner for a mot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587A true KR20190013587A (en) 2019-02-11

Family

ID=650039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380A KR20190013587A (en) 2017-07-28 2018-07-26 Air conditioner for a motor vehicle
KR1020200124409A KR102336365B1 (en) 2017-07-28 2020-09-25 Air conditioner for a motor vehicl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409A KR102336365B1 (en) 2017-07-28 2020-09-25 Air conditioner for a motor vehic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190013587A (en)
DE (1) DE102018117956A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7114B4 (en) 2001-09-25 2005-11-0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earborn Apparatus and method for tempering and ventilating motor vehicles
DE102007013432B4 (en) 2007-03-15 2014-09-04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oration Warm air duct for an air conditioner of a motor vehicle
JP5383212B2 (en) * 2009-01-13 2014-01-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578095B1 (en) * 2009-08-31 2015-12-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365B1 (en) 2021-12-09
KR20200117931A (en) 2020-10-14
DE102018117956A1 (en)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6843B2 (en) Climate control system
KR101998172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9587850B2 (en) HVAC temperature stratification improvement technique
JP4688790B2 (en) Small structure heating, ventilation, or air-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bile cabin
KR102056123B1 (en) Air distribution assembly for an air-condition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JP4017141B2 (en) Automotive air conditioner
KR102336365B1 (en) Air conditioner for a motor vehicle
US11040592B2 (en) Climate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20160111576A (en) Dual zone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136642B1 (en) Heater/air conditioning for a motor vehicle
KR102136606B1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102379897B1 (en) Modular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KR20220001331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92151B1 (en) Air-conditioner in the vehicle
KR101899367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4114889A (en)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US20220305875A1 (en) Control device, and associated heating and/or ventilation and/or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 motor vehicle and temperature management method
US11117446B2 (en) Blower device
US11524549B2 (en) Off set tri-zone sliding temperature door strategy
US11117443B2 (en) Multi-zone HVAC module
KR20100006970A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20230131990A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1126829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Car
KR20220068552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060010171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