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507A -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 및 수소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 및 수소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507A
KR20190013507A KR1020180082845A KR20180082845A KR20190013507A KR 20190013507 A KR20190013507 A KR 20190013507A KR 1020180082845 A KR1020180082845 A KR 1020180082845A KR 20180082845 A KR20180082845 A KR 20180082845A KR 20190013507 A KR20190013507 A KR 20190013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mbustible gas
supply unit
gas supply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2874B1 (ko
Inventor
다카유키 후쿠다
겐지 나구라
고이치로 하시모토
다이스케 와다
다쿠야 와시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26840A external-priority patent/JP708366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190013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2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vessels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6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compressed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03Exteri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03Exterior arrangements
    • F17C2205/0111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23Moun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number of vessels
    • F17C2205/013Two or more vessels
    • F17C2205/0134Two or more vessel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fluid connection between vessels
    • F17C2205/0142Two or more vessel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fluid connection between vessels bundl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37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37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 F17C2227/0341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using another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37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 F17C2227/0341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using another fluid
    • F17C2227/0355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using another fluid in a closed lo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4Reducing risks and environmental imp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4Reducing risks and environmental impact
    • F17C2260/042Reducing risk of explo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17C2265/061Fluid distribution for supply of supplying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17C2265/065Fluid distribution for refueling vehicle fuel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34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placed above the ground
    • F17C2270/0139Fuel st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84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45Hydrogen technologies in production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은, 압축된 가연성 가스를 취급하는 고압 가스 설비와, 고압 가스 설비가 수용되는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에 있어서, 수소 스테이션의 부지 내와 부지 외의 경계측에 위치함과 함께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를 구성하는 부위는, 가연성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에 견디는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 및 수소 스테이션 {COMBUSTIBLE GAS SUPPLY UNIT AND HYDROGEN STATION}
본 발명은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 및 수소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2506호(특허문헌 1) 및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3/24287호(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연료인 수소 가스를 연료 전지차에 보급하기 위한 시설인 수소 스테이션에 대하여 알려져 있다. 이 수소 스테이션에 있어서는, 수소 가스를 고압 상태로 압축하는 압축기를 가짐과 함께 압축된 수소 가스를 디스펜서 또는 축압기에 공급하는 수소 가스 공급 유닛과, 이 수소 가스 공급 유닛 또는 축압기로부터 공급된 고압의 수소 가스를 연료 전지차에 보급하기 위한 노즐을 구비한 디스펜서가 부지 내에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수소 스테이션에 있어서는, 가연성 가스인 수소 가스가 취급되기 때문에, 수소 가스의 폭발에 대한 안전 대책에 대하여 다양한 검토가 행해지고 있다.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수소 스테이션의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호벽을 설치함으로써, 수소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을 저감시키는 대책이 이루어져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지지대와, 이 지지대의 상면에 설치된 압축기, 축압기 및 냉동기를 구비한 수소 가스 충전 장치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이 수소 가스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냉동기가 하우징 내에 수용됨과 함께, 압축기 및 축압기와 냉동기 사이에 장벽이 설치됨으로써, 수소 가스의 폭발에 의한 영향이 냉동기에 미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수소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을 방호벽에 의해 저감시킬 수 있는 한편, 이 방호벽의 건설에 요하는 비용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수소 가스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수소 가스의 폭발에 의한 영향이 냉동기에 미치는 것이 장벽에 의해 억제되는 한편, 압축기 및 축압기가 장치의 외부에 대하여 개방적인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수소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이 장치의 외부까지 미치게 되어, 충분한 장벽 구조라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비용으로 우수한 장벽 구조가 얻어지는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 및 이것을 구비한 수소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관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은, 연료인 가연성 가스의 보급을 행하는 시설의 부지 내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은, 압축된 상기 가연성 가스를 취급하는 고압 가스 설비와, 상기 고압 가스 설비가 수용되는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부지 내와 부지 외의 경계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를 구성하는 부위는, 상기 가연성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에 견디는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관한 수소 스테이션은, 상기 가연성 가스인 수소 가스를 축압기 또는 디스펜서에 공급하는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과, 상기 축압기 또는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수소 가스를 연료 전지차에 보급하기 위한 상기 디스펜서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비용으로 우수한 장벽 구조가 얻어지는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 및 이것을 구비한 수소 스테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수소 스테이션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의 상방에서 본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의 측방에서 본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에 있어서의 제어부와 각 기기의 접속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수소 스테이션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의 상방에서 본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수소 스테이션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관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에 있어서의 도어의 스토퍼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관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에 있어서의 도어의 스토퍼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 및 수소 스테이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먼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수소 스테이션(1)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수소 스테이션(1)에 있어서의 주요한 구성 요소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수소 스테이션(1)은 탱크 탑재 장치로서의 연료 전지차(4)에 대하여 연료인 수소 가스(가연성 가스)의 보급을 행하는 시설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소 스테이션(1)은 수소 가스를 후술하는 축압기(23)에 공급하는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수소 가스 공급 유닛)과,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으로부터 공급된 수소 가스를 저류하는 축압기(23)와, 축압기(23)로부터 유출된 수소 가스가 흐르는 가스 유출 라인(28)과, 가스 유출 라인(28)을 통해 축압기(23)로부터 공급된 수소 가스를 연료 전지차(4)에 보급하기 위한 디스펜서(3)를 주로 구비한다.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은 소정의 고압 상태로 압축된 수소 가스를 축압기(23)에 공급한다. 이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은 저류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소 가스를 수납하는 수납부(21)와, 수납된 수소 가스를 소정의 고압 상태로 압축하는 압축기(22)와, 압축기(22)로부터 축압기(23)를 향해 고압의 수소 가스를 유입시키는 가스 유입 라인(27)을 갖는다.
압축기(22) 및 가스 유입 라인(27)의 상류 부분(27AA)은 압축된 수소 가스를 취급하는 고압 가스 설비(6)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고압 가스 설비(6)는 압축된 수소 가스를 생성하는 설비(압축기(22))와, 압축된 수소 가스가 흐르는 설비(가스 유입 라인(27))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압 가스 설비(6)를 구성하는 가스 유입 라인(27)의 상류 부분(27AA)이란, 압축기(22)의 출구에 접속됨과 함께, 후술하는 하우징(31)(도 2)에 수용된 부분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압 가스 설비」는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다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압축기(22) 및 가스 유입 라인(27)에 더하여 축압기(23) 및 가스 유출 라인(28)을 더 갖고 있어도 된다.
압축기(22)는, 예를 들어 왕복 이동식의 압축기(레시프로 컴프레서)이다. 압축기(22)의 내부에는 복수단의 압축실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기(22)의 입구에는 수납 라인(26)의 하류단이 접속되어 있다. 압축 전의 수소 가스는 수납 라인(26)을 통해 수납부(21)로부터 압축기(22)로 공급된다. 각 압축실에 있어서는, 흡입구를 통해 실린더 내에 흡입된 수소 가스가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의해 승압되고, 승압된 수소 가스가 토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압축기(22)의 내부에는, 예를 들어 3단 이상의 압축실이 마련된다. 압축기(22)는 흡입 압력이 1㎫ 이하, 토출 압력이 80㎫ 이상, 처리량이 대략 300Nm3/h 이상(흡입 압력이 1㎫인 경우)으로 설계된 대형 압축기이다. 이에 의해, 복수대의 축압기(23)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1시간) 내에서 수소 가스의 충전을 연속적으로 반복해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22)는 왕복 이동식의 압축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크루식 압축기여도 된다.
축압기(23)는 압축기(22)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수소 가스를 저류하는 용기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대(3대)의 축압기(23)가 설치되어 있다. 각 축압기(2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슐 형상을 갖고 있고, 각각 동일한 설계 압력(예를 들어, 82㎫)으로 되어 있다.
가스 유입 라인(27)은 압축기(22)와 축압기(23)를 서로 접속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스 유입 라인(27)의 상류단이 압축기(22)의 출구에 접속됨과 함께, 가스 유입 라인(27)의 하류측이 축압기(23)의 대수에 따라 분기되어 있다(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라인으로 분기). 그리고, 각 분기 부분이 축압기(23)의 출입구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 유입 라인(27)의 하류측의 각 분기 부분에는 수소 가스의 유통 및 차단을 전환하는 개폐 밸브(27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 밸브(27A)를 개방함으로써, 압축기(22)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수소 가스를, 가스 유입 라인(27)을 통해 각 축압기(23) 내에 유입시킬 수 있다.
가스 유출 라인(28)은 축압기(23) 내에 저류된 고압의 수소 가스를 디스펜서(3)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스 유출 라인(28)의 상류측의 부위는 축압기(23)의 대수에 따라 분기되어 있다. 그리고, 각 분기 부분은 가스 유입 라인(27)에 있어서의 개폐 밸브(27A)의 하류측의 부위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스 유출 라인(28)의 각 분기 부분에는 수소 가스의 유통 및 차단을 전환하는 개폐 밸브(28A)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개폐 밸브(27A)를 폐쇄한 상태에서 개폐 밸브(28A)를 개방함으로써, 축압기(23) 내에 저류된 고압의 수소 가스를, 가스 유출 라인(28)을 통해 디스펜서(3)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은 압축된 수소 가스의 냉각에 사용되는 냉동기(24)를 구비한다. 냉동기(24)는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 유로(24B)와, 이 냉매 유로(24B)에 설치된 증발부(24A), 압축부, 응축부 및 팽창부를 갖는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발부(24A)는 브라인 유로(37)에 접속되어 있고, 냉매 유로(24B)를 흐르는 냉매와 브라인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다. 이에 의해, 냉매가 증발함과 함께 브라인이 냉각된다. 그리고, 냉각된 브라인은 디스펜서(3)에 설치된 프리쿨러(35)에 유입되고, 축압기(23)로부터 프리쿨러(35)에 유입된 수소 가스와 열교환한다. 이에 의해, 압축된 수소 가스가 브라인에 의해 냉각된다. 이와 같이, 냉동기(24)는 2차 냉매인 브라인을 냉각함으로써, 수소 가스의 냉각에 간접적으로 사용된다.
냉동기(24)의 압축부는 증발부(24A)로부터 유출된 가스 상태의 냉매를 압축한다. 응축부는 압축부로부터 유출된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냉매를 응축시킨다. 팽창부는 응축부로부터 유출된 액상의 냉매를 팽창시킨다. 팽창부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증발부(24A)에 유입된다.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은 당해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9)를 더 구비한다. 제어부(29)는, 예를 들어 압축기(22)의 구동, 개폐 밸브(27A, 28A)의 개폐 동작, 냉동기(24)의 구동 및 디스펜서(3)의 구동 등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통합 제어반과 각 기기(압축기(22), 냉동기(24), 디스펜서(3) 등)는 개별 배선은 아니고, 필드 버스나 필드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통합 제어반은 태블릿 등의 포터블형 조작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통합 제어반은 포터블형 조작반에 각종 데이터를 표시시키고, 또한 당해 포터블형 조작반에 의해 각 기기로의 조작 지시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포터블형 조작반을 사용함으로써, 수소 스테이션(1) 내의 임의의 장소에 있어서 각 기기의 운전 상황을 감시함과 함께, 기기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축압기(23)로부터 가스 유출 라인(28)을 통해 공급된 고압의 수소 가스를 연료 전지차(4)에 보급하기 위한 것이다. 디스펜서(3)는 수소 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프리쿨러(35)와, 이 프리쿨러(35)에 의해 냉각된 수소 가스를 연료 전지차(4)에 보급하는 노즐(3A)을 갖는다. 노즐(3A)은 연료 전지차(4)의 보급구(도시하지 않음)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프리쿨러(35)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채널식 열교환기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수소 가스와 브라인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다. 그리고, 브라인에 의해 냉각된 수소 가스가 노즐(3A)에 의해 연료 전지차(4)에 보급된다. 또한 당해 열교환에 의해 수소 가스로부터 흡열한 브라인은 브라인 펌프(36)에 의해 증발부(24A)로 보내지고, 냉매 유로(24B)를 흐르는 냉매에 의해 다시 냉각된다.
이와 같이, 냉동기(24)의 냉매와 수소 가스를 직접 열교환시키지 않고, 냉동기(24)에서 발생하는 냉열을 브라인 등의 2차 냉매에 일시적으로 축적함으로써, 수소 가스를 효율적으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2차 냉매는 브라인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액화 탄산 가스를 브라인 대신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의 구성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은 고압 가스 설비(6)[압축기(22) 및 가스 유입 라인(27)의 상류 부분(27AA)], 냉동기(24) 및 제어부(29)를 각각 수용하는 하우징(31)을 구비한다. 도 2는 하우징(31)을 상방에서 본 경우의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 중의 화살표 III에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경우의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의 모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은 수소 스테이션(1)의 부지 내 R1에 설치됨과 함께, 당해 부지 내 R1과 부지 외 R2의 경계 B1에 인접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은 경계 B1로부터 8m 이내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각 방향에 준하는 것으로 한다.
하우징(31)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수납 상자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1)은 하우징(31)의 하면을 구성하는 대판(32)과, 하우징(31)의 상면을 구성하는 천장판(33)과, 대판(32)과 천장판(33)을 접속하는 복수개의 기둥(34)을 주로 갖는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하우징(31)은 2개의 기둥(34) 사이에 걸치는 빔을 더 갖고 있어도 된다.
대판(32)은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 형상의 판이다. 대판(32)의 상면에는 압축기(22) 및 제어부(29)가 각각 적재된다. 또한 대판(32)은, 예를 들어 시멘트 등에 의해 수소 스테이션(1)의 부지 내 R1의 지면에 고정되어 있다.
기둥(34)은, 예를 들어 H형 강을 포함하고, 대판(32)의 코너부(네 구석)에 각각 세워 설치되어 있다. 도 3에서는, 대판(32)의 전방측에 설치된 2개의 기둥(34)만이 나타나 있다. 천장판(33)은 대판(32)과 대략 동일한 크기의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 형상의 판이다. 천장판(33)은 대판(32)과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기둥(34)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1)은 전방측판(40)과, 후방측판(50)과, 좌측판(60)과, 우측판(70)을 갖는다. 이들 판은 하우징(31)의 측면을 구성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강판제의 패널에 의해 각각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강판제 패널은 대판(32) 및 천장판(33)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31)의 내부 공간은 대판(32), 천장판(33), 전방측판(40), 후방측판(50), 좌측판(60) 및 우측판(7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방측판(40)은 하우징(31)의 전방면을 구성하는 것이다. 후방측판(50)은 하우징(31)의 후방면을 구성하는 것이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방측판(40)과 대향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측판(50)은 수소 스테이션(1)의 부지 내 R1과 부지 외 R2의 경계 B1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전방측판(40)은 후방측판(50)에 대하여 경계 B1과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전방측판(40)은 하우징(31)의 좌측 전방면을 구성하는 제1 전방측판(41)과, 하우징(31)의 우측 전방면을 구성함과 함께 제1 전방측판(41)에 대하여 좌우 방향에 인접하는 제2 전방측판(42)을 포함한다. 후방측판(50)은 하우징(31)의 좌측 후방면을 구성하는 제1 후방측판(51)과, 하우징(31)의 우측 후방면을 구성함과 함께 제1 후방측판(51)에 대하여 좌우 방향에 인접하는 제2 후방측판(52)을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전방측판(41)과 제1 후방측판(51)은 전후 방향에 대향하고 있고, 제2 전방측판(42)과 제2 후방측판(52)은 전후 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좌측판(60)은 하우징(31)의 좌측면을 구성하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판(60)은 제1 전방측판(41)의 좌측단과 제1 후방측판(51)의 좌측단을 접속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우측판(70)은 하우징(31)의 우측면을 구성하는 것이며, 좌측판(60)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판(70)은 제2 전방측판(42)의 우측단과 제2 후방측판(52)의 우측단을 접속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방측판(40)(제1 및 제2 전방측판(41, 42)), 후방측판(50)(제1 및 제2 후방측판(51, 52)), 좌측판(60) 및 우측판(70)은 대판(32), 기둥(34) 및 천장판(33)에 대하여, 접합부의 전체에 걸쳐서 용접함으로써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한, 측판의 고정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 부재가 사용되어도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압기(23)는 하우징(31)의 외부에 있어서 전방측판(40)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축압기(23)는 하우징(31)에 대하여 경계 B1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스 유입 라인(27)은 하우징(31)에 수용됨과 함께 압축기(22)의 출구에 접속된 상류 부분(27AA)(고압 가스 설비(6))과, 하우징(31)의 외부에 위치함과 함께 축압기(23)의 출입구에 접속된 하류 부분(27BB)을 갖는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펜서(3)는 수소 스테이션(1)의 부지 내 R1에 있어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가스 유출 라인(28)은 하우징(31)의 외부에 있어서, 가스 유입 라인(27)(하류 부분(27BB))과 디스펜서(3)를 접속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축압기(23) 및 디스펜서(3)는 도 2에 나타내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부지 내 R1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은 하우징(31) 내의 공간을 좌우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1 구획판(80)과, 당해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2 구획판(81)을 갖는다. 이들의 제1 및 제2 구획판(80, 81)도, 하우징(31)의 측판과 마찬가지로, 강판제의 패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구획판(80)은 제1 및 제2 전방측판(41, 42)의 인접부(40A)로부터 제1 및 제2 후방측판(51, 52)의 인접부(50A)를 향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구획판(80)은 하우징(3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고, 좌측판(60) 및 우측판(70)에 대하여 평행이다.
제1 구획판(80)은 접합부 전체에 걸치는 용접에 의해 후단이 후방측판(50)에 대하여 고정됨과 함께, 접합부 전체에 걸치는 용접에 의해 전단이 전방측판(4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구획판(80)은 접합부 전체에 걸치는 용접에 의해 상단이 천장판(33)에 대하여 고정됨과 함께, 접합부 전체에 걸치는 용접에 의해 하단이 대판(32)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구획판(80)의 고정 방법도 용접에 한정되지 않고,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 부재를 사용한 방법이어도 된다.
제2 구획판(81)은 하우징(31)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있고, 우측판(70)으로부터 제1 구획판(80)을 향해 좌우 방향(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1) 내의 공간은 고압 가스 설비(6)가 수용되는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A1과, 냉동기(24)가 수용되는 냉동기 에어리어 A2와, 제어부(29)가 수용되는 제어 에어리어 A3으로 분할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어 에어리어 A3은 냉동기 에어리어 A2보다도 좁고, 또한 냉동기 에어리어 A2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냉동기 에어리어 A2와 제어 에어리어 A3을 상하 방향으로 겹치도록 마련함으로써, 하우징(31)의 사이즈를 작게 하고, 수소 스테이션(1)의 부지 내 R1에 있어서의 하우징(31)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에어리어 A3에는 제어부(29)의 일부 또는 전체가 수용되어 있다.
냉동기 에어리어 A2에는 냉동기(24)에 더하여, 브라인 순환 장치(브라인 유로(37), 브라인 펌프(36) 등)도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9)(통합 제어반)는 고압 가스 설비(6)(압축기(22)를 포함함), 냉동기(24) 및 디스펜서(3)에 대하여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29)는 이들 기기의 동작을 제어함과 함께, 이들 기기에 설치된 각종 계장품(압력 센서, 온도 센서 등)으로부터 보내지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제어부(29)는 냉동기(24)의 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 4 중에 있어서 제어부(29)가 파선에 의해 나타내었다. 또한 하우징(31)에는 각 에어리어 내를 환기하기 위한 환기팬이 설치되어 있다.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A1은 대판(32)과, 천장판(33)과, 제1 전방측판(41)과, 제1 후방측판(51)과, 좌측판(60)과, 제1 구획판(80)에 의해 구성된 공간이다. 냉동기 에어리어 A2는 제2 구획판(81)과, 천장판(33)과, 제2 전방측판(42)과, 제2 후방측판(52)과, 제1 구획판(80)과, 우측판(70)에 의해 구성된 공간이다. 제어 에어리어 A3은 대판(32)과, 제2 구획판(81)과, 제2 전방측판(42)과, 제2 후방측판(52)과, 제1 구획판(80)과, 우측판(70)에 의해 구성된 공간이다.
즉, 냉동기 에어리어 A2 및 제어 에어리어 A3은 제1 구획판(80)에 의해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A1에 대하여 격리되어 있다(도 3). 환언하면, 제1 구획판(80)은 냉동기 에어리어 A2 및 제어 에어리어 A3을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A1에 대하여 격리하도록, 대판(32)으로부터 천장판(33)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에서는, 하우징 내에 있어서 수소 가스가 폭발했을 때에 대비한 안전 대책이 요구된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에서는, 하우징(31)에 있어서, 부지 내 R1과 부지 외 R2의 경계 B1측에 위치함과 함께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A1을 구성하는 부위(제1 후방측판(51))가, 수소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에 견디는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후방측판(51)은 JIS(일본 공업 규격) G3193 2008의 규격을 만족시키는, 두께가 6㎜ 이상인 강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이 경계 B1의 근처에 설치된 경우라도(예를 들어, 경계 B1로부터 8m 이내의 영역), 수소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이 부지 외 R2로 미치는 것을 장벽 부재(제1 후방측판(51))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이 하우징(31)의 일부를 장벽 부재로서 이용함으로써, 대폭적인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즉, 도 2에 있어서의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과 경계 B1 사이의 지면에 장벽을 건설하는 경우에 비해, 수소 스테이션 전체의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31)은 부지 내 R1과 부지 외 R2의 경계 B1측에 위치하고, 또한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A1을 구성하는 제1 후방측판(51)만이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밖의 부분(전방측판(40), 제2 후방측판(52), 좌측판(60), 우측판(70))은 제1 후방측판(51)을 구성하는 강판 패널보다도 두께가 작은 강판 패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31) 전체가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하우징(31)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구획판(80)도, 제1 후방측판(51)과 마찬가지로, 수소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에 견디는 장벽 부재(JIS G3193 2008의 규격을 만족시키는, 두께가 6㎜ 이상인 강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A1 내에 있어서의 수소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이 냉동기(24) 및 제어부(29)에 미치는 것을, 제1 구획판(80)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관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 및 수소 스테이션(1)의 특징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열기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은 연료인 수소 가스(가연성 가스)의 보급을 행하는 수소 스테이션(1)의 부지 내 R1에 설치된다.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은 압축된 수소 가스를 취급하는 고압 가스 설비(6)와, 고압 가스 설비(6)가 수용되는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A1이 설치되는 하우징(31)을 구비한다. 하우징(31)에 있어서, 수소 스테이션(1)의 부지 내 R1과 부지 외 R2의 경계 B1측에 위치함과 함께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A1을 구성하는 부위(제1 후방측판(51))는 수소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에 견디는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소 스테이션(1)은 수소 가스를 축압기(23)에 공급하는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과, 축압기(23)로부터 공급된 수소 가스를 연료 전지차(4)에 보급하기 위한 디스펜서(3)를 구비한다.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에 있어서는, 수소 가스를 취급하는 고압 가스 설비(6)가, 하우징(31) 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수소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이 하우징(31)의 외부로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1)의 제1 후방측판(51)이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이 경계 B1의 근처에 설치된 경우에도, 수소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이 부지 외 R2로 미치는 것을 장벽 부재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우수한 장벽 구조가 얻어진다. 게다가, 하우징(31)의 일부를 장벽 부재로서 이용함으로써, 장벽을 부지 내 R1의 지면에 별도 건설하는 경우에 비해, 대폭적인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은 압축된 수소 가스의 냉각에 사용되는 냉동기(24)와, 하우징(31) 내의 공간을 구획함과 함께 수소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에 견디는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된 제1 구획판(80)을 구비한다. 하우징(31) 내에는 냉동기(24)가 수용되는 에어리어이며, 제1 구획판(80)에 의해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A1에 대하여 격리된 냉동기 에어리어 A2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A1 내에 있어서의 수소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이 냉동기(24)에 미치는 것을, 제1 구획판(80)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동기(24)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은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9)를 구비한다. 하우징(31) 내에는 제어부(29)가 수용됨과 함께 냉동기 에어리어 A2의 하측에 위치하는 에어리어이며, 제1 구획판(80)에 의해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A1에 대하여 구획된 제어 에어리어 A3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A1 내에 있어서의 수소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이 제어부(29)에 미치는 것을, 제1 구획판(80)에 의해 방지함으로써, 제어부(29)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1매의 구획판에 의해 냉동기(24) 및 제어부(29)의 양쪽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구획판의 설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에어리어 A3은 냉동기 에어리어 A2에 비해 작업자가 출입하는 빈도가 높은 영역이다. 이로 인해, 작업자의 출입의 용이를 고려하여, 제어 에어리어 A3을 냉동기 에어리어 A2보다도 하측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에 있어서, 하우징(31)은 수소 스테이션(1)의 부지 내 R1과 부지 외 R2의 경계 B1측에 위치하고 또한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A1을 구성하는 부위(제1 후방측판(51))만이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31)의 우수한 장벽 구조를 유지함과 함께, 하우징(31) 전체가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하우징(31)의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에 있어서, 하우징(31)은 고압 가스 설비(6)(압축기(22))가 적재되는 대판(32)과, 대판(32)에 세워 설치되는 기둥(34)과, 대판(32)에 대향하도록 기둥(34)에 설치되는 천장판(33)을 갖는다.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제1 후방측판(51)은 대판(32), 기둥(34) 및 천장판(33)에 대하여, 접합부의 전체에 걸치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후방측판(51)을, 대판(32), 기둥(34) 및 천장판(33)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A1 내에 있어서의 수소 가스의 폭발에 의해 제1 후방측판(51)이 날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후방측판(51)은 대판(32), 기둥(34) 및 천장판(33)의 전부에 대하여 접합부의 전체에 걸치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1개 또는 2개의 부재에 대해서만 접합부의 전체에 걸치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 2)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A) 및 수소 스테이션(1A)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2에 관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A) 및 수소 스테이션(1A)은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 형태 1의 경우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지만, 고압 가스 설비(6)의 구성에 있어서 상이하다. 이하, 상기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A)은 압축기(22) 및 가스 유입 라인(27)에 더하여, 축압기(23) 및 가스 유출 라인(28)을 더 갖는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압축기(22), 축압기(23), 가스 유입 라인(27) 및 가스 유출 라인(28)의 상류 부분(28AA)은 고압 가스 설비(6)이다. 즉,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고압 가스 설비(6)는 압축된 수소 가스를 생성하는 설비(압축기(22)) 및 압축된 수소 가스가 흐르는 설비(가스 유입 라인(27), 가스 유출 라인(28))에 더하여, 압축된 수소 가스를 저류하는 설비(축압기(23))를 더 포함한다. 또한, 고압 가스 설비(6)를 구성하는 가스 유출 라인(28)의 상류 부분(28AA)이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 유입 라인(27)에 접속됨과 함께 하우징(31)에 수용된 부분이다. 따라서, 실시 형태 2에 관한 수소 스테이션(1A)은 수소 가스를 디스펜서(3)에 공급하는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A)과,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A)으로부터 공급된 수소 가스를 연료 전지차(4)에 보급하기 위한 디스펜서(3)를 구비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 형태 2에서는 압축기(22), 축압기(23), 가스 유입 라인(27) 및 가스 유출 라인(28)의 상류 부분(28AA)이, 하우징(31) 내의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A1에 각각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A1 내의 수소 가스가 폭발한 경우에도,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된 제1 후방측판(51)에 의해, 폭발 시의 충격이 부지 외 R2로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수소 스테이션(1B)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3에 관한 수소 스테이션(1B)은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 형태 1의 경우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지만, 축압기(23)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 상이하다. 이하, 상기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소 스테이션(1B)은 축압기(23)(도 1)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가스 유입 라인(27)이 디스펜서(3)의 프리쿨러(35)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스 유입 라인(27)은 압축기(22)의 출구에 접속됨과 함께 하우징(31)(도 2)에 수용된 상류 부분(27AA)과, 디스펜서(3)(프리쿨러(35))에 접속됨과 함께 하우징(31)의 외부에 배치된 하류 부분(27BB)을 갖는다. 이로 인해, 압축기(22)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수소 가스는 가스 유입 라인(27)을 통해 프리쿨러(35)에 직접 공급된다. 이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 형태 1, 2와 마찬가지로, 하우징 내에 있어서의 수소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이 수소 스테이션(1B)의 부지 외로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관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4에 관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은,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 형태 1에 관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과 동일한지의 구성을 구비하지만, 하우징(31)의 내측에 작업자가 액세스하기 위한 입구가 제1 후방측판(51)에 형성됨과 함께, 당해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수소 가스의 폭발 시의 충격에 의해 하우징(31)의 외측으로 불어 날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하, 상기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8은 하우징(31)에 있어서의 제1 후방측판(51)의 부분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후방측판(51)에는 작업자가 하우징(31) 내에 출입하기 위한 입구(5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시 형태 4에 관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은 이 입구(51A)를 개폐하는 도어(90)와, 도어(90)를 멈추기 위한 스토퍼(91)를 구비한다.
도어(90)는 안쪽 열림 구조를 갖는다. 즉,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90)는 내면의 일단(좌측단)이 힌지 등의 금속 부재(92)에 의해 제1 후방측판(51)의 내면(입구(51A)측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도어(90)는 당해 금속 부재(92)를 지지점으로 하고, 제1 후방측판(51)에 대하여 하우징(31)의 내측을 향해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어(90)는 도 8 중에 있어서의 우측단이 지지점이 되는 안쪽 열림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스토퍼(91)는 제1 후방측판(51)과는 별체이며, 도어(90)의 좌우 양단의 부분과 겹치도록, 하우징(31)의 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즉, 하우징(31)을 후방으로부터 측면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 스토퍼(91)가 도어(90)의 좌우 양단의 부분과 겹침으로써, 도어(90)의 좌우 양단의 부분이 숨겨져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91)는 제1 후방측판(51)의 외면 및 도어(90)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91)에 의해,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A1 내에 있어서의 수소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 100에 의해 하우징(31)의 내측으로부터 도어(90)에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당해 도어(90)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90)가 날아가는 것을 스토퍼(91)에 의해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수소 스테이션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91)의 두께는 제1 후방측판(51)의 두께 이상이다. 이에 의해, 스토퍼(91)가 도어(90)를 멈추는 힘이 보다 커지기 때문에, 수소 가스의 폭발 시의 충격(100)에 의해 도어(90)가 날아가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91)는 도어(90)의 좌우 양단뿐만 아니라, 도어(90)의 상단도 멈추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스토퍼(91)는 제1 후방측판(51)의 외면 및 도어(90)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당해 외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어 및 스토퍼 구조는 상기 실시 형태 2에 관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2A)에 적용되어도 된다.
(실시 형태 5)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관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5에 관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은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 형태 4에 관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지만, 하우징(31)의 입구(51A)를 개폐하는 도어가 슬라이드식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하, 상기 실시 형태 4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93)는 하우징(31)의 내측에 있어서 제1 후방측판(51)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미닫이 구조를 갖고 있다. 즉, 도어(93)를 제1 후방측판(51)을 따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입구(51A)를 개폐할 수 있다.
도 9는 도어(93)에 의해 입구(51A)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후방측판(51)에 있어서 입구(51A)를 구성하는 부위(91A)는 도어(93)의 좌우 양 모서리와 겹쳐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부위(91A)가 스토퍼로서 기능하고, 수소 가스의 폭발 시의 충격에 의해 도어(93)가 하우징(31)의 외측으로 날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후방측판(51)의 일부가 도어(93)의 스토퍼로서 이용되고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가연성 가스의 일례로서 수소 가스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연성 가스의 다른 예로서는, 예를 들어 메탄, 프로판 혹은 아세틸렌 등의 탄화수소계 가스를 들 수 있다. 이것은 실시 형태 2 내지 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제1 구획판(80)이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구획판(80)이 장벽 부재가 아니어도 된다. 이것은 실시 형태 2 내지 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제어 에어리어 A3이 냉동기 에어리어 A2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 에어리어 A3이 냉동기 에어리어 A2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것은 실시 형태 2 내지 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실시 형태 4, 5에서는,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된 제1 후방측판(51)에만 도어(90, 93)가 마련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측판에도 도어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2 중에 있어서의 제1 전방측판(41)이나 좌측판(60)에도 도어가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 않은 측판에만 도어가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그 경우, 스토퍼가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A1을 구성하는 복수의 측판에 도어를 마련하는 경우, 모두 안쪽 열림 구조로 해도 되고, 모두 미닫이식 구조로 해도 되고, 안쪽 열림 구조와 미닫이식 구조를 조합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하우징(31)의 측판 중 제1 후방측판(51)만이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전방측판(41) 및 좌측판(60)도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은, 실시 형태 2 내지 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은, 연료인 가연성 가스의 보급을 행하는 시설의 부지 내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은 압축된 상기 가연성 가스를 취급하는 고압 가스 설비와, 상기 고압 가스 설비가 수용되는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부지 내와 부지 외의 경계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를 구성하는 부위는, 상기 가연성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에 견디는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에 있어서는, 가연성 가스를 취급하는 고압 가스 설비가,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가연성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이 하우징의 외부로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에 있어서, 부지의 경계측에 위치함과 함께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를 구성하는 부위는,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이 부지 경계의 근처에 설치된 경우에도, 가연성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이 부지의 외부로 미치는 것을 장벽 부재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우수한 장벽 구조가 얻어진다. 또한, 하우징의 일부를 장벽 부재로서 이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장벽을 부지의 지면에 별도 건설하는 경우에 비해, 대폭적인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은 압축된 상기 가연성 가스의 냉각에 사용되는 냉동기와, 상기 하우징 내의 공간을 구획함과 함께, 상기 가연성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에 견디는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된 구획판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냉동기가 수용되는 에어리어이며, 상기 구획판에 의해 상기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에 대하여 격리된 냉동기 에어리어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내에 있어서의 가연성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이 냉동기에 미치는 것을, 구획판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동기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은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제어부가 수용됨과 함께 상기 냉동기 에어리어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는 에어리어이며, 상기 구획판에 의해 상기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에 대하여 격리된 제어 에어리어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내에 있어서의 가연성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이 제어부에 미치는 것을 구획판에 의해 방지함으로써, 제어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1매의 구획판에 의해 냉동기 및 제어부의 양쪽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구획판의 설치 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부위에는 상기 하우징 내로의 입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은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가연성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상기 도어를 멈추기 위한 스토퍼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내에 있어서 가연성 가스의 폭발이 일어나, 도어에 대하여 하우징의 내측으로부터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그것에 의해 도어가 날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두께는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부위의 두께 이상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연성 가스의 폭발 시의 충격에 의해 도어가 날아가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부위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측을 향해 회동하는 안쪽 열림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도어와 겹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는 부재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는 부재에 의해 스토퍼가 구성되기 때문에, 당해 부재의 두께 등에 의해, 도어가 날아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 가능하다.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부위를 따라 슬라이드하는 미닫이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입구를 구성하는 부위가 상기 스토퍼로서 기능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의 일부를 스토퍼로서 이용함으로써, 스토퍼 구조를 더 간이화할 수 있다.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부지 내와 상기 부지 외의 경계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를 구성하는 부위만이 상기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우수한 장벽 구조를 유지함과 함께, 하우징의 전체가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하우징의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설계도 간이화할 수 있다.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고압 가스 설비가 적재되는 대판과, 상기 대판에 세워 설치되는 기둥과, 상기 대판에 대향하도록 상기 기둥에 설치되는 천장판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부위는 상기 대판, 상기 기둥 및 상기 천장판의 적어도 어느 것에 대하여, 접합부의 전체에 걸치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에 있어서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부위를, 대판, 기둥 또는 천장판 등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 내에 있어서의 가연성 가스의 폭발에 의해 당해 장벽 부재가 날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소 스테이션은 상기 가연성 가스인 수소 가스를 축압기 또는 디스펜서에 공급하는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과, 상기 축압기 또는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수소 가스를 연료 전지차에 보급하기 위한 상기 디스펜서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소 스테이션은 상기 본 실시 형태의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을 구비하는 것이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수소 가스의 폭발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0)

  1. 연료인 가연성 가스의 보급을 행하는 시설의 부지 내에 설치되는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이며,
    압축된 상기 가연성 가스를 취급하는 고압 가스 설비와,
    상기 고압 가스 설비가 수용되는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가 마련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부지 내와 부지 외의 경계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를 구성하는 부위는, 상기 가연성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에 견디는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압축된 상기 가연성 가스의 냉각에 사용되는 냉동기와,
    상기 하우징 내의 공간을 구획함과 함께, 상기 가연성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에 견디는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된 구획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냉동기가 수용되는 에어리어이며, 상기 구획판에 의해 상기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에 대하여 격리된 냉동기 에어리어가 마련되어 있는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제어부가 수용됨과 함께 상기 냉동기 에어리어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는 에어리어이며, 상기 구획판에 의해 상기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에 대하여 격리된 제어 에어리어가 마련되어 있는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부위에는 상기 하우징 내로의 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은,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가연성 가스의 폭발에 의한 충격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상기 도어를 멈추기 위한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두께는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부위의 두께 이상인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부위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측을 향해 회동하는 안쪽 열림 구조를 갖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도어와 겹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는 부재인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부위를 따라 슬라이드하는 미닫이 구조를 갖고,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입구를 구성하는 부위가 상기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부지 내와 상기 부지 외의 경계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고압 가스 취급 에어리어를 구성하는 부위만이 상기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고압 가스 설비가 적재되는 대판과,
    상기 대판에 세워 설치되는 기둥과,
    상기 대판에 대향하도록 상기 기둥에 설치되는 천장판을 갖고,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장벽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부위는 상기 대판, 상기 기둥 및 상기 천장판의 적어도 어느 것에 대하여, 접합부의 전체에 걸치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
  10. 상기 가연성 가스인 수소 가스를 축압기 또는 디스펜서에 공급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과,
    상기 축압기 또는 상기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수소 가스를 연료 전지차에 보급하기 위한 상기 디스펜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스테이션.
KR1020180082845A 2017-07-28 2018-07-17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 및 수소 스테이션 KR102122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46584 2017-07-28
JP2017146584 2017-07-28
JPJP-P-2018-026840 2018-02-19
JP2018026840A JP7083660B2 (ja) 2017-07-28 2018-02-19 可燃性ガス供給ユニット及び水素ステーショ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507A true KR20190013507A (ko) 2019-02-11
KR102122874B1 KR102122874B1 (ko) 2020-06-15

Family

ID=6304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845A KR102122874B1 (ko) 2017-07-28 2018-07-17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 및 수소 스테이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11946B2 (ko)
EP (1) EP3434960A1 (ko)
KR (1) KR102122874B1 (ko)
CN (1) CN109307149B (ko)
CA (1) CA301237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9097B (zh) * 2021-04-23 2021-07-27 河南氢枫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加氢系统及吹气方法
CN116677906B (zh) * 2023-06-15 2023-11-10 江苏立业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压力容器用具有减震功能的缓冲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4535A (en) * 1979-03-19 1980-09-25 Nippon Oil & Fats Co Ltd Detonation chamber
JP5399161B2 (ja) * 2009-07-30 2014-01-29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水素の貯蔵供給ステーション
KR20160122814A (ko) * 2014-02-21 2016-10-24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가스 공급 시스템 및 수소 스테이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1558A (en) * 1983-04-13 1985-07-30 Michigan Consolidated Gas Co. Gaseous fuel refueling apparatus
US4856565A (en) * 1987-08-14 1989-08-15 Bauer-Kompressoren Gmbh Protective enclosure device for filling tanks with compressed gas
US6176046B1 (en) * 1998-11-24 2001-01-23 Northstar Industries, Inc. Portable, pre-manufactured, modular natural gas delivery stations
US6732769B2 (en) * 2001-09-27 2004-05-11 Gnc Galileo S.A. Modular compressed natural gas (CNG) station and method for avoiding fire in such station
CA2472027A1 (en) * 2002-01-10 2003-07-24 Matthew A. Harper Hydrogen fueling station
JP4310519B2 (ja) 2004-07-06 2009-08-12 清水建設株式会社 防護壁
US7389661B2 (en) * 2004-09-24 2008-06-24 Viviano Robert J Keyless deadbolt door lock assembly
US7748099B2 (en) * 2007-07-19 2010-07-06 Vanguard National Trailer Corp. Method for creating cargo container with U-shaped panels
US9181078B2 (en) * 2011-06-20 2015-11-10 Jose A. Cajiga Mobile fuel distribution system
JP2013024287A (ja) 2011-07-19 2013-02-04 Taiyo Nippon Sanso Corp 水素ガス充填装置
JP5746962B2 (ja) * 2011-12-20 2015-07-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ガス供給方法およびガス供給装置
JP5661057B2 (ja) * 2012-02-15 2015-01-28 大陽日酸株式会社 水素ステーション
US20130233388A1 (en) * 2012-03-06 2013-09-12 General Electric Company Modular compressed natural gas system
CN203223738U (zh) * 2013-05-06 2013-10-02 四川中油天能科技有限公司 Cng加气机
JP6279340B2 (ja) * 2014-02-14 2018-02-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ガス供給装置、水素ステーション及びガス供給方法
WO2015125585A1 (ja) * 2014-02-21 2015-08-2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ガス供給システムおよび水素ステーション
US9404623B2 (en) * 2014-02-25 2016-08-02 General Electric Company Modular compressed natural gas system for use at a wellsite
CN105090738B (zh) * 2015-07-09 2017-04-12 上海舜华新能源系统有限公司 一种天然气和氢气的多功能混合加气站和加注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4535A (en) * 1979-03-19 1980-09-25 Nippon Oil & Fats Co Ltd Detonation chamber
JP5399161B2 (ja) * 2009-07-30 2014-01-29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水素の貯蔵供給ステーション
KR20160122814A (ko) * 2014-02-21 2016-10-24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가스 공급 시스템 및 수소 스테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32850A1 (en) 2019-01-31
KR102122874B1 (ko) 2020-06-15
CA3012376A1 (en) 2019-01-28
CN109307149B (zh) 2021-05-04
CN109307149A (zh) 2019-02-05
EP3434960A1 (en) 2019-01-30
US10711946B2 (en) 2020-07-14
CA3012376C (en)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606B1 (ko) 가스 공급 장치
JP7083660B2 (ja) 可燃性ガス供給ユニット及び水素ステーション
JP5661057B2 (ja) 水素ステーション
US10801671B2 (en) Gas supply system and hydrogen station
US10317011B2 (en) Hydrogen station
US10704284B2 (en) Combustible gas supply unit and barrier
KR102122874B1 (ko) 가연성 가스 공급 유닛 및 수소 스테이션
JP2013024287A (ja) 水素ガス充填装置
WO2015125585A1 (ja) ガス供給システムおよび水素ステーション
KR102481519B1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이동식 수소 충전소 구조
JP6474438B2 (ja) 水素ステーション
JP2019090501A (ja) ガス供給装置
US20240167632A1 (en) Transportable filling station for pressurized flu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