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434A -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434A
KR20190013434A KR1020180026895A KR20180026895A KR20190013434A KR 20190013434 A KR20190013434 A KR 20190013434A KR 1020180026895 A KR1020180026895 A KR 1020180026895A KR 20180026895 A KR20180026895 A KR 20180026895A KR 20190013434 A KR20190013434 A KR 20190013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tile
distance
pix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4526B1 (ko
Inventor
콴-펭 리
추앙-한 차이
유안-린 우
Original Assignee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13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8Ti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타일 기판을 포함하고, 제1 타일 기판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한다.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타일 기판도 포함하며, 제2 타일 기판은 제1 타일 기판의 제1 부분에 인접하다. 복수의 발광 유닛이 제1 타일 기판 및 제2 타일 기판 상에 배치된다. 제1 부분의 발광 유닛의 유닛 밀도가 제1 유닛 밀도로서 정의되고, 제2 부분의 발광 유닛의 유닛 밀도가 제2 유닛 밀도로서 정의되며, 제1 유닛 밀도는 제2 유닛 밀도보다 크다.

Description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TILE DISPLAY DEVICES AND DISPAY DEVICES}
<관련 출원과의 교차 참조>
본원은 2017년 8월 1일에 출원한 미국 가출원 번호 62/539,579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우선권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내용은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상이한 유닛 밀도를 가진 부분들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소형 디스플레이부터 수천명의 뷰어가 볼 수 있는 초대형 디스플레이까지 크기가 다양하다. 대형 디스플레이는 더 작은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함께 타일링(tiling)하여 만들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소형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의 프레임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결합(joint) 및 이음매(seam)가, 특히 대형 고해상도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경우 전체 시각 효과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기존의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패널이 의도된 목적에는 적합하지만, 모든 면에서 전체적으로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따라서,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여전히 해결해야 할 몇 가지 문제가 남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형태는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타일 기판과 제2 타일 기판을 포함한다. 제1 타일 기판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제2 타일 기판은 제1 타일 기판의 제1 부분에 인접하다. 복수의 발광 유닛이 제1 타일 기판 및 제2 타일 기판 상에 배치된다. 제1 부분의 발광 유닛의 유닛 밀도가 제1 유닛 밀도로서 정의되고, 제2 부분의 발광 유닛의 유닛 밀도가 제2 유닛 밀도로서 정의되며, 제1 유닛 밀도는 제2 유닛 밀도보다 크다.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타일 기판과 제2 타일 기판을 포함한다. 제1 타일 기판은 복수의 제1 부분과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1 픽셀과 각각의 제2 픽셀은 각각 복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한다. 제2 타일 기판은 제1 타일 기판의 제1 부분에 인접하다. 복수의 제1 픽셀 중 하나의 픽셀의 2개의 인접한 발광 유닛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로서 정의되고, 복수의 제2 픽셀 중 하나의 픽셀의 2개의 인접한 발광 유닛 사이의 거리가 제2 거리로서 정의되며, 제1 거리는 제2 거리보다 작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기판을 포함한다. 기판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부분은 제2 부분보다 기판의 가장자리부에 더 가깝다. 복수의 발광 유닛이 기판 상에 배치된다. 제1 부분의 발광 유닛의 유닛 밀도가 제1 유닛 밀도로서 정의되고, 제2 부분의 발광 유닛의 유닛 밀도가 제2 유닛 밀도로서 정의되며, 제1 유닛 밀도는 제2 유닛 밀도보다 크다.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주어진다.
본 개시내용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읽을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완전히 이해될 수 있다. 업계의 표준 관례에 따라, 다양한 특징부가 일정한 비율로 그려지지 않는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실제로, 다양한 특징부의 치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임의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도 있다.
도 1a는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평면도이다.
이하의 개시내용은 제공하는 주제의 상이한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다수의 상이한 실시형태 또는 실시예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을 간략화하기 위해 특정 실시예의 구성요소 및 배열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물론, 이들은 예시일 뿐이며, 제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하의 설명에서 제2 특징부 위의 제1 특징부의 형성은 제1 특징부 및 제2 특징부가 직접 접촉하여 형성되는 실시형태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특징부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제1 및 제2 특징부 사이에 추가 특징부가 형성될 수 있는 실시형태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참조 번호 및/또는 문자를 반복할 수 있다. 이 반복은 간략함과 명확함을 위한 것이며, 논의되는 다양한 실시형태 및/또는 구성 사이의 관계를 그 자체로 지시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다양한 도면 및 예시적인 실시형태 전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가 동일한 특징부를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부가적인 동작이 방법의 이전, 도중 및 이후에 제공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동작 중 일부는 방법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대체 또는 제거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실시형태가 제공된다. 도 1a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a)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a)의 픽셀이 스트립 타입의 구성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제1 타일 기판(101)과 제2 타일 기판(103)이 제공된다. 제1 타일 기판(101)은 유리 기판, 실리콘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제1 타일 기판(101)의 재료는 유리, 석영, 유기 폴리머, 금속 등일 수 있으나, 본 개시내용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않는다. 제1 타일 기판(101)의 재료가 유기 폴리머인 경우, 실제의 구현예에서는, 유기 폴리머가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일 수 있으나, 본 개시내용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타일 기판(101)의 재료가 유리 기판인 경우, 이 재료는 실리콘, 실리콘 탄화물(SiC), 갈륨 질화물(GaN), 실리콘 이산화물(SiO2), 사파이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본 개시내용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타일 기판(103)의 재료는 제1 타일 기판(101)의 재료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타일 기판(103)의 재료는 제1 타일 기판(101)의 재료와 상이할 수도 있으나, 본 개시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a)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디바이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다른 적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a)는 미니 발광 다이오드(mini 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micro 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 있다. LDC 디바이스의 경우, 본 개시내용의 발광 유닛이 LCD 디바이스의 서브픽셀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발광 다이오드의 칩 크기는 약 300 ㎛보다 크고, 미니 발광 다이오드의 칩 크기는 약 100 ㎛ 내지 약 300 ㎛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의 칩 크기는 약 100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타일 기판(101)은 제1 가장자리부(101e)를 갖고, 제2 타일 기판(103)은 제2 가장자리부(103e)를 갖는다. 제1 타일 기판(101)의 제1 가장자리부(101e)는 제2 타일 기판(103)의 제2 가장자리부(103e)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다시 말해, 제1 타일 기판(101)은 제1 가장자리부(101e)를 가지며, 제1 가장자리부(101e)는 제2 타일 기판(103)의 제2 가장가리부(103e)와 대면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a)는 제1 타일 기판(101)과 제2 타일 기판(103)으로 구성되며, 제1 타일 기판(101)과 제2 타일 기판(103) 사이의 이음매는 방향 y에 대략 평행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1 가장자리부(101e)와 제2 가장자리부(103e)는 방향 y에 대략 평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a)는 2개 이상의 타일 기판으로 구성되나, 본 개시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발광 유닛(107), 복수의 제2 발광 유닛(109), 및 복수의 제3 발광 유닛(111)이 제1 타일 기판(101)과 제2 타일 기판(103)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a)가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미니 발광 다이오드(mini 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micro 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라면,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a)에 필요한 전자 회로 또는 다양한 배선을 비롯한 배선층(도시 생략)이 제1 타일 기판(101) 또는 제2 타일 기판(103)의 배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배선층(도시 생략)은 제1 발광 유닛(107), 제2 발광 유닛(109) 또는 제3 발광 유닛(111)과 접속될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서, 배선층 또는 전자 회로의 밀도는 상이한 부분들의 발광 유닛의 밀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발광 유닛(107), 제2 발광 유닛(109) 또는 제3 발광 유닛(111)은 적절한 구성으로 배열되는 적색, 청색 또는 녹색 발광 유닛의 삼원색일 수 있다. 단일의 제1 발광 유닛(107), 단일의 제2 발광 유닛(109), 및 단일의 제3 발광 유닛(111)이 픽셀(113)로서 그룹핑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단일 픽셀(113)이 흰색 발광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픽셀(113)은 적색, 녹색, 청색 또는 흰색 발광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단일 픽셀(113)이 황색 발광 유닛 또는 흰색 발광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 유닛(107), 제2 발광 유닛(109) 또는 제3 발광 유닛(111)의 구성 또는 색상은 제한이 아니라 예시일 뿐이다. 보다 나은 시임리스 시각 효과(seamless visual effect)를 달성하기 위해,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a)는 상이한 유닛 밀도를 가진 몇몇 부분으로 형성된다. 본 개시내용에 있어서, "유닛 밀도(발광 유닛 밀도라고도 함)"이라는 용어는 단위 면적 내의 발광 유닛의 수로서 정의되며, 상이한 색상을 가진 적어도 2개의 발광 유닛이 단위 면적 내에 배치된다. 유닛 밀도가 크다는 것은 동일 면적 내에 더 많은 수의 발광 유닛이 있다는 것 또는 더 작은 면적 내에 동일한 수의 발광 유닛이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타일 기판(101)의 제1 부분은 제1 타일 기판(101) 상에 배치된 제1 발광 유닛(107), 제2 발광 유닛(109) 또는 제3 발광 유닛(1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A1)(실선) 및 제2 부분(A2)(실선)은 제1 타일 기판(101) 상의 2개의 인접한 픽셀(점선)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제1 부분(A1)과 제2 부분(A2)은 평면도에서 겹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부분(A1)은 방향 x에 있어서 제2 부분(A2)보다 제1 타일 기판(101)의 제1 가장자리부(101e)에 더 가깝다. 제1 부분(A1)과 제2 부분(A2)은 방향 x를 따라 배열되고, 방향 x는 제1 가장자리부(101e)에 대체로 수직이다.
간략함과 명확함을 위해, 제1 부분(A1)과 제2 부분(A2)은 동일한 수 또는 동일한 색상 구성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도록 선택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부분(A1)과 제2 부분(A2)은 2개의 발광 유닛을 각각 가지며, 제1 부분(A1)의 발광 유닛과 제2 부분(A2)의 발광 유닛은 동일한 방식으로 선택되어야 하지만, 제1 부분(A1)의 발광 유닛과 제2 부분(A2)의 발광 유닛은 제1 타일 기판(101)의 상이한 영역 상에서 선택된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A1)은 제2 발광 유닛(109) 중 하나와 제3 발광 유닛(111) 중 하나를 구비할 수 있고, 제2 부분(A2)은 제2 발광 유닛(109) 중 다른 하나와 제3 발광 유닛(111) 중 다른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부분(A1)의 발광 유닛의 유닛 밀도가 제1 유닛 밀도로서 정의되고, 제2 부분(A2)의 발광 유닛의 유닛 밀도가 제2 유닛 밀도로서 정의된다. 제2 부분(A2)의 면적이 제1 부분(A1)의 면적보다 크고 제2 부분(A2)의 발광 유닛의 수가 제1 부분(A1)의 발광 유닛의 수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유닛 밀도가 제2 유닛 밀도보다 크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유닛 밀도에 대한 제2 유닛 밀도의 비는 0.2 내지 0.95 내에 있다(0.2≤제2 유닛 밀도/제1 유닛 밀도≤0.95).
제3 부분(A3)과 제4 부분(A4)이 제3 타일 기판(103) 상에서 선택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3 부분(A3)은 제1 부분(A1)과 제4 부분(A4) 사이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제3 부분(A3)은 방향 x에 있어서 제4 부분(A4)보다 제2 타일 기판(103)의 제2 가장자리부(103e)에 더 가깝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부분(A3)과 제4 부분(A4)은 각각 2개의 발광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부분(A3) 및 제4 부분(A4)의 발광 유닛은 동일한 방식(동일한 수 또는 동일한 색상 구성)으로 선택되어야 하지만, 제3 부분(A3) 및 제4 부분(A4)의 발광 유닛은 상이한 영역 상에서 선택되어야 한다.
제3 부분(A3)의 발광 유닛의 유닛 밀도가 제3 유닛 밀도로서 정의되고, 제4 부분(A4)의 발광 유닛의 유닛 밀도가 제4 유닛 밀도로서 정의된다. 제4 부분(42)의 면적이 제3 부분(A3)의 면적보다 크고 제4 부분(A4)의 발광 유닛의 수가 제3 부분(A3)의 발광 유닛의 수와 동일하기 때문에, 제3 유닛 밀도가 제4 유닛 밀도보다 크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3 유닛 밀도에 대한 제4 유닛 밀도의 비는 0.2 내지 0.95의 범위 내에 있다. 한편, 제3 유닛 밀도에 대한 제4 유닛 밀도의 비는 0.8 내지 1.25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부분(A1)은 제1 타일 기판(101)의 제1 경계 영역(101-1)에서 선택된다. 제1 경계 영역(101-1)의 경계선과 제1 가장자리부(101e) 사이의 가장 긴 거리는 방향 x에 있어서 3 cm 이하이다. 제3 부분(A3)은 제2 타일 기판(103)의 제1 경계 영역(103-1)에서 선택된다. 제2 경계 영역(103-1)의 경계선과 제2 가장자리부(103e) 사이의 가장 긴 거리는 방향 x에 있어서 3 cm 이하이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부분(A2)은 제1 타일 기판(101)의 제1 경계 영역(101-1) 외부의 다른 영역에서도 선택될 수 있다. 제4 부분(A4)은 제2 타일 기판(103)의 제2 경계 영역(103-1) 외부의 다른 영역에서도 선택될 수 있다.
계속 도 1a를 참조하면, 제1 부분(B1)(실선)과 제2 부분(B2)(실선)이 제1 타일 기판(101) 상에서 선택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부분(B1)과 제2 부분(B2)은 2개의 픽셀(점선)에서 유사한 부분이고, 이 2개의 픽셀은 또 다른 픽셀만큼 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B1)과 제2 부분(B2)은 동일한 방식으로 선택되지만, 제1 부분(B1)은 제2 부분(B2)보다 제1 가장자리부(101e)에 더 가깝다. 제1 부분(B1)과 제2 부분(B2)은 각각 2개의 발광 유닛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B1)은 제1 발광 유닛(107) 중 하나와 제2 발광 유닛(109) 중 하나를 구비할 수 있고, 제2 부분(B2)은 제1 발광 유닛(107) 중 다른 하나와 제2 발광 유닛(109) 중 다른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부분(B2)의 면적이 제1 부분(B1)의 면적보다 크고 제1 부분(B1)의 발광 유닛의 수가 제2 부분(B2)의 발광 유닛의 수와 동일하다. 그 결과, 제1 부분(B1)의 제1 유닛 밀도가 제2 부분(B2)의 제2 유닛 밀도보다 크다.
제1 부분(C1)과 제2 부분(C2)이 제1 타일 기판(101) 상에서 선택된다. 제1 부분(C1)과 제2 부분(C2)은 복수의 픽셀(113)만큼 떨어져 있으며, 제1 부분(C1)은 제2 부분(C2)보다 제1 가장자리부(101e)에 더 가깝고, 제1 부분(C1)과 제2 부분(C2) 각각은 3개의 발광 유닛(즉, 단일 픽셀(113))을 구비한다. 제2 부분(C2)의 면적은 제1 부분(C1)의 면적보다 크다. 그 결과, 제1 부분(C1)의 제1 유닛 밀도가 제2 부분(C2)의 제2 유닛 밀도보다 크다.
제1 부분(D1)과 제2 부분(D2)이 제1 타일 기판(101) 상에서 선택된다. 제1 부분(D1)과 제2 부분(D2)은 각각 6개의 발광 유닛(즉, 방향 y를 따라 선택된 2개의 인접한 픽셀(11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부분(D1)은 제2 부분(D2)보다 제1 가장자리부(101e)에 더 가깝다. 제2 부분(D2)의 면적은 제1 부분(D1)의 면적보다 크다. 그 결과, 제1 부분(D1)의 제1 유닛 밀도가 제2 부분(D2)의 제2 유닛 밀도보다 크다.
제1 부분(E1)과 제2 부분(E2)이 제2 타일 기판(103) 상에서 선택된다. 제1 부분(E1)과 제2 부분(E2)은 각각 15개의 발광 유닛(즉, 방향 y을 따라 배열된 5개의 인접한 픽셀(113))을 구비한다. 제1 부분(E1)은 제2 부분(E2)보다 제2 가장자리부(103e)에 더 가깝다. 제2 부분(E2)의 면적은 제1 부분(E1)의 면적보다 크다. 그 결과, 제1 부분(E1)의 제1 유닛 밀도가 제2 부분(E2)의 제2 유닛 밀도보다 크다.
제1 부분(A1, B1, C1, D1, 및 E1)과 제2 부분(A2, B2, C2, D2, 및 E2)의 각 쌍이 방향 x을 따라 위치한다. 방향 x는 이음매의 방향(방향 y)에 수직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b)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b)의 픽셀이 펜타일 구성(pentile arrangement)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타일 기판(121)과 제2 타일 기판(123)이 제공된다. 제1 타일 기판(121)은 제1 가장자리부(121e)를 갖고, 제2 타일 기판(123)은 제2 가장자리부(123e)를 갖는다. 제1 타일 기판(121)의 제1 가장자리부(121e)는 제2 타일 기판(123)의 제2 가장자리부(123e)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다시 말해, 제1 타일 기판(121)은 제2 타일 기판(123)의 제2 가장가리부(123e)와 대면한 제1 가장자리부(121e)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b)는 제1 타일 기판(121)과 제2 타일 기판(123)으로 구성되며, 제1 타일 기판(121)과 제2 타일 기판(123) 사이의 이음매는 방향 y에 평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b)는 2개 이상의 타일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복수의 발광 유닛이 제1 타일 기판(121) 및 제2 타일 기판(123)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발광 유닛(127a-1, 127a-2, 127a-3, 127a-4)은 동일한 색상(적색)을 갖고, 복수의 제2 발광 유닛(127b-1, 127b-2, 127b-3, 127b-4)은 동일한 색상(녹색)을 가지며, 복수의 제3 발광 유닛(127c-1, 127c-2, 127c-3, 127c-4)은 동일한 색상(청색)을 갖는다. 제1 발광 유닛(127a-1, 127a-2, 127a-3, 127a-4)은 마름모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단일 픽셀(133a)(점선)은 제1 발광 유닛(127a-1, 127a-2, 127a-3, 및 127a-4)과, 제2 발광 유닛(127b-1, 127b-2, 127b-3, 및 127b-4)과, 제3 발광 유닛(127c-1)을 포함한다. 그러나, 단일 픽셀 내에 포함된 발광 유닛의 수는 앞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부분(F1), 제2 부분(F2), 제3 부분(F3), 및 제4 부분(F4)이 도 1b에 도시한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b) 내에서 선택된다. 제1 부분(F1)(실선)과 제2 부분(F2)(실선)은 제1 타일 기판(121) 상의 2개의 인접한 픽셀(점선) 내의 부분이다. 제1 부분(F1)은 제2 부분(F2)보다 제1 타일 기판(121)의 제1 가장자리부(121e)에 더 가깝다. 제3 부분(F3)(실선)과 제4 부분(F4)(실선)은 제2 타일 기판(123) 상의 2개의 인접한 픽셀 내의 부분이며, 제3 부분(F3)은 제4 부분(F4)보다 제2 타일 기판(123)의 제2 가장자리부(123e)에 더 가깝다. 제3 부분(F3)은 제1 부분(F1)과 제4 부분(F4) 사이에 위치한다.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부분(F1)의 제1 밀도 유닛은 제1 부분(F2)의 제2 밀도 유닛보다 크고, 제3 부분(F3)의 제3 유닛 밀도는 제4 부분(F4)의 제4 밀도 유닛보다 크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유닛 밀도에 대한 제2 유닛 밀도의 비는 0.2 내지 0.95의 범위 내에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3 유닛 밀도에 대한 제4 유닛 밀도의 비는 0.2 내지 0.95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3 부분(F3)의 제3 유닛 밀도에 대한 제1 부분(F1)의 제1 유닛 밀도의 비는 0.8 내지 1.25의 범위 내에 있다.
계속 도 1b를 참조하면, 제1 부분(G1)(실선)과 제2 부분(B2)(실선)이 제1 타일 기판(121) 상에서 선택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부분(G1)과 제2 부분(G2)은 2개의 픽셀(점선)에서 유사한 부분이고, 이 2개의 픽셀은 평면도에서 전체적으로 겹치지 않으며, 제1 부분(G1)은 제2 부분(G2)보다 제1 가장자리부(121e)에 더 가깝다. 제1 부분(G1) 및 제2 부분(G2)의 발광 유닛은 동일한 방식(동일한 수 또는 동일한 색상 구성)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영역을 갖는 제1 부분(G1)과 제2 부분(G2)은 동일한 수의 발광 유닛(즉, 서브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부분(G1)의 제1 유닛 밀도가 제2 부분(G2)의 제2 유닛 밀도보다 크다.
또한, 제1 부분(H1)(실선)과 제2 부분(H2)(실선)이 제1 타일 기판(121) 상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부분(H1)과 제2 부분(H2)은 제1 타일 기판(121) 상에서 선택되는, 2개의 상이한 픽셀(점선)에서 유사한 부분이며, 2개의 상이한 픽셀은 평면도에서 겹치지 않는다. 제1 부분(H1)과 제2 부분(H2)은 또 다른 픽셀(적어도 1 픽셀)만큼 떨어져 있다.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부분(H1)은 방향 x에 있어서 제2 부분(H2)보다 제1 가장자리부(121e)에 더 가깝고, 제1 부분(H1)의 제1 유닛 밀도는 제2 부분(H2)의 제2 유닛 밀도보다 크다.
제1 부분(F1, G1, 및 H1)과 제2 부분(F2, G2, 및 H2)의 각 쌍은 방향 x를 따라 위치하고, 방향 x는 제1 타일 기판(121)과 제2 타일 기판(123) 사이의 이음매의 연장 방향에 수직이다. 다시 말해, 방향 x에 있어서 제1 가장자리부(121e)와 제2 가장자리부(123e) 사이의 거리는, 있다면, 이음매의 폭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제1 부분(I1)(실선)과 제2 부분(I2)(실선)이 제2 타일 기판(123) 상에서 선택된다. 제1 부분(I1)과 제2 부분(I2)은 2개의 픽셀(점선)에서 유사한 부분이고, 2개의 픽셀은 경사진 방향으로 배열된다(경사진 방향은 방향 x 및 방향 y과는 상이하다). 또한, 제1 부분(I1)은 방향 x에 있어서 제2 부분(I2)보다 제2 가장자리부(123e)에 더 가깝고, 제1 부분(I1)의 제1 유닛 밀도는 제2 부분(I2)의 제2 유닛 밀도보다 크다.
계속 도 1b를 참조하면, 제1 부분(J1)과 제2 부분(J2)이 제2 타일 기판(123) 상에서 선택된다. 제1 부분(J1)은 제2 부분(J2)으로부터 단일 픽셀만큼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부분(J1)과 제2 부분(J2)은 복수의 픽셀만큼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J1)은 제2 부분(J2)보다 제2 가장자리부(123e)에 더 가깝고, 제1 부분(J1)의 제1 유닛 밀도는 제2 부분(J2)의 제2 유닛 밀도보다 크다.
제1 부분(F1, G1, H1, I1, 및 J1)과 제2 부분(F2, G2, H2, I2, 및 J2)의 각 쌍은 동일 방식(동일한 수 또는 동일한 색상 구성)으로 각각 선택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a)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a)의 픽셀이 스트립 타입의 구성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제1 타일 기판(101)은 복수의 제1 픽셀(1131)과 복수의 제2 픽셀(1132)을 포함한다. 제1 픽셀(1131)과 제2 픽셀(1132)의 각각은 복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한다. 제2 타일 기판(103)은 제1 타일 기판(101)의 제1 픽셀(1131)에 인접하다. 제1 픽셀(1131)은 제1 타일 기판(101)의 제1 경계 영역(101-1) 내에 위치한다. 제1 경계 영역(101-1)의 경계선과 제1 가장자리부(101e) 사이의 가장 긴 거리는 방향 x에 있어서 3 cm 이하이다.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픽셀(1131) 중 하나의 픽셀의 2개의 인접한 발광 유닛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d1)로서 정의되고, 복수의 제2 픽셀(1132) 중 하나의 픽셀의 2개의 인접한 발광 유닛 사이의 거리가 제2 거리(d2)로서 정의되며, 제1 거리(d1)는 제2 거리(d2)보다 작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거리(d2)에 대한 제1 거리(d1)의 비는 0.2 내지 0.95의 범위 내에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픽셀(1131)과 제2 픽셀(1132)은 서로 인접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픽셀(1131)과 제2 픽셀(1132)는 또 다른 픽셀만큼 떨어져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타일 기판(103)은 복수의 제3 픽셀(1133)과 복수의 제4 픽셀(1134)을 포함하고, 제3 픽셀(1133)은 제1 픽셀(1131)과 제4 픽셀(1134) 사이에 위치하며, 각각의 제3 픽셀(1133)과 각각의 제4 픽셀(1134)은 각각 복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3 픽셀(1133) 중 하나의 픽셀의 2개의 인접한 발광 유닛 사이의 거리가 제3 거리(d3)로서 정의되며, 복수의 제4 픽셀(1134) 중 하나의 픽셀의 2개의 인접한 발광 유닛 사이의 거리가 제4 거리(d4)로서 정의되고, 제3 거리(d3)는 제4 거리(d4)보다 작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4 거리(d4)에 대한 제3 거리(d3)의 비는 0.2 내지 0.95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제3 거리(d3)에 대한 제1 거리(d1)의 비는 0.8 내지 1.25의 범위 내에 있다.
계속 도 2a를 참조하면, 방향 x를 따라 4개의 인접한 픽셀이 선택되는데, 예컨대 하나의 제1 픽셀(131')과 3개의 제2 픽셀(1132', 1132'', 1132''')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한 제1 픽셀(1131')과 제2 픽셀(1132') 사이의 제5 거리(d5)는 2개의 인접한 제2 픽셀(1132'' 및 1132''') 사이의 제6 거리(d6)보다 크다.
도 2b를 참조하면,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b)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b)의 픽셀은 펜타일 구성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1 픽셀(1131), 제2 픽셀(1332), 제3 픽셀(1333) 및 제4 픽셀(1334)은 제1 픽셀(1131) 내지 제4 픽셀(1134)과 동일한 방식으로 선택된다. 선택 방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여기에 반복하지 않는다. 요약하면, 제8 거리(d8)에 대한 제7 거리(d7)의 비는 0.2 내지 0.95의 범위 내에 있고, 제10 거리(d10)에 대한 제9 거리(d9)의 비는 0.2 내지 0.95의 범위 내에 있으며, 제9 거리(d9)에 대한 제7 거리(d7)의 비는 0.8 내지 1.25의 범위 내에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a)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본 개시내용에 있어서, "픽셀 피치"라는 용어는 동일한 색상을 가지며 각각 인접한 픽셀 내에 있는 2개의 발광 유닛의 피치를 의미한다. 2개의 인접한 제1 픽셀(1131)과 제3 픽셀(1133)의 픽셀 피치가 제1 픽셀 피치(W3)로서 정의되고, 2개의 인접한 제2 픽셀(1132, 1132')의 픽셀 피치가 제2 픽셀 피치(W6)로서 정의되며, 제2 픽셀 피치(W6)에 대한 제1 픽셀 피치(W3)의 비는 0.9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다. 상세하게는, 제1 픽셀(1131)은 제1 픽셀 폭(W1)을 갖고, 제3 픽셀(1133)은 제2 픽셀 폭(W2)을 갖는다. 또한, 제2 픽셀(1132')은 제4 픽셀 폭(W4)을 갖고, 제2 픽셀(1132)은 제5 픽셀 폭(W5)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픽셀 피치(W3)는 제1 픽셀 폭(W1)과 제2 픽셀 폭(W2)의 합의 절반과 실질적으로 같고, 제2 픽셀 피치(W6)는 제4 픽셀 폭(W4)과 제5 픽셀 폭(W5)의 합의 절반과 실질적으로 같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픽셀 피치(W3)의 값은 제2 픽셀 피치(W6)의 값과 동일하다. 제1 픽셀 피치(W3)과 제2 픽셀 피치(W6) 간의 차이가 작기 때문에, 보다 나은 시임리스 시각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a)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제1 타일 기판(101)은 복수의 제5 픽셀(1135)을 더 포함한다. 제5 픽셀(1135)은 제1 픽셀(1131)과 제2 픽셀(1132) 사이에 위치하며, 각각의 제5 픽셀(1135)은 복수의 발광 유닛을 각각 포함한다. 복수의 제5 픽셀(1135) 중 하나의 픽셀의 2개의 인접한 발광 유닛 사이의 거리가 제11 거리(d11)로서 정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1 거리(d11)는 제1 거리(d1)보다 크고 제2 거리(d2)보다 작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거리(d1), 제11 거리(d11), 및 제2 거리(d2)는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인접한 발광 유닛 사이의 거리가 제1 타일 기판(101)에 걸쳐 원활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거리(d1), 제11 거리(d11), 및 제2 거리(d2)는 비점진적으로 증가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거리(d1), 제11 거리(d11), 및 제2 거리(d2)는 동일하지 않은 간격을 갖게 조정될 수 있다.
계속 도 4를 참조하면, 제1 타일 기판(101)은 제1 부분(E1)과 제2 부분(E2) 사이에 위치한 제5 부분(E3)을 더 포함한다. 제5 부분(E3)의 발광 유닛의 유닛 밀도가 제5 유닛 밀도로서 정의되며, 제5 유닛 밀도가 제2 부분(E2)의 제2 유닛 밀도보다 크고 제1 부분(E1)의 제1 유닛 밀도보다 작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이한 부분의 유닛 밀도가 제1 타일 기판(101)에 걸쳐 원활하게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타일 기판(101)은 상이한 영역에서 상이한 유닛 밀도를 가지며, 유닛 밀도는 제1 가장자리부(101e)로부터 제1 타일 기판(101)의 대향 가장자리부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부분(E1)의 제1 유닛 밀도, 제5 부분(E3)의 제5 유닛 밀도, 및 제2 부분(E2)의 제2 유닛 밀도는 비점진적으로 감소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c)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타일 기판(101)은 제1 부분(151)과 제2 부분(152)로 분할될 수 있다. 제1 부분(151)은 제2 부분(152)보다 제1 가장자리부(101e)에 더 가깝다. 인접한 발광 유닛을 더 가깝게 하기 위해서, 제1 부분(151)의 발광 유닛 중 하나의 크기가 제2 부분(152)의 발광 유닛 중 하나의 크기보다 작다. 선택사항으로서, 제1 부분(151)의 발광 유닛은 제2 부분(152)의 발광 유닛보다 더 좋은 발광 효율을 갖는다. 발광 효율은 단위 발광 영역에서의 발광 유닛의 휘도로서 정의된다.
발광 유닛의 크기는, 발광 유닛이 광을 방출할 때에 광학 분광기를 통해 관찰할 수 있는 휘도 영역의 크기로서 정의될 수 있는데, 즉 휘도 영역은 OLED 디바이스의 1 서브픽셀 내의 픽셀 형성층의 개구 영역과 동일하다. 동일한 색상을 갖는 제1 부분(151)의 하나의 발광 유닛과 제2 부분(152)의 또 다른 하나의 발광 유닛은 크기를 비교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사항으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부분의 제1 유닛 밀도가 제2 부분의 제 2 유닛 밀도보다 크기 때문에, 제2 부분의 발광 유닛은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부분의 발광 유닛보다 더 좋은 발광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타일 기판(101 및 121)의 각각과 제2 타일 기판(103 및 123)의 각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개별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이한 부분에서 상이한 발광 유닛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발광 유닛 밀도는 하나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까지 점진적으로 변한다. 또한, 전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술한 구성 및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타일 기판(101) 및 제2 타일 기판(103)은 이들 사이에 이음매가 있는 상태로 타일링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타일 기판(101)이 제2 타일 기판(103)에 개별적으로 인접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타일 기판(101)은 제2 타일 기판(103)에 개별로 매립될 수도 있으나, 본 개시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형태는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서 보다 나은 시임리스 시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부 실시형태는 상이한 유닛 밀도를 갖는 부분들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타일 기판이 제공되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타일 기판 상에서 선택된다.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완전히 겹치지 않으며, 제1 부분은 방향 x에 있어서 제1 부분보다, 또 다른 타일 기판에 인접한 타일 기판의 가장자리부에 더 가깝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부분의 제1 유닛 밀도는 제2 부분의 제2 유닛 밀도보다 크다. 그렇기 때문에, 2개의 인접한 타일 기판 사이의 이음매를 가로지른 픽셀의 피치는 하나의 타일 기판 상에서의 픽셀의 피치와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또 다른 관점에서, 타일 기판은 완전히 겹치지 않는 제1 픽셀과 제2 픽셀을 갖는다. 제1 픽셀은 제2 픽셀보다 제1 타일 기판의 가장자리부에 더 가깝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픽셀은 2개의 인접한 발광 유닛 사이에 제1 거리를 갖는다. 제2 픽셀은 2개의 인접한 발광 유닛 사이에 제2 거리를 갖는다.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크다. 발광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픽셀은 2개의 인접한 타일 기판 사이의 이음매를 가로지른 픽셀(그 픽셀은 개별적으로 타일 기판의 가장자리에 더 가깝다)의 피치가 다른 것과 동일할 수 있더라도, 서로 간에 동일한 피치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는 직사각형 타일 기판을 예로 들었지만, 본 개시내용은 다른 비직사각형 타일 기판(아크형, 다각형, 또는 기타 형상)에도 적용 가능하다. 전술한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로서 2개의 타일 기판을 갖지만, 타일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는 2개 이상의 타일 기판을 가질 수 있고, 다른 타일 기판은 제1 타일 기판의 좌측 또는 제2 타일 기판의 우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타일 기판은 제1 타일 기판의 상측 또는 제1 타일 기판의 하측에도 배치될 수 있다. 즉, 기판의 타일 가장자리부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더욱이, 픽셀의 피치는 타일 기판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한, 프로세싱을 위한 예비 공간만큼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서 시임리스 시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은 당업자가 본 개시내용의 양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하도록 몇몇 실시형태의 특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당업자는 본원에서 소개된 실시형태들의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거나 동일한 장점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공정 또는 구조를 설계 또는 변형하기 위한 기초로서 본 개시내용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는 이러한 등가의 구성이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과, 이러한 구성에,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변경, 대체 또는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알아야 한다.

Claims (20)

  1.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 타일 기판과,
    상기 제1 타일 기판의 제1 부분에 인접한 제2 타일 기판과,
    상기 제1 타일 기판 및 상기 제2 타일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발광 유닛의 유닛 밀도가 제1 유닛 밀도로서 정의되고, 상기 제2 부분의 발광 유닛의 유닛 밀도가 제2 유닛 밀도로서 정의되며, 상기 제1 유닛 밀도는 상기 제2 유닛 밀도보다 큰 것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 밀도에 대한 상기 제2 유닛 밀도의 비는 0.2 내지 0.95의 범위 내인 것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일 기판은 제3 부분과 제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4 부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3 부분의 발광 유닛의 유닛 밀도가 제3 유닛 밀도로서 정의되고, 상기 제4 부분의 발광 유닛의 유닛 밀도가 제4 유닛 밀도로서 정의되며, 상기 제3 유닛 밀도는 상기 제4 유닛 밀도보다 큰 것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닛 밀도에 대한 상기 제1 유닛 밀도의 비는 0.8 내지 1.25의 범위 내인 것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일 기판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위치한 제5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부분의 발광 유닛의 유닛 밀도가 제5 유닛 밀도로서 정의되고, 상기 제5 유닛 밀도는 상기 제2 유닛 밀도보다 크고 상기 제1 유닛 밀도보다 작은 것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발광 유닛 중 하나의 크기는 상기 제2 부분의 발광 유닛 중 하나의 크기보다 작은 것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복수의 제1 픽셀과 복수의 제2 픽셀을 포함하는 제1 타일 기판으로서, 상기 제1 픽셀의 각각과 상기 제2 픽셀의 각각은 복수의 발광 유닛을 각각 포함하는 것인, 상기 제1 타일 기판과,
    상기 제1 타일 기판의 제1 픽셀에 인접한 제2 타일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픽셀 중 하나의 픽셀의 2개의 인접한 발광 유닛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로서 정의되고, 상기 제2 픽셀 중 하나의 픽셀의 2개의 인접한 발광 유닛 사이의 거리가 제2 거리로서 정의되며,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2 거리보다 작은 것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에 대한 상기 제1 거리의 비는 0.2 내지 0.95의 범위 내인 것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7항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한 제1 픽셀과 제2 픽셀 사이의 거리는 2개의 인접한 제2 픽셀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일 기판은 복수의 제3 픽셀과 복수의 제4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픽셀은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4 픽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3 픽셀의 각각과 상기 제4 픽셀의 각각은 복수의 발광 유닛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3 픽셀 중 하나의 픽셀의 2개의 인접한 발광 유닛 사이의 거리가 제3 거리로서 정의되며, 상기 제4 픽셀 중 하나의 픽셀의 2개의 인접한 발광 유닛 사이의 거리가 제4 거리로서 정의되고, 상기 제3 거리는 상기 제4 거리보다 작은 것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거리에 대한 상기 제1 거리의 비는 0.8 내지 1.25의 범위 내인 것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0항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한 제1 픽셀과 제3 픽셀의 픽셀 피치가 제1 픽셀 피치로서 정의되고, 2개의 인접한 제2 픽셀의 픽셀 피치가 제2 픽셀 피치로서 정의되며, 상기 제2 픽셀 피치에 대한 상기 제1 픽셀 피치의 비는 0.9 내지 1.5의 범위 내인 것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일 기판은 복수의 제5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5 픽셀은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5 픽셀의 각각은 복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5 픽셀 중 하나의 픽셀의 2개의 인접한 발광 유닛 사이의 거리가 제5 거리로서 정의되며, 상기 제5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크고 상기 제2 거리보다 작은 것인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기판으로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보다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부에 더 가까운 것인, 상기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발광 유닛의 유닛 밀도가 제1 유닛 밀도로서 정의되고, 상기 제2 부분의 발광 유닛의 유닛 밀도가 제2 유닛 밀도로서 정의되며, 상기 제1 유닛 밀도는 상기 제2 유닛 밀도보다 큰 것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 밀도에 대한 상기 제2 유닛 밀도의 비는 0.2 내지 0.95의 범위 내인 것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2개의 인접한 발광 유닛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로서 정의되고, 상기 제2 부분의 2개의 인접한 발광 유닛 사이의 거리가 제2 거리로서 정의되며,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2 거리보다 작은 것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제5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5 부분의 2개의 인접한 발광 유닛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크고 상기 제2 거리보다 작은 것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제5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5 부분의 발광 유닛의 유닛 밀도는 상기 제2 유닛 밀도보다 크고 상기 제1 유닛 밀도보다 작은 것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9. 제14항에 있어서, 다수의 발광 유닛이 픽셀로서 그룹핑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2개의 인접한 픽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부분의 2개의 인접한 픽셀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발광 유닛 중 하나의 크기는 상기 제2 부분의 발광 유닛 중 하나의 크기보다 작은 것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80026895A 2017-08-01 2018-03-07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64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39579P 2017-08-01 2017-08-01
US62/539,579 2017-08-01
US15/893,870 2018-02-12
US15/893,870 US10546913B2 (en) 2017-08-01 2018-02-12 Tile display devices and display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434A true KR20190013434A (ko) 2019-02-11
KR102464526B1 KR102464526B1 (ko) 2022-11-07

Family

ID=62816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895A KR102464526B1 (ko) 2017-08-01 2018-03-07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46913B2 (ko)
EP (1) EP3438964B1 (ko)
KR (1) KR102464526B1 (ko)
CN (2) CN11497398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734B1 (ko) 2020-08-24 2021-06-24 정찬호 기능성 양봉통
KR20210103863A (ko) * 2020-02-14 2021-08-24 주식회사 라이트전자 조사 장치
WO2022164099A1 (ko) * 2021-01-28 2022-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 개선 방법 및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23793A2 (en) 2016-10-06 2019-08-14 IMAX Theatres International Limited Cinema light emitting screen and sound system
US11664008B2 (en) 2017-06-20 2023-05-30 Imax Theatres International Limited Active display with reduced screen-door effect
CN111108469A (zh) * 2017-09-20 2020-05-05 图像影院国际有限公司 具有拼块和数据处理的发光显示器
TWI781241B (zh) * 2017-11-08 2022-10-21 美商康寧公司 用於組裝顯示區域的裝置及方法
US11322489B2 (en) 2019-01-31 2022-05-03 Innolux Corporation Tiled display device
CN109739036A (zh) * 2019-02-20 2019-05-10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器、拼接显示器及校正拼接显示器的方法
US11004363B2 (en) * 2019-03-05 2021-05-11 Innolux Corporation Stretch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tretchable display device
CN109887949A (zh) * 2019-03-08 2019-06-14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器及其制造方法
CN110034105A (zh) * 2019-03-25 2019-07-19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TWI720446B (zh) 2019-03-25 2021-03-01 佳世達科技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及其製作方法
TWI722405B (zh) 2019-03-28 2021-03-21 佳世達科技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CN110010016B (zh) * 2019-03-28 2022-03-08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面板
TWI682530B (zh) * 2019-05-29 2020-01-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二極體面板與拼接顯示裝置
CN110361891B (zh) * 2019-07-29 2021-01-1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
CN112447118B (zh) * 2019-08-29 2022-12-16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0910776B (zh) * 2019-12-17 2021-06-08 威创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拼接显示屏拼接缝的处理方法及装置
CN111290174B (zh) * 2020-03-31 2022-04-08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灯板、背光模组以及显示装置
CN111489662B (zh) * 2020-05-15 2022-06-10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驱动基板、显示面板、显示屏及电子设备
CN111816091A (zh) * 2020-07-06 2020-10-23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Led显示面板
CN111785182B (zh) * 2020-07-20 2022-07-12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Led拼接面板
TWI757996B (zh) * 2020-08-24 2022-03-11 錼創顯示科技股份有限公司 微型發光二極體顯示矩陣模組
US11887842B2 (en) 2020-08-24 2024-01-30 PlayNitride Display Co., Ltd. Spliced micro light-emitting-diode display panel
CN112700753B (zh) * 2020-12-25 2024-03-15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拼接屏幕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205749B (zh) * 2021-05-14 2022-09-20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拼接式显示器接缝补偿方法及应用其的拼接式显示器
CN115985199A (zh) * 2021-10-14 2023-04-18 成都辰显光电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137764B (zh) * 2021-12-02 2024-01-09 惠州华星光电显示有限公司 背光模组及显示装置
TW202329497A (zh) * 2022-01-11 2023-07-16 隆達電子股份有限公司 無機發光二極體顯示器
CN114373778A (zh) * 2022-01-24 2022-04-19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发光面板和显示装置
CN116568094A (zh) 2022-01-27 2023-08-0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5047674B (zh) 2022-06-14 2023-04-25 惠科股份有限公司 背光模组及显示装置
WO2024004541A1 (ja) * 2022-06-29 2024-01-04 京セラ株式会社 発光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628A (ko) * 2000-11-27 2003-09-19 심리스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가시표시 화면장치
KR20040067851A (ko) * 2001-12-20 2004-07-3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화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50097837A1 (en) * 2013-10-07 2015-04-09 Google Inc. Variable resolution seamless tileable display
KR20170037773A (ko) * 2015-09-25 2017-04-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섬유를 포함하는 판상 광학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5638B2 (en) * 2003-05-13 2009-02-24 Research Triangle Institute Visual display with increased field of view
US8305294B2 (en) * 2009-09-08 2012-11-06 Global Oled Technology Llc Tiled display with overlapping flexible substrates
US20120120084A1 (en) * 2010-11-12 2012-05-17 Himax Display, Inc. Color filter arrangement for display panel
CN102751275B (zh) * 2012-07-19 2015-02-04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发光二极管显示屏,及其制造方法
TWI534770B (zh) 2013-09-27 2016-05-21 業鑫科技顧問股份有限公司 影像補償元件、顯示裝置及拼接式顯示器
CN103995361B (zh) * 2014-06-17 2017-01-11 上海新视觉立体显示科技有限公司 裸眼3d显示像素单元及多视图裸眼3d图像显示设备
CN104916256B (zh) * 2015-06-25 2017-09-05 西安诺瓦电子科技有限公司 拼接亮暗线修正方法
CN105609014A (zh) * 2016-04-01 2016-05-25 北京小鸟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液晶屏无缝拼接点对点显示的实现方法
CN105892078B (zh) * 2016-06-20 2018-06-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显示系统
US11172208B2 (en) * 2017-02-28 2021-11-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visual quality of viewport-based omnidirectional video streaming
CN107068811B (zh) * 2017-03-15 2019-06-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装置的制作方法以及发光二极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628A (ko) * 2000-11-27 2003-09-19 심리스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가시표시 화면장치
KR20040067851A (ko) * 2001-12-20 2004-07-3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화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50097837A1 (en) * 2013-10-07 2015-04-09 Google Inc. Variable resolution seamless tileable display
KR20170037773A (ko) * 2015-09-25 2017-04-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섬유를 포함하는 판상 광학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863A (ko) * 2020-02-14 2021-08-24 주식회사 라이트전자 조사 장치
KR102268734B1 (ko) 2020-08-24 2021-06-24 정찬호 기능성 양봉통
WO2022164099A1 (ko) * 2021-01-28 2022-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 개선 방법 및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38964A1 (en) 2019-02-06
CN109326226A (zh) 2019-02-12
US20190043940A1 (en) 2019-02-07
EP3438964B1 (en) 2021-12-01
CN109326226B (zh) 2022-06-17
KR102464526B1 (ko) 2022-11-07
US10546913B2 (en) 2020-01-28
CN114973981A (zh)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4526B1 (ko) 타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334119B2 (en) Display panel
TWI557699B (zh) 顯示裝置
CN109659334B (zh) 显示装置和电子设备
US10002915B2 (en) Micro light-emitting diode display panel
US9664959B2 (en) Display device
EP348694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6058326A1 (zh) 像素结构、显示基板和显示装置
CN106783937B (zh) 具有曲线形边缘的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9116394B2 (en) Display panel
US11374061B2 (en) OLED display panel and intelligent terminal
US10930712B2 (en) Irregularly-shaped flat-panel display having irregularly-shaped pixels
TWI550847B (zh) 畫素結構及具有其之電激發光顯示器
KR2015014049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6119185A (ja) 画像表示装置
CN109148545A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0010016A (zh) 显示面板
KR101291797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4068609A (zh) Led单元、led源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1698542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20170345878A1 (en) Display device
CN114677959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240079386A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KR10182984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