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542B1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542B1
KR101698542B1 KR1020160112803A KR20160112803A KR101698542B1 KR 101698542 B1 KR101698542 B1 KR 101698542B1 KR 1020160112803 A KR1020160112803 A KR 1020160112803A KR 20160112803 A KR20160112803 A KR 20160112803A KR 101698542 B1 KR101698542 B1 KR 101698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driver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connec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6540A (ko
Inventor
박수정
신아람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2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542B1/ko
Publication of KR20160106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01L27/3241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H01L27/327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층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투명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투과부를 갖는 단위화소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발광층을 정상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투명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본 발명은 형광성 유기화합물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표시장치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등이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 중에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형광성 유기화합물로 구성된 유기발광층을 포함하고,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으로 상기 유기발광층을 발광시킴으로써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액정표시장치와 같이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수동형 발광소자에 비하여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갖는다.
최근에는 투명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일환으로, 모든 구성들을 투명도가 높은 물질로 구성함으로써 투명성을 구현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상기 유기발광층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극 또한 투명한 물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저항 특성이 충분하지 못해 상기 유기발광층을 정상적으로 구동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유기발광층을 정상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투명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기판 상에 배치되고 양극, 발광층, 및 음극을 갖는 유기발광층을 각각 포함하는 서브 화소들을 구비하는 단위 화소를 포함하고, 서브 화소들 각각은, 유기발광층을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가 배치되는 서브 구동부 및 구동부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며, 투명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빈 공간으로 구성되어 투명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서브 투과부를 포함하며, 양극은 상기 서브 구동부 내에 배치되고, 서브 투과부의 면적은 상기 서브 구동부의 면적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유기발광층을 정상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투명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단위화소 구조의 일례에 관한 개략적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구동부의 일례에 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단위화소의 구동부 및 투과부에 관한 실시예들의 개략적인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단위화소를 포함한다. 상기 단위화소들은 각각 유기발광층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영역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투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가 전극 등의 투명도를 높임으로써 투명하게 구현되는 방식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영역을 의도적으로 확보함으로써 투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에서 상기 단위화소와 상기 구동부의 일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단위화소 구조의 일례에 관한 개략적인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구동부의 일례에 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기판(2), 및 상기 기판(2)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단위화소(3)를 포함한다.
상기 단위화소(3)는 제1방향으로 배열된 게이트라인(GL), 및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열된 데이터라인(DL)과 전원라인(PL)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단위화소(3)는 구동부(31) 및 유기발광층(32)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31)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R),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R),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를 포함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R)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R)는 각각 게이트전극(G), 반도체층, 소스전극(S) 및 드레인전극(D)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R)의 드레인전극(D)과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R)의 게이트전극(G)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R)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R)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유기발광층(32)은 전자(Electron)를 주입하는 음극(Cathode), 정공(Hole)을 주입하는 양극(Anode), 및 상기 음극과 양극 사이에 형성된 발광층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전극(D)과 상기 유기발광층(32)의 양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R)와 상기 유기발광층(32)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를 참고하여 상기 구동부(31)의 전기적 연결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기판(2) 상에 제1게이트전극(20a), 제1반도체층(30a), 제1소스전극(40a), 제1드레인전극(50a)이 구비되어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R)가 형성되고, 이와 유사하게 상기 기판(10) 상에 제2게이트전극(20b), 제2반도체층(30b), 제2소스전극(40b), 제2드레인전극(50b)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R)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게이트전극(20a)과 상기 제1반도체층(30a) 사이, 및 상기 제2게이트전극(20b)과 상기 제2반도체층(30b) 사이에는 게이트절연막(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R) 및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R) 상부에는 보호막(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R)의 제1드레인전극(50a) 위의 보호막(70)에는 제1콘택홀(7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R)의 제2게이트전극(20b) 위의 게이트절연막(60) 및 보호막(70)에는 제2콘택홀(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31)는 콘택전극(80a)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전극(80a)은 상기 제1콘택홀(71)을 통해 상기 제1드레인전극(50a)과 연결되고, 상기 제2콘택홀(72)을 통해 상기 제2게이트전극(20b)과 연결된다. 상기 제1드레인전극(50a)과 상기 제2게이트전극(20b)이 상기 콘택전극(80a)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R)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R)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유기발광층(32)은 상기 보호막(70) 상부에 형성되고, 양극(32a), 발광층(미도시), 및 음극(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발광층(32)은 상기 양극(32b)을 통해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R)에 연결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R)의 제2드레인전극(50b) 상부의 보호막(70)에는 제3콘택홀(7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콘택홀(73)을 통해 상기 유기발광층(32)의 양극(32b)이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R)의 제2드레인전극(50b)과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31)는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R)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R)가 상기 콘택전극(80a)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구동부(31)는 상기 제2드레인전극(50b)과 상기 양극(32b) 간의 연결을 통해 상기 유기발광층(32)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31)는 상기 유기발광층(32)을 발광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가 투명하게 구현되기 위한 구동부 및 투과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단위화소의 구동부 및 투과부에 관한 실시예들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단위화소(3)는 상기 구동부(31), 상기 유기발광층(32, 도 1에 도시됨, 이하 같음), 및 투과부(33)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31)는 상기 유기발광층(32)을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부(31)는 상기 기판(10, 도 2에 도시됨) 상에서 제1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제1영역은 상기 투과부(33)가 형성된 제2영역과 다른 위치이다.
상기 투과부(33)는 상기 기판(10, 도 2에 도시됨) 상에서 상기 제2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의 양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33)는 산화물(Oxide), 질화물(Nitride),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등과 같이 투명한 물질로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 도 2에 도시됨, 이하 같음)는 상기 투과부(33)를 통해 투명영역을 확보함으로써 투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31)를 이루는 구성들을 투명도가 높은 물질로 구성하는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상기 유기발광층(12)을 정상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31)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단위화소(3)는 복수개의 서브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화소(3)는 3개의 서브화소를 포함할 수 있고, 레드(Red)를 표시하기 위한 제1서브화소(4), 그린(Green)을 표시하기 위한 제2서브화소(5), 블루(Blue)를 표시하기 위한 제3서브화소(6)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단위화소(3)는 레드, 그린, 블루 외에 다른 색상을 표시하기 위한 서브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3개보다 많거나 3개보다 적은 개수의 서브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단위화소(3)가 상기 제1서브화소(4), 상기 제2서브화소(5), 및 상기 제3서브화소(4)로 구성된 경우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로부터 상기 서브화소가 다른 개수로 구성되는 경우는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단위화소(3)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투과부(33)는 30 ~ 86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면적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일면 또는 상기 일면에 대해 반대되는 타면에서 상기 단위화소(3)를 바라본 평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상기 단위화소(3)의 면적은, 상기 단위화소(3)의 가로길이(L)와 세로길이(H)를 곱함으로써 도출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33)의 면적은, 상기 제1서브화소(4), 상기 제2서브화소(5), 및 상기 제3서브화소(6)가 갖는 투과부(33)의 면적을 합함으로써 도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서브화소(4), 상기 제2서브화소(5), 및 상기 제3서브화소(6)가 동일한 위치,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투과부(33)의 면적은 상기 투과부(33)의 전체 가로길이(L1 + L2 + L3)와 전체 세로길이(H2 + H3)를 곱함으로써 도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위화소(3)의 면적은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도출될 수 있고, 상기 투과부(33)의 면적은 아래 수학식 2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기 단위화소(3)의 면적에 대한 상기 투과부(33)의 면적 비율은 수학식 3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P = L × H
[수학식 2] T = (L1 + L2 + L3) × (H2 + H3)
[수학식 3] R = (T / P) × 100
여기서, P는 상기 단위화소(3)의 면적, L은 상기 단위화소(3)의 가로길이, H는 상기 단위화소(3)의 세로길이다. T는 상기 투과부(33)의 전체 면적, L1은 상기 제1서브화소(4)의 가로길이, L2는 상기 제2서브화소(5)의 가로길이, L3는 상기 제3서브화소(6)의 가로길이, H2는 상기 단위화소(3)의 일측에 위치된 투과부(33)의 세로길이, H3는 상기 단위화소(3)의 타측에 위치된 투과부(33)의 세로길이다. R은 상기 단위화소(3)의 면적에 대해 상기 투과부(33)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상기 단위화소(3)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투과부(33)는 30 % 이상 86 % 이하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33)의 면적이 30 % 미만인 경우 투명도가 저하될 수 있고, 상기 투과부(33)의 면적이 86 % 이상이 경우 상기 구동부(31)의 크기가 현저히 줄어들어 정상적인 영상이 표시되도록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상기 단위화소(3)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투과부(33)가 30 % ~ 86 %의 면적을 갖도록 구현함으로써, 투명하게 구현될 수 있으면서도 정상적인 영상이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단위화소(3)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도 3 및 도 4는 상기 투과부(33)가 30 %의 면적을 갖는 제1실시예, 도 5는 상기 투과부(33)가 50 %의 면적을 갖는 제2실시예, 도 6은 상기 투과부(33)가 70 %의 면적을 갖는 제3실시예, 및 도 7은 상기 투과부(33)가 86 %의 면적을 갖는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단위화소(3)들로 구성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아래 그림 1 내지 그림 4와 같이 충분한 투명도를 갖게 구현됨을 알 수 있다. 그림 1 내지 그림 4는 책 표지 위에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그림 1] [그림 2]
Figure 112016085619527-pat00001
Figure 112016085619527-pat00002
[그림 3] [그림 4]
Figure 112016085619527-pat00003
Figure 112016085619527-pat00004
그림 1 내지 그림 4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3 및 실시예 4에 따른 단위화소(3)들로 구성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비해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을 정도로 더 투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상기 단위화소(3)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투과부(33)가 70 % ~ 86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더 투명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아래 그림 5 내지 그림 8로부터 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림 5] [그림 6]
Figure 112016085619527-pat00005
Figure 112016085619527-pat00006
[그림 7] [그림 8]
Figure 112016085619527-pat00007
Figure 112016085619527-pat00008
그림 5 내지 그림 8은 흰색 A4 용지 위에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상기 단위화소(3)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투과부(33)가 70 % ~ 86 %의 면적으로 형성된 단위화소(3)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 투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기판(2, 도 2에 도시됨) 상에는 상기 단위화소(3)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라인(34)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라인(3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라인(GL), 데이터라인(DL), 또는 전원라인(PL) 등일 수 있다. 상기 연결라인(34)은 상기 제1서브화소(4), 상기 제2서브화소(5), 및 상기 제3서브화소(6)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위화소(3)의 면적은, 상기 구동부(31)의 면적, 상기 투과부(32)의 면적, 및 상기 연결라인(34)의 면적을 합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연결라인(34)의 면적은, 상기 연결라인(34)의 전체 두께(D1 + D2 + D3)와 상기 연결라인(34)의 세로길이(H)를 곱함으로써 도출될 수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H1은 상기 구동부(31)의 세로길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화소(3)는 상기 제1서브화소(4), 상기 제2서브화소(5), 및 상기 제3서브화소(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화소(4)는 제1유기발광층을 구동시키는 제1서브구동부(41), 및 상기 제1서브구동부(41)의 양측에 형성되고 투명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제1서브투과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화소(4)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제1서브투과부(42)는 30 ~ 86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 86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화소(4)는 제1서브연결라인(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은 인접한 다른 단위화소에 구비된 제1서브연결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은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서브화소(5)는 제2유기발광층을 구동시키는 제2서브구동부(51), 및 상기 제2서브구동부(51)의 양측에 형성되고 투명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제2서브투과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화소(5)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제2서브투과부(52)는 30 ~ 86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 86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화소(5)는 제2서브연결라인(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은 인접한 다른 단위화소에 구비된 제2서브연결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은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서브화소(6)는 제3유기발광층을 구동시키는 제3서브구동부(61), 및 상기 제3서브구동부(61)의 양측에 형성되고 투명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제3서브투과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화소(6)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제3서브투과부(62)는 30 ~ 86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 86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화소(6)는 제3서브연결라인(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은 인접한 다른 단위화소에 구비된 제3서브연결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은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서브투과부(42), 상기 제2서브투과부(52), 및 상기 제3서브투과부(62)의 면적을 달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투명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서브투과부(42), 상기 제2서브투과부(52), 및 상기 제3서브투과부(62)는 동일한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가로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서브투과부(42), 상기 제2서브투과부(52), 및 상기 제3서브투과부(62)는 하나의 단위화소(3)에서 서로 다른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서브투과부(42)가 30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투과부(52)가 50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3서브투과부(62)가 70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서브투과부(42) 및 상기 제2서브투과부(52)가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서브투과부(62)가 다른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서브화소(4)는 제1끼인각(included angle, A1)을 갖는 제1서브연결라인(4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은 소정 각도로 꺾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끼인각(A1)은 150°~ 170°일 수 있고, 상기 제1끼인각(A1)으로 인해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이 세로방향에 대해 이루는 두 개의 각(43a, 43b)은 각각 5°~ 15°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이 직선으로 형성된 것과 비교할 때, 회절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도 8은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이 170°의 제1끼인각(A1)을 갖도록 형성된 제5실시예, 도 9는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이 150°의 제1끼인각(A1)을 갖도록 형성된 제6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상기 단위화소(3)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투과부(33)가 70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다. 제6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이 직선으로 형성된 제3실시예와 비교할 때, 회절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는 아래 그림 9 및 그림 10으로부터 알 수 있다.
[그림 9] [그림 10]
Figure 112016085619527-pat00009
Figure 112016085619527-pat00010
그림 9는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를 형광등 앞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촬영한 사진이고, 그림 10은 제6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를 형광등 앞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그림 9 및 그림 10으로부터, 제6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이 제1끼인각(A1)을 갖도록 꺾어지게 형성된 것이, 제3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이 직선으로 형성된 것에 비교하여 볼 때, 회절 현상의 발생이 줄어듬을 알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서브화소(4)는 150°이상 170°이하의 제1끼인각(A1)을 갖는 제1서브연결라인(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끼인각(A1)이 150°미만이면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상기 제1끼인각(A1)이 170°초과이면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과 비교할 때 회절 현상이 발생되는 정도에 거의 차이가 없다. 따라서, 상기 제1서브화소(4)는 150°이상 170°이하의 제1끼인각(A1)을 갖는 제1서브연결라인(4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2서브화소(5)는 가로방향으로 상기 제1서브화소(4) 옆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구동부(51)는 세로방향으로 상기 제1서브구동부(41)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구동부(51)는 상기 제1서브구동부(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세로방향으로 상기 제1서브구동부(41)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이 제1끼인각(A1)을 가지며 꺾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회절 현상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서브구동부(41) 및 상기 제2서브구동부(42)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되게 형성됨으로써, 회절 현상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서브화소(5)는 세로방향으로 상기 제1서브화소(4) 옆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서브구동부(51)는 가로방향으로 상기 제1서브구동부(41)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제2서브화소(5)는 제2끼인각(A2)을 갖는 제2서브연결라인(5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은 소정 각도로 꺾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끼인각(A2)은 150°~ 170°일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 및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는 상기 제2끼인각(A2)과 상기 제1끼인각(A1)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이 제1끼인각(A1)을 가지며 꺾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회절 현상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 또한 제2끼인각(A2)를 가지며 꺾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회절 현상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1끼인각(A1) 및 상기 제2끼인각(A2)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과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의 불규칙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회절 현상의 발생을 더 줄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 및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는 상기 제2끼인각(A2)과 상기 제1끼인각(A1)이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끼인각(A1) 및 상기 제2끼인각(A2)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끼인각(A1) 및 상기 제2끼인각(A2)은 각각 150°~ 17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은 상기 제1서브구동부(41)의 일단 또는 타단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서브구동부(41)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은 상기 제2서브구동부(51)의 일단 또는 타단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서브구동부(51)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과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은 서로 다른 정도로 꺽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은 170°의 제2끼인각(A2)을 갖도록 꺾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과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의 불규칙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회절 현상의 발생을 더 줄일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서브화소(4)는 제1끼인각(A1)을 갖는 제1서브연결라인(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화소(5)는 가로방향으로 상기 제1서브화소(4) 옆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구동부(51)는 세로방향으로 상기 제1서브구동부(41)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화소(5)는 제2끼인각(A2)를 갖는 제2서브연결라인(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서브연결라인(53) 및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는 상기 제2끼인각(A2)과 상기 제1끼인각(A1)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서브화소(4)와 상기 제2서브화소(5)의 불규칙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회절 현상의 발생을 더 줄일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제1서브구동부(4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것과 비교할 때, 회절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도 14는 상기 제1서브구동부(41)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제1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상기 제1서브구동부(41)가 원형으로 형성된 제1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1실시예 및 상기 제12실시예는 상기 제1서브구동부(41)의 형태를 변경한 것 외에 다른 구성들은 동일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1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상기 제11실시예와 비교할 때, 회절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는 아래 그림 11 및 그림 12로부터 알 수 있다.
그림 11은 제1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를 형광등 앞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촬영한 사진이고, 그림 12는 제1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를 형광등 앞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그림 11] [그림 12]
Figure 112016085619527-pat00011
Figure 112016085619527-pat00012
그림 11 및 그림 12로부터, 상기 제1서브구동부(41)가 원형으로 형성된 것이, 상기 제1서브구동부(41)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에 비교하여 볼 때, 회절 현상의 발생이 줄어듬을 알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서브화소(4)는 150°이상 170°이하의 제1끼인각(A1)을 갖는 제1서브연결라인(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화소(5)는 가로방향으로 상기 제1서브화소(4) 옆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구동부(5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세로방향으로 상기 제1서브구동부(41)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구동부(51)는 상기 제1서브구동부(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세로방향으로 상기 제1서브구동부(41)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서브구동부(41)와 상기 제2서브구동부(51)는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서브구동부(41)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구동부(51)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1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를 구체적으로 살펴본 후, 이러한 제1실시예 내지 제12실시예에 대한 투과율 측정 결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1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제1서브화소(4), 제2서브화소(5), 및 제3서브화소(6)를 갖는 단위화소(3)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화소(4) 옆에 상기 제2서브화소(5)가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화소(5) 옆에 상기 제3서브화소(6)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단위화소(3)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서브화소(4)는 제1유기발광층을 구동시키는 제1서브구동부(41), 상기 제1서브구동부(41)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서브투과부(42), 및 제1서브연결라인(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화소(5)는 제2유기발광층을 구동시키는 제2서브구동부(51), 상기 제2서브구동부(51)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서브투과부(52), 및 제2서브연결라인(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화소(6)는 제3유기발광층을 구동시키는 제3서브구동부(61), 상기 제3서브구동부(61)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3서브투과부(62), 및 제3서브연결라인(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실시예>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구동부(41), 상기 제2서브구동부(51), 및 상기 제3서브구동부(61)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세로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서브화소(4)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제1서브투과부(42)는 30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서브화소(5)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제2서브투과부(52)는 30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3서브화소(6)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제3서브투과부(62)는 30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단위화소(3)의 면적에 대해, 상기 투과부(33, 도 3에 도시됨)는 30%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 및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은 세로방향으로 직선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은 상기 제1서브구동부(41)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은 상기 제2서브구동부(51)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은 상기 제3서브구동부(61)의 일단에 형성된다.
<제2실시예>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상기 제1서브투과부(42), 상기 제2서브투과부(52), 및 상기 제3서브투과부(62)가 차지하는 면적이 변경된 것이다.
상기 제1서브화소(4)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제1서브투과부(42)는 50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서브화소(5)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제2서브투과부(52)는 50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3서브화소(6)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제3서브투과부(62)는 50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단위화소(3)의 면적에 대해, 상기 투과부(33, 도 3에 도시됨)는 50%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3실시예>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상기 제1서브투과부(42), 상기 제2서브투과부(52), 및 상기 제3서브투과부(62)가 차지하는 면적이 변경된 것이다.
상기 제1서브화소(4)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제1서브투과부(42)는 70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서브화소(5)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제2서브투과부(52)는 70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3서브화소(6)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제3서브투과부(62)는 70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단위화소(3)의 면적에 대해, 상기 투과부(33, 도 3에 도시됨)는 70%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4실시예>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상기 제1서브투과부(42), 상기 제2서브투과부(52), 및 상기 제3서브투과부(62)가 차지하는 면적이 변경된 것이다.
상기 제1서브화소(4)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제1서브투과부(42)는 86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서브화소(5)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제2서브투과부(52)는 86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3서브화소(6)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제3서브투과부(62)는 86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단위화소(3)의 면적에 대해, 상기 투과부(33, 도 3에 도시됨)는 86 %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서브투과부(42), 상기 제2서브투과부(52), 및 상기 제3서브투과부(62)가 차지하는 면적을 증대시킬수록,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더 투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5실시예>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제3실시예(도 6에 도시됨)와 비교할 때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 및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의 형태가 변경된 것이다.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은 170°의 제1끼인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은 170°의 제2끼인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은 170°의 제3끼인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 및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은 170°의 각도로 꺾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제6실시예>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제5실시예(도 8에 도시됨)와 비교할 때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 및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의 꺾임 정도가 변경된 것이다.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은 150°의 제1끼인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은 150°의 제2끼인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은 150°의 제3끼인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 및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은 150°의 각도로 꺾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 및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의 꺾임 정도를 증대시킬수록, 즉 상기 끼인각들의 크기를 줄일수록,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회절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제7실시예>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제5실시예(도 8에 도시됨)와 비교할 때 상기 제1서브구동부(41), 상기 제2서브구동부(51), 및 상기 제3서브구동부(61)가 세로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되게 변경된 것이다.
상기 제2서브구동부(51)는 상기 제1서브구동부(41) 보다 아래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3서브구동부(61)는 상기 제2서브구동부(51) 및 상기 제1서브구동부(41) 보다 위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서브구동부(41), 상기 제2서브구동부(51), 및 상기 제3서브구동부(61)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되게 형성됨으로써 불규칙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회절 현상의 발생을 더 줄일 수 있다.
<제8실시예>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제6실시예(도 9에 도시됨)와 비교할 때 상기 제1서브구동부(41), 상기 제2서브구동부(51), 및 상기 제3서브구동부(61)가 세로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되게 변경된 것이다.
상기 제2서브구동부(51)는 상기 제1서브구동부(41) 보다 아래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3서브구동부(61)는 상기 제2서브구동부(51) 및 상기 제1서브구동부(41) 보다 위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8실시예(도 11에 도시됨)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제7실시예(도 10에 도시됨)와 비교할 때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 및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의 꺾임 정도가 변경된 것이다. 즉,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 및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은 150°의 각도로 꺾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서브구동부(41), 상기 제2서브구동부(51), 및 상기 제3서브구동부(61)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 및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의 꺾임 정도를 증대시킬수록,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회절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제9실시예>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제6실시예(도 9에 도시됨)와 비교할 때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의 꺾임 방향이 변경된 것이다.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 및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의 꺾임 방향에 대해,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은 꺾임 방향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끼인각(A1)과 상기 제3끼인각(A3)이 향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제2끼인각(A2)은 반대 방향을 향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 및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의 불규칙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회절 현상의 발생을 더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도 12에 도시됨)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제6실시예(도 9에 도시됨)와 비교할 때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 및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가 형성되는 위치가 변경된 것이다.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은 상기 제1서브구동부(41)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은 상기 제2서브구동부(51)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은 상기 제3서브구동부(61)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 및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의 불규칙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회절 현상의 발생을 더 줄일 수 있다.
<제10실시예>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제3실시예(도 6에 도시됨)와 비교할 때 상기 제1서브구동부(41), 상기 제2서브구동부(51), 및 상기 제3서브구동부(61)가 세로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되게 변경된 것이다.
상기 제2서브구동부(51)는 상기 제1서브구동부(41) 보다 아래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3서브구동부(61)는 상기 제2서브구동부(51) 및 상기 제1서브구동부(41) 보다 위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도 13에 도시됨)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제3실시예(도 6에 도시됨)와 비교할 때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 및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의 꺾임 정도가 변경된 것이다.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은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은 170°의 제2끼인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은 150°의 제3끼인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 및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은 서로 다른 각도로 꺾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서브구동부(41), 상기 제2서브구동부(51), 및 상기 제3서브구동부(61)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 및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이 서로 다른 각도로 꺾어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불규칙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회절 현상의 발생을 더 줄일 수 있다.
<제11실시예>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제9실시예(도 12에 도시됨)와 비교할 때 상기 제1서브구동부(41), 상기 제2서브구동부(51), 및 상기 제3서브구동부(61)가 세로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되게 변경된 것이다.
상기 제2서브구동부(51)는 상기 제1서브구동부(41) 보다 아래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3서브구동부(61)는 상기 제2서브구동부(51) 및 상기 제1서브구동부(41) 보다 위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서브구동부(41), 상기 제2서브구동부(51), 및 상기 제3서브구동부(61)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서브연결라인(43) 및 상기 제3서브연결라인(63)의 꺾임 방향에 대해 상기 제2서브연결라인(53)의 꺾임 방향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불규칙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회절 현상의 발생을 더 줄일 수 있다.
<제12실시예>
도 1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제11실시예(도 14에 도시됨)와 비교할 때 상기 제1서브구동부(41), 상기 제2서브구동부(51), 및 상기 제3서브구동부(61)의 형태를 변경한 것이다.
상기 제1서브구동부(41), 상기 제2서브구동부(51), 및 상기 제3서브구동부(6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현상의 발생을 더 줄일 수 있다. 이는 상기 그림 11 및 그림 12로부터 알 수 있다.
이러한 제1실시예 내지 제12실시예에 대한 투과율 측정 결과는 아래 표 1 내지 표 3과 같다.
[표 1]
Figure 112016085619527-pat00013
[표 2]
Figure 112016085619527-pat00014
[표 3]
Figure 112016085619527-pat00015
위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상기 단위화소(3)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투과부(33)가 30 % ~ 86 %의 면적으로 형성된 단위화소(3)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투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가 투과율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가 투과율이 두 번째로 높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상기 단위화소(3)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투과부(33)가 70 % ~ 86 %의 면적으로 형성된 단위화소(3)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 투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위 표 1 내지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제5실시예 내지 제1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 또한 충분히 투명하게 구현될 수 있는 정도의 투과율을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투명하게 구현될 수 있으면서도 회절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유기발광층(32)은 상기 구동부(31) 위에 위치되게 상기 제1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층(32)은 상기 투과부(33)에 위치되게 상기 제2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기발광층(32)은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투명하게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영상이 표시되는 면적을 늘릴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층(32)이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형성된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투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유기발광층(32)이 형성되고,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대응되게 구성된 제13실시예 내지 제16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의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인 아래 표 4로부터 알 수 있다.
[표 4]
Figure 112016085619527-pat00016
위 표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유기발광층(32)이 형성되고, 상기 단위화소(3)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투과부(33)가 30 % ~ 86 %의 면적으로 형성된 단위화소(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투명하게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영상이 표시되는 면적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6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가 투과율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상기 제15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가 투과율이 두 번째로 높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유기발광층(32)이 형성되고, 상기 단위화소(3)가 이루는 면적에 대해 상기 투과부(33)가 70 % ~ 86 %의 면적으로 형성된 단위화소(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는 더 투명하게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영상이 표시되는 면적을 늘릴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 기판
3: 단위화소 31: 구동부
32: 유기발광층 33: 투과부
34: 연결라인 4: 제1 서브화소
41: 제1서브구동부 42: 제1서브투과부
43: 제1서브연결라인 5: 제2서브화소
51: 제2서브구동부 52: 제2서브투과부
53: 제2서브연결라인

Claims (7)

  1.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양극, 발광층, 및 음극을 갖는 유기발광층을 각각 포함하는 서브 화소들을 구비하는 단위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화소들 각각은,
    상기 유기발광층을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가 배치되는 서브 구동부;
    상기 서브 구동부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며, 투명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빈 공간으로 구성되어 투명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서브 투과부;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서브 화소들 각각의 서브 구동부에 연결된 복수의 연결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라인들 각각은 끼인 각을 가지며,
    상기 끼인 각은 상기 서브 구동부에 배치되며,
    상기 양극은 상기 서브 구동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 투과부의 면적은 상기 서브 구동부의 면적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화소의 면적 대비 상기 서브 투과부는 70~86%의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화소들 중 어느 한 서브 화소의 서브 구동부의 면적은 또 다른 서브 화소의 서브 구동부의 면적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라인들 중 어느 한 연결 라인의 끼인 각은 또 다른 연결 라인의 끼인 각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라인들 중 어느 한 연결 라인의 꺾임 방향은 또 다른 연결 라인의 꺾임 방향과 서로 반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구동부는 원형의 형태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0160112803A 2016-09-01 2016-09-01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698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803A KR101698542B1 (ko) 2016-09-01 2016-09-01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803A KR101698542B1 (ko) 2016-09-01 2016-09-01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392A Division KR20110076641A (ko) 2009-12-29 2009-12-29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540A KR20160106540A (ko) 2016-09-12
KR101698542B1 true KR101698542B1 (ko) 2017-01-20

Family

ID=5695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803A KR101698542B1 (ko) 2016-09-01 2016-09-01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5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6221B2 (en) * 2019-11-28 2021-09-21 Innolux Corporation Transparent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2112A (ja) * 2006-10-31 2008-05-15 Optrex Corp 発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191B1 (ko) * 2003-10-20 2011-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휘도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KR100623844B1 (ko) * 2004-04-30 2006-09-1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102090A (ko) * 2007-05-18 2008-11-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2112A (ja) * 2006-10-31 2008-05-15 Optrex Corp 発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540A (ko) 2016-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68407B (zh) 一种有机电致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0380930B2 (en) Heterogeneous light emitter display system
KR102536628B1 (ko) 투명표시장치
US8305294B2 (en) Tiled display with overlapping flexible substrates
KR102578318B1 (ko) 타일링 표시장치
TWI725671B (zh) 顯示面板
CN109950293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0620498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with connecting portion formed in fan-out region
US1035506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50249115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arr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102463737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CN110061147A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0751922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033294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JP7389106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KR10188753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9935202A (zh) 双面发光式透明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CN109713022A (zh) 显示面板
US20170278908A1 (en) Pixel element structure, array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CN112767852A (zh) 一种用于透明显示的迷你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拼接屏
CN112909045A (zh) 显示装置
US10109684B2 (en) Pixel element structure, array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CN102569338A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及其组合
KR101698542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90048834A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