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007A -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007A
KR20190013007A KR1020170096882A KR20170096882A KR20190013007A KR 20190013007 A KR20190013007 A KR 20190013007A KR 1020170096882 A KR1020170096882 A KR 1020170096882A KR 20170096882 A KR20170096882 A KR 20170096882A KR 20190013007 A KR20190013007 A KR 20190013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composition
cationic surfactant
sensitive component
vitam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3890B1 (ko
Inventor
남미희
피봉수
황윤균
안지혜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096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890B1/ko
Priority to PCT/KR2018/008669 priority patent/WO2019027221A2/ko
Publication of KR20190013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pH 민감성 성분, 예컨대 비타민 C 유도체의 안정화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조성물은 pH에 영향을 받지 않는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고급 알코올을 이용하여 pH가 낮은 젤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pH 완충제의 사용 없이 젤 구조를 통해 낮은 pH에서 안정성을 갖는 성분을 안정화시킨 제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STABILIZING COMPONENT WITH PH SENSITIVITY}
본 명세서에는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아스코르빈산으로도 불리는 비타민 C는 2번, 3번 탄소 사이의 이중결합으로부터 비롯되는 비타민 C의 강한 환원력으로 인해 체내 활성 산소를 감소시켜 피부 미용에 도움을 주지만 그와 동시에 열이나 빛, 중금속, 대기 중의 산소 등에 의해 스스로 쉽게 산화됨으로써 안정성이 저해된다. 산화 안정성 저하는 수소 이온이 해리된 수용액 상태에서 특히 심하기 때문에 고함량의 비타민 C를 수상에 용해시켜 제조된 화장품 제형은 대부분 변질이나 분리 등 물성 악화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타민 C의 효능은 유지하면서 산화 안정성을 향상시킨 다양한 비타민 C 유도체가 개발되어 왔으며, 이러한 유도체들은 산화 안정성뿐만 아니라 인체 흡수율도 향상시켜 기존의 비타민 C보다 높은 활용도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미백 화장료 제형에 포함되는 비타민 C 유도체는 통상적으로 본래의 비타민 C가 피부에 도포되었을 때 나타내는 활성 수준을 유지하면서, 원료 상태 혹은 용해되거나 분산된 상태에서는 쉽게 산화되지 않도록 비타민 C의 탄소 사슬에 다양한 분자를 유기화학적으로 부착시킨 것들을 지칭한다. 이렇게 화학적으로 결합된 분자들은 비타민 C의 2번, 3번 탄소 사이의 이중결합이 외부의 자극에 의해 쉽게 깨져 활성을 잃지 않도록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입체 장애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비타민 C 유도체는 결합되어 있는 분자들의 종류에 따라 용해 특성 등의 물성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팔미트산 또는 스테아르산 등의 분자와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형성된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또는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 등의 유도체는 수용성이던 비타민 C를 유상 용해가 가능한 지용성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제형 내 분산시켰을 때 수분과의 접촉을 어느 정도 차단하여 산화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기능성 화장품은 사용감과 편이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유상 용매가 적고 정제수가 많이 필요한 수중유분산 제형으로 제조되어 그 적용에 한계가 있다.
또한, 비타민 C 유도체의 첨가에 의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제형의 물성 변화 중 하나는 점도의 하락이다. 특히, 수용성 분자가 결합된 수용성 비타민 C 유도체는 정제수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높고 석출물 없이 안정하지만 제형의 점도 하락과 경시 안정성의 악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통상적인 수중유분산 제형의 경우와 같이 유화제나 오일, 점증용 왁스, 고분자 등을 투입해 원하는 수준으로 제형의 점도를 높일 수는 있지만, 점도를 높인다 하더라도 과량의 비타민 C 유도체와 다른 원료들의 조합에 따라 안정성이 쉽게 변하고 경시에 따른 상 분리가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체계적으로 안정한 처방 설계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에틸아스코르빌에테르의 경우에는 저 pH에서 안정하기 때문에 pH에 민감한 카보머를 이용한 점증 시스템을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잔탄검 등의 당류계나 pH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점증제로 사용할 수 있는 점증 시스템이 많지 않다.
아울러, 비타민 C는 포도당과 같은 당질전구물질로부터 유래된 것이기 때문에 유도체로 변환함으로써 산화 안정성이 높아졌다 해도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끈적이고 밀리는 문제는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게다가, 비타민 C 유도체가 글루코스와 같은 당과 결합된 경우에는 끈적임과 밀림 등의 문제가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1% 이상의 고함량의 비타민 C 유도체를 포함하면서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한 화장료의 개발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3655호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pH 민감성 성분, 예컨대 비타민 C 유도체를 안정화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pH 민감성 성분;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고급 알코올을 포함하는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pH 민감성 성분은 5.5 이하의 pH에서 안정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pH 민감성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pH 민감성 성분은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비타민 C 유도체는 에틸아스코르빌에테르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4급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4급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디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및 디세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급 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3 내지 9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급 알코올은 세틸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데실알코올, 라우릴알코올, 트리데실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펜타데실알코올, 헵타데실알코올, 팔미티올레일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리노실알코올, 리놀레일알코올, 아라치도닐알코올, 세토일알코올, 에루실알코올, 및 아라치딜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고급 알코올은 1 : 1 내지 1 : 5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고급 알코올은 젤 구조(gel structure)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10 N 이상의 경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5.5 이하의 pH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밀림 및 끈적임 현상이 개선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인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pH에 영향을 받지 않는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고급 알코올을 이용하여 pH가 낮은 젤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pH 완충제의 사용 없이 젤 구조를 통해 낮은 pH에서 안정성을 갖는 성분을 안정화시킨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고급 알코올을 이용하여 점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젤 구조 제형을 통해 점도의 하락을 방지하고 원하는 점도 형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광학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편광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pH 민감성 성분;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고급 알코올을 포함하는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고급 알코올에 의한 젤 구조 형성을 통해 pH 민감성 성분을 제형 내 안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pH 민감성 성분은 주변 pH 변화에 따라 제형 분리 등의 물성 악화나 화학적 변성이 일어나는 물질로서,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pH 민감성 성분은 5.5 이하, 5.3 이하, 5.0 이하, 4.8 이하, 4.5 이하, 4.3 이하, 4.0 이하, 3.8 이하 또는 3.5 이하의 pH에서 안정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pH 민감성 성분은 2.0 이상, 2.5 이상, 3.0 이상, 3.5 이상 또는 4.0 이상의 pH에서 안정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pH 민감성 성분은 3.0 내지 4.5의 pH 또는 3.5 내지 4.0의 pH 또는 4.0 내지 5.0의 pH에서 안정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pH 민감성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pH 민감성 성분은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비타민 C 유도체는 에틸아스코르빌에테르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또는 2.5 중량% 이상이면서 3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또는 1.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4급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4급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디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및 디세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급 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3 내지 9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고급 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3 중량% 이상, 4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또는 8 중량% 이상이면서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7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또는 4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급 알코올은 세틸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데실알코올, 라우릴알코올, 트리데실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펜타데실알코올, 헵타데실알코올, 팔미티올레일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리노실알코올, 리놀레일알코올, 아라치도닐알코올, 세토일알코올, 에루실알코올, 및 아라치딜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고급 알코올은 1 : 1 내지 1 : 5, 1 : 1 내지 1 : 4, 1 : 1 내지 1 : 3.5, 1 : 1 내지 1 : 3, 1 : 2 내지 1 : 3 또는 1 : 2 내지 1 : 3.5의 중량비로 포함되어 제형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은 pH에 영향을 받지 않는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고급 알코올을 이용하여 젤 구조(gel structure)를 형성함으로써 젤 구조 내에서 pH 민감성 성분을 안정화하고 점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점도의 하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경도기(모델명: SUN RHEO METER)로 측정 시 10 N 이상의 경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7000 cps 이상의 점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5.5 이하의 pH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밀림 및 끈적임 현상이 개선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하기 표 1의 조성비(중량%)에 따라 비교예 및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물과 오일 파트를 각각 70 ℃로 가온한 뒤 혼합하여 3분간 유화시킨 다음, 50 ℃ 이하로 냉각되면서 젤이 형성될 때 냉각수와 함께 에틸아스코르빌에테르를 공정 후반에 투입하여 열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켰다.
조성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물(D.I.Water) 72.5 69.475 67.475
디소듐 EDTA(DISODIUM EDTA) 0.05 0.05 0.05
디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Di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
- 2 2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6 6 8
글리세린(glycerine) 10 10 10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Coco-Caprylate/Caprate)
5 5 5
사이클로펜타실록산*사이클로헥사실록산
(Cyclopentasiloxane*Cyclohexasiloxane)
1 1 1
디메치콘(Dimethicone) 3 3 3
트리실록산*디메치콘
(TRISILOXANE*DIMETHICONE)
2 2 2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0.4 0.4 0.4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0.05 0.05 0.05
에틸아스코르빌에테르
(ethyl ascorbyl ether)
- 1 1
시트르산(citric acid) - 0.025 0.025
합계 100 100 100
그 결과,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조성물은 젤 구조(gel structure)를 형성하지 못한 반면,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의 경우, 4급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pH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산성, 중성, 또는 알칼리성 상태에서도 양전하를 띠어 이러한 양이온 간의 반발력과 고급 지방 알코올을 통해 10 N 이상의 경도, 7000 cps 이상의 점도를 형성하고 젤 구조(gel structure)를 형성할 수 있었다. 종래 비타민 C 유도체를 첨가할 경우 점도의 하락으로 5000 cps 이하의 로션 제형만 제조가 가능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의 경우 10 N 이상의 경도를 가져 크림 제형으로도 제조가 가능하였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은 오일, 왁스, 실리콘 계열의 소재 등과 다양한 조합을 통해 원하는 효능 및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으며, 폴리올 고함량의 외관 반투명한 경도 높은 젤 크림의 구현 또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 제형 안정성 확인
상기 제조한 비교예 및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15 ℃, 0 ℃, 상온, 30 ℃, 45 ℃에서 4주 이상 동안 보관하여 각 제형의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 냉해동 안정성에서 실시예 2의 조성물의 경우 2주차 이상부터 실시예 1의 조성물에 비해 냉해동 안정성이 떨어지기 시작하였고, 4급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고급 알코올의 비율이 1 : 3인 실시예 1의 조성물의 경우 실시예 2의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냉해동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은 pH 5.5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는 pH 3.76 정도의 젤 구조를 형성하여 젤 구조 안에서 pH 민감성 성분, 즉 에틸아스코르빌에테르(EAE)를 4주 이상의 냉해동에 관계 없이 안정화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젤 구조는 매우 안정한 구조로 액정이 관찰되는데,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도 EAE를 첨가한 후 안정하게 액정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및 2 참고). 또한, 추가적으로 EAE를 더욱 안정화시킬 수 있는 pH 구간을 위해 소량의 acid를 첨가하였고, 기존 카보머 점증 시스템보다 훨씬 적은 농도의 acid 함량으로 점도 하락의 문제 없이 최소 10 N 이상, 7000 cps 이상의 크림 제형 구현이 가능할 정도의 높은 점도를 형성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2의 조성물은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고급 알코올의 조성비를 바꾸어 고급 알코올의 함량을 높인 것으로서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pH 5.5 이하의 젤 구조를 통해 pH 민감성 성분을 안정화시키고 고점도의 제형 구현이 가능하였으나, 냉해동 안정도가 좋지 않음을 확인하여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고급 알코올의 비율이 1 : 3일 때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저 pH의 EAE가 안정화된 제형을 설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은 pH에 민감할 수 있는 점증제나 pH 완충제의 사용 없이 4.5 이하의 pH에서 안정성을 갖는 에틸아스코르빌에테르를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사용감 확인
비타민 C는 포도당과 같은 당질전구물질로부터 유래된 것이기 때문에 유도체로 변환함으로써 산화 안정성이 높아졌다 하더라도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끈적이고 밀리는 문제는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게다가, 비타민 C 유도체가 글루코스와 같은 당과 결합한 경우에는 끈적임과 밀림 등의 문제가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
본 시험예에서는 종래 카보머로 점증한 비타민 C 유도체 함유 수중유분산 로션 형태의 에멀젼과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로 제조한 두 내용물에 대해 사용감 만족도 조사를 위한 소비자 품평을 진행하여 종래 갖고 있던 비타민 C 유도체를 안정화시킨 제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인 사용감이 개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품평 대상은 30대~40대 여성 20명이었으며, 제형을 2주간 매일 저녁 시간대에 사용하게 한 뒤, 5점 만점으로 '끈적임, '밀림', '매트함' 항목을 평가하였다. 이에 따른 품평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 항목 수중유분산 에멀젼 실시예 1
끈적임 4.00 2.52
밀림 3.98 3.43
매트함 1.46 4.77
그 결과,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은 에틸아스코르빌에테르를 안정화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도포 시 끈적이거나 밀리는 현상 없이 매트한 사용감을 제공하여 종래 갖고 있던 비타민 C 유도체를 안정화시킨 제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개선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7)

  1. pH 민감성 성분;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고급 알코올을 포함하는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H 민감성 성분은 5.5 이하의 pH에서 안정성을 갖는 것인,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H 민감성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H 민감성 성분은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인 것인,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C 유도체는 에틸아스코르빌에테르인 것인,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4급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것인,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4급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디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및 디세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인,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 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3 내지 9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 알코올은 세틸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데실알코올, 라우릴알코올, 트리데실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펜타데실알코올, 헵타데실알코올, 팔미티올레일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리노실알코올, 리놀레일알코올, 아라치도닐알코올, 세토일알코올, 에루실알코올, 및 아라치딜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인,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고급 알코올은 1 : 1 내지 1 : 5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고급 알코올은 젤 구조(gel structure)를 형성하는 것인,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 N 이상의 경도를 갖는 것인,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5.5 이하의 pH를 갖는 것인,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밀림 및 끈적임 현상이 개선된 것인,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인,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KR1020170096882A 2017-07-31 2017-07-31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KR102453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82A KR102453890B1 (ko) 2017-07-31 2017-07-31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PCT/KR2018/008669 WO2019027221A2 (ko) 2017-07-31 2018-07-31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82A KR102453890B1 (ko) 2017-07-31 2017-07-31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007A true KR20190013007A (ko) 2019-02-11
KR102453890B1 KR102453890B1 (ko) 2022-10-11

Family

ID=6523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882A KR102453890B1 (ko) 2017-07-31 2017-07-31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3890B1 (ko)
WO (1) WO201902722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275A (ko) 2020-06-23 2021-12-30 (주)아모레퍼시픽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를 포함하는 실리콘유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US11229586B2 (en) 2019-06-25 2022-01-25 Amorepacific Corporation Surfactant-free cosmetic compos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9775A1 (ko) * 2019-09-11 2021-03-18 ㈜아모레퍼시픽 비타민 c 석출 방지용 첨가제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3655A (ko) 2008-10-20 2010-04-29 (주)더페이스샵코리아 비타민c를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0198A (ko) * 2010-04-28 2013-06-07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고급 알코올-개질된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국부 피부 제제
KR20140101590A (ko) * 2013-02-12 2014-08-20 (주)아비오 고농도 비타민c 및 비타민c 유도체의 투명 졸, 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308A (ko) * 1999-11-19 2001-06-15 박병덕 비타민 안정화 액정 화장료 조성물
JP4767352B1 (ja) * 2010-03-17 2011-09-07 株式会社 資生堂 乳化組成物
JP6589218B2 (ja) * 2015-09-14 2019-10-16 株式会社アイ・ティー・オー アンチプロオキシダント・グリセリルオクチル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その製法及び用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3655A (ko) 2008-10-20 2010-04-29 (주)더페이스샵코리아 비타민c를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0198A (ko) * 2010-04-28 2013-06-07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고급 알코올-개질된 실리콘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국부 피부 제제
KR20140101590A (ko) * 2013-02-12 2014-08-20 (주)아비오 고농도 비타민c 및 비타민c 유도체의 투명 졸, 겔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9586B2 (en) 2019-06-25 2022-01-25 Amorepacific Corporation Surfactant-free cosmetic composition
KR20210158275A (ko) 2020-06-23 2021-12-30 (주)아모레퍼시픽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를 포함하는 실리콘유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7221A2 (ko) 2019-02-07
WO2019027221A3 (ko) 2019-03-28
KR102453890B1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9242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two phenolic compounds, a lipid-soluble antioxidant and at least one hydrotrope for cosmetic use
US20100092412A1 (en) Self tanning compositions containing dihydroxyacetone, a retinoid and ascorbic acid glucoside as a stabilizer
CN111568782B (zh) 一种具有改善皮肤屏障的纳米乳液组合物及其应用
KR20190013007A (ko)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US9107853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and hydrotropes for cosmetic use
KR101629502B1 (ko) 세정효과가 우수한 저자극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
KR102183186B1 (ko) 고농도 비타민 c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430882B1 (de) Antioxidans-Kombinationen mit 6,7-disubstituierten 2,2-Dialkylchromanen oder -chromenen
CN112315820A (zh) 一种水包油防晒乳及其制备方法
KR20180020664A (ko) 2액형 화장료 조성물
JP2012082152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20200084153A (ko) 고체 유성 성분을 안정화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101125922B1 (ko)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US20100055054A1 (en) Self tanning compositions containing oils
EP3892256A1 (en) Cosmetic composition
JP2015530383A (ja) 化粧用又は皮膚科用組成物
KR20220034071A (ko)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KR102065629B1 (ko) 알콕실화 지방 알콜 알킬 에테르 및 그를 함유하는 제품
KR102050577B1 (ko) 계면활성제 없이 오일상을 함유한 안정한 화장료 조성물
CA3109338A1 (en) Emulsion-based person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same
KR102502255B1 (ko) 상처 치유, 피부 재생 또는 자극 완화 효과를 가지는 아줄렌 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4169512A (ja) 皮膚外用剤
KR102390010B1 (ko) 구아검 유래의 고분자를 이용한 저자극성 화장료 조성물
JP5010176B2 (ja) 水中油型皮膚外用剤
TW202042778A (zh) 利用膠體結構使維生素c衍生物穩定化之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