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698A -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 Google Patents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698A
KR20190012698A KR1020170096086A KR20170096086A KR20190012698A KR 20190012698 A KR20190012698 A KR 20190012698A KR 1020170096086 A KR1020170096086 A KR 1020170096086A KR 20170096086 A KR20170096086 A KR 20170096086A KR 20190012698 A KR20190012698 A KR 20190012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art button
magnetic force
smart key
gener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1229B1 (ko
Inventor
이소라
Original Assignee
이소라
주식회사 코리아컨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라, 주식회사 코리아컨스텍 filed Critical 이소라
Priority to KR1020170096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22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7Details of the switching means in starting circuits, e.g. relays or electronic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누름동작에 의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수 있도록 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에 금속 커버가 구비된 시동버튼과; 상기 시동버튼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시동버튼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시동버튼의 직경방향을 따른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동버튼의 둘레를 지지하는 링형상의 단면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자기력선을 형성함으로써 알에프아이디 방식에 의하여 스마트키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자기력선이 형성되는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부 영역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자기력선 발생되는 양단부가 특정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한 자기력선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스마트 키에 내장 되어 있는 단파대(High Frequency) RFID 통신 칩이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해 구동이 안될 때 스마트 키에 내장되어진 금속키(VALET KEY)를 꺼내어 수동으로 차량 문을 열고 스마트 키를 차량 시동 버튼에 접촉하여 누르게 되면 차량 키 박스 안에 내장되어진 장파대(Low Frequency) RFID 무선통신기기(리더기)에서 자속을 발생시켜 스마트키 안에 내장되어진 장파대역(125kHz, 134kHz) 칩의 정보를 읽어 보안인증을 함으로써 엔진 가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RFID TAG STARTING SWITCH HAVING CURVED COIL}
본 발명은 차량용 시동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스마트키의 전원이 방전되었을 때와 같은 비상시에 엔진 시동을 위한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생산에서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의 정보를 초소형칩(IC칩)에 내장시켜 이를 무선주파수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한 기술로서, '전자태그', '스마트 태그', '전자 라벨', 또는 '무선식별' 등으로 불린다.
최근의 RFID 기술은 대중 교통 요금징수 시스템으로도 사용되며 앞으로 그 활용 범위가 유통 분야뿐만 아니라 동물 추적장치, 차량 안전장치, 개인 출입 및 접근 허가장치, 전자요금 징수 장치, 생산관리 등 여러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RFID 카드 안에는 사람을 포함한 모든 사물에 붙일 수 있는 태그(Tag)에 고유한 정보를 입력하고, 리더(Reader)를 통하여 상기 정보를 읽는다.
상기 RFID 카드에 의한 정보 독출은 비접촉 방식으로서, 일반적으로 제작되는 RFID 카드는 태그에 내장되어 있거나 외장되어 있는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와 코일의 인덕턴스의 공진 주파수를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로 설정하여 리더가 태그안의 정보를 독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RFID 카드는 금속성 물질로 인한 자기선속 차단 및 전자기장 반사로 인한 상기 RFID 카드의 태그 유도전압 감쇄로 공진 주파수는 변경되어 리더가 태그안의 정보를 독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자는 RFID 카드설계시 상기 자기선속 차단 및 전자기장 반사로 인한 태그의 유도전압 감쇄를 고려하여 상기 공진 주파수를 변경시킬 수 있지만, 실생활에서 자기선속 차단, 전자기장 반사 또는 다른 전자파의 영향은 시시각각 변동될 수 있으므로 리더의 정확한 정보 독출을 보장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컨대, 대중 교통이용자가 교통카드를 담배갑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사용시 답배갑의 은박지는 금속성 물질로서 자기선속차단 및 전자기장 반사로 인한 태그 유도전압을 감쇄시켜 리더가 상기 교통카드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RFID 통신은 금속으로 커버링이 되어 있을 경우 금속표면에서 발생하는 와상전류(Eddy Current)가 교반자속을 지우는 방향의 방해자속을 발생시킴으로 인해 정보해독이 불가능해지거나 해독범위가 축소되어 통신장애를 유발, 원활한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금속커버 시동 스위치 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엔진 시동 버튼의 구동에 있어서 스마트 키에 내장 되어 있는 단파대(High Frequency) RFID 통신 칩이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해 구동이 안될 때 스마트 키에 내장되어진 금속키(VALET KEY)를 꺼내어 수동으로 차량 문을 열고 스마트 키를 차량 시동 버튼에 접촉하여 누르게 되면 차량 키 박스 안에 내장되어진 장파대(Low Frequency) RFID 무선통신기기(리더기)에서 자속을 발생시켜 스마트키 안에 내장되어진 장파대역(125kHz, 134kHz) 칩의 정보를 읽어 보안인증을 함으로써 엔진 시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는, 누름동작에 의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수 있도록 하는 시동버튼과; 상기 시동버튼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시동버튼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시동버튼의 직경방향을 따른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동버튼의 둘레를 지지하는 링형상의 단면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자기력선을 형성함으로써 알에프아이디 방식에 의하여 스마트키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자기력선이 형성되는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부 영역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자기력선 발생되는 양단부가 특정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한 자기력선 발생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기력선 발생부는 일정 길이를 갖고 일부가 절곡 형성된 가느다란 바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외면에 권취되어 전류가 흐르면 상기 몸체의 주변에 자기력선이 형성되도록 하는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이 권취된 상기 몸체는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매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양측 단부 영역은 상기 양측 단부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꺾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의 양측 단부 영역은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굴곡지게 형성되되 양단이 벌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중앙 영역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양단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력선 발생부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금속 커버로 인하여 상기 자기력선 발생부와 상기 스마트키 사이의 통신이 방해받을 경우에는 상기 금속 커버와 상기 자기력선 발생부 사이에 비결정성합금 시트(AMORPHOUS ALLOY SHEET)를 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는, RFID 봉형(막대형) 리더기의 안테나 코일이 전자파의 교류변화의 전계와 자계가 절곡형 칩의 양 끝단에서 자속이 흐르는 위상으로 전파가 형성되므로 RFID 안테나 코일이 금속면에 접근하면 자계의 변화로 인해 교번자속이 금속과 교차하여 금속표면에 와상전류(eddy current)가 발생하여 교반자속을 감소시켜 통신이 불가능 하게 되지만, 금속 패널과 소정의 거리를 유지시키는 가운데 금속커버 주위에 한 개 내지는 다수의 절곡형 안테나를 장착한 안테나 키트(KIT)를 위치하게 하여 전자파의 전계와 자계가 흐를 수 있게 자속 누설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파의 전계와 자계가 흐를 수 있게 되고 자속의 흐름이 원활하게 되어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는, 금속커버 시동 스위치 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엔진 시동 버튼의 구동에 있어서 스마트 키에 내장 되어 있는 단파대(High Frequency) RFID 통신 칩이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해 구동이 안될 때 스마트 키에 내장되어진 금속키(VALET KEY)를 꺼내어 수동으로 차량 문을 열고 스마트 키를 차량 시동 버튼에 접촉하여 누르게 되면 차량 키 박스 안에 내장되어진 장파대(Low Frequency) RFID 무선통신기기(리더기)에서 자속을 발생시켜 스마트키 안에 내장되어진 장파대역(125kHz, 134kHz) 칩의 정보를 읽어 보안인증을 함으로써 엔진 가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절곡형 코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절곡형 코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절곡형 코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절곡형 코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절곡형 코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절곡형 코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는, 누름동작에 의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수 있도록 하는 시동버튼(100)과; 상기 시동버튼(10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시동버튼(100)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시동버튼(100)의 직경방향을 따른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동버튼(100)의 둘레를 지지하는 링형상의 단면을 갖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자기력선을 형성함으로써 알에프아이디 방식에 의하여 스마트키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자기력선이 형성되는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부 영역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자기력선 발생되는 양단부가 특정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한 자기력선 발생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시동버튼(100)은 일정 두께를 갖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후술할 하우징(200)의 중공(201)에 누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차량의 시동을 걸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로 노출되는 시동버튼(100)의 노출면에는 금속 커버(110)가 구비됨으로써 차량의 프리미엄 이미지와 터치 감도를 높이고, 디자인 및 재질상의 고급스러운 느낌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동버튼(100)의 노출면이 페인딩이나 도금 처리된 경우에는 일정 기간 잦은 빈도로 시동버튼(100)을 사용하게 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색되거나 표면이 마모되지만 금속 커버(110)가 구비된 경우에는 변색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차량의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추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금속 커버(110)의 재질은 오스테나이트계(Austenite, 탄소원소를 녹여 굳힌 감마철) 금속인 SUS, 티타늄, 백동과 기타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니켈 등 비자성 금속 및 비철금속을 사용 할 수 있으며, SUS일 경우 금속 두께가 최대 1mm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시동버튼(100)의 차량의 내측으로 향하는 일측면에는 누름 동작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리도록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시동 콘솔 박스와 같은 접속대상물(1)에 삽입되며 시동버튼(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별도의 커넥터(12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로 노출되는 시동버튼(100) 표면에는 차량의 시동 스위치의 상태를 알려주는 엘이디 표시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중앙 영역에 중공(210)이 관통 형성되고 일정 두께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중공(210)에 삽입 설치된 시동버튼(100)이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누름 동작이 가능하도록 시동버튼(100)의 둘레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200)의 일측에는 하우징(200)의 내부에 매린된 형태로 설치되는 후술할 자기력선 발생부(300)의 코일(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코일(320) 측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220)가 구비되어 있다.
자기력선 발생부(300)는 일정 길이를 갖고 일부가 절곡 형성된 가느다란 바 형상의 몸체(310)와, 몸체(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310)의 외면에 권취되어 전류가 흐르면 몸체(310)의 주변에 자기력선이 형성되도록 하는 코일(320)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310)는 도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면에 권취된 코일(320)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유도 현상에 의하여 몸체(31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서 몸체(310)는 감싸는 폐곡선 형태로 몸체(310)의 주변에 자기력선이 형성된다.
그리고, 코일(320)이 권취된 몸체(310)는 양단부가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하우징(200)의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바람직하다.
코일(320)이 권취된 몸체(310)가 하우징(200)의 내부에 매립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코일(320)이 차지하는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차량용 시동스위치 전체의 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몸체(310)의 양단부는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는데, 이는 코일(320)에 전류가 인가시에 자기유도 현상에 의하여 몸체(310)의 일단에서 자기력선이 나와서 몸체(310)의 타측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몸체(310)의 주변에 형성되는데, 양단부가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자기력선 형성에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몸체(3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의 양측 단부 영역은 상기 양측 단부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꺾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310)의 양측 단부 영역은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굴곡지게 형성되되 양단이 벌어지게 배치될 수도 있으며,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310)의 중앙 영역이 절곡 형성되어 몸체(310)의 양단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의 양측 단부 영역은 상기 양측 단부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꺾인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몸체(310)의 양단부가 하우징(200)의 일측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전방을 향하기 때문에 몸체(310)의 양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력선이 중간 정도의 폭으로 중간 정도의 거리까지 영향을 미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310)의 양측 단부 영역은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굴곡지게 형성되되 양단이 벌어지게 배치된 경우에는 몸체(310)의 양단부가 벌어져 있기 때문에 몸체(310)의 양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력선이 가장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가장 근접한 거리까지 영향을 미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마트키를 시동버튼(100)과 가장 근접한 거리에 배치해야 인식이 가능하지만 시동버튼(100)의 중심에서 직경 방향을 따라서는 일정 거리 벗어나더라도 스마트키의 인식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310)의 중앙 영역이 절곡 형성되어 몸체(310)의 양단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에는 몸체(310)의 양단부가 상호 가까운 거리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몸체(310)의 양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력선이 가장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가장 먼 거리까지 영향을 미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마트키가 시동버튼(100)의 중심에서 직경 방향을 따라서는 일정 거리를 벗어나면 인식이 안 될 수 있지만 시동버튼(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스마트키가 먼 거리에 존재하더라도 스마트키의 인식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자기력선 발생부(3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자기력선의 형성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금속 커버(110)로 인하여 자기력선 발생부(300)와 상기 스마트키 사이의 통신이 방해받을 경우에는 금속 커버(110)와 자기력선 발생부(300) 사이에 비결정성합금 시트(AMORPHOUS ALLOY SHEET)를 배치할 수 있다.
금속 커버(110)와 자기력선 발생부(300) 사이에 비결정성합금 시트(AMORPHOUS ALLOY SHEET)를 배치하게 되면, 자기력선 발생부(300)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선이 비결정성합금 시트의 표면을 따라 유도됨으로써 자속누설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자기력선 발생부(300)와 스마트키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가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무선 통신에 기반한 스마트키와 스마트키에 내장된 비상용 금속키(VALET KEY)를 가지고 있으며, 스마트키 내부에는 근거리 전파송수신을 위한 장파(125kHz, 134kHz)대 영역과 장거리 전파송수신을 위한 단파(433MHz)대 영역 두 가지의 알에프아이디 칩을 모두 가진 통신방식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단파대역은 능동형(ACTIVE TYPE)으로 사용하고, 장파대역은 수동형(PASSIVE TYPE)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단파대(HIGH FREQUENCY RADIO) 영역의 경우에는 원거리에서 차량의 문의 개폐와 트렁크 시동 등을 작동 할 수 있도록 하고, 장파대(LOW FREQUENCY RADIO) 영역의 경우에는 차량 내의 비상용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스마트키의 내부에 실장된 장파대 영역인(PASSIVE TYPE / 125kHz 134kHz) 칩은 본 발명에 따른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와 암호화 된 통신을 통해서 시동버튼(100)을 이용하여 차량에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키와 본 발명에 따른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사이의 통신 방법은, 자기력선 발생부(300)를 구성하는 코일(320)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면 자기유도 현상이 의하여 코일(320)이 권취된 몸체(310)의 주연부에 자기력선이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자기력선이 시동버튼(100)과 하우징(200) 사이에 형성된 자속누설로를 통하여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외부로 인가되게 되고, 이러한 자기력선에 의하여 차량용 시동스위치와 스마트키 사이에 암호화된 통신이 이루어지게 되어 스마트키를 인식함으로써 차량에 시동을 걸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절곡 형성된 자기력선 발생부(300)의 몸체(310)의 형상에 따라 각각 형성되는 자기력선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차량의 특징에 따라 알맞은 형태의 몸체(31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의 양측 단부 영역이 상기 양측 단부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꺾인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일반적인 다수의 차량에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310)의 양측 단부 영역은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굴곡지게 형성되되 양단이 벌어지게 배치된 경우에는 시동버튼(100)의 직경 방향을 따라 어떠한 위치에 스마트키가 위치하더라도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310)의 중앙 영역이 절곡 형성되어 몸체(310)의 양단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에는 먼 거리에서도 스마트키를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자기력선 발생부(300)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선이 금속커버(110)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와상전류의 영향을 받을 시 비결정성 합금 시트(AMORPHOUS ALLOY SHEET)를 와상전류가 발생되는 금속커버(110)와 자기력선 발생부(300) 사이에 부착함으로써 자속의 누설로를 확보 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키와 본 발명에 따른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누름동작에 의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수 있도록 하는 시동버튼(100)과;
    상기 시동버튼(10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시동버튼(100)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시동버튼(100)의 직경방향을 따른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동버튼(100)의 둘레를 지지하는 링형상의 단면을 갖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자기력선을 형성함으로써 알에프아이디 방식에 의하여 스마트키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자기력선이 형성되는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부 영역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자기력선 발생되는 양단부가 특정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한 자기력선 발생부(3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선 발생부(300)는 일정 길이를 갖고 일부가 절곡 형성된 가느다란 바 형상의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310)의 외면에 권취되어 전류가 흐르면 상기 몸체(310)의 주변에 자기력선이 형성되도록 하는 코일(3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320)이 권취된 상기 몸체(310)는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10)의 양측 단부 영역은 상기 양측 단부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꺾인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10)의 양측 단부 영역은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굴곡지게 형성되되 양단이 벌어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10)의 중앙 영역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몸체(310)의 양단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선 발생부(3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커버(110)로 인하여 상기 자기력선 발생부(300)와 상기 스마트키 사이의 통신이 방해받을 경우에는 상기 금속 커버(110)와 상기 자기력선 발생부(300) 사이에 비결정성합금 시트(AMORPHOUS ALLOY SHEET)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KR1020170096086A 2017-07-28 2017-07-28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KR102031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086A KR102031229B1 (ko) 2017-07-28 2017-07-28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086A KR102031229B1 (ko) 2017-07-28 2017-07-28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698A true KR20190012698A (ko) 2019-02-11
KR102031229B1 KR102031229B1 (ko) 2019-10-11

Family

ID=6536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086A KR102031229B1 (ko) 2017-07-28 2017-07-28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2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366B1 (ko) * 2015-06-30 2016-08-2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KR101651365B1 (ko) * 2015-06-30 2016-08-2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KR20170019565A (ko) * 2015-08-11 2017-02-22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366B1 (ko) * 2015-06-30 2016-08-2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KR101651365B1 (ko) * 2015-06-30 2016-08-2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KR20170019565A (ko) * 2015-08-11 2017-02-22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229B1 (ko)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2474B2 (ja) 通信機能付き電子機器
Finkenzeller RFID handbook: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in contactless smart cards,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near-field communication
KR101476335B1 (ko) 휴대용 소비자 기기를 위한 안티-인터로게이션
EP1622064B1 (en) RFID tag-containing apparatus
JP5026522B2 (ja) 受動共振回路を用いた高周波通信用トランスポンダの最適化された読取り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1944878B1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rfid tag and access unit
KR101017331B1 (ko) 비접촉 ic 카드용 통신 제어체 및 비접촉 ic 카드 홀더
US20080055093A1 (en) Shield for radio frequency ID tag or contactless smart card
JP6231358B2 (ja) Rfidタグ組込リング
US20080238687A1 (en) Secure RFID device
WO2004070966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2001208875A (ja) 腕時計の識別用タグ及びこれを内蔵した腕時計
JP4551641B2 (ja) 非接触データ通信機能を備えた携帯用電子機器
JP2006030211A (ja) 腕時計の識別用タグ及びこれを内蔵した腕時計
JP3595268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取付構造及び通信装置の情報読出方法
JP6413458B2 (ja) カードリーダ
KR102031229B1 (ko)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CN209858958U (zh) 标签内置钟表
KR101799587B1 (ko) Nfc 기능을 갖는 금속 소재의 ic 카드
KR20190000558A (ko) 스틸 커버를 장착한 알에프아이디 차량용 시동스위치
KR20190000557A (ko) 스틸 커버를 장착한 알에프아이디 차량용 시동스위치
US20210134541A1 (en) Start button and vehicle start switch having same
JP2010147913A (ja) 近距離無線通信端末
JP3113192U (ja) カード用防護体
KR101969026B1 (ko) 하우징 일체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