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317B1 -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317B1
KR102563317B1 KR1020160090228A KR20160090228A KR102563317B1 KR 102563317 B1 KR102563317 B1 KR 102563317B1 KR 1020160090228 A KR1020160090228 A KR 1020160090228A KR 20160090228 A KR20160090228 A KR 20160090228A KR 102563317 B1 KR102563317 B1 KR 102563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antenna device
cor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8210A (ko
Inventor
천정남
김유진
양광모
장시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0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317B1/ko
Publication of KR20180008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1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interrogator/reader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1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하여 개시된다. 개시된 안테나 장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에지를 따라 일정한 길이로 배치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측에 배치되는 코어에 권회되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 및 상기 코일을 매립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사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ANNTENA APPARAT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은 13.56MHz 주파수를 사용하여 10cm 이내의 짧은 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전자기기들 간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으로, 상기 주파수 대역 대의 무선 신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안테나를 구비해야 한다. NFC의 초당 전송 속도는 106 Kbps, 212 Kbps, 424 Kbps 또는 848 Kbps 등이 있으며, 근접성의 특성과 암호화 기술로 보안성이 뛰어나고, 디바이스들끼리 인식하는데 복잡한 페어링 절차가 필요없이 1/10초 이하로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NFC는 RFID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카드에 비해 양방향성을 갖고, 저장 메모리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며, 적용 가능한 서비스의 폭이 넒은 특징이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가 NFC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리더(reader)라고 하며, 스마트 카드와 같은 NFC 태그(tag)와의 NFC 통신을 위하여, 칩 형태의 NFC 회로망을 모바일 장치에 내장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NFC 통신을 위해서는 별도의 루프 안테나가 NFC 리더인 모바일 장치에 설치되야만 한다. 종래의 NFC 안테나는 루프(loop) 패턴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battery) 내부나 커버(cover)에 실장되었다. 그리고 종래 루프 형태의 NFC 안테나는 방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루프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형성했으므로, NFC 안테나의 면적도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 배터리 내부 또는 커버에 안테나가 실장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리더의 루프 안테나의 면적이 태그의 루프 안테나의 면적보다 비약적으로 커지게 되면, 리더의 루프 안테나의 내측 영역에 리더의 루프 안테나와 태그의 루프 안테나 간의 자기적 커플링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이 생기게 되고, 이 부분에서는 NFC 통신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리더의 루프 안테나의 면적을 극대화하지 않고서도, NFC 통신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해 리더의 루프 안테나의 구조를 어떻게 구성할지 문제가 된다.
한편, 모바일 결제서비스(Mobile Payment Service)라고 불리는 무선결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와 재화 구매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대금을 지불하는 서비스다. 종래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듈을 이용한 결제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적합한 NFC 판독 장치의 부재로 인해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 그리고 수많은 스마트폰에서의 표준화된 NFC 사양(capability)의 부재로 인하여 서비스 기반을 구축하기가 힘들었다.
따라서, 신용카드 등의 자기 스트립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 등에 저장하고, 결제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별도의 코일을 통해 기존 POS(point of sale) 단말기의 자기 헤드에 전달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이 도입되었다. 이는 자기 보안 전송(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기술로 잘 알려져 있다.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기술은 자기장 통신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방식이다. MST 기술의 경우 소매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마그네틱 POS(Point of Sale)기기를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기반투자 없이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런 MST 시스템의 신호 송신을 위하여 다양한 소자들의 배치가 필요하며, 다양한 사용자 편의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자 장치 또는 단말기에 상술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위한 NFC 기술과 MST 기술의 채용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MST 디바이스는 드라이버와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MST 디바이스는 지불 카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자기 스트라이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자기 스트라이프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프로세싱된 자기 스트라이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에너지 자기 펄스를 방출하고, 그 후 프로세싱된 자기 스트라이프 데이터는 POS의 자기 스트라이프 판독기에 의해 원격으로 수신된다.
그러나 MST 디바이스가 자기장 통신을 이용할 경우, 저주파대역으로 인해 MST 하드웨어의 미약한 자기장이나 POS(point of sale) 단말기의 자기 헤드까지의 이격 거리에 의해 데이터 전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POS단말기에 매우 근접하여 MST 디바이스를 동작해야 했었다. 특히, 사용자 인증 후 MST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을 POS단말기에 매우 근접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 때문에, MST 디바이스를 점원의 손에 넘겨 주는 일이 잦았고, 이는 MST 디바이스가 사용자 외 타인의 손에 넘어가면서, MST 디바이스 해킹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어 MST 디바이스에 대한 보안 문제도 있었다.
그리고 MST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할 때, 사용자의 결제 의사를 판단하기 위하여, MST 디바이스의 홈키에 지문인식을 요구하는데, MST 디바이스의 홈키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올려놓은 체로 MST 통신용 안테나를 POS 단말기에 근접해야 했다. 이는, 무선결제시 사용자가 MST 디바이스의 무게 중심을 유지하기 어렵도록 만들어서, 종종 MST 디바이스가 손에서 떨어지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MST 디바이스가 낙하에 따른 충격을 받게 되어 손상을 입고 디바이스의 수명이 단축되었다. 따라서, 결제 카드 데이터 또는 다른 정보를 스마트폰 또는 다른 전자 장치에서 POS 단말기로 원격으로 전송하기 위한 보다 편리한 구조를 가지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POS(Point of Sale) 단말기에 휴대용 전자기기를 접근시켜 무선 결제를 할 때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하는 자세를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 안테나 장치를 통해 서로 다른 종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로 결제를 하기 위해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 인증(지문 인식)이 이루어지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에지를 따라 일정한 길이로 배치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측에 배치되는 코어에 권회되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 및 상기 코일을 매립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사출물;을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코일은 양 단에 형성된 한 쌍의 전극부가 상기 사출물에 비 매립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류가 휴대용 전자기기 내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폐하는 차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내측으로 개방된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코어는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출물은 상기 몸체부와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사출물에 매립되며 상기 코어에 권회된 코일이 가려지도록 상기 코어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 부재는 자성체 및/또는 시트(sheet)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코어는 상기 차폐 부재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몸체부는 상기 코어의 에지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신호통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통과부재는 상기 신호통과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절결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통과부재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통과부재는 상기 몸체부와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휴대용 전자기기의 에지의 일정 구간에 배치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측에 배치된 코어에 권회된 코일; 상기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류가 휴대용 전자기기 내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폐하도록 상기 코어 일측에 배치되는 차폐 부재; 및 상기 코일 및 차폐 부재를 매립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사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코일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사출물에 비 매립되는 한 쌍의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몸체부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코어에 인접한 부분에 안테나 신호의 이동 통로를 이루는 신호통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통과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절결부에 삽입되거나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측에 무선 통신 회로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에지에 배치되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신호로 송수신 가능하도록 일부분이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의 코어에 권회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류가 휴대용 전자기기 내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폐하도록 상기 코어 일측에 배치되는 차폐 부재와, 상기 코일 및 차폐 부재를 상기 몸체부 내에 매립하도록 상기 몸체부와 인서트 사출되는 사출물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결제 방식에 따라 카드(신용카드 등)로 결제할 때 카드를 파지하는 자세와 동일한 자세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기기로 결제하는 중에 체감할 수 있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 전자기기를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바라보는 사시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결제 시 지문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이 함께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외측을 바라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를 내측을 바라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표시된 V-V'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에서 코일을 도시하지 않은 도면이다.
도 7은 코어 연장부를 생략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코어에 차폐 부재를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신호통과부재를 가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를 적용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후면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외측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신호통과부재를 생략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복수의 코어를 가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1)는 휴대 전화, 소형 태블릿 PC 등 무선 통신이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를 칭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 전자기기를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바라보는 사시도들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휴대용 전자기기(1)는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면에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6)가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부(6) 하측에는 홈 키(8)와 홈 키(8)의 양측으로 소프트 키(9a, 9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1)는 좌측단부(5a)에 안테나 장치(1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테나 장치(10)가 휴대용 전자기기(1)의 좌측단부(5a)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우측단부(5b), 상측단부(5c) 및 하측단부(5d)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장치(10)는 복수로 구비되어 좌측단부(5a) 및 우측단부(5b)에 각각 형성되거나, 상측단부(5c) 및 하측단부(5d)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장치(10)는 각 단부(5a, 5b, 5c, 5d)가 서로 만나는 코너부에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안테나 장치(10)는 휴대용 전자기기(1)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으나, 휴대용 전자기기(1)의 색상 및 디자인을 고려하여 휴대용 전자기기(1)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안테나 장치(10)는 도 1a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좌측단부(5a)을 따라 소정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테나 장치(10)의 길이는 안테나 장치(10)가 설치되는 좌측단부(5a)에 함께 배치되는 구조물 예를 들면, 도 1a와 같이 좌측단부(5a)의 상부에 배치된 복수의 키(7)의 위치를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결제 시 지문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이 함께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1)는 좌측단부(5a)에 배치된 안테나 장치(10)를 POS 단말기(400)의 자기 헤드(magnetic head)가 배치된 신용카드 슬롯(410)에 인접하게 위치시킴으로써 무선 결제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결제를 위해 휴대용 전자기기(1)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500)은 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즉, 엄지(510)가 휴대용 전자기기(1)의 전면에 위치하고 나머지 네 손가락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후면(3)에 위치하게 된다. 도 1a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를 파지하는 손의 자세는 두께가 얇고 넓은 면적을 가지는 물체(예를 들면, 신용카드 등)를 파지하는 데 가장 자연스러운 자세일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파지 자세는 휴대용 전자기기(1)를 떨어뜨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자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1)는 전자 결제 시 휴대용 전자기기(1)를 파지할 때 손가락의 위치 즉, 엄지(510)가 디스플레이부(6)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엄지(510)가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6)의 일부에는 지문 인식 센싱층(6a)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제 시 휴대용 전자기기(1)를 파지할 때 자연스럽게 지문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함께 행할 수 있다. 지문 인식 센싱층(6a)은 디스플레이부(6) 전체 영역에 대응하는 넓이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1) 내에 구비된 제어부(미도시)는 비결제 모드와 결제 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결제 모드에서 지문 인식 센서층(6a)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1)는 지문 인식을 위해 상기 지문 인식 센싱층(6a)을 일체로 구비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부(6)의 후방에 별도로 소정 넓이를 가지는 지문 인식 센서(미도시)를 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아울러 지문 인식 센서는 휴대용 전자기기(1)의 전면뿐만 아니라 후면(3)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6)에 지문 인식 센싱층(6a)을 내장하고 동시에 휴대용 전자기기(1)의 후면(3)에 지문 인식 센서를 함께 구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1)로 무선 결제 진행 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지문 인식을 수행 함과 동시에 휴대용 전자기기(1)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선 결제를 위해 휴대용 전자기기(1)를 타인에게 넘겨줄 필요가 없어 해킹 같은 보안 위협에 노출될 가능성이 최소화 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안테나 장치(1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외측 및 내측을 바라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표시된 V-V'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에서 코일을 도시하지 않은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10)는 휴대용 전자기기(1)의 좌측단부(5a)에 배치되며, 일면(12)이 휴대용 전자기기(1)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부(10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휴대용 전자기기(1)의 좌측단부(5a)의 일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몸체부(100)는 휴대용 전자기기(1)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휴대용 전자기기(1)의 케이스(2)와 동일한 재질 및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동일한 관점에서 몸체부(100)의 일면(12a)은 휴대용 전자기기(1)의 좌측단부(5a)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휴대용 전자기기(1)의 좌측단부(5a)가 평면인 경우 몸체부(100)의 일면(12a) 역시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동시에 좌측단부(5a)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1)의 좌측단부(5a)가 소정의 곡률을 이루는 곡면인 경우 몸체부(100)의 일면(12a) 역시 좌측단부(5a)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100)의 일면(12a)을 둘러싸는 측면들(12b)은 케이스(2) 내측으로 매립되므로 도 1a 및 도 1b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몸체부(100)는 금속 재질 외에 무선 신호의 송수신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디자인을 고려하여 휴대용 전자기기(1)의 케이스(2)와 동일한 색상으로 코팅 처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100)는 상기 일면(12a)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타면(12c)에는 후술하는 코어(110) 및 코일(160)이 형성되는 공간부(101, 도 6 참조)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101)는 사출물(14)로 채워진다. 사출물(14)은 코어(110) 및 코일(160)과 휴대용 전자기기(1) 내부의 각종 부품 간의 절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절연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출물(14)은 안테나 장치(10)의 제작 공정의 단순화 및 제작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 몸체부(100)와 함께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출물(14) 외측으로 코일(160)의 양단에 해당하는 한 쌍의 전극부(161,162)가 인출될 수 있으며, 이 한 쌍의 전극부(161,162)는 휴대용 전자기기(1) 내에 배치되는 무선 통신 회로(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 장치(10)는 외부 장치(예를 들면, POS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를 무선 통신 회로(17) 측으로 인가할 수 있고, 반대로 무선 통신 회로(17)에서 생성되는 무선 신호를 외부 장치로 방사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몸체부(100)는 내측면(16)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코어(110)에 코일(160)이 소정 횟수로 권선된다. 코어(110)는 안테나 장치(10)의 제조 공정 단순화 및 제조 비용 절감을 위해 몸체부(1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어(110)의 높이는 몸체부(100)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사출물(14)에 의해 완전히 매립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110)는 상단의 주변부를 따라 연장부(113, 114)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13, 114)는 코어(110)의 상부에 적층되는 차폐부재(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코일(160)은 코어(110)에 소정 횟수로 권선되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를 위한 저주파 대역 주파수를 발생하며, 자기 유도를 위해 충분한 길이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코일(160)은 양단이 한 쌍의 전극부(161, 162)를 형성하며, 각 전극부(161,162)는 무선 통신 회로(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는 자기 보안 전송 기술로서, 신용카드의 마그네틱 스트립 데이터를 휴대용 전자기기(1)로부터 무선 통신 회로(17)에 구비된 MST 유닛(미도시)을 통해 코일(110)을 구동하여 자기장(magnetic field)을 발생시킨다. 이때 코일(16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은 신용카드의 트랙 데이터로서 근접한 POS 단말기(400)의 자기 헤드(magnetic head)에 유도 전달된다. 그리고 POS 단말기(400)의 자기 헤드에는 신용카드를 직접 스와이프(swipe)한 것과 유사한 신호가 전달됨으로써 비접촉 방식의 무선 결제가 이루어진다. MST 기술이 적용된 본 실시예의 휴대용 전자기기(1)를 통해 무선 결제를 하는 경우는 기존의 신용카드 자기 스트립을 스와이프(swipe)하는 방식의 POS 단말기 및 결제 시스템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선 통신 회로(1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1)가 NFC 리더(reader)로서 스마트 카드와 같은 NFC 태그(tag)와의 NFC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칩 형태의 NFC 회로망을 내장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회로(17)는 MST 통신을 위해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와 함께 고에너지 자기 펄스를 방출할 수 있는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 전송장치(Magnetic Stripe Transmitter), 드라이버 및 인덕터를 포함하는 MST 유닛을 내장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회로(17)는 코일(160)을 NFC용 코일 및 MST용 코일로 겸용할 수 있으므로 NFC 및 MST 통신에 필요한 데이터(무선 신호)를 NFC 판독장치 및 POS 단말기로 송수신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무선 신호의 송수신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코어(110)의 에지부들(111, 112)에 인접하는 신호통과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통과부재(150)는 NFC 통신을 위한 13.56MHz 주파수 대역 및 MST 통신을 위한 수 KHz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가 잘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신호통과부재(150)는 플라스틱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몸체부(100)에는 무선 신호의 송수신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몸체부(100)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절결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절결부(13)는 코어(110)를 중심으로 코어의 양 에지부들(111, 112)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몸체부(100)의 일면(12a)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코어(110)에 권선된 코일(160)에서 형성되는 저주파 대역 무선 신호는 코어의 에지부들(111, 112)에서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가지고 지향성을 가지며 방출된다. 따라서, 절결부(13)는 무선 신호의 송수신 효율 극대화를 위해 일단이 코어의 에지부들(111, 112)에 인접하고, 타단은 코어(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결부의 폭은 w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양호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보장할 수 있다면 절결부(13)의 형상은 특정한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절결부(13)는 안테나 장치(10)의 일면(12a)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로 이루어지고, 몸체부(100)의 내측면(16)과 일면(12a)을 관통한다.
각 절결부(13)에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된 신호통과부재(150)가 압입될 수 있다. 하지만, 신호통과부재(150)는 안테나 장치(10)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몸체부(100)와 함께 일괄적으로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신호통과부재(150)는 전술한 사출물(14)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서트 사출 시 사출물(14)과 동시에 성형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는 코일(160)에 흐르는 전류의 기전력에 의해 와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와전류는 휴대용 전자기기(1) 내측으로 불필요한 전류가 흐르게 하여 휴대용 전자기기(1) 내부의 다른 부품에 영향을 주고, 와전류에 의해 전력손실이 발생하면서 열이 발생하여 안테나 장치(10)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코일(160)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휴대용 전자기기(1) 내부 전자부품 동작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반대로, 휴대용 전자기기(1) 내부의 금속물에 의해 안테나 장치(10)의 성능이 열화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영향들을 차단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10)는 전류 차폐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재(120)는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며 사출물(14)에 의해 매립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차폐부재(120)는 코일(160)에서 발생하는 전류가 휴대용 전자기기(1) 내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차폐부재(120)는 코어(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코어(110)에 권회된 코일(160)이 가려지도록 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코어(110)가 안테나 장치(10)의 타면(12c)을 향하고 있는 일측에 배치되어 코일(160)이 덮어서 가려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코어(110)의 상단부에 차폐부재(12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부재(120)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자성체는 원료 산화물의 미 분발을 혼합 성형하여 900 내지 1000°C에서 소결한 일종의 세라믹으로서 자성을 가지는 산화철계 세라믹인 페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재(120)는 코일(160)에서 휴대용 전자기기(1)의 내측 방향으로 발생하는 와전류의 효율적인 흡수를 위해 도 6과 같이 넓은 면적과 충분한 두께를 가지는 시트(sheet)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시트 형상을 가지는 차폐부재(120)는 코어(110)와 코어에 권회된 코일(160)이 휴대용 전자기기(1) 내측에서 보이지 않는 정도의 충분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120)의 면적은 코어(110)의 상단부의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시트 형상을 가지는 차폐부재(120)는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1)의 플렛폼으로 사용되는 스마트 폰의 무선충전, NFC, MST에 적용되어 전류 및 자기장 차폐에 활용될 수 있다. 무선충전, NFC, MST는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가지지만, 시트형 차폐부재(120)는 일정 주파수에서 한정되지 않고 더 넓은 영역의 주파수에서도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차폐부재(120)는 공간부(101)를 일괄 매립하는 사출물(14)에 의해 코어(110) 및 코일(160)과 함께 매립되므로, 사출물(14)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사출물(14)이 가지는 절연효과와 함께 전자기파 차폐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코어(110)는 코어의 상단면 면적보다 큰 차폐부재(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차폐부재(120)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는 연장부들(113, 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장치(10)의 제조 공정 단순화 및 제조 비용절감을 위해, 연장부들(113, 114)은 코어(110)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들(113, 114)은 시트 형상의 차폐부재(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그 자체가 시트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차폐부재(120)의 테두리가 끝나는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으나 형상과 넓이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코어 연장부(113, 114)를 생략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조 비용의 절감을 위해 코어(110)는 연장부들(113, 114) 없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테나 장치(20)의 타면(12c)을 향하는 코어(110)의 상단면에는 시트형 차폐부재(120a)가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 시트형 차폐부재(120a)는 코어(110)의 상단면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코어에 시트형 차폐 부재(120)를 적층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30)를 나타내고 있다. 제조비용의 절감을 위해 코어(110)는 연장부(113, 114) 없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테나 장치(10)의 타면(12c)을 향하는 코어(110)의 상단면에는 시트형의 차폐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시트형의 차폐부재(120)는 코일(160)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효율적으로 흡수하기 위해서, 코어(110)와 코일(160)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타면(12c)에서 보이지 않도록 코어(110)와 코일(160)을 덮어서 가릴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120)는 공간부(101)를 일괄 매립하는 사출물(14)에 의해 함께 매립되어, 사출물(14)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른 형상을 한 신호통과부재를 가지는 안테나 장치(40)의 일면(12a)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코어(110)에 권선된 코일(160)에서 형성되는 저주파 대역 무선 신호는 코어의 에지부들(111, 112)에서 가장 강한 신호세기를 가지고 지향성을 가지며 방출된다. 무선 신호의 송수신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절결부(13)는 코어(110)의 에지부들(111, 112)을 따라 코어(110)를 둘러싸듯이 형성될 수 있다. 절결부(13)의 형상은 일면(12a)에서 볼 때, 'ㄷ'자 및 이에 대해 좌우가 반전된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코어(110)를 중심으로 양 옆에 배치되어 코어(110)의 일단면을 감싸도록 할 수 있다.
절결부(13)에는 신호통과부재(1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신호통과부재(150)는 제1 내지 3 섹션(151, 152, 15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신호통과부재(150)의 제1 섹션(151)은 코어(110)의 길이 방향, 즉 안테나 장치(4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이 코어(110)의 에지부들(111, 112)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타측면은 코어(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코어(110)로부터 이격되는 거리 또는 제1 섹션의 폭은 L1으로 정의할 수 있다.
신호통과부재(150)의 제2 및 3 섹션(152, 153)은 제1 섹션이 코어(110)의 에지부들(111, 112)에 접하는 측면에서 코어(110)를 감쌀 수 있도록, 코어(110)의 길이 방향을 향해 형성된다. 제2 및 3 섹션(152, 153)은 코어(110)의 일단면을 감쌀 수 있도록 제1 섹션(151)의 길이방향 양 단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및 3 섹션이 지나치게 연장될 경우 코어(110)는 안테나 장치(10)와 일체로 만들어질 수 없게 되어 별도의 부품이 되어버리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L2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L1과 L2는 L1≥≥L2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신호통과부재(150)의 제2 및 3 섹션(152, 153)에 의해, 도 9에 점선으로 도시된 코일(160)이 코어(110)에 권회된 상태에서, 코어(110)의 각 모서리 부분에서 발생되는 무선 신호는 양호한 강도를 가지고 송수신 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진 신호통과부재를 가지는 안테나 장치(50)의 일면(12a)을 나타나낸 도면이다. 안테나 장치(50)의 몸체부(100)는 내측면(16)과 일면(12a)을 관통하는 절결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110)의 에지부(111, 112)로부터 발생하는 무선 신호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해, 절결부(13)는 휴대용 전자기기(1)의 후면(3)과 동일한 면을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몸체부(100)의 측면(12b)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면(12b)의 정반대 측면은 휴대용 전자기기(1)의 정면을 향하므로 여기에 절결부(13)가 연장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6)와 간섭 영향이 발생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6)가 축소될 수 있으므로, 안테나 장치(50)의 측면(12b)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절결부(13)가 연장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50)를 한 쌍으로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1)를 후면(3)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휴대용 전자기기(1)의 좌측단부(5a)와 우측단부(5b)로 각각 안테나 장치(50)가 삽입되어 있으며, 절결부(13)는 측면(12b)까지 연장된다. 안테나 장치(50)의 길이는 우측단부(5b)의 상부에 배치된 키(4)의 위치를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결부(13)에는 신호통과부재(150)가 형성될 수 있다. 절결부(13)와 신호통과부재(150)가 몸체부(100)의 측면(12b)까지 형성됨에 따라, 코어(110)의 에지부(111, 112)에서 발생하는 무선 신호를 더 효율적으로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6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안테나 장치(60)의 몸체부(200)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조 공정의 단순화를 위해 몸체부(200)는 금속 사출 성형이 가능하다. 몸체부(200)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경우, 금속체에 영향을 받는 무선 신호는 송수신이 방해 받을 수 있다. 이때,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내측면(16)과 몸체부의 일면(12a) 사이의 두께(t2)가 최대한 얇도록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도 5에서 t1으로 정의된 두께와 도 13에서 t2로 정의된 두께는 t1>t2의 관계를 갖는다.
몸체부(200)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절결부(13)가 형성될 수는 있으나, t2가 최소화 됨에 따라 몸체부(200)의 일면(12a)을 이루는 강도가 지나치게 약해져 외부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 안테나 장치가 손상을 받게 될 수 있으므로, 절결부(13)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코어를 가지는 안테나 장치(70)를 나타낸다. 안테나 장치(70)의 몸체부(300)는 복수의 몸체부(100)를 직렬 연결하거나, 복수의 코어(110)를 가지도록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하여 복수의 공간부(101)를 가지는 안테나 장치(7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공간부(101)들에 위치한 코어(110)들에게는 NFC 및 MST 통신을 위한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코일(160)들을 개별적으로 권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70)는 NFC 및 MST 통신 기능이 동시에 수행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코어를 가지는 안테나 장치(80)를 나타낸다. 안테나 장치(80)의 몸체부(301)는 복수의 몸체부(100)을 직각 연결하거나, 복수의 코어(110)를 가지도록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하여 복수의 공간부(101)를 가지는 안테나 장치(8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공간부(101)들에 위치한 코어(110)들에게는 NFC 및 MST 통신을 위한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코일(160)들을 개별적으로 권회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1)의 일 모서리 단면에 구비가 가능하도록 'ㄱ' 또는 'ㄴ'자 형태로 안테나 장치(80)가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 장치 80 또는 90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1)는 NFC 판독장치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동시에 POS 단말기(400)에 휴대용 전자기기(1)의 각 단부(5a, 5b, 5c, 5d)를 접근시켜 자기 보안 전송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는 NFC 통신이 가능하므로, 휴대용 전자기기(1)의 무선충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충전은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WPT) 기술이라고도 불리며, 현재 상용화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대부분 전자기 유도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 방식은 코일에 유기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전자기파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선 없이 무선으로 에너지를 부하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송신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인접된 수신 코일에 유도 전류를 흐르게 하여, 그 부하로 에너지를 공급한다. 즉, 전력 송신부인 1차 코일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면 이 자기장이 수신부의 2차 코일에 유도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전자기유도를 이용한 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1)는 상기 안테나 장치(10)를 통해 다양한 위치와 자세에서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 또한, NFC 통신을 위한 안테나 장치(10)를 휴대용 전자기기(1)의 측면에 배치함으로써, NFC 통신용 루프 안테나의 면적을 극대화하지 않고서도, NFC 통신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안테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NFC 통신용 안테나를 위한 큰 면적의 공간을 필요로하지 않는다. 또한, 종래처럼 배터리 내부 또는 커버에 안테나가 실장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없어 배터리 부의 두께를 축소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단말기의 크기 및 두께를 최소화하여 휴대성을 증대하고, 제조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설명된 실시예들을 조함하거나, 하기의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휴대용 전자기기 10: 안테나 장치
12a: 안테나 장치의 일면 13: 절결부
14: 사출물 17: 통신회로
100: 몸체부 101: 공간부
110: 코어 111, 112: 코어 에지부
113, 114: 연장부 120: 차폐부재
150: 신호통과부재 160: 코일
161, 162: 한 쌍의 전극부

Claims (20)

  1. 휴대용 전자기기의 에지를 따라 일정한 길이로 배치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측에 배치되는 코어에 권회되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 및
    상기 코일을 매립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사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양 단에 형성된 한 쌍의 전극부가 상기 사출물에 비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류가 휴대용 전자기기 내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폐하는 차폐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사출물에 매립되며 상기 코어에 권회된 코일이 가려지도록 상기 코어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시트(sheet)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차폐 부재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코어의 에지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신호통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통과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절결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통과부재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통과부재는 상기 몸체부와 인서트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은 상기 몸체부와 인서트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내측으로 개방된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코어는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6. 휴대용 전자기기의 에지의 일정 구간에 배치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측에 배치된 코어에 권회된 코일;
    상기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류가 휴대용 전자기기 내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폐하도록 상기 코어 일측에 배치되는 차폐 부재; 및
    상기 코일 및 차폐 부재를 매립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사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사출물에 비 매립되는 한 쌍의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에 인접한 부분에 안테나 신호의 이동 통로를 이루는 신호통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통과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절결부에 삽입되거나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0. 내측에 무선 통신 회로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에지에 배치되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신호로 송수신 가능하도록 일부분이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의 코어에 권회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류가 휴대용 전자기기 내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폐하도록 상기 코어 일측에 배치되는 차폐 부재와, 상기 코일 및 차폐 부재를 상기 몸체부 내에 매립하도록 상기 몸체부와 인서트 사출되는 사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0160090228A 2016-07-15 2016-07-15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563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228A KR102563317B1 (ko) 2016-07-15 2016-07-15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228A KR102563317B1 (ko) 2016-07-15 2016-07-15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210A KR20180008210A (ko) 2018-01-24
KR102563317B1 true KR102563317B1 (ko) 2023-08-04

Family

ID=6102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228A KR102563317B1 (ko) 2016-07-15 2016-07-15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31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0088A (ko) * 2013-08-23 2013-09-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80401B1 (ko) * 2014-04-18 2015-12-24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이를 갖는 전자 부품 및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210A (ko) 201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065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アンテナ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KR101865540B1 (ko) 무선 충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보조배터리
US10074888B2 (en) Accordion antenna structure
US10461398B2 (en) Accordion antenna structure with simplified construction
US9786989B2 (en) Antenna and portable electronic instrument for use in near field communication
CN107615587B (zh) 天线装置的制造方法以及天线装置
JPWO2011055703A1 (ja) 通信端末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485569B1 (ko) 금속 덮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nfc 안테나
TWI646733B (zh) Electronic machine
TWI611632B (zh) 電子機器及天線裝置
KR101291044B1 (ko) 휴대 단말용 안테나 모듈
CN103051752B (zh) 一种内置感应天线有源编解码的手机智能卡
CN107534219B (zh) 天线装置及电子设备
US20120037706A1 (en) Rfid proximity card holder with flux directing means
US9954283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0637143B2 (en) Dual frequency RFID reader
KR102563317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146020B1 (ko) 연자성 기판,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2381033B1 (ko) 스마트카드
JP7108902B2 (ja) Icカード及びicカードケース
EP3107041B1 (en) Portable data carrier
KR101751126B1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원 공급 장치
CN109994824A (zh) 一种铜皮外扩型绕线天线及其应用
KR20190037040A (ko) 카드 활성화 장치
CA2713283A1 (en) Rfid proximity card holder with flux direct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