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661A -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661A
KR20190012661A KR1020170095983A KR20170095983A KR20190012661A KR 20190012661 A KR20190012661 A KR 20190012661A KR 1020170095983 A KR1020170095983 A KR 1020170095983A KR 20170095983 A KR20170095983 A KR 20170095983A KR 20190012661 A KR20190012661 A KR 20190012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rame
main
side blocks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6019B1 (ko
Inventor
노현준
백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폴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폴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폴젠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95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01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1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by press fit or adhe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52Frames;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는 (1) 중심부에 제1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through tube) 및 (2) 상기 관통공의 양 측면들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수직으로 위치하는 제2 프레임의 방향으로 관통된 메인 관통홀(through hole), 상기 제2 프레임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재 및 상기 메인 관통홀과 상기 개구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관통홀의 연장선 상에 형성된 리브(rib)를 각각 포함하는 사이드블록들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사이드블록들 각각에 있는 해당 메인 관통홀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이음부재들을 포함하는 이음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는 외면으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되어 사출성형 과정에서 왜곡을 방지할 수 있고, 최소한의 재료를 사용하여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CONNECTING DEVICE FOR DOOR FRAME}
본 발명은 창호프레임 연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면으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하여 사출성형 과정에서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바깥쪽의 아웃 패널과 안쪽의 이너 패널을 합쳐서 창유리를 둘러싼 틀(창호 프레임)을 부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결합하고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연결 장치가 필수적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012(2012.11.05)호는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몸체의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공을 형성하여 상기 창호 프레임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몸체의 수직방향에는 상기 가이드 공과 어긋나게 다수개의 수직 체결공을 형성하면서 체결구를 결합하여 상기 창호 프레임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0547(2015.08.31)호는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딩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장치는, 레일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일측에는 상기 레일 프레임과 수직으로 결합하는 수직 프레임에 끼움결합되도록 끼움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레일 프레임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회동시 상기 본체부가 상기 레일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는 회동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 간의 나사결합을 최소화하여 수직/수평 프레임을 연결시킬 수 있으며, 수평 프레임 내에 수직프레임의 위치를 간편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012(2012.11.05)호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0547(2015.08.31)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면으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하여 사출성형 과정에서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도록 설계되어 제조시 최소한의 재료를 사용하여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는 (1) 중심부에 제1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through tube) 및 (2) 상기 관통공의 양 측면들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수직으로 위치하는 제2 프레임의 방향으로 관통된 메인 관통홀(through hole), 상기 제2 프레임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재 및 상기 메인 관통홀과 상기 개구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관통홀의 연장선 상에 형성된 리브(rib)를 각각 포함하는 사이드블록들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사이드블록들 각각에 있는 해당 메인 관통홀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이음부재들을 포함하는 이음부를 포함한다.
사이드블록들 각각의 내면은 상기 관통공의 외면을 일부 공유하고 상기 관통공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구부재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관통공의 외면과 배면의 돌출 말단면이 접촉된 상태로 상기 관통공의 외면과 상기 배면의 돌출면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블록들 각각은 상기 메인 관통홀의 상부에 형성된 보조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블록들의 하단에서 돌출되고 상기 관통공의 양측에 형성된 모헤어 삽입홈을 각각 포함하는 스토퍼들(stopper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헤어 삽입홈은 상기 제2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된 모헤어 연장 삽입홈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음부재들 각각은 상기 메인 관통홀과 해당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고 그 중심이 비어있는 사각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음부재들은 상기 모헤어 삽입홈과 특정 길이 비를 가지며 끝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질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는 외면으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하여 사출성형 과정에서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도록 설계되어 제조시 최소한의 재료를 사용하여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연결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의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의 이음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100)는 본체부(110) 및 이음부(12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제1 프레임(10)의 측면에 삽입될 수 있고, 이음부(120)는 제2 프레임(20)의 측면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은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어 창호 프레임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프레임들(10, 20) 각각의 내측은 비어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알루미늄 고합금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100)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olyethlylene), 플리스타이렌(polystyrene) 및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등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소재를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그 중심부에 제1 프레임(10)의 내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through tube)(112)를 포함할 수 있고, 관통공(112)의 양 측면들에 배치되어 제1 프레임(10)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프레임(10)과 수직으로 위치하는 제2 프레임(20)의 방향으로 관통된 메인 관통홀(through hole)(114a), 제2 프레임(20)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재(114d) 및 메인 관통홀(114a)과 개구부재(114d) 사이에 배치되어 메인 관통홀(114a)의 연장선 상에 형성된 리브(rib)(114c)를 각각 포함하는 사이드블록들(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각각에 대해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100)는 사이드블록들(114)의 하단에서 돌출된 스토퍼들(130)을 포함할 수 있고, 스토퍼들(130) 각각은 제1 프레임(10)의 외측 방향으로 관통공(112)의 양측에 형성되는 모헤어 삽입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헤어는 제1 및/또는 제2 프레임(10, 20)에 삽입되어 외부의 먼지, 해충 등을 차단할 수 있고, 방풍, 방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헤어 삽입홈(132)은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100)와 제2 프레임(20)이 결합되었을 때, 제2 프레임(20)의 하단에 형성된 모헤어 연장 삽입홈(22)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모헤어 삽입홈(132)은 창호프레임(200)과 연장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먼지, 해충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방풍, 방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의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그 중심부에 관통공(112)을 포함하고, 관통공(112)의 양측에 사이드블록들(114)을 포함한다. 사이드블록들(114) 각각은 제2 프레임(20)의 방향으로 관통되는 메인 관통홀(through hole)(114a), 제2 프레임(20)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재(114d) 및 메인 관통홀(114a)과 개구부재(114d) 사이에 배치된 리브(rib)(114c)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관통공(112)은 사이드블록들(114)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고, 관통공(112)은 단일의 형상으로, 메인 관통홀(114a), 리브(114c) 및 개구부재(114d)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12)은 제1 프레임(10)의 내측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제1 프레임(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고정막대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0)은 그 내부에 고정막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막대는 관통공(112)을 관통하여 외부 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관통공(112)의 외면과 배면(113)의 돌출 말단면이 접촉된 상태로 관통공(112)의 외면과 배면(113)의 돌출면 사이에 내부 공간(115)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10)는 관통공(112)의 외면과 배면(113)의 돌출면 사이에 내부 공간(115)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관통공(112)의 외면과 전면(116) 사이에 내부 공간(115)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내부 공간(115)은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100)의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플라스틱을 건조시킬 때 플라스틱의 수축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사이드블록들(114) 각각의 내면은 관통공(112)의 외면을 일부 공유하고, 관통공(112)의 외면으로부터 제2 프레임(2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개구부재(114d)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이드블록들(114) 각각은 굴곡된 단면으로 형성되어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100) 제조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사출 성형 시에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사이드블록들(114)은 그 내부에 리브(114c)를 포함하고, 리브(114c)는 메인 관통홀(114a)의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100)가 제1 및 제2 프레임들(10, 20)과 체결될 때 프레임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브(114c)는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100)가 제1 및 제2 프레임들(10, 20)과 체결될 때, 메인 관통홀(114a)과 개구부재(114d)를 통과한 나사가 제1 및 제2 프레임들(10, 20) 각각의 내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사이드블록들(114) 각각은 메인 관통홀(114a)의 상부에 형성된 보조 관통홀(114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관통홀(114a) 및 보조 관통홀(114b)은 제1 및 제2 프레임들(10, 20)을 연결하기 위한 나사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체부(110)는 제1 프레임(10)에 삽입되고, 이음부(120)는 제2 프레임(20)에 삽입될 수 있고, 메인 관통홀(114a) 및 보조 관통홀(114b)을 통해 나사가 삽입되어 제1 및 제2 프레임들(10, 20)이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100)와 체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의 이음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100)는 이음부(120)를 포함하고, 이음부(120)는 메인 관통홀(114a)과 스토퍼들(13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이음부재들(122a, 1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음부재들(122a, 122b) 각각은 그 중심이 비어있는 사각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고, 메인 관통홀(114a)과 제1 및 제2 이음부재들(122a, 122b) 각각의 위치에 해당하는 스토퍼들(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이음부재들(122a, 122b)은 모헤어 삽입홈(132)과 특정 길이 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이음부재들(122a, 122b)의 길이와 모헤어 삽입홈(132)의 길이는 1 : 1 ~ 1: 1.2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음부재들(122a, 122b)의 길이가 모헤어 삽입홈(132)의 길이와 같거나 보다 작을 경우에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100)와 제2 프레임(20)이 결합될 때 보다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이음부재들(122a, 122b)은 끝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이음부재들(122a, 122b)은 끝단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 가늘어지기 때문에, 제1 및 제2 이음부재들(122a, 122b)이 제2 프레임(20)의 내부로 삽입될 때 보다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들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a는 제1 프레임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b는 제2 프레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100)는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 각각과 연결되어 창호프레임(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들(10, 20)은 내부가 비어 있는 막대 형상의 프레임이고, 제1 및 제2 프레임(10, 20) 각각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여 결합될 수 있다.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100)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제조된 프레임 연결 장치이고,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100)의 본체부(110)는 제1 프레임(10)의 측면에 삽입될 수 있고,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100)의 이음부(120)는 제2 프레임(20)의 측면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프레임(20) 내부에 제1 및 제2 이음부재 삽입홈들(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20)은 제1 및 제2 이음부재 삽입홈들(24)을 통해 내부에 특정 길이만큼 제1 및 제2 이음부재들(122a, 122b)가 삽입되어 창호프레임(200)의 내외부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100)의 본체부(110)는 관통공(112)의 외면과 배면(113)의 돌출면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115) 및 관통공(112)의 외면과 전면(116)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115)을 포함하여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100)의 사출 성형 과정시 냉각할 때 플라스틱의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100)는 내부공간(115)을 포함하고 있어 제조 시에 기존의 제품보다 최소한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100)의 사이드블록들(114)은 메인 관통홀(114a)과 보조 관통홀(114b)을 포함하여 제1 및 제2 프레임들(10, 20)과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100)를 체결시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프레임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 200: 창호프레임
110: 본체부 112: 관통공
113: 배면 116: 전면
114: 사이드블록들
114a: 메인 관통홀 114b: 보조 관통홀
114c: 리브 114d: 개구부재
115: 내부공간
120: 이음부
122a, 122b: 제1 및 제2 이음부재들
130: 스토퍼들 132: 모헤어 삽입홈

Claims (8)

  1. (1) 중심부에 제1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through tube) 및 (2) 상기 관통공의 양 측면들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수직으로 위치하는 제2 프레임의 방향으로 관통된 메인 관통홀(through hole), 상기 제2 프레임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재 및 상기 메인 관통홀과 상기 개구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관통홀의 연장선 상에 형성된 리브(rib)를 각각 포함하는 사이드블록들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사이드블록들 각각에 있는 해당 메인 관통홀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이음부재들을 포함하는 이음부를 포함하는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블록들 각각의 내면은
    상기 관통공의 외면을 일부 공유하고 상기 관통공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구부재의 일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관통공의 외면과 배면의 돌출 말단면이 접촉된 상태로 상기 관통공의 외면과 상기 배면의 돌출면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블록들 각각은
    상기 메인 관통홀의 상부에 형성된 보조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블록들의 하단에서 돌출되고 상기 관통공의 양측에 형성된 모헤어 삽입홈을 각각 포함하는 스토퍼들(stoppers)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헤어 삽입홈은
    상기 제2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된 모헤어 연장 삽입홈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음부재들 각각은
    상기 메인 관통홀과 해당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고 그 중심이 비어있는 사각기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음부재들은
    상기 모헤어 삽입홈과 특정 길이 비를 가지며 끝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
KR1020170095983A 2017-07-28 2017-07-28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 KR102066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983A KR102066019B1 (ko) 2017-07-28 2017-07-28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983A KR102066019B1 (ko) 2017-07-28 2017-07-28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661A true KR20190012661A (ko) 2019-02-11
KR102066019B1 KR102066019B1 (ko) 2020-01-14

Family

ID=6536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983A KR102066019B1 (ko) 2017-07-28 2017-07-28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0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577Y1 (ko) * 1992-03-31 1994-09-26 박원배 조립식 창문틀의 모서리 결합연결부재
KR0120012B1 (ko) 1992-10-12 1997-10-27 정장호 송신버스 점유 예약방법
KR101550547B1 (ko) 2014-07-23 2015-09-07 김기헌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딩도어 프레임
KR200480192Y1 (ko) * 2014-08-20 2016-04-25 주식회사 지에스윈도어 프레임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577Y1 (ko) * 1992-03-31 1994-09-26 박원배 조립식 창문틀의 모서리 결합연결부재
KR0120012B1 (ko) 1992-10-12 1997-10-27 정장호 송신버스 점유 예약방법
KR101550547B1 (ko) 2014-07-23 2015-09-07 김기헌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딩도어 프레임
KR200480192Y1 (ko) * 2014-08-20 2016-04-25 주식회사 지에스윈도어 프레임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019B1 (ko)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9523B2 (en) Frame assembly having stile and rail tabs for coupling stile and rail members together
US6588334B2 (en) Screen printing frame assembly having hollow connectors with drain holes
KR100770056B1 (ko) 보강재가 삽입된 창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
KR20190012661A (ko)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
US9776479B2 (en) Vehicle door having a glass channel with separate bracket
KR101903120B1 (ko)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
US20180223589A1 (en) Insulating door and frame
US20230151688A1 (en) Screen channel inserts for fenestration units
KR20150083194A (ko)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KR200387196Y1 (ko) 조립식창호
KR102311436B1 (ko) 방화문용 문틀프레임
KR101987818B1 (ko) 커튼월용 프로젝트창 힌지구조
KR102181176B1 (ko)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폭이 다른 슬라이딩 슬림도어의 결합구조
KR102597669B1 (ko) 중문용 프레임 조립구
KR101432883B1 (ko) 덧붙이용 창틀프레임
KR101650001B1 (ko) 커튼월
KR20220009773A (ko) 폴딩도어의 문짝구조
KR200269588Y1 (ko) 창호의 수직 및 수평 통바 연결구조
KR200279187Y1 (ko) 새시 프레임 연결구조
KR102528786B1 (ko) 창문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1249896B1 (ko) 창호용 단열 프레임
KR101164416B1 (ko) 섀시 및 이를 이용한 문틀
KR20170052754A (ko) 창짝 흔들림방지용 코너브라켓
KR200378209Y1 (ko) 합성수지재 양면창틀
FI127943B (en) Fastening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a blind on a transparent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