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991B1 - 도어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도어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991B1
KR102608991B1 KR1020200163298A KR20200163298A KR102608991B1 KR 102608991 B1 KR102608991 B1 KR 102608991B1 KR 1020200163298 A KR1020200163298 A KR 1020200163298A KR 20200163298 A KR20200163298 A KR 20200163298A KR 102608991 B1 KR102608991 B1 KR 102608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ertical
horizontal
coupling pie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4607A (ko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1020200163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991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의 문짝 상,하부에 가로로 위치하는 가로프레임; 상기 가로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일면이 접하여 위치하는 세로프레임; 상기 가로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가로프레임과 고정결합되는 가로 결합편; 상기 세로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세로 결합편; 및 상기 가로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가로 결합편과 상기 세로 결합편을 고정결합시키는 체결구;로 이루어지는 도어결합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결합구조{Door Combin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도어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인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연결하는 도어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어는 여닫이 도어, 미닫이 도어, 폴딩 도어로 대별되는데, 이러한 도어들은 조립을 할 때, 압출하여 형성한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다양한 방법으로 사각형의 형태로 조립하여 도어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도어결합구조의 일 예로서,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나사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구조가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세로프레임의 일부분에 나사와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을 뚫어 가로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게 되어 복잡한 과정 없이 간단하게 도어를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결합구조는 세로프레임의 측면 외부에 구멍을 뚫게 되므로, 세로프레임에 형성한 구멍을 은폐하기 위한 별도의 마감용 마개(미도시)를 구멍에 끼우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마감용 마개는 완성된 도어의 외관을 저하시키게 되고, 사용 중 위의 마감용 마개가 분실되었을 때에는 세로프레임에 형성된 구멍이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해 세로프레임의 일측에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완성된 도어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로프레임의 일측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도어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결합구조는, 도어의 문짝 상,하부에 가로로 위치하는 가로프레임; 상기 가로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일면이 접하여 위치하는 세로프레임; 상기 가로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가로프레임과 고정결합되는 가로 결합편; 상기 세로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세로 결합편; 및 상기 가로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가로 결합편과 상기 세로 결합편을 고정결합시키는 체결구;로 이루어지는 도어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로프레임은 전면판; 상기 전면판과 이격져서 상기 전면판의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판;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을 연결하는 제1 연결판; 및 상기 제1 연결판과 이격져서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을 연결하는 제2연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연결판은 상기 체결구가 삽입될 수 있는 절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로프레임은, 전면판; 상기 전면판과 이격져서 상기 전면판의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판;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단부를 연결하는 측면판; 및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에서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구가 상기 측면판의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도록 하는 한 쌍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로프레임은, 전면판; 상기 전면판과 이격져서 상기 후면판의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판;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단부를 연결하는 측면판; 및 상기 측면판과 이격져서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을 연결하는 결합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 결합편과 상기 결합판과 상기 세로 결합편은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체결구에 의해서 고정 결합되어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이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어결합구조에 따르면,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해 세로프레임의 일측에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완성된 도어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세로프레임의 일측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결합하고자 할 때,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손쉽게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내부에 유리부재를 끼울 때, 상측과 하측의 가로프레임 사이에 유리부재를 먼저 끼우고 가로프레임의 양측에 세로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으므로 도어를 제작하는 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결합구조가 사용된 도어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결합구조가 사용된 도어의 요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본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결합구조에서 가로프레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결합구조에서 주요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에서 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결합구조에서 세로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확대 사시도.
본 발명에 의한 도어결합구조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어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어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0), 세로프레임(20), 가로 결합편(30), 세로 결합편(40), 체결구(50)로 이루어진다.
가로프레임(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의 상,하부에 가로로 위치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11), 후면판(12), 제1 연결판(13), 제2연결판(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면판(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을 향하여 지면과 수직되도록 위치하는 판체이고, 후면판(12)은 전면판(11)과 이격져서 전면판(11)의 후면에 형성되는 판체이다.
제1 연결판(13)은 전면판(11)과 후면판(12)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지도록 전면판(11)과 후면판(12)을 연결하는 판체이다.
제2연결판(14)은 제1 연결판(13)과 이격져서 전면판(11)과 후면판(12)을 연결하는 판체로서, 제2연결판(14)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체결구(50)와 공구(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는 절개부(15)가 형성된다.
절개부(15)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일정길이를 가지는 체결구(50)나 체결구(50)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미도시)가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이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 처럼,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외 체결구(50)나 공구가 쉽게 삽입될 수만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제2연결판(14)의 일부분에 절개부(15)를 형성하게 되면, 도어에 유리부재를 끼우게 될 때, 작업 공정이 종래와 달리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하측 가로프레임(10)과 상측 가로프레임(10) 사이에 유리부재(미도시)를 먼저 끼우고, 하측 가로프레임(10)과 상측 가로프레임(10)의 측면에 세로프레임(20)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후술하는 가로결합편(30)과 세로결합편(40)과 체결구(50)의 결합방법에 의하여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을 결합시키게 되면, 도어의 제작공정이 종래의 방법에 비해서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가 있게 된다.
세로프레임(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0)의 일측 단부에 일면이 접하여 가로프레임(10)과 수직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전면판(21), 후면판(22), 측면판(23), 한 쌍의 돌출부(24)를 구비한다.
전면판(2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을 향하여 지면과 수직되도록 위치하는 판체이고, 후면판(22)은 전면판(21)과 이격져서 전면판(21)의 후면에 형성되는 판체이며, 측면판(23)은 전면판(21)과 후면판(22)의 단부를 연결하는 판체이다.
한 쌍의 돌출부(24)는 전면판(21)과 후면판(22)에서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세로 결합편(40)이 측면판(23)의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도록 한다.
가로 결합편(30)은 가로프레임(10)의 내부로 삽입되어 가로프레임(10)과 고정결합되는 것으로서, 도 2, 도 3,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면(31)과 세로면(32)을 구비한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은 설명의 편의상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을 제외하고 가로결합편(30)과 세로 결합편(40)과 체결구(50)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 도시한 것이다.
가로면(31)은 가로프레임(10)의 제1 연결판(13)에 리벳(35)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서 고정결합되며, 세로면(32)은 세로프레임(20)의 내부에 끼워지는 세로 결합편(40)과 접촉되며, 일 부분에는 후술하는 체결구(50)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세로 결합편(40)은 세로프레임(20)의 측면판(23)과 한쌍의 돌출부(2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25)으로 삽입되며, 중앙에는 체결구(50)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세로 결합편(40)이 세로프레임(20)의 내부의 공간(25)으로 삽입되었을 때에는 세로 결합편(40)의 일면은 가로 결합편(30)의 세로면(32)과 접촉되게 되고, 양측 가장자리 부분은 세로프레임(20)의 내부에 형성한 한 쌍의 돌출부(24)와 접촉되게 된다.
체결구(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0)의 내부에 입되어 가로 결합편(30)과 세로 결합편(40)을 고정결합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서, 가로프레임(10)의 제2연결판(14)에 형성된 절개부(15)를 통해 삽입되고, 가로 결합편(30)의 세로면(32)을 관통하여 세로프레임(20)의 내부에 끼워지는 세로 결합편(40)에 체결되며, 헤드부(51)와 나사부(52)로 이루어진다.
헤드부(5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5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가로 결합편(30)에 걸리는 부분으로서, 선단부 내측에는 육각형 형상의 공구를 끼우기 위한 육각형 형상의 홈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로 결합편(30)의 세로면(32)에 형성한 관통구멍(33)과 세로 결합편(40)의 중앙에 형성한 체결구멍(41)을 정열시킨 상태에서 체결구(50)를 가로프레임(10)의 제2 연결판(14)에 형성한 절개부(15)를 통하여 삽입시킨 다음에 절개부(15)를 통하여 삽입된 공구를 체결구(50)의 헤드부(51)에 형성한 홈부(53)에 끼워서 헤드부(51)를 회전시키게 되면, 가로 결합편(30)과 세로 결합편(40)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면서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이 일체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나사부(5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51)의 일면에 돌출형성되어 세로프레임(20)에 끼워지는 세로 결합편(40)에 조여지는 부분으로서, 나사부(52)의 나사선이 세로프레임(20)에 끼워지는 세로 결합편(40)에 형성한 체결구멍(41)을 통하여 체결되어 조여지면, 위에서 설명한 헤드부(51)의 작용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이 일체로 체결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세로프레임(20)에 한 쌍의 돌출부(24)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세로프레임(20)이 한 쌍의 돌출부(24) 대신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판(23)과 이격져서 전면판(11)과 후면판(12)을 연결하는 결합판(60)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세로프레임(20)이 한 쌍의 돌출부(24) 대신에 결합판(60)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가로 결합편(30)의 세로면(32)과 세로 결합편(40) 사이에 결합판(60)이 게재되게 되는 것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결합판(60)은 가로 결합편(30)의 세로면(32)에 형성한 관통구멍(33)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구멍(33)이 형성되게 되고, 결합판(60)의 관통구멍(61)과 세로 결합판(40)의 체결구멍(41)을 정열시킨 상태에서 절개부(15)를 통하여 삽입된 공구를 체결구(50)의 헤드부(51)에 형성한 홈부(53)에 끼워서 헤드부(51)를 회전시키게 되면, 결합판(60)을 사이에 두고 가로 결합편(30)의 세로면(32)과 세로 결합판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이 일체로 체결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가로프레임 11 : 전면판
12 : 후면판 13 : 제1 연결판
14 : 제2연결판 15 : 절개부
20 : 세로프레임 21 : 전면판
22 : 후면판 23 : 측면판
24 : 돌출부 30 : 가로 결합편
40 : 세로 결합편 50 : 체결구
60 : 결합판

Claims (4)

  1. 삭제
  2. 도어의 문짝 상,하부에 가로로 위치하는 가로프레임(10);
    상기 가로프레임(10)의 일측 단부에 일면이 접하여 위치하는 세로프레임(20);
    상기 가로프레임(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가로프레임(10)과 고정결합되는 가로 결합편(30);
    상기 세로프레임(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세로 결합편(40); 및
    상기 가로프레임(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가로 결합편(30)과 상기 세로 결합편(40)을 고정결합시키는 체결구(5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로프레임(10)은
    전면판(11);
    상기 전면판(11)과 이격져서 상기 전면판(11)의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판(12);
    상기 전면판(11)과 후면판(12)을 연결하는 제1 연결판(13); 및
    상기 제1 연결판(13)과 이격져서 상기 전면판(11)과 후면판(12)을 연결하는 제2연결판(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연결판(14)은 상기 체결구(50)가 삽입될 수 있는 절개부(15)가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15)는 상기 체결구(50)를 삽입시킨 다음에, 상기 절개부(15)를 통하여 삽입된 공구를 상기 체결구(50)의 헤드부(51)에 끼워서 상기 헤드부(51)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가로 결합편(30)과 상기 세로 결합편(40)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면서,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이 일체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결합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20)은,
    전면판(21);
    상기 전면판(21)과 이격져서 상기 전면판(21)의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판(22);
    상기 전면판(21)과 후면판(22)의 단부를 연결하는 측면판(23); 및
    상기 전면판(21)과 후면판(22)에서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구(50)가 상기 측면판(23)의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도록 하는 한 쌍의 돌출부(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결합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20)은,
    전면판(21);
    상기 전면판(11)과 이격져서 상기 후면판(12)의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판(22);
    상기 전면판(21)과 후면판(22)의 단부를 연결하는 측면판(23); 및
    상기 측면판(23)과 이격져서 상기 전면판(21)과 후면판(22)을 연결하는 결합판(6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 결합편(30)과 상기 결합판(60)과 상기 세로 결합편(40)은 상기 절개부(15)를 통하여 삽입되는 체결구(50)에 의해서 고정 결합되어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상기 세로프레임(20)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결합구조.
KR1020200163298A 2020-11-27 2020-11-27 도어결합구조 KR102608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298A KR102608991B1 (ko) 2020-11-27 2020-11-27 도어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298A KR102608991B1 (ko) 2020-11-27 2020-11-27 도어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607A KR20220074607A (ko) 2022-06-03
KR102608991B1 true KR102608991B1 (ko) 2023-11-30

Family

ID=8198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298A KR102608991B1 (ko) 2020-11-27 2020-11-27 도어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99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308U (ko) * 2015-03-18 2016-09-28 이채훈 미닫이문용 프레임
KR102250790B1 (ko) * 2020-05-18 2021-05-11 정영호 중공틀체 문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607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51076A (en) Frame structure
KR102608991B1 (ko) 도어결합구조
KR200372375Y1 (ko) 곡면 가새 모서리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
KR100989505B1 (ko) 도어 프레임
KR101933133B1 (ko) 조립식 프레임 구조
KR200396780Y1 (ko) 샤시류 제품의 조립구조
KR200355510Y1 (ko) 조립식 창호의 결합 구조
JP2017155408A (ja) 窓ユニットの連結構造
KR100606331B1 (ko) 가구용 프레임 연결구
JP3133022B2 (ja) 開口枠の組み立て方法
KR102583642B1 (ko) 도어 손잡이의 결합구조
KR200377437Y1 (ko) 문짝용 프레임 구조체
KR200384122Y1 (ko) 유리문 장식샤시 연결구조
JP2002138768A (ja) 額縁用コーナー継ぎ手
CN220869172U (zh) 一种框转换中梃拼接结构及门窗
KR20190042158A (ko) 창문 프레임 연결구
JPS5921262Y2 (ja) 面縁の直角接続装置
KR20230159071A (ko) 문짝의 프레임결합 마감구조
JP2560455Y2 (ja) 枠体の連結構造
JPS5930156Y2 (ja) 枠体の連結装置
JP3126105U (ja) 壁開口部の開口枠
JP3211058B2 (ja) 合成樹脂製障子の補助部品取付構造
KR930012077B1 (ko) 알루미늄 창호의 조립구조
KR20240008188A (ko) 틀체에 판부재를 끼우는 구조
JP3020047B2 (ja) 枠部材の接合構造体及びそれを備えた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