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176B1 -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폭이 다른 슬라이딩 슬림도어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폭이 다른 슬라이딩 슬림도어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176B1
KR102181176B1 KR1020200053675A KR20200053675A KR102181176B1 KR 102181176 B1 KR102181176 B1 KR 102181176B1 KR 1020200053675 A KR1020200053675 A KR 1020200053675A KR 20200053675 A KR20200053675 A KR 20200053675A KR 102181176 B1 KR102181176 B1 KR 102181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rizontal frame
vertical frame
fra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현
Original Assignee
이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현 filed Critical 이기현
Priority to KR102020005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폭이 상호 다른 슬림도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면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관통홀이 형성되며, 양단 끝단부에 각각 반원형 체결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단 끝단부에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캡은 상기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의 외측면과 상호 동일한 평면을 이루며, 상기 반원형 체결관통홀에 대응되어 고정캡 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관통홀은 체결부가 관통되어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호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반원형 체결관통홀은 수평프레임의 하단에 장착된 이송롤러를 장착하기 위하여 고정캡의 고정캡 홀에 스크류가 통과하도록 형성되도록; 이루어 진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폭이 다른 슬라이딩 슬림도어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상호 폭이 다른 슬림도어에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며, 유리창의 면적이 넓은 슬림도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폭이 다른 슬라이딩 슬림도어의 결합구조{Sliding slim door with different width of veritical abd horizontal frame}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도어를 제작하기 위한 도어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창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하기 위하여 수직프레임의 폭이 수평프레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슬림도어를 제작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폭이 다른 경우에 상호 결합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폭이 다른 슬라이딩 슬림도어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크게 사람의 출입을 위한 것과 바람 등의 통풍을 위한 것으로 나눌 수 있는데, 미닫이 혹은 여닫이 방식을 통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근래에는 다세대, 오피스텔, 아파트 등과 같이 대단위 건축물이 많아 도어의 수요 또한 급격히 늘어나게 되었으며, 급격히 늘어난 수요에 맞추기 위해 공장에서 도어를 제조하여 완성된 상태로 공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에서 조립형 도어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수직으로 맞댄 후 체결나사나 체결볼트 등을 이용하여 상호 구성을 결합하거나, 별도의 결합수단을 통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결합하여 조립 제조하고 있다.
조립식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결합할 때에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직각으로 만나는 결합 부분을 일정한 각도(예로, 45도)로 경사지게 가공한 후에, 별도의 연결부재를 끼워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연결부재와 체결나사로 체결함으로써, 조립식 프레임 구조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유리창의 면적이 넓은 슬림도어인 경우에는, 수직프레임의 폭이 작게 형성되므로, 이에 따라서 수평프레임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밖에 없게 되며, 상호 접촉되는 각도가 45도로 동일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조립이 매우 용이한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245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313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편하게, 상호 폭이 다른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상호 결합하는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폭이 상호 다른 슬림도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면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관통홀이 형성되며, 양단 끝단부에 각각 체결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단 끝단부에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캡은 상기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의 외측면과 상호 동일한 평면을 이루며, 상기 반원형 체결관통홀에 대응되어 고정캡 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관통홀은 체결부가 관통되어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호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반원형 체결관통홀은 수평프레임의 하단에 장착된 이송롤러를 장착하기 위하여 고정캡의 고정캡 홀에 스크류가 통과하도록 형성되도록; 이루어 진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폭이 다른 슬라이딩 슬림도어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상호 폭이 다른 슬림도어에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며, 유리창의 면적이 넓은 슬림도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에서 고정캡이 결합되기 전상태를 나타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에서 고정캡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난 개략도,
도 3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난 일실시예의 개략도,
도 4는 도 3의 다른 각도에서 나타난 일실시예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프레임에 고정캡이 결합된 외측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프레임에 고정캡이 분리된 외측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캡을 나타난 개략도,
도 8은 본발명의 수평프레임의 하단에서 이송롤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난 개략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수직프레임(20)과 수평프레임(10)의 폭이 상호 다른 슬림도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프레임(20)의 외측면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관통홀(21a)이 형성되며, 양단 끝단부에 각각 체결관통홀(21b)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20)의 양단 끝단부에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캡(30)은 상기 수평프레임(20) 및 수직프레임(20)의 외측면과 상호 동일한 평면을 이루며, 상기 관통홀(21b)에 대응되어 고정캡 홀(3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관통홀(21a)은 체결부가 관통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상호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관통홀(21b)은 수평프레임(20)의 하단에 장착된 이송롤러(70)의 조작을 위하여 고정캡 홀(31)에 스크류가 통과하도록 형성되도록;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폭이 다른 슬라이딩 슬림도어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10) 및 수직프레임(20)의 양 측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유리창이 장착되는 유리장착턱부(12,22)가 부가되며, 상기 고정캡(30)에도 상기 유리장착턱부(12,22)에 대응되어 유리장착턱부(32)가 형성되도록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1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체결부(15)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20)의 체결관통홀(21a)을 통과한 스크류가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수직프레임(20)과 수평프레임(10)을 상호 결합되도록 이루어 진다.
이하,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슬림도어의 결합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슬림도어는 좌우측의 수직프레임의 폭이 상하측의 수평프레임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며,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20)과 수평프레임(10)의 폭이 상호 다른 슬림도어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직프레임(20)의 외측면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관통홀(21a)이 형성되며, 양단 끝단부에 각각 체결관통홀(21b)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관통홀(21a)의 기능은 수직프레임(20)과 수평프레임(10)이 상호 접촉되어 결합할 때에 필요한 체결수단이 통과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20)의 양단 끝단부에는 고정캡(30)이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상기 고정캡(30)이 장착되면, 상기 수평프레임(20) 및 수직프레임(20)의 외측면과 상호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슬림도어를 형성하기 위하여, 수직프레임(20)과 수평프레임(10)과 사각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사각형의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고정캡(30)이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캡(30)이 삽입 결합되어도, 사각형의 프레임의 4개의 외측면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고정캡(30)을 크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캡(30)은 상기 수직프레임(20)의 양단 끝단부에 형성된 관통홀(21b)에 대응되는 고정캡 홀(31)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어를 형성하는 수평프레임(10)의 하단에는 이송롤러(70)가 장착되며, 도어가 좌우로 슬라이딩되며 개폐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관통홀(21b)과 고정캡 홀(31)은 상호 대응되어 결합되며, 상기 각각의 홀(21b, 31)을 통과하여 스크류가 관통되어, 필요한 조작이나, 체결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관통홀(21b)의 일실시예로서, 반원의 형상이다.
또한,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20)이 상호 결합되어, 4각형 테두리의 빈 공간에는 유리창이 결합되는 유리도어창이 만들어 지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상기 수평프레임(10) 및 수직프레임(20)의 양 측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유리창이 장착되는 유리장착턱부(12,22)가 부가되며, 상기 고정캡(30)에도 상기 유리장착턱부(12,22)에 대응되어 유리장착턱부(32)가 형성되도록 이루어 진다.
상기 유리장착턱부(12,22,32)는 절곡된 턱부가 형성되며, 이러한 턱부에 유리창이 결합되는 것이다.
유리창은 필요에 의하여 내측 또는/및 외측에 선택적으로 삽입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1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체결부(15)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20)의 체결관통홀(21a)을 통과한 스크류가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수직프레임(20)과 수평프레임(10)을 상호 결합되도록 이루어 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수평프레임
12,22,32:유리장착턱부
15: 체결부
20:수직프레임
21a: 체결관통홀
21b: 체결관통홀
30: 고정캡
31: 고정캡 홀
70: 이송롤러

Claims (3)

  1. 수직프레임(20)과 수평프레임(10)의 폭이 상호 다른 슬림도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프레임(20)의 외측면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관통홀(21a)이 형성되며, 양단 끝단부에 각각 체결관통홀(21b)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20)의 양단 끝단부에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캡(30)은 상기 수평프레임(20) 및 수직프레임(20)의 외측면과 상호 동일한 평면을 이루며, 상기 반원형 체결관통홀(21b)에 대응되어 고정캡 홀(3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관통홀(21a)은 체결부가 관통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상호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10) 및 수직프레임(20)의 양 측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유리창이 장착되는 유리장착턱부(12,22)가 부가되며, 상기 고정캡(30)에도 상기 유리장착턱부(12,22)에 대응되어 유리장착턱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1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체결부(15)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20)의 체결관통홀(21a)을 통과한 스크류가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수직프레임(20)과 수평프레임(10)을 상호 결합되도록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폭이 다른 슬라이딩 슬림도어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관통홀(21b)은 수평프레임(20)의 하단에 장착된 이송롤러(70)의 조작을 위하여 고정캡 홀(31)에 스크류가 통과하도록 형성되도록;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폭이 다른 슬라이딩 슬림도어의 결합구조.






  3. 삭제
KR1020200053675A 2020-05-06 2020-05-06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폭이 다른 슬라이딩 슬림도어의 결합구조 KR102181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675A KR102181176B1 (ko) 2020-05-06 2020-05-06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폭이 다른 슬라이딩 슬림도어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675A KR102181176B1 (ko) 2020-05-06 2020-05-06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폭이 다른 슬라이딩 슬림도어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176B1 true KR102181176B1 (ko) 2020-11-20

Family

ID=73697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675A KR102181176B1 (ko) 2020-05-06 2020-05-06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폭이 다른 슬라이딩 슬림도어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1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692U (ko) * 2014-08-20 2016-03-03 김기헌 프레임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프레임
KR101672457B1 (ko) 2016-04-18 2016-11-03 주식회사 태림중문 도어 결합 구조
KR101933133B1 (ko) 2016-11-22 2019-03-15 주식회사 더존시스템 조립식 프레임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692U (ko) * 2014-08-20 2016-03-03 김기헌 프레임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프레임
KR101672457B1 (ko) 2016-04-18 2016-11-03 주식회사 태림중문 도어 결합 구조
KR101933133B1 (ko) 2016-11-22 2019-03-15 주식회사 더존시스템 조립식 프레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6234B1 (ko)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 방식의 도어연동장치
KR101078413B1 (ko) 고기밀성 미서기 창호문
KR102181176B1 (ko)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폭이 다른 슬라이딩 슬림도어의 결합구조
KR101303277B1 (ko) 미닫이 창호의 도어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130136664A (ko) 폴딩도어용 롤러
US20220162900A1 (en) Connective installation structure for modularized windows and doors
KR102206233B1 (ko) 일측면 유리창 결합식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폭이 다른 슬라이딩 슬림도어의 결합구조
KR102402693B1 (ko) 창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KR20180128658A (ko) 확장된 유리창을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
TWI741371B (zh) 鉸鏈裝置及門窗
KR200486944Y1 (ko) 현장시공이 용이하도록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
KR100648888B1 (ko) 건축물 창문틀 이용시설
KR100963437B1 (ko) 고하중 창호용 롤러
KR101028151B1 (ko) 창호의 힌지 결합구조
BR202019023366Y1 (pt) Aperfeiçoamento em conjunto deslizante de painéis de vidro laminado de abertura e fechamento de vãos
JP6775618B2 (ja) サッシ
US9520010B1 (en) Decorative glass panel for garage door
CN211058607U (zh) 一种门窗框及其上滑结构
KR102453025B1 (ko) 슬라이드 벨트연동부 조립형 및 피봇홀더 위치프리부착형 도어연동장치
KR102291692B1 (ko) 조인트 방풍 구조를 갖는 창호
KR102174414B1 (ko) 커버를 구비한 창틀완충부재
CN215804062U (zh) 一种用于淋浴房的型材组件及具有该型材组件的淋浴房
KR0139868Y1 (ko) 방충망 창짝구조
TWM543920U (zh) 建築物的大門
CN216076766U (zh) 一种推拉门滑轮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