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078A -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078A
KR20190012078A KR1020170094989A KR20170094989A KR20190012078A KR 20190012078 A KR20190012078 A KR 20190012078A KR 1020170094989 A KR1020170094989 A KR 1020170094989A KR 20170094989 A KR20170094989 A KR 20170094989A KR 20190012078 A KR20190012078 A KR 20190012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tion
unit
lighting
group
us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0601B1 (ko
Inventor
전대훈
Original Assignee
전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대훈 filed Critical 전대훈
Priority to KR1020170094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6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4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H05B37/03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고가조명을 그룹으로 설정하고 제어함으로써 승/하강 시킬 수 있고, 개별 제어함으로써 각 조명의 사용시간과 교체횟수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A NUMEROUS LIGHTING}
본 발명은 복수의 고가조명을 그룹으로 설정하고 제어함으로써 승/하강 시킬 수 있고, 개별 제어함으로써 각 조명의 사용시간과 교체횟수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텔로비, 체육관, 공장, 교회, 공연장, 예식장, 연회장, 주유소, 레스토랑, 커피숍, 백화점 등의 천장과 같이 비교적 높은 곳에는 고가조명등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가조명등은 최초 사용 시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전구의 제한된 수명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교환하거나 또는 전구의 고장에 의해 새 제품으로 교환하거나, 전구의 사용 수명을 위해 주기적으로 청소작업을 해주어야만 한다.
따라서 높은 천장에 설치 사용되는 고가조명등을 교환 및 청소작업하기 위해서는 그 설치 특성상 별도의 고소 작업장비 즉, 고소 작업대, 고소 작업용 크레인이나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고소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고소 작업은 지상에서의 작업 보다 많은 불편함과 숙련도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특히 고소 작업도중 작업자의 감전 및 추락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었으며, 고소 작업장비 사용에 다른 경비가 증가되어 경제적으로 부담이 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위의 단점을 감안하여 고가조명등을 지상에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전구를 교환 또는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기술은 높은 곳에 위치한 조명등을 지상으로 내리는 승/하강 조작을 통해 가능한데,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이 승/하강 조작만으로는 이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특화시켜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조명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조명등을 승/하강 조작하는데 있어서,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적으로 그룹화시켜 제어할 수 있다면, 사용자 편의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조명등의 그룹화된 제어에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0925호에는 LED 조명기구의 가시광 무선통신을 이용한 그룹제어 디밍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리모컨 설정형 센서 등을 별도의 매칭이 필요없이 1개의 포트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내장된 마이콤에 프로그램으로 구성한 디지털 디밍 회로를 채택하며, LED 조명기구의 빛과 함께 송출된 가시광 신호를 받아 무선으로 다수의 안정기를 중앙제어장치가 없이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그룹제어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효과는 물론 저렴한 투자비용으로 고신뢰성 및 고정밀 제어가 가능하며, 전반적으로 그룹제어 시스템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LED 조명기구의 가시광 무선통신을 이용한 그룹제어 디밍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과 같이, 조명등을 그룹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은 디밍에 관련된 기술뿐이었으며, 조명등의 승/하강 조작을 그룹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은 검색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그룹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사용자 편의에 목적이 있는 만큼, 조명등에 관련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이 다양한 반면, 상기 기술은 이러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0925호(2013.03.28.)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고가조명을 그룹으로 설정하고 제어함으로써 승/하강 시킬 수 있고, 개별 제어함으로써 각 조명의 사용시간과 교체횟수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은,
복수 개의 조명(11)이 선택적으로 그룹화된 조명그룹(10);
상기 조명그룹(10)에 포함된 조명(11)의 입출력신호 판별부에서 판별된 입출력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조명(11)의 고장여부를 판단하고, 조명(11)의 그룹 설정을 담당하며, 조명(11)의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수단(20); 및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수단(20)이 조명(11)을 그룹으로 설정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조명(11)의 사용시간과 교체횟수를 관리하는 App(30);을 포함하되,
상기 조명(11)은 승강 장치를 통해 승강 또는 하강 제어되고,
상기 App(30)을 통해 사용자 임의대로 그룹화된 조명(11)의 승강 또는 하강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11)은 상기 제어수단(2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인 입력신호와, 상기 제어수단(20)으로 출력되는 신호인 출력신호의 세기를 비교하는 입출력신호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20)은 유/무선 통신하여 상기 조명그룹(10) 또는 조명그룹(10)에 포함된 조명(11)과 통신하고, 상기 App(30)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조명(11)을 그룹화시켜 조명그룹(10)을 설정하는 그룹 설정부; 상기 그룹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조명그룹(10)의 승강 또는 하강의 제어와 온(On) 또는 오프(Off)의 제어를 수행하는 설정그룹 제어부; 상기 조명그룹(10)의 조명(11)으로부터 입출력신호 판별정보를 수신하는 입출력신호 판별정보 수신부; 상기 입출력신호 판별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입출력신호 판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조명(11)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고장조명 판단부; 상기 조명(11)의 사용시간을 관리하는 조명사용시간 관리부; 및 상기 조명(11)의 교체횟수를 관리하는 등교체횟수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등교체횟수 관리부는 조명(11)이 교체되었음을 판별하는 등교체 판별부; 조명(11)이 교체된 횟수를 누적하는 등교체횟수 누적모듈; 및 누적된 조명(11)의 교체횟수를 초기화하는 등교체횟수 초기화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등교체 판별부는 기본동작 중 조명이 Off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하여, Off동작되지 않았다면 기본동작을 계속 수행하도록 하고, 만약 Off동작되었다면, Off동작된 조명(11)의 하강 제어가 있었는지를 판단한 뒤, 하강 제어가 없었으면 기본동작을 계속 수행하도록 하고, 하강 제어가 있었다면 등교체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사용시간 관리부는 고정조명 판단부를 통해 고장으로 판단되지 않은 조명(11)의 사용시간을 주적하는 조명사용시간 누적모듈; 고정조명 판단부를 통해 조명(11)이 고장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조명의 조명사용시간 누적을 중단하는 조명사용시간 누적중단모듈; 및 상기 등교체 판별부에 의해 조명(11)이 교체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조명(11)의 누적된 조명사용시간을 초기화하는 조명사용시간 초기화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pp(30)은 상기 제어수단(20)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 상기 조명(11)의 그룹화를 조작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그룹 설정 인터페이스부; 그룹으로 설정된 조명그룹(10) 또는 조명(11)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설정그룹 제어 인터페이스부; 상기 조명(11)의 배열을 생성하고, App(30)이 설치된 단말기의 화면에 배열을 출력하는 조명배열 생성 및 출력부; 상기 제어수단(20)으로부터 고장조명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고장난 조명과 고장나지 않은 조명을 구분하여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고정조명정보 수신 및 출력부; 및 상기 조명(11)의 등교체횟수를 초기화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등교체횟수 초기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pp(30)은 등교체 판단부를 통해 조명(11)이 교체된 것으로 판별되어 조명(11)의 누적된 조명사용시간을 초기화되어도, 소정의 시간 내에 조작하면 초기화된 해당 조명(11)의 조명사용시간이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사용시간 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승강 장치는 천장에 설치되도록 상면에 설치구가 장착되고, 하면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중공 입방체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면에 통공이 형성되며, 내측에 안내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모터와; 상기 설치프레임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장착되는 회전릴을 가지는 권취부와; 상기 회전릴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감기고, 타단이 상기 안내롤러에 의해 수직으로 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상기 통공과 관통공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하부로 승강되며, 금속 재질의 박판으로 형성되고, 조명등을 연결하도록 하단에 연결구가 장착되는 승강밴드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를 포함하는 제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상기 연결구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상승된 상기 연결구를 상기 설치프레임의 하부에서 강제로 정지시키는 강제 정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의 상기 강제 정지부는, 상기 통공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밴드가 관통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하면에 형성되는 정지홈과, 상기 정지홈에 삽입되어 정지되도록 상기 연결구의 상단에 장착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정지홈의 내측으로 상기 장착부재에 설치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삽입돌기에 설치되고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되어 접속되면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접속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는, 상기 장착부재의 하부로 상기 케이스의 내측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정지홈의 내측에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삽입돌기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안전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의 상기 안전 고정부는, 상기 삽입돌기의 하단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턱과, 상기 돌턱에 양측단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턱의 양측단이 끼워지도록 내측에 끼움홈이 형성되며 외측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케이스의 내측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돌턱이 관통되도록 중앙에 제2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블록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양측단에 설치홈이 형성되는 설치부재와, 상기 고정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블록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핀과, 상기 지지핀에 끼워지고 일단이 상기 설치부재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고정블록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블록을 탄성복원시키는 비틀림스프링과, 상기 걸림홈에 끼워져 상기 고정블록이 고정되도록 상기 설치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설치홈의 내측에 삽탈되는 고정로드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로드를 수평으로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의 상기 강제 정지부는, 상기 설치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역회전으로 상기 승강밴드가 반대로 풀리는 것을 감지한 후에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을 감지하여 상기 삽입돌기가 고정되면 상기 모터를 역회전시키고 상기 모터의 역회전에 따라 상기 근접센서에 의해 상기 승강밴드의 근접을 감지하면 상기 모터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는, 상기 권취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회전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감지부는,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2 통공과, 상기 제2 통공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는, 상기 권취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릴의 과도한 회전으로 상기 승강밴드가 완전히 풀린 후에 반대로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과회전 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과회전 방지부는, 상기 회전릴의 외주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회전릴의 일측면에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공과, 상기 삽입홈에 일단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삽입홈에 삽입 가능하면서 경사지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릴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탄성핀과, 상기 탄성핀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프레임의 내측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밴드가 완전히 풀릴 때 상기 탄성핀이 벌어지면서 맞닿아 탄성적으로 굽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설치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적인 굽힘에 의해 눌리면서 조작되어 상기 모터의 전원을 차단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를 관통하여 조명등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밴드의 파단 시에 상기 조명등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벨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벨트부는, 상기 설치프레임에 장착되는 벨트본체와, 상기 벨트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된 후에 탄성적으로 역회전되는 감김축과, 상기 감김축의 둘레에 감기고 선단이 상기 케이스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조명등에 연결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의 급격한 이동 시에 상기 벨트를 고정시키는 벨트고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의 상기 권취부는, 상기 회전릴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프레임의 내측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설치프레임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회전릴에 감긴 상기 승강밴드의 외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높은 위치에 설치된 복수 개의 조명을 유지보수, 세척 또는 교체하는데 있어서 승/하강 조작을 통해 지상에서 작업이 가능하므로, 전문 장비 또는 전문 능력이 필요없고, 위험도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조명을 그룹화시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조명만 승/하강 조작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로 하여금 조명의 사용시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조명을 관리하기 쉽고, 조명의 교체여부를 기반하여 시스템이 조명의 사용시간을 누적 및 초기화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사용시간의 판단 및 운용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조명의 교체횟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조명과 조명을 고정하는 설치대 간의 고장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교체여부에 따라 조명의 사용시간을 관리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조명그룹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제어수단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중 제어수단의 등교체 판별부의 동작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App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승강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승강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승강 장치의 개략적인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승강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승강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승강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도 13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승강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승강 장치의 제5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복수의 고가조명을 그룹으로 설정하고 제어함으로써 승/하강 시킬 수 있고, 개별 제어함으로써 각 조명의 사용시간과 교체횟수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은 조명그룹(10), 제어수단(20) 및 App(30)을 포함한다.
조명그룹(10)은, 복수 개의 조명(11)이 제어수단(20)을 통해 묶인 그룹단위로서, 이때 조명은 통상의 조명일 수도 있으나, 공장 등에 설치되는 고가조명일 수도 있다.
그리고 조명(11)은 도 1은 하나의 제어수단(20)에 하나의 조명그룹(10)이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 하나의 조명그룹(10)에 포함된 조명(11)의 개수는 다양할 수 있고, 조명그룹(10) 역시 복수 개일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조명그룹(10)은 하나의 제어수단(20)에 연결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제어수단(20)에 소정의 그룹씩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조명(11)은 승강 장치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하강되거나 상부방향으로 승강될 수도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별적으로 단일 개의 조명(11) 별로 제어가 가능할 수도 있고, 그룹화된 조명그룹(10)이 일률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승강 장치는, 첨부된 도면의 도 6 내지 16을 첨부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조명그룹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조명그룹(10)에 포함된 조명(11)에는 입출력신호 판별부가 포함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고,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서술되지 않지만, 조명(11)의 온(On)/오프(Off) 제어를 위한 회로 구성과 제어신호 송수신 구조도 포함됨이 당연하나, 일반적인 기술적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입출력신호 판별부는 조명(11)의 제어신호가 입, 출력되는 회로상으로 구현되는 센서수단으로서, 조명(11)에 입력되는 신호와 조명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2개의 신호 세기를 판별하는 기능을 한다.
만약, 조명(11)에 이상이 발생되어 입력된 신호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다면,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가 달라지게 된다. 즉, 입출력신호 판별부는 이러한 입출력신호의 세기를 판별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제어수단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어수단(20)은, 조명그룹(10)에 포함된 조명(11)의 입출력신호 판별부에서 판별된 입출력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조명(11)의 고장여부를 판단하고, 조명(11)의 그룹 설정을 담당하며, 조명(11)의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참조하면, 통신부, 그룹 설정부, 설정그룹 제어부, 입출력신호 판별정보수신부, 고장조명 판단부, 조명사용시간 관리부 및 등교체횟수 관리부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제어수단(20)이 조명그룹(10) 또는 조명그룹(10)에 포함된 조명(11)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고, 후술되는 App(30)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 형태의 통신방식을 채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유선의 경우 조명그룹(10) 또는 조명(11)과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고, 무선의 경우 App(30)과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은 바람직하게 블루투스(Blue Tooth) 방식을 사용하여, App(30)이 설치된 단말기와 제어수단(20)이 페어링되어 통신하도록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지그비, 와이파이, Wireless, NFC 등)을 채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되지 않으나, 조명그룹(10) 또는 조명그룹(10)에 포함된 조명(11) 역시 유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도면에 미도시) 구성을 더 포함함은 당연하다.
그룹 설정부는 조명(11)을 그룹화시켜 조명그룹(10)을 설정하는 기능을 하고, 설정그룹 제어부는 그룹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조명그룹(10)의 승/하강 또는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그룹 설정부 또는 설정그룹 제어부는 개별 제어의 기능도 포함할 수 있다. 즉, 그룹은 1개 이상의 의미로 해석되면 된다.
이러한 그룹 설정부의 설정 기능과, 설정된 조명그룹(10)의 제어 기능은 후술되는 App(3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에 의거할 수 있다.
입출력신호 판별정보 수신부는, 조명그룹(10)의 조명(11)으로부터 입출력신호 판별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고장조명 판단부는, 입출력신호 판별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입출력신호 판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조명(11)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는 상술된 바와 같이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세기가 다르면 조명(11)이 고장난 것으로 판단한다.
조명사용시간 관리부는, 조명(11)의 사용시간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조명사용시간 누적모듈, 조명사용시간 누적중단모듈 및 조명사용시간 초기화모듈을 포함한다.
조명사용시간 누적모듈은, 고장으로 판단되지 않은 조명(11)에 신호가 입력되었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조명(11)이 사용된 시간을 누적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조명사용시간의 누적은 시, 분, 초 단위로 누적됨이 당연하다.
조명사용시간 누적중단모듈은, 조명(11)이 고장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조명의 조명사용시간 누적을 중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는 고장나지 않았던 조명(11)이 고장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나 신규 조명이어도 고장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모두 해당되며, 조명사용시간이 누적되어야 할 조명(11)이 고장조명 판단부에 의해 고장난 것으로 판단되면, 조명사용시간이 누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필요한 이유로는,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조명이 얼마나 사용했는지를 궁금해하고, 이를 통해 얼마나 더 사용할 수 있는지를 예상하여 관리비용을 산출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조명(11)이 고장나자마자 바로 아는 경우도 있지만, 본 발명과 같이 복수 개의 조명(11)을 사용하는 경우의 대부분은 일부의 조명이 고장난 것을 모르고 사용하다가 어느 순간 조명을 쳐다보면서 고장났음을 인지하게 되는데, 만약에 고장난 조명의 조명사용시간이 지속적으로 누적된다면, 조명사용시간을 파악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조명사용시간 초기화모듈은, 누적된 조명사용시간을 초기화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조명(11) 사용 중 교체되는 경우 해당 조명(11)이 교체된 이후에는 조명사용시간이 초기화되어야 하는데,
조명사용시간 초기화모듈은 상기와 같이 교체된 조명(11)의 조명사용시간을 초기화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조명사용시간 초기화모듈은, 등교체횟수 관리부를 설명하면서 설명될 수 있다.
등교체횟수 관리부는, 조명(11)의 교체횟수를 관리하는 기능을 하며, 이를 위해 등교체 판별부, 등교체횟수 누적모듈 및 등교체횟수 초기화모듈을 포함한다.
등교체 판별부는, 조명(11)이 교체되었음을 자동으로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고, 등교체횟수 누적모듈은 어느 하나의 조명(11)이 교체된 횟수를 누적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등교체횟수 초기화모듈은 등교체횟수를 초기화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등교체횟수의 초기화가 필요한 이유는, 등교체횟수를 누적함으로써, 해당 조명(11)이 교체된 횟수와 시간간격을 기반으로 했을 때, 만약 특정 조명(11)의 교체된 횟수와 간격이 너무 잦고 많다면, 조명(11)이 문제가 아니라 조명(11)이 설치된 설치대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조명(11)이 설치된 설치대를 수리 또는 교체한 뒤, 다시 조명(11)을 설치한다면, 해당 조명(11)에 대해서는 등교체횟수를 초기화할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상술된 바와 같이 등교체횟수가 초기화되거나 또는 등교체가 이루어진 이후에는 해당 조명(11)에 대한 조명사용시간이 초기화되어야지만 조명사용시간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없기 때문에, 조명사용시간 초기화모듈은 등교체가 이루어진 뒤, 조명사용시간을 초기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명사용시간의 초기화는 사용자가 App(30)을 통해 초기화되었음을 입력하여 설정할 수도 있으나(수동), 자동으로 등교체를 판별하여 조명사용시간을 초기화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술된 등교체 판별부가 기능하며, 이러한 등교체 판별부는 도 4와 같은 흐름으로 등교체 여부를 판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중 제어수단의 등교체 판별부의 동작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4를 참조하면, 기본동작 중 조명이 Off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하여, Off동작되지 않았다면 기본동작을 계속 수행하도록 하고, 만약 Off동작되었다면, Off동작된 조명(11)의 하강 제어가 있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하강 제어가 없었다면 조명(11)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일 수도 있으므로, 기본동작을 계속 수행하도록 하고, 하강 제어가 있었다면 등교체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등교체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별되면, 조명사용시간이 초기화되도록 한다.
이때, 기본동작이라 함은 통상의 조명 온/오프 제어 또는 승/하강 제어되는 본 발명에 의한 기본적인 동작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만, 조명이 Off동작되었고 하강 제어되었다고 해서 무조건 등교체가 이루어진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세척이나 유지보수관리를 위함일 수도 있으므로, 이 경우, 사용자는 App(30)을 통해 조명사용시간을 복원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App(30)을 설명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나, 간략하게 살펴보면 도 4에 따른 등교체 판별부의 흐름에 의해 등교체가 된 것으로 자동으로 판별되면 조명사용시간은 초기화되어 삭제되지만,
실제 시스템상으로는, DB에서 가삭제되도록 하여 소정의 시간 내에 사용자가 조명사용시간의 복원을 조작하면 다시 조명사용시간이 복원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pp(30)을 살펴보면, 도 5를 참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App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5에 따르면, App(30)은 통신부, 그룹 설정 인터페이스부, 설정그룹 제어 인터페이스부, 조명배열 생성 및 출력부, 고장조명정보 수신 및 출력부, 등교체횟수 초기화 인터페이스부 및 조명사용시간 복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App(30)과 제어수단(20)이 통신할 수 있도록 기능하며, App(30)이 설치된 단말기의 통신모듈일 수 있다.
그룹 설정 인터페이스부는, 제어수단(20)에 연결된 조명그룹(10)의 조명(11)을, 제어수단(20)의 그룹 설정부와 연동하여 기능하며, 조명(11)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선택된 조명(11)을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제공은 App(30)이 설치된 단말기 화면에 제공되는 것이다.
설정그룹 제어 인터페이스부는, 제어수단(20)을 통해 그룹화된 조명(11)의 온/오프 동작 또는 승/하강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 인터페이스를 App(30)이 설치된 단말기 화면에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조명배열 생성 및 출력부는, App(30)이 설치된 단말기의 화면에 조명(11)의 배열을 생성하고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조명(11)의 배열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실제 설치된 조명(11)들의 위치와 동일한 배열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App(30)을 통해 사용자가 배열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예를 들어, 배열 조작 인터페이스부, 도면에 미도시), 단말기를 통해 조명을 촬영하면, 사진의 픽셀(Pixel)을 기반으로 조명의 위치를 배열하도록 App(30)에서 기능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자동 조명 배열부).
픽셀 기반의 조명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조명의 형태를 분석함으로써 가능할 수도 있고, 조명을 킨 상태에서 조명의 광(光)의 색에 해당되는 픽셀을 분석함으로써 가능할 수도 있다.
고장조명정보 수신 및 출력부는, 조명(11)의 입출력신호 판별부로부터 제어수단(20)이 입출력신호 판별정보수신부를 통해 입출력신호 판별정보를 수신하여 판단한, 고정조명정보를 수신한 뒤, App(30)이 설치된 단말기의 화면에, 구체적으로는 조명배열 생성 및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 조명배열에 고장이 발생된 조명을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고장이 발생된 조명은 고장나지 않은 조명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으로 출력할 수도 있고, 형태적으로 구분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색상과 형태의 구분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것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등교체횟수 초기화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가 등교체횟수를 초기화할 수 있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인터페이스의 제공은 당연히 App(30)이 설치된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이루어진다.
조명사용시간 복원부는, 상술된 바와 같이 조명의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등교체 판별부를 통해 조명이 교체된 것으로 판별되어 자동으로 초기화된 조명사용시간을 복원하는 기능을 한다.
이는 App(30)이 설치된 단말기의 화면에 복원 버튼 등으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만약, 조명의 교체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별되어 조명사용시간이 초기화되는 경우,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5분 등) 내에 복원 버튼 등의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면, 초기화된 조명사용시간이 다시 복원되도록 한다.
이는 제어수단(20)에 상술된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정보가 저장된 DB를 당연히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DB에 부가적으로 가저장이 가능한 DB를 더 마련함으로써, 조명사용시간이 DB 상에서는 초기화되어도 가저장이 가능한 DB에 상기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5분 등) 동안은 가저장되도록 하여,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사용자의 조작이 있으면, 다시 DB에 조명사용시간이 저장되어 복원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조명사용시간의 복원을 위한 과정은, 반드시 위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정보 보호와 복원/복구를 위해 사용되는 다른 기술적 사항(예를 들면, 캐쉬(Cash) 메모리를 이용하는 방식 등)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 6 내지 도 16을 첨부하여 상술된 조명(11)의 승강 또는 하강을 제어하는 승강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승강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을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승강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승강 장치의 개략적인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는 중공 입방체 형의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프레임(200)과, 상기 설치프레임(20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모터(300)와, 상기 설치프레임(200)의 내측에 설치되는 권취부(400)와, 상기 권취부(400)에 감기는 승강밴드(5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천장에 설치되도록 상면에 설치구(101)가 장착되고 하면에 관통공(102)이 형성되는 것으로, 중공 입방체형으로 형성되어 제반 부품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치구(101)는 상기 케이스(100)를 천장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걸이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천장에 상기 케이스(100)를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02)은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서 그 내부로 또는 반대로 상기 승강밴드(500)가 관통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치프레임(200)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면에 통공(201)이 형성되며 내측에 안내롤러(20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상기 모터(300)와 권취부(400)를 포함하는 제반 부품들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설치프레임(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측에 상기 권취부(400)가 원활히 설치되고 일측면에 상기 모터(300)가 원활히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공(201)은 상기 관통공(102)과 마찬가지로 상기 설치프레임(200)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승강밴드(500)가 통과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롤러(202)는 상기 권취부(400)에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풀리거나 감기는 상기 승강밴드(500)를 수직방향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터(300)는 상기 설치프레임(20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전원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되면서 상기 권취부(40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모터(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단에 감속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부(400)는 상기 설치프레임(20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300)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승강밴드(500)를 감거나 푸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권취부(400)는 상기 설치프레임(2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30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401)과, 상기 회전축(401)의 둘레에 장착되는 회전릴(402)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401)은 상기 설치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300)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30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릴(402)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릴(402)은 상기 회전축(401)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밴드(500)의 선단이 고정되어 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밴드(500)는 상기 회전릴(402)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감기고 타단이 상기 안내롤러(202)에 의해 수직으로 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상기 통공(201)과 관통공(102)를 통해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로 승강되며 금속 재질의 박판으로 형성되고 조명등을 연결하도록 하단에 연결구(501)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00)와 조명등의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승강밴드(500)는 부식이 되지 않는 스테인리스 금속 스트립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굽힘이 가능할 정도로 얇아 상기 회전릴(402)에 감긴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상기 승강밴드(500)는 금속 재질의 박판으로 형성됨에 따라 인성이 좋고 장기간이 지나도 잘 끊어지지 않아 본 장치의 사용 수명을 현저히 연장시키면서 안전 사고를 원활히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연결구(501)는 상기 승강밴드(500)의 하단을 조명등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걸이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승강밴드(500)에 상기 조명등을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300)를 포함하는 제반 기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어부(600)는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무선 조작) 혹은 유선 조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모터(300) 등의 제반 전자 기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MCU, 메모리, 무선송수신기 등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본 승강 장치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와 상기 연결구(501)에 설치되는 강제 정지부(7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강제 정지부(700)는 상기 관통공(102)을 통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상승된 상기 연결구(501)를 상기 설치프레임(200)의 하부에서 강제로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승강밴드(500)가 상기 회전릴(402)에 완전히 감겨서 상기 연결구(501)가 상기 설치프레임(200)의 하부에 위치할 때 이를 강제로 정지시켜 상기 연결구(501)가 상기 설치프레임(200)의 내측으로 들어가 제반 부품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강제 정지부(700)는 상기 통공(201)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밴드(500)가 관통되는 장착부재(701)와, 상기 장착부재(701)의 하면에 형성되는 정지홈(702)과, 상기 정지홈(702)에 삽입되어 정지되도록 상기 연결구(501)의 상단에 장착되는 삽입돌기(703)와, 상기 정지홈(702)의 내측으로 상기 장착부재(701)에 설치되는 접속단자(704)와, 상기 삽입돌기(703)에 설치되고 상기 접속단자(704)가 삽입되어 접속되면 상기 모터(300)를 정지시키는 접속소켓(705)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재(701)는 상기 통공(201)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설치프레임(200)의 하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정지홈(702)과 접속단자(704)가 구비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지홈(702)은 상기 삽입돌기(703)가 삽입되면서 걸리어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삽입돌기(703)는 상기 연결구(501)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정지홈(702)에 삽입되면서 상기 연결구(501)를 상기 장착부재(701)에 걸리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접속단자(704)는 상기 정지홈(702)으로 상기 삽입돌기(703)의 삽입과 함께 상기 접속소켓(705)에 끼워져 접속되면서 상기 정지홈(702)으로 상기 삽입돌기(703)의 삽입을 감지하고 이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6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접속단자(704)와 접속소켓(705)은 상기 접속단자(704)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접속소켓(705)에 조명등의 전선이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704)와 접속소켓(705)의 접속에 의해 외부 전원이 조명등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승강 장치는 상기 장착부재(701)의 하부로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하면에 장착되는 안전 고정부(8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전 고정부(800)는 상기 정지홈(702)의 내측에 상기 삽입돌기(703)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삽입돌기(703)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정지홈(702)의 내측에 삽입된 상기 삽입돌기(703)를 한 번 더 견고히 고정함으로써, 본 장치의 조명등에 대한 설치상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안전 고정부(800)는 상기 삽입돌기(703)의 하단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턱(801)과, 상기 돌턱(801)에 양측단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턱(801)의 양측단이 끼워지도록 내측에 끼움홈(802a)이 형성되며 외측에 걸림홈(802b)이 형성되는 고정블록(802)과,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돌턱(801)이 관통되도록 중앙에 제2 관통공(803a)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블록(802)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양측단에 설치홈(803b)이 형성되는 설치부재(803)와, 상기 고정블록(802)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부재(803)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블록(80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핀(804)과, 상기 지지핀(804)에 끼워지고 일단이 상기 설치부재(803)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고정블록(802)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블록(802)을 탄성복원시키는 비틀림스프링(805)과, 상기 걸림홈(802b)에 끼워져 상기 고정블록(802)이 고정되도록 상기 설치부재(803)를 관통하여 상기 설치홈(803b)의 내측에 삽탈되는 고정로드(806)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로드(806)를 수평으로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807)를 포함한다.
상기 돌턱(801)은 상기 삽입돌기(703)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블록(802)을 통해 상기 삽입돌기(703)를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블록(802)은 상기 돌턱(801)을 맞물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끼움홈(802a)은 상기 돌턱(801)이 끼워져 고정되는 부위이며, 상기 걸림홈(802b)은 상기 고정로드(806)가 끼워져 상기 고정블록(802)이 상기 지지핀(804)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설치부재(803)는 상기 고정블록(802)이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제2 관통공(803a)은 상기 승강밴드(500)와 상기 돌턱(801)을 포함하는 상기 삽입돌기(703)가 상기 설치부재(803)를 관통하는 통로이며, 상기 설치홈(803b)은 상기 고정블록(80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위이다.
상기 지지핀(804)은 상기 설치부재(803)에 대해 상기 고정블록(80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틀림스프링(805)은 상기 고정블록(802)이 상기 지지핀(804)을 중심으로 탄성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블록(802)이 상기 돌턱(801)에 의해 상기 지지핀(804)을 중심으로 회전된 후에 상기 돌턱(801)이 통과되면 상기 고정블록(802)이 원래의 위치로 회전되어 탄성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로드(806)는 상기 솔레노이드(807)에 의해 수평으로 작동되면서 상기 걸림홈(802b)에 끼워져 상기 고정블록(802)의 회전을 차단하여 상기 고정블록(802)이 상기 돌턱(801)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솔레노이드(807)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작동되는 공지의 액추에이터로 상기 고정로드(806)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강제 정지부(700)는 상기 설치프레임(200)의 내측에 설치되는 근접센서(706)를 더 포함한다. 상기 근접센서(706)는 상기 모터(300)의 역회전으로 상기 승강밴드(500)가 반대로 풀리는 것을 감지한 후에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6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솔레노이드(807)의 작동으로 상기 고정로드(806)에 의해 상기 삽입돌기(703)가 고정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모터(300)를 역회전시키고 상기 모터(300)의 역회전에 따라 상기 근접센서(706)에 의해 상기 승강밴드(500)의 근접을 감지하면 상기 모터(300)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작동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근접센서(706)의 감지정보에 의한 상기 제어부(600)의 상기 모터(300)에 대한 제어를 통해 상기 삽입돌기(703)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밴드(500)에 가해지는 하중이 해소되어 상기 승강밴드(500)의 수명이 현저히 연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승강 장치는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등을 와이어가 아닌 금속재 승강밴드(500)로 연결하여 와이어와 같은 연결수단의 손상에 의한 조명등의 추락이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면서 조명등 자체의 승강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승강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모터(300)가 구동되면 상기 회전축(401)이 정회전되면서 상기 회전릴(402)이 정회전되어 상기 승강밴드(500)가 상기 회전릴(402)에 감기게 된다.
상기 승강밴드(500)가 상기 회전릴(402)에 감김에 따라 상기 연결구(501)와 삽입돌기(703)가 상기 승강밴드(500)를 따라 상기 케이스(100)의 하면을 향해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케이스(100)를 실내의 천장에 고정하고 상기 연결구(501)에 조명등을 연결한 상태로, 상기 모터(300)를 통해 상기 회전릴(402)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상기 승강밴드(500)가 상기 회전릴(402)에 감겨서 조명등이 상승되거나 상기 승강밴드(500)가 상기 회전릴(402)에서 풀려서 조명등이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조명등을 설치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를 참조하면, 상기 모터(3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승강밴드(500)가 계속 감기면서 상기 삽입돌기(703)가 상기 설치부재(80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돌턱(801)이 상기 고정블록(802)의 하단에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밴드(500)가 계속 상승되면 상기 돌턱(801)이 상기 고정블록(802)을 상기 지지핀(804)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고정블록(802)의 내측으로 들어가 상기 끼움홈(802a)에 맞물리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턱(801)이 상기 끼움홈(802a)에 맞물리게 되면 상기 삽입돌기(703)가 상기 장착부재(701)의 상기 정지홈(702)에 삽입된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704)가 상기 접속소켓(705)에 삽입되면서 상기 모터(300)가 정지된다.
상기 모터(300)가 정지되어도 상기 승강밴드(500)는 상기 회전릴(402)에 감긴 상태로 팽팽하게 당겨지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807)에 의해 상기 고정로드(806)가 이동되어 상기 고정로드(806)가 상기 걸림홈(802b)에 진입되고, 그에 따라 상기 고정블록(802)이 상기 고정로드(806)에 의해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고정블록(802)이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끼움홈(802a)에 맞물린 상기 돌턱(801)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삽입돌기(703)가 상기 정지홈(702)에 삽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돌기(703)가 견고히 고정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3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릴(402)이 역회전되어 상기 회전릴(402)에 감긴 상기 승강밴드(500)를 풀게 되고, 어느 정도 상기 승강밴드(500)가 풀리면 상기 근접센서(706)를 상기 승강밴드(500)의 근접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근접센서(706)에 의해 상기 승강밴드(500)의 근접이 감지되면 상기 모터(300)의 구동이 중지되며, 그에 따라 상기 승강밴드(500)는 상기 회전릴(402)에 감긴 상태로 팽팽하게 당겨지는 상태가 해제되어 당겨지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승강 장치는 조명등을 승강시키거나 조명등을 최상단으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삽입돌기(703)를 고정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승강밴드(500)에 가해지는 외력을 해소하여 상기 승강밴드(5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승강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조명등 승강 장치는 상기 권취부(400)에 설치되는 회전 감지부(9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 감지부(900)는 상기 회전축(401)의 회전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6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회전 감지부(900)는 상기 회전축(401)에 장착되는 회전원판(901)과, 상기 회전원판(901)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2 통공(902)과, 상기 제2 통공(902)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프레임(200)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401)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광센서(90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원판(901)은 상기 회전축(401)과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2 통공(902)이 형성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통공(902)은 상기 광센서(903)가 감지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센서(903)는 통상적으로 수광부와 발광부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발광부에 의해 조사되는 광이 상기 제2 통공(902)을 통해 상기 수광부에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회전원판(901)의 회전수 및 회전각도를 감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회전축(401)의 회전수 혹은 상기 회전릴(402)의 회전수를 감지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승강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4는 도 13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조명등 승강 장치는 상기 권취부(400)에 설치되는 과회전 방지부(10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과회전 방지부(1000)는 상기 회전릴(402)의 과도한 회전으로 상기 승강밴드(500)가 완전히 풀린 후에 반대로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과회전 방지부(1000)는 상기 회전릴(402)의 외주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삽입홈(1001)과, 상기 회전릴(402)의 일측면에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공(1002)과, 상기 삽입홈(1001)에 일단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삽입홈(1001)에 삽입 가능하면서 경사지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공(1002)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릴(402)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탄성핀(1003)과, 상기 탄성핀(1003)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프레임(200)의 내측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밴드(500)가 완전히 풀릴 때 상기 탄성핀(1003)이 벌어지면서 맞닿아 탄성적으로 굽힘되는 탄성부재(1004)와, 상기 설치프레임(20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1004)의 탄성적인 굽힘에 의해 눌리면서 조작되어 상기 모터(300)의 전원을 차단하는 리미트스위치(1005)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홈(1001)은 상기 회전릴(402)에 상기 승강밴드(500)가 감길 때 상기 탄성핀(1003)이 삽입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가이드공(1002)은 상기 탄성핀(1003)이 상기 회전릴(40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탄성핀(1003)이 벌어지는 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핀(1003)은 상기 회전릴(402)에서 상기 승강밴드(500)가 완전히 풀리면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탄성부재(1004)에 맞닿아 상기 탄성부재(1004)를 탄성적으로 굽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1004)는 상기 탄성핀(1003)에 의해 굽혀지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1005)를 눌러 이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1005)는 상기 탄성부재(1004)에 의해 조작되어 작동되면서 상기 모터(300)의 전원을 차단하는 온오프스위치이다.
이와 같이 상기 리미트스위치(1005)에 의해 상기 모터(300)의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회전릴(402)이 정지되어 상기 승강밴드(500)가 풀리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릴(402)이 계속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승강밴드(500)가 반대로 감김에 따른 상기 승강밴드(500) 자체를 포함하는 제반 부품들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승강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조명등 승강 장치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상기 설치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안전벨트부(1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전벨트부(1100)는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를 관통하여 조명등(L)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밴드(500)의 파단 시에 상기 조명등(L)의 추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하를 하는 상기 안전벨트부(1100)는 상기 설치프레임(200)에 장착되는 벨트본체(1101)와, 상기 벨트본체(110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된 후에 탄성적으로 역회전되는 감김축(1102)과, 상기 감김축(1102)의 둘레에 감기고 선단이 상기 케이스(100)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조명등에 연결되는 벨트(1103)와, 상기 벨트본체(1101)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1103)의 급격한 이동 시에 상기 벨트(1103)를 고정시키는 벨트고정기(1104)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본체(1101)는 상기 감김축(110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감김축(1102)을 탄성적으로 역회전시키는 태엽스프링과 같은 부품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감김축(1102)은 상기 벨트(1103)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그 자체가 감겨 상기 벨트본체(110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벨트(1103)는 상기 감김축(1102)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감기고 하단이 상기 조명등(L)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조명등(L)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벨트(1103)는 하부 방향으로 상기 조명등(L)의 이동과 함께 상기 조명등(L)의 자중에 의해 풀리면서 상기 감김축(1102)을 회전시켜 상기 감김축(1102)에 설치된 태엽스프링이 압축되고, 반대로 상기 벨트(1103)는 상부 방향으로 상기 조명등의 이동과 함께 압축된 태엽스프링이 해제되어 상기 감김축(1102)이 역회전되면서 상기 감김축(1102)에 자동으로 감기게 된다.
상기 벨트고정기(1104)는 상기 승강밴드(500)의 갑작스런 단선으로 상기 조명등(L)의 무게에 의해 상기 벨트(1103)가 하부측으로 급격히 당겨질 때 상기 벨트(1103)를 잡아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그에 의해 상기 조명등(L)의 추락이 한 번 더 방지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벨트고정기(110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1103)에 직접 설치되거나 상기 감김축(1102)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승강 장치의 제5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조명등 승강 장치의 상기 권취부(400)는 상기 회전릴(402)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프레임(200)의 내측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고정핀(403)과, 상기 고정핀(403)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설치프레임(200)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회전릴(402)에 감긴 상기 승강밴드(500)의 외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404)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핀(403)은 상기 탄성지지부재(404)를 손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탄성지지부재(404)는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릴(402)에 감긴 상기 승강밴드(500)의 외부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회전릴(402)에 상기 승강밴드(500)가 긴밀하게 감기거나 정밀하게 풀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조명그룹
11 : 조명
20 : 제어수단
30 : App
100 : 케이스
101 : 설치구 102 : 관통공
200 : 설치프레임
201 : 통공 202 : 안내롤러
300 : 모터
400 : 권취부
401 : 회전축 402 : 회전릴
403 : 고정핀 404 : 탄성지지부재
500 : 승강밴드
501 : 연결구
600 : 제어부
700 : 강제 정지부
701 : 장착부재 702 : 정지홈
703 : 삽입돌기 704 : 접속단자
705 : 접속소켓 706 : 근접센서
800 : 안전 고정부
801 : 돌턱
802 : 고정블록
802a : 끼움홈 802b : 걸림홈
803 : 설치부재
803a : 제2 관통공 803b : 설치홈
804 : 지지핀 805 : 비틀림스프링
806 : 고정로드 807 : 솔레노이드
900 : 회전 감지부
901 : 회전원판 902 : 제2 통공
903 : 광센서
1000 : 과회전 방지부
1001 : 삽입홈 1002 : 가이드공
1003 : 탄성핀 1004 : 탄성부재
1005 : 리미트스위치
1100 : 안전벨트부
1101 : 벨트본체 1102 : 감김축
1103 : 벨트 1104 : 벨트고정기

Claims (9)

  1. 복수 개의 조명(11)이 선택적으로 그룹화된 조명그룹(10);
    상기 조명그룹(10)에 포함된 조명(11)의 입출력신호 판별부에서 판별된 입출력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조명(11)의 고장여부를 판단하고, 조명(11)의 그룹 설정을 담당하며, 조명(11)의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수단(20); 및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수단(20)이 조명(11)을 그룹으로 설정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조명(11)의 사용시간과 교체횟수를 관리하는 App(30);을 포함하되,
    상기 조명(11)은 승강 장치를 통해 승강 또는 하강 제어되고,
    상기 App(30)을 통해 사용자 임의대로 그룹화된 조명(11)의 승강 또는 하강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11)은,
    상기 제어수단(2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인 입력신호와, 상기 제어수단(20)으로 출력되는 신호인 출력신호의 세기를 비교하는 입출력신호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0)은,
    유/무선 통신하여 상기 조명그룹(10) 또는 조명그룹(10)에 포함된 조명(11)과 통신하고, 상기 App(30)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조명(11)을 그룹화시켜 조명그룹(10)을 설정하는 그룹 설정부;
    상기 그룹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조명그룹(10)의 승강 또는 하강의 제어와 온(On) 또는 오프(Off)의 제어를 수행하는 설정그룹 제어부;
    상기 조명그룹(10)의 조명(11)으로부터 입출력신호 판별정보를 수신하는 입출력신호 판별정보 수신부;
    상기 입출력신호 판별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입출력신호 판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조명(11)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고장조명 판단부;
    상기 조명(11)의 사용시간을 관리하는 조명사용시간 관리부; 및
    상기 조명(11)의 교체횟수를 관리하는 등교체횟수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등교체횟수 관리부는,
    조명(11)이 교체되었음을 판별하는 등교체 판별부;
    조명(11)이 교체된 횟수를 누적하는 등교체횟수 누적모듈; 및
    누적된 조명(11)의 교체횟수를 초기화하는 등교체횟수 초기화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등교체 판별부는,
    기본동작 중 조명이 Off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하여, Off동작되지 않았다면 기본동작을 계속 수행하도록 하고, 만약 Off동작되었다면, Off동작된 조명(11)의 하강 제어가 있었는지를 판단한 뒤,
    하강 제어가 없었으면 기본동작을 계속 수행하도록 하고, 하강 제어가 있었다면 등교체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조명사용시간 관리부는,
    고정조명 판단부를 통해 고장으로 판단되지 않은 조명(11)의 사용시간을 주적하는 조명사용시간 누적모듈;
    고정조명 판단부를 통해 조명(11)이 고장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조명의 조명사용시간 누적을 중단하는 조명사용시간 누적중단모듈; 및
    상기 등교체 판별부에 의해 조명(11)이 교체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조명(11)의 누적된 조명사용시간을 초기화하는 조명사용시간 초기화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pp(30)은,
    상기 제어수단(20)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
    상기 조명(11)의 그룹화를 조작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그룹 설정 인터페이스부;
    그룹으로 설정된 조명그룹(10) 또는 조명(11)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설정그룹 제어 인터페이스부;
    상기 조명(11)의 배열을 생성하고, App(30)이 설치된 단말기의 화면에 배열을 출력하는 조명배열 생성 및 출력부;
    상기 제어수단(20)으로부터 고장조명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고장난 조명과 고장나지 않은 조명을 구분하여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고정조명정보 수신 및 출력부; 및
    상기 조명(11)의 등교체횟수를 초기화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등교체횟수 초기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4 내지 6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pp(30)은,
    등교체 판단부를 통해 조명(11)이 교체된 것으로 판별되어 조명(11)의 누적된 조명사용시간을 초기화되어도, 소정의 시간 내에 조작하면 초기화된 해당 조명(11)의 조명사용시간이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사용시간 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장 장치는,
    천장에 설치되도록 상면에 설치구(101)가 장착되고, 하면에 관통공(102)이 형성되는 중공 입방체형의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면에 통공(201)이 형성되며, 내측에 안내롤러(20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프레임(200)과;
    상기 설치프레임(20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모터(300)와;
    상기 설치프레임(2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30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401)과, 상기 회전축(401)의 둘레에 장착되는 회전릴(402)을 가지는 권취부(400)와;
    상기 회전릴(402)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감기고, 타단이 상기 안내롤러(202)에 의해 수직으로 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상기 통공(201)과 관통공(102)를 통해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로 승강되며, 금속 재질의 박판으로 형성되고, 조명등을 연결하도록 하단에 연결구(501)가 장착되는 승강밴드(5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300)를 포함하는 제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권취부(400)는,
    상기 회전릴(402)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프레임(200)의 내측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고정핀(403)과,
    상기 고정핀(403)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설치프레임(200)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회전릴(402)에 감긴 상기 승강밴드(500)의 외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40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와 상기 연결구(501)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102)을 통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상승된 상기 연결구(501)를 상기 설치프레임(200)의 하부에서 강제로 정지시키는 강제 정지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KR1020170094989A 2017-07-26 2017-07-26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KR101960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989A KR101960601B1 (ko) 2017-07-26 2017-07-26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989A KR101960601B1 (ko) 2017-07-26 2017-07-26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078A true KR20190012078A (ko) 2019-02-08
KR101960601B1 KR101960601B1 (ko) 2019-07-15

Family

ID=65365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989A KR101960601B1 (ko) 2017-07-26 2017-07-26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6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476B1 (ko) * 2006-09-11 2007-02-26 조만규 조명기 승강장치
KR101184989B1 (ko) * 2012-03-29 2012-10-02 전대훈 조명등 승강 장치
KR20130030925A (ko) 2011-09-20 2013-03-28 (주)씨제이에코 Led 조명기구의 가시광 무선통신을 이용한 그룹제어 디밍시스템
KR101757384B1 (ko) * 2016-12-08 2017-07-12 주식회사 대은계전 조명설비 원격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476B1 (ko) * 2006-09-11 2007-02-26 조만규 조명기 승강장치
KR20130030925A (ko) 2011-09-20 2013-03-28 (주)씨제이에코 Led 조명기구의 가시광 무선통신을 이용한 그룹제어 디밍시스템
KR101184989B1 (ko) * 2012-03-29 2012-10-02 전대훈 조명등 승강 장치
KR101757384B1 (ko) * 2016-12-08 2017-07-12 주식회사 대은계전 조명설비 원격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601B1 (ko) 201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989B1 (ko) 조명등 승강 장치
KR101812293B1 (ko) 형광등형 led 조명 장치 및 그 점소등 모드 전환 방법
JP2007287500A (ja) 照明器具
KR102091537B1 (ko) 스마트 조명 시스템
JP7109163B2 (ja) モニタ装置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02050020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777064B2 (en) Lighting with air quality and hazard monitoring
KR101960601B1 (ko)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JP2013235655A (ja) 照明灯および照明器具
US20080117064A1 (en) Fire detector having a lifting function
KR101557742B1 (ko) 실내조명 시스템
KR102064170B1 (ko) 인체 감지형 리프팅 구조를 가진 조명기구
KR100779358B1 (ko) 조명등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관리방법
KR100679998B1 (ko) 4줄 와이어 구조를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KR100779356B1 (ko) 전류의 흐름을 이용한 승강릴 관리 장치
KR102280972B1 (ko)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0602B1 (ko) 조도 기반의 조명 높이 조절 시스템
JP2007077720A (ja) 電動シャッター
KR101503584B1 (ko) 일정구간만 조명을 켜서 승하강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
KR200425096Y1 (ko) 비상점멸등 기능을 가진 계단 자동 발광 안전 커버
KR200396106Y1 (ko) 비상구 유도등
JP7340844B2 (ja) 点検動作の自動的な開始が可能な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KR100779355B1 (ko) 조명등 관리 알림 표시부를 갖는 승강릴용 리모콘
KR102419090B1 (ko) 안전시스템을 구비하는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JP2012113909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