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476B1 - 조명기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조명기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476B1
KR100686476B1 KR1020060087561A KR20060087561A KR100686476B1 KR 100686476 B1 KR100686476 B1 KR 100686476B1 KR 1020060087561 A KR1020060087561 A KR 1020060087561A KR 20060087561 A KR20060087561 A KR 20060087561A KR 100686476 B1 KR100686476 B1 KR 100686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signal
receiver
illuminator
remote
illumin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만규
Original Assignee
조만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만규 filed Critical 조만규
Priority to KR1020060087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5Adjustabl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operation, e.g. by 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6Adjustable mountings using wires or co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21V21/38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with a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6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theatres, stages or film stud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기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조명기 승강장치는 천장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들과, 상기 구동모터들에 연결된 케이블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들의 구동에 따라 일정 높이 범위에서 승강되는 다수개의 조명기들과, 상기 구동모터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구동모터들을 구동하기 위한 원격신호가 발생되는 원격송신부 및 상기 조명기들 각각에 마련되며, 상기 원격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구동모터들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1수신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조명기 승강장치{ILLUMINATOR LIF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조명기 승강장치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기 승강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는 조명기들의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명기 승강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원격송신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명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선 Ⅰ-Ⅰ'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조명기 승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가동천장의 승강을 이루는 제 2구동모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기준천장 110 : 제 1구동모터
120 : 권취롤러 130 : 제 1가이드롤러
140 : 제 1케이블 200 : 조명기
210 : 조명등 250 : 연결브라켓
255 : 탄성재 310 : 수신부
311 : 제 1수신부 312 : 제 2수신부
313 : 제 3수신부 400 : 원격송신부
415 : 제 1선택부 425 : 제 2선택부
435 : 제 3선택부 440 : 선택모드버튼
465 : 제 4선택부 500 : 제어부
본 발명은 조명기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에 설치되는 조명기들의 유지 및 보수를 편리하게 하도록 한 조명기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극과 같은 예술활동이 이루어지거나, 농구와 같은 체육경기가 이루어지는 공간, 예컨데 극장 또는 체육관과 같은 시설에는 그 내부의 조명을 이루기 위하여 다수개의 조명기들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다수개의 조명기들은 고소의 천장에 설치된다. 이와 아울러 지면으로부터의 설치높이를 필요에 따라 적절한 높이로 위치시킴으로써 상황에 따른 최적의 조명이 제공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조명기들은 통상 일정 룩스의 조명이 이루어지는 조명등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조명기들 중 어느 하나이상의 조명등이 수명이 다할 경우에 이를 교체하여 주어야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명기들은 일정 주기에 따라서 보수작업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조명기들에 대한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조명기 들을 지면으로 하강시켜 위치시키어 유지보수작업을 행하고, 유지보수작업을 마치면 다시 원위치로 상승시켜 위치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즉, 상기 조명기들은 선택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조명기 승강장치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천장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로프로 연결되는 조명기들과 상기 모터에 전기적인 신호를 주어 승강시키는 승강명령기등으로 구성되는 조명기 승강장치가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승강명령기는 통상 제어실의 내부에 전자시설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조명기들 중 어느 하나를 보수할 경우에 작업자가 상기 제어실에서 이를 승강시킨다. 이에 따라, 승강시키는 작업자와 실질적으로 조명기를 보수하는 작업자의 투입으로 인한 인력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명기 승강장치는 상기 승강명령기와 상기 모터와 전력케이블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전력케이블의 전력라인 설치로 인한 비용이 상승되고, 상기 전력케이블이 노후되거나 이로 인하여 단선되는 경우에, 이를 보수하기 위한 보수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승강되는 조명기들은 조명등과 같은 외부 충격에 약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조명기들이 보수위치로 하강 또는 원위치로 복귀될 경우에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보호됨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 의 제 1목적은 다수개의 조명기들 중 보수작업이 필요한 조명기만을 직접적으로 원격으로 지시하여 승강시킬 수 있는 조명기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조명기들의 설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설치 공간내에서 상기 조명기들로 인한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명기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조명기들이 보수위치로 하강되어 위치되거나, 보수작업 후에 원위치로 상승되어 위치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는 조명기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상기 조명기들을 원격으로 승강시키는 경우에 다수의 선택모드를 두어, 하나의 모드가 이상이 발생되면 다른 모드로 선택되도록 하여 즉시 대처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하여 보수작업이 지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조명기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5목적은 조명기들을 선택적으로 유지보수하는데 투입되는 인력 비용을 포함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조명기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명기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조명기 승강장치는 천장에 설치되는 제 1구동모터들과, 상기 제 1구동모터들에 연결된 케이블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1구동모터들의 구동에 따라 일정 높이 범위에서 승강되는 다수개의 조명기들과, 상기 제 1구동모터들과 전기적으 로 연결되어, 상기 제 1구동모터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 1구동모터들을 구동하기 위한 제 1원격신호가 발생되는 원격송신부 및 상기 조명기들 각각에 마련되며, 상기 제 1원격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 1구동모터들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1수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 1원격신호의 횟수에 따라 상기 제 1수신부가 마련된 상기 조명기의 승강동작을 반복시킨다.
그리고, 상기 원격송신부는 제 2원격신호가 발생되며, 상기 제 1수신부는 상기 제 2원격신호가 수신되어 상기 제어부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 2원격신호의 수신유무에 따라 상기 제 1구동모터들 각각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조명기들을 승강중에 정지동작을 반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기들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진 제 3원격신호를 감지하는 제 2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원격송신부는 상기 조명기들 각각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별로 배치된 버튼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버튼부에서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가진 제 3원격신호를 발생시키면, 상기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가진 상기 제 3원격신호가 감지되는 제 2수신부는 상기 제 3원격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제 2수신부가 마련된 상기 조명기를 승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1원격신호는 레이져 광이며, 상기 제 2원격신호와 상기 제 3원격신호는 적외선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격송신부는 상기 제 1원격신호와 상기 제 2원격신호 및 상기 제 3원격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조명기들 각각은 상기 케이블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그 상단 테두리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연결브라켓이 마련되되,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케이블의 외면을 감싸는 탄성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르는 조명기 승강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명기 승강장치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기 승강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는 조명기들의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조명기 승강장치는 극장 또는 체육관과 같은 공간의 내부에서 고소의 위치된 기준천장(100)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제 1구동모터들(110)이 구비된다. 상기 제 1구동모터들 각각(110)은 제 1모터축(111)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1구동모터들 각각(110)의 제 1모터축(111)은 모터동작과 연동되는 제 1권취롤러(12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권취롤러(12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제 1가이드롤러(13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권취롤러(120)의 외면에는 로프와 같은 제 1케이블(140)의 일단이 고정되어 일정 회수로 외감된다. 상기 제 1케이블(140)의 타단은 상기 제 1가이드롤러(130)에 안내되어 가동방향이 전환된다. 상기 제 1가이드롤러(130)의 타단에는 조명등(210)이 장착된 조명기(200)가 설치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천장(100)에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조명기들(200)이 배치된다.
상기 조명기들 각각(200)은 수신부(310)가 장착된다. 상기 수신부(310)는 다수개의 램프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램프들은 상기 조명기들 각각(200)의 저면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명기 승강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원격송신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신부(310)는 제 1수신부(311)와 제 2수신부(312)와 제 3수신부(313)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 1수신부(311)는 제 1원격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제 2수신부(312)와 상기 제 3수신부(313)는 각각 제 2, 3원격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원격신호는 광의 직진성이 높은 레이져 광이고, 상기 제 2원격신호는 일정 주파수 대역을 이루는 제 1주파수신호이며, 상기 제 3원격신호는 상기 제 1주파수 신호의 대역을 제외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 2주파수 신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각 수신부들(310)은 무선통신 가능한 원격송신부(400)로부터 상기 제 1,2,3원격신호를 전송받는다.
상기 원격송신부(400)는 송신부몸체(401)와, 상기 송신부몸체(401)에 배치된 제 1선택버튼(410)과, 제 2선택버튼(420)과, 제 3선택버튼(430)이 장착된다. 상기 제 3선택버튼(430)은 버튼부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 1,2,3선택버튼(410,420,430) 중 어느 하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어주는 선택모드버튼(440)이 구비된다. 이에 더하여, 하기 구성에서 설명될 조명기 승강높이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450)가 장착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선택버튼(410)은 제 1선택부(4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선택부(415)는 제 1수신부(311)에서 감지되는 레이져 광과 같은 제 1원격신호가 발산되는 제 1램프(417)가 구비된다.
상기 제 2선택버튼(420)은 제 2선택부(4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2선택부(425)는 제 2수신부(312)에서 감지되는 상기 제 1주파수 신호와 같은 제 2원격신호가 발산되는 제 2램프(427)가 구비된다.
상기 제 3선택버튼(430)은 제 3선택부(4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3선택부(435)는 제 3수신부(313)에서 감지되는 상기 제 2주파수 신호와 같은 제 3원격신호가 발산되는 제 3램프(437)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 3선택버튼(430)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 2주파수 신호를 개별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버튼들(431)으로 구성된다. 상기다수개의 버튼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명기들(200)의 배열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조명기들(200)의 인식번호에 대한 상기 인식번호가 있는 버튼들(431)일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수신부(310)는 상기 제 1구동모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 기 제 1,2,3수신부 각각(311,312,313)은 상기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1수신부(311)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 1원격신호(이하, 레이져 광이라 함)의 횟수에 따라 상기 제 1수신부(311)가 마련된 상기 조명기(200)의 승강동작을 반복시키도록 프로그램밍된다. 즉,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제 1구동모터(110)를 구동방향이 전환되도록 반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권취롤러(120)의 회전방향이 반복되어 바뀔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 1권취롤러(120)에 권취된 제 1케이블(140) 타단에 장착된 조명기(200)의 승강동작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2수신부(312)에서 수신되는 제 2원격신호의 수신회수에 따라 상기 제 2수신부(312)가 마련된 상기 조명기(200)의 승강시 정지동작이 반복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2수신부(312)의 제 2원격신호의 수신횟수에 따라 상기 제 1구동모터(110)를 정지 또는 구동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제 3수신부(313)에서 수신되는 특정 주파수를 갖는 제 3원격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특정 주파수가 수신된 상기 제 3수신부(313)가 설치된 조명기(200)를 승강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1구동모터(110)의 제 1모터축(111)에 설치된 엔코더(1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엔코더(115)는 상기 제 1모터축(111)의 회전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엔코더(115)로부터 산출되는 회전속도로부터 상기 조명기(200)의 승강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조명기(200)의 승강위치는 상기 원격송신부(400)의 디스플레이(450)에 전기적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450)에서 표시하여 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조명기 승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기준천장(100)과 조명기들(200)의 사이에는 가동천장(60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천장(600)은 상기 조명기들(200)의 상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홀(610)이 형성된다. 상기 가동천장(6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케이블(620)로 연결되되, 상기 제 2케이블(620)은 그 일단이 상기 기준천장(100)에 설치된 제 2가이드롤러(630)에 의해서 그 롤링방향이 안내되고, 상기 기준천장(100)에 배치된 제 2권취롤러(640)에 일정회수 외감된다. 상기 제 2권취롤러(640)는 상기 기준천장(100)에 배치된 제 2구동모터(650)의 제 2모터축(651)과 축연결된다. 여기서, 엔코더(115)의 역할은 도 2에 도시된 엔코더(115)의 역할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천장(600)의 일부분에는 제 4수신부(660)가 마련된다. 상기 제 4수신부(660)는 레이져 광같은 제 4원격신호가 감지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원격송신부(400)에는 상기 제 4원격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4선택버튼(460)이 더 마련되고, 사기 제 4선택버튼(460)의 눌림동작으로 인하여 동작되는 제 4선택부(465)와 제 4램프(467)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4수신부(660)는 상기 제 4원격신호의 수신횟수에 따라, 상기 제 1,2구동모터(110,650)로 전기적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여 상기 제 1,2구동모터(110,650)의 승강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동천장(600)과 상기 가동천장(600)의 고정홀(610)에 고정된 다수의 조명기들(200) 모두는 동시 에 승강될 수 있다.
또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명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선 Ⅰ-Ⅰ'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조명기(200)는 상기와 같은 일정위치로 하강되어 위치되거나, 원위치로 복귀되는 경우에 그 충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케이블(140)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연결브라켓들(250)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브라켓들(250)은 상기 조명기(200)의 상단부 테두리부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된다. 상기 연결브라켓 각각(250)의 내측으로는 제 1케이블(140)이 관통되어 걸치어진다. 상기 연결브라켓 각각(250)을 관통한 제 1케이블(140)의 끝단은 서로 하나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브라켓(250)을 관통하여 걸치어진 제 1케이블(140)의 끝단은 상측의 제 1케이블(140)의 타단과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브라켓(250)의 내측에는 상기 제 1케이블(140)의 외면을 감싸도록 탄성재(255)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재(255)는 상기 연결브라켓(250)의 내부에서의 제 1케이블(140)과의 유격공간을 해소하고, 승강시 상기 제 1케이블(140)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연결브라켓들(250)은 조명기의 상단부 테두리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조명기(200)의 균형을 용이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르는 조명기 승강장치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무대와 같은 공연장의 기준천장(100)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조명기들(20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명기들(200) 중 어느 하나를 보수하기 위하여 선택되는 조명기(200)를 하강시켜 일정위치로 하강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는 유지 보수가 필요한 조명기들(200)을 선택한다. 상기 유지보수가 필요한 조명기(200)는 하나일 수도 있고 다수개일 수도 있다.
이어, 작업자는 원격송신부(400)에 마련된 제 1램프(417)가 유지보수가 필요한 조명기(200)의 제 1수신부(311)를 가리키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 1선택버튼(410)을 누른다. 상기 눌리어진 제 1선택버튼(410)은 제 1선택부(415)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 1선택부(415)는 제 1램프(417)를 통하여 제 1원격신호인 레이져 광을 발산시킨다. 상기 발산된 레이져 광은 선택된 조명기(200)에 마련된 제 1수신부(311)에서 수신된다. 상기 제 1수신부(311)는 상기 레이져 광이 수신된 이후에, 제어부(500)로 전기적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제 1구동모터(11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 1구동모터(110)는 제 1모터축(111)을 일정속도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 1모터축(111)에 축연결된 제 1권취롤러(120)가 회전된다. 상기 제 1권취롤러(120)에 외감된 제 1케이블(140)은 풀리어지게 된다. 상기 풀리어지는 제 1케이블(140)은 제 1가이드롤러(130)에 의하여 안내된다. 상기 안내되는 제 1케이블(140)의 타단에 연결된 조명기(200)는 점차적으로 하강된다. 상기 하강되는 조명기들(200)은 상기 제 1케이블(140)의 길이가 끝나는 시점에서 정지된다. 즉, 상기 작업자에 의하여 유지보수가 될 위치에서 정지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 조명기(200)의 유지보수 예컨데, 조명등(210)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는 등의 작업을 끝마친 이후에는, 상기 작업자는 상기 원격송신부(400)의 제 1램프(417)가 상기 조명기(200)의 제 1수신부(311)를 가리키도록 위치시키고, 상기와 동일하게 제 1선택버튼(410)을 눌러 제 1선택부(415)에 의해서 레이져 광이 발산되도록 한다. 이어, 상기 제 1구동모터(110)는 상기 동작과는 반대로 제 1모터축(111)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조명기(200)는 상승되어 원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유지보수가 필요한 조명기들(200)을 선택하여, 조명기들(200)에 각각 설치된 제 1수신부(311)에 레이져 광을 직접적으로 조사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이 조명기들 각각(200)의 승강동작을 반복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조명기(200)의 하강동작 도중에, 제 1수신부(311)에서 레이져 광이 수신되면, 상기 조명기(200)는 다시 상승될 수 있다.
한편, 제 1구동모터(110)의 제 1모터축(111)에 설치된 엔코더(115)는 상기 제 1모터축(115)의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검출되는 회전속도에 의하여 상기 하강 또는 상승되는 조명기(200)의 승강높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되는 조명기(200)의 승강높이는 원격송신부(400)의 디스플레이(450)에 수치등의 표시매체로 가시화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조명기(200)의 승강도중의 높이를 상기 디스플레이(450)에 의해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은, 레이져 광을 사용하여 선택된 조명기(200)를 승강시키는 동작을 설명하였다.
이에 더하여, 상기 조명기들(200)의 상단부는 그 테두리부에 제 1케이블(140)이 걸치어진 연결브라켓(250)이 사방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브라켓(250)의 내부에 마련된 우레탄과 같은 탄성재(255)가 상기 제 1케이블(140)을 감싸기 때문에, 일정 위치로 하강되어 위치되거나 상승되어 위치되어 정지되는 경우에, 이로 인한 충격이 용이하게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250)이 상기 조명기(200)의 상단부 테두리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상기 조명기(200)의 수평을 유지하는데에도 용이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조명기들(200)은 하강 또는 상승되는 도중에 정지 동작이 반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원격송신부(400)에서 제 2선택버튼(420)을 누른다. 상기 제 2선택버튼(420)은 제 2선택부(425)를 동작시킨다. 상기 제 2선택부(425)는 기설정된 일정 주파수 대역을 이루는 제 2원격신호인 제 1주파수 신호를 제 2램프(427)를 통하여 발생시킨다. 상기 제 2원격신호는 상기 승강동작중인 조명기(200)에 설치된 제 2수신부(312)에서 수신된다. 이때, 제어부(500)는 제 1구동모터(110)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따라서, 조명기(200)의 승강 또는 하강 도중에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기(200)의 상승 또는 하강 도중에 정지되는 상기 조명기(200)의 높이는 디스플레이(450)에서 가시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개의 조명기들(200)을 선택적으로 유지보 수시킴과 아울러, 상기 조명기들 각각(200)의 상기 기준천장(100)으로부터의 설치위치를 서로 다르게 배치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원격송신부(400)에 마련된 제 3선택부(430)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 3선택부(430)는 다수개의 버튼들(431)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들(431)의 배치는 상기 기준천장(100)에 배치된 조명기들(200)의 배치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기들(200)의 인식번호가 기입된 버튼들(431)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3번 조명기(200)를 유지보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3번의 인식번호가 기입된 버튼(431)을 누르면, 제 3선택부(435)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가진 제 2주파수 신호인 제 3원격신호는 제 3램프(437)를 통하여 발생된다. 상기 제 3원격신호는 3번 조명기(200)에 마련된 제 3수신부(313)에서 수신된다. 이하의 상기 3번 조명기(200)의 승강동작과 정지반복동작 및 승강높이에 대한 동작은 상기에 언급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n X m 행렬로 이루어진 조명기들(200) 각각에 설치된 제 3수신부들(313)은 상기 조명기들의 개수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 3원격신호를 인식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조명기들(200)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또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조명기들(200)과, 상기 조명기들(200)이 고정된 고정홀들을 갖는 가동천장을 동시에 하강시키어, 상기 가동천장을 유지 보수할 수도 있다.
먼저, 도 4 및 도5를 참조하면, 원격송신부(400)에 마련된 제 4선택버 튼(460)을 누른다. 상기 제 4선택버튼(460)은 제 4선택부(465)를 동작시키고, 제 4램프(467)를 통하여 제 4원격신호인 레이져 광이 발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산되는 제 4원격신호는 상기 가동천장의 일측에 설치된 제 4수신부를 가리키도록 한다.
이어, 상기 제 4수신부가 상기 제 4원격신호를 인식하면, 상기 제 4수신부는 상기 제어부(50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1,2가동모터들(110)을 동시에 동작시킨다. 따라서, 상기 조명기들(200)을 포함한 상기 가동천장의 승강동작을 연동시킬 수 있다.
이하의 상기 조명기들(200) 및 상기 가동천장의 승강동작은 상기에 언급된 바와 동일하게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에 언급된 제 1,2,3,4선택버튼(410,420,430,460)을 통한 선택부들(415,425,435,465)의 동작은 원격송신부(400)에 마련된 센택모드버튼(440)을 사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선택모드버튼은 ①,②,③,④의 위치로 전환되면서, 상기 제 1,2,3,4선택버튼(410,420,430,460)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수신부(311)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에, 제 3수신부(313)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어, 어느 하나의 선택부가 고장이 발생된 경우에 다른 선택부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조명기에 대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개의 조명기들 중 보수작업이 필요한 조명기만을 직접적으로 원격으로 지시하여 승강시킬 수 있어, 목적하고자하는 조명기만 을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명기들의 설치 높이를 서로 다르도록 용이하게 조절하여 설치 공간내에서 상기 조명기들로 인한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명기들이 보수위치로 하강되어 위치되거나, 보수작업 후에 원위치로 상승되어 위치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조명기들을 원격으로 승강시키는 경우에 다수의 선택모드를 두어, 하나의 모드가 이상이 발생되면 다른 모드로 선택되도록 하여 즉시 대처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하여 보수작업이 지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조명기들을 선택적으로 유지보수하는데 투입되는 인력 비용을 포함한 유지보수 비용을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기준천장에 설치되는 제 1구동모터들;
    상기 제 1구동모터들에 연결된 제 1케이블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1구동모터들의 구동에 따라 일정 높이 범위에서 승강되는 다수개의 조명기들;
    상기 조명기들의 테두리가 고정되는 고정홀들이 형성되고, 제 2케이블로 연결되며, 상기 기준천장과 상기 조명기들의 사이에 위치되는 가동천장;
    상기 기준천장에 설치되며, 상기 제 2케이블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 2구동모터들;
    상기 제 1구동모터들과 상기 제 2구동모터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구동모터들과 상기 제 2구동모터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 1구동모터들을 구동하기 위한 제 1원격신호가 발생되며, 상기 제 2구동모터들을 구동하기 위한 제 4원격신호가 발생되는 원격송신부;
    상기 조명기들 각각에 마련되며, 상기 제 1원격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 1구동모터들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1수신부;
    상기 가동천장에 마련되며, 상기 제 4원격심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 2구동모터들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4수신부;
    상기 조명기들 각각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진 제 3원격신호를 감지하는 제 3수신부; 및
    상기 원격송신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기들 각각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 3원격신호를 상기 제 3수신부로 전송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 1원격신호의 횟수에 따라 상기 제 1수신부가 마련된 상기 조명기의 승강동작을 반복시키고,
    상기 원격송신부는 상기 제 4원격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 4수신부는 상기 제 4원격신호가 수신되어 상기 제어부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4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 4원격신호의 수신유무에 따라 상기 제 1,2구동모터들 각각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조명기들 및 상기 가동천장을 동시에 승강시키며,
    상기 버튼부에서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가진 제 3원격신호를 발생시키면, 상기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가진 상기 제 3원격신호가 감지되는 제 2수신부는 상기 제 3원격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제 2수신부가 마련된 상기 조명기를 승강시키며,
    상기 조명기들 각각은 상기 제 1케이블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그 상단 테두리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연결브라켓이 마련되되,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제 1케이블의 외면을 감싸는 탄성재가 더 구비되는 조명기 승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들 각각은 제 2원격신호를 감지하는 제 2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원격송신부는 상기 제 2원격신호가 발생되며, 상기 제 2수신부는 상기 제 2원격신호가 수신되어 상기 제어부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 2원격신호의 수신유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들 각각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조명기들을 승강중에 정지동작을 반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 승강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원격신호와 상기 제 4원격신호는 레이져 광이며, 상기 제 2원격신호와 상기 제 3원격신호는 적외선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 승강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송신부는 상기 제 1원격신호, 상기 제 2원격신호, 상기 제 3원격신호 및 상기 제 4원격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 승강장치.
  7. 삭제
KR1020060087561A 2006-09-11 2006-09-11 조명기 승강장치 KR100686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561A KR100686476B1 (ko) 2006-09-11 2006-09-11 조명기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561A KR100686476B1 (ko) 2006-09-11 2006-09-11 조명기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6476B1 true KR100686476B1 (ko) 2007-02-26

Family

ID=3810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561A KR100686476B1 (ko) 2006-09-11 2006-09-11 조명기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64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942B1 (ko) 2008-07-28 2008-10-30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공용 조명기형 제어반
KR100867207B1 (ko) 2008-07-25 2008-11-06 목원전기설계(주) 공동주택의 실내조명용 전기구 설치대
KR100866152B1 (ko) 2008-07-28 2008-11-06 (주)정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공용전등 설치대
CN107940344A (zh) * 2017-12-05 2018-04-20 贵阳锐航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更换灯泡的灯座
KR20190012078A (ko) * 2017-07-26 2019-02-08 전대훈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602A (ko) * 2004-07-16 2005-05-11 손병옥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602A (ko) * 2004-07-16 2005-05-11 손병옥 자동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207B1 (ko) 2008-07-25 2008-11-06 목원전기설계(주) 공동주택의 실내조명용 전기구 설치대
KR100865942B1 (ko) 2008-07-28 2008-10-30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공용 조명기형 제어반
KR100866152B1 (ko) 2008-07-28 2008-11-06 (주)정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공용전등 설치대
KR20190012078A (ko) * 2017-07-26 2019-02-08 전대훈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KR101960601B1 (ko) * 2017-07-26 2019-07-15 전대훈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CN107940344A (zh) * 2017-12-05 2018-04-20 贵阳锐航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更换灯泡的灯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6476B1 (ko) 조명기 승강장치
US8436552B2 (en) Power source control device of illuminator and lighting system
JP6887047B2 (ja) 照明システム
CA2627946C (en) Method and system for three-dimensionally staging
US11473762B2 (en) Luminaire apparatus having air cleaner attached thereto, which is connected by wires and cables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KR100908687B1 (ko) 합선방지용 배전선 인입대
KR101136097B1 (ko) 오토리프팅 기능을 갖는 자동승강 조명장치
KR101601946B1 (ko) 조명 시스템
KR100971548B1 (ko) 유무선 통신을 통한 광역 조명 시스템
KR101071363B1 (ko) 무대설비 승,하강용 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 자동 검출 및 모터구동 제어장치
KR102064170B1 (ko) 인체 감지형 리프팅 구조를 가진 조명기구
KR200445923Y1 (ko) 화재감지센서유닛 승강 시스템
JP2003077334A (ja) 昇降装置
KR200296259Y1 (ko) 무선 승강조명기
KR100880036B1 (ko) 구동부의 원격 및 현장제어 일체형 무대장치
KR100949589B1 (ko) 경관조명의 다양한 색상 및 모양을 동시에 연출할 수 있는 무선제어장치
KR20130057084A (ko) 화재경보장치
KR200389280Y1 (ko) 승강 가능한 트랙 이동식 조명 시스템
KR200405174Y1 (ko) 조명기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KR100609448B1 (ko) 카고 크레인에 탑재된 조명 설비의 원격제어장치
KR101581128B1 (ko) 무대조명제어콘솔의 디머 페이더를 이용한 무대기계장치의 위치제어장치
JP2023048589A (ja) 誘導灯
KR102655868B1 (ko) Led 조명등
KR101224243B1 (ko) 스코어보드의 게임운영정보 제어시스템
KR101960602B1 (ko) 조도 기반의 조명 높이 조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