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844A - 냉이로부터 추출된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냉이로부터 추출된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844A
KR20190011844A KR1020170093855A KR20170093855A KR20190011844A KR 20190011844 A KR20190011844 A KR 20190011844A KR 1020170093855 A KR1020170093855 A KR 1020170093855A KR 20170093855 A KR20170093855 A KR 20170093855A KR 20190011844 A KR20190011844 A KR 20190011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actic acid
kctc
lactobacillus
chitos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2838B1 (ko
Inventor
채희정
이지혜
최지영
유정민
김연아
명호진
이주미
안영훈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3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838B1/ko
Publication of KR20190011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72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5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562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571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0Preserving against microb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Chitin, chitos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Y2220/0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이로부터 추출된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이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분을 많이 함유하는 식품의 곰팡이를 예방 및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냉이로부터 추출된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Fung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from Capsella bursa-pastori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이로부터 추출된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이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존료란 넓은 의미로 식품의 변질, 부패, 변색 및 화학변화를 방지하여 식품의 영양가와 신선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물로서 살균제, 산화방지제가 포함되며, 좁은 의미로는 세균, 곰팡이, 효소 등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식품을 보존하는 첨가물을 말한다. 보존료는 합성보존료와 천연보존료로 구분이 되는데, 합성보존료는 식품의 미생물에 의한 부패를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식품첨가물 중 화학적 합성품을 말하며 안전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많이 이용되는 합성보존료로 데히드로초산, 소르빈산, 안식향산 등이 있다. 천연보존료는 천연에서 유래한 항균제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어 항균효과와 생리활성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많이 이용되는 천연보존료로는 자몽종자추출물, 허브추출물 등이 있다.
진균(곰팡이)은 균류 중 진균류에 속하는 미생물로, 실처럼 길고 가는 모양의 균사로 되어 있는 사상균을 말한다. 주로 온난다습한 환경에서 잘 자라며, 최적 온도는 30℃이다. 곰팡이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으며, 떡이나 빵 등의 식품, 구두 등의 가죽제품, 주택의 벽면, 사람의 피부 등 다양한 곳에 존재한다. 식품에서는 건조, 염장, 냉장, 냉동 등의 방법으로 곰팡이 발생을 막고 있다.
자몽종자추출물(Grapefruit seed extract, GSE)은 운향과 자몽의 종자를 물, 에탄올 또는 글리세린으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주 성분은 지방산과 플라보노이드이다. (식품첨가물공전, 2016)
자몽종자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 중 하나인 나린진(naringin)등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미생물의 세포벽 및 세포막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효소 활성을 저해하여 DNA/RNA에서 비롯되는 세포증식기작을 억제한다. 또한 대장균, 포도상구균, 콜레라균 등 식중독 균에 모두 항균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는 보존료이다. 균주에 따라 저해량이 다른데, 일반적으로 세균은 100~500ppm, 곰팡이는 1000ppm이다. 자몽종자추출물은 점성이 있고, 약간 특이한 냄새와 쓴맛을 가지고 있어 식품에 적용 시 제한적이다.
유산균은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며 탄수화물을 혐기적으로 이용하여 유산을 생산한다. 유산균이 발견되는 자연환경은 다양한데, 사람이나 동물의 장내에 존재할 뿐 아니라, 다양한 채소와 과일에서도 발견되며 요구르트, 우리나라의 김치 등 발효식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발효가 되면서 생산되는 박테리오신에 의한 항균작용이 알려져 있다. 유산균 종류 중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은 배양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pH가 낮아진다. 페디코커스(Pediococcus)속의 경우 배양됨에 따라 pH 3.9~4.0인 반면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은 pH 3.7~3.8로 낮은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되었다. (김치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항균활성 우수 유산균 선발, 2014). 또한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속과 항균활성을 비교하였을 때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idophilus)가 가장 억제환이 컸으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casei),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longum)순이었다. 실험을 통해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이 항균활성이 높다고 보고되었다. (유산균에 의한 에셰키리아 콜리(Escherichia coli ) 와 살모넬라 티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의 생육억제에 관한 연구, 2002).
기존에 알려진 천연보존료(키토산, 폴리리신 등)를 본 연구에서 발굴한 천연소재와 병합처리한 기술개발의 신규성을 제시하였다.
키토산은 천연(게, 새우, 갑각류)에 존재하는 키틴을 탈아세틸화시킨 물질로서 글루코사민이 β-1,4로 결합된 천연고분자 다당류이다. 키토산은 천연제로 키토산 자체가 항균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항균력이 일정하지 않고 약한 산성용액에 녹여야만 이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폴리리신은 방선균(Streptomyces albulus)이 생성하는 강염기성 천연 물질로서 아미노산(L-Lysine)이 25~35개로 결합되어 있고, 양(+)이온의 전하를 띠고 있다. 폴리리신이 음(-)이온의 전하를 띠고 있는 미생물의 세포막과 이온 결합하여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함으로서 항균력 기작을 가지고 있다.
냉이(Capsella bursa- pastoris)란 겨자과에 속하는 월년초로 들이나 밭에서 자라며, 온대지방에 분포한다. 성분은 수분 81.5%, 단백질 7.3%, 탄수화물 5.6%, 섬유 2.0%, 무기질 2.7%이며, 칼슘과 인은 각각 116mg, 104mg이 함유되어 있다. 생약명으로 제채, 향선채라고도 하며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냉이의 식용부위별 휘발성 향기성분, 1996). 「증보신림경제」에서 냉이는 오장을 이롭게 하고 죽으로 먹으면 간에 이롭고 눈을 밝게 한다고 등재되어 있으며, 중국에서도 홍역의 예방을 위해 예부터 사용되어 왔다. (냉이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효과, 2012). 냉이는 특유의 향이 있어 식욕을 돋구어 주는데, 냉이의 향기성분으로는 부위별로 상이한 것을 연구결과를 통해 밝혀졌다. 뿌리 부위의 경우 ethyl benzene, hexanal, cyclobexanone, ethyl acetate 등 함유되어 있고, 잎 부위는 α-pinene, pentadecane, trans-2-tridecena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주로 냉이에서 나는 향은 잎에 함유되어 있는 향기 성분인 myrcene, terpinolene 등이다.
본 발명은 수분을 많이 함유하는 식품의 곰팡이를 예방 및 억제 하는 항진균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효과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이를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에탄올은 농도가 7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진균 조성물에 유산균, 키토산 및 폴리리신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KCTC 33307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냉이를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에탄올은 농도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냉이추출물에 유산균, 키토산 및 폴리리신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KCTC 33307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냉이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곰팡이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진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 제조방법은 냉이 에탄올 추출물, 유산균, 키토신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한번에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냉이 에탄올 추출물, 유산균발효액, 키토산,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복합물의 농도에 따른 각 균주별 최소억제농도(MIC)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냉이 에탄올 추출물, 유산균발효액, 키토산,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복합물의 Rhizopus oryzae KCTC 6940 균주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의 측정결과를 pH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냉이 에탄올 추출물, 유산균발효액, 키토산,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복합물의 Aspergillus niger KCTC 6971 균주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의 측정결과를 pH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냉이 에탄올 추출물, 유산균발효액, 키토산,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복합물의 Penicillium citrinum KCTC 6990 균주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의 측정결과를 pH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냉이 에탄올 추출물, 유산균발효액, 키토산,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복합물의 Debaryomyces hansenii KCTC 27008 균주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의 측정결과를 pH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냉이 에탄올 추출물, 유산균발효액, 키토산,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복합물의 Pichia menbranitaciens KCTC 27403 균주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의 측정결과를 pH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냉이 에탄올 추출물, 유산균발효액, 키토산,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복합물과 냉이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식빵의 곰팡이 발생일수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냉이 에탄올 추출물, 유산균발효액, 키토산,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복합물과 냉이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떡의 곰팡이 발생일수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냉이 에탄올 추출물, 유산균발효액, 키토산,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복합물과 냉이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시럽의 곰팡이 발생일수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진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냉이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해 고수분식품에서의 항진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냉이 에탄올 추출물과 유산균을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은 냉이에탄올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한 조성물에 비해 항진균 활성이 뛰어나므로 곰팡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냉이 에탄올 추출물과 유산균, 키토산, 폴리리신을 모두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상기 방법은 냉이를 70%농도에 에탄올에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냉이 에탄올 추출물을 단독으로 준비하는 방법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보다 효율적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냉이 추출물(Capsella bursa- pastoris extract)"은 넓게는 냉이에서 비롯된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구체적으로는 냉이를 70%농도의 에탄올으로 추출한 액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유산균"은 당류를 발효하여 에너지를 획득하고 다량의 락트산(lactic acid)을 생성하는 세균을 총칭한다. 일반적으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락토코커스(Lactococcus), 류코노스톡(Leuconostoc),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속 균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키토산은 갑각류에 존재하는 키틴을 탈아세틸화 시킨 물질을 총칭한다. 본 발명에서는 항균력이 있는 유화제 역할을 기대할 수 있고, 약산성에 녹는 성질 때문에 유산균 상등액과 함께 사용할 경우 용해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폴리리신은 방선균(Streptomyces albulus)이 생성하는 강염기성 천연 물질로서 아미노산(L-Lysine)이 25-35개로 결합되어 있고, 양(+)이온 전하를 띠고 있는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리움(Lactobacillus plantarum) (KCCM11322),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KCCM40264),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어스 서브스페이스. 살리시니어스(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 (KCCM40998),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리움 SJC 001(Lactobacillus plantarum SJC 001) (KCCM40962), 락토바실러스 컬바투스 C3(Lactobacillus curvatus C3) (KCCM43009),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WIKIM50(Lactobacillus sakei WIKIM50) (KCCM43213),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KCTC33071), 보유특허균 (KACC91459P)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고수분 식품에 자주 발생하는 곰팡이를 조사하여 제어대상으로 리조푸스 오리제(Rhizopus oryzae) (KCTC 6940),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KCTC 6971), 페니실리움 시트리눔(Penicillium citrinum) (KCTC 6990), 디바리오마이세스 한세니(Debaryomyces hansenii) (KCTC 27008), 피치아 멘브레니타시엔(Pichia menbranitaciens) (KCTC 27403) 다음과 같은 5종의 곰팡이를 선정하고, 이들 5종의 균주에 대해 곰팡이 저해실험을 진행해 대조군과 개발된 시료를 사용하여 곰팡이가 생기는 시간, 개수, 클린존의 크기 등을 비교하여 효과를 검증했다. 최소저해농도(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을 측정해 그 결과를 확인했다. 또한 활성 안정성 평가를 위해서 추출물과 상기 5종의 균주에서의 pH안정성 평가를 진행 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가 그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 천연 추출물 제조
소재를 물로 깨끗이 세척하고 24시간동안 40℃에서 저온건조 하였다. 추출물 제조를 위해 냉이와 용매(DW, 70% 에탄올)를 1:5의 비율로 24 시간 동안 저온추출하고 저온추출한 추출물에 다시 동일량의 용매를 가하여 60℃에서 4시간 진탕 추출하였다. 제조된 추출물은 감압여과하고 실린지 필터(syringe filter)로 제균하였다.
실시예2 : 추출물의 곰팡이 생장 최소 억제 농도 평가( MIC )
곰팡이 포자 현탁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감자즙 배지(potato dextrose agar, PDA)에서 배양해 놓은 곰팡이를 백금이로 긁어 멸균생리식염수에 현탁하여 포자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현탁액과 염색약을 1:1로 염색하고 헤마사이토메타(haemacytometer)에 주입하여 현미경으로 포자수를 계수하여 포자수를 (1~9)X105로 맞추었다.
각 곰팡이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는 96 well plate 내에서 시료 추출물, 곰팡이 포자 현탁액, 감자 추출 배지(potato dextrose broth, PDB)를 96 well plate 1 : 1 : 1로 주입한 후 25℃에서 배양하면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12시간마다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곰팡이의 성장이 나타나지 않는 시료의 가장 낮은 농도로 결정하였다.
소재 리조푸스 오리제
Rhizopus
oryzae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Aspergillus
niger
페니실리움 시트리눔
Penicillium citrinum
디바리오마이세스 한세니
Debaryomyces
hansenii
피치아 멘브레니타시엔
Pichia
menbranitaciens
자몽DW - - - - -
자몽EtOH - - - - -
블루베리
DW
- - - - -
블루베리
EtOH
- - - - -
석류DW - - - - -
석류EtOH - - - - -
당근DW - - - - -
당근EtOH - - - - -
냉이DW - + + - -
냉이EtOH - ++ + + ++
달래DW - + + - -
달래EtOH - ++ + + -
상기 [표 1]에서 본 발명의 항진균 효능은 냉이 70% ethanol 추출물에서 넓은 균주에 대하여 상당한 항진균력이 있는 것으로 보고 냉이 추출물을 선정 하였다.
실시예3 : 유산균 선정 실험
앞서 선정한 냉이 추출물과 병합처리에 의한 항진균 활성의 상승 효과를 위해 항균 물질인 박테리오신을 생성하는 유산균을 선별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유산균 배양액 상등액은 액체배양된 유산균을 원심분리기에 5000rpm에서 10분간 돌려 상등액을 분리하여 유산균체는 버리고 발효산물이 남은 상등액만 사용하였다.
각 곰팡이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는 96 well plate 내에서 냉이 추출물, 곰팡이 포자 현탁액, 감자 추출 배지(potato dextrose broth, PDB)를 96 well plate에 1 : 1 : 1로 주입한 후 25℃에서 배양하면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12시간마다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곰팡이의 성장이 나타나지 않는 시료의 가장 낮은 농도로 결정하였다.
유산균주 리조푸스오리제
( Rhizopus
oryzae )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 Aspergillus
niger)
페니실리움
시트리눔
( Penicillium citrinum)
디바리오마이세스 한세니
( Debaryomyces
hansenii )
피치아
멘브레니타시엔
( Pichia
menbranitaciens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리움
(Lactobacillus plantarum )
(KCCM11322)
- + +++ - -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
(KCCM40264)
- + - - -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어스
서브스페이스. 살리시니어스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 salicinius )
(KCCM40998)
- ++ +++ -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리움 SJC 001
(Lactobacillus plantarum SJC 001)
(KCCM40962)
+ ++ +++ - +
락토바실러스 컬바투스 C3
(Lactobacillus curvatus C3)
(KCCM43009)
- + +++ - -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WIKIM50
(Lactobacillus sakei WIKIM50)
(KCCM43213)
- - +++ - -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 )
(KCTC33071)
++ + +++ +++ +
보유특허균
(KACC91459P)
- - +++ - -
상기 [표 2]에서 본 발명의 항진균 효능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KCTC 33071)가 넓은 균주에 대하여 상당한 항진균력이 있는 것으로 보고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KCTC 33071)를 선정 하였다.
실시예4 : 유산균 복합물과 천연보존료의 병합으로 인한 항진균 증진 효과
냉이추출물과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KCTC 33071)의 발효 상등액, 천연 첨가물로 인정되어 있는 폴리리신 그리고 천연 항균제인 키토산을 병합처리할 경우 항진균력이 강화되는지 여부를 검토해 보았다.
복합물(이하, 조성물과 균등한 개념으로 사용함) 소재
가. 항진균 소재 추출물 : 냉이 70% Ethanol 추출물
나. 사용 유산균 균주
유산균 스크리닝 중 가장 높은 항진균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KCTC 33071)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다. 키토산
키토산은 천연(게, 새우, 갑각류)에 존재하는 키틴을 탈아세틸화시킨 물질로서 글루코사민이 β-1,4로 결합된 천연고분자 다당류이다. 키토산은 천연제로 키토산 자체가 항균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항균력이 일정하지 않고 약한 산성용액에 녹여야만 이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처방에 사용할 경우 항균력이 있는 유화제 역할을 기대할 수 있고 약산성에 녹는 성질 때문에 유산균 상등액과 함께 사용할 경우 용해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키토라이프가 생산하는 키토산분말(KL-245)을 사용하였다.
라. 폴리리신
폴리리신은 방선균(Streptomyces albulus)이 생성하는 강염기성 천연 물질로서 아미노산(L-Lysine)이 25~35개로 결합되어 있고, 양(+)이온의 전하를 띠고 있다. 폴리리신이 음(-)이온의 전하를 띠고 있는 미생물의 세포막과 이온 결합하여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함으로서 항균력 기작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신승하이켐이 생산하는 폴리리신(50P)을 사용하였다.
No. A B C D
1 50 50 0 0
2 33 33 0 33
3 33 33 33 0
4 25 25 25 25
5 50 0 0 50
A : 냉이추출물(고형분 20brix)
B : 유산균 발효액(107 pH 3.6)
C : 키토산(1%)
D : 폴리리신(2%)
상기 [표 3]의 배합비에 따라 최소억제농도(MIC)를 측정 하였다.
1 2 3 4 5
리조푸스 오리제
( Rhizopus oryzae )
+ ++++ + ++++ ++++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 Aspergillus niger)
++++ +++ +++ ++++ ++++
페니실리움 시트리눔
( Penicillium citrinum )
++ +++ +++ ++++ +
디바리오마이세스 한세니
( Debaryomyces hansenii )
+++ +++ +++ ++++ ++++
피치아 멘브레니타시엔
( Pichia menbranitaciens )
+ ++++ ++++ ++++ +++
상기 [표 4]에서 곰팡이 리조푸스 오리제(Rhizopus oryzae) (KCTC 6940),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KCTC 6971), 페니실리움 시트리눔(Penicillium citrinum) (KCTC 6990), 디바리오마이세스 한세니(Debaryomyces hansenii) (KCTC 27008) 및 피치아 멘브레니타시엔(Pichia menbranitaciens) (KCTC 27403) 5종에 대하여 항진균력이 모두 나타나지만 그 중에서도 A, B, C, D를 모두 넣은 4번의 배합비의 항진균력이 뛰어났다.
본 발명의 항진균 소재는 냉이 추출물, 유산균 상등액, 키토산, 폴리리신의 복합물(25:25:25:25)이 총 5종의 곰팡이에 대한 광범위한 항진균력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복합물을 SLCP 복합물이라 칭하고 이후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5 : 선정된 복합물( SLCP ) MIC 측정
상기에서 제조한 복합물의 농도에 따른 항진균력 여부를 검토해 보았다.
농도에 따라 곰팡이 포자 현탁액을 사용하여 감자추출배지(PDB)를 넣고 배양하면서 시간 경과에 따른 흡광도를 측정하여 곰팡이의 최소저해농도인 MIC를 측정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살펴보면, 리조푸스오리제(Rhizopus oryzae) (KCTC 6940)를 대상으로 한 복합물 MIC값은 1650 ppm으로 나타났다.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Aspergillus niger) (KCTC 6971)를 대상으로 한 복합물 MIC값은 800 ppm으로 나타났다. 페니실리움 시트리눔(Penicillium citrinum) (KCTC 6990)를 대상으로 한 복합물 MIC값은 800 ppm으로 나타났다. 디바리오마이세스 한세니(Debaryomyces hansenii) (KCTC 27008)를 대상으로 한 복합물 MIC값은 800ppm으로 나타났다. 피치아 멘브레니타시엔(Pichia menbranitaciens ) (KCTC 27403)를 대상으로 한 복합물 MIC값은 800ppm으로 나타났다.
상기 상술한 바와 같이 SLCP 복합물의 리조푸스 오리제(Rhizopus oryzae) (KCTC 6940),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KCTC 6971), 페니실리움 시트리눔(Penicillium citrinum) (KCTC 6990), 디바리오마이세스 한세니(Debaryomyces hansenii) (KCTC 27008) 및 피치아 멘브레니타시엔(Pichia menbranitaciens) (KCTC 27403)에 대한 최소저해농도인 MIC는 800~1650 ppm으로 나타났다.
실시예6 : 선정된 복합물( SLCP ) MIC 측정
SLCP 복합물을 식품에 적용할 경우 식품의 pH 변화에 따른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SLCP 복합물의 pH를 0.1N NaOH, 0.1N HCl을 이용하여 pH 2, 4, 6, 8, 10으로 조정하고 24시간 이후에 본래 pH로 맞춘 다음 항진균 실험을 진행하여 pH 변화에 따라 항진균력에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도 2는 리조푸스오리제 (Rhizopus oryzae ) (KCTC 6940)를 대상으로 한 pH 안정성 실험으로 산성에서 알칼리(pH 2, 4, 6, 10) 조건까지 전체적으로 안정한 경향을 나타냈다.
도 3은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Aspergillus niger) (KCTC 6971)를 대상으로 한 pH 안정성 실험으로 중성에서 알칼리(pH 6, 8, 10) 조건까지 안정한 경향을 나타냈다.
도 4는 페니실리움 시트리눔(Penicillium citrinum ) (KCTC 6990)를 대상으로 한 pH 안정성 실험으로 산성에서 알칼리(pH 2, 4, 6, 8, 10) 조건까지 안정한 경향을 나타냈다.
도 5는 디바리오마이세스 한세니(Debaryomyces hansenii ) (KCTC 27008)를 대상으로 한 pH 안정성 실험으로 산성에서 알칼리(pH 2, 4, 6, 8, 10) 조건까지 안정한 경향을 나타냈다.
도 6은 피치아 멘브레니타시엔(Pichia menbranitaciens ) (KCTC 27403)을 대상으로 한 pH 안정성 실험으로 산성에서 알칼리(pH 2, 4, 6, 8, 10) 조건까지 안정한 경향을 나타냈다.
상기 실험결과를 통해 SLCP 복합물은 리조푸스 오리제(Rhizopus oryzae) (KCTC 6940),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KCTC 6971), 페니실리움 시트리눔(Penicillium citrinum) (KCTC 6990), 디바리오마이세스 한세니(Debaryomyces hansenii) (KCTC 27008) 및 피치아 멘브레니타시엔(Pichia menbranitaciens) (KCTC 27403) 다음과 같은 곰팡이 5종에 대하여 산성에서 알칼리 조건까지 광범위한 pH에 안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7 : 최종 항진균 복합물 시제품 적용실험-식빵
대표적인 고수분 식품 중 하나인 식빵에 제조 시 SLCP 복합물을 첨가하여 식빵의 보존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식빵을 제조 시 SLCP 복합물을 원료 중량 대비 0~2% 되도록 첨가하고 다음과 같은 배합비로 제조하였다. 완성된 식빵은 폴리에틸렌(PE) 재질의 지퍼백에 담아 보관하여 25℃ 배양기에서 곰팡이 증식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750 g 기준 1000 g 기준
200 g 270 g
버터 25 g 32 g
소금 4 g 6 g
설탕 25 g 32 g
밀가루 330 g 430 g
이스트 6 g 7 g
상기 [표 5]의 배합비로 1 kg기준 배합으로 제조하여 계량하였고 원료 중량을 기준으로 배합비를 계산하여 물 대신 SLCP 복합물을 넣어 반죽하였다. 대조군으로 냉이 추출물을 각각 1% 및 2% 첨가한 식빵을 제조하였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첨가 식빵의 경우 3일 후 곰팡이가 관찰되었고 냉이 추출물 1%는 4일, 냉이 추출물 2%와 SLCP 1%는 5일 이후 곰팡이가 발생하였으나 냉이 2%추출물의 경우 관능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SLCP복합물이 시제품 적용에 용이하다.
실시예8 : 최종 항진균 복합물 시제품 적용실험-떡
대표적인 고수분 식품 중 하나인 떡볶이 떡에 첨가하여 떡볶이 떡의 보존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제조 후 보존료 처리를 위하여 농도에 따른 SLCP 복합물 수용액에 30초간 침지한 후 겉면을 건조한 다음 폴리에틸렌(PE) 재질의 지퍼백에 담아 보관하며 25℃ 배양기에서 곰팡이 증식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떡에 보통 사용하는 주정 95%와 보존료의 대조군으로 자몽종자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첨가 떡볶이 떡과 자몽종자 추출물 첨가 떡볶이 떡의 경우 4일 후 곰팡이가 관찰되었고 각각 주정 95%, 냉이 추출물 1%, 0.1%, 0.01%, SLCP 1%, 0.1% 6일, SLCP 0.01% 5일 이후에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유통기한이 연장되었다.
실시예9 : 최종 항진균 복합물 시제품 적용실험- 초코시럽
대표적인 고수분 식품 중 하나인 식빵에 제조 시 SLCP 복합물을 첨가하여 식빵의 보존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초코소스를 제조 시 SLCP 복합물을 원료 중량 대비 1% 되도록 첨가하고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완성된 초코소스는 실제 제품에 사용하고 있는 HDPE제질의 통에 담아 보관하여 25℃ 배양기에서 곰팡이 증식 정도를 관찰하였다.
약 200g
액상과당 96 g 바닐린 0.2 g
36.94 g 잔탄검 0.1 g
설탕 48 g 검믹스 0.2 g
코코아분 18 g 후레쉬-디 0.1 g
정제소금 0.4 g 보존료(1%) 2 g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첨가 초코소스의 경우 8일 후, 소르빈산칼륨 1%는 9일 후 곰팡이가 발생하였다. 자몽종자추출물 1%, 냉이 1%, SLCP 1% 첨가 초코소스는 10일 후 곰팡이가 발생하여 유통기한이 연장되었다.

Claims (8)

  1. 냉이를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농도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진균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진균 조성물은 유산균, 키토산 및 폴리리신을 더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Lactobacillus paracasei(KCTC 333071)인 항진균 조성물.
  5. 냉이를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농도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진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유산균, 키토산 및 폴리리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진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Lactobacillus paracasei(KCTC 333071)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진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70093855A 2017-07-25 2017-07-25 냉이로부터 추출된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72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855A KR101972838B1 (ko) 2017-07-25 2017-07-25 냉이로부터 추출된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855A KR101972838B1 (ko) 2017-07-25 2017-07-25 냉이로부터 추출된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844A true KR20190011844A (ko) 2019-02-08
KR101972838B1 KR101972838B1 (ko) 2019-04-29

Family

ID=6536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855A KR101972838B1 (ko) 2017-07-25 2017-07-25 냉이로부터 추출된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8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8146A (en) * 2018-10-18 2020-04-22 Citrox Biosciences Ltd Bioflavonoid compositions and their use for water purification and food preservation
KR20220065464A (ko) 2020-11-13 2022-05-20 김학균 usb연결 기반의 핫팩
CN115990205A (zh) * 2023-01-28 2023-04-21 印天奕 一种抑制马拉色菌的混合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2322A (ko) * 2012-04-03 2013-10-1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140018705A (ko) * 2012-08-03 2014-02-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물 유래 필로바시디움 억제 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JP2015519042A (ja) * 2012-04-09 2015-07-09 セーホーエル.ハンセン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ラクトバチルス・パラカゼイ株を使用した生物防除
KR20160131391A (ko) * 2015-05-07 2016-11-16 주식회사 다인소재 유산균발효분말과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가공용 항균 및 항산화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2322A (ko) * 2012-04-03 2013-10-1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JP2015519042A (ja) * 2012-04-09 2015-07-09 セーホーエル.ハンセン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ラクトバチルス・パラカゼイ株を使用した生物防除
KR20140018705A (ko) * 2012-08-03 2014-02-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물 유래 필로바시디움 억제 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60131391A (ko) * 2015-05-07 2016-11-16 주식회사 다인소재 유산균발효분말과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가공용 항균 및 항산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조미희, 배은경, 하상도, 박지용. 천연항균제의 식품산업에의 응용. 식품과학과 산업: 한국식품과학회. 2005년. 38권, 2호, pp.36-45.*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8146A (en) * 2018-10-18 2020-04-22 Citrox Biosciences Ltd Bioflavonoid compositions and their use for water purification and food preservation
US11980185B2 (en) 2018-10-18 2024-05-14 Citrox Biosciences Limited Bioflavonoid compositions and their use for water purification and food preservation
KR20220065464A (ko) 2020-11-13 2022-05-20 김학균 usb연결 기반의 핫팩
CN115990205A (zh) * 2023-01-28 2023-04-21 印天奕 一种抑制马拉色菌的混合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838B1 (ko) 201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eviño-Garza et al. Layer-by-layer edible coatings based on mucilages, pullulan and chitosan and its effect on quality and preservation of fresh-cut pineapple (Ananas comosus)
Sultanbawa Plant antimicrobials in food applications: Minireview
CN106212634A (zh) 一种冷鲜猪肉天然防腐剂及其制备方法
CN106070538A (zh) 一种生物源海鲜营养保鲜剂
KR101972838B1 (ko) 냉이로부터 추출된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40093177A (ko) 참죽나무 추출물의 용도
CN110916049A (zh) 一种面条保鲜剂及其制备方法
KR101791549B1 (ko) 얌빈 지하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세균성 조성물
JP2000136141A (ja) 抗菌剤
KR101715622B1 (ko) 나문재 속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성 조성물
Tumbarski et al. Antifungal Activity of Carboxymethyl Cellulose Edible Films Enriched with Propolis Extracts and Their Role in Improvement of the Storage Life of Kashkaval Cheese.
Dehghani et al. The effect of adding walnut green husk extract o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ketchup
KR101452746B1 (ko) 저장 기간 증진을 위한 훈제용 소스 조성물
KR20140003105A (ko) 키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보존제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584361A (zh) 腌制用壳聚糖粉末、使用其的腌制物及使用其制成的泡菜
KR102641020B1 (ko) 부패곰팡이에 항균 활성을 갖는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903633B1 (ko) 유산균 블루베리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삼채의 제조방법
KR20160085969A (ko)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및 면역증강 기능성 애완동물 사료 조성물
KR20190124549A (ko) 항균 활성을 갖는 천연 식품 보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34752A (ko) 천연 보존제 및 선도 유지제 기능을 가지는 동충하초의 배양방법, 그에 의한 동충하초 추출물 및 그에 의한 천연복합물
KR100615892B1 (ko) 쑥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Das et al. Effect of preservatives on extending the shelf-life of Rasogolla
Bakeer et al. Impact of pre-and post–harvest applications of natural antimicrobial products on apple and pear soft rot disease
KR100387994B1 (ko) 작약 또는 육두구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공식품
JPH0676290B2 (ja) 抗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