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709A -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 - Google Patents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709A
KR20190011709A KR1020180159084A KR20180159084A KR20190011709A KR 20190011709 A KR20190011709 A KR 20190011709A KR 1020180159084 A KR1020180159084 A KR 1020180159084A KR 20180159084 A KR20180159084 A KR 20180159084A KR 20190011709 A KR20190011709 A KR 20190011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pesticide
fertilizer
link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1945B1 (ko
Inventor
남상균
고동환
황영미
Original Assignee
한국삼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삼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삼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9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945B1/ko
Publication of KR20190011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1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 A01C23/003Distributing devices, e.g. for rotating, throw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16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 B64D1/18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by spraying, e.g. insectic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08
    • B64C220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드론 하측에 구비된 고정연결대 양단에 제 1 회동연결대와 제 2 회동연결대가 회동기구에 의해서 상, 하향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고정연결대, 제 1 회동연결대 및 제 2 회동연결대 측에는 비료 또는 농약이 살포되는 제 1 노즐, 제 2 노즐 및 제 3 노즐이 각각 구비되어 비행 고도에 따라 살포되는 비료 또는 농약이 서로 중첩되거나 살포되는 비료 또는 농약 사이에 살포되지 않는 이격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절될 수 있는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가 구비되며 무선 조종기에 의한 조종 여부에 따라 원격 비행되는 드론 본체와, 상기 드론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비료 또는 농약이 저장된 저장탱크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론 본체의 하측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되 그 중앙에는 상기 저장탱크와 비료 또는 농약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공급관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공급관 일측에는 상기 제 1 공급관 측으로 공급된 비료 또는 농약이 비행중인 상기 드론 본체로부터 하향 살포되게 하는 제 1 노즐이 구비된 고정연결대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연결대의 일단에 그 일단이 각도조절 가능하게 수평 연결되고 타단 하측에는 상기 저장탱크와 비료 또는 농약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공급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공급관 일측에는 상기 제 2 공급관 측으로 공급된 비료 또는 농약이 비행중인 상기 드론 본체로부터 하향 살포되게 하는 제 2 노즐이 구비된 제 1 회동연결대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연결대의 타단에 그 일단이 각도조절 가능하게 수평 연결되고 타단 하측에는 상기 저장탱크와 비료 또는 농약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 공급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 3 공급관 일측에는 상기 제 3 공급관 측으로 공급된 비료 또는 농약이 비행중인 상기 드론 본체로부터 하향 살포되게 하는 제 3 노즐이 구비된 제 2 회동연결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AGRICULTURAL DRONE WITH PIVOTING LINKS}
개시된 내용은 농경지 상공에서 비행되는 드론에 의해 비료 또는 농약이 살포되게 하는 농업용 드론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드론(drone)이란, 무선 조종기를 통한 조종에 의해 비행하는 비행기, 헬리콥터 형태의 무인 비행체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드론은 최초에 군사용 연습사격의 표적 대용으로 사용되던 것이 무선기술이 점차적으로 정찰기 목적으로 발전되어 정찰 및 감시의 용도로 활용되었고 최근에는 공격용 미사일 등이 장착된 공격무기로도 사용되고 있다.
드론은 그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성능을 갖춘 다양한 비행체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군사용 대형 드론에서부터 영화나 다큐멘터리 촬영용 드론, 개인 레저용 드론 등이 그것이다. 뿐만 아니라 넓은 농경지에 비료 또는 농약을 살포하기 위한 농업용 드론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농업용 드론의 경우, 액상형, 분말형, 정제형, 고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비료 또는 농약을 최대 10kg 정도 탑재할 수 있으며 시간당 최대 약 4만 평방제곱미터 면적에 비료 또는 농약을 살포할 수 있다고 알려진다. 이는 수십 명의 노동력을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높은 효율성으로 인해서 드론을 이용한 비료 또는 농약살포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농업용 드론 중에서 액상의 비료 또는 농약이 살포되는 경우 드론의 일측에 비료 또는 농약이 살포되는 노즐이 다수 개 구비되는데, 각각의 노즐에서 살포되는 비료 또는 농약이 서로 중첩될 경우 그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44414호(2018.03.27)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62255호(2016.09.27)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07609호(2017.12.05)
드론의 하측에 수평되게 연결봉이 구비되되 그 양단이 비행 고도에 따라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살포되는 비료 또는 농약이 중첩되지 않도록 한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을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가 구비되며 무선 조종기에 의한 조종 여부에 따라 원격 비행되는 드론 본체와, 상기 드론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비료 또는 농약이 저장된 저장탱크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론 본체의 하측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되 그 중앙에는 상기 저장탱크와 비료 또는 농약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공급관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공급관 일측에는 상기 제 1 공급관 측으로 공급된 비료 또는 농약이 비행중인 상기 드론 본체로부터 하향 살포되게 하는 제 1 노즐이 구비된 고정연결대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연결대의 일단에 그 일단이 각도조절 가능하게 수평 연결되고 타단 하측에는 상기 저장탱크와 비료 또는 농약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공급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공급관 일측에는 상기 제 2 공급관 측으로 공급된 비료 또는 농약이 비행중인 상기 드론 본체로부터 하향 살포되게 하는 제 2 노즐이 구비된 제 1 회동연결대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연결대의 타단에 그 일단이 각도조절 가능하게 수평 연결되고 타단 하측에는 상기 저장탱크와 비료 또는 농약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 공급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 3 공급관 일측에는 상기 제 3 공급관 측으로 공급된 비료 또는 농약이 비행중인 상기 드론 본체로부터 하향 살포되게 하는 제 3 노즐이 구비된 제 2 회동연결대가 포함되는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개시된 내용에서 상기 드론 본체 양측에는 상기 무선 조종기에 의해 작동되는 회동기구가 구비되되, 상기 양측 회동기구의 일단은 상기 드론 본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회동연결대 및 제 2 회동연결대에 각각 연결되어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고정연결대 양산에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완전히 펼쳐진 상기 제 1 회동연결대 및 제 2 회동연결대가 상기 고정연결대로부터 각각 상, 하향 회동 되면서 각도 조절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에 의하면 드론 하측에 구비된 고정연결대 양단에 제 1 회동연결대와 제 2 회동연결대가 회동기구에 의해서 상, 하향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고정연결대, 제 1 회동연결대 및 제 2 회동연결대 측에는 비료 또는 농약이 살포되는 제 1 노즐, 제 2 노즐 및 제 3 노즐이 각각 구비되어 비행 고도에 따라 살포되는 비료 또는 농약이 서로 중첩되거나 살포되는 비료 또는 농약 사이에 살포되지 않는 이격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절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의 정면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의 작동도.
도 4 내지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의 사용상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정면도이며, 도3은 도 2의 작동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1)의 구성부재와 그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드론 본체(10)가 구비된다. 이 드론 본체(10)는 무선 비행되며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에 의해 농경지 상공에서 비행 되면서 비료 또는 농약이 농경지에 살포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드론 본체(10)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11)가 구비되며 무선 조종기에 의한 조종 여부에 따라 농경지 상공에서 원격 비행된다. 그리고 그 크기와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드론 본체(10)는 종래기술에 따른 드론 중 하나인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드론 본체(10)의 일측에는 저장탱크(20)가 구비된다. 이 저장탱크(20)는 농경지에 살포될 액상형의 비료 또는 농약(이하에는 농약만 기재한다)이 저장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저장탱크(20)는 드론 본체(10)의 일측에 농약의 저장이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추후에 설명될 제 1 호스(35), 제 2 호스(44) 및 제 3 호스(54)와 저장된 농약이 공급될 수 있게 연결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드론 본체(10)의 하측 중앙에는 고정연결대(30)가 수평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이 고정연결대(30)는 구비되는 노즐에 의해서 농약이 살포되게 함과 동시에 그 양단에 제 1 회동연결대(40) 및 제 2 회동연결대(50)가 각각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고정연결대(3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론 본체(10)의 하측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되 그 중앙에는 저장탱크(20)와 농약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공급관(31)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 제 1 공급관(31) 일측에는 제 1 공급관(31) 측으로 공급된 농약이 비행중인 드론 본체(10)로부터 하향 살포되게 하는 제 1 노즐(32)이 구비된다.
또한, 전술한 고정연결대(30)의 양단에는 제 1 체결부재(33)가 구비되고, 이 제 1 체결부재(33)의 상측에는 고정연결대(30)가 드론 본체(10)의 일측에 고정 장착되게 하는 고정브래킷(34)이 돌출 구비된다.
전술한 제 1 체결부재(33)는 추후에 설명될 제 1 회동연결대(40) 및 제 2 회동연결대(50)의 제 2 체결부재(43,53)와 상, 하향 각도조절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1 공급관(31)에는 저장탱크(20)에 그 일단이 연결된 제 1 호스(35)의 타단이 연결되어 농약이 저장탱크(20), 제 1 호스(35) 및 제 1 노즐(32)을 통해 살포되게 한다.
전술한 고정연결대(30)의 중앙 양측에는 베어링부재(70)가 구비되는데, 이 베어링부재(70)는 드론 본체(10)의 비행중 제 1 노즐(32)이 항시 하향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양측에 구비된 베어링부재(70) 사이에 제 1 노즐(32)이 위치되고, 이 베어링부재(70)에 의해서 제 1 노즐(32)이 구비된 고정연결대(30) 측은 양측 베어링부재(70) 바깥쪽의 고정연결대(30)에 대해 회동된다. 이때 제 1 노즐(32)이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의 역할을 하여 드론 본체(10)의 비행 상태에 상관없이 제 1 노즐(32)이 항시 하향 수직되게 위치될 수 있음에 따라 농약이 효과적으로 살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의 역할을 하는 별도의 구성이 제 1 노즐(32) 측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 1 노즐(32) 측과 연결되는 제 1 호스(35)는 베어링부재(70)에 의해서 고정연결대(30) 일부가 회동될 수 있도록 유연한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그 길이도 다소 여유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전술한 고정연결대(30)의 일단에는 제 1 회동연결대(40)의 일단이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제 1 회동연결대(40)는 구비되는 노즐에 의해서 농약이 살포되게 함과 동시에 고정연결대(30)로부터 상, 하향 각도조절 되어 노즐로부터 살포되는 농약이 서로 중첩되거나 살포되는 농약 사이에 살포되지 않는 이격공간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제 1 회동연결대(4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연결대(30)의 일단에 그 일단이 각도조절 가능하게 수평 연결된다. 그리고 그 타단 하측에는 저장탱크(20)와 농약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공급관(41)이 구비된다. 또한, 제 2 공급관(41) 일측에는 제 2 공급관(41) 측으로 공급된 농약이 비행중인 드론 본체(10)로부터 하향 살포되게 하는 제 2 노즐(42)이 구비된다.
제 1 회동연결대(40) 일단에는 고정연결대(30)의 제 1 체결부재(33)와 상, 하향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제 2 체결부재(43)가 구비된다. 또한, 전술한 제 2 공급관(41)에는 저장탱크(20)에 그 일단이 연결된 제 2 호스(44)의 타단이 연결되어 농약이 저장탱크(20), 제 2 호스(44) 및 제 2 노즐(42)을 통해 살포되게 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고정연결대(30)의 타단에는 제 2 회동연결대(50)의 일단이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제 2 회동연결대(50)는 구비되는 노즐에 의해서 농약이 살포되게 함과 동시에 고정연결대(30)로부터 상, 하향 각도조절 되어 노즐로부터 살포되는 농약이 서로 중첩되거나 살포되는 농약 사이에 살포되지 않는 이격공간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제 2 회동연결대(5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연결대(30)의 타단에 그 일단이 각도조절 가능하게 수평 연결된다. 그리고 그 타단 하측에는 저장탱크(20)와 농약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 공급관(51)이 구비된다. 또한, 제 3 공급관(51) 일측에는 제 3 공급관(51) 측으로 공급된 농약이 비행중인 드론 본체(10)로부터 하향 살포되게 하는 제 3 노즐(52)이 구비된다.
제 2 회동연결대(50) 일단에는 고정연결대(30)의 제 1 체결부재(33)와 상, 하향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제 2 체결부재(53)가 구비된다. 또한, 전술한 제 2 공급관(41)에는 저장탱크(20)에 그 일단이 연결된 제 3 호스(54)의 타단이 연결되어 농약이 저장탱크(20), 제 3 호스(54) 및 제 3 노즐(52)을 통해 살포되게 한다.
전술한 제 1 회동연결대(40)와 제 2 회동연결대(50)의 단부 측에는 각각 베어링부재(70)가 구비되는데, 이 베어링부재(70)는 드론 본체(10)의 비행중 제 2 노즐(42) 및 제 3 노즐(52)이 항시 하향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베어링부재(70) 외측에 제 2 노즐(42)과 제 3 노즐(52)이 위치되고, 이 베어링부재(70)에 의해서 제 2 노즐(42)과 제 3 노즐(52)이 구비된 제 1 회동연결대(40)와 제 2 회동연결대(50) 측은 내측의 제 1 회동연결대(40)와 제 2 회동연결대(50)에 대해 회동된다. 이때 제 2 노즐(42)과 제 3 노즐(52)이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의 역할을 하여 드론 본체(10)의 비행 상태에 상관없이 제 2 노즐(42)과 제 3 노즐(52)이 항시 하향 수직되게 위치될 수 있음에 따라 농약이 효과적으로 살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의 역할을 하는 별도의 구성이 제 2 노즐(42)과 제 3 노즐(52) 측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 2 노즐(42) 및 제 3 노즐(52) 측과 연결되는 제 2 호스(44) 및 제 3 호스(54)는 베어링부재(70)에 의해서 제 1 회동연결대(40)및 제 2 회동연결대(50) 일부가 회동될 수 있도록 유연한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그 길이도 다소 여유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드론 본체(10) 양측에는 무선 조종기에 의해 작동되는 회동기구(60)가 구비된다. 이 회동기구(60)는 제 1 회동연결대(40) 및 제 2 회동연결대(50)가 비행고도에 따라 고정연결대(30)로부터 상, 하향 각도조절 되게 하여 제 1 노즐(32), 제 2 노즐(42) 및 제 3 노즐(52)로부터 살포되는 농약이 서로 중첩되지 않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회동기구(60)는, 그 일단이 드론 본체(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제 1 회동연결대(40) 및 제 2 회동연결대(50)에 각각 연결되어 작동 여부에 따라 고정연결대(30) 양산에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완전히 펼쳐진 상기 제 1 회동연결대(40) 및 제 2 회동연결대(50)가 고정연결대(30)로부터 각각 상, 하향 회동 되면서 각도 조절되게 한다.
드론 본체(10)가 고정연결대(30), 제 1 회동연결대(40) 및 제 2 회동연결대(50)가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기준 고도 상에서 비행 될 시에, 제 1 노즐(32)로부터는 농약이 하향 좌우 방향으로 고르게 살포되고, 제 2 노즐(42) 및 제 3 노즐(52)로부터는 제 1 노즐(32)로부터 살포되는 농약과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직하부 및 그 외측으로 각각 살포된다.
그런데, 기준 고도 이상으로 드론이 높게 비행 될 경우 제 1 노즐(32)로부터 살포되는 농약의 가장자리 부분이 제 2 노즐(42) 및 제 3 노즐(52)로부터 직하부를 향해 살포되는 농약과 서로 중첩된다.
따라서 비행되는 드론 본체(10)의 고도가 상기 기준 고도보다 높아져 제 1 노즐(32), 제 2 노즐(42) 및 제 3 노즐(52)로부터 살포되는 농약이 서로 중첩될 경우에는 회동기구(60)에 의해 제 1 회동연결대(40) 및 제 2 회동연결대(50)가 고정연결대(30) 양단으로부터 상향 회동되게 함으로써 살포되는 농약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고도 이하로 드론이 낮게 비행 될 경우 제 1 노즐(32)로부터 살포되는 농약의 가장자리 부분이 제 2 노즐(42) 및 제 3 노즐(52)로부터 직하부를 향해 살포되는 농약 사이에 농약이 뿌려지지 않는 이격 공간이 발생된다.
따라서 비행되는 드론 본체(10)의 고도가 상기 기준 고도보다 낮아져 제 1 노즐(32), 제 2 노즐(42) 및 제 3 노즐(52)로부터 살포되는 농약 사이에 농약이 뿌려지지 않는 이격공간이 발생 될 경우에는 회동기구(60)에 의해 제 1 회동연결대(40) 및 제 2 회동연결대(50)가 고정연결대(30) 양단으로부터 하향 회동되게 함으로써 살포되는 농약 사이에 농약이 뿌려지지 않는 이격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1)의 전체적인 작동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드론 본체(10)의 저장탱크(20) 내에 농약을 저장한다. 그런 다음, 무선 조종기를 이용해서 농약이 살포 될 농경지 상에 드론 본체(10)가 비행 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드론 본체(10)가 기준 고도 상에서 비행 될 수 있는 경우 드론 본체(10)가 고정연결대(30), 제 1 회동연결대(40) 및 제 2 회동연결대(50)가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비행된다.
이때 제 1 노즐(32)로부터는 농약이 하향 좌우 방향으로 고르게 살포되고, 제 2 노즐(42) 및 제 3 노즐(52)로부터는 제 1 노즐(32)로부터 살포되는 농약과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직하부 및 그 외측으로 각각 살포되어 농약이 살포되어 농경지 상에 살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드론 본체(10)가 기준 고도 이상의 높은 고도에서 고정연결대(30), 제 1 회동연결대(40) 및 제 2 회동연결대(50)가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비행 되는 경우, 제 1 노즐(32)로부터 살포되는 농약의 가장자리 부분이 제 2 노즐(42) 및 제 3 노즐(52)로부터 직하부를 향해 살포되는 농약과 서로 중첩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회동기구(60)에 의해 제 1 회동연결대(40) 및 제 2 회동연결대(50)가 고정연결대(30) 양단으로부터 상향 회동되게 함으로써 살포되는 농약이 서로 중첩되지 않게 조절된 상태에서 제 1 노즐(32), 제 2 노즐(42) 및 제 3 노즐(52)에서 각각 농약이 살포되어 농경지 상에 살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드론 본체(10)가 기준 고도 이하의 낮은 고도에서 고정연결대(30), 제 1 회동연결대(40) 및 제 2 회동연결대(50)가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비행 되는 경우, 제 1 노즐(32)로부터 살포되는 농약의 가장자리 부분이 제 2 노즐(42) 및 제 3 노즐(52)로부터 직하부를 향해 살포되는 농약 사이에 살포되지 않는 이격공간이 발생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회동기구(60)에 의해 제 1 회동연결대(40) 및 제 2 회동연결대(50)가 고정연결대(30) 양단으로부터 하향 회동되게 함으로써 살포되는 농약 사이에 살포되지 않는 이격공간이 발생되지 않게 조절된 상태에서 제 1 노즐(32), 제 2 노즐(42) 및 제 3 노즐(52)에서 각각 농약이 살포되어 농경지 상에 살포될 수 있다.
그리고 농경지 전체에 농약이 뿌려질 때까지 드론 본체(10)는 농경지 상에서 반복 비행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1)에 의하면 드론 하측에 구비된 고정연결대(30) 양단에 제 1 회동연결대(40)와 제 2 회동연결대(50)가 회동기구(60)에 의해서 상, 하향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고정연결대(30), 제 1 회동연결대(40) 및 제 2 회동연결대(50) 측에는 농약이 살포되는 제 1 노즐(32), 제 2 노즐(42) 및 제 3 노즐(52)이 각각 구비되어 비행 고도에 따라 살포되는 농약이 서로 중첩되거나 살포되는 농약 사이에 살포되지 않는 이격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절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
10 : 드론 본체
11 : 프로펠러
20 : 저장탱크
30 : 고정연결대
31 : 제 1 공급관
32 : 제 1 노즐
33 : 제 1 체결부재
34 : 고정브래킷
35 : 제 1 호스
40 : 제 1 회동연결대
41 : 제 2 공급관
42 : 제 2 노즐
43,53 : 제 2 체결부재
44 : 제 2 호스
50 : 제 2 회동연결대
51 : 제 3 공급관
52 : 제 3 노즐
54 : 제 3 호스
60 : 회동기구
70 : 베어링부재

Claims (8)

  1.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가 구비되며 무선 조종기에 의한 조종 여부에 따라 원격 비행되는 드론 본체;
    상기 드론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비료 또는 농약이 저장된 저장탱크;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론 본체의 하측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되 그 중앙에는 상기 저장탱크와 비료 또는 농약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공급관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공급관 일측에는 상기 제 1 공급관 측으로 공급된 비료 또는 농약이 비행중인 상기 드론 본체로부터 하향 살포되게 하는 제 1 노즐이 구비된 고정연결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연결대의 일단에 그 일단이 각도조절 가능하게 수평 연결되고 타단 하측에는 상기 저장탱크와 비료 또는 농약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공급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공급관 일측에는 상기 제 2 공급관 측으로 공급된 비료 또는 농약이 비행중인 상기 드론 본체로부터 하향 살포되게 하는 제 2 노즐이 구비된 제 1 회동연결대; 및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연결대의 타단에 그 일단이 각도조절 가능하게 수평 연결되고 타단 하측에는 상기 저장탱크와 비료 또는 농약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 공급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 3 공급관 일측에는 상기 제 3 공급관 측으로 공급된 비료 또는 농약이 비행중인 상기 드론 본체로부터 하향 살포되게 하는 제 3 노즐이 구비된 제 2 회동연결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연결대의 양단에는 제 1 체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연결대의 양단에 연결되는 상기 제 1 회동연결대 및 제 2 회동연결대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체결부재와 상, 하향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제 2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고정연결대가 상기 드론 본체의 일측에 고정 장착되게 하는 고정브래킷이 돌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급관에는 상기 저장탱크에 그 일단이 연결된 제 1 호스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공급관에는 상기 저장탱크에 그 일단이 연결된 제 2 호스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 3 공급관에는 상기 저장탱크에 그 일단이 연결된 제 3 호스의 타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론 본체 양측에는 상기 무선 조종기에 의해 작동되는 회동기구가 구비되되, 상기 양측 회동기구의 일단은 상기 드론 본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회동연결대 및 제 2 회동연결대에 각각 연결되어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고정연결대 양산에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완전히 펼쳐진 상기 제 1 회동연결대 및 제 2 회동연결대가 상기 고정연결대로부터 각각 상, 하향 회동 되면서 각도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드론 본체가 상기 고정연결대, 제 1 회동연결대 및 제 2 회동연결대가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기준 고도 상에서 비행 될 시에, 상기 제 1 노즐로부터는 비료 또는 농약이 하향 좌우 방향으로 고르게 살포되고, 상기 제 2 노즐 및 제 3 노즐로부터는 상기 제 1 노즐로부터 살포되는 비료 또는 농약과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직하부 및 그 외측으로 각각 살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
  7. 청구항 6에 있어서,
    비행되는 상기 드론 본체의 고도가 상기 기준 고도보다 높아져 상기 제 1 노즐, 제 2 노즐 및 제 3 노즐로부터 살포되는 비료 또는 농약이 서로 중첩될 경우에는 상기 회동기구에 의해 상기 제 1 회동연결대 및 제 2 회동연결대가 상기 고정연결대 양단으로부터 상향 회동되게 함으로써 살포되는 비료 또는 농약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조절되고, 비행되는 상기 드론 본체의 고도가 상기 기준 고도보다 낮아져 상기 제 1 노즐, 제 2 노즐 및 제 3 노즐로부터 살포되는 비료 또는 농약 사이에 살포되지 않는 이격공간이 발생 될 경우에는 상기 회동기구에 의해 상기 제 1 회동연결대 및 제 2 회동연결대가 상기 고정연결대 양단으로부터 하향 회동되게 함으로써 살포되는 비료 또는 농약 사이에 살포되지 않는 이격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연결대의 중앙 양측과 상기 제 1 회동연결대 및 제 2 회동연결대의 단부측에는 각각 상기 제 1 노즐, 제 2 노즐 및 제 3 노즐이 상기 드론 본체의 비행중 항시 하향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베어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
KR1020180159084A 2018-12-11 2018-12-11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 KR102141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084A KR102141945B1 (ko) 2018-12-11 2018-12-11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084A KR102141945B1 (ko) 2018-12-11 2018-12-11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709A true KR20190011709A (ko) 2019-02-07
KR102141945B1 KR102141945B1 (ko) 2020-08-10

Family

ID=6536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084A KR102141945B1 (ko) 2018-12-11 2018-12-11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94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2623A (zh) * 2019-06-28 2019-11-05 扬州大学 一种带机械除草功能的施肥施药车
KR102077478B1 (ko) * 2019-08-27 2020-02-17 주식회사 에스티환경 드론을 이용한 수목소독 시스템
CN111409829A (zh) * 2020-03-23 2020-07-14 青海省地方病预防控制所 一种基于无人机的鼠疫现场防控装置
KR20210022823A (ko) 2019-08-20 2021-03-0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약제 살포용 방제 드론
KR102299454B1 (ko)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하늘항공 농업 및 임업용 드론
KR20210122325A (ko) 2020-03-30 2021-10-12 주식회사 하늘항공 탄소복합소재 적재함을 가진 다목적 드론
KR20220071612A (ko)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하늘항공 탄소복합소재 적재함을 가진 다목적 드론
WO2024008207A1 (zh) * 2023-08-07 2024-01-11 六安祥川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植保无人机
CN117585159A (zh) * 2023-12-04 2024-02-23 广东新网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高空作业喷漆设备
CN117719716A (zh) * 2024-02-07 2024-03-19 华能澜沧江新能源有限公司 一种分布式光伏三维建模的无人机测绘系统及设备
CN117719716B (zh) * 2024-02-07 2024-05-28 华能澜沧江新能源有限公司 一种分布式光伏三维建模的无人机测绘系统及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7573A (ko) * 2008-05-08 2009-11-12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무인 헬리콥터
CN102687711A (zh) * 2012-06-05 2012-09-26 南京林业大学 静电喷雾式无人直升机施药系统
KR101662255B1 (ko) 2016-02-22 2016-10-06 주식회사 보성 농약 살포용 드론 및 카트리지 타입 농약 공급통
KR101807609B1 (ko) 2016-06-20 2017-12-12 주식회사 보성 농약 살포용 드론
KR101844414B1 (ko) 2017-11-07 2018-04-02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농약 살포용 드론과 이를 이용한 농약살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7573A (ko) * 2008-05-08 2009-11-12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무인 헬리콥터
CN102687711A (zh) * 2012-06-05 2012-09-26 南京林业大学 静电喷雾式无人直升机施药系统
KR101662255B1 (ko) 2016-02-22 2016-10-06 주식회사 보성 농약 살포용 드론 및 카트리지 타입 농약 공급통
KR101807609B1 (ko) 2016-06-20 2017-12-12 주식회사 보성 농약 살포용 드론
KR101844414B1 (ko) 2017-11-07 2018-04-02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농약 살포용 드론과 이를 이용한 농약살포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2623A (zh) * 2019-06-28 2019-11-05 扬州大学 一种带机械除草功能的施肥施药车
KR20210022823A (ko) 2019-08-20 2021-03-0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약제 살포용 방제 드론
KR102077478B1 (ko) * 2019-08-27 2020-02-17 주식회사 에스티환경 드론을 이용한 수목소독 시스템
KR102299454B1 (ko)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하늘항공 농업 및 임업용 드론
CN111409829A (zh) * 2020-03-23 2020-07-14 青海省地方病预防控制所 一种基于无人机的鼠疫现场防控装置
CN111409829B (zh) * 2020-03-23 2021-10-01 青海省地方病预防控制所 一种基于无人机的鼠疫现场防控装置
KR20210122325A (ko) 2020-03-30 2021-10-12 주식회사 하늘항공 탄소복합소재 적재함을 가진 다목적 드론
KR20220071612A (ko)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하늘항공 탄소복합소재 적재함을 가진 다목적 드론
WO2024008207A1 (zh) * 2023-08-07 2024-01-11 六安祥川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植保无人机
CN117585159A (zh) * 2023-12-04 2024-02-23 广东新网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高空作业喷漆设备
CN117719716A (zh) * 2024-02-07 2024-03-19 华能澜沧江新能源有限公司 一种分布式光伏三维建模的无人机测绘系统及设备
CN117719716B (zh) * 2024-02-07 2024-05-28 华能澜沧江新能源有限公司 一种分布式光伏三维建模的无人机测绘系统及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945B1 (ko)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1709A (ko)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
US10364029B2 (en) Drone for agriculture
KR200479365Y1 (ko) 농약 용기가 구비된 드론
AU2018220147B2 (en) Aerial vehicle imaging and targeting system
US10495421B2 (en) Aerial vehicle interception system
US11074827B2 (en) Virtual reality system for aerial vehicle
CN113056418B (zh) 飞行体和飞行体控制系统
KR20180133819A (ko) 회전식 살포장치를 갖는 농업용 드론
KR102123472B1 (ko) 컨베이어식 배출기를 갖는 농업용 드론
JP6583874B1 (ja) 配送システム、飛行体、および、コントローラ
JP7011474B2 (ja) 散布用飛行装置
JP6980968B2 (ja) 農業無人機
JP2017196949A (ja) 鉛直投下装置
US20170313420A1 (en) Autonomous spray ship and method
CN108323494A (zh) 一种无人机药箱
KR101862256B1 (ko) 농업용 방제장치
JP7011476B2 (ja) 飛行装置
JP2020082820A (ja) 飛行体
CN108935392A (zh) 液体喷洒装置
KR102408768B1 (ko) 프로펠러가 3개의 회전날개로 이루어진 농업용 무인 항공살포기
Hsieh et al. Stabilities study of the current agriculture use UAV and future design
KR102408774B1 (ko) 아암 폴딩 고정이 가능한 농업용 무인 항공살포기
RU2773837C1 (ru) Привязная беспилот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распыления с воздуха
JP2023131582A (ja) 散布装置
TWM606476U (zh) 無人噴灑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