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256B1 - 농업용 방제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방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256B1
KR101862256B1 KR1020170044453A KR20170044453A KR101862256B1 KR 101862256 B1 KR101862256 B1 KR 101862256B1 KR 1020170044453 A KR1020170044453 A KR 1020170044453A KR 20170044453 A KR20170044453 A KR 20170044453A KR 101862256 B1 KR101862256 B1 KR 101862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hemical liquid
vertical frames
liquid suppl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성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천풍무인항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천풍무인항공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천풍무인항공
Priority to KR1020170044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16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 B64D1/18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by spraying, e.g. insectic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포되는 약액을 원하는 방향성을 가지도록 하여 살포할 수 있도록 되어 방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무선조정에 의해 이격된 위치에서 살포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증대되고, 특히, 약액의 교체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설치되며 무선조작을 통해 조절되며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어수단의 통해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여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추력을 형성하도록 된 추진수단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몸체에 고정되는 약액공급용기와, 상기 약액공급용기와 연결되어 약액을 살포하는 분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농업용 방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수직으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들과,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하단을 연결하면서 체결되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지지판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프레임들은, 본체의 하부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직육면체형상의 '틀'을 형성하며; 상기 약액공급용기는,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사이공간으로 슬라이딩되어 고정됨으로써, 교체 및 결합하도록 된 농업용 방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농업용 방제장치{Agricultural control equipment}
본 발명은, 농작물에 약제를 가열하여 연막 또는 연무상태로 살포하여 방제하도록 된 농업용 방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살포되는 약액을 원하는 방향성을 가지도록 하여 살포할 수 있도록 되어 방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무선조정에 의해 이격된 위치에서 살포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증대되고, 특히, 약액의 교체를 원활히 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 농업용 방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에는 산업기술의 발달로 비닐하우스, 온실과 같은 농작물시설을 설치하여 겨울에도 과일, 야채, 화훼 등과 같은 농작물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농작물시설에는,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 계속하여 농작물에 수분을 공급하고, 병충해를 막으며, 농작물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약액(물, 농약, 영양제)을 살포하게 된다.
한편, 농작물에 약액을 가열시켜 연막 또는 연무상태로 살포하여 방제하도록 된 방제장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연막살포식 방제장치의 하나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04980호(명칭: 휴대용 연막 연무 살충기/2000.02.01.)이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열원에 의해 살충액을 기화시켜 분무하는 휴대용 연막 연무 살충기에 있어서, 일측의 끝단은 살충액 저장용기에 저장된 살충액을 펌프에 의해 공급시켜 1차적으로 기화시키는 공급노즐이 결합되며, 중간부분은 1차적으로 기화된 살충액을 2차적으로 기화시키는 벤츄리형상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의 끝단은 2차적으로 기화된 살충액을 외부로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이 결합되어 있는 기화기와; 상기 기화기의 외부에서 상기 벤츄리형상부를 향해 연료의 연소에 따라 화염을 배출하여 상기 기화기를 가열하는 버너로 구성된다.
한편, 근자에는, 작업자가 무선조정에 의해 이격된 위치에서 살포할 수 있도록 된 비행형태(드론)의 구조를 적용하여 사용효율이 증대된 농업용 방제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92028호(명칭: 항공방제용 드론/2014.12.2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항공방제를 위한 농지 상공을 비행하는 기체; 상기 기체로부터 사방으로 뻗어나간 위치에 설치된 상태로, 비행체 비행을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력장치; 및, 상기 기체 내,외부에 설치되어, 제어신호 송·수신에 따라 수동 및 자동 경로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조종장치와 위치정보시스템과 무선으로 교신하는 통신장치;로 구성된 드론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5-0005846호(명칭: 농약 용기가 구비된 드론/2015.09.0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본체 하부에 설치 고정되고, 내부에 농약이 저장된 농약 저장부; 및 상기 지지부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농약 저장부에 연결되며, 상기 농약 저장부로부터 농약을 공급받아 농약이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드론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20811호(명칭: 농약 살포용 드론 및 카트리지 타입 농약 공급통/2016.02.22.)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연결 설치되는 날개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날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농약 살포용 드론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카트리지 방식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농약 공급부와, 상기 농약 공급부에 연결 설치되어 농약을 살포하는 농약 분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드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39578호(명칭: 접이식 날개를 갖는 드론/2016.03,3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는 전방으로 회동시 제1 위치에 고정되고, 후방으로 회동시 제2 위치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드론이 기재되어 있다.
1,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92028호(2014.12.29.) 2,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5-0005846호(2015.09.01.) 3,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20811호(2016.02.22.) 4,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39578호(2016.03,31.)
그러나 상기와 같은 비행형 농약방제장치들은, 소모되는 약액의 교체를 원활히 할 수 없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약액이 저장되는 용기가 본체에 고정되어 있어, 약액을 주입하여 저장할 때, 본체에서 용기를 해체한 후, 재결합하는 불편한 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살포되는 약액을 원하는 방향성을 가지도록 하여 살포할 수 있도록 되어 방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무선조정에 의해 이격된 위치에서 살포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증대되고, 특히, 약액의 교체를 원활히 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 농업용 방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농업용 방제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설치되며 무선조작을 통해 조절되며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어수단의 통해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여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추력을 형성하도록 된 추진수단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몸체에 고정되는 약액공급용기와, 상기 약액공급용기와 연결되어 약액을 살포하는 분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농업용 방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수직으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들과,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하단을 연결하면서 체결되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지지판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프레임들은, 본체의 하부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직육면체형상의 '틀'을 형성하며; 상기 약액공급용기는,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사이공간으로 슬라이딩되어 고정됨으로써, 교체 및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농업용 방제장치는, 분사수단을 통해 분사되는 약액을 무선조정에 따라 공중으로 추진되는 본체를 통해 농작물에 대하여 원하는 방향성을 가지면서 분사할 수 있도록 되어, 농작물과 이격된 위치에서 향상된 방제효율을 구현하면서 안정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약액이 저장되는 약액공급용기가 본체의 하부에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를 보인 개략 저면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를 보인 개략 측면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를 보인 개략 평면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를 구성하는 본체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를 구성하는 추진수단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를 구성하는 추진수단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의 구성을 제어관계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1)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설치되며 무선조작을 통해 조절되며 상기 본체(2)에 구비되는 제어수단(5)의 통해 전원공급부(51)의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여 프로펠러(31)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추력을 형성하도록 된 추진수단(3)과, 상기 본체(2)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몸체(21)에 고정되는 약액공급용기(22)와, 상기 약액공급용기(22)와 연결되어 약액을 살포하는 분사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분사수단(4)을 통해 분사되는 약액을 무선조종기(52)의 무선조작에 따라 공중으로 추진되어 비행하는 상기 본체(2)를 통해 공중에서 농작물에 대하여 원하는 방향성을 가지면서 분사할 수 있도록 되어, 농작물과 이격된 위치에서 향상된 방제효율을 구현하면서 안정적으로 방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2)의 상부에는,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6)가 힌지결합되어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무선조종기(52)에서 방출되는 제어전파를 수신하도록 된 안테나 또는 GPS 수신기(53)가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본체(2)의 내측에는 안테나 또는 GPS 수신기(53)를 통해 수신되는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추진수단(3)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분사수단(4)의 구동을 제어하며, 무선조종기(52)와의 교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된 제어수단(5)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1)는, 상기와 같은 농업방제작업뿐만 아니라, 항공 촬영, 지질 측량, 고압 송전선 감시, 유전관리감시, 고속도로관리, 산림감시, safety protection 및 응급구조 등 많은 분야에서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1)에서, 상기 지지몸체(21)는, 상기 본체(2)의 하부에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수직으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들(23)과, 상기 수직프레임(23)들의 하단을 연결하면서 체결되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지지판체(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판체(24)를 바닥으로 하여 상기 수직프레임(23)의 사이에 상기 약액공급용기(22)의 수납공간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약액공급용기(22)는, 상기 수직프레임들(23)의 사이간격으로 슬라이딩되어 교체 및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약액이 저장되는 상기 약액공급용기(22)가 상기 본체(2)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몸체(2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지지판체(24)는, 진입부(221)가 타단부에 비하여 상향된 경사면을 이루면서 배치되어, 상기 약액공급용기(22)의 바닥면이 경사면을 형성하여, 무단으로 상기 진입부(221)측 방향으로 역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23)들은, 본체(2)의 하부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직육면체형상의 '틀'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수직프레임(23)은, '사각관(pipe)' 형상의 금속프레임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1)에서, 상기 본체(2)에는, 상기 제어수단(5)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축전기' 등과 같은 전기에너지 축전매체로 이루어지는 전원공급부(5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원공급부(51)는, 공지된 축전기의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축전기는, 대형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본체(2)의 상부에 안치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 개의 소형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수직프레임(23)의 외측에 체결되는 안치판(25)에 안치고정되어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몸체(21)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편위되는 것을 방지하여, 비행을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안치판(25)은, 상기 수직프레임(23)의 외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하는 지지프레임(26)들의 상부에 지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1)에서, 상기 분사수단(4)은, 상기 약액공급용기(22)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배출관(41)과, 상기 배출관(41)에 구비되는 펌프(54)와, 상기 배출관(41)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다수의 분사노즐들(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분사노즐(42)들은 후술하는 날개프레임들(27)의 종단하부 부위에 배치되어 외부로 약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1)에서, 상기 추진수단(3)은, 상기 제어수단(5)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전원공급부(51)의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여 추진력을 형성하도록 된 추진모터(32)와, 상기 추진모터(32)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된 프로펠러(31)와, 상기 본체(2)의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종단상부위에 상기 프로펠러(31)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날개프레임(27)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날개프레임(27)은, 상기 본체(2)의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된 체결프레임(28)과, 상기 체결프레임(28)에 절첩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프로펠러(31)와 상기 분사노즐(42)이 고정된 길이를 가지는 절첩프레임(2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프레임(28)과 상기 절첩프레임(29)들의 연결부위에는, 클램프(291)가 구비되어, 결합을 유지하거나, 절첩가능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필요 시, 상기 날개프레임(27)을 절첩하여 보관시 점유공간을 줄여 공간활용을 극대화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1)를 통해 농작물의 방제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약액공급용기(22)에 약액을 저장하고, 상기 지지몸체(21)의 지지판체(24)에 슬라이딩방식으로 끼워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지지판체(24)가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약액공급용기(22)가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안치판(25)에 상기 전원공급부(51)를 구성하는 축전기를 고정하고, 작업하고자 하는 장소로 운반한 후, 상기 본체(2)와 이격된 위치에서 작업자가 무선조종기(52)를 조절하여, 상기 제어수단(5)의 연산 및 제어를 통해 상기 추진수단(3)을 구동시켜 상기 본체(2)를 공중으로 추진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사수단(4)을 구동하여 약액을 분사하여 농작물의 방제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이때, 작업자가 상기 무선조종기(52)를 조절하면, 상기 제어수단(5)과의 무선통신망(55)을 통해 상기 무선조종기(52)의 조절데이터를 인가받아 설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산하여, 상기 추진수단(3)과 상기 분사수단(4)을 원하는 형태로 구동되어, 상기 몸체(5)의 비행과 약액연무의 발생 및 살포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무선조종에 따라 추진되는 상기 본체(2)를 통해 농작물에 대하여 약액의 분사가 원하는 방향성을 가지도록 되어, 농작물과 이격된 위치에서 향상된 방제효율을 구현하면서 안정적으로 방제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1)에서, 상기한 날개프레임(27)의 종단에는, 상기 프로펠러(31)의 회전공간을 외측에서 보호하는 안전프레임(33)이 체결되어, 상기 프로펠러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전프레임(33)은, 상기 날개프레임(27)의 종단에 형성된 체결홈이 끼움결합하는 체결봉(271)이 구비된 체결프레임(28)의 종단에 연결되어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방제장치 2 : 본체
21 : 지지몸체 22 : 약액공급용기
221 : 진입부 23 : 수직프레임
24 : 지지판체 25 : 안치판
26 : 지지프레임 27 : 날개프레임
271 : 체결봉 28 : 체결프레임
29 : 절첩프레임 291 : 클램프
3 : 추진수단 31 : 프로펠러
32 : 추진모터 33 : 안전프레임
4 : 분사수단 41 : 배출관
42 : 분사노즐 5 : 제어수단
51 : 전원공급부 52 : 무선조종기
53 : GPS 수신기 54 : 펌프
55 : 무선통신망 6 : 덮개

Claims (1)

  1.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설치되며 무선조작을 통해 조절되며 상기 본체(2)에 구비되는 제어수단(5)의 통해 전원공급부(51)의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여 프로펠러(31)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추력을 형성하도록 된 추진수단(3)과; 상기 본체(2)의 하부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직육면체형상의 '틀'을 형성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23)들과 상기 수직프레임(23)들의 하단을 연결하면서 체결되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지지판체(24)를 가지는 지지몸체(21)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프레임(23)들의 사이공간으로 슬라이딩되어 고정됨으로써 교체 및 결합하도록 된 약액공급용기(22)와; 상기 약액공급용기(22)와 연결되어 약액을 살포하는 분사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농업용 방제장치(1)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상부에는,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6)가 힌지결합되어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체(24)는,
    진입부(221)가 타단부에 비하여 상향된 경사면을 이루면서 배치되어, 상기 약액공급용기(22)의 바닥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추진수단(3)은,
    상기 본체(2)의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종단상부위에 상기 프로펠러(31)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날개프레임(27)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날개프레임(27)의 종단에는,
    상기 프로펠러(31)의 회전공간을 외측에서 보호하는 안전프레임(33)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방제장치.
KR1020170044453A 2017-04-05 2017-04-05 농업용 방제장치 KR101862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453A KR101862256B1 (ko) 2017-04-05 2017-04-05 농업용 방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453A KR101862256B1 (ko) 2017-04-05 2017-04-05 농업용 방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256B1 true KR101862256B1 (ko) 2018-07-05

Family

ID=6292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453A KR101862256B1 (ko) 2017-04-05 2017-04-05 농업용 방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2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7615A (zh) * 2019-01-31 2019-04-26 临沂大学 一种植保无人机
CN112352759A (zh) * 2020-10-26 2021-02-12 江苏大学 一种多旋翼喷杆结构及其控制方法
KR102287475B1 (ko) * 2020-04-07 2021-08-10 장명동 농약 살포용 드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716B1 (ko) * 2016-09-12 2016-12-06 주식회사 일렉버드유에이브이 무인비행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716B1 (ko) * 2016-09-12 2016-12-06 주식회사 일렉버드유에이브이 무인비행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7615A (zh) * 2019-01-31 2019-04-26 临沂大学 一种植保无人机
CN109677615B (zh) * 2019-01-31 2024-03-19 临沂大学 一种植保无人机
KR102287475B1 (ko) * 2020-04-07 2021-08-10 장명동 농약 살포용 드론
CN112352759A (zh) * 2020-10-26 2021-02-12 江苏大学 一种多旋翼喷杆结构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345B1 (ko)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연막방제장치
US10364029B2 (en) Drone for agriculture
KR101885517B1 (ko) 방제용 드론
KR101862256B1 (ko) 농업용 방제장치
KR101876846B1 (ko) 측방향 분사가 가능한 방제용 드론
KR200479365Y1 (ko) 농약 용기가 구비된 드론
EP346359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employment of drones in firefighting activities
JP6357246B2 (ja) 多機能フライングプラットフォーム
KR102141945B1 (ko) 회동식 연결대를 갖는 농업용 드론
KR20180133819A (ko) 회전식 살포장치를 갖는 농업용 드론
KR200432955Y1 (ko)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약제 살포장치
CN113056418A (zh) 飞行体和飞行体控制系统
KR101737741B1 (ko) 농업용 방제장치
KR101663058B1 (ko) 농업용 무인비행체
KR20170116531A (ko) 농약살포용 하이브리드 드론
US20170313420A1 (en) Autonomous spray ship and method
JP2021517536A (ja) 農業無人機
CN205891238U (zh) 一种组合式农药喷洒无人机
KR20170090043A (ko) 멀티로터를 이용한 인공지능형 항공방제 제어시스템
CN207054593U (zh) 液体喷洒装置
KR102586714B1 (ko) 살포제를 자동 공급하는 드론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 살포 시스템
US201500600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on of a liquid using remote controlled hovercraft
KR101789714B1 (ko) 농업용 방제장치
CN108935392A (zh) 液体喷洒装置
DE102020114605B4 (de) Flüssigkeitstransport- und Verteiler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