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741B1 - 농업용 방제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방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741B1
KR101737741B1 KR1020160152518A KR20160152518A KR101737741B1 KR 101737741 B1 KR101737741 B1 KR 101737741B1 KR 1020160152518 A KR1020160152518 A KR 1020160152518A KR 20160152518 A KR20160152518 A KR 20160152518A KR 101737741 B1 KR101737741 B1 KR 101737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air
main body
control means
liquid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성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대한무인항공서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대한무인항공서비스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대한무인항공서비스
Priority to KR1020160152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16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 B64D1/18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by spraying, e.g. insectic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2
    • B64C2201/146
    • B64C2201/1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포되는 약액을 원하는 방향성을 가지도록 하여 살포할 수 있도록 되어 방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무선조정에 의해 이격된 위치에서 살포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증대되도록;
무선조작을 통해 조절되는 제어수단을 통해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고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추력을 형성하도록 된 추진유닛이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약액을 가열하여 연무화 한 후 살포하여 농작물을 방제하도록 된 방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농업용 방제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방제수단은, 상기 몸체에 체결되는 프레임들의 결합을 통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연료를 점화하여 연소시키도록 된 카브레타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카브레타에서 연소된 연소가스를 공급받아 공냉시키고 약액을 공급받아 연소가스와 열교환하여 연무화한 후 배출하도록 된 공냉관과;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공냉관에서 배출되는 연무화된 약액을 토출하도록 된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농업용 방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농업용 방제장치{Agricultural control equipment}
본 발명은, 농작물에 약제를 가열하여 연막 또는 연무상태로 살포하여 방제하도록 된 농업용 방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살포되는 약액을 원하는 방향성을 가지도록 하여 살포할 수 있도록 되어 방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무선조정에 의해 이격된 위치에서 살포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증대된 농업용 방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에는 산업기술의 발달로 비닐하우스, 온실과 같은 농작물시설을 설치하여 겨울에도 과일, 야채, 화훼 등과 같은 농작물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농작물시설에는,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 계속하여 농작물에 수분을 공급하고, 병충해를 막으며, 농작물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약액(물, 농약, 영양제 등)을 살포하게 된다.
한편, 농작물에 약액을 가열시켜 연막 또는 연무상태로 살포하여 방제하도록 된 방제장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연막살포식 방제장치의 하나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04980호(명칭: 휴대용 연막 연무 살충기/2000.02.01.)이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열원에 의해 살충액을 기화시켜 분무하는 휴대용 연막 연무 살충기에 있어서, 일측의 끝단은 살충액 저장용기에 저장된 살충액을 펌프에 의해 공급시켜 1차적으로 기화시키는 공급노즐이 결합되며, 중간부분은 1차적으로 기화된 살충액을 2차적으로 기화시키는 벤츄리형상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의 끝단은 2차적으로 기화된 살충액을 외부로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이 결합되어 있는 기화기와; 상기 기화기의 외부에서 상기 벤츄리형상부를 향해 연료의 연소에 따라 화염을 배출하여 상기 기화기를 가열하는 버너로 구성된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47020(명칭: 소독약제 분사장치/2005.06.02.)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케이싱과,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연소부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부와, 상기 스팀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스팀배출관과, 상기 케이싱과 이격져서 설치되며 내부에 소독약이 수용되어 있는 소독액 탱크와, 상기 소독액 탱크와 스팀배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소독액 공급라인을형성하는 소독액공급관과, 상기 스팀배출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소독액을 스팀과 함께 분사하기 위한 스팀분사기를 갖추어서 된 연막살포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9-0013196호(명칭: 연막 및 연무겸용 휴대소독기/2009.10.0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가스분산망이 입설된 가스점화관의 선두를 감싸며 외부 노출된 분사노즐을 갖는 나선관을 연장형성하여 총대를 구성하되, 나선관은 열가둠용 내피망체와 다수 통공들이 형성된 외피통체로 감싸져 내장됨과 동시에 연막제탱크의 제1 공급관과 연무제탱크의 제2 공급관을 변환밸브구를 매개로 연결되게 구성하며, 가스점화관은 총대에 끼워진 연료가스통과 연통하고 변환밸브구에는 총대의 격발구와 연동하는 원료펌핑체가 장치되게 구성된 연막살포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19550호(비가열식 무인 연막기/2015.02.0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연막제를 수용하는 연막제통, 약제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약제통, 상기 연막제와 약제를 연막의 형태로 분사시키는 분사노즐, 상기 연막제통에서 상기 분사노즐로 연결된 연막제 이송관을 따라 상기 연막제를 이송시키고, 상기 분사노즐에서 연막제가 분사되도록 가압하는 연막제 피스톤 펌프, 상기 연막제 피스톤 펌프를 지난 연막제를 가열시키는 히팅부, 상기 약제통에서 상기 분사노즐로 연결된 약제 이송관을 따라 상기 약제를 이송시키는 약제 피스톤 펌프를 포함하는 연막살포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1,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04980호(2000.02.01.) 2,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47020(2005.06.02.) 3,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9-0013196호(2009.10.09.) 4,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19550호(2015.02.09.)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농업용 방제장치들은, 약액을 지면에서 농작물측 방향으로만 살포하여 방제작업을 수행하도록 됨에 따라, 농작물의 방제작업시 약액을 원하는 방향성을 가지도록 하여 살포할 수 없어 방제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살포되는 약액을 원하는 방향성을 가지도록 하여 살포할 수 있도록 되어 방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무선조정에 의해 이격된 위치에서 살포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증대된 농업용 방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농업용 방제장치는, 무선조작을 통해 조절되는 제어수단을 통해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고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추력을 형성하도록 된 추진유닛이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약액을 가열하여 연무화 한 후 살포하여 농작물을 방제하도록 된 방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농업용 방제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방제수단은, 상기 몸체에 체결되는 프레임들의 결합을 통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연료를 점화하여 연소시키도록 된 카브레타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카브레타에서 연소된 연소가스와 약액을 각각 공급받아 상기 약액과 연소가스의 열교환을 통해 상기 약액을 연무화한 후 배출하도록 된 공냉관과;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공냉관에서 배출되는 연무화된 약액을 토출하도록 된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농업용 방제장치는, 방제수단을 통해 토출되는 연무화된 약액을 무선조정에 따라 공중으로 추진되는 몸체를 통해 농작물에 대하여 원하는 방향성을 가지면서 분사할 수 있도록 되어, 농작물과 이격된 위치에서 향상된 방제효율을 구현하면서 안정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를 보인 개략 블록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의 제어관계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를 구성하는 방제수단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1)는, 무선조정기(100)의 조작을 통해 조절되는 제어수단(2)의 통해 전원공급부(3)의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고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추력을 형성하도록 된 추진유닛(11)이 구비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결합되며 약액을 가열하여 연무화 한 후 살포하여 농작물을 방제하도록 된 방제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방제수단(20)을 통해 토출되는 연무화된 약액을 무선조정기(100)의 무선조작에 따라 공중으로 추진되어 비행하는 상기 몸체(10)를 통해 공중에서 농작물에 대하여 원하는 방향성을 가지면서 분사할 수 있도록 되어, 농작물과 이격된 위치에서 향상된 방제효율을 구현하면서 안정적으로 방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1)는, 상기 몸체(10)에 구비되는 상기 제어수단(2)을 이격된 공간에서 무선통신망(4)을 통해 조절하도록 된 무선조정기(1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무선조정기(100)에서 방출되는 제어전파를 수신하도록 된 안테나(5)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몸체(10)에는, 상기 제어수단(2)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축전기' 등과 같은 전기에너지 축전매체로 이루어지는 전원공급부(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전원공급부(3)는, 공지된 축전기의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추진유닛(11)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프로펠러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하는 프로펠러가 결합된 다수 개가 쌍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수단(2)을 통해 상기 다수의 추진유닛(11)들을 각각 제어하여 상기 몸체(10)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시켜 추진하여 비행시킬 수 있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연결대(14)의 종단에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1)에서, 상기한 방제수단(20)은, 상기 몸체(10)에 체결되는 프레임들의 결합을 통해 형성되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고정되며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연료를 점화하여 연소시키도록 된 카브레타(22)와; 상기 본체(21)에 고정되며 상기 카브레타(22)에서 연소된 연소가스와 약액을 각각 공급받아 상기 약액과 연소가스의 열교환을 통해 상기 약액을 연무화한 후 배출하도록 된 공냉관(23)과; 상기 본체(21)에 고정되며 상기 공냉관(23)에서 배출되는 연무화된 약액을 토출하도록 된 분사노즐(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방제수단(20)이 상기 몸체(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무화된 약액을 상기 분사노즐(24)을 통해 분사하여 농작물을 방제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체(21)는, '관(pipe)' 형상의 금속프레임들이 수직 및 수평으로 연결되면서 '틀'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단에 상기 몸체(10)와 나사 체결되는 미 도시된 체결편이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카브레타(22)는, 상기 제어수단(2)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는 공기개폐기(251)를 통해 구동되는 공기흡입기(25)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음과 아울러, 상기 제어수단(2)의 제어를 통해 상기 본체(21)에 고정된 연료탱크(26)에 저장된 연료를 공급받아 혼합연료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어수단(2)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점화되는 점화플러그(27)가 배치되어, 상기 혼합연료를 점화시켜 연소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연료탱크(26)에는, 상기 제어수단(2)의 제어를 통해 구동하여 상기 연료탱크(26)에 저장된 연료를 상기 카브레타(22)로 공급하도록 된 공급펌프(26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본체(21)에는, 상기 제어수단(2)의 제어를 통해 전원공급부(3)의 전원을 인가받아 저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하여 상기 점화플러그(27)로 공급함으로써 점화하도록 된 이그나이트(28)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공냉관(23)은, 상기 카브레타(22)에서 유입된 연소가스를 공냉하는 '관(pipe)' 형상의 금속관으로 이루어지며, 종단에 상기 분사노즐(24)이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21)에 고정된 약액통(29)에서 약액을 공급받아 연무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기 공냉관(23)과 상기 약액통(29)은, '관(pipe)' 형상의 약액관(291)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약액관(291)에는, 상기 제어수단(2)의 제어를 통해 개폐하는 약액개폐밸브(292)를 통해 상기 약액통(29)의 약액을 상기 공냉관(23)으로 공급 및 폐쇄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1)에서, 상기한 본체(21)에는, 상기 제어수단(2)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전원공급부(3)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공기펌프(30)가 고정되며; 상기 공기펌프(30)를 통해 상기 공냉관(23)으로 외부의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연소가스를 냉각시킴과 더불어, 상기 공냉관(23)에서의 공기압을 증대시켜, 상기 분사노즐(24)를 통해 살포되는 약액연무의 분사압을 증대시키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1)에서, 상기한 몸체(10)의 테두리면에는, 하부로 연장되며 종단에 이동바퀴(12)가 구비된 다수의 다리(1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다리(23)를 통해 바닥면에서 상기 몸체(10)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여, 바닥면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농업용 방제장치(1)를 통해 농작물의 방제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한 연료탱크(26)에 연료를 충전하고, 상기 전원공급부(3)에 전원을 충전하며, 상기 약액통(29)에 약액을 충전하고, 작업하고자 하는 장소로 상기 몸체(10)를 운반 한 후, 상기 몸체(10)와 이격된 위치에서 작업자가 무선조정기(100)를 조절하여, 상기 제어수단(2)의 연산 및 제어를 통해 상기 추진유닛(11)을 구동시켜 상기 몸체(10)를 공중으로 추진시킴과 동시에 상기 카브레타(22)를 구동하여 연소가스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공냉관(23)에서 상기 연소가스와 약액의 열교환을 통해 약액의 연무화를 수행하고 상기 분사노즐(24)을 통해 배출하여 농작물의 방제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이때, 작업자가 상기 무선조정기(100)를 조절하면, 상기 제어수단(2)과의 무선통신망(4)을 통해 상기 무선조정기(100)의 조절데이터를 인가받아 설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산하여, 상기 추진유닛(11)과 상기 점화플러그(27) 및 상기 약액개페밸브(292)와 상기 공기펌프(30) 및 상기 공급펌프(261)와 공기개폐기(251)를 원하는 형태로 구동되어, 상기 몸체(10)의 비행과 약액연무의 발생 및 살포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무선조정에 따라 추진되는 상기 몸체(10)를 통해 농작물에 대하여 약액의 분사가 원하는 방향성을 가지도록 되어, 농작물과 이격된 위치에서 향상된 방제효율을 구현하면서 안정적으로 방제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방제장치 2 : 제어수단
3 : 전원공급부 4 : 무선통신망
5 : 안테나 10 : 몸체
11 : 추진유닛 12 : 이동바퀴
13 : 다리 20 : 방제수단
21 : 본체 22 : 카브레타
23 : 공냉관 24 : 분사노즐
25 : 공기흡입기 251 : 공기개폐기
26 : 연료탱크 261 : 공급펌프
27 : 점화플러그 28 : 이그나이트
29 : 약액통 291 : 약액개폐밸브
292 : 약액관 30 : 공기펌프
100 : 무선조정기

Claims (1)

  1. 무선조작을 통해 조절되는 제어수단(2)을 통해 전원공급부(3)의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고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추력을 형성하도록 된 추진유닛(11)이 구비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결합되며 약액을 가열하여 연무화 한 후 살포하여 농작물을 방제하도록 상기 몸체(10)에 체결되는 프레임들의 결합을 통해 형성되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고정되며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연료를 점화하여 연소시키도록 된 카브레타(22)와, 상기 본체(21)에 고정되며 상기 카브레타(22)에서 연소된 연소가스와 약액을 각각 공급받아 상기 약액과 연소가스의 열교환을 통해 상기 약액을 연무화한 후 배출하도록 된 공냉관(23)과, 상기 본체(21)에 고정되며 상기 공냉관(23)에서 배출되는 연무화된 약액을 토출하도록 된 분사노즐(24)을 가지는 방제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농업용 방제장치(1)에 있어서;
    상기 추진유닛(11)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프로펠러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하는 프로펠러가 결합된 다수 개가 쌍을 이루어지며;
    상기 카브레타(22)는,
    상기 제어수단(2)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는 공기개폐기(251)를 통해 구동되는 공기흡입기(25)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도록 되고, 상기 제어수단(2)의 제어를 통해 상기 본체(21)에 고정된 연료탱크(26)에 저장된 연료를 공급받아 혼합연료를 형성되며, 상기 제어수단(2)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점화되는 점화플러그(27)가 배치되고;
    상기 연료탱크(26)에는,
    상기 제어수단(2)의 제어를 통해 구동하여 상기 연료탱크(26)에 저장된 연료를 상기 카브레타(22)로 공급하도록 된 공급펌프(261)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21)에는,
    상기 제어수단(2)의 제어를 통해 전원공급부(3)의 전원을 인가받아 저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하여 상기 점화플러그(27)로 공급함으로써 점화하도록 된 이그나이트(28)가 고정되고;
    상기 공냉관(23)은,
    상기 카브레타(22)에서 유입된 연소가스를 공냉하는 '관(pipe)' 형상의 금속관으로 이루어지며, 종단에 상기 분사노즐(24)이 연통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공냉관(23)과 약액통(29)은,
    '관(pipe)' 형상의 약액관(291)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약액관(291)에는,
    상기 제어수단(2)의 제어를 통해 개폐하는 약액개폐밸브(292)를 통해 상기 약액통(29)의 약액을 상기 공냉관(23)으로 공급 및 폐쇄하도록 되며;
    상기 본체(21)에는,
    상기 제어수단(2)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전원공급부(3)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공기펌프(30)가 고정되고;
    상기 몸체(10)의 테두리면에는,
    하부로 연장되며 종단에 이동바퀴(12)가 구비된 다수의 다리(1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방제장치.
KR1020160152518A 2016-11-16 2016-11-16 농업용 방제장치 KR101737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518A KR101737741B1 (ko) 2016-11-16 2016-11-16 농업용 방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518A KR101737741B1 (ko) 2016-11-16 2016-11-16 농업용 방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741B1 true KR101737741B1 (ko) 2017-05-29

Family

ID=59053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518A KR101737741B1 (ko) 2016-11-16 2016-11-16 농업용 방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74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2393A (zh) * 2017-12-19 2018-06-12 山东寿光欧亚特菜有限公司 一种智能蔬菜灭菌装置
CN108782528A (zh) * 2018-06-26 2018-11-13 深圳市安思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可调节浓度的植保无人机
CN110667850A (zh) * 2019-08-30 2020-01-10 南京精微迅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农田农药喷洒用无人机
KR102097910B1 (ko) * 2019-08-02 2020-05-26 배현식 드론에 장착되는 방역장치
KR102097913B1 (ko) * 2019-08-20 2020-05-29 배현식 드론에 장착되는 방역장치의 제어시스템
CN111776224A (zh) * 2020-06-23 2020-10-16 华南农业大学 一种使用无人机喷撒低温气流灭杀农业害虫的装置及方法
KR20210055356A (ko) * 2019-11-07 2021-05-17 주식회사 휴먼드론개발 드론용 연무연막 방제장치
KR20220106313A (ko) * 2021-01-22 2022-07-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313B1 (ko) * 2013-12-26 2016-02-16 한국항공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항공 방제용 멀티콥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313B1 (ko) * 2013-12-26 2016-02-16 한국항공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항공 방제용 멀티콥터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2393A (zh) * 2017-12-19 2018-06-12 山东寿光欧亚特菜有限公司 一种智能蔬菜灭菌装置
CN108782528A (zh) * 2018-06-26 2018-11-13 深圳市安思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可调节浓度的植保无人机
KR102097910B1 (ko) * 2019-08-02 2020-05-26 배현식 드론에 장착되는 방역장치
KR102097913B1 (ko) * 2019-08-20 2020-05-29 배현식 드론에 장착되는 방역장치의 제어시스템
CN110667850A (zh) * 2019-08-30 2020-01-10 南京精微迅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农田农药喷洒用无人机
KR20210055356A (ko) * 2019-11-07 2021-05-17 주식회사 휴먼드론개발 드론용 연무연막 방제장치
KR102402922B1 (ko) * 2019-11-07 2022-05-27 주식회사 휴먼드론개발 드론용 연무연막 방제장치
CN111776224A (zh) * 2020-06-23 2020-10-16 华南农业大学 一种使用无人机喷撒低温气流灭杀农业害虫的装置及方法
KR20220106313A (ko) * 2021-01-22 2022-07-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
KR102506780B1 (ko) 2021-01-22 2023-03-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741B1 (ko) 농업용 방제장치
EP1122999B1 (en) Weed and plant pests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7100540B2 (en) Portable steam and heat generator
US2685146A (en) Spraying device
JP2018504107A (ja) 非加熱式無人煙霧機
KR101789714B1 (ko) 농업용 방제장치
CN101530835B (zh) 稳态燃烧大型烟雾机
US20110041782A1 (en) Portable steam and heat generator for pest control
KR101862256B1 (ko) 농업용 방제장치
KR20210042648A (ko) 훈증 기화기
CN108607189A (zh) 一种灭火器及其操作方法
KR20100134158A (ko) 히터를 이용한 연무장치
CN104396929B (zh) 一种蔬菜种植用高温杀虫装置
KR102095192B1 (ko) 병충해와 잡초 방제용 휴대형 스팀 분사장치
CN108849831A (zh) 一种气爆灭鼠法用汽油混合气发生器
KR100432066B1 (ko) 유황 훈증 방제기
CN218222970U (zh) 一种改良型烟雾机
CN205196797U (zh) 一种杀虫除草用的柴油火焰头
KR102325387B1 (ko) 연막소독기
CN2287383Y (zh) 云雾杀虫机
CN211298177U (zh) 一种无人机植保烟雾机
CN204305934U (zh) 一种蔬菜种植用高温杀虫装置
CN212813798U (zh) 一种农林超声波灭虫装置
AU734972B2 (en) Weed and plant pests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200283605Y1 (ko) 휴대용 연무 연막 살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