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305A - 저온살균을 이용한 배즙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온살균을 이용한 배즙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305A
KR20190011305A KR1020190009535A KR20190009535A KR20190011305A KR 20190011305 A KR20190011305 A KR 20190011305A KR 1020190009535 A KR1020190009535 A KR 1020190009535A KR 20190009535 A KR20190009535 A KR 20190009535A KR 20190011305 A KR20190011305 A KR 20190011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apple
apple juice
wash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2445B1 (ko
Inventor
신인건
신인모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인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인
Priority to KR1020190009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445B1/ko
Publication of KR20190011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J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0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배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배를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배의 껍질과 씨를 분리하여 과육을 취하는 단계, 상기 과육을 분쇄 및 압착하여 제1 착즙액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껍질을 다시 세척한 후 분쇄 및 압착하여 제2 착즙액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착즙액을 제1 온도에서 제1 시간동안 저온살균하는 단계, 상기 제2 착즙액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에서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동안 저온살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착즙액과 상기 제2 착즙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즙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저온살균을 이용한 배즙의 제조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PEAR JUICE USING PASTEURIZATION}
본 발명은 배즙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배의 영양분을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위생적인 배즙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첨가물이 들어간 과일주스 대신 원액 그대로를 착즙한 과일즙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사과즙의 경우 맛과 향이 좋으며, 소비자들이 아침에 사과를 깎아먹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해주고 있어 그 인기가 높다.
사과즙을 추출하기 위해 사과를 고온으로 가열하게 되는 경우, 비타민 등의 영양소가 파괴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사과를 파쇄하여 착즙한 후, 저온살균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저온살균 방법은 고온에서는 변화를 일으키거나 분해되는 물질(예를 들어, 비타민)을 함유하는 액체의 살균에 쓰이는 방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30099호, 2013.02.05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즙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배의 영양분을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위생적인 배즙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배즙의 제조방법은, 배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배를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배의 껍질과 씨를 분리하여 과육을 취하는 단계, 상기 과육을 분쇄 및 압착하여 제1 착즙액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껍질을 다시 세척한 후 분쇄 및 압착하여 제2 착즙액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착즙액을 제1 온도에서 제1 시간동안 저온살균하는 단계, 상기 제2 착즙액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에서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동안 저온살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착즙액과 상기 제2 착즙액을 혼합하여 배즙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된 배를 세척하는 단계는, 상기 선별된 배를 오존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배를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를 선별하는 단계는, 배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물기를 제거한 배의 제1 지점 및 상기 제1 지점과 상이한 제2 지점에 서로 상이한 극의 전극을 접촉시키는 단계, 전류계를 이용하여 상기 물기를 제거한 배의 제3 지점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류의 크기가 소정의 제1 기준값 이하이거나, 상기 제1 기준값보다 높은 소정의 제2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물기를 제거한 배의 표면에 손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표면에 손상이 없는 배만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사과 껍질에 남아있는 잔류농약 또는 이물질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사과즙 제조과정에서 사과의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식이섬유와 비타민 등 영양소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으면서도, 더 깨끗한 사과즙을 제조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사과의 세척, 분류 및 착즙 전처리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사과즙 생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과즙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사과즙을 포장하기 위한 파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과즙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방법은, 사과즙을 제조하는 일련의 공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방법은 사과즙 제조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방법의 각 단계가 사과즙 제조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서술한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각 방법을 수행하는 주체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사과즙의 제조방법은 저농약 사과만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으로부터 친환경농업육성법 제17조의 규정에 따라 인증받은 저농약사과만을 이용하여 사과즙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사과를 선별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사과의 크기, 당도 및 사과 표면의 손상여부에 따라 사과를 선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소정의 기준 크기 이상인 사과만을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과즙 제조장치는 사과를 소정의 기준 크기의 지름으로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도록 하여, 소정의 기준 크기 이상인 사과만을 선별할 수 있다. 소정의 기준 크기는 5cm 내지 10cm 사이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기준 크기는 7cm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소정의 기준 당도 이상인 사과만을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과즙 제조장치는 당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당도가 소정의 기준 당도 이상인 사과만을 선별할 수 있다. 소정의 기준 당도는 14brix 내지 16brix 사이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기준 당도는 15brix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표면에 손상이 없는 사과를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다. 사과즙 제조장치는 사과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고, 물기를 제거한 사과의 제1 지점 및 제1 지점과 상이한 제2 지점에 서로 상이한 극의 전극을 접촉시키고,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다. 사과즙 제조장치는 전류계를 이용하여 물기를 제거한 사과의 제3 지점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표면에 손상이 있는 사과라면, 손상된 부분에 물기가 많이 존재하므로, 저항이 낮아 손상된 부분으로 대부분의 전류가 흘러가게 된다. 따라서, 표면에 손상이 있는 사과의 경우 표면에 손상이 없는 사과에 비해 제3 지점에 더 낮은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제3 지점에서 측정된 전류의 크기가 소정의 제1 기준값 이하인 경우, 사과의 표면에 손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과 표면의 제3 지점이 손상되었을 수 있다. 이 경우, 손상된 부분으로 대부분의 전류가 흘러가므로, 제3 지점에 높은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제3 지점에서 측정된 전류의 크기가 소정의 제2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사과의 표면에 손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과의 제3 지점에서 측정된 전류의 크기가 소정의 제1 기준값 이상 제2 기준값 이하인 경우 표면에 손상이 없는 사과로 판단할 수 있다.
사과즙 제조장치는 표면에 손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과를 배제하여, 표면에 손상이 없는 사과만을 선별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선별된 사과를 세척한다. 사과를 세척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과즙 제조장치는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사과를 세척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과즙 제조장치는 식초 또는 베이킹소다를 혼합한 물을 이용하여 사과를 세척할 수 있다. 사과즙 제조장치는 오존수를 이용하여 사과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사과즙 제조장치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사과를 살균할 수도 있다.
단계 S130에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세척된 사과의 껍질과 씨를 분리하여 과육을 취한다.
사과의 씨에는 미량의 독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분리된 씨를 제거함으로써 더 건강한 사과즙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씨를 제거함으로써 사과즙의 맛과 식감 또한 더욱 깔끔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사과의 꼭지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사과의 꼭지 부분에는 잔류 농약 또는 이물질이 많고, 세척 또한 곤란하므로 위생을 위해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과즙 제조장치는 사과의 꼭지 부분을 원뿔 모양으로 잘라낼 수 있다.
사과즙 제조장치는 사과의 꼭지 부분을 원뿔의 꼭지점에서 밑면까지 수직인 선분과 원뿔의 모선 사이의 각도가 30도 내지 60도가 되도록 사과의 꼭지 부분을 원뿔 모양으로 잘라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과즙 제조장치는 사과의 꼭지 부분을 원뿔의 꼭지점에서 밑면까지 수직인 선분과 원뿔의 모선 사이의 각도가 45도가 되도록 사과의 꼭지 부분을 원뿔 모양으로 잘라냄으로써 사과의 꼭지 부분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사과의 껍질 부분에는 식이섬유와 비타민 등 영양소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사과를 먹을 때에는 사과의 껍질도 함께 먹는 것이 좋다. 마찬가지로, 사과즙을 만들 때에도 사과의 껍질을 함께 넣어 만드는 것이 좋다.
하지만, 사과 껍질에는 잔류농약이 있을 수 있고, 유기농으로 재배한 사과라 하더라도 각종 이물질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인 세척 방법으로는, 사과 껍질에 남아있는 이물질을 온전히 제거하기 어렵다.
사과를 오랫동안 물에 담가두고, 여러 번 세척하면 더 많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공정이 매우 느려질 수 있다. 따라서, 사과의 껍질 부분을 분리한 후, 과육을 분리하여 양이 많은 과육을 먼저 착즙 및 살균하고, 상대적으로 양이 적은 껍질은 따로 모아서 추가적으로 세척 및 살균하고, 착즙한 후 오랫동안 살균하여 상대적으로 빠르게 사과즙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과의 껍질과 과육을 분리하여 착즙하는 경우, 껍질로부터 착즙될 수 있는 사과즙의 양은 과육으로부터 착즙될 수 있는 사과즙 양의 10%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사과 껍질로부터 착즙된 사과즙은 살균시설의 일부만을 이용하여 오랫동안 살균하고, 과육으로부터 착즙된 대부분의 사과즙은 살균시설의 대부분을 이용하여 빠르게 살균처리한 후, 두 종류의 사과즙을 혼합함으로써 빠르게 위생적인 사과즙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단계 S140 내지 단계 S180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 S140에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분리된 과육을 분쇄 및 압착하여 제1 착즙액을 획득한다.
단계 S150에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제1 착즙액을 제1 온도에서 제1 시간동안 저온살균한다. 제1 착즙액은 껍질로부터 분리된 과육만을 분쇄 및 압착하여 획득되었으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살균만으로도 위생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착즙액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제1 온도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제1 시간동안 저온살균함으로써, 위생을 확보하면서도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온도는 60도 이상 80도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온도는 65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시간은 1시간 내지 2시간일 수 있다.
단계 S150에서 서술한 제1 온도 및 제1 시간의 구체적인 수치는 예시를 위하여 제시된 것이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단계 S160에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단계 S130에서 분리된 껍질을 다시 세척한 후, 분쇄 및 압착하여 제2 착즙액을 획득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과 껍질은 1mm 이상 5mm 이하의 두께로 분리될 수 있다. 사과 껍질이 너무 두껍게 분리될 경우, 과육이 불필요하게 손상될 수 있다. 반면에, 사과 껍질이 너무 얇게 분리될 경우, 사과 껍질의 이물질이 과육에 다소 침투하였을 수 있어 위생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사과 껍질은 과육에 비해 수분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사과 껍질을 너무 얇게 분리하는 경우, 사과 껍질로부터 사과즙을 착즙하기 어려울 수 있다. 사과 껍질을 1mm 이상 5mm 이하의 두께로 분리하는 경우, 분리된 사과 껍질에 포함된 과육이 착즙되면서 생성된 사과즙이 사과 껍질에 포함된 섬유소 및 비타민 등의 영양소를 추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과 껍질을 조금 더 두껍게 깎아 착즙이 더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과 껍질을 2mm 이상 5mm 이하의 두께로 분리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오존수를 이용하여 분리된 껍질을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식초 또는 베이킹소다를 혼합한 물을 이용하여 분리된 껍질을 다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사과즙 제조장치는 분리된 껍질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분리된 껍질을 살균할 수 있다.
단계 S170에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제2 착즙액을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에서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동안 저온살균할 수 있다.
제2 착즙액은 사과의 껍질 부분을 착즙한 것이므로, 과육을 착즙한 제1 착즙액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상대적으로 오래 살균하는 것이 위생을 확보하기에 용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온도는 70도 이상 90도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온도는 85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시간은 2시간 내지 4시간일 수 있다.
단계 S170에서 서술한 제2 온도 및 제2 시간의 구체적인 수치는 예시를 위하여 제시된 것이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단계 S180에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제1 착즙액과 제2 착즙액을 혼합하여 사과즙을 생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사과 껍질에 포함된 섬유질을 사과즙에 온전히 담아내기 위하여 단계 S160에서 제2 착즙액을 획득하고 남은 껍질을 사과즙에 혼합할 수 있다. 남은 껍질을 그대로 사과즙에 혼합하는 경우, 사과즙이 탁해지고 마시기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제2 착즙액을 획득하고 남은 껍질 찌꺼기를 냉동건조 후 분쇄하여 사과즙에 혼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사과즙의 갈변을 막기 위하여 제1 착즙액, 제2 착즙액 및 제1 착즙액과 제2 착즙액을 혼합하여 생성된 사과즙 중 적어도 하나에 사과식초를 혼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과식초는 사과즙 100중량부당 1중량부 이하로 혼합될 수 있으나, 그 양은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생성된 사과즙의 일부에 효모를 혼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과즙 제조장치는 생성된 사과즙의 1%를 분리한 후, 분리된 사과즙 1000중량부당 1중량부의 효모를 혼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생성된 사과즙의 일부에 생막걸리를 혼합할 수 있다.
사과즙 제조장치는 효모 또는 생막걸리가 혼합된 사과즙을 발효하여 사과식초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과즙 제조장치는 효모 또는 생막걸리가 혼합된 사과즙을 1개월 내지 2개월간 발효하여 사과식초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생성된 사과식초를 끓여 알코올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사과즙 제조장치는 생성된 사과식초를 사과즙에 혼합하여 사과즙의 갈변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과즙 제조장치는 생성된 사과즙을 포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과즙 제조장치는 생성된 사과즙을 롤 파우치를 이용하여 포장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사과즙을 포장하기 위한 파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과즙을 포장하기 위한 파우치(200)의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파우치(200)는 하나 이상의 파우치가 서로 연결된 롤 파우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파우치(200)의 상단(210)에는 파우치(200)를 찢기 쉽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220)가 톱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돌출부(220)를 이용하여 파우치(200)를 찢으려고 하는 경우, 파우치(200) 내부의 비닐조직이 함께 찢어지지 않고 늘어날 수 있다. 이 경우, 가위를 이용하지 않으면 파우치(200)를 찢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파우치(200)의 상단(210)에는 돌출부(220)로부터 파우치(200)의 측면까지 파선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부(2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파우치(200)에는 복수의 가이드부(230)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과즙 제조장치는 파우치(200)의 상단(210)을 돌출부(220)로부터 파우치(200)의 측면까지 파선 형태로 열을 가하여 압착함으로써 가이드부(230)를 만들어낼 수 있다.
또한, 사과즙 제조장치는 파우치(200)의 상단(210)을 돌출부(220)로부터 파우치(200)의 측면까지 파선 형태로 구멍을 뚫어 가이드부(230)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이 경우, 사과즙이 가이드부(230)를 통해 새어나오지 않도록 돌출부(220)의 근처에만 가이드부(230)가 형성되도록 파우치(200)가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는 사과즙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사과즙의 제조방법은 다른 과실즙 또는 야채즙의 제조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사과즙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제조방법을 양파즙 또는 배즙을 제조하는 데에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양파즙을 생산하는 경우, 양파를 선별하고, 선별된 양파를 세척하고, 세척된 양파의 껍질을 1mm 내지 5mm 두께로 분리하고, 껍질을 분리한 양파를 100도 내지 120도에서 달여서 제1 원액을 획득하고, 분리된 껍질은 다시 세척한 후 달여서 제2 원액을 획득하고, 제1 원액과 제2 원액을 혼합하여 양파즙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사과를 선별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양파를 선별하는 데에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조방법을 포도 또는 아로니아 즙을 생성하는 데에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아로니아 즙을 생성하는 경우, 아로니아를 선별하고, 선별된 아로니아를 세척하고, 세척된 아로니아의 껍질과 씨를 분리하고, 분리된 과육을 분쇄 및 압착하여 제1 착즙액을 획득하고, 제1 착즙액을 제1 온도에서 제1 시간동안 저온살균하고, 분리된 껍질을 다시 세척한 후 분쇄 및 압착하여 제2 착즙액을 획득하고, 제2 착즙액을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에서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동안 저온살균하고, 제1 착즙액과 제2 착즙액을 혼합함으로써 아로니아 즙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사과를 선별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아로니아를 선별하는 데에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사과즙의 제조방법을 다른 과실즙 또는 야채즙의 제조방법에 적용함으로써, 더 위생적이고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껍질에 포함된 영양소도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과실즙 또는 야채즙을 제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사과즙, 양파즙 및 아로니아즙 중 적어도 두 가지를 혼합한 과실즙을 생성할 수 있다. 사람에 따라, 양파즙의 냄새를 싫어하거나, 아로니아의 떫은 맛을 먹기 어려워할 수 있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 물을 섞거나 단 음료를 섞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첨가물을 섞는 대신 생 사과를 착즙하여 제조한 사과즙을 혼합함으로써, 건강에 더 좋으면서도 마시기 편한 과실즙을 제조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사과즙에 아로니아를 냉동건조하여 혼합함으로써 맛이 좋으면서도 사과와 아로니아의 영양소를 포함한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사과즙에 아로니아 추출물을 혼합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사과즙과 양파즙을 혼합한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사과즙과 아로니아즙을 혼합한 음료를 제조할 수 있으며, 사과즙, 양파즙 및 아로니아즙을 혼합한 음료를 제조할 수도 있다.

Claims (1)

  1. 배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배를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배의 껍질과 씨를 분리하여 과육을 취하는 단계;
    상기 과육을 분쇄 및 압착하여 제1 착즙액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껍질을 다시 세척한 후 분쇄 및 압착하여 제2 착즙액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착즙액을 제1 온도에서 제1 시간동안 저온살균하는 단계;
    상기 제2 착즙액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에서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동안 저온살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착즙액과 상기 제2 착즙액을 혼합하여 배즙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된 배를 세척하는 단계는,
    상기 선별된 배를 오존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배를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를 선별하는 단계는,
    배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물기를 제거한 배의 제1 지점 및 상기 제1 지점과 상이한 제2 지점에 서로 상이한 극의 전극을 접촉시키는 단계;
    전류계를 이용하여 상기 물기를 제거한 배의 제3 지점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류의 크기가 소정의 제1 기준값 이하이거나, 상기 제1 기준값보다 높은 소정의 제2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물기를 제거한 배의 표면에 손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표면에 손상이 없는 배만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즙의 제조방법.
KR1020190009535A 2019-01-24 2019-01-24 저온살균을 이용한 배즙의 제조방법 KR102002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535A KR102002445B1 (ko) 2019-01-24 2019-01-24 저온살균을 이용한 배즙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535A KR102002445B1 (ko) 2019-01-24 2019-01-24 저온살균을 이용한 배즙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101A Division KR20180037606A (ko) 2018-01-11 2018-01-11 사과즙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305A true KR20190011305A (ko) 2019-02-01
KR102002445B1 KR102002445B1 (ko) 2019-07-23

Family

ID=6536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535A KR102002445B1 (ko) 2019-01-24 2019-01-24 저온살균을 이용한 배즙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4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144B1 (ko) * 2000-07-13 2003-04-21 대한민국 비파괴 과일 선별장치
KR20060099768A (ko) * 2005-03-14 2006-09-20 전라남도 고속용해방식을 이용한 오이 기능성 음주보조음료 및 제조방법
KR100769594B1 (ko) * 2006-06-28 2007-10-23 문규철 배즙 또는 사과즙의 제조방법
KR20080104379A (ko) * 2006-03-18 2008-12-02 미첼 지. 싱어 신선도/미각 결정 및 기관 활력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25760A (ko) * 2008-08-28 2010-03-10 홍신도 젖은 김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1230099B1 (ko) 2010-08-05 2013-02-05 양춘병 사과즙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144B1 (ko) * 2000-07-13 2003-04-21 대한민국 비파괴 과일 선별장치
KR20060099768A (ko) * 2005-03-14 2006-09-20 전라남도 고속용해방식을 이용한 오이 기능성 음주보조음료 및 제조방법
KR20080104379A (ko) * 2006-03-18 2008-12-02 미첼 지. 싱어 신선도/미각 결정 및 기관 활력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100769594B1 (ko) * 2006-06-28 2007-10-23 문규철 배즙 또는 사과즙의 제조방법
KR20100025760A (ko) * 2008-08-28 2010-03-10 홍신도 젖은 김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1230099B1 (ko) 2010-08-05 2013-02-05 양춘병 사과즙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445B1 (ko) 201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5378B2 (en) Nectarine juice drink
KR101685906B1 (ko) 사과즙의 제조방법
KR102002445B1 (ko) 저온살균을 이용한 배즙의 제조방법
KR102002391B1 (ko) 배즙의 제조방법
KR20180037606A (ko) 사과즙의 제조방법
KR101819835B1 (ko) 오존수로 세척된 사과를 이용한 사과즙의 제조방법
KR101819834B1 (ko) 오존수 세척을 이용한 사과즙의 제조방법
KR20230034620A (ko) 물에 타먹는 풋사과즙
KR101293072B1 (ko) 전기살균을 이용한 콜라비 녹즙의 제조방법
JP2015037400A (ja) ミックスジュース
KR20200097155A (ko) 일반 무화과, 미숙과 그리고 저가 무화과를 이용한 품질향상 건조 무화과 및 분말 제조방법
Sarkar et al. Processing Equipments for Small Scale Processing Enterprises
Sudheer et al. Value Added Products from Fruits and Vegetables Prospects for Entrepreneurs
Boyer et al. Boiling Water Bath Canning Including Jams, Jellies, and Pickled Products
KR20240055362A (ko) 저탄소 농업기술로 생산된 과일을 이용한 씨 없는 착즙 액의 제조방법
Vinodh Practical Manual on ‘Processing of Horticultural Crops’
Walker Canning, pickling, and preserving
KR20220064015A (ko) 무첨가 생토마토주스 제조방법 및 그 토마토주스
CN116711825A (zh) 一种柑橘吃干榨尽全自动智能化果汁饮品生产线工艺流程
Hughes Everywomans Canning Book: The ABC of Safe Home Canning and Preserving
Joshi PREPARATION AND STORAGE STABILITY EVALUATION OF TAMARILLO SAUCE WITH VARYING STORAGE TEMPERATURE AND PACKAGING MATERIAL
Mini Technologies for cashew apple processing
McPheters Home preserv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ndress et al. Preserving food: Flavored vinegars
Austin Domestic Sc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