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238A -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조립 모듈, 차량 모듈 및 차량 모듈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조립 모듈, 차량 모듈 및 차량 모듈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238A
KR20190011238A KR1020187032363A KR20187032363A KR20190011238A KR 20190011238 A KR20190011238 A KR 20190011238A KR 1020187032363 A KR1020187032363 A KR 1020187032363A KR 20187032363 A KR20187032363 A KR 20187032363A KR 20190011238 A KR20190011238 A KR 20190011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section
connection
profile strip
adjace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6370B1 (ko
Inventor
러츠 버그맨
카르텐 버크
크리스토퍼 하인
마르코 하인
데이비드 랜덱
젠스 로엔너트
마이클 오트뮐러
하르트무트 로쓰
마쿠스 체니이덜
Original Assignee
엘카메트 쿤스트스토프테크닉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카메트 쿤스트스토프테크닉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엘카메트 쿤스트스토프테크닉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11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60J10/34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60J10/34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adhesives
    • B60J10/3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 tapes, e.g. double-sided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앞유리(18)의 에지 영역(16)에 대한 연결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제1 연결 영역(14)을 갖고 앞유리(18)에 인접한 차량 부품(20)에 대한 연결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제2 연결 영역(22)을 갖는 프로파일 스트립(12)을 포함하며, 또한 프로파일 스트립(1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강 스트립(24)을 포함하며, 그것에 의해 보강 스트립(24)이 제2 연결 영역(22) 안으로 삽입되어 영구적으로 남아 있는 삽입 섹션(26)을 갖고, 그것이 또한 인접한 차량 부품(20)에 연결될 연결 섹션(28)을 갖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12)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조립 모듈, 차량 모듈 및 차량 모듈을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조립 모듈, 차량 모듈 및 차량 모듈 조립 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앞유리의 에지 영역에 대한 연결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제1 연결 영역을 갖고 앞유리에 인접한 차량 부품에 대한 연결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제2 연결 영역을 갖는 프로파일 스트립을 포함하며, 또한 프로파일 스트립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강 스트립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및 앞유리를 포함하는 조립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인접한 차량 부품을 포함하며, 또한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또는 조립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 모듈을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부터, 예를 들어, 독일 유틸리티 모델 DE 200 08 555 U1 및 독일 유틸리티 모델 DE 20 2008 006 986 U1로부터 공지된 프로파일 스트립들은 자동차의 앞유리의 하부 에지 영역을 인접한 차량 부품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인접한 차량 부품은 특히 프로파일 스트립에 통상적으로 래치되는 소위 수로(water trough) 커버이다. 수로 커버는 자동차 창 유리를 흘러 넘치는 물을 수집하고 엔진 수납부 안으로 그리고 자동차 밑으로 제어된 방식으로 그것을 멀리 배출하는 수로를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수로는 차체의 일부일 수 있다.
프로파일 스트립이 제조된 후에, 그것은 앞유리의 에지 영역에 연결되며, 특히 그것에 접착된다. 이러한 조립 단계는 통상적으로 공급업체들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공급업체들은 자동차 제조업체에게 앞유리 및 앞유리에 연결되는 프로파일 스트립으로 구성되는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그 다음, 이러한 모듈은 자동차의 최종 조립의 범위 내에서 차체의 앞유리 리셉터클(receptacle)에 연결되며; 더욱이, 인접한 차량 부품은 프로파일 스트립에 접합된다.
공급업체로부터 자동차 제조업체로 상기 언급된 모듈의 운송 동안, 프로파일 스트립의 제2 연결 영역은 앞유리로부터 멀리 돌출되고 따라서 기계적 영향들에 노출된다. 동시에, 그것은 모듈이 공간 절약 및 "스탠딩" 위치로 운송되는 것, 즉, 앞유리가 똑바로 세워 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그것은 또한 앞유리가 운송 동안 그것의 하부 에지 영역에 대한 손상에 대해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보호는 앞유리가 그것이 운송되고 있는 동안에 프로파일 스트립 상에 여전히 놓이게 되는 점에서 보장된다. 그러나, 이것은 앞유리의 중량이 모듈의 운송 동안 프로파일 스트립을 누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하중은 프로파일 스트립의 제2 연결 영역의 바람직하지 않은 변형을 초래한다.
앞유리에 연결되는 프로파일 스트립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그것은 보강 스트립(또한 "keder rail"로 지칭됨)으로 제2 연결 영역을 보강하는 것이 종래 기술로부터(예를 들어, 국제 특허 출원 WO 2006/002891 A2, 유럽 특허 출원 EP 2 253 556 A1 및 국제 특허 출원 WO 2014/041279 A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보강 스트립은 제2 연결 영역의 수납 공간 안으로 배치됨으로써 수납 공간이 보강 스트립의 재료에 의해 보강되며, 그것에 의해 제2 연결 영역의 변형을 적어도 대체로 방지한다.
"앞유리 및 프로파일 스트립" 모듈이 자동차 제조업체에 전달된 후에, 그 다음, 보강 스트립은 제2 연결 영역이 인접한 차량 부품, 특히 수로 커버에 연결될 수 있도록 프로파일 스트립의 제2 연결 영역으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보강 스트립은 그 뒤에 처리된다.
제2 연결 영역으로부터 보강 스트립을 제거하기 위해, 유럽 특허 출원 EP 2 253 556 A1은 보강 스트립이 그립(grip) 탭을 수동으로 당김으로써 제2 연결 영역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보강 스트립에 그립 탭 형태의 추가적인 핸들링 섹션을 제공하는 것을 제안한다. 인출(pull-out) 링 형태의 유사한 핸들링 섹션은 국제 특허 출원 WO 2014/041279 A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추가적인 핸들링 섹션들은 프로파일 스트립의 제2 연결 영역으로부터 보강 스트립의 제거를 단순화한다. 그러나, 보강 스트립 및 핸들링 섹션들은 먼저 개별적인 부품들로서 제조되어야만 하고 그 다음 공급업체는 그들을 프로파일 스트립 상으로 장착해야만 한다. 모듈이 자동차 제조업체로 운송된 후에, 그 다음, 자동차 제조업체는 보강 스트립 및 핸들링 섹션들을 분해해야만 한다. 최종적으로, 보강 스트립 및 핸들링 섹션들은 수거되고 처리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배경 전에, 본 발명은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조립 모듈, 차량 모듈 및 차량 모듈을 조립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목적에 기초하며 그것에 의해 보강 스트립의 취급(handling)과 관련하여 수반되는 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목적은 보강 스트립이 제2 연결 영역 안으로 삽입되고 이에 영구히 남아 있는 삽입 섹션을 갖고, 그것이 또한 인접한 차량 부품에 연결될 연결 섹션을 갖는다는 점에서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조립 모듈 및 상기 언급된 유형의 차량 모듈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상기 언급된 목적은,
ㆍ 프로파일 스트립이 앞유리의 에지 영역에 연결된 후에 또는 그 전에 보강 스트립의 삽입 섹션이 프로파일 스트립의 제2 연결 영역 안으로 삽입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그 뒤에,
ㆍ 인접한 차량 부품이 보강 스트립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차량 모듈을 조립하는 방법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 스트립은 이중 기능을 수행한다. 조립 모듈의 운송 동안, 프로파일 스트립은 보강 스트립의 삽입 섹션이 제2 연결 영역에 배열된다는 점에서 변형에 대해 보호된다. 그러나, 보강 스트립은 운송이 완료된 후에 제2 연결 영역으로부터 제거되지 않으며, 오히려, 삽입 섹션은 제2 연결 영역에 영구히 남아 있고 보강 스트립의 연결 섹션에 의해 인접한 차량 부품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강 스트립은 운송 보호를 구성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최종 조립 후에, 그것은 또한 인접한 차량 부품을 포함하는 차량 모듈의 영구적인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가 비 조립 상태일 때, 보강 스트립의 삽입 섹션은 - 그것이 제2 연결 영역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 제2 연결 영역에 대한 운송 보호를 구성하고,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가 자동차 상에 조립된 상태일 때, 보강 스트립은 프로파일 스트립에 대한 인접한 차량 부품의 연결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배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앞유리를 포함하는 조립 모듈뿐만 아니라 인접한 차량 부품을 포함하는 차량 모듈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보강 스트립이 프로파일 스트립의 제2 연결 영역에 연결된 후에 프로파일 스트립으로부터 더 이상 제거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본질적인 이점을 갖는다.
특히,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의 보강 스트립은 프로파일 스트립으로부터 보강 스트립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핸들링 섹션을 갖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핸들링 섹션의 생산 및 조립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강 스트립이 프로파일 스트립 상에 남아 있으므로, 보강 스트립들은 수집되고 그 다음 처리될 필요가 없다. 그 다음, 보강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해 요구되는 재료 볼륨은 인접한 차량 부품에 관한 한 절약될 수 있으며, 이는 대응하여 더 작은 재료 볼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자동차 제조업체의 유리한 점에서, 이것은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및 앞유리를 포함하는 조립 모듈이 전달되고 그 다음, 프로파일 스트립으로부터 보강 스트립을 제거하는 조립 단계가 제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동차 제조업체는 (더 작은) 인접한 차량 부품을 보강 스트립에 연결하기만 하면 된다. 자동차 제조업체는 앞유리가 자동차의 앞유리 리셉터클에 연결된 후에 또는 그 전에 이러한 조립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조립 단계는 노력의 관점에서 유사하고 (더 큰) 인접한 차량 부품이 (보강 스트립이 제거되었던) 프로파일 스트립의 제2 연결 영역에 연결되는, 종래의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들에 대해 요구되는 조립 단계를 대체한다.
보강 스트립 및 프로파일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삽입 섹션은 래칭(latching) 연결에 의해 제2 연결 영역에 고정된다. 보강 스트립의 연결 섹션이 인접한 차량 부품에 연결된 후에, 그 다음, 래칭 연결은 프로파일 스트립에 대해 인접한 차량 부품에 대한 분리 가능한 연결 수단을 형성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보강 스트립의 삽입 섹션의 기하학적 구조는 인접한 차량 부품의 삽입 섹션에 대한 독일 유틸리티 모델 DE 20 2008 006 986 U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는 기하학적 구조와 일치한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프로파일 스트립이 래칭 리셉터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인접한 차량 부품의 분리 가능한 고정을 달성시에 그것의 가치를 입증하였고 이는 또한 독일 유틸리티 모델 DE 20 2008 006 986 U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고, 이는 프로파일 스트립 상으로 고정되고 보강 스트립의 래칭 요소 리셉터클과 상호작용하는 미늘-형상(barb-shaped) 래칭 요소를 포함한다.
그러한 래칭 연결의 구조 및 작동 모드와 관련하여, 독일 유틸리티 모델 DE 20 2008 006 986 U1의 내용들을 참조한다.
보강 스트립을 인접한 차량 부품에 연결하기 위한 바람직한 연결 양식들(modalities)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이들 연결 양식들은 각각 소위 "제1 연결 수단"을 구성하는 반면에, 보강 스트립과 프로파일 스트립 사이의 상기 설명된 연결은 소위 "제2 연결 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언급된 제1 연결 수단에 대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섹션이 인접한 차량 부품에 대한 일체적으로 본딩된 연결을 설정하는 일체형 본딩 섹션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연결 섹션은 인접한 차량 부품에 용접된 후에, 보강 섹션과 인접한 차량 부품 사이에 용접된 연결을 형성하는 용접(welding) 섹션을 갖는다. 바람직한 용접 공정들은 레이저 용접, 마찰 또는 진동 용접, 미러(mirror) 용접, 인접한 차량 부품 및/또는 보강 스트립의 재료 안으로 내장되는 추가적인 요소들(저항 요소들)에 의한 열 도입에 의한 용접, 및 또한 유도 용접을 포함한다.
특히, 보강 스트립의 연결 섹션이 일체형 본딩 섹션으로 구성되는 경우, - 삽입 섹션이 제2 연결 영역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 보강 스트립의 연결 섹션이 프로파일 스트립의 외부 밀봉 표면에 대해 리세스되며, 그것에 의해 - 인접한 차량 부품이 프로파일 스트립에 연결된 상태에서 - 차량 부품의 외부 표면 및 외부 밀봉 표면이 동일한 높이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프로파일 스트립의 외부 밀봉 표면과 연결 섹션 사이의 오프셋이 인접한 차량 부품이 조립된 후에, 차량 부품의 외부 표면 및 프로파일 스트립의 외부 밀봉 표면을 포함하는 동일 평면의(flush) 외부 표면이 생성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인접한 차량 부품의 두께에 일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앞유리의 외부 표면이 또한 동일 평면의 방식으로 인접되며, 그것에 의해 인접한 차량 부품, 프로파일 스트립의 밀봉 섹션, 및 앞유리의 외부 표면의 외부 표면들을 포함하는 전적으로 동일 평면의 배열을 형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보강 스트립을 인접한 차량 부품에 연결하기 위한 다른 가능성은 연결 섹션에 연결되고 차량 모듈의 일부로서, 또한 인접한 차량 부품에 연결되는 중간(intermediate) 요소를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러한 중간 요소는 특정 연결 방식을 고려하여, 그것이 보강 스트립에 대해 및/또는 인접한 차량 부품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중간 요소는 접착 섹션이다. 그러한 접착 섹션은 특별히 자동차 제조업체가 인접한 차량 부품에 대한 연결을 설정하는 후속 조립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히 보강 스트립의 연결 섹션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접착 섹션은 접착 화합물 또는 접착 테이프, 특히 양면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또한 가열-활성(heat-activated)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간 요소가 접착 섹션을 포함하거나 그러한 접착 섹션으로 구성되는 경우, 그 다음, 접착 섹션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는 커버 층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커버 층은 프로파일 스트립, 보강 스트립 및 앞유리로 구성되는 조립 모듈의 운송 동안에 접착 섹션을 보호한다. 그 다음, 커버 층은 인접한 차량 부품의 조립 직전에 박리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되어 설명된 연결 양식들에 더하여 또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연결 스트립의 연결 섹션은 또한 인접한 차량 부품 또는 인접한 차량 부품에 연결될 수 있는 중간 요소에 대한 포지티브(positive)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포지티브-연결 섹션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포지티브 연결은 포지티브 연결이 적어도 하나의 포지티브-연결 평면에서 활성화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포지티브 연결이 언더컷(undercut)을 공동으로 형성하는 포지티브-연결 섹션들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러한 언더컷은 보강 스트립의 연결 섹션과 인접한 차량 부품의 연결 섹션 사이의 래칭 체결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인접한 차량 부품 및 보강 스트립은 제1 연결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2 연결 수단은 보강 스트립의 삽입 섹션과 프로파일 스트립의 제2 연결 영역 사이에서 활성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된 제1 및 제2 연결 수단은 제1 연결 수단을 분리하기 위한 작동력(actuation force)이 제2 연결 수단을 분리하기 위한 작동력보다 더 높은 그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 모듈 상으로 가해지는 분해력(disassembly force)은 초기에 제2 연결 수단의 분리를 초래하지만 제1 연결 수단의 분리를 초래하지 않는다. 그 결과, 분해력은 인접한 차량 부품이 보강 스트립과 함께, 프로파일 스트립으로부터 절단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결과적으로, 인접한 차량 부품과 보강 스트립 사이의 연결의 부주의한 절단이 회피될 수 있다.
특히, 제1 연결 수단이 비-파괴적으로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보강 스트립이 인접한 차량 부품에 연결된 후에, 그것이 인접한 차량 부품과 함께 처리될 수 있는 인접한 차량 부품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형성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접한 차량 부품은 그것에 연결되는 보강 스트립과 함께, 그것이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인 것처럼 기술자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이하의 설명 및 예시적인 도면들의 발명 대상이다.
도면들은 다음을 도시한다:
도 1은 차량 모듈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차량 모듈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차량 모듈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차량 모듈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5는 차량 모듈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다른 차량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차량 모듈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차량 모듈의 사시도이다.
차량 모듈들의 실시예들은 도면에서 전체적으로 참조 부호 10으로 지정된다. 차량 모듈들은 앞유리(18)의 에지 영역(16)에 대한 연결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제1 연결 영역(14)을 갖는 프로파일 스트립(12)을 포함한다.
차량 모듈(10)은 또한 앞유리(18)에 인접한 차량 부품(20)을 포함한다. 차량 부품(20)은 특히 자동차의 수로(water trough)의 커버이다.
프로파일 스트립(12)은 보강 스트립(24)에 대한 연결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제2 연결 영역(22)을 갖는다.
보강 스트립(24)은 프로파일 스트립(12)의 제2 연결 영역 안으로 삽입되고 제2 연결 영역(22)에 영구히 남아있는 삽입 섹션(26)을 갖고, 그것은 또한 인접한 차량 부품(20)에 대한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연결 섹션(28)을 갖는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의 연결 섹션(28)은 인접한 차량 부품(20)의 일체형 본딩(bonding) 섹션(32)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특히 이에 용접되는 일체형 본딩 섹션(30)이다.
연결 섹션(28)은 프로파일 스트립(12)의 밀봉 섹션(36)의 외부 밀봉 표면(34)에 대해 리세스되며, 그것에 의해 오프셋의 치수(dimension)는 차량 부품(20)의 에지 영역의 두께(38)에 대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접한 차량 부품(20)의 외부 표면(40)은 외부 밀봉 표면(34)과 동일한 높이에 배열된다. 이들 표면들은 앞유리(18)의 외부 표면(42)과 함께, 동일 평면의, 평탄한 배열을 형성한다.
프로파일 스트립(12)은 앞유리(18)의 에지 영역(16)에 접착 수단(44)에 의해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으로 접착된다. 에지 영역(16)은 특히 자동차 상의 그것의 설치된 위치에서 앞유리(18)의 하부 에지 영역이다.
보강 스트립(24)과 인접한 차량 부품(20) 사이의 연결은 전체적으로 "제1 연결 수단(46)"으로 지정되고 - 이것은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된다. 보강 스트립(24)과 프로파일 스트립(12) 사이의 연결은 전체적으로 "제2 연결 수단(48)"으로 지정되고 - 이것은 모들 실시예들에 적용된다.
제2 연결 수단(48)은 삽입 섹션(26)과 제2 연결 영역(22) 사이에서 활성화되는 래칭 연결부(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칭 연결부(50)는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 스트립(12) 상에 구성되고, 프로파일 스트립(12)의 언더컷 영역(54)에 배열되고 래치하도록 삽입 섹션(26)의 래칭 요소 리셉터클(56)과 상호작용하는 미늘-형상 래칭 요소(52)를 갖는다.
보강 스트립(24)을 제2 연결 영역(22)에 접합시키기 위해, 삽입 섹션(26)은 래칭 요소 리셉터클(56)이 래칭 요소(52)와 래치될 때까지 제2 연결 영역(22)의 대략 U-형상 수납 공간(58) 안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삽입 섹션(26)은 수용 공간(58)에 수용된다.
연결 섹션(28)은 수납 공간(58)의 외부에 배열되고 인접한 차량 부품(20)에 영구히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차량 모듈들(10)의 다른 실시예들이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될 것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따른 차량 모듈들의 개별적인 특정 특징들은 보강 스트립(24)과 인접한 차량 부품(20) 사이에서 활성화되는 제1 연결 수단(46)의 구성에 있다. 나머지의 경우, 도 2 내지 8에 따른 실시예에 관련되는 한, 도 1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 위에 주어진 설명을 참조한다.
도 2에 따른 차량 모듈(10)의 제1 연결 수단(46)은 접착 섹션(62)의 형태, 특히 양면 접착 테이프의 형태의 중간 요소(60)를 포함한다. 접착 섹션(62)은 제1 접착 측면 상에서 보강 스트립(24)의 연결 섹션(28)에 접착된다. 더욱이, 접착 섹션(62)은 제1 접착 측면으로부터 대향하는 접착 측면 상에서 차량 부품(20)의 연결 섹션(64)에 접착된다.
보강 스트립(24) 상으로 차량 부품(20)의 조립을 단순화하고 이들 구성요소들의 연결을 단순화하기 위해, 보강 스트립(24)은 예를 들어, 서로에 대해 경사되는 포지티브-연결 표면들로서 구성되는 포지티브-연결 섹션들(66)을 갖는다. 포지티브-연결 표면들(66)은 이에 상호 보완적인 차량 부품(20)의 포지티브-연결 표면들(68)과 상호 작용한다. 보강 스트립(24) 상으로 차량 부품(20)의 조립의 범위 내에서, 포지티브-연결 표면들(66 및 68)은 차량 부품(20) 및 보강 스트립(24)의 상대적인 위치설정(positioning)을 돕는다. 포지티브-연결 표면들(66 및 68) 사이의 포지티브 연결은 앞유리(18)의 외부 표면(42)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포지티브-연결 평면에서 활성화된다(도 2 참조).
포지티브-연결 섹션들(66 및 68)은 또한 공동으로 언더컷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 3 및 4를 참고한다. 포지티브-연결 섹션들(66 및 68)은 특히 함께 래치될 수 있다. 여기서, 래칭 평면(70)은 - 함께 래치될 포지티브-연결 섹션들(66 및 68)이 서로 접합됨 - 앞유리(18)의 외부 표면(42)에(도 3 참조) 또는 그렇지 않으면 이에 대체로 평행한(도 4 참조) 방향에 대한 각도로, 특히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다.
도 3에 따른 래칭 연결의 경우에서, 차량 부품(20)은 래치하도록 보강 스트립(24)의 래칭 요소 리셉터클(76)에 유지되는 래칭 후크 또는 래칭 스트립(74)을 포함한다. 여기서, 래칭 요소 리셉터클(76)은 서로 평행한 보강 스트립(24)의 2개의 레그들(78 및 80)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다.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 래칭 요소 리셉터클(76)은 보강 스트립(24)의 오버행(overhang)(84)과 접촉 표면(82) 사이에 형성된다.
보강 스트립(24) 및 프로파일 스트립(12)에 대한 차량 부품(20)의 고정을 추가로 개선하기 위해, 도 4에 따른 차량 부품(20)은 차량 부품(20)이 그것의 장착된 상태에 있는 경우, 프로파일 스트립(12)의 자유 스프링 레그(88)와 접촉하는 웨브(web)(86)를 갖는다.
차량 부품(20)의 부착이 더 최적화되도록 하기 위해, 그것은 스프링 레그(88)의 자유 단부와 보강 스트립(24)의 웨브(web)(94) 사이에 위치되는 자유 공간(92) 안으로 돌출하고 마찰적으로 및/또는 확실하게 웨브(94)의 후방으로 도달하는 돌출부(90)를 갖는다(도 4 참조).
도 5 내지 도 8에 따른 실시예들의 제1 연결 수단(46)의 경우에, 보강 스트립(24)의 부속(appertaining) 연결 섹션들(28)은 차량 부품(20)의 래칭 요소 리셉터클(96)에 래치되고 특히 공-형상, 버섯-형상, 작살-형상 또는 소나무-형상으로 구성되는 래칭 요소들(95)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래칭 요소 리셉터클(96)은 서로로부터 멀리 대면하고 있는 연결 섹션(28)의 측면들 상에 배열되는 2개의 재료 섹션(98 및 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그것은 재료 섹션들 중 하나만, 예를 들어 재료 섹션(98)이 래칭 후크로 구성되고 다른 재료 섹션, 예를 들어 재료 섹션(100)이 연결 섹션(28)의 접촉을 위한 접촉 섹션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도 5 및 도 6을 참조한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이들 재료 섹션(98 및 100) 각각이 래칭 후크들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도 7 및 도 8을 참조한다.
더욱이, 그것은 재료 섹션들(98, 100) 중 적어도 하나는 프로파일 스트립(12)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그것은 재료 섹션들(98, 100) 중 적어도 하나는 - 프로파일 스트립(12)의 연장의 방향에 대해 - 예를 들어, 수 밀리미터의 제한된 길이를 갖는 것이 가능하며,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며, 재료 섹션(98)을 참조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포지티브-연결 섹션들(66, 68) 및/또는 재료 섹션들(98, 100) 및/또는 래칭 요소들(95) 또는 래칭 요소 리셉터클들(96)이 또한 보강 스트립(24) 또는 인접한 차량 부품(20) 상에서의 그들의 배열의 관점에서 운동학적으로 반대로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Claims (22)

  1. 자동차의 앞유리(18)의 에지 영역(16)에 대한 연결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제1 연결 영역(14)을 갖고 상기 앞유리(18)에 인접한 차량 부품(20)에 대한 연결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제2 연결 영역(22)을 갖는 프로파일 스트립(12)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강 스트립(24)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 스트립(24)은 상기 제2 연결 영역(22) 안으로 삽입되어 영구적으로 남아 있는 삽입 섹션(26)을 갖고, 그것은 또한 상기 인접한 차량 부품(20)에 대한 연결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연결 섹션(2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가 비 조립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보강 스트립(24)의 상기 삽입 섹션(26)은 그것이 상기 제2 연결 영역(22)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 영역(22)에 대한 운송 보호를 구성하고,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가 상기 자동차 상에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보강 스트립(24)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2)에 대한 상기 인접한 차량 부품(20)의 연결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배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스트립(24)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2)으로부터 상기 보강 스트립(24)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 핸들링 섹션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섹션(26)은 래칭 연결부(50)에 의해 상기 제2 연결 영역(2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연결부(50)는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2) 상에 구성되고 상기 보강 스트립(24)의 래칭 요소 리셉터클(56)과 상호작용하는 미늘-형상 래칭 요소(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섹션(28)은 상기 인접한 차량 부품(20)에 대한 일체적으로 본딩된 연결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일체형 본딩 섹션(3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섹션(28)은 상기 인접한 차량 부품(20)에 연결될 수 있는 중간 요소(6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요소(60)는 접착 섹션(62)을 포함하거나 그러한 접착 섹션(6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섹션(62)은 상기 인접한 차량 부품(20)에 접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섹션(62)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는 커버 층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스트립(24)의 상기 연결 섹션(28)은 상기 인접한 차량 부품(20) 또는 상기 인접한 차량 부품(20)에 연결될 수 있는 중간 요소(60)에 대한 포지티브 연결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포지티브-연결 섹션(6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한 항에 따른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및 앞유리(18)를 포함하는 조립 모듈.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한 항에 따른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또는 제12항에 따른 조립 모듈을 포함하며, 또한 인접한 차량 부품(20)을 포함하는 차량 모듈(1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스트립(24)의 상기 연결 섹션(28) 및 상기 인접한 차량 부품(20)은 서로 일체적으로 본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듈(10).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 상기 삽입 섹션(26)이 상기 제2 연결 영역(22)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 상기 보강 스트립(24)의 상기 연결 섹션(28)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2)의 외부 밀봉 표면(34)에 대해 리세스되며, 그것에 의해 - 상기 인접한 차량 부품(20)이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 부품(20)의 외부 표면(40) 및 상기 외부 밀봉 표면(34)은 동일한 높이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듈(10).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섹션(28)은 상기 인접한 차량 부품(20)에 연결되는 중간 요소(6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듈(10).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요소(60)는 접착 섹션(62)을 포함하거나 그러한 접착 섹션(6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듈(10).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스트립(24)의 상기 연결 섹션(28)은 상기 인접한 차량 부품(20) 또는 상기 인접한 차량 부품(20)에 연결되는 중간 요소(60)에 포지티브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듈(10).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차량 부품(20) 및 상기 보강 스트립(24)은 제1 연결 수단(46)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수단(46) 및 상기 보강 스트립(24)의 상기 삽입 섹션(26)과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2)의 상기 제2 연결 영역(22) 사이에서 활성화되는 제2 연결 수단(48)은 상기 제1 연결 수단(46)을 분리시키는 작동력이 상기 제2 연결 수단(48)을 분리시키는 작동력보다 더 큰 그러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듈(10).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수단(46)은 비-파괴적으로 분리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듈(10).
  21. 제13항 내지 제20항 중 한 항에 따른 차량 모듈(10)을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ㆍ 상기 보강 스트립(24)의 상기 삽입 섹션(26)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2)이 앞유리(18)의 에지 영역(16)에 연결된 후에 또는 그 전에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2)의 제2 연결 영역(22) 안으로 삽입되고,
    그 뒤에,
    ㆍ 상기 인접한 차량 부품(20)은 상기 보강 스트립(2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차량 부품(20)은 상기 앞유리(18)가 상기 자동차의 앞유리 리셉터클에 연결된 후에 또는 그 전에 상기 보강 스트립(2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7032363A 2016-05-24 2017-05-16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조립 모듈, 차량 모듈 및 차량 모듈 조립 방법 KR102186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09471.4A DE102016109471A1 (de) 2016-05-24 2016-05-24 Profilleistenanordnung, Montagebaugruppe, Kraftfahrzeugbaugruppe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Kraftfahrzeugbaugruppe
DE102016109471.4 2016-05-24
PCT/EP2017/061692 WO2017202645A1 (de) 2016-05-24 2017-05-16 Profilleistenanordnung, montagebaugruppe, kraftfahrzeugbaugruppe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kraftfahrzeugbaugrup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238A true KR20190011238A (ko) 2019-02-01
KR102186370B1 KR102186370B1 (ko) 2020-12-04

Family

ID=5870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363A KR102186370B1 (ko) 2016-05-24 2017-05-16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조립 모듈, 차량 모듈 및 차량 모듈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034224B2 (ko)
EP (1) EP3463955B1 (ko)
JP (1) JP6727336B2 (ko)
KR (1) KR102186370B1 (ko)
CN (1) CN109311375B (ko)
DE (1) DE102016109471A1 (ko)
MX (1) MX2018014258A (ko)
PL (1) PL3463955T3 (ko)
WO (1) WO20172026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86258T3 (es) * 2013-09-24 2020-10-09 Saint Gobain Disposición de sellado para un panel de vidrio de un vehículo
DE102021119078A1 (de) 2021-07-22 2023-01-26 Pma/Tools Ag Fahrzeugscheibenanordnung und Transportschutzleiste zur Verwendung bei einer Fahrzeugscheibenanordn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86638A2 (de) * 2011-10-25 2013-05-01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Kederleiste zum Schutz einer Profilleiste
JP2016514644A (ja) * 2013-03-19 2016-05-23 エルカメット カンストストッフテクニー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カバー部品と車両ウィンドを結合するためのプロフィル部材、およびプロフィル部材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404053A (ko) * 1963-04-19 1964-10-20
DE3702555A1 (de) * 1987-01-29 1988-08-11 Daimler Benz Ag Abdeckplatte
FR2684051A1 (fr) * 1991-11-25 1993-05-28 Technistan Gie Dispositif d'etancheite pour panneaux transparents affleurant sur une carrosserie de vehicule.
CN1223206A (zh) * 1998-01-14 1999-07-21 张雨涛 一种防渗漏汽车前围及其生产方法
DE20008555U1 (de) 2000-05-12 2000-08-17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Abdichtungs-Anordnung für Fahrzeugscheiben
US7806455B2 (en) 2004-07-02 2010-10-05 Kunststoff-Technik Scherer & Trier Gmbh & Co Kg Plastic edge sealing strip and mounting head
DE202008006986U1 (de) 2008-05-23 2009-10-01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Profilelement zum Verbinden einer Fahrzeugscheibe mit einem Wasserkasten
DE202008009712U1 (de) * 2008-07-18 2008-11-06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Schutzeinrichtung für Fahrzeugscheiben mit einer Abdichtungsanordnung
FR2945521B1 (fr) 2009-05-15 2011-05-13 Rehau Sa Cle de transport a extraction aisee pour profiles creux ou pieces creuses deformables
CN101920646A (zh) * 2010-09-16 2010-12-2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行李箱副密封条
FR2995563B1 (fr) 2012-09-14 2014-08-29 Saint Gobain Systeme de joint pour vitrage de vehicule, vitrage equipe du systeme et procede de montage du vitrage.
DE102012110472B3 (de) * 2012-11-01 2014-03-27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Montage- und Transportprofil für ein Profilelement
EP3013614B1 (de) * 2013-06-26 2017-07-26 Saint-Gobain Glass France Abdichtungsanordnung
ES2786258T3 (es) * 2013-09-24 2020-10-09 Saint Gobain Disposición de sellado para un panel de vidrio de un vehículo
FR3020994B1 (fr) * 2014-05-16 2016-05-27 Saint Gobain Systeme de joint pour vitrage de vehicule, vitrage equipe du systeme et procede de montage du vitr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86638A2 (de) * 2011-10-25 2013-05-01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Kederleiste zum Schutz einer Profilleiste
JP2016514644A (ja) * 2013-03-19 2016-05-23 エルカメット カンストストッフテクニー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カバー部品と車両ウィンドを結合するためのプロフィル部材、およびプロフィル部材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11375B (zh) 2020-04-14
PL3463955T3 (pl) 2020-07-13
KR102186370B1 (ko) 2020-12-04
US20190160928A1 (en) 2019-05-30
EP3463955A1 (de) 2019-04-10
JP6727336B2 (ja) 2020-07-22
US11034224B2 (en) 2021-06-15
MX2018014258A (es) 2019-04-29
EP3463955B1 (de) 2020-02-05
DE102016109471A1 (de) 2017-11-30
JP2019516614A (ja) 2019-06-20
CN109311375A (zh) 2019-02-05
WO2017202645A1 (de)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7919B1 (en) Window panel support structure
KR102226906B1 (ko)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KR20170092592A (ko) 탈착 가능한 하부면을 갖는 자동차 스포일러
US8317248B2 (en) Trim cover arrangement for motor vehicles
EP2664521B1 (en) Panel structure for vehicle
GB2493444A (en) Cowl-top mounting structure to be fitted to a windscree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US8870272B2 (en) Floor module for a motor vehicle having shaped-on formfitting means
CN108284801B (zh) 卡夹以及门饰板的安装构造
KR20190011238A (ko)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조립 모듈, 차량 모듈 및 차량 모듈 조립 방법
JP5994646B2 (ja) 車両の内装部材の取付け構造
US20150298632A1 (en) Vehicular exterior member attaching structure and attaching method
WO2008077024B1 (en) Floor module
US20140185154A1 (en) Outside mirror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US10525936B2 (en) Windscreen wiper for a system for wiping a window of a vehicl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JP5541473B2 (ja) 車両用バッテリケース
JP2019516614A5 (ko)
JP5173705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固定部材及び内装材の取付構造
JP5093923B2 (ja) カウルトップカバー
JP6736783B2 (ja) ストリップ組立体に使用するための取付装置、及びストリップ組立体によって実施される方法
JP2015030344A (ja) ディビジョンバーの取付構造
EP2671742A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window glass
US20080189895A1 (en) Device For Driving a Wiper Blade, Particularly For a Motor Vehicle
KR101507741B1 (ko) 화물차량 적재함의 벽체
JP4313292B2 (ja) コンテナ用レール部材及びその固着方法
JP3809331B2 (ja) コンテナ用レール部材及びその固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