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015A - 배터리 과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과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015A
KR20190010015A KR1020170092110A KR20170092110A KR20190010015A KR 20190010015 A KR20190010015 A KR 20190010015A KR 1020170092110 A KR1020170092110 A KR 1020170092110A KR 20170092110 A KR20170092110 A KR 20170092110A KR 20190010015 A KR20190010015 A KR 20190010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overcurrent
terminal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5630B1 (ko
Inventor
장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092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6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H02J2007/0039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의 과전류 방지 장치는 배터리의 (+)단 및 (-)단, 상기 배터리의 (+)단 및 (-)단 사이에 구비되는 보호 칩, 상기 배터리의 (+)단과 상기 보호 칩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패턴 저항, 상기 배터리의 (-)단과 상기 보호 칩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패턴 저항 및 상기 배터리의 과전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전류 판단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호 칩은, 일단은 상기 배터리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터리의 (-)단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차단하는 충방전 차단 FET, 상기 배터리의 (+)단과 충방전 차단 FET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와이어 저항, 상기 배터리의 (-)단과 충방전 차단 FET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와이어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과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OVR CURRENT}
본 발명의 배터리의 과전류를 보호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의 전압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여 배터리의 과전류를 보호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배터리를 전력 공급원으로 사용하는 전자장치의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배터리의 과전류를 보호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의 과전류를 보호하는 기술로는 하나의 보호 칩으로 구성되는 보호 회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존재했다.
도 1은 종래의 보호 칩에 인가되는 충방전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과전류 여부를 판단하여 과전류가 흐를 경우, 충방전을 차단하는 장치의 회로도이다.
종래 기술에서 보호 칩에 인가되는 충방전 전압을 측정할 때, 배터리의 (+)출력 단과 상기 보호 칩 사이의 기판에 형성된 패턴으로 인해 발생하는 제1 패턴 저항(pattern1)과 배터리의 (-)출력 단과 상기 보호칩 사이의 기판에 형성된 패턴으로 인해 발생하는 제2 패턴 저항(pattern2)을 포함하여 전압을 측정하였다.
종래에는 보호 칩 내부의 저항(wire3, wire4)이 상기 제1,2 패턴 저항(pattern1,pattern2)보다 큰 값을 가져서 상기 제1,2 패턴 저항(pattern1, pattern2)이 측정된 전압이 미치는 영향이 크기 않았다.
그러나 칩 기술 발전으로 보호 칩 내부에 형성되는 기생 성분 저항(wire3,wire4)보다 상기 제1,2 패턴 저항(pattern1,pattern2)이 커짐에 따라, 실제로 보호 칩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제1,2 패턴 저항(pattern1,pattern2)에 인가되는 전압이 커지게 되어 과전류 판단에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배터리의 과전류 방지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전압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정밀도가 향상된 배터리 과전류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의 과전류를 방지하는 장치는, 배터리의 (+)단 및 (-)단, 상기 배터리의 (+)단 및 (-)단 사이에 구비되는 보호 칩, 상기 배터리의 (+)단과 상기 보호 칩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패턴 저항, 상기 배터리의 (-)단과 상기 보호 칩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패턴 저항 및 상기 배터리의 과전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전류 판단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 칩은, 일단은 상기 배터리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터리의 (-)단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차단하는 충방전 차단 FET, 상기 배터리의 (+)단과 충방전 차단 FET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와이어 저항, 상기 배터리의 (-)단과 충방전 차단 FET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와이어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전류 판단부는, 상기 충방전 차단 FET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및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과 기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압 측정부는, V+핀, V-핀, 제1 저항, 제2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V+ 핀 및 V-핀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며, 상기 V+핀은, 상기 제1 저항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V-핀은, 상기 제2 저항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저항의 타단은 상기 충방전 FET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저항의 타단은 상기 충방전 FET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V+ 핀은 상기 충방전 FET에 연결되는 배터리의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V- 핀은 상기 보호 칩의 접지 단자와는 별도의 접지단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압 측정부는, 상기 제1 저항의 타단과 상기 충방전 FET의 일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와이어 저항 및 상기 제2 저항의 타단과 상기 충방전 FET의 타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4 와이어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패턴 저항, 제2 패턴 저항은 배터리의 (+)단과 보호 칩 사이 및 배터리의 (-)단과 보호 칩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판에 형성된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기생 저항이고, 상기 제1 와이어 저항, 제2 와이어 저항, 제3 와이어 저항, 제4 와이어 저항은, 보호 칩 내부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기생저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의 과전류를 감지하는 방법은, 보호 칩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 단계, 상기 전압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전압을 소정의 값으로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전압 비교 단계, 상기 전압 비교 단계 결과에 따라 과전류 유무를 판단하는 과전류 유무 판단 단계, 상기 과전류 유무 판단 단계에서 과전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 되는 경우 배터리의 충방전을 차단하는 충방전 차단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압 측정 단계는, 보호 칩의 충방전 차단 FET의 양단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전압을 정밀하게 측정함으로써 높은 정밀도로 배터리의 과전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하나의 보호 칩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방식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보호 칩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회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전류 방지 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 장치의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 장치는, 배터리의 (+)단 및 (-)단, 상기 배터리의 (+)단 및 (-)단 사이에 구비되는 보호 칩, 상기 배터리의 (+)단과 상기 보호 칩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패턴 저항(pattern1), 상기 배터리의 (-)단과 상기 보호 칩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패턴 저항(pattern2) 및 상기 배터리의 과전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전류 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 칩은 상기 배터리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터리의 (-)단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차단하는 충방전 차단 FET, 상기 보호 칩 내부에서 상기 배터리의 (+)단과 충방전 차단 FET의 일단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생기는 제1 와이어 저항(wire1) 및 상기 배터리의(-)단과 충방전 차단 FET의 타단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생기는 제2 와이어 저항(wire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와이어 저항(wire1) 및 제2 와이어 저항(wire2)은 보호 칩을 생산하는 제조사에서 소정의 값으로 고정되며, 일반적으로 와이어 저항 값은 매우 작은 값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보호 칩과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기판에는 제1 패턴 저항(pattren1) 및 제2 패턴 저항(pattern2)과 같은 기생 저항 성분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 보호 칩과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패턴 저항(pattern1) 및 제2 패턴 저항(pattern2)은 상기 보호 칩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와이어 저항(wire1 내지 wire4)보다 큰 값으로 인식되어, 정확한 과전류 측정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 패턴 저항(pattern1) 및 제2 패턴 저항(pattern2)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정확한 과전류를 측정하기 위해서 보호 칩 내부에 존재하는 충방전 차단 FET에 인가되는 전압을 직접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과전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과전류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전류 판단부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과 기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압 측정부는, V+핀, V-핀, 제1 저항(R1), 제2 저항(R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V+핀 및 V-핀 사이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V+핀은, 상기 제1 저항(R1)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V-핀은 상기 제2 저항(R2)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저항(R1)의 타단은 상기 충방전 FET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저항(R2)의 타단은 상기 충방전 FET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된 전압 측정부의 V+핀은 배터리의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V-핀은 보호 칩의 접지 단 및 배터리의 (-)단과는 다른 접지 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 칩의 접지 단과 분리하게 되면, 보호 칩 내부의 FET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만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압 측정부에서 전압을 측정하면 측정되는 전압(Vsense)은 아래 수식 1과 같을 수 있다.
(수식1) Vsense = Vsig2 + Vwire1 + Vfet + Vwire2 + Vpattern2 + Vsig1
(Vsense : 측정 전압, Vsig2 : 제2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 Vwire1 : 제1 와이어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 Vfet : 충방전 차단 FET에 인가되는 전압, Vwire2 : 제2 와이어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 Vpattern2 : 제1 패턴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 Vsig1 : 제1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
한편, 상기 수식1에서 Vsig2, Vwire1, Vfet, Vwire2, Vpattern1, Vsig1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 전압이 0V로 측정되어, 결과적으로 측정전압(Vsense)은 Vfet가 되어 충방전 차단 FET에 인가되는 전압만 측정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전류 감지 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전류 감지 방법은 보호 칩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 단계, 상기 전압 측정 단계에서 측정한 전압을 소정의 값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전압 비교 단계, 상기 전압 비교 단계의 결과에 따라 과전류 유무를 판단하는 과전류 유무 판단 단계, 상기 과전류 유무 판단 단계에서 과전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충방전을 차단하는 충방전 차단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압 측정 단계는, 상기 보호 칩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함에 있어서, 내부에 탑재되어 있는 충방전 차단 FET의 양단의 전압을 직접 측정함으로써, 보호 칩 내부에 기생 저항 성분인 와이어 저항과 배터리와 보호 칩 사이에 형성되는 기생 저항 성분인 패턴 저항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밀하게 충방전 차단 FET에 인가되는 전압만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R1 : 제1 저항
R2 : 제2 저항
wire1 : 제1 와이어 저항
wire2 : 제2 와이어 저항
pattern1 : 제1 패턴 저항
pattern2 : 제2 패턴 저항

Claims (8)

  1. 배터리의 (+)단 및 (-)단;
    상기 배터리의 (+)단 및 (-)단 사이에 구비되는 보호 칩;
    상기 배터리의 (+)단과 상기 보호 칩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패턴 저항;
    상기 배터리의 (-)단과 상기 보호 칩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패턴 저항; 및
    상기 배터리의 과전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전류 판단부;
    을 포함하는 과전류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 칩은,
    일단은 상기 배터리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터리의 (-)단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차단하는 충방전 차단 FET;
    상기 배터리의 (+)단과 충방전 차단 FET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와이어 저항;
    상기 배터리의 (-)단과 충방전 차단 FET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와이어 저항;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판단부는,
    상기 충방전 차단 FET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및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과 기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방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압 측정부는,
    V+핀, V-핀, 제1 저항, 제2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V+ 핀 및 V-핀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며,
    상기 V+핀은, 상기 제1 저항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V-핀은, 상기 제2 저항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저항의 타단은 상기 충방전 FET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저항의 타단은 상기 충방전 FET의 타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방지 회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V+ 핀은 상기 충방전 FET에 연결되는 배터리의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V- 핀은 상기 보호 칩의 접지 단자와는 별도의 접지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방지 회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압 측정부는,
    상기 제1 저항의 타단과 상기 충방전 FET의 일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와이어 저항; 및
    상기 제2 저항의 타단과 상기 충방전 FET의 타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4 와이어 저항;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방지 회로.
  6.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저항, 제2 패턴 저항은 배터리의 (+)단과 보호 칩 사이 및 배터리의 (-)단과 보호 칩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판에 형성된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기생 저항이고,
    상기 제1 와이어 저항, 제2 와이어 저항, 제3 와이어 저항, 제4 와이어 저항은, 보호 칩 내부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기생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방지 회로.
  7. 배터리의 과전류를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보호 칩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 단계;
    상기 전압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전압을 소정의 값으로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전압 비교 단계;
    상기 전압 비교 단계 결과에 따라 과전류 유무를 판단하는 과전류 유무 판단 단계;
    상기 과전류 유무 판단 단계에서 과전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 되는 경우 배터리의 충방전을 차단하는 충방전 차단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방지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압 측정 단계는,
    보호 칩의 충방전 차단 FET의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방지 방법.
KR1020170092110A 2017-07-20 2017-07-20 배터리 과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365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110A KR102365630B1 (ko) 2017-07-20 2017-07-20 배터리 과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110A KR102365630B1 (ko) 2017-07-20 2017-07-20 배터리 과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015A true KR20190010015A (ko) 2019-01-30
KR102365630B1 KR102365630B1 (ko) 2022-02-21

Family

ID=65276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110A KR102365630B1 (ko) 2017-07-20 2017-07-20 배터리 과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6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730A (ko) 2019-11-04 2021-05-12 (주)바롬코리아 배터리 충방전 과전류 보호장치
KR20220067831A (ko) 2020-11-18 2022-05-25 스마트론파워(주)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220067832A (ko) 2020-11-18 2022-05-25 스마트론파워(주) 스마트 배터리 충전 장치
KR20220067830A (ko) 2020-11-18 2022-05-25 스마트론파워(주) 스마트 배터리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8339A (ja) * 1993-09-28 1995-04-11 Yutaka Denki Seisakusho:Kk 電流検出パターン
JP2004357440A (ja) * 2003-05-29 2004-12-16 Sanyo Electric Co Ltd パック電池
JP2010124640A (ja) * 2008-11-21 2010-06-03 Sony Corp 集積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パック
KR20140078540A (ko) * 2012-12-17 2014-06-25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KR20150134650A (ko) * 2014-05-22 2015-12-02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와이어를 이용한 션트저항을 갖는 배터리 보호 ic 장치
JP2017034791A (ja) * 2015-07-30 2017-02-0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用複合集積回路、二次電池用複合装置及び電池パック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8339A (ja) * 1993-09-28 1995-04-11 Yutaka Denki Seisakusho:Kk 電流検出パターン
JP2004357440A (ja) * 2003-05-29 2004-12-16 Sanyo Electric Co Ltd パック電池
JP2010124640A (ja) * 2008-11-21 2010-06-03 Sony Corp 集積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パック
KR20140078540A (ko) * 2012-12-17 2014-06-25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KR20150134650A (ko) * 2014-05-22 2015-12-02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와이어를 이용한 션트저항을 갖는 배터리 보호 ic 장치
JP2017034791A (ja) * 2015-07-30 2017-02-0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用複合集積回路、二次電池用複合装置及び電池パッ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730A (ko) 2019-11-04 2021-05-12 (주)바롬코리아 배터리 충방전 과전류 보호장치
KR20220067831A (ko) 2020-11-18 2022-05-25 스마트론파워(주) 배터리 상태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220067832A (ko) 2020-11-18 2022-05-25 스마트론파워(주) 스마트 배터리 충전 장치
KR20220067830A (ko) 2020-11-18 2022-05-25 스마트론파워(주) 스마트 배터리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5630B1 (ko) 202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0015A (ko) 배터리 과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US9752999B2 (en) Moisture ingress sensors
US10008846B2 (en) Control device for an electronic fu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fuse
US8749935B2 (en) Protection circuit for lithium-ion battery
US10725109B2 (en) Battery monitoring circuit
KR101715742B1 (ko) 전압 검측 장치, 배터리 및 전압 검측 방법
US7498864B2 (en) Electronic fuse for overcurrent protection
CN108966670A (zh) 电量计及其电流采集校准电路和校准方法
JP3238135B2 (ja) 電池式電圧測定装置のための自動電源ターンオン回路
US109442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over voltage protection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polarities
US20130043892A1 (en) Resistance measurement circuit
KR101748866B1 (ko) 배터리 충방전 보호 장치
CN112865229A (zh) 一种充电保护电路及无线耳机
CN111766495B (zh) Mosfet导通电阻的检测电路和方法、芯片及电池管理系统
SG141209A1 (en) Abnormal magnetoresistive element detection for a disc drive
TWI674722B (zh) 偵測電路與使用其之開關模組
US7561683B2 (en) Method for measuring resistance for a 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 using a protective circuit
US20140239970A1 (en) Thermocouple open-circuit detection circuit and method
CN113169385B (zh) 电池包、测量电池电流的电路系统及测量电池电流的设备
JP2007195351A (ja) 蓄電池装置
CN113884208B (zh) 一种高精度过温检测电路
CN218584216U (zh) 一种温度测量阵列的定位检测系统
KR20090021811A (ko) 반도체 모듈 실장 테스트 장치
CN220153774U (zh) Mems压力传感器
JPS624437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