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540A -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 Google Patents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540A
KR20140078540A KR20130141273A KR20130141273A KR20140078540A KR 20140078540 A KR20140078540 A KR 20140078540A KR 20130141273 A KR20130141273 A KR 20130141273A KR 20130141273 A KR20130141273 A KR 20130141273A KR 20140078540 A KR20140078540 A KR 20140078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overcurrent
terminal
control circui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1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사쿠라이
가즈아키 사노
도시유키 고이케
신야 후쿠치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8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5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회로 면적이 작은 과전류 보호 회로, 충방전 제어 회로, 및 컴팩트한 배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충방전 제어 회로는, 과전류 해제 단자에 접속된 강압 회로를 통해 부하가 접속되는 단자의 전압을 감시하여, 부하가 떼어내진 것을 검출하는 과전류 해제 회로와, 과전류 해제 단자에 접속된 클램프 회로를 구비하며, 과전류 해제 단자의 전압은, 강압 회로와 클램프 회로에 의해 클램프되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CHARGING AND DISCHARGING CONTROL CIRCUIT AND BATTERY DEVICE}
본 발명은, 이차 전지의 전압이나 이상을 검지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 과전류 보호 회로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장치는, 주로 휴대용의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배터리 장치는, 전자 기기(부하)에 공급하는 전류가 증가하여 최대 전류를 초과했을 때에, 과전류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는 과전류 보호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도 3에, 과전류 보호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종래의 배터리 장치(1)는, 충방전 제어 회로(2)와, 복수의 이차 전지를 직렬로 접속한 배터리(3)와, 스위치 회로(4)와, 과전류 검출 저항(5)을 구비하고 있다. 충방전 제어 회로(2)는, 제어 회로(20)와, 과전류 제어 회로(21)와, 과전류 검출 컴퍼레이터(22)와, 기준 전압 회로(23)를 구비하고 있다. 과전류 제어 회로(21)는, 과전류 해제 컴퍼레이터(24)와, 기준 전압 회로(25)와, 풀다운 회로(2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배터리 장치(1)는, 이하와 같이 동작하여 과전류로부터 회로를 보호한다.
과전류 검출 저항(5)은, +VO단자 -VO단자간의 전류에 비례한 전압이 발생한다. +VO단자 -VO단자간의 전류가 증가한 경우, 과전류 검출 컴퍼레이터(22)는, 단자 M1의 전압에 의해 과전류를 검출하고, 제어 회로(20)에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회로(20)는, 과전류 검출 상태가 되어, 단자 DO를 통해 스위치 회로(4)를 오프하고, 전류를 차단한다. 과전류 제어 회로(21)는, 단자 M2에서 -VO단자의 전압을 감시하여, 배터리 장치(1)로부터 부하가 떼어내진 것을 검출하면, 제어 회로(20)의 과전류 검출 상태를 해제한다.
일본국 특허 공개 2002-238173호 공보
그러나, 상기 서술의 충방전 제어 회로(2)는, 과전류를 검출하여 스위치 회로(4)를 오프하면, 단자 M2의 전압이 +VO단자의 전압 근방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단자 M2나 과전류 제어 회로(21)는 그 전압에 대응하는 구조가 필요하며, 회로의 면적이 커져 있었다.
또한, 배터리(3)에 의해 높은 전압이 요구된 경우, 충방전 제어 회로(2)를 복수 종속 접속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과전류 검출 저항(5)이 접속되어 과전류를 검출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2)는 1개뿐이며, 다른 충방전 제어 회로(2)는 필요없는 과전류 보호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되어, 그 회로 면적이 쓸모없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회로 면적이 작은 충방전 제어 회로, 및 컴팩트한 배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충방전 제어 회로는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했다.
과전류 검출 단자에 접속된 과전류 검출 저항의 전압을 감시하여, 이차 전지에 과전류가 흐른 것을 검출하는 과전류 검출 회로와 과전류 해제 단자에 접속된 강압 회로를 통해 부하가 접속되는 단자의 전압을 감시하여, 부하가 떼어내진 것을 검출하는 과전류 해제 회로와, 과전류 해제 단자에 접속된 클램프 회로를 구비하며, 과전류 해제 단자의 전압은, 강압 회로와 클램프 회로에 의해 클램프되는 충방전 제어 회로.
본 발명의 충방전 제어 회로에 의하면, 단자와 과전류 제어 회로의 내압은 낮아도 되기 때문에, 회로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회로 면적이 작은 충방전 제어 회로, 및 컴팩트한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과전류 보호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과전류 보호 회로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과전류 보호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의 블럭도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과전류 보호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의 블럭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1)는, 충방전 제어 회로(2)와, 복수의 이차 전지를 직렬로 접속한 배터리(3)와, 스위치 회로(4)와, 과전류 검출 저항(5)과, 강압 회로(6)를 구비하고 있다. 충방전 제어 회로(2)는, 제어 회로(20)와, 과전류 제어 회로(21)와, 과전류 검출 컴퍼레이터(22)와, 기준 전압 회로(23)와, 클램프 회로(27)를 구비하고 있다. 과전류 제어 회로(21)는, 과전류 해제 컴퍼레이터(24)와, 기준 전압 회로(25)와, 풀다운 회로(26)를 구비하고 있다.
배터리 장치(1)는, +VO단자 -VO단자간에 접속된 부하를, 배터리(3)의 전압으로 구동한다. 충방전 제어 회로(2)는, 전원 단자 Vdd와 전원 단자 Vss에 접속된 배터리(3)의 전압을 감시하여, 과방전 상태가 된 경우에, 단자 DO를 통해 스위치 회로(4)를 오프하고, 방전을 정지하는 등의 제어를 행한다.
상기 서술한 배터리 장치(1)는, 이하와 같이 동작하여 과전류로부터 회로를 보호한다.
과전류 검출 저항(5)은, +VO단자 -VO단자간의 전류에 비례한 전압이 발생한다. +VO단자 -VO단자간의 전류가 증가한 경우, 과전류 검출 컴퍼레이터(22)는, 단자 M1의 전압에 의해 과전류를 검출하고, 제어 회로(20)에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회로(20)는, 과전류 검출 컴퍼레이터(22)의 검출 신호를 받아 과전류 검출 상태가 되어, 단자 DO를 통해 스위치 회로(4)를 오프하고, 전류를 차단한다. 과전류 제어 회로(21)는, 단자 M2에서 -VO단자의 전압을 감시하여, 배터리 장치(1)로부터 부하가 떼어내진 것을 검출하면, 제어 회로(20)의 과전류 검출 상태를 해제한다.
여기서, 스위치 회로(4)가 오프하면, -VO단자의 전압이 +VO단자의 전압 근방까지 상승하는데, -VO단자와 단자 M2의 사이에는 강압 회로(6)가 접속되어 있고, 또한 단자 M2의 내부에는 클램프 회로(27)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 M2의 전압은, 배터리(3)로부터 +VO단자~부하~-VO단자~강압 회로(6)~단자 M2~클램프 회로(27)~전원 단자 Vdd1의 경로로 전류가 흐르므로, 강압 회로(6)의 효과에 의해 +VO단자의 전압 근방까지 상승할 일은 없다. 즉, 단자 M2의 전압은, 클램프 회로(27)에 의해 전원 단자 Vdd1의 전압 근방에 클램프된다.
따라서, 단자 M2와 과전류 제어 회로(21)는, 예를 들어 이차 전지 1개분의 전압 정도의 내압이면 되고, 단자 M2의 보호 회로 등을 포함한 회로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클램프 회로(27)는, 전원 단자 Vdd1에 접속된 다이오드로 구성했는데, 이 회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 직렬로 접속된 다이오드를 전원 단자 Vss에 접속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과전류 제어 회로(21)는, 과전류 해제 컴퍼레이터(24)에 의해 단자 M2의 전압을 감시하도록 구성했는데, 이 회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버터로 단자 M2의 전압을 감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강압 회로(6)는, 저항으로 구성했는데, 이 회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게이트를 전원 단자 Vdd1에 접속한 NMOS 트랜지스터를 접속해도 된다.
다음에, 배터리(3)에 의해 높은 전압이 요구된 경우, 충방전 제어 회로(2)를 복수 종속 접속할 필요가 있다. 그때, 과전류 검출 저항(5)이 접속되어 과전류를 검출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2)는 1개뿐이므로, 종속 접속된 그 외의 충방전 제어 회로(2)는 과전류 보호 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래서, 도 2에 도시하는 과전류 보호 회로(30)를, 배터리 장치(1)에 1개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복수 종속 접속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2)는 과전류 보호 회로를 제외한 회로로 해도 된다.
과전류 보호 회로(30)는, 제어 회로(200)와, 과전류 제어 회로(21)와, 과전류 검출 컴퍼레이터(22)와, 기준 전압 회로(23)와, 클램프 회로(27)를 구비하고 있다. 과전류 제어 회로(21)는, 과전류 해제 컴퍼레이터(24)와, 기준 전압 회로(25)와, 풀다운 회로(26)를 구비하고 있다.
과전류 보호 회로(30)의 동작은, 도 1의 충방전 제어 회로(2)의 과전류 보호 회로와 같다. 단, 복수 종속 접속된 충방전 제어 회로(2)의 과방전 검출 신호 등을 받아 스위치(4)를 제어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 이외의 통신 단자를 필요로 하고, 제어 회로(200)도 그에 대응한 기능을 필요로 한다.
이상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와 과전류 제어 회로의 내압은 낮아도 되기 때문에, 회로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회로 면적이 작은 충방전 제어 회로, 및 컴팩트한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과전류 보호 회로를 1개의 반도체 장치로서, 충방전 제어 회로(2)의 과전류 보호 회로를 제외한 구성으로 했으므로, 보다 컴팩트한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2 충방전 제어 회로
6 강압 회로
20, 200 제어 회로
21 과전류 제어 회로
26 풀다운 회로

Claims (3)

  1. 이차 전지의 전압을 감시하여, 상기 이차 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로서,
    과전류 검출 단자에 접속된 과전류 검출 저항의 전압을 감시하여, 상기 이차 전지에 과전류가 흐른 것을 검출하는 과전류 검출 회로와,
    과전류 해제 단자에 접속된 강압 회로를 통해 부하가 접속되는 단자의 전압을 감시하여, 상기 부하가 떼어내진 것을 검출하는 과전류 해제 회로와,
    상기 과전류 해제 단자에 접속된 클램프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과전류 해제 단자의 전압은, 상기 강압 회로와 상기 클램프 회로에 의해 클램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회로는, 상기 과전류 해제 단자와 전원 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
  3. 복수 직렬로 접속된 이차 전지와,
    상기 이차 전지와 병렬로 접속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충방전 제어 회로와,
    상기 이차 전지와 외부 단자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상기 과전류 검출 저항 및 스위치 회로와,
    상기 외부 단자와 상기 과전류 해제 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상기 강압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KR20130141273A 2012-12-17 2013-11-20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KR201400785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74510A JP2014121169A (ja) 2012-12-17 2012-12-17 充放電制御回路及びバッテリ装置
JPJP-P-2012-274510 2012-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540A true KR20140078540A (ko) 2014-06-25

Family

ID=50910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1273A KR20140078540A (ko) 2012-12-17 2013-11-20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167702A1 (ko)
JP (1) JP2014121169A (ko)
KR (1) KR20140078540A (ko)
CN (1) CN103872726A (ko)
TW (1) TW2014330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015A (ko) * 2017-07-20 2019-0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과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21243B2 (ja) * 2016-08-04 2021-01-27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及びこれを備えたバッテリ装置
US10686323B2 (en) * 2016-08-30 2020-06-16 Ablic Inc.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and batter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460218B1 (ja) * 2017-12-08 2019-01-3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保護集積回路、二次電池保護装置及び電池パック
JP7087799B2 (ja) * 2018-08-02 2022-06-21 株式会社デンソー 劣化状態推定装置及びこれを含む電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77741A (zh) * 1998-01-31 2000-12-20 摩托罗拉公司 用于基于锂的可再充电蓄电池的过充电保护装置和方法
US6331763B1 (en) * 1998-04-15 2001-12-1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protection of rechargeable elements
JPH11307138A (ja) * 1998-04-24 1999-11-05 Seiko Instruments Inc バッテリー状態監視回路及びバッテリー装置
JPH11341689A (ja) * 1998-05-25 1999-12-10 Seiko Instruments Inc バッテリー状態監視回路及びバッテリー装置
JP3747647B2 (ja) * 1998-09-09 2006-02-2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保護回路
JP2002320323A (ja) * 2001-02-15 2002-10-31 Seiko Instruments Inc 電源回路
JP4254227B2 (ja) * 2002-11-28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JP5123585B2 (ja) * 2007-07-06 2013-01-2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バッテリ保護ic及びバッテリ装置
JP5212042B2 (ja) * 2008-11-19 2013-06-1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の過電流保護回路
JP5564955B2 (ja) * 2009-01-14 2014-08-0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保護監視回路、電池パック、二次電池監視回路、及び保護回路
JP5462043B2 (ja) * 2010-03-19 2014-04-0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バッテリ状態監視回路及びバッテリ装置
JP5621446B2 (ja) * 2010-09-16 2014-11-12 株式会社リコー 電圧切り替え回路、該電圧切り替え回路を備える充放電保護回路、該充放電保護回路を組み込んだバッテリーパック、および該バッテリーパックを用いた電子機器
CN102545162B (zh) * 2010-12-09 2014-06-04 无锡华润上华半导体有限公司 锂电池保护电路
JP5803446B2 (ja) * 2011-09-02 2015-11-0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保護回路及び電池パッ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015A (ko) * 2017-07-20 2019-0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과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72726A (zh) 2014-06-18
JP2014121169A (ja) 2014-06-30
US20140167702A1 (en) 2014-06-19
TW201433044A (zh) 2014-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6148B2 (en) Secondary-battery protecting integrated circuit,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apparatus, and battery pack
US10516276B2 (en) Secondary battery protecting integrated circuit, secondary battery protecting circuit, charge control circuit, and battery pack
CN106169782B (zh) 电池保护集成电路、电池保护装置以及电池组
KR102130290B1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US9985447B2 (en) Battery device
US8896270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protection circuit, and battery pack
JPWO2019017263A1 (ja) 電池の保護回路とこの保護回路を備える電源装置
KR20140078540A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JP2014022282A (ja) 二次電池異常検出装置、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異常検出方法
KR20110022550A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충전식 전원 장치
EP3751693B1 (en) Battery protective circuit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KR20160008115A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US20160322840A1 (en) Battery device
CN102270867A (zh) 电池状态监视电路以及电池装置
JP2014124054A (ja) 情報機器及びバッテリ充電回路
JP2012010525A (ja) 出力停止スイッチ付き電池パック
US20160094068A1 (en)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circuit and battery device
JP2014169933A (ja) バッテリ装置
US9525296B2 (en) Battery state monitoring circuit and battery device
JP2015035924A (ja) 過電流保護装置
JP2015061404A (ja) 二次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