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957A -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957A
KR20190009957A KR1020170091975A KR20170091975A KR20190009957A KR 20190009957 A KR20190009957 A KR 20190009957A KR 1020170091975 A KR1020170091975 A KR 1020170091975A KR 20170091975 A KR20170091975 A KR 20170091975A KR 20190009957 A KR20190009957 A KR 20190009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lid
unit
support
matter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1829B1 (ko
Inventor
김호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91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829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F28F27/003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t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1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feeding gas or vap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의 일 영역에 거름망이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덮개, 상기 덮개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덮개의 일측을 상기 지지부에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거름망에 연결되어 이물질의 유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물질 유입 피해 방지 시스템{FOREIGN MATTER INFLOW DETECTION DEVICE AND DAMAGE PREVENTION SYSTEM USING THE SAME}
실시예는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물질 유입 피해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탑으로 이물질의 유입 여부를 사전에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피해를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물질 유입 피해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정에서는 열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장치에 냉각수가 흐르도록 하여 열교환 작용을 통해 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시키고 있다. 이를 위해 냉각탑은 냉각수를 저장하는 살수조와 공기(주변대기)와 물을 접촉시켜 냉각수의 온도를 떨어뜨리도록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냉각팬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냉각탑의 냉각순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각탑(2)은 수조(10)에 저장된 차가운 냉각수가 펌프(12)의 운전을 통해 heat exchange plant(13)로 공급되어, 고온의 매체와 열 교환이 일어난다. 이후 가열되어진 냉각수는 분배기(14)를 통해 분사되며, 내장재(16)를 통과하여 자연낙하 된다.
이때, 냉각탑(2) 상부에는 가열된 냉각수를 차갑게 하기 위해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냉각 팬(17)이 구비되며, 냉각 팬(17)의 가동으로 공기유입구(18)를 통해 대기 공기가 유입된다.
내장재(16)를 통과하는 냉각수는 낙하되고, 유입되는 공기는 상부로 이동되면서 직접 접촉으로 열 교환을 하게 된다. 내장재(16)를 통과하는 냉각수는 차가워지고, 내장재(16)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는 데워져 냉각 팬(17)에 의해 외부로 방출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냉각 팬(17)에 의해 강제로 흡입되는 대기공기 속에 원인 모를 다량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냉각계통을 폐쇄시켜 열교환기능이 차단되고, 이로 인해 열교환기 온도 상승으로 전 설비가 정지되는 피해사례가 발생 되었다.
이러한 문제는 대기공기 속의 다량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냉각탑 내부로 유입되는 환경적인 문제에 기인한 것이며, 이러한 환경적인 돌발 현상을 조기에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이물질은 눈에 쉽게 발견되지 않기에 냉각계통이 폐쇄되고 나서야 온도상승 등으로 설비 이상이 감지된다. 냉각 기능이 상실되고 나서야 불가항력으로 전 설비를 정지하고 폐쇄된 냉각계통을 청소하고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설비를 가동해야 한다. 따라서 장시간 제품생산이 중단되어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는 환경적인 돌발상황을 조기에 감지하여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물질 유입 피해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인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의 제1 실시예는, 거름망이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거름망의 양측에 배치되는 덮개; 상기 덮개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덮개의 일측을 상기 지지부에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거름망에 걸리는 이물질의 유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인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의 제2 실시예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덮개; 상기 덮개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덮개의 일측을 상기 지지부에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지지부와 상기 덮개 사이에 연결되는 거름망; 및 상기 거름망에 걸리는 이물질의 유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양단이 상기 덮개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름망의 이물질을 관찰하는 영상촬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댐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거름망은 지지프레임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은 상기 덮개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이동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내벽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이동롤러는 가압부를 통해 가압되어 상기 덮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스토퍼에 배치되어, 상기 거름망이 이동하여 상기 스토퍼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거름망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기상 정보를 감지하는 기상정보부; 상기 기상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며, 거름망을 이용하여 이물질 유입 여부를 검출하는 이물질 유입 검출부; 상기 이물질 유입 검출부에 이물질을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 및 상기 상태 검출부의 감지 값을 이용하여 냉각설비 조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 검출부는 감지센서와 영상촬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에서 이상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영상촬영부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냉각설비 조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단시간에 발생하는 자연의 이상현상 또는 환경적인 돌발 현상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경적인 돌발현상을 사전에 감지하여 설비에서 생산을 중단시 발생하는 비용과 중단으로 인해 설비 수리에 발생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냉각탑의 냉각순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가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구성요소인 거름망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덮개가 개방상태에서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4의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를 이용하는 이물질 유입 피해 방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2 구성 요소는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1 구성 요소도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7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가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는 냉각탑(20)에 구비되는 공기유입구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는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이물질의 유입 여부를 사전에 감지하고 이에 기초하여 냉각탑(20)에 구비되는 냉각 팬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설치 위치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는 냉각탑(20)에 구비되는 다수의 비산방지판(22) 중 하나를 제거하고, 비산방지판(22)이 고정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1)는 지지부(100), 덮개(200), 연결부(300) 및 감지센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00)는 전체 구성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요소로, 일정두께를 가지는 판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00)는 구성요소들이 안착될 수 있도록 홈 구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중앙의 일 영역에는 거름망(110)이 구비될 수 있다.
거름망(110)은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그물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대기중의 일반적인 이물질은 통과할 수 있는 구멍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거름망(110)은 꽃가루(사시나무류 종자솜털 등)를 거르기 위한 구멍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일상적인 송풍 구조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이 아닌, 냉각탑(20) 내부로 유입되어 냉각계통을 폐쇄할 우려가 있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함이다.
덮개(200)는 거름망(110)의 양측에 배치되어 개폐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덮개(20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덮개(200) 내측 면에는 구성요소들이 연결되기 위한 공간으로 홈 구조를 구비할 있다.
또한, 댐퍼(600)는 양단이 덮개(200)와 지지부(100)에 각각 연결되어 덮개(200)를 개폐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댐퍼(600)는 제어장치의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공압식 또는 유압식의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댐퍼(600)는 다단구조로 마련되어 덮개(200)가 닫히는 경우 덮개(200)와 지지부(100)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댐퍼(600)의 양단은 지지부(100)와 덮개(200)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댐퍼(600)의 양단은 힌지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덮개(200)가 회동가능하도록 덮개(200)의 일측을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연결부(300)는 경첩의 구조로 마련되어 덮개(200)와 회동부의 홈을 형성하는 내벽(15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연결부(300)가 덮개(20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습기가 많은 냉각탑(20) 내부로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연결부(300)는 댐퍼(600)로 연결될 수 있다. 댐퍼(600)는 덮개(200)의 후방부를 함께 개방하여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덮개(200)에 의해 지지부(100)의 후방부가 폐쇄되어 공기가 흐름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감지센서(400)는 거름망(110)에 연결되어 이물질의 유입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센서(400)는 거름망(110)과 접촉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감지센서(400)는 지지부(100) 내측에 연결되어 거름망(110)과 접촉할 수 있으며, 감지센서(400)로는 이물질의 접촉에 따라 거름망(110)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 감지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영상촬영부(500)는 거름망(110)의 이물질을 관찰할 수 있다. 영상촬영부(500)는 감지센서(400)에서 이물질의 유입이 감지되는 경우, 영상촬영부(500)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촬영할 수 있다. 이는 일시적으로 이물질이 검출되는 경우 설비의 가동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영상촬영부(50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는 작업자에게 알려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이미지 비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영상촬영부(500)의 종류와 설치위치는 제한이 없으나, 거름망(110)을 전체를 관찰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제2 실시예의 구성요소인 거름망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제2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제2 실시예에서 덮개가 개방상태에서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제2 실시예에서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1a)는 지지부(100), 덮개(200), 거름망(110) 및 감지센서(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별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지지부(100)는 전체 구성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요소로, 일정두께를 가지는 판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덮개(200)는 지지부(100)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덮개(200)가 회동가능하도록 덮개(200)의 일측을 지지부(100)에 연결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거름망(110)은 지지부(100)와 덮개(20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거름망(110)은 덮개(200)의 개방에 의해 이동되어 바람이 유입되는 측을 향해 펼쳐지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후방의 연결부(300)는 바람이 냉각탑(20) 측으로 유입되도록 댐퍼(600)가 사용되어 공기 유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거름망(110)은 지지프레임(120)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지지프레임(120)은 사각틀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거름망(110)은 지지프레임(12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20)의 일측은 덮개(200)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이는 덮개(200)의 회전에 따라 지지프레임(120)의 회전의 자유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지지프레임(120)의 타측은 이동롤러(1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롤러(121)는 지지부(100)의 내벽(150)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동롤러(121)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레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0)에는 가압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130)는 지지부(100) 내벽(150)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로 마련되며, 다양한 구동방법으로 구동될 수 있다. 가압부(130)는 롤러와 접촉하여 지지프레임(120)의 타측을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0)의 내벽(150)에는 롤러의 이동을 제어하는 스토퍼(14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140)는 지지부(100) 내벽(150)의 일 영역에 고정되어 롤러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스토퍼(140)는 지지프레임(120)이 양측 덮개(200)에 고정되는 위치를 연결한 가상의 선보다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덮개(200)가 닫히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스토퍼(140)의 양측에는 거름망(110)과 접촉하기 위한 감지센서(400)가 위치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20)이 가압부(130)에 의해 이동되어 스토퍼(140)에 닫는 경우, 스토퍼(1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감지센서(400)는 거름망(110)과 접촉하여 거름망(110)에 접촉하는 이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기술적 구성은 서로 교체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피해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1,1a)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를 이용하는 이물질 유입 피해 방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피해 방지 시스템은 기상정보부(1000), 이물질 유입 검출부(2000), 상태검출부(3000) 및 제어부(40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상정보부(1000)는 냉각탑(20) 주변의 기상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기상정보부(1000)는 기상청으로부터 기상정보를 받을 수도 있으나, 주변 환경이나 냉각탑(20)의 설치위치에 따라 바람의 방향이 달라지는 점을 고려하여 별도의 풍향계 및 풍속계를 이용하여 기상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문제가 되는 이물질은 일정 조건(일정 풍속 및 일정 풍향)에서 냉각탑(20)으로 유입이 될 수 있다. 또한, 꽃가루와 같은 이물질은 일정 조건에서도 유입이 될지 여부가 불확실하기에 기상조건 여부를 먼저 판단한 후, 이물질의 유입을 확실하게 감지하기 위함이다.
이물질 유입 검출부(200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인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를 사용하여 이물질 유입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물질 유입 검출부(2000)는 기상정보부(1000)에서 감지한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덮개(200)를 개폐하여 거름망(110)을 외부로 노출할 수 있다. 일정 조건의 만족 여부는 제어부(4000)를 통해서 판단될 수 있다. 이물질 유입 검출부(2000)의 동작을 위한 일정 조건은 풍속 및 풍향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태검출부(3000)는 이물질 유입 검출부(2000)에서 검출되는 이물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태검출부(3000)는 감지센서(400)와 영상촬영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400)는 이물질 유입 검출부(2000)에 설치되는 거름망(110)에 이물질이 접촉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영상촬영부(500)는 이물질의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상태검출부(3000)는 감지센서(400)에서 감지된 센싱 값과 영상촬영부(50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제어부(40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000)는 상태검출부(3000)의 감지센서(400)에서 이상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영상촬영부(500)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이물질의 존재 및 냉각설비 조작부(5000) 동작의 제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감지센서(400)의 이상신호만으로 냉각설비를 제어하는 것은 전체 공정에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존재하는바, 제어부(4000)는 영상촬영부(500)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이물질의 존재 및 대상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4000)는 영상촬영부(500)의 촬영 영상의 분석결과 단순 이물질로 판단되는 경우, 지속적으로 냉각설비를 가동하게 되며, 냉각 계통에 이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꽃가루와 같은 물질로 판단되는 경우, 냉각설비 조작부(5000) 동작을 제어하여 냉각 팬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으며, 이는 이물질이 냉각설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1a :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100 : 지지부
110 : 거름망
120 : 지지프레임
121 : 이동롤러
130 : 가압부
140 : 스토퍼
150 : 내벽
200 : 덮개
300 : 연결부
400 : 감지센서
500 : 영상촬영부
600 : 댐퍼

Claims (10)

  1. 거름망이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거름망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덮개;
    상기 덮개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덮개의 일측을 상기 지지부에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거름망에 걸리는 이물질의 유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2.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덮개;
    상기 덮개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덮개의 일측을 상기 지지부에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지지부와 상기 덮개 사이에 연결되는 거름망; 및
    상기 거름망에 걸리는 이물질의 유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양단이 상기 덮개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
    를 더 포함하는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의 이물질을 관찰하는 영상촬영부;
    를 더 포함하는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댐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은 지지프레임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은 상기 덮개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이동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내벽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이동롤러는 가압부를 통해 가압되어 상기 덮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스토퍼에 배치되어,
    상기 거름망이 이동하여 상기 스토퍼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거름망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9. 기상 정보를 감지하는 기상정보부;
    상기 기상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며, 거름망을 이용하여 이물질 유입 여부를 검출하는 이물질 유입 검출부;
    상기 이물질 유입 검출부에 이물질을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및
    상기 상태 검출부의 감지 값을 이용하여 냉각설비 조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물질 유입 피해 방지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부는
    감지센서와 영상촬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에서 이상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영상촬영부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냉각설비 조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피해 방지 시스템.
KR1020170091975A 2017-07-20 2017-07-20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KR101961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975A KR101961829B1 (ko) 2017-07-20 2017-07-20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975A KR101961829B1 (ko) 2017-07-20 2017-07-20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957A true KR20190009957A (ko) 2019-01-30
KR101961829B1 KR101961829B1 (ko) 2019-03-25

Family

ID=65277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975A KR101961829B1 (ko) 2017-07-20 2017-07-20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8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303A (ko) * 1995-06-30 1997-01-21 김태구 필터오염상태 표시장치
KR20050029365A (ko) * 2003-09-22 2005-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정화 장치
JP2016099050A (ja) * 2014-11-21 2016-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とその運転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303A (ko) * 1995-06-30 1997-01-21 김태구 필터오염상태 표시장치
KR20050029365A (ko) * 2003-09-22 2005-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정화 장치
JP2016099050A (ja) * 2014-11-21 2016-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とその運転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829B1 (ko) 201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2355C2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диагностика
WO2011047116A1 (en) Outdoor communication cabinet including fan tray and filter and projectile resistant vents and method of detecting blockage of communication cabinet filter
US9125302B2 (en) Electronic equipment enclosur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US116864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rying roofs
KR102277997B1 (ko) 스마트 홍수관리를 위한 유압식 인양수문 원격제어시스템
KR101961829B1 (ko)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WO2016056789A1 (ko) 방수 기능을 갖는 공조 장치
CN103498819A (zh) 过滤装置
KR20200079091A (ko) 스마트 워터 그리드 맞춤형 기계 과부하시 오감기술을 이용한 무인 수처리 시스템
US11690197B2 (en) Airflow management system that can be fitted to an electrical enclosure
DE202008006811U1 (de) Automatisches Freiblassystem für Rauchansaugsysteme im Brandschutz
CN104658616B (zh) 一种水冷式保护罩及其控制方法
KR20200073941A (ko)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및 창호 제어 방법
CN109869952A (zh) 一种空调系统及其排污控制方法
CN206656434U (zh) 一种空调系统
KR20100043976A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5373811U (zh) 一种工业液位控制系统的气泡液位检测装置
FI126031B (fi) Menetelmä tapahtumien tarkastelemiseksi sellukuivaimen päätyosan alueella ja sellukuivain
CN210057212U (zh) 一种消防系统及电除尘器
CN207070475U (zh) 一种fpc线路板加工用的贴片机的控湿除尘装置
CN113614456B (zh) 干燥室及其控制方法
KR100901182B1 (ko) 영상센서를 이용한 주물제조장치
CN116365700B (zh) 一种智慧电力安全监测及能耗管控系统
CN220479605U (zh) 一种自循环托盘洁净系统
CN117288268B (zh) 智慧油气田设备运行监测系统、方法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