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9365A - 공기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9365A
KR20050029365A KR1020030065611A KR20030065611A KR20050029365A KR 20050029365 A KR20050029365 A KR 20050029365A KR 1020030065611 A KR1020030065611 A KR 1020030065611A KR 20030065611 A KR20030065611 A KR 20030065611A KR 20050029365 A KR20050029365 A KR 20050029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olluted
contaminated
flow path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희
김태우
장보영
박영민
최호선
이동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5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9365A/ko
Publication of KR20050029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36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비오염 공기와 분리하여 처리하므로 에너지 효율이 높고 덕트가 불필요하여 비용이 저감되는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흡입된 공기 중 오염 공기가 통과하는 오염 공기 유로와 비오염 공기가 통과하는 비오염 공기 유로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오염 공기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오염 공기 토출구와 상기 비오염 공기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비오염 공기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오염 공기 토출구 또는 비오염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킬 수 있도록 송풍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오염 공기 유로 또는 비오염 공기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정화 장치 {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정 또는 벽에 덕트를 시공할 필요가 없는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서 천정 또는 벽에 흡기공 및 배기공을 형성하고, 천정 또는 벽 내부에 상기 흡입공 및 배기공과 통하는 공기 정화 장치를 설치한다.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천정 또는 벽 내부에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결된 실내 공기 흡입덕트와, 상기 본체에 장착된 공기 정화 필터와, 실내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본체에 연결된 정화 공기 배출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실내 공기의 실외 배기를 위해 상기 본체에 실내 공기 배출덕트가 연결되거나, 실외 공기의 실내 흡입을 위해 실외 공기 흡입덕트가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오염 공기와 비오염 공기가 함께 순환 또는 배기 되므로, 에너지 효율이 낮고, 천정 또는 벽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시공비가 많이 들며, 천정 또는 벽에 흡기공 및 배기공을 형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비오염 공기와 분리하여 처리하므로 에너지 효율이 높고 덕트가 불필요하여 비용이 저감되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흡입된 공기 중 오염 공기가 통과하는 오염 공기 유로와 비오염 공기가 통과하는 비오염 공기 유로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오염 공기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오염 공기 토출구와 상기 비오염 공기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비오염 공기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오염 공기 토출구 또는 비오염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킬 수 있도록 송풍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오염 공기 유로 또는 비오염 공기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 일실시예가 비오염 공기를 정화할 때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 일실시예가 오염 공기를 처리 할 때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2)가 형성되고, 흡입된 공기 중 오염 공기가 통과하는 오염 공기 유로(A)와 비오염 공기가 통과하는 비오염 공기 유로(B)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오염 공기 유로(A)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오염 공기 토출구(4)와 상기 비오염 공기 유로(B)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비오염 공기 토출구(6)가 각각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공기 흡입구(2)를 통해 상기 본체(10)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오염 공기 토출구(4) 또는 비오염 공기 토출구(6)를 통해 토출시킬 수 있도록 송풍시키는 송풍기(20)와; 상기 오염 공기 유로(A) 또는 비오염 공기 유로(B)를 개폐시키는 개폐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에는 그 이동이 용이토록 저면에 바퀴(11)가 장착된다.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2)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송풍기(20)가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기 하우징부(12)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에는 내부 공간을 오염 공기 유로(A)와 비오염 공기 유로(B)로 구획하는 베리어부(14)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오염 공기 토출구(4)가 형성됨과 필터(40)가 배치되는 오염 공기 정화부(16)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비오염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됨과 필터(40)가 배치되는 비오염 공기 정화부(18)로 구성된다.
상기 오염 공기 정화부(16) 및 비오염 공기 정화부(18)에는 상기 필터(40)가 외부로 착탈될 수 있도록 필터 삽입홀(16a,18a)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40)는 메쉬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물질이 걸름되는 에어 필터로 구성되거나 탈취 필터, 헤파 필터, 전기 집진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40)는 상기 비오염 공기 토출구(6)에만 장착되어 실내로 다시 토출되는 공기만을 정화하거나, 상기 오염 공기 토출구(4)에만 장착되어 오염된 공기만을 정화하는 것도 가능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오염 공기 토출구(4)와 비오염 공기 토출구(6)에 각각 장착되어 오염된 공기와 비오염된 공기를 각각 정화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공기 흡입구(2)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0)로 흡입되는 오염 공기와 비오염 공기 모두를 함께 정화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오염 공기 토출구(4)에 연통되는 오염 공기 저장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염 공기 저장수단(50)은 오염 공기 토출구(4)를 통과하는 공기가 담겨지는 것으로 비닐 팩이나 공기통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개폐 수단은 상기 오염 공기 유로(A)를 개폐 할 수 있도록 상기 오염 공기 유로(A)에 장착된 제 1 댐퍼(32)와, 상기 비오염 공기 유로(B)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비오염 공기 유로(B)에 장착된 제 2 댐퍼(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댐퍼(32) 및 제 2 댐퍼(34)는 상기 오염 유로(A) 및 비오염 유로(B)를 개폐시키는 배플과, 상기 배플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본체(10)의 주변 공기 오염도에 따라 상기 제 1 댐퍼(32) 및 제 2 댐퍼(34)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주변 공기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도 감지 센서(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36)는 공기 중의 먼지를 감지하는 먼지 센서나,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센서나, 특정 독성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 등의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9는 상기 공기 흡입구(2) 내측을 보호하도록 상기 공기 흡입구(2)에 배치된 흡입 그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 일실시예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38)와, 상기 조작부(38)의 조작에 따라 상기 송풍기(20)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36)에서 감지된 오염도에 따라 제 1 댐퍼(32)와 제 2 댐퍼(34)를 제어하는 제어부(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본체(10)의 오염 공기 토출구(4)에 상기 오염 공기 저장수단(50)을 연통시키고, 상기 조작부(38)를 조작하여 상기 공기 정화 장치를 온 작동시키면,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36)는 먼지나 이산화탄소나 독성 가스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39)로 오염도에 따른 감지값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39)는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36)에서 감지한 감지값과 설정치를 비교하여 감지값이 설정치 미만이면, 상기 송풍기(20) 및 제 2 댐퍼(34)에 온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댐퍼(32)에 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송풍기(20)는 회전되어 송풍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 1 댐퍼(32)는 상기 오염 공기 유로(A)를 밀폐시키며, 상기 제 2 댐퍼(34)는 상기 비오염 공기 유로(B)를 개방시킨다.
상기 본체(10)의 공기 흡입구(2) 주변 공기는 상기 공기 흡입구(2)를 통해 상기 본체(10) 내부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댐퍼(32)에 막힘되어 그 전부가 상기 비오염 공기 유로(B)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비오염 공기 정화부(18)의 필터(4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정화된 공기는 상기 비오염 공기 토출구(6)을 통해 실내로 다시 토출되고, 실내의 공기는 정화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39)는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36)에서 감지한 감지값과 설정치를 비교하여 감지값이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송풍기(20) 및 제 1 댐퍼(34)에 온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댐퍼(32)에 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송풍기(20)는 회전되어 송풍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 1 댐퍼(32)는 상기 오염 공기 유로(A)를 개방시키며, 상기 제 2 댐퍼(34)는 상기 비오염 공기 유로(B)를 밀폐시킨다.
상기 본체(10)의 공기 흡입구(2) 주변 공기는 상기 공기 흡입구(2)를 통해 상기 본체(10) 내부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댐퍼(34)에 막힘되어 그 전부가 상기 오염 공기 유로(A)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오염 공기 정화부(16)의 필터(4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정화된 공기는 상기 오염 공기 토출구(4)를 통해 비닐 팩이나 공기통 등의 상기 오염 공기 저장수단(50)에 담겨진다.
사용자는 상기 오염 공기 저장수단(50)에 오염 공기가 가득 차게 되면, 상기 오염 공기 저장수단(50)을 밀폐한 후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킴에 따라 오염된 공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오염 공기 토출구(4)에 실외와 통하는 배출덕트 또는 배수호스가 연결되는 경우, 오염된 공기가 실외로 직접 배출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제어 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38)와, 상기 조작부(38)의 조작에 따라 상기 송풍기(20)를 제어하고 제 1 댐퍼(32)와 제 2 댐퍼(34)를 제어하는 제어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오염 공기 유로(A)와 비오염 공기 유로(B)의 개폐가 제 1 실시예와 같이 오염도 감지 센서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고,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38)를 통해 공기 정화 모드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39)는 상기 송풍기(20) 및 제 2 댐퍼(34)에 온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댐퍼(32)에 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실내의 공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흡입구(2)와 비오염 공기 유로(B)를 차례로 통과한 후 비오염 공기 정화부(18)를 통하면서 상기 필터(40)에 의해 정화되고, 상기 비오염 공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또한, 사용자가 흡연 등의 이유로 상기 조작부(38)를 통해 공기 저장 모드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39)는 상기 송풍기(20) 및 제 1 댐퍼(32)에 온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댐퍼(32)에 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실내의 공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흡입구(2)와 오염 공기 유로(A)를 차례로 통과한 후 오염 공기 정화부(16)를 통하면서 상기 필터(40)에 의해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는 상기 오염 공기 토출구(4)를 통해 비닐 팩이나 공기통 등의 상기 오염 공기 저장수단(50)에 담겨진다.
사용자는 상기 오염 공기 저장수단(50)에 오염 공기가 가득 차게 되면, 상기 오염 공기 저장수단(50)을 밀폐한 후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킴에 따라 오염된 공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개폐수단이 하나의 댐퍼로 이루어져, 하나의 댐퍼가 상기 오염 공기 유로와 비오염 공기 유로 중 어느 하나를 밀폐시키고 다른 하나를 개방시키는 것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오염도 감지 센서와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조작부가 함께 구비된 경우에 오염도 감지 센서에 의한 개폐와 조작부에 의한 개폐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우선하는 것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오염 공기 유로와 비오염 공기 유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오염 공기 유로 또는 비오염 공기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장착되어, 오염 공기와 비오염 공기가 분리되어 그 각각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되므로, 에너지 효율이 높고, 천정이나 벽에 덕트가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비용이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오염 공기 토출구에 연통되는 오염 공기 저장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오염 공기의 실외 배출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본체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오염 공기를 정화함과 아울러 비오염 공기를 보다 깨끗하게 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오염 공기 유로를 개폐 할 수 있도록 상기 오염 공기 유로에 장착된 제 1 댐퍼와, 상기 비오염 공기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비오염 공기 유로에 장착된 제 2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간단한 구조 및 제어로 오염 공기와 비오염 공기를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본체 주변 공기의 오염을 감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된 오염도 감지 센서와;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오염도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오염 공기를 자동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오염 공기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 일실시예가 비오염 공기를 정화할 때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 일실시예가 오염 공기를 처리 할 때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 일실시예의 제어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제어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공기 흡입구 4: 오염 공기 토출구
6: 비오염 공기 토출구 9: 흡입 그릴
10: 본체 12: 송풍기 하우징부
14: 베리어부 16: 오염 공기 정화부
18: 비오염 공기 정화부 20: 송풍팬
32: 제 1 댐퍼 34: 제 2 댐퍼
36: 오염도 감지 센서 38: 조작부
39: 제어부 50: 오염 공기 저장수단

Claims (6)

  1.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흡입된 공기 중 오염 공기가 통과하는 오염 공기 유로와 비오염 공기가 통과하는 비오염 공기 유로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오염 공기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오염 공기 토출구와 상기 비오염 공기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비오염 공기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오염 공기 토출구 또는 비오염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킬 수 있도록 송풍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오염 공기 유로 또는 비오염 공기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오염 공기 토출구에 연통되는 오염 공기 저장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본체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수단은 상기 오염 공기 유로를 개폐 할 수 있도록 상기 오염 공기 유로에 장착된 제 1 댐퍼와, 상기 비오염 공기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비오염 공기 유로에 장착된 제 2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본체 주변 공기의 오염을 감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된 오염도 감지 센서와; 상기 오염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오염도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장치.
KR1020030065611A 2003-09-22 2003-09-22 공기 정화 장치 KR20050029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611A KR20050029365A (ko) 2003-09-22 2003-09-22 공기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611A KR20050029365A (ko) 2003-09-22 2003-09-22 공기 정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365A true KR20050029365A (ko) 2005-03-28

Family

ID=37385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611A KR20050029365A (ko) 2003-09-22 2003-09-22 공기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936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6928A (zh) * 2014-12-25 2015-05-20 宁波凯福莱特种汽车有限公司 一种救护车车厢换气装置
KR20190009957A (ko) * 2017-07-20 2019-01-30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KR20190031265A (ko) * 2016-07-18 2019-03-25 베스-엘 지크론 야아콥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집단 보호 시설을 위한 컴팩트한 nbc 여과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6928A (zh) * 2014-12-25 2015-05-20 宁波凯福莱特种汽车有限公司 一种救护车车厢换气装置
KR20190031265A (ko) * 2016-07-18 2019-03-25 베스-엘 지크론 야아콥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집단 보호 시설을 위한 컴팩트한 nbc 여과 시스템
KR20190009957A (ko) * 2017-07-20 2019-01-30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유입 검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459B1 (ko) 고성능 공기정화 장치 및 정화 방법
CN1912482A (zh) 通风系统和用于驱动该通风系统的方法
KR101339877B1 (ko) 흄 후드 및 그의 오염물질 제거 및 정화방법
KR102000707B1 (ko) 교실용 공기정화장치
KR102263864B1 (ko) 주방 공기청정 시스템
JP3917319B2 (ja) 空気調和機
KR101276193B1 (ko) 차량용 공기정화기
KR100764730B1 (ko) 사이클론 집진기를 이용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JPH02302539A (ja) 空気清浄機
KR102147799B1 (ko) 천장 매립형 공기청정기
KR20050029365A (ko) 공기 정화 장치
KR102081188B1 (ko) 창문형 환기 청정기
JP2006250396A (ja) 空気清浄機能付喫煙室
KR200421933Y1 (ko) 환기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JP4320136B2 (ja) 空気清浄化装置
KR100519301B1 (ko) 환기기능을 겸비한 벽걸이형 공기청정기
KR102460287B1 (ko) 소형환기장치
JP4087170B2 (ja) 空気清浄装置
JP7453820B2 (ja) 空気浄化システム
KR20200093990A (ko)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2437900B1 (ko) 감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CN209886364U (zh) 一种用于生物医药研究实验的通风柜
KR100680622B1 (ko) 환기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KR980001069A (ko) 자동차용 내장형 공기 청정기
KR100352527B1 (ko) 자동차 실내 환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