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795A -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장용성 연질캡슐 - Google Patents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장용성 연질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795A
KR20190008795A KR1020170143859A KR20170143859A KR20190008795A KR 20190008795 A KR20190008795 A KR 20190008795A KR 1020170143859 A KR1020170143859 A KR 1020170143859A KR 20170143859 A KR20170143859 A KR 20170143859A KR 20190008795 A KR20190008795 A KR 20190008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ctin
soft capsule
enteric
gel mass
gela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6407B1 (ko
Inventor
송지영
나유정
박상훈
배문형
Original Assignee
(주)알피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피바이오 filed Critical (주)알피바이오
Publication of KR20190008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A61K9/4825Proteins, e.g. gelat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장용성 연질캡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4 중량% 초과 6 중량% 미만의 펙틴을 사용하더라도 장용성 특성이 우수하고, 1가 양이온 금속염 및/또는 2가 양이온 금속염이 추가로 요구되지 않는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gel mass)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장용성 연질캡슐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장용성 연질캡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장용성 연질캡슐{Enteric soft capsule gel mass composition and enteric soft capsu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장용성 연질캡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용성 특성이 우수하고, 1가 양이온 금속염 및/또는 2가 양이온 금속염이 추가로 요구되지 않는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gel mass)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장용성 연질캡슐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장용성 연질캡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여러가지 유효성분을 함유한 캡슐이 보고되어 있고, 이들 캡슐에서의 피막의 재료로서 젤라틴이나 한천 등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젤라틴이나 한천 등을 재료로 한 피막은 산성 환경의 위(胃)에서 붕괴되기 때문에, 산에 약한 물질은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최근 장용성 캡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장용성 캡슐은 피막이 산에 대해 내성을 가짐으로써 위에서는 피막이 붕괴되지 않고, 장에서 피막이 붕괴되어 캡슐 내 유효성분이 장에서 방출되는 캡슐이다. 이 장용성 캡슐은 산에 대해 약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유효성분을 서서히 방출시킴으로써 효과를 장시간 지속시키고자 하는 물질이나, 마늘, 어유 등과 같이 위에서 소화되는 경우 악취나 변향(reversion flavor)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함유시키는 경우에도 이용되고 있다.
장용성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코팅이라는 불가피한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고 이에 따라 생산 공정이 길어지며, 코팅에 사용되는 소재의 원가가 추가된다. 특히, 연질캡슐의 경우 정제나 경질캡슐에 비하여 생산 시간이 2배 이상 소요된다. 연질캡슐을 성형, 충전 및 건조 후 별도의 장용성 코팅 공정을 거쳐 제조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코팅 시 코팅액에서 유래하는 유기용매 등이 캡슐 표면에 잔류할 가능성이 높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코팅에 의해 캡슐의 식별코드가 보이지 않거나, 코팅 전 성상과 비교하였을 때, 캡슐의 외관상 질이 떨어져 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코팅 공정이 생략 가능한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의 제조와 관련하여, 장용성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펙틴의 함량이 높아야 하지만 펙틴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점도도 함께 높아지기 때문에 나트륨염과 같은 1가 양이온 금속염을 추가하여 펙틴의 용해성을 더욱 촉진시켜 점도를 낮춤으로써 펙틴 함량이 높은 장용성 연질캡슐용 피막매스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건강을 위해 섭취하는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연질캡슐이 성인병의 원인인 나트륨을 함유하고 있는 것은 국민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국 등록특허 US 9,192,582호에서는 1가 양이온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고, 2 내지 5 중량% 미만의 비교적 낮은 함량의 펙틴을 포함하는 경구용 위역류(gastric resistant) 저항성 제형을 개시하고 있으나, 여기에는 1 내지 2 중량%의 2가 양이온 금속염이 포함되어 있다. 2가 양이온 금속염은 통상적으로 겔화제로 사용되나, 캡슐의 성형성 및 접착성을 위해서는 배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금속염을 사용하지 않는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6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4 중량% 초과6 중량% 미만의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에 A형 젤라틴을 배합한 경우, 장용성 특성을 만족하고, 1가 양이온 금속염 및 2가 양이온 금속염이 추가로 요구되지 않는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gel mass)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6 중량% 미만의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Low methoxyl amidated pectin)을 사용하더라도 장용성이 우수한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장용성 조성물로 제조된 장용성 연질캡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연질캡슐 조성물을 이용한 장용성 연질캡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4 중량% 초과 6 중량% 미만의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Low methoxyl amidated pectin); 25 내지 40 중량%의 젤라틴; 10 내지 20 중량%의 가소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은 4.5 중량% 내지 5.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의 에스테르화도는 20 내지 40 중량%이고, 아미드화는 10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젤라틴은 타입 A 젤라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소제는 글리세린, 농글리세린, 소르비톨, 말티톨,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글리시톨시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용성 연질캡슐용 조성물은 1가 양이온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용성 연질캡슐용 조성물은 2가 양이온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장용성 연질캡슐용 조성물로 제조된 장용성 연질캡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장용성 연질캡슐용 조성물을 이용한 장용성 연질캡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캡슐용 조성물은 6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4 중량% 초과 6 중량% 미만의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을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장용성 특성이 우수하고, 성분 배합에 있어서 1가 양이온 금속염 및/또는 2가 양이온 금속염과 같은 추가의 성분을 필요로 하지 않아, 최소한의 성분으로 성형에 적합한 점도와 외관이 투명한 캡슐 성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우수한 품질의 장용성 연질캡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제2인산나트륨염의 투입량에 따른 8 중량%의 LM 펙틴 및 LMA 펙틴의 점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2가 양이온 금속염 투입 여부에 따른 LM 펙틴과 LMA 펙틴의 강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의 투입량에 따른 겔 매스 필름의 기포도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의 투입량과 젤라틴 타입에 따른 조제 직후와 72시간 보관 후 변색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용성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펙틴의 함량이 높아야 하지만 펙틴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점도도 함께 높아지기 때문에 나트륨염과 같은 1가 양이온 금속염을 추가하여 펙틴의 용해성을 더욱 촉진시켜 점도를 낮춤으로써 펙틴 함량이 높은 장용성 연질캡슐용 피막매스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건강을 위해 섭취하는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연질캡슐이 성인병의 원인인 나트륨을 함유하고 있는 것은 국민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2가 양이온 금속염은 겔화제로 사용되나, 캡슐의 성형성 및 접착성을 위해서는 배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금속염을 사용하지 않는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6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4 중량% 초과 6 중량% 미만의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에 A형 젤라틴을 배합하여 장용성 특성을 만족하고, 1가 양이온 금속염 및 2가 양이온 금속염이 추가로 요구되지 않는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gel mass)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캡슐용 조성물은 장용성 특성이 우수하고, 성분 배합에 있어서 1가 양이온 금속염 및/또는 2가 양이온 금속염과 같은 추가의 성분을 필요로 하지 않아, 최소한의 성분으로 성형에 적합한 점도 및 강도를 제공하며, 외관이 투명한 캡슐 성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우수한 품질의 장용성 연질캡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당업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은 4 중량% 초과 6 중량% 미만의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Low methoxyl amidated pectin, LMA); 25 내지 40 중량%의 젤라틴; 10 내지 20 중량%의 가소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용어 "장용성"은 위에서는 용해되지 않고 장에서 용해되는 성질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LMA)의 에스테르화도는 20 내지 40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2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장용성 연질캡슐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의 에스테르화 정도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메톡시펙틴(LM)은 에스테르화도(DE)가 50% 미만인 펙틴을 의미하고, 에스테르화도는 총 갈락투론산 중, 메틸 에스테르화 되어 있는 것의 비율을 의미하고, 메틸 에스테르화된 갈락투론산 수를 통 갈락투론산 수로 나누어 100을 곱한 값(%)으로 하여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의 아미드화는 1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8%,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7%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장용성 연질캡슐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의 아미드화 정도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미드화도(DA)란, 총 갈락투론산 중, 아미드화되어 있는 것의 비율을 의미하고, 아미드화된 갈락투론산 수를 총 갈락투론산 수로 나누어 100을 곱한 값(%)으로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에스테르화도가 22 내지 26 중량% (결과: 24.5 중량%)이고, 아미드화도가 18 내지 25 중량% (결과: 22.8 중량%)인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겔 매스 조성물은 1가 양이온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과량의 1가 양이온 금속염은 겔 형성을 촉진하는 반면, 소량의 1가 양이온 금속염은 겔 점도를 저하시키고 용해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1가 양이온 금속염이 소량일 때 음전하를 띄는 펙틴의 반발력을 감소시켜 점도가 감소하고 용해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반면, 1가 양이온이 많아지면 이온 강도 힘(ionic strength)에 의해 겔 형성을 촉진하여 점도와 겔 강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ood hydrocolloids, 18, 2004, 375-378). 그러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된 LMA 펙틴은 LM 펙틴에 비해 1가 양이온 금속염에 의한 점도 변화가 크지 않아 연질캡슐 피막의 제조 시 겔 매스의 유동학적 특성과 물성적 안정성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카르복실기가 많은 LM 펙틴에 비해 아미드화로 인해 카르복실기가 상대적으로 적은 LMA 펙틴은 1가 양이온 금속염의 영향을 덜 받아 이에 의한 점도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본 발명의 겔 매스 조성물은 또한 2가 양이온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2가 양이온 금속염은 펙틴의 카르복실기와 결합하여 겔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LMA 펙틴은 LM 펙틴과 달리 2가 양이온 금속염 없이도 겔 형성이 가능하였고, 겔 강도 역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젤라틴은 장용성 연질캡슐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소의 뼈, 우피, 돈피, 어피 등에서 추출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젤리강도(Jelly strength)가 190~210 Bloo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젤라틴은 A형 젤라틴일 수 있다. 젤라틴은 전처리 방법에 따라 A형과 B형으로 나뉘게 되며, 산 처리로 수득되고 등전점(IEP)이 7.0~9.5인 젤라틴을 A형 젤라틴, 알칼린 처리로 수득되고 등전점 4.8 내지 5.2인 젤라틴을 B형 젤라틴으로 분류한다. 젤라틴은 등전점일 때 용해도와 용액 점도가 최저이고, 흡수능, 탁도, 성형 및 침전이 최대가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표 3과 같이 젤라틴 종류를 A형 젤라틴 또는 B형 젤라틴으로 달리하여 제조한 겔 매스 조성물을 조제 직후와 65℃의 워터 배스(water bath)에서 72시간 보관 후 시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표 4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제 직후 A형 젤라틴을 사용한 겔 매스의 경우 LMA 펙틴 2 내지 6 중량%에서는 점도 및 겔 강도 상승은 있으나 성형이 가능한 자사 점도 범위인 400,000cp 내이고, 성상 및 흐름성 모두 양호하였다. 이에 반해, LMA 펙틴 7 내지 8 중량%에서는 자사 점도 범위를 초과하여 성형에 부적합하였다. B형 젤라틴을 사용한 겔 매스의 경우 LMA 펙틴 증가에 따른 점도가 A형 젤라틴을 사용한 겔 매스보다 2~3배 높았으며, LMA 펙틴 2 내지 5 중량%에서는 성상, 점도 및 겔 강도 모두 양호하였으나 LMA 펙틴 6 중량%에서 기포가 발생했고, LMA 펙틴 7 내지 8 중량%에서는 기포 정도가 심한 성상 문제와 높은 점도로 인한 흐름성 저하로 성형에 부적합하였다. 또한, pH는 LMA 펙틴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A형 젤라틴을 사용한 겔 매스는 pH감소로 인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성상, 투과율, Haze현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B형 젤라틴 겔 매스는 LMA 펙틴 증가에 따른 pH가 등전점에 근접할수록 투과율 저하 및 Haze현상이 나타나는 등의 성상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표 5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72시간 보관 후 A형 젤라틴을 사용한 겔 매스의 경우 점도와 겔 강도가 조제 직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성형 가능한 범위 내이며, 흐름성 등 성상이 양호하였다. 반면, B형 젤라틴을 사용한 겔 매스의 경우 점도와 겔 강도가 조제 직후에 비해 감소 정도가 높고, 겔 매스의 펙틴 함량이 높아질수록 감소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옅은 황색에서 진한 갈색으로 변색이 심해졌고, 비연속적인 흐름성 등 성상의 변화가 나타났다. A형 젤라틴을 사용한 겔 매스의 pH 변화 차이는 거의 없으며, 조제 직후에 비해 투과율은 펙틴 함량이 높아질수록 감소하였으나 Haze현상은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B형 젤라틴을 사용한 겔 매스의 pH는 등전점까지 낮아졌으며, 그로 인해 A형 젤라틴 겔 매스보다 투과율의 감소 폭은 2배 커지고, Haze의 변화 폭은 4배 더 증가하여 확연한 성상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점도 붕괴 현상(viscosity break down), 투과율, 현탁도와 성상 변화는 펙틴에 의해 겔 매스의 pH가 감소하기 때문에 IEP가 낮은 B형 젤라틴에서 확연히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따라, 겔 매스의 안정성 측면에서 A형 젤라틴을 사용하는 것이 B형 젤라틴을 사용하는 것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캡슐에 있어서, A형 젤라틴을 사용하고, 1가 양이온 금속염과 2가 양이온 금속염을 모두 포함하지 않는 조건에서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LMA)의 함량은 4 중량% 초과 6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4.2 중량% 내지 5.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중량% 내지 5.5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LMA)의 적합한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2, 3, 4, 5 또는 6 중량%의 상이한 함량으로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LMA)을 포함하는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을 사용하여 연질캡슐을 시생산하고 성형 적합성, 제품실험 항목 및 장기 안정성에 대해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4 중량% 이하의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을 사용하는 경우 (2-1-A, 2-2-A 및 2-3-A),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속조건 6개월부터 붕해 부적합이 나타나고,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기 안정성 부적합이 나타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6 중량% 이상의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을 사용하는 경우 (2-5-A),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건조 속도가 빠르고, 높은 경도로 인해 캡슐이 딱딱해져 냉장 보관 시 깨짐의 문제가 발생함을 발견하여 성형 및 제품실험항목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5 중량%의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을 사용하는 경우 (2-4-A), 표 7, 8 및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성형 적합성, 제품실험 항목 및 장기 안정성이 모두 적합하고, 장용성 특성 및 외관이 투명한 캡슐 성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우수한 품질의 장용성 연질캡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LMA)의 함량이 각각 4.5 중량% 및 5.5 중량%인 겔 매스로 연질캡슐을 시생산하여, 제품실험 항목과 장기 안정성 실험 및 일정한 보관조건 하에서 안정성 실험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표 9 및 1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LMA 펙틴 함량이 각각 4.5 중량% 및 5.5 중량%인 4.5%-A와 5.5%-A는 공정 적합성 및 품질 평가 항목이 모두 우수하였고, 장용성 특성 또한 만족하였다. 4.5%-A와 5.5%-A는 LMA 펙틴 함량이 6 중량%인 2-5-A에서 높은 경도로 인해 냉장 보관 시 발생하는 깨짐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양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표 10 및 1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4.5%-A 및 5.5%-A는 실온 및 가속 보관조건에서 6개월간 안정성 시험에서 성상 및 붕해 항목이 모두 적합하였다. 특히, LMA 펙틴 함량이 4.5 중량%인 4.5%-A는, 가속조건 6개월에서 LMA 펙틴 함량이 4 중량%인 2-3-A의 경우 나타나는 붕해 부적합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LMA 펙틴 함량이 5.5 중량%인 5.5%-A는 LMA 펙틴 함량이 6 중량%인 2-5-A와 비교하여, 가속 3개월부터 캡슐끼리 서로 붙는 성상 변화가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성형, 제품실험 항목 및 장기 안정성이 모두 적합한 장용성 연질캡슐의 제조를 위해서는 4 중량% 초과 6 중량% 미만의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장용성 연질캡슐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농글리세린, 소르비톨, 말티톨,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글리시톨시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겔 매스 조성물로 제조된 장용성 연질캡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겔 매스 조성물을 사용하면 코팅 공정 없이 장용성 연질캡슐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슐 내용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고체일 수도 있고, 액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의약품 성분이나, 영양 보조 성분이나, 건강 식품 성분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어유, 마늘, 비타민 B1, 각종 난유(예로부터의 건강 식품 소재로, 노른자를 교반하면서 철 냄비 등을 이용해 장시간 약한 불로 가열함으로써 얻어지는 갈색~흑색의 액체) 등의 위에서 소화되면 날숨의 악취나 변향의 원인이 되는 물질이나, 스트렙토코쿠스·패시움, 락토코쿠스·락티스 아종·락티스, 락토바실러스·헬베티쿠스, 락토바실러스·아시도필루스, 락토바실러스·카세이 등의 유산균, 비피도박테리움·롱검, 비피도박테리움·비피덤 등의 비피더스 균으로 대표되는 산에 대해 약한 장내 세균이나, 고추 소재나 캡사이신 등의 위에 자극을 주는 성분, 푸마르산제일철, 건조 황산철 등의 철제, 해열제, 진통제, 소염제, 항종양제, 항균제 등을 서서히 방출시킴으로써 효과를 장시간 지속시키고자 하는 약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캡슐 내용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경화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MCT), EPA, DHA, 상어간유, 대구간유 등의 유지나, 레시틴, 폴리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알코올류 등의 계면 활성을 조정할 수 있는 첨가제나, 완충액이나, 물이나, 젤라틴, 카라기난 등의 겔화제나, pH 조정제나, 기상법 실리카 등의 다공성 미립자 분말이나, 감미료 등의 정미제(呈味劑)나, 향료나, 용해 조제나, 점도 조정제나, 비타민 E, BHT, BHA로 대표되는 항산화제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장용성 캡슐 피막액에는 필요에 따라,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등의 계면활성제, 감미료, 향료, 방부제, 착색제 등을 선택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장용성 연질캡슐용 조성물을 이용한 장용성 연질캡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용성 연질캡슐의 제조방법은 상기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을 이용하는 한 특별한 제한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장용성 연질캡슐의 제조방법과 같이, 로터리다이 연질캡슐 충전기(Rotary Die Encapsulation Machine, 이후 연질캡슐 성형기)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로터리다이 연질캡슐 충전은 연질캡슐용 겔 매스를 연질캡슐 성형기에 부착된 스프레더박스(Spreader box)를 통해 회전하는 캐스팅드럼(Casting Drum)에 전달하여 얇은 피막시트를 형성시키고, 양방향에서 만들어진 피막시트는 한 쌍의 다이롤을 통과시켜 캡슐 형상으로 접착하는 방법이다. 이는 연질캡슐의 성형과 연질캡슐 내용물의 충전이 동시에 실시되는 방식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20℃ 이하로 냉각된 한 쌍의 캐스팅드럼에 닫는 즉시 탄성이 있는 한 쌍의 얇은 피막시트(Ribbon)가 형성되고, 형성된 피막시트는 연질캡슐 성형기의 이송롤러를 통과하여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인젝션 웨찌(Injection Wedge, 열전달장치) 및 다이 롤러(Die Roller)을 통과한다.
연질캡슐 성형기는 한 쌍의 캐스팅드럼과 스프레더박스가 설치되어 있어서 양쪽에서 만들어진 각각의 리본이 겹쳐져서 두 개의 다이 롤러 사이를 지나가게 되고 다이롤러에 만들어진 한 쌍의 회전하는 금형에 통과하는 시점에서 인젝션 웨찌의 온도는 통상 35~40℃로 가열되며, 다이 롤러의 압력과 온도에 의해서 연질캡슐이 완전히 접착되게 된다. 또한, 연질캡슐이 접착되기 직전 인젝션 웨찌를 통과한 일정양의 내용물이 하단이 봉합된 연질캡슐에 인젝션(Injection)되고, 즉시 상단이 봉합되어 연질캡슐의 성형이 완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을 이용할 경우, 장용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별도의 코팅공정을 거치거나 스프레더박스에 압력을 가하는 특수한 장치를 이용하지 않아도 장용성 연질 캡슐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펙틴 종류에 따른 금속염의 영향 확인
1-1. 펙틴 종류에 따른 1가 양이온 금속염 투입량과 점도의 상관관계
펙틴 종류에 따른 1가 양이온 금속염 투입량과 점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2%, 4%, 6% 및 8%의 저메톡실펙틴(LM 펙틴)과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LMA 펙틴)에 1가 양이온 금속염으로 제2인산나트륨을 각각 0 중량%, 0.3 중량%, 0.5 중량% 및 1.0 중량% 농도로 첨가하여 1가 양이온 금속염에 의한 점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고, 제2인산나트륨염의 투입량에 따른 8 중량%의 LM 펙틴 및 LMA 펙틴의 점도 변화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점도 측정은 점도계 (Brook field사, 모델 RVDV-II+P, spindle No.4)을 이용하여 10.0rpm, 35℃ 조건에서 이루어졌다.
Figure pat00001
표 1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LM 펙틴은 2 중량 %, 4 중량 % 에서 점도 측정이 되지 않았으며, 6 중량 % 이상부터 LMA 펙틴보다 점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1가 양이온 금속염에 의한 점도 변화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LMA 펙틴은 LM 펙틴과 비교하여 점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1가 양이온 금속염에 의한 점도 변화가 크지 않아 연질캡슐 피막의 조제 시 겔 매스의 유동학적 특성 및 물성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2. 펙틴 종류에 따른 2가 양이온 금속염 투입량과 겔 강도의 상관관계
펙틴 종류에 따른 2가 양이온 금속염 투입량과 겔 강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A 내지 H의 8가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각 조성물의 겔 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고, 2가 양이온 금속염 투입 여부에 따른 LM 펙틴과 LMA 펙틴의 강도를 보여주는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겔 강도는 Texture analyzer (BROOKFIELD사 모델 CT3-25K)을 이용하여 전용용기에 겔 매스 20g을 담아 0~4℃ 냉장고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2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LMA 펙틴은 LM 펙틴과 달리 2가 양이온 금속염 없이도 겔 형성이 가능하였고, 겔 강도 역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연질캡슐용 겔 매스에는 LMA 펙틴을 사용하였으며, 이하 추가 실시예에서는 펙틴의 종류를 LMA 펙틴으로 선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젤라틴 종류에 따른 겔 매스 조성물의 안정성 시험
본 실시예에서는 젤라틴 종류를 A형 또는 B형으로 달리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겔 매스를 제조하였다.
2-1. 2 중량%의 LMA 펙틴을 포함하는 겔 매스
정제수 470g을 멜팅탱크에 넣고 75~80℃에서 선가온한다. 190g의 글리세린에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DE 22~26%, DA 18~25%) 20g을 서서히 첨가 한 후 멜팅탱크에 부어 80~85℃에서 10~20분간 교반한다. A형 젤라틴(돈피, MB, GELITA사) 320g을 투입하여 75~80℃로 30분간 교반한 다음 탈포하여 최종 겔 매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와 동일한 조건 및 과정으로 B형 젤라틴(우피, MB, GELITA사)을 사용한 겔 매스 조성물도 제조하였다.
2-2. 3 중량%의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을 포함하는 겔 매스
정제수 460g에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DE 22~26%, DA 18~25%) 3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1의 조건과 동일하게 하여 A형 젤라틴 및 B형 젤라틴을 각각 포함하는 겔 매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3. 4 중량%의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을 포함하는 겔 매스
정제수 450g에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DE 22~26%, DA 18~25%) 4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1의 조건과 동일하게 하여 A형 젤라틴 및 B형 젤라틴을 각각 포함하는 겔 매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4. 5 중량%의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을 포함하는 겔 매스
정제수 440g에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DE 22~26%, DA 18~25%) 5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1의 조건과 동일하게 하여 A형 젤라틴 및 B형 젤라틴을 각각 포함하는 겔 매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5. 6 중량%의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을 포함하는 겔 매스
정제수 430g에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DE 22~26%, DA 18~25%) 6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1의 조건과 동일하게 하여 A형 젤라틴 및 B형 젤라틴을 각각 포함하는 겔 매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6. 7 중량%의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을 포함하는 겔 매스
정제수 420g에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DE 22~26%, DA 18~25%) 7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1의 조건과 동일하게 하여 A형 젤라틴 및 B형 젤라틴을 각각 포함하는 겔 매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7. 8 중량%의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을 포함하는 겔 매스
정제수 410g에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DE 22~26%, DA 18~25%) 8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1의 조건과 동일하게 하여 A형 젤라틴 및 B형 젤라틴을 각각 포함하는 겔 매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2-1 내지 2-7을 정리하여 표 3에 기재하였다.
Figure pat00003
상기와 같이 제조된 겔 매스를 조제 직후와 65℃의 워터 배스(water bath)에서 72시간 보관 후 시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각각 하기 표 4 및 표 5에 기재하였고,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의 투입량에 따른 겔 매스 필름의 기포도 변화는 도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 및 5의 성상에서 ◎:매우 좋음, ○:좋음, △:보통, X:나쁨으로 평가하였다. 기포에서, +++: 매우 심함, ++: 심함, +: 약간 있음, X: 없음으로 평가하였다.
Figure pat00004
**성상: ◎(매우 좋음), ○ (좋음), △(보통), X(나쁨)
**기포: +++(매우 심함), ++(심함), +(약간 있음), X(없음)
**투과율: Spectrophotometer, Konica Minolta사, 모델 CM-5
**Haze: Spectrophotometer, Konica Minolta사, 모델 CM-5
**pH: 겔 매스 5g을 증류수 105g에 완전히 녹인 후 중탕 챔버에서 45℃로 완전히 가온 한 후 Mettler toledo사, 모델 HS153로 측정
**점도: Brook field사, 모델 RVDV-II+P, spindle No.4, 0.1rpm, 60℃에서 측정
**겔 강도: BROOKFIELD사, 모델 CT3-25K을 이용하여 전용용기에 겔 매스 20g을 담아 0~4℃ 냉장고에 20분 간 방치한 후 측정
Figure pat00005
표 4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제 직후 A형 젤라틴을 사용한 겔 매스의 경우 LMA 펙틴 2 내지 6 중량%에서는 점도 및 겔 강도 상승은 있으나 성형이 가능한 자사 점도 범위인 400,000cp 내이고, 성상 및 흐름성 모두 양호하였다. 이에 반해, LMA 펙틴 7 내지 8 중량%에서는 자사 점도 범위를 초과하여 성형에 부적합하였다. B형 젤라틴을 사용한 겔 매스의 경우 LMA 펙틴 증가에 따른 점도가 A형 젤라틴을 사용한 겔 매스보다 2~3배 높았으며, LMA 펙틴 2 내지 5 중량%에서는 성상, 점도 및 겔 강도 모두 양호하였으나 LMA 펙틴 6 중량%에서 기포가 발생했고, LMA 펙틴 7 내지 8 중량%에서는 기포 정도가 심한 성상 문제와 높은 점도로 인한 흐름성 저하로 성형에 부적합하였다. 또한, pH는 LMA 펙틴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A형 젤라틴을 사용한 겔 매스는 pH감소로 인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성상, 투과율, Haze현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B형 젤라틴 겔 매스는 LMA 펙틴 증가에 따른 pH가 등전점에 근접할수록 투과율 저하 및 Haze현상이 나타나는 등의 성상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표 5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72시간 보관 후 A형 젤라틴을 사용한 겔 매스의 경우 점도와 겔 강도가 조제 직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성형 가능한 범위 내이며, 흐름성 등 성상이 양호하였다. 반면, B형 젤라틴을 사용한 겔 매스의 경우 점도와 겔 강도가 조제 직후에 비해 감소 정도가 높고, 겔 매스의 펙틴 함량이 높아질수록 감소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옅은 황색에서 진한 갈색으로 변색이 심해졌고, 비연속적인 흐름성 등 성상의 변화가 나타났다. A형 젤라틴을 사용한 겔 매스의 pH 변화 차이는 거의 없으며, 조제 직후에 비해 투과율은 펙틴 함량이 높아질수록 감소하였으나 Haze현상은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B형 젤라틴을 사용한 겔 매스의 pH는 등전점까지 낮아졌으며, 그로 인해 A형 젤라틴 겔 매스보다 투과율의 감소 폭은 2배 커지고, Haze의 변화 폭은 4배 더 증가하여 확연한 성상 변화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A형 젤라틴을 사용하는 것이 B형 젤라틴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안정한 겔 매스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으나, B형 젤라틴을 사용한 경우라도 2-4-B 및 2-5-B는 연질캡슐로 제품화 가능한 점도와 겔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 함량에 따른 장용성 연질캡슐 제품별 비교 시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2의 결과를 바탕으로, 성형이 가능한 2-1-A, 2-2-A, 2-3-A, 2-4-A, 2-5-A, 2-4-B 및 2-5-B를 선정하여 연질캡슐로 시생산하였다. 이때 성형 공정평가와 생산된 제품 평가를 진행하여 그 결과의 차이를 비교 확인하였다. 연질캡슐 성형조건을 정리하여 표 6에 기재하였다.
구체적인 캡슐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6
동일한 성형 조건하에서 겔 매스별 공정평가와 생산된 제품 평가를 진행하기 위해 제품군별 제조수량은 각각 6,000캡슐로 진행하였으며, 성형 공정평가는 Die roll, Conveyor, 1차 건조(텀블러), 2차 건조(사판건조) 구간에서 발생된 누액 캡슐의 개수를 통해 확인하였다. 겔 매스별 생산 제품 평가는 건조공정을 포함하여 모든 공정완료 후, 제품의 성상, 피막 접합율, 경도, 파열강도, 누액시험(자사 별도 시험법), 저온상태에서 캡슐의 깨짐 현상이 나타나는 지를 확인하는 취성 실험 등의 평가를 통해 제품의 물리적 안정성 상태를 확인하였고, 장용성 연질캡슐에 대한 품질 적합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인자인 붕해 실험은 식품의약품 안전처 고시 제2016-143 호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제4.건강기능식품 시험법, 2-1 붕해시험법 중 4.2.6.2 과립제품 또는 과립상의 형으로 충전한 캡슐제 이외의 장용성 제품 시험법을 통해 비교 확인하였다. 제조된 장용성 연질캡슐에 대한 공정 적합성 및 품질평가 결과를 표 7에 기재하였다.
Figure pat00007
**제품성상: 캡슐의 모양(균형), 접합면의 접합상태, ○(우수), △(보통), X(나쁨)
**누액: 밀봉된 캡슐의 접합면 또는 그 외의 면으로부터 충진 된 내용물이 흘러 나오는 현상
**접합비율: 피막두께 대비 접합부의 두께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광학현미경으로 측정
**경도: 2차 건조실(19~26℃, 24%RH이하)에서 2일간 건조 후 측정
**파열강도: 제품의 접합상태를 간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시험으로 캡슐에 압력을 가하여 파열되는 시점을 수치화 함 (파열강도가 클수록 접합상태가 좋음)
**누액시험: 감압 챔버(37℃, 760mmHg, 2시간 방치, n=300) 방치 후 누액 캡슐 수 확인
**취성시험: 저온에서 제품의 깨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으로 캡슐을 냉장고에 넣고 (0~5℃, 30~36%RH) 48시간 방치 후 2m 높이에서 떨어뜨렸을 때 깨지는 캡슐 수 확인
**붕해: 제4.건강기능식품 시험법, 2-1 붕해시험법 중 4.2.6.2 과립제품 또는 과립상의 형으로 충전한 캡슐제 이외의 장용성 제품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A형 젤라틴을 포함하며 LMA 펙틴 함량이 2 내지 5 중량%인 2-1-A, 2-2-A, 2-3-A 및 2-4-A는 공정 적합성 및 품질 평가 항목이 모두 우수하였고, 장용성 특성 또한 만족하였으나, LMA 펙틴 함량이 6 중량%인 2-5-A는 건조속도가 빠르고, 높은 경도로 인해 캡슐이 딱딱해져 냉장 보관 시 깨짐의 문제가 발생함을 발견하여 성형 및 제품실험항목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B형 젤라틴을 포함하며 LMA 펙틴 함량이 6 중량%인 2-5-B는 겔 매스의 높은 점도로 인하여 캡슐 접합부위가 매끄럽지 못하며, 접합이 양호하지 않아 건조 중 누액 손실이 가장 많았다. 건조 완료 후 2-5-B의 접합비율은 다소 낮은 수준의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누액시험에서 300캡슐 중 4캡슐의 누액이 발생되어 캡슐 밀봉(접착)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반면 2-1-A, 2-2-A, 2-3-A, 2-4-A 및 2-5-A는 접합비율 및 누액시험에서 양호한 결과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4-B 및 2-5-B는 건조속도가 빠르고, 높은 경도로 인해 캡슐이 딱딱해져 냉장 보관시 깨짐의 문제가 발생함을 발견하여 성형 및 제품실험항목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가로, 제품화가 불가능한 2-5-B를 제외한 나머지 장용성 연질캡슐에 대하여 일정한 보관조건하에서 안정성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표 8에 기재하였다. 구체적으로, 보관조건을 실온과 가속으로 구분하였고 가속시험은 단기간에 저장온도를 상승시켜 화학적, 생화학적, 물리학적 반응의 증가된 변화율을 통해 유통기간 내 일어날수 있는 변화를 예측하는 시험이다.
실온조건은 25℃, 65%RH, 가속조건은 40℃, 75%RH 으로 각각의 보관조건하에서 6개월간 안정성 비교 시험을 진행하였다.
Figure pat00008
**제품 항목 평가: ○(적합), △(보통), X(부적합)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A형 젤라틴을 포함하며 LMA 펙틴 함량이 2 내지 6%중량 인 2-1-A, 2-2-A, 2-3-A, 2-4-A 및 2-5-A는 실온 보관조건에서 6개월간 안정성 시험에서 성상 및 붕해 항목이 모두 적합하였으나, LMA 펙틴 함량이 2 내지 3 중량%인 2-1-A 및 2-2-A는 가속조건 3개월부터 붕해 부적합이 나타났고, 4 중량%인 2-3-A는 가속조건 6개월에서 붕해 부적합이 나타났다.
A형 젤라틴을 포함하며 LMA 펙틴 함량이 6 중량%인 2-5-A는 붕해결과는 적합하나 캡슐끼리 붙는 성상 변화가 나타났다. 반면, B형 젤라틴을 포함하며, LMA 펙틴 함량이 5 중량%인 2-4-B는 가속조건 3개월부터 캡슐끼리 붙는 성상 변화가 나타났고, 가속조건 6개월에서는 붕해 부적합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LMA)의 함량이 각각 4.5 중량% 및 5.5 중량%인 겔 매스로 연질캡슐을 시생산하여, 제품실험 항목 및 장기 안정성에 대한 추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A형 젤라틴을 포함하며 LMA 펙틴 함량이 각각 4.5 중량% 및 5.5 중량%인 4.5%-A와 5.5%-A는 공정 적합성 및 품질 평가 항목이 모두 우수하였고, 장용성 특성 또한 만족하였다. 4.5%-A와 5.5%-A는 LMA 펙틴 함량이 6 중량%인 2-5-A에서 높은 경도로 인해 냉장 보관 시 발생하는 깨짐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양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09
추가로, 일정한 보관조건하에서 안정성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표 10에 기재하였다. 실온조건은 25℃, 65%RH, 가속조건은 40℃, 75%RH 으로 각각의 보관조건하에서 6개월간 안정성 비교 시험을 진행하였다.
Figure pat00010
**제품 항목 평가: ○(적합), △(보통), X(부적합)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A형 젤라틴을 포함하며 LMA 펙틴 함량이 4.5 및 5.5중량%인 4.5%-A, 5.5%-A는 실온 및 가속 보관조건에서 6개월간 안정성 시험에서 성상 및 붕해 항목이 모두 적합하였다.
LMA 펙틴 함량이 4.5 중량%인 4.5%-A는, 가속조건 6개월에서 LMA 펙틴 함량이 4 중량%인 2-3-A의 경우 나타나는 붕해 부적합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LMA 펙틴 함량이 5.5 중량%인 5.5%-A는 LMA 펙틴 함량이 6 중량%인 2-5-A와 비교하여, 가속 3개월부터 캡슐끼리 서로 붙는 성상 변화가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종합하여 성형 적합성, 제품실험 항목 및 장기 안정성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11에 기재하였다.
Figure pat00011
**제품 항목 평가: ○(적합), △(보통), X(부적합)
이상의 결과를 통해, 장기 안정성 시험에서 매우 안정한 것으로 평가된 4.5%-A, 2-4-A 및 5.5%-A (4.5 중량% 내지 5.5 중량% LMA, A형 젤라틴 및 금속염 미포함)가 장용성 특성 및 외관이 투명한 캡슐 성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우수한 품질의 장용성 연질캡슐을 제공하는데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조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9)

  1. 4 중량% 초과 6 중량% 미만의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Low methoxyl amidated pectin); 25 내지 40 중량%의 젤라틴; 10 내지 20 중량%의 가소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은 4.5 중량% 내지 5.5 중량%로 포함되는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의 에스테르화도는 20 내지 40%이고, 아미드화는 10 내지 30%인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젤라틴은 타입 A 젤라틴인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글리세린, 농글리세린, 소르비톨, 말티톨,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글리시톨시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1가 양이온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는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2가 양이온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는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로 제조된 장용성 연질캡슐.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연질캡슐 조성물을 이용한 장용성 연질캡슐의 제조방법.
KR1020170143859A 2017-07-17 2017-10-31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장용성 연질캡슐 KR102006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410 2017-07-17
KR20170090410 2017-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795A true KR20190008795A (ko) 2019-01-25
KR102006407B1 KR102006407B1 (ko) 2019-08-01

Family

ID=6528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859A KR102006407B1 (ko) 2017-07-17 2017-10-31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장용성 연질캡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4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658B1 (ko) * 2020-05-26 2021-07-05 주식회사 서흥 장용성 하드 젤라틴 캡슐의 제조방법
KR20220111519A (ko) *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서흥 장용성 연질캡슐용 피막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용성 연질캡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522A (ko) 2022-06-21 2023-12-28 우리바이오 주식회사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459B1 (ko) * 2015-02-02 2016-03-31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장용성 연질캡슐용 피막매스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459B1 (ko) * 2015-02-02 2016-03-31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장용성 연질캡슐용 피막매스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658B1 (ko) * 2020-05-26 2021-07-05 주식회사 서흥 장용성 하드 젤라틴 캡슐의 제조방법
KR20220111519A (ko) *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서흥 장용성 연질캡슐용 피막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용성 연질캡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407B1 (ko)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0741B2 (ja) ゼラチンフリーのソフトカプセル製造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US9456991B2 (en) Gelatin/alginate delayed release capsules comprising omega-3 fatty acids, and methods and uses thereof
KR102006407B1 (ko)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장용성 연질캡슐
CA2808610C (en) Process of manufacturing a stable softgel capsule containing microencapsulated probiotic bacteria
KR101862091B1 (ko)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
KR101917334B1 (ko) 장용성 심리스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
KR20150020985A (ko) 츄어블 연질 캡슐 쉘 및 츄어블 연질 캡슐
US10493036B2 (en) Enteric capsule
EP3177301B1 (en) An improved process for producing a soft gel capsule comprising viable probiotic bacteria and a soft gel capsule comprising viable probiotic bacteria having a long shelf life
KR101607459B1 (ko) 장용성 연질캡슐용 피막매스 조성물
KR20230129965A (ko) 장용성 연질캡슐제용 유산균 복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기능성 장용성 연질캡슐제
KR20240002971A (ko) 제제학적으로 제조안정성과 품질안정성이 향상된 장용캡슐
KR102427282B1 (ko) 산화안정성이 우수한 장용성 연질캡슐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장용성 연질캡슐
AU2022333645A1 (en) A softgel capsule composition, and a process for producing a softgel capsule therefrom
KR20240031592A (ko) Hpmcp를 포함하는 장용성 연질캡슐용 피막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용성 연질캡슐
NZ73033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enteric seamless soft caps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