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522A -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522A
KR20230174522A KR1020220075561A KR20220075561A KR20230174522A KR 20230174522 A KR20230174522 A KR 20230174522A KR 1020220075561 A KR1020220075561 A KR 1020220075561A KR 20220075561 A KR20220075561 A KR 20220075561A KR 20230174522 A KR20230174522 A KR 20230174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nteric
gel mass
mass composition
soft caps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헌
임동일
양광욱
강창재
한재호
Original Assignee
우리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5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4522A/ko
Publication of KR20230174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52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A61K9/4825Proteins, e.g. gelat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은 젤라틴 30 내지 45중량%, 가소제 10 내지 30중량%, 아미드화 펙틴 1중량% 초과 4중량% 미만, 젤란검 0.01 내지 1중량% 및 물 30 내지 50중량%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Gel mass composition for enteric soft capsule}
본 발명은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공성이 매우 우수하여 불량률을 줄이면서 용이한 연질 캡슐 제조를 가능하게 하며, 4중량% 미만의 매우 적은 양의 펙틴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매우 우수한 장용성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장용성 캡슐은 위가 아닌 장에서 붕해하도록 만들어진 제형으로서, 일반적으로 연질 피막에 장용성 성분이 코팅된 형태와 연질 피막에 장용성 성분이 첨가된 형태의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 이 중 후자의 형태가 상용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장용성 연질 캡슐은 위산에 취약한 성분을 위산으로부터 보호하고 장에서 직접 흡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흡수율과 생체 이용율을 높일 수 있으며, 위를 자극하는 성분으로부터 위를 보호함으로써 위장장애를 개선할 수 있고, 악취 및 역류취를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조제 방법이 까다롭고 제조 원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피막에 장용성 성분을 코팅하는 방식의 경우 별도의 코팅 공정이 필요하여 추가 설비가 필요하며, 연질 캡슐 건조 후 별도의 장용성 코팅 공정을 거쳐 제조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연질 캡슐의 장점인 반짝이고 투명한 외형이 장용성 코팅으로 인해 반투명하게 되어 시각적인 이미지가 상실되는 문제가 있다.
아미드화 펙틴(amidated pectin)은 주로 감귤류 또는 사과 등을 열수 또는 산성 수용액 등으로 추출하여 얻은 펙틴을 알칼리 조건에서 암모니아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정제된 탄수화물의 중합체로서 펙틴 사슬의 주요 부분은 D-갈락투론산 단위의 α-1,4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르복실기의 일부는 메틸에스테르화 및 아미드화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유리산 또는 암모늄, 칼륨, 나트륨염으로 존재한다. 아미드화 펙틴은 산성조건에서 안정적이며, 중성 또는 약 알카리 조건에서 불안정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특성을 이용하면 인간의 소화 기관인 위(pH 1 ~ 2의 강산성 환경)에서 반응하지 않고, 장(pH 약 6.8의 환경)에서 붕해되는 장용성의 기능을 가진 연질 캡슐을 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아미드화 펙틴을 피막에 포함시켜 장용성 연질 캡슐을 제조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아미드화 펙틴의 특성을 활용하여 캡슐 피막의 장용성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아미드화 펙틴의 함량이 높아야 하는데, 아미드화 펙틴의 함량이 높아지게 되면 점도가 높아지는 등 가공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나트륨염과 같은 양이온 금속염을 추가하여 펙틴의 용해성을 개선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나트륨의 과다 섭취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등, 양이온 금속염의 섭취로 인한 문제 또한 존재하기 때문에 이 또한 해결해야할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2006407호에 4중량% 초과 6중량% 미만의 저메톡실아미드화펙틴(low methoxyl amidated pectin); 25 내지 40중량%의 젤라틴; 10 내지 20중량%의 가소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4중량%를 초과하는 아미드화 펙틴이 사용되기 때문에, 여전히 가공성에서의 문제 및 이에 따른 불량률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아미드화 펙틴의 사용량을 더욱 줄이면서도 우수한 장용성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06407호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아미드화 펙틴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예를 들어 4중량% 미만으로 낮추면서도, 우수한 장용성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겔 매스 조성물로 형성되어 우수한 장용성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장용성 연질 캡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겔 매스 조성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본 발명은 젤라틴 30 내지 45중량%, 가소제 10 내지 30중량%, 아미드화 펙틴 1중량% 초과 4중량% 미만, 젤란검 0.01 내지 1중량% 및 물 30 내지 50중량%를 포함하는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로 형성된 장용성 연질 캡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젤라틴, 가소제, 아미드화 펙틴, 젤란검 및 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은 가공성이 매우 우수하여 불량률을 줄이면서 용이한 연질 캡슐 제조를 가능하게 하며, 4중량% 미만의 매우 적은 양의 펙틴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매우 우수한 장용성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로 성형한 필름의 표면을 비교예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A, 비교예 1의 겔 매스 조성물을 사용한 필름; B, 비교예 2의 겔 매스 조성물을 사용한 필름; C, 비교예 3의 겔 매스 조성물을 사용한 필름; 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을 사용한 필름.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은 젤라틴 30 내지 45중량%, 가소제 10 내지 30중량%, 아미드화 펙틴 1중량% 초과 4중량% 미만, 젤란검 0.01 내지 1중량% 및 물 30 내지 5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젤라틴은 소 또는 돼지의 가죽, 힘줄, 뼈, 연골 등으로부터 추출, 예를 들어 열수 추출 및/또는 정제하여 얻어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연질 캡슐 제조 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높은 본 발명의 기대 효과, 예를 들어 연질 캡슐 제조 시의 가공성 향상 및/또는 장용성 특성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돈피로부터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중 젤라틴은, 본 발명의 기대 효과, 예를 들어 연질 캡슐 제조 시의 가공성 향상 및/또는 장용성 특성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44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2 내지 43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3 내지 42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4 내지 41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0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6 내지 39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38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가소제는 글리세린, 솔비톨, 이소말트, 말티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만니톨, 다이글리세린,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연질 캡슐 제조 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높은 본 발명의 기대 효과, 예를 들어 연질 캡슐 제조 시의 가공성 향상 및/또는 장용성 특성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과 솔비톨의 조합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가소제는 5 : 1 내지 100 : 1중량비의 글리세린과 솔비톨의 조합으로,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대 효과를 위해, 가소제의 글리세린과 솔비톨의 중량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 내지 50 : 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1 내지 30 : 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 1 내지 24 : 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9 : 1 내지 23 : 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1 내지 22 : 1이다.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중 가소제는, 본 발명의 기대 효과, 예를 들어 연질 캡슐 제조 시의 가공성 향상 및/또는 장용성 특성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28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6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24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22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8중량%이다.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중 글리세린은, 본 발명의 기대 효과, 예를 들어 연질 캡슐 제조 시의 가공성 향상 및/또는 장용성 특성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22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1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20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9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8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7중량%이다.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중 솔비톨은, 본 발명의 기대 효과, 예를 들어 연질 캡슐 제조 시의 가공성 향상 및/또는 장용성 특성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3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2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1.1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0.9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0.8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아미드화 펙틴의 아미드화는 10 내지 30%, 12 내지 28% 또는 15 내지 27%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장용성 연질 캡슐 제조 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아미드화 펙틴의 아미드화 정도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높은 본 발명의 기대 효과, 예를 들어 연질 캡슐 제조 시의 가공성 향상 및/또는 장용성 특성 향상을 위해, 아미드화 펙틴의 아미드화는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5%이다.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중 아미드화 펙틴은, 본 발명의 기대 효과, 예를 들어 연질 캡슐 제조 시의 가공성 향상 및/또는 장용성 특성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초과 4중량%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초과 4중량%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 초과 4중량% 미만이다.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중 젤란검은, 본 발명의 기대 효과, 예를 들어 연질 캡슐 제조 시의 가공성 향상 및/또는 장용성 특성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7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6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5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4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 내지 0.3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 내지 0.2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0.15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9 내지 0.11중량%이다. 특히 젤란검을 과량 적용할 경우 캡슐이 장에서 녹지 않고 그대로 변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중 아미드화 펙틴 : 젤란검의 중량비는, 본 발명의 기대 효과, 예를 들어 연질 캡슐 제조 시의 가공성 향상 및/또는 장용성 특성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5 : 1 내지 100 : 1중량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 내지 80 : 1중량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1 내지 70 : 1중량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1 내지 50 : 1중량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1 내지 45 : 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7 : 1 내지 41 : 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8 : 1 내지 40 : 1이다.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중 솔비톨 : 젤란검의 중량비는, 본 발명의 기대 효과, 예를 들어 연질 캡슐 제조 시의 가공성 향상 및/또는 장용성 특성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3 : 1 내지 12 : 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 내지 10 : 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1 내지 8 : 1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은, 상기 각 성분의 비율을 유지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젤라틴, 솔비톨, 글리세린, 아미드화 펙틴, 젤란검 및 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은 양이온 금속염, 예를 들어 1가 양이온 금속염 또는 2가 양이온 금속염,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을 0.01중량% 이하, 0.001중량% 이하, 0.0001중량% 이하 또는 0.00001중량% 이하로 포함하거나,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은 젤라틴, 솔비톨, 글리세린, 아미드화 펙틴, 젤란검 및 물 만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로 형성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충진 물질; 및 장용성 연질 캡슐 피막을 포함하며, 상기 장용성 연질 캡슐 피막은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은 pH 1.2의 조건에서 적어도 2시간 동안 내용물(충진 물질)을 용출하지 않는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은 pH 6.8의 조건에서 1시간 이내에 내용물(충진 물질)을 용출하여 잔여물이 없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내용물, 즉 충진 물질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물 또는 체내에서 생리학적인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유효 성분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약학적으로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물질이라면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젤라틴, 가소제, 아미드화 펙틴, 젤란검 및 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대 효과, 예를 들어 우수한 가공성 및 장용성 특성을 나타내는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하기 위해, 혼합을 75 내지 85℃에서 교반하는 방법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효과를 위해 보다 바람직하게는 78 내지 82℃에서 교반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9 내지 81℃에서 교반한다. 이때 혼합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2시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시간 30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시간 이상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5시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시간 이하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1)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아래 표 1의 배합비율에 따라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멜팅탱크에 정제수, 젤라틴, 솔비톨, 글리세린, 펙틴 및 젤란검을 투입하고, 80℃까지 승온시킨 후 약 2시간 30분 또는 3시간 동안 가온 및 교반(30rpm)하였다. 이후 약 7분 동안의 진공 처리로 탈포하였다.
원료명 사용량(kg) 배합비율(%)
정제수 33 41.38
젤라틴(돈피) 30 37.62
솔비톨 0.6 0.75
글리세린 12.9 16.17
펙틴(cPkelco, SPL) 3.17 3.97
젤란검 0.083 0.10
합계 79.75 100
(2) 겔 매스 조성물을 사용한 연질 캡슐 제조
상기 (1)의 겔 매스 조성물을 사용하여 아래 표 2의 성형 조건에 따라 연질 캡슐을 제조하였다.
이때 내용물(충전 물질)로는 오메가-3 오일을 사용하였다.
성형 조건(500㎎, 12 OVAL)
피막탱크온도(℃, 보관온도) 피막탱크온도(℃, 성형당일) 웨찌 온도(℃) 드럼 온도(℃) 스프레더 온도(℃, 좌/우)
70 70 ~ 75 35.8 ~ 37.5 19 ~ 25 65 ~ 75 65 ~ 75
머신(RPM) 드럼(RPM, 좌/우) 망글(Hz) 다이롤(Hz, 좌/우)
2.0 ~ 2.5 0.53 ~ 0.71 0.51 ~ 0.66 5.43 ~ 11.07 3.7 ~ 6 3.7 ~ 6
텀블러 속도(RPM, 1단~6단)
2 2 3 4 5 6
펙틴 등이 충분히 녹아 조성물의 여과 시 잔여 펙틴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캡슐로 제조하면서 어떠한 문제도 발생하지 않았다.
비교예 1 내지 4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되, 아래 표 3의 배합비율에 따르고, 약 95℃로 가온 및 교반하여 겔 매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의 경우, 기름을 열 매개체로 사용하였다.
원료명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정제수 36.4% 36.4% 45.7% 39.0%
젤라틴(우피) 40.5% 40.5% 30.0% 35.0%
솔비톨 4.0% 3.7% - 3.0%
글리세린 13.5% 13.5% 14.0% 19.0%
펙틴(cpkelco, SPL) 5.6% 5.6% 10.0% 3.9%
염화칼슘 0.005% 0.30% 0.3% 0.10%
합계 100.005% 100.000% 100.000% 100.000%
상기 비교예 1 내지 3의 조성물 모두 펙틴이 충분히 융해되지 않아 백탁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점성이 강하여 피막을 펼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비교예 3의 경우 건조 후 쉽게 부서지고 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비교예 4의 경우, 펙틴의 녹는 정도가 나아졌으나, 고온으로 인한 갈변이 발생하며, 벽면에 겔 매스가 많이 묻어나며, 점성이 강한 문제가 있었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되, 아래 표 4의 배합비율에 따라 겔 매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배합비율(%)
정제수 36.47
젤라틴(우피) 40.53
솔비톨 2.03
글리세린 16.21
펙틴(cpkelco, SPL) 4.76
합계 100
상기 비교예 5의 조성물 제조 시, 점도가 매우 높아 본격적인 생산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비교예 6 내지 11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되, 아래 표 5의 배합비율에 따라 겔 매스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 조성물을 사용하여 연질 캡슐을 제조하였다. 이때, 비교예 6은 약 80℃로 30분 동안 가온 및 교반하다가 약 85℃로 1시간 30분 동안 가온 및 교반하였으며, 12분 이상 진공 처리하였다. 비교예 7 내지 9는 약 80℃로 30분 동안 가온 및 교반하다가 약 85℃로 1시간 50분 동안 가온 및 교반하였으며, 10분 동안 진공 처리하였다. 비교예 10은 약 80℃로 3시간 40분 동안 가온 및 교반하였으며, 8분 동안 진공 처리하였다.
원료명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정제수 49.21% 49.21% 49.21% 48.97% 37.96% 41.42%
젤라틴(우피) 31.75% 31.75% 31.75% 31.60% 35.59% 37.66%
솔비톨 1.59% 1.59% 0.63% 0.63% 3.05% 0.75%
글리세린 12.70% 12.70% 13.65% 13.59% 19.32% 16.19%
펙틴(cpkelco, SPL) 4.76% 4.76% 4.76% 5.21% 4.07% 3.98%
염화칼슘 0.01%
합계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비교예 6 및 7의 경우, 피막 조제 후 겔 매스가 뻑뻑하고, 펙틴이 충분히 녹지 않아 피막 시트에 덩어리가 보이며, 판건조 완료 후 캡슐이 매우 딱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비교예 8의 경우, 펙틴이 충분히 녹지 않으며, 점성이 강하고 흐름성이 좋지 않으며, 성형 시 피막 시트에 덩어리가 보이고, 텀블러 및 판건조 공정에서 누액이 다수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비교예 10의 경우, 피막 탱크, 피막 호스 및 시트면에 기포가 많이 보이고, 피막 시트를 당겼을 때 잘 끊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비교예 6, 8, 9, 10 및 11)의 조성물로 제조된 연질 캡슐의 pH 1.2의 환경에서의 안정성 및 pH 6.8의 환경에서의 빠른 붕해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식품공전의 붕해시험법(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3.jsp?idx=273)에 따랐으며, 구체적인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장비: DISINTEGRATION TESTER(붕해도 시험기)(제조사: KUKJE ENGINEERING CO, 국제 엔지니어링).
(1) pH 1.2의 환경에서의 안정성 평가
시험액으로 제1액(pH 1.2)을 써서 상하운동을 시킨 다음 관찰할 때 6개 중 붕해, 장용성 피막의 개구, 박리 또는 파손 등으로 내용물의 방출이 있는 것이 1개 이하일 때에는 제1액 시험에 적합한 것으로 하고 2개일 때에는 새로 검체 6개를 가지고 이 시험을 되풀이한다.
이때 6개 전부에 대하여 앞에서 말한 이상이 없을 때에는 적합한 것으로 한다.
(2) pH 6.8의 환경에서의 빠른 붕해성 평가
시험기를 조용히 올린 다음 온도 및 액량을 조절한 비커 속의 제2액(pH 6.8)에 담그고 보조판을 넣고 60분간 상하운동을 시킨 다음 관찰할 때 검체의 잔류물이 유리관 내에 없든가 있더라도 해면상의 물질이든가 또는 연질의 물질이 약간 있을 때에는 적합한 것으로 한다.
평가 결과, 비교예 6의 경우, pH 1.2의 환경에서 24분 32초 경에 접합 부위에서 누액이 발생하였으며, 비교예 8의 경우, 7분 42초 경에 캡슐이 수축하여 16분 29초 경에 용출이 시작되었으며, 비교예 9의 경우, 7분 30초 경에 캡슐이 수축하여 16분 40초 경에 용출이 시작되었으며, 비교예 10의 경우, 10분 20초 경에 캡슐의 변형이 시작되어 1시간 3분 경에 캡슐이 완전히 절개되었으며, 비교예 11의 경우 10분 50초 경에 캡슐 변형이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시예 1의 경우, pH 1.2의 환경에서 2시간 동안 누액 발생없이 유지하였으며, pH 6.8의 환경에서 3분 경 내용액을 용출하기 시작하여 9분 경 내용액이 완전히 용출되고 피막이 완전히 용해되어, 장 환경에서의 매우 우수한 붕해성 또한 나타냈다.

Claims (15)

  1. 젤라틴 30 내지 45중량%, 가소제 10 내지 30중량%, 아미드화 펙틴 1중량% 초과 4중량% 미만, 젤란검 0.01 내지 1중량% 및 물 30 내지 50중량%를 포함하는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글리세린 및 솔비톨인 것인,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과 솔비톨의 중량비는 5 : 1 내지 100 : 1인 것인,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과 솔비톨의 중량비는 10 : 1 내지 50 : 1인 것인,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드화 펙틴과 젤란검의 중량비는 5 : 1 내지 100 : 1중량비인 것인,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드화 펙틴과 젤란검의 중량비는 10 : 1 내지 80 : 1중량비인 것인,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솔비톨과 젤란검의 중량비는 3 : 1 내지 12 : 1중량비인 것인,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솔비톨과 젤란검의 중량비는 5 : 1 내지 10 : 1중량비인 것인,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양이온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는,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젤라틴, 가소제, 아미드화 펙틴, 젤란검 및 물 만으로 이루어지는,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로 형성된 장용성 연질 캡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용성 연질 캡슐은 pH 1.2의 조건에서 적어도 2시간 동안 내용물을 용출하지 않는, 장용성 연질 캡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용성 연질 캡슐은 pH 6.8의 조건에서 1시간 이내에 내용물을 용출하기 시작하여 잔류물이 없는, 장용성 연질 캡슐.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젤라틴, 가소제, 아미드화 펙틴, 젤란검 및 물을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은 75 내지 85℃에서 수행하는 것인,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제조 방법.
KR1020220075561A 2022-06-21 2022-06-21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KR20230174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561A KR20230174522A (ko) 2022-06-21 2022-06-21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561A KR20230174522A (ko) 2022-06-21 2022-06-21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522A true KR20230174522A (ko) 2023-12-28

Family

ID=89385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561A KR20230174522A (ko) 2022-06-21 2022-06-21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452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407B1 (ko) 2017-07-17 2019-08-01 (주)알피바이오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장용성 연질캡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407B1 (ko) 2017-07-17 2019-08-01 (주)알피바이오 장용성 연질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장용성 연질캡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204B1 (ko) 장용성 경질 캡슐용 수성 조성물, 장용성 경질 캡슐의 제조방법 및 장용성 경질 캡슐
DE60124563T2 (de) Filmbildende zusammensetzungen aus pektin
JP3990741B2 (ja) ゼラチンフリーのソフトカプセル製造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JP4294862B2 (ja) ゼラチン組成物
JP4975903B2 (ja) 変性デンプン膜組成物
KR101182827B1 (ko) 장용성 경질 캡슐의 제조방법 및 장용성 경질 캡슐
EP1057862B1 (en) Polymer film compositions for capsules
JP3996346B2 (ja) 軟または硬カプセル製造用の、透明または不透明、水性、粘性組成物及びこのようなカプセル用のフィルム製造方法
JP2003505565A (ja) プルラン膜組成物
JPWO2006082842A1 (ja) 溶解性が改善された硬カプセル
US10493036B2 (en) Enteric capsule
TWI539976B (zh) 腸溶硬膠囊之組合物與使用此組合物所得之腸溶硬膠囊
JPH0427352A (ja) 健康食品用腸溶性軟カプセル
CN101708171B (zh) 一种肠溶植物空心胶囊
Prajapati et al. Locust bean gum-derived hydrogels
KR101675438B1 (ko) 연질 캡슐 외피 제조용 조성물
KR20230174522A (ko) 장용성 연질 캡슐용 겔 매스 조성물
MX2008005323A (es) Agente de recubrimiento.
JP2001008634A (ja) 可溶性高分子化ゼラチン、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溶解性調整方法
KR20170047714A (ko) 안토시아닌 및 키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곤약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102427282B1 (ko) 산화안정성이 우수한 장용성 연질캡슐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장용성 연질캡슐
CN112386583A (zh) 一种基于改性明胶的软胶囊壳的制作方法
KR102551570B1 (ko) 장용성 연질캡슐용 피막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용성 연질캡슐
CN101185760A (zh) 一种软胶囊囊材配方
WO2021145296A1 (ja) セルロース誘導体を基剤とする機械的強度および酸素透過性が改善された硬カプセ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