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788A - 안과용 절개 장치 - Google Patents

안과용 절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788A
KR20190008788A KR1020170105584A KR20170105584A KR20190008788A KR 20190008788 A KR20190008788 A KR 20190008788A KR 1020170105584 A KR1020170105584 A KR 1020170105584A KR 20170105584 A KR20170105584 A KR 20170105584A KR 20190008788 A KR20190008788 A KR 20190008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sion
guide
module
path
fix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2033B1 (ko
Inventor
하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랩
Publication of KR20190008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36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52Guides for cutting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과용 절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가이드 경로가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를 인체 조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모듈을 포함하는 가이드부, 그리고, 조직을 절개하기 위한 절개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조직을 절개하는 안과용 절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절개부가 고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원형으로 전낭을 절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시술사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원형으로 전낭 절개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안과용 절개 장치 {OPHTHALMIC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안과용 절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절개 도구를 이용하여 수정체의 전낭을 절개할 수 있는 안과용 절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백내장(cataract)은 눈의 수정체(crystallin lens)(도 1의 c)가 혼탁해지면서 시력이 쇠퇴하는 질환이다. 수정체의 가장자리만 혼탁해지는 경우에는 시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수정체의 핵 부위가 혼탁해지는 경우에는 시력 감소, 복시, 눈부심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백내장의 치료는 주로 혼탁한 수정체를 제거하고 인공 수정체(intraocular lens)로 대체하는 수술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백내장 수술은 안과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수술 중 하나이다.
종전의 백내장 수술은 칼을 이용하여 각막(cornea)을 절개하고(도 1의 a, 도 2의 P3 참조), 절개된 부위를 통해 수정체의 전낭(anterior chamber)을 원형으로 절개한 후(도 1의 b, 도 2의 P1 참조), 초음파를 이용하여 수정체 핵을 잘게 분쇄하고 이를 외부로 흡입(aspiration) 추출하고, 수정체의 핵이 위치하던 부위에 인공 수정체(intraocular lens)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백내장 수술 방식은 한국 특허공개공보 1990-0015698호에도 유사하게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백내장 수술의 단계 중 수정체의 전낭을 절개는 단계는 각막의 좁은 절개 부위로 절개 장치를 삽입하여 전낭을 원형으로 절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전낭을 적합한 반경을 갖는 원형으로 절개하는 것이 수술 후 환자의 시력 복원에 매우 결정적이다. 다만, 이러한 단계는 제한된 영역에서 진행되므로 정확한 원형으로 전낭을 절개하는 것은 매우 난이도가 요구되는 시술로, 수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수술 결과가 현저하게 차이가 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의 장치를 이용하여 시술자의 숙련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원하는 사이즈로 원형 전낭 절개를 수행할 수 있는 안과용 절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 및 상기 몸체를 수정체 전낭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전낭을 절개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안과용 절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가이드부는 몸체 내부에 가이드 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전낭을 절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의 상기 가이드 경로는 원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전낭을 원형으로 절개할 수 있다. 여기서, 절개부는 상기 가이드 경로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연성 샤프트 및 상기 연성 샤프트의 단부에 구비되는 절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의 상기 몸체는 각막의 절개 위치를 통해 안구의 전실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접힘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가 상기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몸체는 전부 또는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구성된다.
가이드부의 몸체는 상기 전낭과 접촉하는 하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몸체의 하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전낭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하측면에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절개부가 상기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몸체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하측에 복수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상측면을 가압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상기 몸체의 하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부의 몸체는 상기 절개부가 상기 가이드 경로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경로와 연통하는 진입 경로를 구비하는 진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가이드 경로는 곡선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진입부의 진입 경로는 상기 절개부가 삽입되는 일단의 적어도 일부 구간이 직선 경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낭과 접촉하는 상기 가이드부의 몸체 하측면에는, 상기 절개부의 절개 모듈이 노출되어 상기 전낭을 절개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경로를 따라 형성된 슬릿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 경로는 상기 몸체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리세스 구조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절개부의 절개 모듈은 상기 가이드부의 몸체 하측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절개부의 단부는 상기 절개 모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개모듈은 상기 절개모듈에 연결된 와이어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가이드부 몸체의 하측면으로 돌출되게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고정 모듈은 상기 몸체의 하측 중심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가 상기 고정 모듈을 축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절개부가 이동하여 상기 전낭을 절개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고정모듈 또는 상기 절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가이드 경로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를 조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모듈 및 상기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몸체와 접촉되는 조직의 표면을 절개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수술용 절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절개부가 고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원형으로 전낭을 절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시술사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원형으로 전낭 절개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전반적인 백내장 수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수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안구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백내장 수술시 절개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절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절개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3의 절개모듈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3의 절개모듈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3의 절개부가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술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도 9에서 가이드부 삽입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9에서 가이드부 고정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9에서 절개부 삽입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9에서 절개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절개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고정 모듈이 가이드부 몸체의 하측에 상시적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절개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절개장치의 가이드부 및 고정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절개장치의 가이드부 및 절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절개장치의 가이드부 및 절개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절개 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각 구성요소의 위치관계는 원칙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명의 구조를 단순화하거나 필요할 경우 과장하여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도 각종 장치를 부가하거나, 변경 또는 생략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절개 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과용 절개 장치의 일 예로서 백내장 수술 중 전낭을 원형 절개하기 위한 절개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과 수술을 비롯한 각종 수술 과정에서 체내 조직에 고정된 상태에서 조직 표면을 절개하는 다양한 수술용 절개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절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절개 장치는 가이드부(100) 및 절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가이드부(100)는 전낭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전낭 절개시 절개부(200)가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절개부(200)는 조직을 절개할 수 있는 절개 모듈(2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가이드부(1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전낭을 절개하는 구성이다.
도 4는 도 3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의 a는 가이드부(100)의 상측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의 b는 가이드부(100)의 하측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00)는 몸체(110) 및 고정 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10)는 가이드부(100)의 골격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몸체(110)는 접힘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합성 수지와 같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시, 가이드부(100)는 접혀진 상태로 각막의 좁은 절개 부위를 통해 안구의 전실(anterior chamber)에 삽입되어 수정체의 전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는 시술 중 절개가 이루어지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부 또는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110)는 절개부(20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경로(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절개 장치는 수정체의 전낭을 원형을 절개하기 위한 장치이므로, 가이드 경로(120)는 몸체(110)의 내측 또는 일측면에 원형 경로를 갖도록 형성된다. 다만, 이는 일 예이며, 절개하고자 하는 형상에 따라, 몸체 및 가이드 경로의 구조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100)의 몸체(110)는 원형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된다. 이 중, 몸체(110)의 하측면은 시술시 전낭과 접촉하는 면을 형성하고, 몸체(110)의 상측면은 시술시 안구의 외측 방향(각막 방향)을 향할 수 있다. 가이드 경로(120)는 원형 플레이트 구조를 갖는 몸체의 가장자리 방향을 따라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경로(120)는 몸체의 내측에 튜브 형태로 구비된다. 다만, 절개부(200)가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절개 모듈(220)이 노출될 수 있는 슬릿(111)이 몸체의 하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경로가 몸체의 내측에 형성되는 구조이나, 몸체의 하측면에 형성된 홈과 같은 리세스 구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이외에도 절개부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몸체(110)는 절개부(200)가 가이드 경로(120)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입부(140)는 내부에 중공으로 구성된 진입 경로(141)를 포함하며, 진입 경로(141)의 일단은 절개부(200)가 진입하는 입구를 형성하며, 진입 경로의 타단은 가이드 경로(120)와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진입부(140)는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 플레이트 구조의 몸체 외각의 접선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진입부(140)의 진입 경로(141)는 절개부(200)가 입구를 통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입구 방향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직선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절개부(200)는 진입부(140)의 입구를 따라 직선 경로를 따라 삽입되면서 가이드 경로를 따라 원형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의 하면에는 고정 모듈(130)이 구비된다. 고정 모듈(130)은 시술중 가이드부(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본 실시예의 고정 모듈(130)은 가이드부 몸체(110)의 하면에 뾰족하게 돌출되는 돌기, 니들 또는 핀 구조로 구성되어, 수정체의 전낭에 삽입되어 몸체를 고정시킨다. 고정 모듈(130)은 절개부가 가이드 경로를 따라 진입하는 경우 몸체(110)가 회전하지 않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모듈(130)은 몸체의 하측면에 항시적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100)는 몸체(110) 및 고정 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고정 모듈에 의해 가이드부가 전낭에 고정된 상태로, 절개부(200)가 이동하는 가이드 경로(120)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절개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개부(200)는 연성 샤프트(210) 및 상기 연성 샤프트의 단부에 구비되는 절개 모듈(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성 샤프트(210)는 튜브 또는 코드 형태의 선형 부재로 구성된다. 연성 샤프트(210)는 각막을 절개된 위치로 삽입되어, 기 설치된 가이드부(100)의 진입 경로(141) 및 가이드 경로(1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연성 샤프트(210)의 기단측(posterior end part)을 밀면 가이드부의 진입 경로 및 가이드 경로를 따라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경도를 갖는 재질일 수 있다.
절개 모듈(220)은 연성 샤프트(210)의 선단(distal end)에 구비된다. 절개 모듈(220)은 일측이 칼날 부재로 구성되어, 절개부(200)가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수정체의 전낭을 절개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절개 모듈이 삼각형 형상의 칼날 부재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톱니 형상의 블레이드 구조로 절개 모듈을 구성하여 절개부가 이동하는 동안 블레이드가 회전하면서 전낭을 절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도 6 참조), 이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절개 모듈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절개 모듈(220)은 연성 샤프트(210)와 힌지(230)에 의해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절개 모듈이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도 3의 절개모듈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 샤프트(210)의 단부에는 리세스부(21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절개 모듈(220)은 리세스부 내측에 내장 설치되어 연성 샤프트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절개 모듈은 힌지(23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절개부는 절개 모듈을 회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와이어(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는 연성 샤프트의 내측 채널을 따라 타단까지 연장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절개 모듈의 일측을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와이어(240)가 사용자측으로 당겨지는 경우, 절개 모듈(220)은 리세스부(211)의 외측 방향(전낭과 접촉하는 가이드부 몸체의 하측면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연성 샤프트(21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리세스부의 일측에는 절개 모듈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212)가 형성되어, 절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형태로 절개 모듈(2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절개부를 각막의 절개 위치를 통해 삽입하거나, 가이드부의 진입부로 삽입하는 동안 절개 모듈에 의해 인접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절개부가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절개부(200)는 시술자에 의해 가이드부(100)의 진입부(140)를 통해 삽입되어 가이드 경로(1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절개부(200)의 절개 모듈(220)은 가이드부의 몸체(110) 하면에 형성되는 슬릿(111)으로 노출되며, 노출된 절개 모듈(220)에 의해 전낭 절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안과용 절개 장치를 이용한 수술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안과용 절개 장치를 이용한 전낭 절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각막의 일부를 절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 본 단계는 전낭 절개를 위한 절개 장치를 각막 내측으로 삽입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시야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막의 절개는 시축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진행하며, 절개 길이 또한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막 일부가 절개되면, 안과용 절개 장치의 가이드부(100)를 삽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 도 10 참조). 이 때, 가이드부(100)는 사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접혀진 상태로 삽입되며, 핀셋과 같은 별도의 도구(T1)에 의해 각막의 절개된 위치를 통과하여 수정체의 전낭과 인접한 위치까지 삽입된다. 사용자는 가이드부(100)가 각막 내측으로 삽입되면, 도구(T1)를 이용하여 접힌 가이드부(100)를 원래의 형상으로 펼칠 수 있다.
가이드부(100)가 수정체의 전낭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면, 가이드부(100)를 전낭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S30, 도 11 참조). 다만, 가이드부(100)의 고정 위치에 의해 전낭 절개 위치가 결정되므로, 가이드부(100)를 고정시키기에 앞서 가이드부의 중심이 시축과 인접한 위치에 일치하도록 정렬시킨 후, 가이드부의 몸체를 가압하여 고정 모듈(130)을 전낭의 중심에 삽입시킨다. 이에 의해, 가이드부(100)는 전낭에 고정 설치되며, 수평 방향의 힘 또는 회전 모멘트가 가해지더라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100)가 전낭에 고정되면, 사용자는 절개부(200)를 삽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0, 도 12참조). 절개부 삽입시 외측 삽입경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도구(T2)를 이용할 수 있다. 절개부(200)는 가이드부와 마찬가지로 각막의 절개 위치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며, 절개 모듈(220)이 위치한 연성 샤프트(210)의 선단부터 삽입된다. 이때, 절개 모듈에 각막 또는 전낭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개 모듈은 연성 샤프트의 선단(distal end)의 리세스부에 수용된 상태이거나, 별도의 커버 부재에 의해 덮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된 절개부는 연성 샤프트의 선단이 가이드부의 진입부를 통해 진입 경로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개부가 가이드부의 진입 경로에 위치하면, 사용자는 절개부를 이동시켜 절개 단계를 수행한다(S50, 도 13 참조). 사용자는 절개부의 연성 샤프트 기단측(posterior end part)을 밀면, 절개부의 선단은 가이드부의 가이드 경로를 따라 진행한다. 이때, 절개부(200)의 절개 모듈은 가이드 경로의 하측으로 형성된 슬릿(111)을 따라 가이드부(100) 외측으로 노출된다. 즉, 절개 모듈(220)은 이러한 원형으로 형성된 슬릿(1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낭(c)을 원형으로 절개할 수 있다.
다만, 이상에서는 사용자가 연성 샤프트를 미는 과정에서 절개가 이루어지도록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연성 샤프트의 단부를 가이드 경로의 끝까지 삽입시킨 상태에서 연성 샤프트를 다시 당기는 과정에서 전낭 절개가 이루어지도록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성 샤프트를 가이드 경로의 끝까지 삽입시킨 상태는, 연성 샤프트의 단부가 원주 형태의 가이드 경로를 한바퀴 돌아 진입부와 인접한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이다. 이때, 사용자는 절개부의 절개 모듈이 가이드부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가이드 경로를 따라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절개부의 단부가 가이드 경로 끝에 도달하면 절개 모듈을 가이드부 외측으로 노출시키고(예를 들어, 전술한 와이어 조작), 절개 모듈이 슬릿을 따라 노출된 상태에서 연성 샤프트를 당기게 되면 절개부가 가이드 경로를 따라 삽입된 경로의 역으로 이동하면서 절개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 과정에서 절개를 하는 것보다, 보다 강한 힘을 전달하여 절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전술한 단계를 통해, 원형 전낭 절개 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우선 절개부(200)를 외부로 빼내고, 이후 전낭에 고정된 가이드부(100)를 전낭에서 탈거한 후, 각막 외측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절개 장치를 이용하여 원형 전낭 절개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때, 안과용 절개 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부는 가이드 경로의 반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환자의 수정체 크기 및 병변을 고려하여 전낭의 절개 크기를 결정한 후, 해당 크기에 상응하는 종류의 가이드부를 이용하여 절개를 진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절개 장치는, 고정된 가이드 경로를 따라 절개 모듈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원형 전낭 절개가 가능하다. 따라서, 시술자의 숙련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전낭 절개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안과용 절개 장치는 가이드부와 절개부가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절개부는 가이드부와 일체 유닛을 구성하도록 하되, 절개부가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절개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변경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 실시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절개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고정 모듈이 가이드부 몸체의 하측에 상시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모듈(130)이 몸체(110)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를 각막의 절개 위치를 통해 시술 위치로 삽입하는 단계에서, 각막 등의 조직이 고정 모듈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내부에는 고정모듈(130)이 수용되는 수용부(1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수용부(112)의 하측,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의 하측면에는 고정모듈의 단부가 투과할 수 있는 막(114)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모듈(130)은 치료 위치까지 진입하는 동안 상기 수용부(112)에 수용되어 가이드부 하측으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 몸체의 상측면에는 커버부(113)가 형성되어, 수용부(112)의 상측 구조를 형성한다. 커버부(113)는 스펀지와 같은 탄성 재질 또는 연성 재질의 재료로 구성되어, 커버부(113)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수용부에 구비된 고정모듈의 헤드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모듈(130)은 헤드가 가압됨에 따라 하측의 핀이 막(114)을 투과하여 가이드부 하측면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이드부를 전낭의 절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가이드부 몸체(110)의 상측, 즉 커버부(113)를 가압하여 고정모듈(130)을 하측으로 돌출시켜 전낭에 삽입함으로써, 가이드부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 가압시 가이드부가 치료 위치에서 벗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부의 몸체 하면은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이러한 특징은 이하의 제3 내지 제6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절개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3 실시예 또한 고정모듈이 선택적으로 가이드부의 하측면으로 돌출되는 구성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 몸체의 상측에는 커버부(113)가 형성된다. 커버부(113)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폰지와 같이 탄성 재질 또는 연성 재질로 구성된다. 고정모듈(130)은 상부 구조를 구성하는 헤드가 커버부(113)의 상측에 노출되고,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핀은 커버부(113) 및 몸체(110) 내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커버부(113) 상측에 노출된 헤드를 가압하는 경우, 커버부가 헤드에 의해 함께 가압되면서 고정모듈(130)의 하단은 몸체 하측면으로 돌출된다. 이에 의해, 고정모듈(130)을 전낭에 삽입시켜 가이드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절개가 종료된 후 가이드부 또는 고정모듈의 헤드를 들어올리면, 고정모듈(130)의 하단이 전낭으로부터 이탈한다. 이때, 커버부(113)의 탄성에 의해 고정모듈의 헤드가 가압 이전의 위치로 회복하면서 고정모듈(130)의 하단이 다시 가이드부 몸체(1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절개가 이루어진 후에도 고정 모듈이 가이드부 하측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가이드부를 각막을 통해 제거하는 과정에서 조직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절개장치의 가이드부 및 고정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제4 실시예는 고정 모듈이 가이드부와 분리 가능하게 구성이다. 따라서, 가이드부(100)의 몸체를 절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모듈(130)을 몸체의 홀(115)을 통해 전낭까지 삽입되는 방식으로, 가이드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절개 작업이 종료되면 고정모듈을 먼저 탈거하여 각막 외측으로 제거한 후, 가이드부를 접은 상태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에서는 몸체에 고정 모듈을 삽입하기 위한 별도의 홀을 구비한 구조를 개시하였으나, 몸체(110)의 중심부를 고정 모듈이 투과할 수 있는 연성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홀 구조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서는 복수의 고정모듈을 각각 삽입하고 제거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하나의 헤드에 복수의 핀이 설치된 고정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고정모듈 설치 및 제거 과정을 용이하게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절개장치의 가이드부 및 절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는 고정 모듈이 전낭의 복수의 위치에 고정되어 가이드부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한 후, 절개부를 이동시켜 전낭을 절개하는 구성인 것에 비해, 본 실시예는 가이드부가 회전함에 따라 절개부가 이동하여 전낭을 절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의 몸체(110) 하측 중앙에는 하나의 고정모듈(130)이 구비된다. 따라서, 가이드부(100)는 외부로부터 모멘트가 가해지는 경우, 고정모듈(130)을 회전축으로하여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가이드부의 가장자리 하측에는 조직을 절개할 수 있는 절개부(200)가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절개 위치에 가이드부를 배치한 후 가압하면, 고정모듈(130)과 절개부(200)가 전낭에 삽입되면서 고정된다. 그리고, 가이드부 몸체(110)를 회전시켜 절개부(200)가 고정모듈(13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전낭을 원형으로 절개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를 회전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가이드부의 상면에는 리세스 구조를 같는 가압부(150)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샤프트 부재 등을 가압부(150)에 배치한 상태에서 힘을 가함으로써 가이드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절개장치의 가이드부 및 절개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이드부의 몸체(110)가 고정모듈(130)을 회전축으로 회전함에 따라 몸체 하면에 돌출되는 절개부(200)가 회전하면서 전낭을 원형으로 절개하는 구성이다.
다만, 본 실시예의 고정 모듈은 몸체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이 아니라, 도 16에 도시된 제4 실시예와 같이,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가이드부 몸체(110)가 전낭의 절개 위치에 배치되면, 사용자가 고정모듈(130)을 별도로 몸체(110)에 삽입시킴으로써 가이드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모듈 뿐만 아니라, 절개부(200) 또한 몸체부에 고정 설치되지 않고, 고정 모듈과 같이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모듈에 의해 가이드부의 위치가 고정되면 사용자가 절개부를 가이드부에 삽입 설치한 후, 이를 회전시켜 원형 전낭 절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절개 작업이 완료되면, 절개부(200)와 고정모듈(130)을 먼저 분리하여 제거한 후, 가이드부 몸체(110)를 안구 내측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할 경우, 안과용 절개 장치 삽입 및 제거시 각막 등의 조직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각각의 실시예의 일부 특징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로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일부 특징들을 생략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밝혀둔다.

Claims (20)

  1. 몸체 및 상기 몸체를 수정체 전낭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전낭을 절개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안과용 절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몸체 내부에 가이드 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전낭을 절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절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가이드 경로는 원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전낭을 원형으로 절개하는 안과용 절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가이드 경로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연성 샤프트 및 상기 연성 샤프트의 단부에 구비되는 절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과용 절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몸체는 각막의 절개 위치를 통해 안구의 전실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접힘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안과용 절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몸체는 상기 절개부가 상기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전부 또는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절개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몸체는 상기 전낭과 접촉하는 하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몸체의 하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절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전낭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하측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절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절개부가 상기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몸체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하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절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상측면을 가압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상기 몸체의 하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절개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가이드부의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절개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몸체는 상기 절개부가 상기 가이드 경로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경로와 연통하는 진입 경로를 구비하는 진입부를 더 포함하는 안과용 절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가이드 경로는 곡선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진입부의 진입 경로는 상기 절개부가 삽입되는 일단의 적어도 일부 구간이 직선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절개 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낭과 접촉하는 상기 가이드부의 몸체 하측면에는, 상기 절개부의 절개 모듈이 노출되어 상기 전낭을 절개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경로를 따라 형성된 슬릿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절개 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경로는 상기 몸체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리세스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절개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절개 모듈은 상기 가이드부의 몸체 하측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절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단부는 상기 절개 모듈을 수용하는 리세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개모듈은 상기 절개모듈에 연결된 와이어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가이드부 몸체의 하측면으로 돌출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절개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몸체의 하측 중심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가 상기 고정 모듈을 축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절개부가 이동하여 상기 전낭을 절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절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모듈 또는 상기 절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절개장치.
  20. 내부에 가이드 경로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를 조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모듈; 및
    상기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몸체와 접촉되는 조직의 표면을 절개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수술용 절개장치.
KR1020170105584A 2017-07-17 2017-08-21 안과용 절개 장치 KR102012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383 2017-07-17
KR20170090383 2017-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788A true KR20190008788A (ko) 2019-01-25
KR102012033B1 KR102012033B1 (ko) 2019-08-19

Family

ID=65280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584A KR102012033B1 (ko) 2017-07-17 2017-08-21 안과용 절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03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4510A (ja) * 2005-07-06 2007-01-25 Senju Pharmaceut Co Ltd 水晶体前嚢カッター
KR20140052140A (ko) * 2012-10-19 2014-05-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백내장 수술용 전낭절개 가이드 장치
KR20150041347A (ko) * 2013-10-08 2015-04-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백내장 수술용 보조기구
KR101516749B1 (ko) * 2014-02-13 2015-05-04 태선 강 수정체낭 절개기
KR20160025241A (ko) * 2014-08-27 2016-03-08 김대윤 전낭 절개용 각막 가이드
WO2016178215A1 (en) * 2015-05-03 2016-11-10 Lifshitz Tova Ophthalmic surgical device for cutting a circular incis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4510A (ja) * 2005-07-06 2007-01-25 Senju Pharmaceut Co Ltd 水晶体前嚢カッター
KR20140052140A (ko) * 2012-10-19 2014-05-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백내장 수술용 전낭절개 가이드 장치
KR20150041347A (ko) * 2013-10-08 2015-04-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백내장 수술용 보조기구
KR101516749B1 (ko) * 2014-02-13 2015-05-04 태선 강 수정체낭 절개기
KR20160025241A (ko) * 2014-08-27 2016-03-08 김대윤 전낭 절개용 각막 가이드
WO2016178215A1 (en) * 2015-05-03 2016-11-10 Lifshitz Tova Ophthalmic surgical device for cutting a circular inci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033B1 (ko)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2749C (en) Retractable safety knife
US9675495B2 (en) Capsulotomy instrument
JPH07500029A (ja) 眼科手術用器具および方法
US20040092982A1 (en) Medical instrument for use in cataract surgery and a method for use thereof
KR101039398B1 (ko) 수정체낭 절개도구
WO1993001755A1 (en) Instrumentation and method for ophthalmic surgery
JP2013528447A (ja) 組織に到達し、嚢切開を実施するための眼科用の外科デバイス
KR20120001774A (ko) 환상 절개를 만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84418B1 (ko) 전낭 절개 장치
US8685051B2 (en) Capsulotomy devices and methods
US20220000665A1 (en) Capsulotomy device and method
TW200803816A (en) Corneal epithelial pocket formation systems, components and methods
KR101039394B1 (ko) 수정체낭 절개도구
US8142459B2 (en) Anterior capsulotomy device and procedure
JP4255582B2 (ja) 角膜切開装置
JP2015100370A (ja) 水晶体前嚢切開具
EA029263B1 (ru) Шаблон для надреза склеры и специальный нож для глазной хирургии
KR102012033B1 (ko) 안과용 절개 장치
KR101056823B1 (ko) 수정체낭 절개 기구
JP2014184332A (ja) 組織に到達し、嚢切開を実施するための眼科用の外科デバイス
KR101516749B1 (ko) 수정체낭 절개기
KR101573982B1 (ko) 백내장 수술용 보조기구
WO2013147752A1 (en) Anterior capsulotomy device and procedure
EP4316433A1 (en) Punching-type iridotomy instrument
RU2525276C1 (ru) Микроиглодержатель для микроинвазивной трансвитреальной шовной фиксации сетчат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