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607A - 건식 온돌 바닥재 - Google Patents

건식 온돌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607A
KR20190008607A KR1020170090175A KR20170090175A KR20190008607A KR 20190008607 A KR20190008607 A KR 20190008607A KR 1020170090175 A KR1020170090175 A KR 1020170090175A KR 20170090175 A KR20170090175 A KR 20170090175A KR 20190008607 A KR20190008607 A KR 20190008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t water
water pipe
hole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5051B1 (ko
Inventor
김정모
Original Assignee
김정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모 filed Critical 김정모
Priority to KR1020170090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051B1/ko
Publication of KR20190008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02022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with means for align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2Flooring consisting of parquetry tiles on a non-rollable sub-layer of other material, e.g. board, concrete, c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온돌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식 온돌 바닥재를 분리 요소 없이 일체로 형성하여 제조가 용이하면서 견고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온수 파이프의 조립성을 비롯하여 바닥재 본체 간 조립성이 우수하면서 온수에 의한 열 전도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평판 상의 상부플레이트(11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이격 설치된 하부플레이트(12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3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고 온수 파이프(200)를 장착하는 장착부(14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 및 측면플레이트(130)는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바닥재 본체(100)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부(140) 하측이 개방된 개방부(141)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온수 파이프(200)가 상기 개방부(141)를 통해 상향 조립 가능하게 한 건식 온돌 바닥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식 온돌 바닥재{ONDOL FLOORING BOARD OF DRY TYPE}
본 발명은 건식 온돌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독주택, 빌라, 아파트 등과 같은 주거용 건축물의 바닥에 설치되어 온수를 순환시킴으로써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건식 온돌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 빌라, 아파트 등과 같은 주거용 건축물에 적용되는 난방시스템은 습식공법이다. 습식공법은 콘크리트 바닥에 파이프를 매설하고 이 파이프에 온수와 같은 난방유체를 공급하여 바닥을 가열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습식 난방시스템은 열효율이 낮아 열손실이 크고, 시공시 콘크리트의 양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추후 파이프의 노후로 인한 누수발생시 모르타르 층으로 이루어진 바닥면을 파헤쳐야함에 따라 난방시스템의 보수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보수비용 역시 많이 소요된다.
이와 같은 습식 난방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콘크리트, 합성수지, 황토와 같은 재질의 패널에 온수파이프를 내장하거나 온수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한 요홈 또는 고정부재를 구비한 건식 온돌 바닥재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건식 온돌 바닥재는 대부분 조립식 난방 시스템으로, 사전에 제작된 건식 패널을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하는 방식으로 시공함으로써 공사기간이 단축됨은 물론 추후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건식 온돌 바닥재의 일 예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9260호(특허문헌 1)에서는 상, 하부 패널 사이에 온수 파이프를 손쉽게 밀착 설치할 수 있도록 양 패널에 원형의 홈을 형성하며, 상부 패널은 열전도도가 높은 열가소성 수지(일례: CoolPolymer사의 D5108)를 이용하거나, 이와 동일한 열전도도를 갖도록 일반 플라스틱 수지에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격자를 삽입하여, 상부 방열패널의 방열능력(열효율)을 향상시킨 상부 방열 패널, 온수 파이프, 하부 배관 패널로 구성된 조립식 난방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바닥재는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호 이음 조립되기 때문에 반복적인 하중이 작용할 때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 간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 문제가 있으며, 또한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 및 온수 파이프와의 조립시 매우 정밀하게 설치되어야 하므로 제조 및 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9260호(2004.1.24 공고)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식 온돌 바닥재를 분리 요소 없이 일체로 형성하여 제조가 용이하면서 견고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온수 파이프의 조립성을 비롯하여 바닥재 본체 간 조립성이 우수하면서 온수에 의한 열 전도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건식 온돌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식 온돌 바닥재는,
평판 상의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이격 설치된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고 온수 파이프를 장착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및 측면플레이트는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바닥재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부 하측이 개방된 개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온수 파이프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향 조립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식 온돌 바닥재에 의하면, 건식 온돌 바닥재가 분리 요소 없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 자체가 견고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며, 특히 온수 파이프를 상향 조립함으로써 조립성을 대폭 개선시킬 수 있는 동시에 바닥재 본체 간 조립성이 향상되어 시공이 대단히 간편하다.
또한, 종래의 상하판이 분리된 상태에서 조립하는 것이 아닌 일체형이므로 부품 간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이 없고 온수에 의한 열 전도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여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의 조립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의 종방향 연결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의 횡방향 연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의 요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는 바닥재 본체(100), 온수 파이프(200) 및 고정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재 본체(100)는, 평판 상의 상부플레이트(110),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하측에서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된 하부플레이트(120)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의 횡방향 양측 가장자리를 상하로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 사이에는 상기 온수 파이프(20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1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 및 측면플레이트(130)를 비롯하여 상기 장착부(140)는 하나의 사출 또는 압출 공정에 의해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부(140) 하측이 개방된 개방부(141)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온수 파이프(200)가 상기 개방부(141)를 통해 상향 조립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바닥재 본체(110)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곧바로 개방부(141)를 통해 온수 파이프(200)를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시공이 간편하다.
통상 온수 파이프(200)가 원형 관 형태이므로 상기 장착부(140)의 단면을 원형 홈 형태로 하고, 상기 장착부(140)의 내경을 상기 개방부(141)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면 상기 온수 파이프(200)가 상기 장착부(140)에 조립되었을 때 온수 파이프(200)가 장착부(14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체(30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의 하측에 고정되어 상기 개방부(141)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온수 파이프(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요소로서, 이러한 고정체(300)는, 평판 상의 고정플레이트(310), 상기 고정플레이트(310)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홈(170)에 각각 내입 결속되는 한 쌍의 고정돌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320)에는 쐐기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70)에는 고정턱(171)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돌기(320)가 상기 고정홈(170)에 내입되었을 때 상기 쐐기부(321)가 상기 고정턱(171)에 걸릴 수 있게 하여 결합력을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310)의 양쪽 단부에는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날개(311)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의 하단에는 상기 연장날개(131)가 안착되는 단턱(121)이 형성하여, 상기 연장날개에 고정나사(미도시)를 체결하게 할 수 있다. 즉, 연장날개의 하단에서 하부플레이트(120)를 향하여 고정나사를 박아서 체결하면 고정체(300)를 바닥재 본체(1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체(30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310)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온수파이프(200)의 외면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온수 파이프(200)를 지지 가능하게 하는 지지돌기(3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지지돌기(330)의 상면은 라운드 부로 형성하여 온수파이프(20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지지되게 하여도 좋다.
한편, 상기 장착부(140)와 상기 측면플레이트(130) 사이에는 상기 장착부(140)와 평행한 제1홀(150)을 관통 형성되게 하고, 또한 상기 장착부(140)와 상기 제1홀(150) 사이에는 상기 장착부(140)와 평행한 제2홀(160)을 관통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홀(150)과 제2홀(160)은 각각 원형 관 형태로 하여 바닥재 본체(100)와 일체를 이루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홀(150)을 이루는 벽체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에 연결되게 하고, 또한 상기 제2홀(160)을 이루는 제2홀 관(161)과 상기 상부플레이트(110) 사이에는 수직플레이트(162)가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온수파이프(200)에서 장착부(140)에 가해진 열이 직접 상부플레이트(110)에 전달되게 하는 동시에 제2홀 관(161)과 수직플레이트(162) 및 제1홀(150)의 벽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부플레이트(100)로 전달되게 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의 종방향 연결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홀(150) 내에 삽입되는 제1커넥터(400)를 매개로 하여 상기 바닥재 본체(100) 다수 개가 종방향으로 상호 연결되게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커넥터(400)는 나사나 못을 통해 상기 바닥재 본체(1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넥터(400)는 도시한 예와 같이 바닥재 본체(100)의 이음 부분에만 형성하거나, 또는 바닥재 본체(100) 전 구간을 관통하여 하나의 제1커넥터(400)를 통해 다수의 바닥재 본체(100)를 동시에 연결되게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홀(160) 내에 삽입되는 제2커넥터(500)를 매개로 하여 상기 바닥재 본체(100) 다수 개가 종방향으로 상호 연결되게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커넥터(500)는 나사나 못을 통해 상기 바닥재 본체(1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넥터(400) 또는 제2커넥터(500)의 외면에는 쐐기부(501)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홀(150) 또는 제2홀(160)에 삽입되게 하면 상기 바닥재 본체(100)와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의 횡방향 연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체(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방부(141)를 폐쇄하는 역할뿐 아니라, 바닥재 본체(100) 다수 개를 횡방향으로 상호 연결 설치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체(300)의 고정돌기(320)와 대응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120)에서 측면플레이트(130)와 근접한 부분에 고정홈(17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체(300)는 온수 파이프(200)를 지지하는 용도, 그리고 바닥재 본체(100) 다수 개를 횡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매개체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부품 공용성 확대로 인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고정체(300)에 지지돌기(330)가 형성되고, 이러한 고정체(300)가 바닥재 본체(100)의 횡방향 연결 요소로 사용될 경우 상기 지지돌기(330)가 하부플레이트(120)와 접촉되어 간섭 발생의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측면플레이트(130)는 경사지게 설치하고, 이때 상기 측면플레이트(130)의 한 쌍의 상단 간 거리보다 상기 측면플레이트(130)의 하단 간 거리를 더 짧게 하면, 어느 하나의 바닥재 본체(100)의 측면 플레이트(130) 및 그것과 이웃한 바닥재 본체(100)의 측면플레이트(130)가 상호 접촉시 하부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지지돌기(33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식 온돌 바닥재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홀(160)을 형성하는 제2홀 관(161)은 마름모 형태로 하고. 상기 수직플레이트(162)는 마름모 형태의 제2홀 관(161) 상단의 꼭지점 부분에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홀 관(161)에서 장착부(140)과 수직플레이트(162) 사이가 직선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원형에 비하여 연 전달 속도를 빠르게 하여 열 전도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바닥재 본체
110: 상부플레이트 120: 하부플레이트
121: 단턱 130: 측면플레이트
140: 장착부 141: 개방부
150: 제1홀 160: 제2홀
161: 제2홀 관 162: 수직플레이트
170: 고정홈 171: 고정턱
200: 온수 파이프
300: 고정체 310: 고정플레이트
311: 연장날개 320: 고정돌기
321: 쐐기부 330: 지지돌기
400: 제1커넥터
500: 제2커텍터 501: 쐐기부

Claims (10)

  1. 평판 상의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이격 설치된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고 온수 파이프를 장착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및 측면플레이트는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바닥재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부 하측이 개방된 개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온수 파이프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향 조립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바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단면은 원형 홈 형태이고, 상기 장착부의 내경은 상기 개방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온수 파이프의 조립시 이탈이 방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바닥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와 상기 측면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장착부와 평행한 제1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와 상기 제1홀 사이에는 상기 장착부와 평행한 제2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홀 내에 삽입되는 제1커넥터 또는 상기 제2홀에 삽입되는 제2커넥터를 매개로 상기 바닥재 본체 다수 개가 종방향으로 상호 연결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바닥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 또는 제2커넥터의 외면에는 쐐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재 본체의 분리를 방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바닥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을 형성하는 제2홀 관은 원형 또는 마름모 형태이고, 상기 제2홀 관과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수직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바닥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측에 고정되어 상기 개방부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온수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바닥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를 매개로 상기 바닥재 본체 다수 개가 횡방향으로 연결 설치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바닥재.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평판 상의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홈에 각각 내입 결속되는 한 쌍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바닥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양쪽 단부에는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단에는 상기 연장날개가 안착되는 단턱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장날개에 고정나사가 체결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바닥재.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온수파이프의 외면과 접촉하여 온수 파이프를 지지 가능하게 된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플레이트는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상단 간 거리보다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하단 간 거리가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돌 바닥재.
KR1020170090175A 2017-07-17 2017-07-17 건식 온돌 바닥재 KR102005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175A KR102005051B1 (ko) 2017-07-17 2017-07-17 건식 온돌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175A KR102005051B1 (ko) 2017-07-17 2017-07-17 건식 온돌 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607A true KR20190008607A (ko) 2019-01-25
KR102005051B1 KR102005051B1 (ko) 2019-08-22

Family

ID=6528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175A KR102005051B1 (ko) 2017-07-17 2017-07-17 건식 온돌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0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1734A (zh) * 2019-10-24 2020-01-10 湖北亮又亮装饰工程有限公司 模块化水暖地板结构及其施工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220Y1 (ko) * 1994-02-22 1997-07-31 김창주 바이오 세라믹 온돌판
KR200339260Y1 (ko) 2003-10-23 2004-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전도를 향상시킨 방열패널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KR100858488B1 (ko) * 2008-04-29 2008-09-16 김동주 패널 조립형 황토 구들장
KR101386923B1 (ko) * 2013-11-01 2014-04-18 이병철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KR20140049802A (ko) * 2012-10-18 2014-04-28 주식회사 위스코하이텍 온수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220Y1 (ko) * 1994-02-22 1997-07-31 김창주 바이오 세라믹 온돌판
KR200339260Y1 (ko) 2003-10-23 2004-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전도를 향상시킨 방열패널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KR100858488B1 (ko) * 2008-04-29 2008-09-16 김동주 패널 조립형 황토 구들장
KR20140049802A (ko) * 2012-10-18 2014-04-28 주식회사 위스코하이텍 온수매트
KR101386923B1 (ko) * 2013-11-01 2014-04-18 이병철 층간소음방지 온수난방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1734A (zh) * 2019-10-24 2020-01-10 湖北亮又亮装饰工程有限公司 模块化水暖地板结构及其施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051B1 (ko)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2377A (en) Radiant floor and wall hydronic heating system tubing attachment to radiant plate
KR200431410Y1 (ko) 층간소음방지용 조립패널 구조
KR20000019349U (ko) 난방관의 배관용 단열보드
KR100698848B1 (ko) 바닥패널
KR20190008607A (ko) 건식 온돌 바닥재
CA2185548C (en) Floor heating system
KR100989517B1 (ko) 히트 파이프 설치용 확장패널 및 이를 이용한 히팅장치
KR101284739B1 (ko) 온수장판
KR102053584B1 (ko) 조립식 온수온돌용 열전도판 및 그 시공방법
KR100623965B1 (ko) 지붕 조립용 샌드위치 판넬
KR200339260Y1 (ko) 열전도를 향상시킨 방열패널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US20210088226A1 (en) Thermal transfer panel system
KR200351874Y1 (ko) 조립식 온수난방 시스템.
KR20120110490A (ko) 난방용 패널을 구비한 돔 하우스
KR102467271B1 (ko) 조립식 난방용 바닥재
KR100756891B1 (ko)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
KR102534635B1 (ko) 온열판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71789Y1 (ko) 층간 차음재가 부설된 건축물 바닥면의 온돌파이프 고정구
KR101702634B1 (ko) 온수마루
KR200398407Y1 (ko) 바닥패널
KR200347888Y1 (ko) 지붕 조립용 샌드위치 판넬
KR200445966Y1 (ko) 난방용 바닥재
CN217897132U (zh) 地板单元、地板结构及地暖地板
JP3082856U (ja) 床板ユニット
KR200165359Y1 (ko) 온돌바닥용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