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891B1 -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 - Google Patents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891B1
KR100756891B1 KR1020040092094A KR20040092094A KR100756891B1 KR 100756891 B1 KR100756891 B1 KR 100756891B1 KR 1020040092094 A KR1020040092094 A KR 1020040092094A KR 20040092094 A KR20040092094 A KR 20040092094A KR 100756891 B1 KR100756891 B1 KR 100756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loor
floorboard
boil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238A (ko
Inventor
최종영
Original Assignee
최종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영 filed Critical 최종영
Priority to KR1020040092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891B1/ko
Publication of KR20060044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7Anion- and far-infrared-emitt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시공이 간편하고, 함수률에 따라 마루판과 마루판 사이가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며, 보일러 배관 시공시 미장처리 없이 시공이 가능하게 하고 황토볼층에 의해 습도조절과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제공하는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은, 보일러관과 원목마루판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에 있어서, 아파트, 단독주택, 음식점 등의 주거와 상업용으로 사용되는 건물의 내부 바닥에 배설되는 보일러관과; 상기 배설된 보일러관 사이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측 일부가 개구된 프레임인 "
Figure 112004052403428-pat00001
"형태의 레일과; 상기 보일러관과 레일 사이의 공간에 상기 레일의 상측면과 연장되는 면상까지 충전되는 황토볼과; 상기 레일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측에는 상기 레일의 개구된 부분으로 연결돌기와 고정돌기가 돌출형성되데, 상기 연결돌기는 레일의 길이방향에 쐐기가 서로 대향되어 형성된 "
Figure 112004052403428-pat00002
"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연결돌기의 양측에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연결부재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사각판체로 상기 레일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장착되데, 양측면에는 측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돌기의 두 쐐기 중 일측 쐐기가 걸릴 수 있도록 하고, 저면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고정돌기가 삽입되게 한 원목마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에 보일러관을 설치하고, 보일러관 사이에는 마루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내설된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과 레일 사이의 공간에는 황토볼을 충전하고, 상기 레일에 내설된 연결부재에는 마루판을 결합시킴으로서, 보일러 배관시 행하였던 미장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충전된 황토볼에 의해 실내습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도 방사하는 유익한 시스템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마루판의 결합이 간단하여 마루판 시공시간이 단축되며, 마루판의 함수량에 의해 폭방향으로 가변됨에 따라 연결부재도 같이 이동됨으로 마루판과 마루판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진동 및 충격이 발생되는 원목마루판 하부에 황토볼이 충전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공간부가 상부에서 발생된 충격 및 진동 소음을 완충하게 됨으로 층간진동소음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원목마루판, 연결부재, 황토볼, 보일러관, 온돌마루

Description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using Yellow earth and Material-wo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일예에 따른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일예에 따른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일예에 따른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일예에 따른 마루판과 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일예에 따른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종래 마루판 시공 일예의 사시도이고,
도 7는 종래 마루판 시공 다른 예의 사시도이며,
도 8은 종래의 마루판 시공 또 다른 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온돌마루시스템 20 : 보일러관
21 : 이격부재 30 : 레일
31 : 각재부재 32 : 개구부
33 : 앵커볼트 34 : 가이드익
40 : 황토볼 50 : 연결부재
51 : 연결돌기 52 : 고정돌기
60 : 원목마루판 61 : 측홈
62 : 요홈 63 : 상부돌출부
64 : 하부돌출부
본 발명은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시공이 간편하고, 함수률에 따라 마루판과 마루판 사이가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며, 보일러 배관 시공시 미장처리 없이 시공이 가능하게 하고 황토볼층에 의해 습도조절과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제공하는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보다 아름답고 실용적인 건축 구조물이 지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우수한 건축물이 지어질 수 있는 이유는 건축 자재의 개발에 있다 할 것이다.
많은 종류의 건축 자재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건축 자재 중 바닥재로 사용되는 마루판은 바닥에 받침 부재로 긴 장선(長線)을 설치한 후 그 위에 고정시켜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마루판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마루판과 그 조립 구조를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6에 도시한 마루판(1)은 그 일측 단부에는 돌기(1a)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요홈(1b)이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마루판(1)에 형성된 돌기(1a)가 다른 마루판(1)의 요홈(1b)에 삽입되게 하여 서로 다른 마루판(1)들이 서로 연결되게 하고 있으며, 이러한 마루판들이 서로 수평을 이루게 하기 위해 마루판(1) 하부에 장선(2) 또는 장선띠를 설치하고 마루판(1)에 형성되 요홈(1b)에 못(3)을 밖아 마루판(1)이 유동되지 않고 수평을 이루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른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된 마루판(1)은 돌기(1a)의 길이 및 요홈(1b)의 깊이가 작기 때문에 뒤틀림현상으로 마루판이 들뜨게 됨에 따라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 7에 도시한 마루판(1')은 양 단부에 각각 요홈(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요홈(1a')이 형성된 마루판(1')의 양단을 서로 마주보게 한 후 그 사이에 고정돌기(2a)가 형성된 장선(2') 또는 장선띠를 설치하여 마루판(1')을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 및 시공 방법으로 시공되는 마루판(1') 역시 서로 대향되는 부분으로부터 소음이 발생됨은 물론, 마루판의 신축에 따라 서로 다른 것들과 결합된 부분이 분리되거나 마루판(1')이 밀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마루판(1') 사이에 틈이 생기거나 마루판(1')이 가라앉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루판의 저면에 고정홈(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1a")에 삽입되는 고정돌기(2a")를 갖는 연결띠(2")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가 제공되고 있으나, 원목나무 특성상 함수률에 따라 그 폭이 변화되기 때문에 무리한 체결에 의해 고정돌기의 걸림부분 또는 연결띠와 고정돌기의 연결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마루판은 보일러관을 설치하고 미장작업을 마친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 보일러 보수 작업시에는 설치된 마루판을 분리하고, 바닥을 부신 후 보일러관을 점검해야되는 등 건축시공시간과 보수시간이 길고, 인건비등 소요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물의 바닥에 보일러관을 설치하고, 보일러관 사이에는 마루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내설된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과 레일 사이의 공간에는 황토볼을 충전하고, 상기 레일에 내설된 연결부재에는 마루판을 결합시킴으로서, 보일러 배관시 행하였던 미장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충전된 황토볼에 의해 실내습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도 방사하는 유익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마루판의 결합이 간단하여 마루판 시공시간이 단축되며, 마루판의 함수량에 의해 폭방향으로 가변됨에 따라 연결부재도 동시에 이동됨으로 마루판과 마루판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은,
보일러관과 원목마루판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에 있어서, 아파트, 단독주택, 음식점 등의 주거와 상업용으로 사용되는 건물의 내부 바닥에 배설되는 보일러관과; 상기 배설된 보일러관 사이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측 일부가 개구된 프레임인 "
Figure 112004052403428-pat00003
"형태의 레일과; 상기 보일러관과 레일 사이의 공간에 상기 레일의 상측면과 연장되는 면상까지 충전되는 황토볼과; 상기 레일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측에는 상기 레일의 개구된 부분으로 연결돌기와 고정돌기가 돌출형성되데, 상기 연결돌기는 레일의 길이방향에 쐐기가 서로 대향되어 형성된 "
Figure 112004052403428-pat00004
"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연결돌기의 양측에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연결부재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사각판체로 상기 레일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장착되데, 양측면에는 측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돌기의 두 쐐기 중 일측 쐐기가 걸릴 수 있도록 하고, 저면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고정돌기가 삽입되게 한 원목마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목마루판은 측홈에 의해 상하로 분리된 돌출부 중 상부돌출부를 하부돌출부보다 더 돌출형성시키되, 상기 상부돌출부는 하부돌출부보다 상기 연결돌기 최대폭의 1/2 만큼 더 돌출형성시킨다.
또한, 상기 레일은 건물의 바닥면과 일정거리 더 이격시키기 위해 레일과 건물의 바닥면 사이에 각재부재를 더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관은 건물의 바닥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원목마루판의 저면에 접하도록 하기 위해 상부에 보일러관을 안착시키는 안착부가 형성된 "
Figure 112004052403428-pat00005
"형태의 판상 또는 봉형상의 이격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레일은 "
Figure 112004052403428-pat00006
"형태 이외에 내부에 연결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의 연결돌기에 형성된 쐐기형상도 연결부재를 원목마루판의 측홈에 걸릴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의 일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일예에 따른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일예에 따른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일예에 따른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일예에 따른 마루판과 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일예에 따른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10)은, 건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보일러관(20)과, 상기 보일러관 사이에 설치되는 레일(30)과, 상기 보일러관과 레일 사이에 충전되는 황토볼(40)과, 상기 레일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재(50)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원목마루판(6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일러관(20)은, 건물의 바닥에 지그재그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미장처리를 하여 덮도록 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매설형태가 아닌 복개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보일러관(20)은 보일러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건물의 바닥면에서 일정길이의 상부로 띄우기 위해 이격부재(21)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21)는 "
Figure 112004052403428-pat00007
"의 형태로 봉재 또는 판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측에 보일러관을 안착시킬 수 있는 라운드된 안착부가 형성되고, 후술되는 레일(30) 및 각재부재(31)의 높이에 따라 이격부재(21)의 높이도 다양하게 조절가능하다. 이러한 이격부재(21)를 사용 하여 상기 보일러관의 최종 설치위치는 보일러관(20)의 최상층부가 후술되는 원목마루판(60)의 저면과 접하도록 하여 보일러관 내에서 발생된 열이 직접 원목마루판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레일(30)은, "
Figure 112004052403428-pat00008
"의 형태로 내부에는 일방향이 길게 형성된 사각통체로 상부 일측에는 개구부(32)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의 양측으로는 마루판을 안치할 수 있는 평탄부가 일정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레일(30)은 상기 배관된 보일러관(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직접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하거나, 설치되는 높이 즉, 레일의 상부에 장착되는 원목마루판과 건물바닥 사이의 공간높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각재부재(31)를 더 설치한 후 상기 각재부재의 상부면에 레일(30)을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30) 또는 각재부재(31)는 도 3을 참조한 바와같이 앵커볼트(33)와 같은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각재부재(31)를 건물바닥에 고정시키고, 상기 각재부재 상부면에 레일(30)을 안치시키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레일(30)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가이드익(34)을 더 돌출형성하여 각재부재(31)의 면상에서 레일(30)이 각재부재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재부재(31)는 도시된 바와같이 레일(30)이 설치될 부분의 전면에 설치되거나, 온돌마루시스템(10)을 시공하는 장소의 가장자리에만 각재부재를 설치 또는 가장자리와 시공되는 장소의 내측 일부에만 각재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레일(30)과 보일러관(20) 사이의 공간에는 황토볼(40)이 충전된다. 상기 황토볼(40)은 인체에 유익한 파장인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질로 황토미분을 일정크기의 구 형상으로 소성한 것을 사용한는 것으로, 마찰 또는 일정크기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술한 원형 이외에 입방체 등 다양한 형태의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황토볼의 충전에 의해 후술되는 원목마루판(60)과 연결부재(50)의 결합에 저해되지 않기 위해서 상기 레일(30)의 상부면과 연장된 면상까지만 충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황토볼은 습도가 높으면 수분기를 흡습하고, 습도가 낮으면 흡습한 수분기를 외부로 방출하게 됨으로 습도조절기능이 있으며, 보일러관(20)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전달받아 내재되어 있는 원적외선을 재방출하게 됨으로 방출하는 원적외선의 량 만큼 실내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어 난방비절감효과를 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0)는 도 1 및 도 4를 참조한 바와같이, 레일(3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부면에는 연결돌기(51)와 고정돌기(5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돌기(51)는 레일(30)의 길이방향으로 근접한 두개의 쐐기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
Figure 112004052403428-pat00009
"의 형태이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52)는 연결돌기의 양측인 레일(30) 길이방향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일측방향에 하나 또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돌기(51) 및 고정돌기(52)는 후술되는 원목마루판(60)의 측홈(61)과 요홈(62)에 각각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원목마루판(60)은, 길이방향으로는 쪽메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폭방향으로는 상술한 연결부재(50)를 이용하여 마루판(60)과 다른 마루판(60')이 연결되는 것이다. 즉,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 바와같이 원목마루판(60)의 길이방향 양측면에는 측홈(61)이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양측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고정돌기(52)와 대응되는 요홈(62)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목마루판(60)의 측면에는 측홈(61)에 의해 상부돌출부(63)와 하부돌출부(64)로 분리되며, 상기 상부돌출부(63)가 하부돌출부보다 돌출길이를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목마루판(60)과 다른 원목마루판(6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50)의 연결돌기(51)가 원목마루판(60)의 하부에서 삽입 결합되기 때문에 연결돌기(51)의 최대폭(L)에 대하여 1/2만큼 원목마루판의 상부돌출부(63)를 길게 형성함으로서 결합시 마루판(60)과 마루판(60')의 틈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원목마루판(60)과 연결부재(50)의 결합관계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설치된 레일(3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연결부재(50)에 원목마루판(60)을 결합시키면, 연결부재의 연결돌기(51)를 형성하는 두 쐐기 중 하나의 쐐기가 원목마루판의 측홈(61)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며, 연결부 재의 고정돌기(52)는 원목마루판의 요홈(62)에 삽입되어 원목마루판과 연결부재를 고정되게 된다. 이와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원목마루판(60)을 연결돌기(51)의 두 쐐기 중 남은 하나의 쐐기에 결합시켜 두 원목마루판을 하나의 연결부재(50)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연결부재(50)는 습도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성재질로 제조되기 때문에 습도의 함유량에 관계없이 연결부재의 두 고정돌기(52)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게 됨으로, 이에 결합되어 있는 원목마루판의 일측 요홈(62)과 다른 원목마루판의 일측 요홈(62) 사이의 길이는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원목마루판의 최대 단점인 습도에 따라 원목마루판의 폭방향 길이가 가변되는 현상으로 인해 마루판과 마루판의 접하는 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원목마루판의 폭방향에서 함수율에 의해 신축되는 중심부분을 제외하고 양측면에 요홈(62)이 형성되어, 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50)로 마루판(60)과 마루판(60')의 틈새발생을 억제하며, 마루판의 폭이 변화되는 길이만큼 연결부재(50)도 레일(30)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이동됨으로 마루판(60)이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설치되는 온돌마루판시스템(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건물 바닥에 보일러관(20)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관되고, 상기 보일러관 사이에는 레일(30) 단독 또는 각재부재(31)를 포함하는 레일을 설치하며, 상기 레일의 내부에는 연결부재(50)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에 원목마루판(60)을 결합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배관된 보일러관(20)의 양측면에는 레일(30)과 부분 적으로 교차됨으로, 교차되는 지점에는 일부 레일을 절단시킴으로서 원활한 배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온돌마루시스템(10)은 건물바닥에 연결부재(5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설된 레일(30)과 보일러관(20)을 각각 설치하고, 그 사이의 공간에 황토볼(40)을 충전시키며, 레일의 연결부재(50)에 원목마루판(60)을 결합시켜 설치가 완료됨으로 시공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온돌마루시스템(10)은 상부의 원목마루판(60)과 건물의 바닥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원목마루판에서 발생된 진동소음이 공간부에서 완화되어 진동소음 완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은,
건물의 바닥에 보일러관을 설치하고, 보일러관 사이에는 마루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내설된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과 레일 사이의 공간에는 황토볼을 충전하고, 상기 레일에 내설된 연결부재에는 마루판을 결합시킴으로서, 보일러 배관시 행하였던 미장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충전된 황토볼에 의해 실내습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도 방사하는 유익한 시스템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마루판의 결합이 간단하여 마루판 시공시간이 단축되며, 마루판의 함수량에 의해 폭방향으로 가변됨에 따라 연결부재도 같이 이동됨으로 마루판과 마루판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진동 및 충격이 발생되는 원목마루판 하부에 황토볼이 충전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공간부가 상부에서 발생된 충격 및 진동 소음을 완충하게 됨으로 층간진동소음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Claims (4)

  1. 보일러관과 원목마루판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에 있어서,
    아파트, 단독주택, 음식점 등의 주거와 상업용으로 사용되는 건물의 내부 바닥에 배설되는 보일러관(20)과;
    상기 배설된 보일러관 사이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측 일부가 개구된 프레임인 "
    Figure 112006057920621-pat00010
    "형태의 레일(30)과;
    상기 보일러관(20)과 레일(30) 사이의 공간에 상기 레일의 상측면과 연장되는 면상까지 충전되는 황토볼(40)과;
    상기 레일(3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측에는 상기 레일의 개구된 부분으로 연결돌기(51)와 고정돌기(52)가 돌출형성되데, 상기 연결돌기(51)는 레일의 길이방향에 쐐기가 서로 대향되어 형성된 "
    Figure 112006057920621-pat00011
    "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52)는 연결돌기의 양측에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연결부재(50)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사각판체로 상기 레일(3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장착되데, 양측면에는 측홈(61)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돌기(51)의 두 쐐기 중 일측 쐐기가 걸릴 수 있도록 하고, 저면에는 요홈(62)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고정돌기(52)가 삽입되게 한 원목마루판(60);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30)은 건물의 바닥면과 일정거리 더 이격시키기 위해 레일과 건물의 바닥면 사이에 각재부재(31)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목마루판(60)은 측홈(61)에 의해 상하로 분리된 돌출부 중 상부돌출부(63)를 하부돌출부(64)보다 더 돌출형성시키되, 상기 상부돌출부(63)는 하부돌출부(64)보다 상기 연결돌기 최대폭(L)의 1/2 만큼 더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관(20)은 건물의 바닥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원목마루판(60)의 저면에 접하도록 하기 위해 상부에 보일러관(20)을 안착시키는 안착부가 형성된 "
    Figure 112006057920621-pat00012
    "형태의 이격부재(21)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
KR1020040092094A 2004-11-11 2004-11-11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 KR100756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094A KR100756891B1 (ko) 2004-11-11 2004-11-11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094A KR100756891B1 (ko) 2004-11-11 2004-11-11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238A KR20060044238A (ko) 2006-05-16
KR100756891B1 true KR100756891B1 (ko) 2007-09-10

Family

ID=37149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094A KR100756891B1 (ko) 2004-11-11 2004-11-11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8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700B1 (ko) * 2008-05-09 2013-04-05 (주)엘지하우시스 채널형 클립이 적용되는 테크 자재의 결합 시스템
KR102362010B1 (ko) * 2021-08-24 2022-02-14 김용신 목재오염 및 유격을 방지하기 위한 데크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960B1 (ko) * 2006-09-25 2007-09-21 (주)이프인테리어 배관 일체형 마루판 조립체
KR101010964B1 (ko) * 2008-04-10 2011-01-26 (주)에스티에너지 조립식 온돌구조 및 난방용 조립식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700B1 (ko) * 2008-05-09 2013-04-05 (주)엘지하우시스 채널형 클립이 적용되는 테크 자재의 결합 시스템
KR102362010B1 (ko) * 2021-08-24 2022-02-14 김용신 목재오염 및 유격을 방지하기 위한 데크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238A (ko)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1498B2 (en) Floor system
US8020783B2 (en) Radiant mat grid
KR101353546B1 (ko) 목재벽돌조립체
KR200431410Y1 (ko) 층간소음방지용 조립패널 구조
KR200404351Y1 (ko) 온수온돌용 바닥블록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난방바닥구조
KR102046609B1 (ko) 온수 난방용 건식온돌
KR101128873B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KR20220031828A (ko) 층간 소음 저감형 건식 난방 바닥 구조
KR100756891B1 (ko) 황토와 원목을 이용한 온돌마루시스템
KR200467659Y1 (ko) 건물의 층간소음 차단을 위한 바닥구조
KR101864428B1 (ko) 온수 난방용 건식온돌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94040A (ko) 난방배관용 및 층간소음 저감용 온돌패널
KR101654126B1 (ko) 건축물 및 공동주택의 난방 바닥재 시공 방법
KR200472878Y1 (ko) 건축용 패널
KR200438618Y1 (ko) 건식난방의 바닥하프레임과 바닥상프레임 및 바닥판마루의결합구조
KR20210093001A (ko) 조립식 층간소음 차단장치
KR20180131323A (ko) 조립식 황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바닥시공 방법
KR20210128821A (ko) 시스템 건식 난방장치
KR20190090105A (ko) 펄라이트를 충진재로 이용한 층간소음이 저감된 뜬바닥 구조의 시공방법
US2843364A (en) Room heating systems
KR200318884Y1 (ko) 조립식 바닥재
KR101788214B1 (ko) 조립식 황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바닥시공 방법
KR200339209Y1 (ko) 온돌패널구조
KR102541323B1 (ko)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완충구조
KR200163491Y1 (ko) 견운모의 소재를 이용한 원적외선 방사 온수 온돌 난방 조립식 판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