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299A - 피부 화장료 - Google Patents

피부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299A
KR20190008299A KR1020187035924A KR20187035924A KR20190008299A KR 20190008299 A KR20190008299 A KR 20190008299A KR 1020187035924 A KR1020187035924 A KR 1020187035924A KR 20187035924 A KR20187035924 A KR 20187035924A KR 20190008299 A KR20190008299 A KR 20190008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ass
skin
cosmetic composition
qu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0742B1 (ko
Inventor
마사키 마츠오
줌페이 가와타
사야카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063670A external-priority patent/JP677359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063669A external-priority patent/JP677359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ublication of KR20190008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이온 계면활성제(성분 A), 탄소수 5∼10의 1,2-알칸디올 및 페녹시에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성분 B), 디프로필렌글리콜(성분 C), 미리스토일 글루타민산염(성분 D) 및 물(성분 E)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화장료
본 발명은 피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는, 향료 등의 난용성 성분을 가용화시키는 성분이나, 클렌징 화장료의 세정 성분으로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나 지방산 폴리글리세릴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이용되고 있다. 또, 화장료 조성물에는 방부력을 높이는 관점에서, 1,2-알칸디올이나 페녹시에탄올이 배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유지(油脂) 오염에 대한 클렌징력이 우수하고, 또한 사용후의 끈적임이 적은 클렌징 화장수로서, (A) 물 70∼95 중량%, (B) 다가 알코올, (C) 폴리옥시에틸렌(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 (D) 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E)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옥시알킬렌디글리세릴에테르, 모노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호박산 디에톡시에틸, 시클로헥산-1,4-디카르본산 비스에톡시 디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씻어 내지 않는 클렌징 화장수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12-214406호 공보
그러나, 상기 1,2-알칸디올이나 페녹시에탄올을 배합한 계(系)에 있어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온도 안정성이 저하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그리고 탄소수 5∼10의 1,2-알칸디올 및 페녹시에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화장료에 있어서, 안정성이 우수한 피부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하기의 성분 A, 성분 B, 성분 C, 성분 D 및 성분 E를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이다:
성분 A: 비이온 계면활성제
성분 B: 탄소수 5∼10의 1,2-알칸디올 및 페녹시에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성분 C: 디프로필렌글리콜
성분 D: 미리스토일 글루타민산염
성분 E: 물.
본 발명에 의하면, 비이온 계면활성제, 그리고 탄소수 5∼10의 1,2-알칸디올 및 페녹시에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화장료에 있어서, 안정성이 우수한 피부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탄소수 5∼10의 1,2-알칸디올 및 페녹시에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디프로필렌글리콜; 미리스토일 글루타민산염; 그리고, 물을 적어도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성분 A」; 상기 「탄소수 5∼10의 1,2-알칸디올 및 페녹시에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성분 B」;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을 「성분 C」; 상기 「미리스토일 글루타민산염」을 「성분 D」; 상기 「물」을 「성분 E」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가 안정성이 우수한 메커니즘은 확실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비이온 계면활성제, 그리고 탄소수 5∼10의 1,2-알칸디올 및 페녹시에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화장료에 있어서는, 미셀을 형성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사이에, 소수기 부분의 비교적 큰 탄소수 5∼10의 1,2-알칸디올이나 페녹시에탄올이 들어 있음으로써, 미셀의 곡률이 작아져, 불안정하게 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에 있어서는,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미리스토일 글루타민산염을 배합함으로써, 미셀의 곡률이 커져,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성분 A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이다. 성분 A는, 예를 들면, 클렌징 화장료에 있어서의 세정제 성분으로서 기능하거나, 향료 등의 난용성 성분을 가용화시키는 성분으로서 기능하거나 한다.
성분 A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모노라우린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 소르비탄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라우린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트리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라우린산 글리세릴, 미리스틴산 글리세릴, 스테아린산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베헨산 글리세릴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모노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 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산 디글리세릴, 모노올레인산 데카글리세릴, 카프릴산 폴리글리세릴, 라우린산 폴리글리세릴 등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 환원 라놀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성분 B과 병용한 경우에 온도 안정성이 저하하기 쉬운 경향이 커서,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함에 따른 온도 안정성 향상의 효과가 보다 한층 현저하게 발휘되는 관점에서, 성분 A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A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성분 A의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피부 화장료의 클렌징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5.5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HLB는 그리핀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복수의 성분 A를 이용하는 경우의 HLB는, 각 성분 A의 HLB의 가중평균으로서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100 질량% 중의 성분 A의 함유량은, 클렌징력이나 가용화력의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이고, 피부 화장료의 안정성, 안전성, 끈적임 저감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하이다. 성분 A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중에 포함되는 모든 성분 A의 합계량이다.
성분 B는 「탄소수 5∼10의 1,2-알칸디올 및 페녹시에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이다. 성분 B를 배합함으로써 피부 화장료의 방부력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1,2-알칸디올은, 방부력의 관점에서, 탄소수 5∼10인 것이다. 상기 1,2-알칸디올로는, 예를 들면,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1,2-옥탄디올, 1,2-데칸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1,2-알칸디올은,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방부력의 관점에서, 1,2-옥탄디올, 1,2-데칸디올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100 질량% 중의 성분 B의 함유량은, 피부 화장료의 방부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05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고, 피부 화장료의 안정성 및 안전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이다. 성분 B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중에 포함되는 모든 성분 B의 합계량이다.
그 중에서도, 성분 B는, 자극 저감의 관점에서, 페녹시에탄올을 필수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성분 B는, 바람직하게는, 페녹시에탄올, 또는, 페녹시에탄올 및 탄소수 5∼10의 1,2-알칸디올이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100 질량% 중의 페녹시에탄올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이다.
성분 C는 「디프로필렌글리콜」이다(「DPG」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성분 C를 배합함으로써 피부 화장료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것은, 성분 C를 배합함으로써, 성분 A와 수성 용매와의 친화성이 향상하기 때문이거나, 성분 A의 친수기 부분에 용매화하는 수성 성분이 많아짐으로써 미셀의 곡률이 커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100 질량% 중의 성분 C의 함유량은, 피부 화장료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8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5.0 질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질량% 이하이다.
성분 D는 「미리스토일 글루타민산염」이다. 성분 D를 배합함으로써 피부 화장료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것은, 성분 D를 배합함으로써, 성분 D가 미셀의 계면(친수기 부분)에 배향하여 정전 반발이 커짐에 따라, 미셀의 곡률이 커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성분 D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미리스토일 글루타민산 나트륨, 미리스토일 글루타민산 칼륨이 바람직하다. 성분 D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100 질량% 중의 성분 D의 함유량은, 피부 화장료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6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9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질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하이다. 성분 D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중에 포함되는 모든 성분 D의 합계량이다.
성분 E는 「물」이다. 성분 E는, 로션 등의 수성 화장료의 매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100 질량% 중의 성분 E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0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질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0 질량% 이상이고, 다른 성분을 함유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8.0 질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5.0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피부 화장료의 클렌징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추가로 성분 F로서 「PPG-14 디글리세릴」, 즉,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옥시프로필렌의 평균 부가 몰수=14)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100 질량% 중의 성분 F의 함유량은, 피부 화장료의 클렌징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고, 보존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피부 화장료의 방부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추가로 성분 G로서 「N-야자유 지방산 아실-L-아르기닌에틸·DL-피롤리돈 카르본산염」을 함유할 수 있다. 성분 G로는, 예를 들면, CAE(아지노모토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100 질량% 중의 성분 G의 함유량은, 피부 화장료의 방부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01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질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이고, 보존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pH를 안정화시켜, pH 저하에 의한 제제 안정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추가로 성분 H로서 「완충제」를 함유할 수 있다. 완충제를 이용하는 경우는,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의 pH가 4.0∼7.5의 범위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pH가 5.0∼7.0의 범위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 화장료 중에 완충제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pH를 안정화할 수는 있지만, 전해질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성분 A의 물에의 용해성이 저하하여, 미셀이 보다 안정화하기 어려워진다. 이것에 대해, 특히 성분 C를 병용함으로써, 미셀을 충분히 안정화할 수 있다.
성분 H로는, 예를 들면, 구연산 및/또는 그의 염, 주석산(酒石酸) 및/또는 그의 염, 글루콘산 및/또는 그의 염, 초산(酢酸) 및/또는 그의 염, 인산 및/또는 그의 염, 트로메타몰(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H의 상기 염으로는, 나트륨염, 칼륨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성분 H는, 구연산 및/또는 그의 염(특히 구연산 나트륨), 인산 및/또는 그의 염(특히, 인산이수소나트륨,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이수소칼륨, 인산수소이칼륨)이 바람직하다. 성분 H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100 질량% 중의 성분 H의 함유량은, pH의 안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질량% 이상이며, 보존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질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5 질량% 이하이다. 성분 H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중에 포함되는 모든 성분 H의 합계량이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추가로, 코코일글루타민산염 및 라우린산 PEG-12(즉, 라우린산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1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기 「코코일글루타민산염 및 라우린산 PEG-1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성분 I」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성분 I를 배합함으로써 피부 화장료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은, 성분 I를 배합함으로써, 성분 I가 미셀의 계면(친수기 부분)에 배향하여, 정전 반발이 커지는 것(코코일글루타민산염의 경우)이나, 수화상(水和相)에 의한 입체 장해(라우린산 PEG-12의 경우)에 의해, 미셀의 곡률이 커지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성분 I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코코일글루타민산 나트륨(코코일글루타민산Na), 코코일글루타민산 칼륨, 라우린산 PEG-12를 들 수 있다. 성분 I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가 성분 I를 함유하는 경우,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100 질량% 중의 성분 D의 함유량과 성분 I의 함유량의 합계량은, 피부 화장료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6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9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질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하이다. 성분 D의 함유량과 성분 I의 함유량의 합계량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중에 포함되는 모든 성분 D 및 성분 I의 합계량이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가 성분 I를 함유하는 경우,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완충제인 성분 H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완충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란,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가 완충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100 질량% 중의 완충제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하인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추가로 상기 이외의 다른 성분을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성분 A, 성분 D 및 성분 I 이외의 계면활성제(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등),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자외선 흡수제, 분체, 산화 방지제, 방부제, 향료, 착색제, 킬레이트제, 청량제, 증점제, 비타민류, 중화제, 아미노산, 미백제, 항염증제, 소취제, 동식물 추출물, 금속 이온 봉쇄제 등의 첨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외의 성분은,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에스테르유, 유지, 탄화수소유, 납(蠟), 고급 지방산, 실리콘유 및 고급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성 성분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발명의 효과가 더욱더 현저하게 발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상기 유성 성분을 포함하지 않거나,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100 질량% 중의 상기 유성 성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하이다. 상기 유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의 경우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비교적 불안정화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가 특히 클렌징 화장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풀루란을 함유해도 된다. 풀루란을 배합함으로써, 클렌징 화장료를 부직포 등에 함침시켜 메이크업을 닦아내는 경우나, 클렌징 화장료를 함침한 시트 제품으로 메이크업을 닦아내는 경우에, 피부와 부직포 등과의 마찰이 저감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100 질량% 중의 풀루란의 함유량은, 닦아냄 시의 마찰 저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질량% 이상이며, 닦아냄 시의 미끌거림 저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의 제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화장수(로션), 젤, 내추럴 스프레이, 롤온, 시트(페이퍼) 등의 여러가지의 제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화장수(로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클렌징 화장료, 보습 화장료, 미백 화장료, 여드름 케어용 화장료, 안티에이징 화장료(예를 들면, 주름 억제, 처짐 억제 등을 목적으로 한다) 등의 스킨 케어 화장료; 두피 케어 화장료(예를 들면, 보습, 피지 억제 등을 목적으로 한다); 데오도런트 화장료; 선블록 화장료; 쉐이빙 화장료; 보디용 세정료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화장료는, 클렌징 화장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예를 들면, 화장품, 의약부외품, 의약품, 잡화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를 적용하는 부위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얼굴(예를 들면, 이마, 눈 주변, 눈가, 뺨, 입가 등), 팔, 팔꿈치, 손등, 손끝, 다리, 무릎, 발뒤꿈치, 목, 겨드랑이, 등, 두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혼합하여,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패들 믹서를 이용하여 교반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가 클렌징 화장료인 경우, 상기 클렌징 화장료는, 메이크업 제거 후에 씻어 내는 사용 방법에서도, 메이크업 제거 후에 씻어 내지 않는 사용 방법(예를 들면, 닦아냄 등)에서도, 모두 바람직하게는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의 사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공지의 클렌징 화장료의 사용 방법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클렌징 화장료를 손에 덜어 직접 피부 상의 메이크업에 융합시켜 제거하는 방법; 상기 클렌징 화장료를 코튼 등의 직물(직포, 부직포 등)에 스며들게 하여, 그 직물에 의해 피부 상의 메이크업을 닦아내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렌징 화장료를 미리 시트 기재(基材)에 스며들게 한 시트 제품을 제작해 두고, 해당 시트 제품에 의해 메이크업을 닦아내는 방법도 들 수 있다. 메이크업을 제거한 후의 피부는, 씻어 내도 되고, 씻어 내지 않아도 된다. 즉,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씻어 내는 클렌징 화장료여도 되고, 씻어 내지 않는 클렌징 화장료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씻어 내지 않고 사용하는 클렌징 화장료(특히, 닦아내기용의 클렌징 화장료)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가 클렌징 화장료인 경우, 상기 클렌징 화장료를, 시트 기재에 함침함으로써 클렌징용의 시트 제품이 얻어진다. 즉, 상기 시트 제품은, 상기 시트 기재와, 상기 시트 기재에 함침된 상기 클렌징 화장료를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시트 제품은, 상기 시트 기재 및 상기 클렌징 화장료 이외의 구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시트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클렌징 화장료를 함침할 수 있는 시트상의 지지체이다. 상기 시트 기재로는, 직포,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 기재는, 적층체(즉, 적층 시트)여도 되고, 예를 들면, 직포의 적층체, 부직포의 적층체, 직포와 부직포의 적층체 등이어도 된다. 상기 시트 기재는, 사용감, 가공의 용이함 등의 관점에서, 부직포를 포함하는 시트 기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이다. 상기 부직포로는, 스펀본드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서멀본드 부직포, 니들펀치 부직포, 스티치본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직포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반천연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천연 섬유로는, 면, 펄프, 실크, 셀룰로오스, 마, 린터, 케이폭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섬유로는, 나일론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 아크릴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천연 섬유로는,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섬유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또, 2종 이상의 상기 섬유로 이루어지는 혼방 섬유를 이용해도 된다.
상기 시트 기재의 단위중량(目付)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닦는 느낌의 관점에서, 20∼100g/㎡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80g/㎡이다.
상기 시트 기재는, 직포나 부직포 등의 종류에 따라, 공지 관용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 상기 시트 기재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시판품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다이와보 폴리텍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RH」; 다이와보 폴리텍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AS-40」; 후타무라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TCF404WJ」; 유니티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콧트에이스 A060S/A18」; 유니티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콧트에이스 C030S/A18」; 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 제조, 상품명 「쿠라플렉스 JP2445B019」; 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 제조, 상품명 「쿠라플렉스 JP0509B056」; 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 제조, 상품명 「쿠라플렉스 JP4250H023」;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벰리제 JP254」;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벰리제 RE75K」; 산쇼 시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산모아 SP8740」; 산쇼 시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산모아 SP8748」; 이노가미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M1-30-2P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시트 제품에 있어서의, 상기 시트 기재에 대한 함침된 상기 클렌징 화장료의 질량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시트 기재 1.0 질량부에 대해, 상기 클렌징 화장료가 1.0∼10.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7.0 질량부이다.
상기 시트 제품의 형상은 시트상이다. 이것에 의해, 피부(살갗)를 닦는 사용 형태로의 사용성이 우수하고, 휴대성도 우수하다. 시트의 평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사각형(예를 들면, 정방형, 장방형 등), 삼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반원형; 초승달형; 배럴형(樽形); 고형(鼓形); 캐릭터의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생산성, 사용성이나 패키징성(梱包性)의 관점에서는 사각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트 제품에는, 벤 자국부, 도려냄부, 요철부 등의 성형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시트 제품의 시트의 편면의 표면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사용성, 휴대성, 포장성 등의 관점에서, 100∼3000c㎡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1000c㎡이다.
상기 시트 제품의 사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해당 시트 제품에 의해 피부 상의 메이크업을 닦아내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시트 제품은, 피부 상을 닦아서 사용하는 닦아내기용 시트 제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등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배합량 및 함유량은, 순분(純分)으로 환산한 양이며,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45, 비교예 1∼4 및 참고예 1∼2(피부 화장료의 조제)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의 피부 화장료에 대해, 표 1∼5에 기재한 조성에 따라, 상법(常法)으로 조제했다. 실시예 1의 피부 화장료의 25℃에서의 pH는 6.1이고, 실시예 40의 피부 화장료의 25℃에서의 pH는 5.5였다.
실시예, 비교예, 참고예 및 처방예에 있어서의 각 원료의 상세는 다음과 같다. 또한, 표 1∼5 및 각 처방예에 기재한 양은 상품의 양이 아니라, 각 성분의 양(유효 성분의 양)이다.
PEG-6(카프릴산/카프린산)글리세리즈: 고요 화인케미칼사 제조, 폴리옥시에틸렌(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 HLB: 14.5
카프릴산 폴리글리세릴-3: Evonik Nutrition & Care GmbH사 제조, 상품명 「TEGO(R) Cosmo P 813」, HLB: 11.1
라우린산 폴리글리세릴-10: 닛코 케미칼즈사 제조, 상품명 「NIKKOL Decaglyn 1-L」, 모노라우린산 폴리글리세릴, HLB: 17.1
이소스테아린산 PEG-10BG: 니혼 에멀전사 제조, 상품명 「EMALEX BGIS-110」, HLB: 10.0
이소스테아린산 PEG-65BG: 니혼 에멀전사 제조, 상품명 「EMALEX BGIS-165」, HLB: 16.0
페녹시에탄올: 고요 화인케미칼사 제조, 상품명 「카프렉토 PE-1」
1,2-옥탄디올: V.MANE FIL SA 제조, 상품명 「1,2-OCTANEDIOL」, 카프릴릴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아사히 가라스사 제조, 상품명 「DPG-FC」
미리스토일 글루타민산Na: 아지노모토사 제조, 상품명 「아미소프트 MS-11」, N-미리스토일-L-글루타민산 나트륨
코코일글루타민산Na: 아지노모토사 제조, 상품명 「아미소프트 ECS-22SB」, N-야자유 지방산 아실-L-글루타민산 나트륨
라우린산 PEG-12: 가오사 제조, 상품명 「에마논 1112」
PPG-14 디글리세릴: 사카모토 야쿠힝 고교사 제조, 상품명 「SY-DP14T」,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
N-야자유 지방산 아실-L-아르기닌에틸·DL-피롤리돈 카르본산염: 아지노모토사 제조, 상품명 「CAE」, 코코일아르기닌에틸 PCA
구연산Na: 쇼와 가코사 제조, 상품명 「구연산 삼나트륨(결정) S」, 구연산 나트륨
구연산: 후소 가가쿠 고교사 제조, 상품명 「정제 구연산M(결정)」
풀루란: 하야시바라사 제조, 상품명 「화장용 풀루란(PULLULAN(COSMETIC GRADE))」
각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의 피부 화장료에 대해서, -3℃와 50℃에 있어서의 안정성을 이하와 같이 평가했다.
(안정성 평가(-3℃))
각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의 피부 화장료(각 100ml)를, -3℃의 항온조 중에서 7일간 보존한 후, -3℃의 환경하에서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1∼5에 나타낸다.
◎(우수함): 무색 투명이고, 불용물이 전혀 인지되지 않는다.
○(양호): 약간 탁함이 인지되지만, 불용물은 인지되지 않는다.
△(사용 가능): 약간 불용물이 인지된다.
×(불량): 확실하게 불용물이 인지된다.
(안정성 평가(50℃))
각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의 피부 화장료(각 100ml)를, 50℃의 항온조 중에서 7일간 보존한 후, 50℃의 환경하에서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1∼5에 나타낸다.
◎(우수함): 무색 투명이고, 불용물이 전혀 인지되지 않는다.
○(양호): 약간 탁함이 인지되지만, 불용물은 인지되지 않는다.
△(사용 가능): 약간 불용물이 인지된다.
×(불량): 확실하게 불용물이 인지된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3]
Figure pct00003
[표 4]
Figure pct00004
표 1∼4의 결과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분 A, 성분 B, 성분 C, 성분 D 및 성분 E를 함유하는 각 실시예의 피부 화장료는,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한편 성분 C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및 성분 D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의 피부 화장료는,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표 5]
Figure pct00005
표 5의 결과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분 A, 성분 B, 성분 C, 성분 D 및 성분 E를 함유하는 각 실시예의 피부 화장료는,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한편 성분 C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3 및 성분 D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4의 피부 화장료는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참고예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부 화장료가 완충제인 성분 H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의 성분 D를 대신하여 성분 I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본 발명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성분 A, 성분 B, 성분 C, 성분 I 및 성분 E를 함유하고, 성분 H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피부 화장료도 본 발명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클렌징력 평가)
실시예 1∼5의 각 피부 화장료에 대해서, 클렌징력을 이하와 같이 평가했다.
인공 피부(뷰랙스사 제조, 상품명 「바이오 스킨 플레이트」, 백색)에 파운데이션 0.2g을 도포하고, 25℃의 환경하에서 12시간 방치한 후, 평가에 이용했다.
실시예 1∼5의 각 피부 화장료 1g을 함침시킨 코튼(세로 1.5cm×가로 1.5cm)을 이용하여, 상기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인공 피부를 5번 왕복으로 문질러, 파운데이션의 제거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 실시예 1(성분 A의 HLB 14.8), 실시예 3(성분 A의 HLB 13.5) 및 실시예 4(성분 A의 HLB 12.6)의 각 피부 화장료를 이용한 경우에는, 파운데이션은 완전히 제거되어 있어, 상기 피부 화장료는 우수한 클렌징력을 갖고 있었다. 실시예 2(성분 A의 HLB 10.0)의 피부 화장료를 이용한 경우에는, 파운데이션은 약간 남는 정도로까지 제거되어 있어, 상기 피부 화장료는 양호한 클렌징력을 갖고 있었다. 한편, 실시예 5(성분 A의 HLB 16.0)의 피부 화장료를 이용한 경우에는, 파운데이션이 명확하게 잔존하고 있어 상기 피부 화장료의 클렌징력은 불충분했다.
(끈적임 없음의 평가)
추가로, 실시예의 각 피부 화장료에 대해서, 끈적임 없음을 이하와 같이 평가했다.
각 피부 화장료를 함침시킨 코튼으로, 전완부 내측에 피부 화장료를 도포한 직후, 도포부의 끈적임의 유무를 평가했다.
그 결과, 실시예 7에서는 약간 끈적임을 느꼈지만, 사용 가능한 수준이며, 그 외의 실시예는 끈적임이 없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46∼48
실시예 1의 피부 화장료에 풀루란을 배합하여, 실시예 46∼48의 피부 화장료를 제작했다. 실시예 46의 피부 화장료 100 질량% 중의 풀루란의 함유량은 0.03 질량%, 실시예 47의 피부 화장료 100 질량% 중의 풀루란의 함유량은 0.07 질량%, 실시예 48의 피부 화장료 100 질량% 중의 풀루란의 함유량은 0.1 질량%였다.
(닦아냄 시의 마찰의 평가)
실시예 1, 46∼48의 각 피부 화장료를 함침시킨 코튼으로, 메이크업(파운데이션)을 한 상태의 뺨부를 3번 왕복으로 문질러서, 피부와의 마찰감을 평가했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피부 화장료와 비교하여, 실시예 46의 피부 화장료는 약간 마찰감이 낮았다. 실시예 1의 피부 화장료와 비교하여, 실시예 47, 48의 피부 화장료는 확실하게 마찰감이 낮았다.
처방예 1: 클렌징 로션
PEG-6(카프릴산/카프린산)글리세리즈 1.0 질량%
카프릴산 폴리글리세릴-3           1.0 질량%
라우린산 폴리글리세릴-10           2.0 질량%
페녹시에탄올                0.3 질량%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질량%
미리스토일 글루타민산Na           0.03 질량%
정제수                        잔부
N-야자유 지방산 아실-L-아르기닌에틸·DL-피롤리돈 카르본산염
0.05 질량%
구연산                     0.02 질량%
구연산 삼나트륨   0.24 질량%
에데트산 이나트륨            0.1 질량%
글리세린                    5.0 질량%
에탄올                     5.0 질량%
합계                     100.0 질량%
처방예 2: 클렌징 시트
<클렌징 화장료>
PEG-6(카프릴산/카프린산)글리세리즈 1.0 질량%
카프릴산 폴리글리세릴-3            1.0 질량%
라우린산 폴리글리세릴-10           2.0 질량%
페녹시에탄올                0.3 질량%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질량%
미리스토일 글루타민산Na           0.03 질량%
정제수                        잔부
N-야자유 지방산 아실-L-아르기닌에틸·DL-피롤리돈 카르본산염
0.05 질량%
구연산                    0.02 질량%
구연산 삼나트륨              0.24 질량%
에데트산 이나트륨               0.1 질량%
글리세린                    5.0 질량%
에탄올                    5.0 질량%
향료                      0.2 질량%
풀루란                    0.07 질량%
합계                     100.0 질량%
<시트 기재>
부직포(펄프 50%, 레이온 50%)     100.0 질량%
시트 기재 1.0 질량부에 대해, 클렌징 화장료를 4.0 질량부 함침시켰다.
처방예 3: 클렌징 로션
PEG-6(카프릴산/카프린산)글리세리즈 1.0 질량%
카프릴산 폴리글리세릴-3          1.0 질량%
라우린산 폴리글리세릴-10          2.0 질량%
페녹시에탄올                0.3 질량%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질량%
미리스토일 글루타민산Na          0.03 질량%
정제수                       잔부
N-야자유 지방산 아실-L-아르기닌에틸·DL-피롤리돈 카르본산염
                        0.05 질량%
에데트산 이나트륨              0.1 질량%
글리세린                   5.0 질량%
에탄올                   5.0 질량%
합계                    100.0 질량%
처방예 4: 클렌징 시트
<클렌징 화장료>
PEG-6(카프릴산/카프린산)글리세리즈 1.0 질량%
카프릴산 폴리글리세릴-3         1.0 질량%
라우린산 폴리글리세릴-10         2.0 질량%
페녹시에탄올               0.3 질량%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질량%
미리스토일 글루타민산Na         0.03 질량%
정제수                        잔부
N-야자유 지방산 아실-L-아르기닌에틸·DL-피롤리돈 카르본산염
                        0.05 질량%
에데트산 이나트륨              0.1 질량%
글리세린                   5.0 질량%
에탄올                   5.0 질량%
향료                      0.2 질량%
풀루란                   0.07 질량%
합계                    100.0 질량%
<시트 기재>
부직포(펄프 50%, 레이온 50%)     100.0 질량%
시트 기재 1.0 질량부에 대해, 클렌징 화장료를 4.0 질량부 함침시켰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예를 들면, 클렌징 화장료, 보습 화장료, 미백 화장료, 여드름 케어용 화장료, 안티에이징 화장료(예를 들면, 주름 억제, 처짐 억제 등을 목적으로 한다) 등의 스킨 케어 화장료; 두피 케어 화장료(예를 들면, 보습, 피지 억제 등을 목적으로 한다); 데오도런트 화장료; 선블록 화장료; 쉐이빙 화장료; 보디용 세정료 등의 분야에 사용된다.

Claims (5)

  1. 하기의 성분 A, 성분 B, 성분 C, 성분 D 및 성분 E를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성분 A: 비이온 계면활성제
    성분 B: 탄소수 5∼10의 1,2-알칸디올 및 페녹시에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성분 C: 디프로필렌글리콜
    성분 D: 미리스토일 글루타민산염
    성분 E: 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하기 성분 F를 포함하는 피부 화장료:
    성분 F: PPG-14 디글리세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하기 성분 G를 포함하는 피부 화장료:
    성분 G: N-야자유 지방산 아실-L-아르기닌에틸·DL-피롤리돈 카르본산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하기 성분 H를 포함하는 피부 화장료:
    성분 H: 완충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렌징 화장료인 피부 화장료.
KR1020187035924A 2017-03-28 2018-03-07 피부 화장료 KR102170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63670A JP6773595B2 (ja) 2017-03-28 2017-03-28 皮膚化粧料
JPJP-P-2017-063669 2017-03-28
JPJP-P-2017-063670 2017-03-28
JP2017063669A JP6773594B2 (ja) 2017-03-28 2017-03-28 皮膚化粧料
PCT/JP2018/008847 WO2018180315A1 (ja) 2017-03-28 2018-03-07 皮膚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299A true KR20190008299A (ko) 2019-01-23
KR102170742B1 KR102170742B1 (ko) 2020-10-27

Family

ID=6367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924A KR102170742B1 (ko) 2017-03-28 2018-03-07 피부 화장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70742B1 (ko)
CN (1) CN109475477A (ko)
WO (1) WO2018180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9257A1 (en) * 2021-05-14 2022-11-17 L'oreal Composition comprising skin care active ingredient and two polyglyceryl fatty acid ester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024A (ja) * 2000-04-10 2001-03-27 Kokyu Alcohol Kogyo Co Ltd 乳白状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95845A (ja) * 2001-09-25 2003-04-03 Club Cosmetics Co Ltd 半透明液状化粧料
JP2010222321A (ja) * 2009-03-25 2010-10-07 Mandom Corp 二層式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12082151A (ja) * 2010-10-07 2012-04-26 Kao Corp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12214406A (ja) 2011-03-31 2012-11-08 Naris Cosmetics Co Ltd クレンジング化粧水
JP2013014540A (ja) * 2011-07-04 2013-01-24 Mandom Corp 保湿化粧料
JP2014181206A (ja) * 2013-03-19 2014-09-29 Mandom Corp 水性クレンジング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1498B2 (ja) * 2003-08-26 2008-05-28 株式会社マンダム 防腐殺菌剤並びに該防腐殺菌剤を配合した化粧料、医薬品及び食品
JP6130121B2 (ja) * 2012-10-11 2017-05-17 花王株式会社 乳化型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6118546B2 (ja) * 2012-12-07 2017-04-19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組成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024A (ja) * 2000-04-10 2001-03-27 Kokyu Alcohol Kogyo Co Ltd 乳白状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95845A (ja) * 2001-09-25 2003-04-03 Club Cosmetics Co Ltd 半透明液状化粧料
JP2010222321A (ja) * 2009-03-25 2010-10-07 Mandom Corp 二層式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12082151A (ja) * 2010-10-07 2012-04-26 Kao Corp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12214406A (ja) 2011-03-31 2012-11-08 Naris Cosmetics Co Ltd クレンジング化粧水
JP2013014540A (ja) * 2011-07-04 2013-01-24 Mandom Corp 保湿化粧料
JP2014181206A (ja) * 2013-03-19 2014-09-29 Mandom Corp 水性クレンジング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742B1 (ko) 2020-10-27
WO2018180315A1 (ja) 2018-10-04
CN109475477A (zh)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5757B2 (ja) 水性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5554943B2 (ja) 透明多層液状化粧料
JP4274491B1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5723188B2 (ja) ジェル状クレンジング用化粧料
JP5419506B2 (ja) 二層式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6683524B2 (ja) 水性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6773594B2 (ja) 皮膚化粧料
JP6773595B2 (ja) 皮膚化粧料
KR101947681B1 (ko) 클렌징 화장료 및 시트 제품
JP5709167B2 (ja) ジェル状クレンジング用化粧料
KR101437727B1 (ko)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2007223938A (ja) 乳化型クレンジング化粧料組成物
JP2016124866A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102170742B1 (ko) 피부 화장료
JP7278867B2 (ja) 皮膚化粧料
JP5427970B1 (ja) 水性拭き取り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09235001A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5123090B2 (ja) メイクアップリムーバー
JPH0892032A (ja) 皮膚洗浄料
JP2008179584A (ja) 透明状皮膚洗浄剤組成物
CN112236125A (zh) 增溶皮肤清洁剂组合物
JP2019077675A (ja) ジェル状皮膚外用剤又は皮膚化粧料
KR102401695B1 (ko) 유화 클렌징 화장료
KR102565406B1 (ko) 수성 조성물
JP2003261416A (ja) 透明化粧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