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189A - 정자 간이 검사 키트, 시스템 및 정자의 간이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정자 간이 검사 키트, 시스템 및 정자의 간이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189A
KR20190008189A KR1020187029034A KR20187029034A KR20190008189A KR 20190008189 A KR20190008189 A KR 20190008189A KR 1020187029034 A KR1020187029034 A KR 1020187029034A KR 20187029034 A KR20187029034 A KR 20187029034A KR 20190008189 A KR20190008189 A KR 20190008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rm
substrate
cover
concave portion
se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4751B1 (ko
Inventor
료 이리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쿠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쿠르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쿠르트
Publication of KR20190008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8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perm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08Germ cells
    • C12N5/061Sperm cells, spermatogoni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15/1429Signal processing
    • G01N15/1433Signal processing using image recogn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1/03Cuvette constructions
    • G01N21/0303Optical path conditioning in cuvettes, e.g. windows; adapted optical elements or systems; path modifying or adjust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5Investigating moving fluids or granular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2B21/0008Microscopes having a simple construction, e.g. portable microscop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data related to laboratory analysis, e.g. patient specimen analy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1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biological cells, e.g. blood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75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optical means
    • G01N2015/006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2015/1006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for cytolog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2015/1027Determining speed or velocity of a part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2015/1029Particle siz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15/1434Optical arrangements
    • G01N2015/144Imaging characterised by its optical setu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2015/1486Counting the 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2015/1493Particle siz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021/0106General arrangement of respective parts
    • G01N2021/0118Apparatus with remote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2Mechanical
    • G01N2201/022Casings
    • G01N2201/0221Portable; cableless; compact; hand-he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0Scanning
    • G01N2201/102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24Cell structures in vitro; Tissue sections in vitr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Zoology (AREA)

Abstract

정자의 간이 검사를 실행하기 위한 정자 간이 검사 키트(10)는, 정보 단말기(11)의 카메라(30)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는 기판(20)과, 기판(20)의 표면에 설치되어 정액(A)을 수용하는 오목부(21)와 오목부(21)를 덮어 외부 광을 오목부(21)에 입사시키는 커버(22)와, 오목부(21)의 아래쪽의 기판(20) 내부에 설치되며, 오목부(21) 내부의 정액(A)을 확대하여 기판(20)의 뒷면 측에 상을 비추는 렌즈(2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정자 간이 검사 키트, 시스템 및 정자의 간이 검사 방법
관련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6년 3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번호 2016-044615에 기초한 것으로, 여기에 그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정자 간이 검사 키트, 시스템 및 정자 간이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불임의 원인 중 하나로 남성의 정자 이상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자의 정상 여부를 파악하는 검사(특허문헌 1 참조)는, 전문 의료기관에서 실시 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2009-288189호 공보
그러나 앞서 말한 정자 검사는, 병원 등에서 정액을 채취하거나 채취한 정액을 병원 등에 제출해야 하므로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결과가 나올 때까지 시간도 걸리고 비용도 든다. 그 결과, 의료기관을 통한 검사는 아무래도 부담이 되기 때문에 정자 이상이 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았다. 의료기관에서 검사를 하기 전에 자택 등에서 할 수 있는 간이 검사가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정자의 간이 검사를 자택 등에서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하여, 정자 간이 검사 키트를 이용하여 카메라가 달린 정보 단말기를 통해 정액의 동영상을 촬영한 다음, 그 동영상을 전송하고, 그 정보 단말기로 정자의 간이 검사 결과를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찾아내었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다음의 양태를 포함한다.
(1) 정자의 간이 검사를 실행할 수 있는 정자 간이 검사 키트이며, 정보 단말기의 카메라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는 한 장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표면에 설치되어 정액을 수용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를 덮어 외부 광을 상기 오목부에 입사시키는 커버와, 상기 오목부의 아래쪽의 기판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오목부 내부의 정액을 확대하여 상기 기판의 뒷면 측에 상을 비추는 렌즈를 구비하는, 정자 간이 검사 키트.
(2) 상기 커버는 상기 기판과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의 일부에 노치가 형성된, (1)에 기재된, 정자 간이 검사 키트.
(3) 상기 커버의 뒷면은 친수 처리된, (1) 또는 (2)에 기재된, 정자 간이 검사 키트.
(4) 상기 오목부에는, 해당 오목부의 바닥면과 상기 커버의 뒷면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가 설치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렌즈와 겹치는 위치에 설치된,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자 간이 검사 키트.
(5)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는 10㎛~20㎛인, (4)에 기재된, 정자 간이 검사 키트.
(6) 상기 기판 표면의 상기 오목부의 좌우 양측에는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함몰부에 의해 지지되는,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자 간이 검사 키트.
(7) 정자의 간이 검사를 실행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동영상 촬상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가 달린 정보 단말기와, 정자 간이 검사 키트를 구비하며, 상기 정자 간이 검사 키트는, 상기 정보 단말기의 카메라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는 한 장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표면에 설치되어 정액을 수용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를 덮어 외부 광을 상기 오목부에 입사시키는 커버와, 상기 오목부의 아래쪽의 기판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오목부 내부의 정액을 확대하여 상기 기판의 뒷면 측에 상을 비추는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정보 단말기는, 상기 정액의 확대상의 동영상을 카메라로 촬영하는 촬상 제어부와, 상기 정액의 확대상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동영상 표시 제어부와, 상기 동영상을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정자의 간이 검사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정자의 간이 검사 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검사 결과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시스템.
(8) 상기 정자 간이 검사 키트의 기판은, 상기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과 같은 면에 설치된 카메라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는, (7)에 기재된, 시스템.
(9) 상기 커버는, 상기 기판과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의 일부에 노치가 형성된, (7) 또는 (8)에 기재된, 시스템.
(10) 상기 커버의 뒷면은 친수 처리된 (7)~(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스템
(11) 상기 오목부에는, 해당 오목부의 바닥면과 상기 커버의 뒷면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가 설치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렌즈와 겹치는 위치에 설치된, (7)~(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스템.
(12)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는 10㎛~20㎛인, (11)에 기재된, 시스템.
(13) 상기 기판 표면의 상기 오목부의 좌우 양측에는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함몰부에 의해 지지되는, (7)~(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스템.
(14) 정자의 간이 검사를 실행하는 방법으로, 한 장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표면에 설치되어 정액을 수용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를 덮어 외부 광을 상기 오목부에 입사시키는 커버와, 상기 오목부의 아래쪽의 기판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오목부 내부의 정액의 상을 확대하여 상기 기판의 뒷면 측에 비추는 렌즈를 구비하는 정자 간이 검사 키트를, 동영상 촬상 기능을 갖는 카메라가 달린 정보 단말기의 카메라 위에 올려 놓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정액의 확대상의 동영상을 촬상하는 공정과, 상기 정액의 확대상의 동영상을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공정과, 상기 동영상을 정보 단말기의 통신부에서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공정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정자의 간이 검사 결과를 수신하는 공정과, 상기 정자의 간이 검사 결과를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정자의 간이 검사를 실행하는 방법.
(15) 상기 정자 간이 검사 키트를 상기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과 같은 면에 설치된 카메라 위에 올려 놓은 다음, 상기 정액의 확대상의 동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면서 촬상하는, (14)에 기재된 정자의 간이 검사를 실행하는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정자의 간이 검사를 집에서도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정자 간이 검사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정자 간이 검사 키트의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정자 간이 검사 키트 표면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정보 단말기의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정액의 동영상을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정액의 동영상을 전송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정자의 간이 검사 결과를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정자 간이 검사 키트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 9의 Y-Y 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구성예의 정자 간이 검사 키트 표면의 확대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하 좌우와 같은 위치 관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면에 나타낸 위치 관계에 근거한다. 또 도면의 치수 비율은 도시한 비율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음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은 이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정자 간이 검사 시스템>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정자 간이 검사 시스템(1)은, 정자 간이 검사 키트(10)와 동영상 촬상 기능을 갖는 카메라가 달린 정보 단말기(11)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정자 간이 검사 키트(10)는, 정보 단말기(11)의 카메라(30)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는 기판(20)을 가진다. 기판(20)은, 예를 들면 수지로 제작되었으며 얇은 직사각형 모양이다. 기판 (20)의 표면의 중앙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정액(A)을 수용하는 오목부(21)가 형성된다. 오목부(21)는, 예를 들면 평면에서 보았을 때 기판(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오목부(21)의 깊이(커버(22)의 아랫면과 오목부(21)의 바닥면의 거리)는, 일반적인 정자 머리의 두께를 고려하여 10㎛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10㎛ ~ 20㎛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로 설정되어, 정자의 활동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덧붙여 오목부(21)의 모양은 사각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기판(20)의 표면에는 오목부(21)를 덮는 직사각형 모양의 커버(22)를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20)의 표면에는 오목부(21)보다 큰 사각형 모양의 함몰부(dent)(20a)가 형성되며, 커버(22)는 그 함몰부(20) 상에 설치된다. 커버(22)는 투명 수지로 제작되어 외부 광을 통과시켜 오목부(21)에 입사시킬 수 있다. 커버(22)의 적어도 뒷면은 예를 들면 친수 처리가 되어 있다. 덧붙여 커버(22)는 오목부(21)의 일부를 덮는 것이어도 되고, 전부를 덮는 것이어도 된다.
오목부(21)에는 해당 오목부(21)의 바닥면과 커버(22)의 뒷면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S)가 설치된다. 스페이서(S)는, 예를 들면 얇은 원통의 핀 모양으로 형성되며, 오목부(21)의 바닥면에 세워진다. 스페이서(S)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복수 개가, 예를 들면 4개가 설치되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오목부(21)의 중심을 원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2와 같이 기판(20)의 오목부(21)의 중앙부 하단에는 오목부(21) 내부의 정액(A)을 확대하여 기판(20)의 뒷면 측에 상을 비추는 반구 렌즈(23)가 설치된다. 반구 렌즈(23)는 예를 들면 수지로 제작된다. 덧붙여 렌즈는 반구 렌즈(23)로 한정되지 않으며 볼 렌즈 등과 같이 다른 렌즈여도 무방하다.
또한 기판(20), 커버(22) 및 반구 렌즈(23)는, 모두 아크릴 등의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정보 단말기(11)는, 도 1과 같이 예를 들어 동영상 촬영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30)가 달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이다. 정보 단말기(11)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화면(31)과 같은 면에 카메라(30)를 구비한다.
도 4와 같이, 정보 단말기(11)는 정액(A)의 확대상의 동영상을 카메라(30)로 촬영하는 촬상 제어부(40)와, 정액(A)의 확대상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31)에 표시하는 동영상 표시 제어부(41)와, 동영상을 인터넷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해 외부 서버(R)로 전송하여, 외부 서버(R)로부터 정자의 간이 검사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42)와, 정자의 간이 검사 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31)에 표시하는 검사 결과 표시 제어부(43) 등을 가진다. 정보 단말기(11)는, 이 정보 단말기(11) 상에서 기동되며, 상기 촬상 제어부(40), 동영상 표시 제어부(41), 통신부(42) 및 검사 결과 표시 제어부(43)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후술할 정자의 간이 검사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AP)을 구비한다. 이 응용 프로그램(AP)은 통신 네트워크(N)을 통해 정보 단말기(11)에 다운로드 등을 할 수 있다.
<정자의 간이 검사 방법>
여기서, 상기 정자 간이 검사 시스템(1)을 이용한 정자의 간이 검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정자 간이 검사 키트(10)의 기판(20)의 오목부(21) 중앙의 반구 렌즈(23) 부근에 스포이드로 정액(A)을 한 방울 넣고, 그 위에 커버(22)를 씌운다(도 2). 이 때, 스페이서(S)에 의해 커버(22)의 뒷면과 오목부(21)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가 정자의 활동 범위를 확보하기에 바람직한 일정 거리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5와 같이, 정자 간이 검사 키트(10)를 정보 단말기(11)의 디스플레이 화면(31)과 같은 쪽에 있는 카메라(30) 위에 올려 놓는다.
그 다음 정보 단말기(11)의 애플리케이션(AP)을 기동한다. 이로 인해 정보 단말기(11)의 카메라(30)가 기동하여, 촬상 제어부(40)에 의해 동영상 촬상(C)이 시작된다. 이 때 정자 간이 검사 키트(10)에서 도 2와 같이 외부 광이 커버(22)로부터 오목부(21) 내부에 입사되며, 오목부(21)의 정액(A)을 지나 반구 렌즈(23)를 통과한다. 이를 통해 오목부(21) 내부의 정액(A)(정자(B))의 상이 반구 렌즈(23)에서 확대되어 카메라(30)에 비춰져 촬상된다. 카메라(30)로 촬상한 동영상(C)은, 동영상 표시 제어부(41)에 의해 도 5와 같이 정보 단말기(11)의 디스플레이 화면(31)에 표시된다. 이렇게 하여 확대된 정액(A)(정자(B))의 동영상(C)이 디스플레이 화면(31)에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이 때, 정자 간이 검사 키트(10)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 그 위치를 디스플레이 화면(31)을 보면서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화면(31)에 표시된 정액(A)의 동영상(C)은 녹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소정 시간 녹화된다. 그 후,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그 동영상(C)은 전송 버튼을 누름으로써 통신부(42)에 의해 통신 네트워크(N)을 통해 외부 서버(R)로 전송된다. 외부 서버(R)에서는, 예를 들면 받은 동영상 정보에 따라 정자의 간이 검사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동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간이 검사 결과로서 정자의 농도나 운동률 등을 산출한다. 그 후 정자의 간이 검사 결과는 외부 서버(R)를 통해 정보 단말기(11)로 전송되고, 정보 단말기(11)의 통신부(42)에서 수신한다. 그 후, 검사 결과 표시 제어부(43)에 의해 도 7과 같이 정자의 간이 검사 결과(D)가 정보 단말기(11)의 디스플레이 화면(31)에 표시된다. 덧붙여 간이 검사 결과에는 운동 정자수, 직진 정자수, 정자 속도, 정상 형태 비율 등이 포함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정자 간이 검사 키트(10)의 정보 단말기(11)의 카메라(30) 위에 놓아 정자의 동영상을 촬상하고, 정보 단말기(11)에서 그 동영상을 외부 서버(R)로 보내, 정자의 간이 검사 결과를 외부 서버(R)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정자의 간이 검사를 자택 등에서 쉽게 할 수 있다.
정자 간이 검사 키트(10)는, 정보 단말기(11)의 카메라(30)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는 기판(20)과, 정액(A)을 수용하는 오목부(21)와, 외부 광을 오목부(21)에 입사시키는 커버(22)와, 오목부(21) 내부의 정액(A)을 확대하여 기판(20)의 뒷면 측에 상을 비추는 반구 렌즈(23)를 구비한다. 이렇게 하면 기판(20)의 오목부(21)에 정액(A)을 넣고, 그 오목부(21)에 커버(22)를 씌운 다음, 기판(20)을 정보 단말기(11)의 카메라(30) 위에 놓는 것만으로, 정액(A)의 확대 동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따라서 정자의 간이 검사를 쉽게 실현할 수 있다. 광원으로서 외부 광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정자 간이 검사 키트(10)의 구성이 간단하며, 소형이면서 저렴한 정자 간이 검사 키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정자 간이 검사 키트(10)는, 정보 단말기(11)의 디스플레이 화면(31)측 면에 있는 카메라(30) 위에 올려 놓을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화면(31)을 보면서 정자 간이 검사 키트(10)의 위치 등을 조정할 수 있다.
커버(22)의 뒷면은 친수 처리가 되어있기 때문에, 적은 양의 정액(A)이라도 확실히 오목부(21) 내부로 퍼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액(A)의 확대상을 적절히 얻을 수 있다.
오목부(21)에는 스페이서(S)가 설치되어 있어, 오목부(21)의 바닥면과 커버(22)의 뒷면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커버(22)가 휘지 않으므로 정자의 활동 범위를 확보하면서도 오목부(21) 내부를 촬상하기에 최적의 깊이가 유지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22)는 기판(20)과 따로 구성되어 있으나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8 및 도 9와 같이, 커버(22)의 일부에는 오목부(21)로 통하는 노치(60)가 형성된다. 노치(60)는 예를 들면 사각형인 커버(22)의 측면 중앙에 원호 모양으로 형성된다. 덧붙여, 노치(60)의 위치나 모양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노치(60)의 형태는 사각형, 삼각형, 원형일 수도 있다. 커버(22)의 뒷면은 친수 처리가 되어있다. 덧붙여, ‘일체’라는 것은, 일체로 성형한 것이어도 되고, 별도로 성형하여 서로 접착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정자의 간이 검사를 실행할 때에는 스포이드 등을 이용하여 정액(A)을 커버(22)의 노치(60)로부터 오목부(21) 내부로 넣는다. 오목부(21) 내부로 들어간 정액(A)은 커버(22)의 친수성에 의해 오목부(21)의 전체로 퍼진다. 그 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정자 간이 검사 키트(10)를 카메라(30) 위에 올려 놓아 정액(A)의 동영상이 촬상되며, 그 동영상이 외부 서버(R)로 전송된 후 그 외부 서버(R)로부터 정자의 간이 검사 결과를 받아 정자의 간이 검사가 이루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커버(22)가 기판(20)과 일체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정자 간이 검사 키트(10)가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취급하기 쉬우며 보다 간단히 정자의 간이 검사를 실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로부터 발명해낼 수 있음이 분명하고,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받아들여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정자 간이 검사 키트(10)의 크기, 형태, 재질 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보 단말기(11)의 기능도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정자의 간이 검사를 자택 등에서 간단히 실행할 때 유용하다.
1 정자 간이 검사 시스템
10 정자 간이 검사 키트
11 정보 단말기
20 기판
21 오목부
22 커버
23 반구 렌즈
30 카메라
A 정액
B 정자

Claims (15)

  1. 정자의 간이 검사를 할 수 있는 정자 간이 검사 키트로서,
    정보 단말기의 카메라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는 한 장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표면에 설치되어 정액을 수용하는 오목부(recess)와,
    상기 오목부를 덮어 외부 광을 상기 오목부에 입사시키는 커버와,
    상기 오목부의 아래쪽의 기판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오목부 내부의 정액을 확대하여 상기 기판의 뒷면 측에 상을 비추는 렌즈를 구비하는, 정자 간이 검사 키트.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기판과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의 일부에 노치가 형성된, 정자 간이 검사 키트.
  3. 청구항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뒷면은 친수 처리된, 정자 간이 검사 키트.
  4. 청구항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는, 해당 오목부의 바닥면과 상기 커버의 뒷면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가 설치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렌즈와 겹치는 위치에 설치된, 정자 간이 검사 키트.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는 10㎛~20㎛인, 정자 간이 검사 키트.
  6. 청구항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표면의 상기 오목부의 좌우 양측에는 함몰부(dent)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함몰부에 의해 지지되는, 정자 간이 검사 키트.
  7. 정자의 간이 검사를 실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동영상 촬상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가 달린 정보 단말기와,
    정자 간이 검사 키트를 구비하며,
    상기 정자 간이 검사 키트는,
    상기 정보 단말기의 카메라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는 한 장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표면에 설치되어 정액을 수용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를 덮어 외부 광을 상기 오목부에 입사시키는 커버와,
    상기 오목부의 아래쪽의 기판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오목부 내부의 정액을 확대하여 상기 기판의 뒷면 측에 상을 비추는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정보 단말기는,
    상기 정액의 확대상의 동영상을 카메라로 촬영하는 촬상 제어부와,
    상기 정액의 확대상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동영상 표시 제어부와,
    상기 동영상을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정자의 간이 검사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정자의 간이 검사 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검사 결과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시스템.
  8.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정자 간이 검사 키트의 기판은, 상기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과 같은 면에 설치된 카메라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는, 시스템.
  9. 청구항 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기판과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의 일부에 노치가 형성된, 시스템.
  10. 청구항 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뒷면은 친수 처리된, 시스템.
  11. 청구항 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는, 해당 오목부의 바닥면과 상기 커버의 뒷면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가 설치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렌즈와 겹치는 위치에 설치된 시스템
  12. 청구항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는 10㎛~20㎛ 인, 시스템.
  13. 청구항 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표면의 상기 오목부의 좌우 양측에는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함몰부에 의해 지지되는, 시스템.
  14. 정자의 간이 검사를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 장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표면에 설치되어 정액을 수용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를 덮어 외부 광을 상기 오목부에 입사시키는 커버와, 상기 오목부의 아래쪽의 기판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오목부 내부의 정액의 상을 확대하여 상기 기판의 뒷면 측에 비추는 렌즈를 구비하는 정자 간이 검사 키트를, 동영상 촬상 기능을 갖는 카메라가 달린 정보 단말기의 카메라 위에 올려 놓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정액의 확대상의 동영상을 촬상하는 공정과,
    상기 정액의 확대상의 동영상을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공정과,
    상기 동영상을 정보 단말기의 통신부에서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공정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정자의 간이 검사 결과를 수신하는 공정과,
    상기 정자의 간이 검사 결과를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정자의 간이 검사를 실행하는 방법.
  15. 청구항 14항에 있어서,
    상기 정자 간이 검사 키트를 상기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과 같은 면에 설치된 카메라 위에 올려 놓은 다음, 상기 정액의 확대상의 동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면서 촬상하는, 정자의 간이 검사를 실행하는 방법.
KR1020187029034A 2016-03-08 2017-03-08 정자 간이 검사 키트, 시스템 및 정자의 간이 검사 방법 KR102134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44615A JP6045738B1 (ja) 2016-03-08 2016-03-08 精子簡易検査キット、システム及び精子の簡易検査を行う方法
JPJP-P-2016-044615 2016-03-08
PCT/JP2017/009213 WO2017154974A1 (ja) 2016-03-08 2017-03-08 精子簡易検査キット、システム及び精子の簡易検査を行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189A true KR20190008189A (ko) 2019-01-23
KR102134751B1 KR102134751B1 (ko) 2020-07-16

Family

ID=57543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034A KR102134751B1 (ko) 2016-03-08 2017-03-08 정자 간이 검사 키트, 시스템 및 정자의 간이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90265223A1 (ko)
EP (1) EP3428645A4 (ko)
JP (1) JP6045738B1 (ko)
KR (1) KR102134751B1 (ko)
CN (1) CN109313175B (ko)
AU (1) AU2017230534B2 (ko)
CA (1) CA3025652A1 (ko)
RU (1) RU2018135232A (ko)
TW (1) TW201733531A (ko)
WO (1) WO2017154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9044818A1 (ja) * 2017-08-29 2021-03-11 岡田 浩一 情報端末装置、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細胞観察キット
KR102210306B1 (ko) * 2018-08-28 2021-02-09 (주)인트인 체액 분석용 검사 장치
JP2020041928A (ja) * 2018-09-11 2020-03-19 株式会社東芝 セルフチェックシステム
CN109946299B (zh) * 2019-04-01 2023-08-25 谢跃兵 一种便携式居家体液检测装置
CN109856145B (zh) * 2019-04-01 2023-11-21 四川蝌动厚普科技有限公司 具备辅助光照及位置调节的体液便携式检测装置
US20220336070A1 (en) * 2019-07-31 2022-10-20 Spinshell, Inc. Reporting device, reporting method, reporting program, and reporting system
EP3865849A1 (en) * 2020-02-14 2021-08-18 Smart-Pick GmbH Sperm picking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0026A (ja) * 1998-06-22 2000-01-14 Tadao Sato 対物レンズと試料との位置関係を逆にして拡大像を得 る方法とその応用
JP2009288189A (ja) 2008-05-30 2009-12-10 Chiba Univ 精子機能の検査方法
WO2012126478A1 (en) * 2011-03-21 2012-09-27 Motilitycount Aps Device for analysis of cellular motility
JP2013088387A (ja) * 2011-10-21 2013-05-13 Olympus Corp 標本作成方法および標本作成装置
KR20130130443A (ko) * 2012-05-22 2013-12-02 성기용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액 분석 시스템
JP2015190989A (ja) * 2014-03-27 2015-11-02 横河電機株式会社 パターン入りカバーガラス付きスライド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2593B2 (ja) * 2006-03-13 2011-09-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検出装置
CN101952762B (zh) * 2008-01-02 2012-11-28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高数值孔径远程显微镜设备
CN101859022B (zh) * 2009-04-09 2012-07-25 上海中晶科技有限公司 玻片及其形成方法
SE536430C2 (sv) * 2011-11-23 2013-10-29 Calmark Sweden Ab Testsystemarrangemang och metod för testning
US9213174B2 (en) * 2012-11-01 2015-12-15 Olympus Corporation Microscope and controlling method
WO2014100715A2 (en) * 2012-12-21 2014-06-26 Ehrenkranz Joel R L Supplements and monitoring systems for dosing of the supplements
ES2830823T3 (es) * 2013-12-12 2021-06-04 Mes Medical Electronic Systems Ltd Dispositivo para someter a prueba en casa
CN104297152A (zh) * 2014-07-03 2015-01-21 宋和平 一种家用精子检测仪及其检测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0026A (ja) * 1998-06-22 2000-01-14 Tadao Sato 対物レンズと試料との位置関係を逆にして拡大像を得 る方法とその応用
JP2009288189A (ja) 2008-05-30 2009-12-10 Chiba Univ 精子機能の検査方法
WO2012126478A1 (en) * 2011-03-21 2012-09-27 Motilitycount Aps Device for analysis of cellular motility
JP2013088387A (ja) * 2011-10-21 2013-05-13 Olympus Corp 標本作成方法および標本作成装置
KR20130130443A (ko) * 2012-05-22 2013-12-02 성기용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액 분석 시스템
JP2015190989A (ja) * 2014-03-27 2015-11-02 横河電機株式会社 パターン入りカバーガラス付きスライド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61301A (ja) 2017-09-14
RU2018135232A3 (ko) 2020-04-06
RU2018135232A (ru) 2020-04-06
CA3025652A1 (en) 2017-09-14
JP6045738B1 (ja) 2016-12-14
TW201733531A (zh) 2017-10-01
EP3428645A1 (en) 2019-01-16
WO2017154974A1 (ja) 2017-09-14
US20190265223A1 (en) 2019-08-29
AU2017230534A1 (en) 2018-10-25
KR102134751B1 (ko) 2020-07-16
CN109313175B (zh) 2020-11-03
AU2017230534B2 (en) 2020-05-28
EP3428645A4 (en) 2019-10-09
CN109313175A (zh) 201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8189A (ko) 정자 간이 검사 키트, 시스템 및 정자의 간이 검사 방법
CN108474735B (zh) 双镜头测试设备
JP5227496B2 (ja) 生体内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その作動方法
US76343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ze analysis in an in vivo imaging system
CN109557669B (zh) 头戴显示设备的图像漂移量的确定方法及头戴显示设备
WO2012077713A1 (ja) 注視点検出方法及び注視点検出装置
US9282881B2 (en) 3D image shooting apparatus and endoscope
KR20190075045A (ko) 깊이 매핑을 위한 어레이 검출기
US9215966B2 (en) 3D image shooting apparatus and endoscope
US10516864B2 (en) Projector system
JP6256345B2 (ja) 集光ユニット、集光方法及び光検出システム
GB2494939A (en) Head-Mounted System for Image Pick-Up, Analysis and Display
US20070263923A1 (en) Method for Stereoscopic Measuring Image Points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EP3602253B1 (fr) Système de transparence pour caméra banalisée
CN115191931A (zh) 斜视检测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9153782A (ja) 非侵襲生体計測装置
KR101614121B1 (ko) 집적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CZ308335B6 (cs) Způsob popisu bodů předmětů předmětového prostoru a zapojení k jeho provádění
CN218279618U (zh) 斜视检测设备
US10225448B2 (en) Image acquisition system
Király et al. Stereoscopic vision system
US20190347794A1 (en) Portable and rapid screening in vitro detection system
US20050286683A1 (en) System for rapidly identifying body parts by matching optical and radiographic images
ES2964084T3 (es) Procedimiento de ajuste para ajustar una configuración para un procedimiento analítico
CN111164970B (zh) 一种光场采集方法及采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