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474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474A
KR20190007474A KR1020187036103A KR20187036103A KR20190007474A KR 20190007474 A KR20190007474 A KR 20190007474A KR 1020187036103 A KR1020187036103 A KR 1020187036103A KR 20187036103 A KR20187036103 A KR 20187036103A KR 20190007474 A KR20190007474 A KR 20190007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organic cotton
fibers
absorbent article
isl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8806B1 (ko
Inventor
다쿠야 미야마
사토루 사카구치
마사시 우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7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17Making absorbent pads from fibres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the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13/51405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reated or coated, e.g. with moisture repellent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8Surfacta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1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cellulos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3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a mixture of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2013/5144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a fibrous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2013/5144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a fibrous material
    • A61F2013/51452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a fibrous material being nonwov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61F2013/5303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being natural fibres
    • A61F2013/530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being natural fibres of cot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은 부직포를 구비하고 있다. 부직포는 오가닉 코튼 섬유(10)와 열가소성의 합성 섬유(12)를 포함한다. 오가닉 코튼 섬유(10)는 부직포 내에서 복수의 섬유괴(11)를 형성하고 있다.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표면은 석유 유래의 유제에 의해 코팅되어 있지 않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오가닉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소수성 합성 섬유와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친수성 섬유는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예컨대 코튼이나 레이온이다. 친수성 섬유 중 적어도 일부는, 집합체가 되어 시트 내에 분산되어 있다. 집합체(섬유괴)를 구성하는 친수성 섬유 중 적어도 일부는 소수성 섬유의 표면에 융착되어 있다. 또한, 소수성 섬유의 표면을 계면활성제 등으로 피복하여, 친수성을 부여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석유 유래의 유제가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651호
최근, 자연 환경을 보호한다고 하는 의식의 고조 및 피부에 순한 소재를 사용하고자 하는 의식의 고조로부터, 사용자는 무농약 재배된 자연 유래의 소재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특히 유아에게 사용하는 일회용 기저귀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대하여 피부에 순한 소재를 사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원의 발명자는 흡수성 물품에 포함되는 친수성 섬유(천연 셀룰로오스 섬유)로서, 오가닉 코튼 섬유를 이용하는 것을 고려하였다.
코튼 섬유는 소수성 합성 섬유와 비교하면, 수분을 흡습하기 쉽기 때문에, 코튼 섬유의 주위의 영역으로부터 코튼 섬유괴에 수분을 인입하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코튼 섬유괴에 어느 정도의 수분이 유지되면, 그 수분의 일부는 외부에 방출된다.
여기서, 코튼 섬유 표면 또는 코튼 섬유의 주위에, 석유 유래의 유제와 같은 비천연성 물질이 존재하면, 비천연성 물질이 코튼 섬유괴 중의 수분에 배어나온다고 하는 염려가 생긴다.
따라서, 코튼 섬유로서 오가닉 코튼 섬유를 이용하였다고 해도, 비천연성 물질이 섬유괴에 유지된 수분 중에 배어나오는 것 같은 경우에는, 피부에 순하다고 하는 안심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이 요구된다.
일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부직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부직포는 오가닉 코튼 섬유와 열가소성의 합성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오가닉 코튼 섬유는 상기 부직포 내에서 복수의 섬유괴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오가닉 코튼 섬유의 표면은 석유 유래의 유제에 의해 코팅되어 있지 않다.
도 1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과는 반대측에서 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표면 시트 또는 이면 시트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흡수성 물품의 일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일실시형태에 따른 부직포의 제조 방법의 일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에 이어지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
부직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부직포는 오가닉 코튼 섬유와 열가소성의 합성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오가닉 코튼 섬유는 상기 부직포 내에서 복수의 섬유괴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오가닉 코튼 섬유의 표면은 석유 유래의 유제에 의해 코팅되어 있지 않은 것인 흡수성 물품.
오가닉 코튼 섬유는 무농약 또는 저농약으로 재배되기 때문에, 지구 환경에 친화적이고, 또한 피부에 순하다고 하는 안심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오가닉 코튼 섬유의 표면은 석유 유래의 유제에 의해 코팅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오가닉 코튼 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괴가 수분을 유지하였다고 해도, 수분 중에 석유 유래의 유제가 배어나온다고 하는 불안감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피부에 순하다고 하는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합성 섬유는 식물 유래의 유제에 의해 코팅되어 있다.
합성 섬유의 표면이, 석유 유래의 유제가 아니라, 식물 유래의 유제에 의해 코팅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목적에 따라 합성 섬유에 친수성 또는 발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오가닉 코튼 섬유가 그 주위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였을 때, 합성 섬유의 표면에 코팅된 유제를 인입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합성 섬유의 표면에 코팅된 유제가 식물 유래의 유제이기 때문에, 오가닉 코튼 섬유에 유지된 수분 중에는 석유 유래의 유제가 아니라, 식물 유래의 유제가 혼입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피부에 순하다고 하는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섬유괴의 표면은 식물 유래의 유제에 의해 코팅되어 있다.
오가닉 코튼 섬유의 섬유괴의 표면이, 석유 유래의 유제가 아니라, 식물 유래의 유제에 의해 코팅되어 있다. 따라서, 오가닉 코튼 섬유에 의해 유지된 수분 중에 유제가 배어나왔다고 해도, 수분 중에 혼입하는 유제는 식물 유래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피부에 순하다고 하는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 전체의 중량에 대한 상기 오가닉 코튼 섬유의 중량은 2%∼50%의 범위이다. 상기 오가닉 코튼 섬유는 그 주위로부터 수분을 흡수하고, 흡수한 수분을 외부에 방출한다. 이와 같이, 오가닉 코튼 섬유는, 수분의 흡수와 방출의 밸런스를 잡는 작용을 갖는다. 부직포 전체의 중량에 대한 오가닉 코튼 섬유의 중량이 2%∼50%이기 때문에, 부직포 전체로서 수분의 흡수와 방출의 밸런스를 잡을 수 있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섬유괴의 주위에, 상기 섬유괴 및 상기 합성 섬유의 밀도보다 작은 밀도를 갖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오가닉 코튼 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괴가 수분을 흡수하였을 때, 섬유괴는 팽창한다. 이때, 섬유괴의 주위에는 밀도가 작은 영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섬유괴는 주위로부터 강하게 압박되는 일 없이, 팽창할 수 있다. 따라서, 섬유괴는 보다 효과적으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오가닉 코튼 섬유는 상기 합성 섬유에 열 융착되어 있지 않다. 오가닉 코튼 섬유가 합성 섬유에 열 융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합성 섬유에 석유 유래의 유제가 코팅되어 있는 경우라도, 합성 섬유로부터 오가닉 코튼 섬유에의 유제의 이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피부에 순하다고 하는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섬유괴는, 상기 부직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중앙부로 치우쳐 마련되어 있다. 수분을 흡수하기 쉬운 오가닉 코튼 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괴가,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부직포의 표면을 되도록 건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촉감이 좋은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앞뒤 방향과, 상기 앞뒤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의 흡수체와,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흡수체를 덮는 액체 불투과성의 샘 방지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직포는 상기 샘 방지 시트와 중복하지 않는 영역을 가지고, 상기 부직포의, 상기 샘 방지 시트와 중복하지 않는 영역은, 적어도,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서, 적어도 상기 흡수성 물품의 앞측으로부터 뒤측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즉,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상당하는 영역은, 샘 방지 시트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부직포로 구성되다. 부직포 중의 섬유괴는, 수분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작용을 갖는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다리 둘레의 영역은, 착용자의 피부측으로부터 흡수한 수분을 외부에 방출한다. 이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다리 둘레의 영역을 되도록 건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따르면, 상기 오가닉 코튼 섬유는, 상기 합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 짧은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다. 합성 섬유(12)의 평균 섬유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부직포 전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제조 중 및 사용 중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이 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평균 섬유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합성 섬유(12)끼리의 열 융착점을 감소시켜, 부직포로서 적절한 유연성을 실현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일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예컨대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이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일회용 기저귀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과는 반대측에서 본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이다. 흡수성 물품(1)은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을 갖는다. 길이 방향(L)은 착용자의 앞측(배측)으로부터 뒤측(등측)으로 연장되는 방향, 또는 착용자의 뒤측으로부터 앞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폭 방향(W)은 길이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이하, 사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측을 「피부면측」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사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를 향해지는 측을 「비피부면측」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3)와, 이면 시트(4)와, 흡수체(7)를 갖는다. 흡수체(7)는 표면 시트(3)와 이면 시트(4)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표면 시트(3)는 액체 투과성의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면 시트(4)와 흡수체(7) 사이에는, 액체 불투과성의 샘 방지 시트(5)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샘 방지 시트(5)는 적어도 흡수체(7)를 덮고 있다. 이면 시트(4)는 샘 방지 시트(5)를 덮고 있고, 샘 방지 시트(5)보다 외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면 시트(4) 중, 샘 방지 시트(5)와 중복하지 않는 영역은,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양 외측에서, 길이 방향(L)의 앞측 단부로부터 뒤측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이면 시트(4) 중, 샘 방지 시트(5)와 중복하지 않는 영역이, 사선에 의해 나타나 있다.
표면 시트(3)는 흡수체(7)를 덮는 액체 투과성 시트(3a)와, 폭 방향(W)에 있어서 액체 투과성 시트(3a)의 외측부를 덮고, 액체 투과성 시트(3a)보다 외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시트(3b)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3b)의 내측 가장자리는, 기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샘 방지 개더를 구성하고 있어도 좋다.
표면 시트(3) 및 이면 시트(4)는 부직포로 구성된다. 도 3은 표면 시트(3) 또는 이면 시트(4)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부직포는 오가닉 코튼 섬유(10)와 합성 섬유(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오가닉 코튼」은 농업 단계에 있어서, 국제적인 기준(CODEX에 준한 각국의 기준)에 기초하여 유기성이 인증되고, 그것이 증명되는 코튼을 의미한다.
합성 섬유(12)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여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로서는, 예컨대,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는, 유제에 의해 코팅되어 있어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는, 목적에 따라, 친수화 유제에 의해 친수화되어 있어도 좋고, 발수화 유제에 의해 발수성을 갖게 하여도 좋다. 예컨대, 표면 시트(3)의 액체 투과성 시트(3a)로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합성 섬유(12)를 친수화 유제에 의해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면 시트(4) 또는 표면 시트(3)의 사이드 시트(3b)로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합성 섬유(12)를 발수화 유제에 의해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시트(3)의 사이드 시트(3b)로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면 시트(4)로서의 부직포보다 높은 발수성을 갖는 발수화 유제에 의해 합성 섬유(12)를 코팅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오가닉 코튼 섬유(10)는 부직포 내에서 복수의 섬유괴(11)를 형성하고 있다. 오가닉 코튼 섬유(10)는 합성 섬유(12)보다 짧은 평균 섬유 길이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오가닉 코튼 섬유(10)는 부직포 내에서 섬유괴(11)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섬유괴(11)의 표면은 석유 유래의 유제에 의해 코팅되어 있지 않다. 오가닉 코튼 섬유(10)는 무농약 또는 저농약으로 재배되기 때문에, 지구 환경에 친화적이고, 또한 피부에 순하다고 하는 안심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표면은 석유 유래의 유제에 의해 코팅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오가닉 코튼 섬유(10)로 이루어지는 섬유괴(11)가 수분을 유지하였다고 해도, 수분 중에 석유 유래의 유제가 배어나온고 하는 불안감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피부에 순하다고 하는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양태 대신에,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섬유괴(11)의 표면은 식물 유래의 유제에 의해 코팅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섬유괴(11)의 주위의 합성 섬유(12)에 유제를 코팅함으로써, 섬유괴(11)의 표면을 식물 유래의 유제에 의해 코팅할(덮을) 수 있다.
또한,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표면이, 식물 유래로 이루어지는 유제에 의해 코팅되어 있는 경우, 오가닉 코튼 섬유에 의해 유지된 수분 중에 유제가 배어나왔다고 해도, 수분 중에 혼입하는 유제는 식물 유래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피부에 순하다고 하는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다.
합성 섬유(12)에 코팅하는 유제는, 석유 유래의 것이어도, 식물 유래의 것이어도 좋다. 유제에 의해, 합성 섬유(12)에 친수성 또는 발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유제는 식물 유래의 유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오가닉 코튼 섬유(10)가 주위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였을 때, 합성 섬유(12)의 표면에 코팅된 유제를 인입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합성 섬유(12)의 표면에 코팅된 유제가 식물 유래의 유제이기 때문에, 오가닉 코튼 섬유(10)에 유지된 수분 중에는 석유 유래의 유제가 아니라, 식물 유래의 유제가 혼입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피부에 순하다고 하는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다.
합성 섬유(12)에 코팅되는 식물 유래로 이루어지는 유제는, 예컨대, 미강유, 코코넛유, 동백유, 다엽 또는 유칼리로부터 추출한 성분 유래의 유제, 쌀겨로부터 추출한 성분 유래의 유제, 또는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안심감이라는 관점에서, 식물 유래로 이루어지는 유제는, 식품으로서 이용 가능한 것으로부터 추출한 성분 유래의 유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유제는 약산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람 피부에 가까운 pH의 유제를 이용함으로써, 피부에 순한 부직포로 할 수 있다.
부직포 전체의 중량에 대한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중량의 비는 2%∼50%, 바람직하게는 3%∼35%, 보다 바람직하게는 3%∼10%의 범위이다. 오가닉 코튼 섬유는 그 주위로부터 수분을 흡수하고, 흡수한 수분을 외부에 방출한다. 이와 같이, 오가닉 코튼 섬유(10)는 수분의 흡수와 방출의 밸런스를 잡는 작용을 갖는다. 부직포 전체의 중량에 대한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중량이 상기 범위이기 때문에, 부직포 전체로서 수분의 흡수와 방출의 밸런스를 잡을 수 있다.
합성 섬유(12)의 섬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부직포의 강도, 유연성, 촉감, 액체 투과성 등의 점에서, 1.1∼8.8 dtex, 바람직하게는 1.5∼4.6 dtex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0 dtex 이상의 섬도를 갖는 섬유에, 2.0 dtex 미만의 섬도를 갖는 섬유를 바람직하게는 10∼4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0% 포함한 합성 섬유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평균 섬유 길이를 길게 유지하면서, 섬유 길이가 짧은 합성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합성 섬유(12)가 가는 번수의 섬유를 포함함으로써,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섬유괴(11)가 부직포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섬유괴(11)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의 중앙측으로 치우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을 표면측의 양 층(T2, T3)과 중앙의 층(T1)으로 삼등분하여, 복수의 섬유괴(11) 중의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의 섬유괴가 중앙의 층(T1)에 존재하는 경우에, 복수의 섬유괴(11)가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의 중앙으로 치우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수분을 흡수하기 쉬운 오가닉 코튼 섬유(10)로 이루어지는 섬유괴(11)가, 두께 방향(T)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중앙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부직포의 표면을 되도록 건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촉감이 좋은 흡수성 물품(1)을 제공할 수 있다.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섬유괴(11)의 치우침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X선 CT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대상의 섬유괴(11)의 부분을 포함하는 부직포에 대해서, 부직포의 한쪽의 면으로부터, 다른쪽의 면이 촬영되도록 X선 CT(예컨대, 가부시키가이샤 빔센스사 제조 FLEX-M863)에 의해 촬영한다.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을 이용하여, 동일 부직포 내의 10점의 섬유괴(11)에 대해서 확인함으로써, 섬유괴(11)의 치우침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촬영 후의 샘플 중의 섬유괴(11)는, 후술하는 카야스테인 Q에 의한 염색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오가닉 코튼 섬유의 섬유괴(11)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부직포는 일반적으로는 10∼60 g/㎠의 범위의 평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8∼3.5 ㎜이다. 부직포의 두께는 측정압 3 g/㎠, 직경 10 ㎜의 측정 단자를 갖는 두께 측정기(가부시키가이샤 오자키세이사쿠쇼사 제조 Peacock 다이얼 시크네스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상의 부직포가 상이한 10점의 두께를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부터 「두께」를 얻는다.
상기 두께를 갖는 부직포에 있어서, 합성 섬유에 대한 오가닉 코튼 섬유의 중량 비율을 25%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조건에서,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중앙에 섬유괴(11)를 치우쳐 마련함으로써, 제조 공정 중 및 제품 사용 중에 있어서의 오가닉 코튼 섬유의 탈락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합성 섬유에 대한 오가닉 코튼 섬유의 중량 비율은, 이하의 방법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먼저, 부직포로부터 단위 면적(예컨대, 5 ㎝×5 ㎝)의 시험편을 취출한다. 이 시험편으로부터 오가닉 코튼 섬유를 취출하고, 취출한 오가닉 코튼 섬유의 중량을 측정한다. 이에 의해, 합성 섬유에 대한 오가닉 코튼 섬유의 중량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시험편으로부터 오가닉 코튼 섬유를 취출할 때에, 합성 섬유와 오가닉 코튼 섬유의 차이를 판별할 필요가 있다. 부직포 중의 섬유가, 오가닉 코튼 섬유로 이루어지는지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지는 이하의 방법에 따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시험편과 동량의 카야스테인 Q(니혼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칭량하고, 카야스테인 Q의 100배의 중량의 이온 교환수(60∼70도)로 용해한다. 이 용액을 가열하여, 용액이 비등하기 직전에, 중성 세제로 세정한 시험편을 용액 내에 투입한다. 그 후, 용액을 5분간 펄펄 끓인 후, 시험편을 조속하게 수세·건조하였다. 이 시점에서, 섬유괴는 섬유의 종별에 따른 색으로 염색된다. 그 후, 카야스테인 Q의 각종 섬유에의 색상을 바탕으로 섬유괴의 감별을 행할 수 있다.
부직포에 포함되는 오가닉 코튼 섬유(10)는, 합성 섬유(12)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 짧은 평균 섬유 길이를 갖고/갖거나, 합성 섬유(12)의 섬도보다 가는 섬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 섬유(12)의 평균 섬유 길이를 길게 하고/하거나, 합성 섬유(12)의 섬도를 굵게 함으로써, 부직포 전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제조 중 및 사용 중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이 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평균 섬유 길이를 짧게 하고/하거나,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섬도를 가늘게 함으로써, 합성 섬유(12)끼리의 열 융착점을 감소시켜, 부직포로서 적절한 유연성을 실현시킬 수 있다.
「평균 섬유 길이」는 JIS L 1015:2010의 부속서 A의 「A7.1 섬유 길이의 측정」의 「A7.1.1 A법(표준법) 눈금을 갖는 유리판 상에서 개개의 섬유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측정되는 평균 섬유 길이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1981년에 발행된 ISO 6989에 상당하는 시험 방법에 대응한다.
도 3에서는 표면 시트(3) 또는 이면 시트(4)를 구성하는 단층의 부직포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대신에, 표면 시트(3) 또는 이면 시트(4)는, 복수의 부직포가 중합된 복층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도 4는 흡수성 물품의 일부분(예컨대 도 1의 F3-F3 선)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영역에서는, 표면 시트(3)를 구성하는 부직포와 이면 시트(4)를 구성하는 부직포가 서로 중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의 F3-F3 선의 위치에서는, 사이드 시트(3b)와 이면 시트(4)가 서로 중합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섬유괴(11)는, 흡수성 물품(1)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의 중앙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섬유괴(11)가 표면 시트(3)와 이면 시트(4)의 각각의 시트의 표면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었다고 해도, 표면 시트(3)와 이면 시트(4) 전체로서 흡수성 물품(1)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의 중앙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이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표면을 되도록 건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촉감이 좋은 흡수성 물품(1)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가닉 코튼 섬유(10)로 이루어지는 섬유괴(11)의 주위에, 섬유괴(11) 및 합성 섬유(12)의 밀도보다 작은 밀도를 갖는 영역(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가닉 코튼 섬유(10)로 이루어지는 섬유괴(11)가 수분을 흡수하였을 때, 섬유괴(11)는 팽창한다. 이때, 섬유괴(11)의 주위에는 밀도가 작은 영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섬유괴(11)는 주위로부터 강하게 압박되는 일 없이, 팽창할 수 있다. 따라서, 섬유괴(11)는, 보다 효과적으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가닉 코튼 섬유(10)에 의한 보습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오가닉 코튼 섬유(10)는 합성 섬유(12)에 열 융착되어 있지 않다. 오가닉 코튼 섬유(10)가 합성 섬유(12)에 열 융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합성 섬유(12)로부터 오가닉 코튼 섬유(10)에의 유제의 이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피부에 순하다고 하는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다.
오가닉 코튼 섬유(10)는 흡수성 물품(1)을 구성하는 부직포 중, 적어도, 샘 방지 시트(5)와 중복하지 않는 영역의 부직포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오가닉 코튼 섬유(10)를 포함하는 부직포로 구성되는 표면 시트(3) 및/또는 이면 시트(4)의, 샘 방지 시트(5)와 중복하지 않는 영역은, 적어도,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외측에서, 적어도 흡수성 물품(1)의 앞측으로부터 뒤측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즉,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상당하는 영역은, 샘 방지 시트(5)를 갖지 않고, 오가닉 코튼 섬유(10)를 포함하는 부직포만으로 구성된다. 부직포 중의 섬유괴(11)는, 수분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작용을 갖는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의 다리 둘레의 영역은, 착용자의 피부측으로부터 흡수한 수분을 외부에 방출한다. 이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의 다리 둘레의 영역을 되도록 건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3)를 구성하는 액체 투과성 시트(3a)는, 전술한 바와 같은 오가닉 코튼 섬유(10)를 포함한 부직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부직포를 구성하는 합성 섬유(12)는, 친수화 유제에 의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투과성 시트(3a)는,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면적이 큰 시트이다. 따라서, 액체 투과성 시트(3a)에 오가닉 코튼 섬유(10)를 포함한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피부에 순하다고 하는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면 시트(3b)는 외측으로부터 사용자가 닿기 쉬운 부분이기 때문에, 이면 시트(3b)에 오가닉 코튼 섬유(10)를 포함한 부직포를 사용하였을 때에도, 사용자에게 피부에 순하다고 하는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다.
도 5는 오가닉 코튼 섬유(10)로 이루어지는 섬유괴(11)를 포함하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1에 이어지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먼저,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원면을 준비한다. 다음에,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원면을 웨브형으로 형성한다(단계 S1). 예컨대,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원면은, 카딩 장치(20)에 의해 웨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웨브형의 오가닉 코튼 섬유(10)는 반송 벨트 상을 반송된다.
다음에, 후술하는 단계 S3 전에,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웨브를 적시는 것이 바람직하다(단계 S2). 단계 S2는 임의로 실시되면 좋다.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가습은, 예컨대 물방울을 분사하는 가습 장치(30)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웨브를 적시고 나서 단계 S3에서 고압의 수류를 분사함으로써, 보다 섬유 밀도가 균일한 시트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웨브를 메쉬(50) 상에 두고,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웨브에 수류를 분사하여 시트로 한다(단계 S3).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웨브에 분사하는 수류는, 분사 장치(40)에 의해, 소직경 노즐의 노즐로부터 고수압으로 분사된다.
이에 의해, 섬유 길이가 작은 오가닉 코튼 섬유(10)가 메쉬(50)의 개구를 통하여 제거된다. 또한, 수류의 분사에 의해, 미세한 이물도 메쉬(50)의 개구를 통하여 제거된다. 따라서, 본 단계 S3 이후의 단계(특히 혼합 섬유로부터 부직포를 형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섬유 길이가 작은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조 공정 중에 배비된 여러 가지 설비에 미분이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 S3에 있어서,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웨브에 수류를 분사함으로써, 오가닉 코튼 섬유(10)가 딱딱한 이물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하기 때문에,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표면에 이물이 나타나기 쉬워진다. 따라서,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시트의 표면에 이물을 눈에 띄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물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메쉬의 개구율은 바람직하게는 5∼40%, 보다 바람직하게는 5∼20%의 범위이다. 이에 의해, 제조 공정 중에 미분으로서 탈락하여 쉬운 섬유 길이가 짧은 오가닉 코튼 섬유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메쉬의 개구경은 바람직하게는 0.2 ㎜∼0.6 ㎜,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0.45 ㎜이다.
도 1에서는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시트의 편면으로부터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웨브에 수류를 분사하고 있다.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웨브에 분사된 수류는, 이물의 주위의 섬유를 밀어냄으로써, 이물을 시트 상에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시트의 표면에 이물을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시트에 분사하는 수류의 압력은, 이물을 시트의 표면에 노출시키기 쉽게 하도록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시트를 건조시킨다(단계 S4).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시트의 건조는 건조기(60)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다음에,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시트의 표면에 나타난 이물을 제거한다(단계 S5). 구체적인 일례로서, 먼저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웨브에 수류를 분사한 후로서 후술하는 오가닉 코튼 섬유의 시트를 개섬하기 전에,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시트의 표면에 노출된 이물을 제거한다. 이물의 위치는, 카메라(70)에 의해 자동적으로 특정하여도 좋다. 단계 S3에 있어서, 이물이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시트의 표면에 나타나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이 제거된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시트(W)는, 일단, 롤(R)에 권취되어도 좋다.
다음에, 오가닉 코튼 섬유의 시트를 개섬하여, 면형의 오가닉 코튼 섬유를 형성한다. 상기 공정 S1∼S5에 의해, 섬유 길이가 작은 오가닉 코튼 섬유는 대폭 제거되어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특히, 단계 S3에 있어서 수류의 압력이나 메쉬의 개구율을 조정함으로써, 0.3 ㎜ 미만의 섬유 길이를 갖는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수를, 0.3 ㎜ 이상의 섬유 길이를 갖는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수의 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부직포의 제조 공정 중에, 오가닉 코튼 섬유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오가닉 코튼 섬유 중의 특히 미소한 섬유, 즉 부직포의 섬유 사이의 공극으로부터 탈락하기 쉬운 섬유를 적게 할 수 있어, 제조 공정 중에 있어서의 미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오가닉 코튼 섬유를 흡수성 물품에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 탈락한 미소한 섬유에 의한 시트간 접합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성형성과 사용 중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합성 섬유(12)와 면형의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혼합 섬유로부터 부직포를 형성한다. 합성 섬유(12)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여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로서는, 예컨대,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는, 전술한 유제에 의해 코팅되어 있어도 좋다. 유제에 의한 코팅의 타이밍은, 합성 섬유(12)를 오가닉 코튼 섬유(10)와 혼합하기 전인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 섬유로부터 부직포를 형성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 단의 카딩 장치(102)에 의해 합성 섬유(12)를 공급한다. 또한, 제2 단의 카딩 장치(104)로, 상기 공정 S1∼S5를 거친 오가닉 코튼 섬유(10)를 공급한다. 오가닉 코튼 섬유(10)는 강성이 낮고 부드러운 재질이기 때문에, 카딩 장치(104)의 핀에 의해 괴상의 섬유괴(11)로 할 수 있다. 또한, 제3 단의 카딩 장치(106)에 의해 합성 섬유(12)를 공급한다. 이에 의해, 오가닉 코튼 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괴(11)가 두께 방향의 중앙으로 치우쳐 배치된 혼합 섬유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혼합 섬유로부터 섬유괴(11)가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섬유를 예컨대, 스루 에어 방식의 가열실(110)에 보내어, 합성 섬유(12)를 열 융착함으로써, 부직포(13)가 제조된다. 또한, 오가닉 코튼 섬유(10)는 열 융착되지 않고, 섬유끼리의 얽힘에 의해 부직포(13) 내에 머무른다.
혼합 섬유 전체, 즉 부직포 전체의 중량에 대한 오가닉 코튼 섬유(10)의 중량의 비는 2%∼50%, 바람직하게는 3∼35%, 보다 바람직하게는 3∼10%이다. 오가닉 코튼 섬유의 양이 많으면, 섬유괴(11)가 많은 수분을 흡수하여 버려, 흡수성 물품을 착용한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부여하여 버리기 때문이다.
합성 섬유(12)의 섬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부직포의 강도, 유연성, 촉감, 액체 투과성 등의 점에서, 1.1∼8.8 dtex, 바람직하게는 1.5∼4.6 dtex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0 dtex 이상의 섬도를 갖는 섬유에, 2.0 dtex 미만의 섬도를 갖는 섬유를 바람직하게는 10∼4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0% 포함한 합성 섬유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평균 섬유 길이를 길게 유지하면서, 섬유 길이가 짧은 합성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합성 섬유(12)가 가는 순번의 섬유를 포함함으로써, 오가닉 코튼 섬유의 섬유괴가 부직포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하여 조금도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루 에어 방식의 가열실을 이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었다. 이 대신에, 혼합 섬유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해 다른 공지의 임의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2016년 5월 13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6-97494호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Claims (9)

  1. 부직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부직포는 오가닉 코튼 섬유와 열가소성의 합성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오가닉 코튼 섬유는 상기 부직포 내에서 복수의 섬유괴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오가닉 코튼 섬유의 표면은 석유 유래의 유제에 의해 코팅되어 있지 않은 것인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섬유는 식물 유래의 유제에 의해 코팅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괴의 표면은 식물 유래의 유제에 의해 코팅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전체의 중량에 대한 상기 오가닉 코튼 섬유의 중량은 2%∼50%의 범위인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괴의 주위에, 상기 섬유괴 및 상기 합성 섬유의 밀도보다 작은 밀도를 갖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가닉 코튼 섬유는 상기 합성 섬유에 열 융착되어 있지 않은 것인 흡수성 물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섬유괴는, 상기 부직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중앙부로 치우쳐 마련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의 흡수체와,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흡수체를 덮는 액체 불투과성의 샘 방지 시트
    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중 한쪽 또는 양쪽은 상기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직포는 상기 샘 방지 시트와 중복하지 않는 영역을 가지고,
    상기 부직포의, 상기 샘 방지 시트와 중복하지 않는 영역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서, 적어도 상기 흡수성 물품의 앞측으로부터 뒤측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가닉 코튼 섬유는 상기 합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 짧은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KR1020187036103A 2016-05-13 2017-04-14 흡수성 물품 KR102478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97494 2016-05-13
JP2016097494A JP6404259B2 (ja) 2016-05-13 2016-05-13 吸収性物品
PCT/JP2017/015251 WO2017195527A1 (ja) 2016-05-13 2017-04-14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474A true KR20190007474A (ko) 2019-01-22
KR102478806B1 KR102478806B1 (ko) 2022-12-19

Family

ID=60266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103A KR102478806B1 (ko) 2016-05-13 2017-04-14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240086A1 (ko)
EP (1) EP3437608B1 (ko)
JP (1) JP6404259B2 (ko)
KR (1) KR102478806B1 (ko)
CN (1) CN109152676B (ko)
EA (1) EA033002B1 (ko)
WO (1) WO20171955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3491A (ko) 2022-03-11 2023-09-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타이타늄계 분말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3583B (zh) * 2017-11-28 2022-03-22 花王株式会社 吸收体和吸收性物品
JP6538948B2 (ja) * 2017-11-28 2019-07-03 花王株式会社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JP7119501B2 (ja) * 2018-03-30 2022-08-17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GB2581560B (en) 2018-09-07 2021-08-11 Kao Corp Air-through nonwoven fabric for absorbent article
JP6763051B2 (ja) * 2018-12-13 2020-09-3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2135593B (zh) * 2018-12-13 2022-04-15 花王株式会社 吸收性物品
JP7260396B2 (ja) * 2019-05-21 2023-04-1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050128B2 (ja) * 2020-08-25 2022-04-0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2301541B (zh) * 2020-10-20 2023-02-28 西安工程大学 一种易降解可重复使用高效非织造吸油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0651A (ja) 2000-06-19 2002-01-08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WO2014019733A1 (en) * 2012-07-30 2014-02-06 Sca Hygiene Products Ab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with coated element and related methods
WO2015082534A1 (de) * 2013-12-06 2015-06-11 Schill + Seilacher Gmbh Verwendung einer tensidzusammensetzung zur hydrophilen ausrüstung von textilfasern und daraus hergestellten textilerzeugnisse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0171A1 (en) * 1998-09-01 2005-01-27 Kanebo, Ltd. Non-woven fabric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production apparatus used for the production method, cushion materials, filters, non-woven fabric structures using the same and non-woven fabric suitable to cushion materials
JP2001353182A (ja) * 2000-06-12 2001-12-25 Mitsuko Kakubari 生理用布ナプキ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3987684B2 (ja) * 2000-11-21 2007-10-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555616B2 (ja) * 2004-06-11 2010-10-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
JP2010126849A (ja) * 2008-11-28 2010-06-10 Ube Nitto Kasei Co Ltd 短繊維不織布用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短繊維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生活用品
JP3154532U (ja) * 2009-07-31 2009-10-22 齋藤 宗之 生理用品及び尿漏れパッド
CN102058899B (zh) * 2010-12-23 2013-03-20 董世贤 一种具有杀菌消炎功能的卫生巾及其制作方法
EP3085733B1 (en) * 2011-05-20 2019-08-2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Fibers of polymer-oil compositions
MX2015012713A (es) * 2013-03-15 2016-10-21 Gp Cellulose Gmbh Celulosa modificada de fibra krafy quimica, y metodos para prepararla y usarla.
US20150196434A1 (en) * 2014-03-25 2015-07-16 Jenny Alaine Reel Stretch Cloth Diaper Flat
CN204690264U (zh) * 2015-06-04 2015-10-07 北京大源非织造有限公司 一种含植物油剂的非织造布
JP6404260B2 (ja) * 2016-05-13 2018-10-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0651A (ja) 2000-06-19 2002-01-08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WO2014019733A1 (en) * 2012-07-30 2014-02-06 Sca Hygiene Products Ab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with coated element and related methods
WO2015082534A1 (de) * 2013-12-06 2015-06-11 Schill + Seilacher Gmbh Verwendung einer tensidzusammensetzung zur hydrophilen ausrüstung von textilfasern und daraus hergestellten textilerzeugnissen
US20160281293A1 (en) * 2013-12-06 2016-09-29 Schill + Seilacher Gmbh Use of a surfactant composition for the hydrophilic finishing of textile fibers and textile products manufactured therefro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3491A (ko) 2022-03-11 2023-09-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타이타늄계 분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37608A1 (en) 2019-02-06
WO2017195527A1 (ja) 2017-11-16
EP3437608B1 (en) 2021-02-24
JP6404259B2 (ja) 2018-10-10
CN109152676B (zh) 2020-06-02
KR102478806B1 (ko) 2022-12-19
EA201892606A1 (ru) 2019-02-28
US20190240086A1 (en) 2019-08-08
CN109152676A (zh) 2019-01-04
EA033002B1 (ru) 2019-08-30
EP3437608A4 (en) 2019-05-01
JP2017202265A (ja)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7474A (ko) 흡수성 물품
KR101302740B1 (ko) 흡수성 물품
JP3980043B2 (ja) 吸収性物品
CN111182870A (zh) 包括天然纤维的顶片
KR102557595B1 (ko) 흡수성 물품
CN108472164A (zh) 具有通道的吸收制品
JP2021065433A (ja) 吸収性物品
WO2019130751A1 (ja) 吸収性物品
JP2007222673A (ja) 吸収性物品
KR102419771B1 (ko) 흡수성 물품 및 포장체
JP2020039842A (ja) 吸収性物品
JP6714659B2 (ja) 吸収性物品用の不織布
JP6764439B2 (ja) 不織布
TWI814914B (zh) 吸收性物品
JP6405337B2 (ja) 不織布の製造方法
WO2021241169A1 (ja) 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3244472U (ja) 吸収性物品
JP6764450B2 (ja) 吸収性物品の包装体
JP6974094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943694B2 (ja) 吸収性物品
JP2007130293A (ja) 吸収性物品
WO2020097756A1 (en)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wetness indic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