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219A - 갑각류 및 포유 동물의 면역력 증강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갑각류 및 포유 동물의 면역력 증강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219A
KR20190007219A KR1020170088388A KR20170088388A KR20190007219A KR 20190007219 A KR20190007219 A KR 20190007219A KR 1020170088388 A KR1020170088388 A KR 1020170088388A KR 20170088388 A KR20170088388 A KR 20170088388A KR 20190007219 A KR20190007219 A KR 20190007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composition
present
bacillus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5806B1 (ko
Inventor
최은희
Original Assignee
최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희 filed Critical 최은희
Priority to KR1020170088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806B1/ko
Publication of KR20190007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nnabinols,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02A40/818Alternative feeds for fish, e.g. in aquacultures

Abstract

본 발명은 효모속 미생물, 락토바실러스속 미생물, 바실러스속 미생물을 포함하는 유용 미생물과 목초액의 복합성분을 포함하는, 갑각류와 포유 동물의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표유 동물과 갑각류에 대하여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효과와, 표유 동물과 갑각류의 면역 증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갑각류 및 포유 동물의 면역력 증강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IMMUNITY ENHANVEMENT FEED ADDITVES OF CRUSTACEANS AND MAMMAL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본 발명은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갑각류 및 포유 동물의 사료에 첨가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축산업 또는 양식업에 있어서, 표유 동물 또는 수산 생물의 질병은 경제적 손실, 안전성 문제 등의 다양한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산업에 있어 포유 동물의 질병은 영양학적 소실은 물론 경영상의 많은 문제를 가져왔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질병예방과 치료 및 성장촉진을 위한 항생물질이 포유 동물의 사료 첨가제와 함께 이용되어왔다. 그러나 항생물질의 무분별한 이용에 따라,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균의 출현과 축산물내에 항생물질의 잔류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생산된 축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이 부각되면서 소비자는 안전하고 기능성이 강조되는 안전한 축산물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천연자원으로부터 유래한 포유 동물의 면역 증강효과를 갖고,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새로운 항생제의 대체 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나아가, 갑각류의 양식에 있어서, 고밀도로 사육되는 갑각류들은 과대 밀식에 의한 질병에 항시 노출되어 있다. 양식장 내에서 발생하는 질병들은 갑각류의 성장 나아가, 갑각류의 생산량에도 영향을 미쳐 치명적인 피해를 입힌다. 이러한 질병들은 병원성 세균, 바이러스 및 기생충에 의한 감염이 원인이 된다. 척추동물과 달리, 갑각류들은 특정한 면역체계가 없어, 감염원들에 대항하는 백신의 이용이 실질적으로 어렵다.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약품 첨가제들이 개발되었으나 이들 대부분은 항생제에 의존적이다. 무분별한 항생제의 남용 및 과다 사료 투여가 지속되면, 어류 내 축척에 따른 인류 보건 위협, 항생제 내성 균주의 확산, 수출 갑각류 내 항생제 검출로 인한 수출 차질 발생, 수질 오염 이라는 또 다른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에, 항생제의 사용을 줄이고, 포유 동물 또는 갑각류 나아가, 수산 생물의 면역력을 증강시켜 이에 따른 질병을 예방하고, 다양한 질병을 야기시키는 병원균에 항균활성을 갖는, 새로운 동물 사료용 조성물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된 사항들이 선행기술로 존재한다고 인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효모 속 미생물,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 바실러스 속 미생물과 같은 유용 미생물들이, 동물의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갖는 것을 인지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목초액의 복합성분 또한 항균효과가 뛰어나며, 용해성, 유해산소 제거능력이 우수한 점을 인지할 수 있었고, 이에 이상의 유용 미생물들과 함께 동물의 사료 첨가제로서 이용할 수 있음을 인지하였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효모 속 미생물,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 바실러스 속 미생물의 유용 미생물 및 목초액의 복합성분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다양한 동물들 중, 갑각류 양식에 심각한 폐사를 일으키는 흰 반점 바이러스 (WSSV, white spot syndrome virus), 비브리오 콜레라 (Vibrio cholerae), 장염 비브리오 (Vibrio parahaemolyticus) 에 대한, 본 발명의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항균효과에 주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 생리활성 물질을 추가했을 때,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뿐만 아니라, 포유 동물 또는 수산 생물의 면역 증강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포유 동물 또는 수산 생물 특히, 갑각류의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 또는 면역 증강효과가 우수한,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유효 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물 사료에 첨가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때, 조성물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 (Saccharomyces cerevisiae),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균주 및 목초액의 복합성분 포함한다.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는 효모 (yeast) 속의 미생물로서, 맥주의 제주나 빵의 발효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는 비타민 B군이 풍부하며, 소화효소를 함유하고 있음에 따라 병원균에 대한 항균성을 가질 수 있고, 항병력 증진과 함께 포유 동물의 장내 유익균을 활성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는 스타메렐라 봄비콜라 (Starmerella bombicola) 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효모 속 미생물이 이용될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은 락토바실러스 속의 미생물로서, 유제품, 맥주, 와인, 김치의 생산과 함께 동물사료로 이용될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은 젖산과 함께 항균물질인 락톨린산을 생산할 수 있음에 따라,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효과를 위해,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 중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락토바실러스 액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코리니포미스 (Lactobacillus coryniformis),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김치아이 (Lactobacillus kimchii), 락토바실러스 무리너스 (Lactobacillus murinus), 락토바실러스 파라브레비스 (Lactobacillus parabrevis), 락토바실러스 파라플란타럼 (Lactobacillus para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류테리 (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Lactobacillus salivarius) 또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 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유용 미생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는 바실러스 속에 속하는 미생물로서, 식물의 면역력을 증진하고, 인산 분해능력을 가지며, 유해 미생물의 증식, 특히 사상균 발육 저해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는 항균물질의 생성할 뿐만 아니라, 단백질 및 전분 분해효소를 생산할 수 있음에 따라, 조단백질, 비단백태 질소, 아미노산 등을 가수분해할 수 있고, 그 결과 사료 이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효과를 위해, 바실러스 속 미생물 중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바실러스 알베이 (Bacillus alvei),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페이션스 (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안트라시스 (Bacillus anthracis), 바실러스 시리어스 (Bacillus cereus), 바실러스 서쿨란스 (Bacillus circulans), 바실러스 글로비가이 (Bacillus globigii), 바실러스 인페르누스 (Bacillus infernus), 바실러스 라배 (Bacillus larvae), 바실러스 라테로스포루스 (Bacillus laterosporus), 바실러스 무실라기노서스 (Bacillus mucilaginosus), 바실러스 나토 (Bacillus natto), 바실러스 폴리믹사 (Bacillus polymyxa), 바실러스 슈도안트라시스 (Bacillus pseudoanthracis), 바실러스 푸미러스 (Bacillus pumilus), 바실러스 스패리쿠스 (Bacillus sphaericus), 바실러스 스포로써모듀란스 (Bacillus sporothermodurans), 바실러스 스테아로써모필러스 (Bacillus stearothermophilus), 바실러스 튜린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 (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코아굴런스 (Bacillus coagulan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또는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Bacillus megaterium) 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유용 미생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효모 속, 락토바실러스 속 및 바실러스 속의 유용 미생물은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 동물 또는 수산 생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갑갑류의 질병의 원인이 되는 병원균에 항균활성을 가지는 생균제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면역 증강 효과를 위해서, 유용 미생물 각각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최소 1.0 x 106 CFU/g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조성물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효모 속의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는 다른 균주들보다 조성물 내에서 높은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이상의 유용 미생물과 목초액의 복합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목초액"은 나무를 숯으로 만들 때 연기가 외부 공기와 접촉하면서 액화된 수용성의 액체를 의미하며, 6개월 이상 숙성되면 독성과 유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목초액은 80 내지 90 %가 물과, 약 3 %의 아세트산을 포함하여, 포름산, 지방산, 등의 소량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목초액의 복합성분"은 이상의 목초액의 모든 성분들, 또는 각각의 성분들이 다양하게 조합을 이루는 복합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목초액의 복합성분은 농약, 가축의 악취 제거, 가축 사료로 이용될 수 있고, 나아가 의약품의 원료로도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목초액의 복합성분은 생리활성 증진 및 항균효과가 뛰어날 수 있고, 유용 미생물의 영양원이 될 수 있음에 따라, 유용 미생물과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포유 동물 또는 수산 생물의 면역 증강에 효과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척추 동물과 달리 특정한 면역 체계가 없으며 이에 따라 백신의 이용이 어렵고 병원균의 감염에 취약한 갑각류에 효과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해산 갑각류 또는 담수산 갑각류, 보다 바람직하게 새우아목, 집게아목 및 게아목, 보다 더 바람직하게 새우아목에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이상의 갑각류에 대하여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다양한 병원균들 중, 장염 비브리오, 비브리오 콜레라, 비브리오 프로테올리티쿠스 (Vibrio proteolyticus), 라제니디움 (Lagenidium) 속 및 할리프토로스 (Haliphthoros) 속의 난균을 포함하는 라제니드균 (Lagenidiales) 목, 푸사리움 솔라니 (Fusarium solani), 흰 반점 바이러스 또는 니마바이러스 (Nimavirus), 간췌장 파보바이러스 (hepatopancreatic parvovirus), 노랑 머리 바이서르 (Yellow head virus), 타우라 증후군 바이러스 (taura syndrome virus), 살모넬라 엔테리카 (Salmonella enterica),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엔토로커스 파에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또는 스트렙토코커스 산구니스 (Streptococcus sanguinis) 의 병원균들은 갑각류에 감염되어 질병을 야기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이러한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장염 비브리오, 비브리오 콜레라, 흰 반점 바이러스에 강한 항균활성을 가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흰 반점 바이러스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가질 수 있다.
흰 반점 바이러스는 새우에 감염되면, 새우의 갑피, 외지 및 큐티클에 흰반점이 나타나게 되고, 새우의 간췌장이 붉은색을 띌 수 있다. 흰 반점 바이러스에 감염된 새우는, 감염 후 3일 내지 5 일이 경과하면 폐사에 이르게 된다. 이에 따라, 흰 반점 바이러스는 새우 양식업에 막대한 손해를 일으킬 수 있다. 한편, 흰 반점 바이러스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흰 반점 바이러스의 활성을 실질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 새우의 면역력을 증강시켜 이와 같은 바이러스에 감염되더라도 빠른 회복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보다 증진된 면역 증강 효과를 위해 생리 활성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생리 활성물질"은 유전자 발현, 생리 기능을 조정하는 물질로서, 생체 내에서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의 생리 활성물질은 포유 동물 또는 수산 생물, 특히 수산 생물 중 갑갑류의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병원균의 감염의 위험을 낮출 수 있고,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갖는,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 이용되는 생리 활성물질은 아라비녹실레인 (arabinoxylane), β-글루칸 (β-glucan), 퀘세틴 (quercetin), 카테킨 (catechin), 레스베라트롤 (resveratrol) 또는 이소플라본 (isoflavone)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라비녹실레인은 쌀겨에서 추출한 다당류를 효소로 분해시킨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 이용될 경우, 포유 동물 또는 수산 생물의 면역 증강 효과를 기여할 수 있다.
β-글루칸은 효모의 세포벽 또는 버섯류 또는 곡류에서 추출된 다당류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 이용될 경우, 갑각류의 면역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β-글루칸은 효모 속 미생물로부터 유래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β-글루칸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 사카로마이세스 델부르에키 (Saccharomyces delbrueckii), 사카로마이세스 로제이 (Saccharomyces rosei), 사카로마이세스 마이크로엘립소이즈 (Saccharomyces microellipsoides), 사카로마이세스 카를스베르겐시스 (saccharomyces carlsbergensis), 사카로마이세스 비스포러스 (Saccharomyces bisporus), 사카로마이세스 퍼멘타티 (Saccharomyces fermentati), 사카로마이세스 룩시 (Saccharomyces rouxii), 사카로마이세스 우바럼 (Saccharomyces uvarum), 시조필리움 폼즈 (Schizophyllum pombs), 클루이베로마이세스 폴리스포러스 (Kluyveromyces polysporus), 칸디다 알비칸스, 칸디다 클로아케 (Candida cloacae), 칸디다 트로피칼리스 (Candida tropicalis), 칸디다 유틸리스 (Candida utilis), 한세눌라 윙게이 (Hansenula wingei), 한세눌라 아르니 (Hansenula arni), 한세눌라 헨리키 (Hansenula henricii), 한세눌라 아메리카나 (Hansenula Americana), 한세눌라 카나디엔시스 (Hansenula canadiensis), 한세눌라 캡슐라타 (Hansenula capsulata), 한세눌라 폴리모르파 (Hansenula polymorpha), 클루이베로마이세스 프라길리스 (Kluyveromyces fragilis), 피키아 클루이베리 (Pichia kluyveri), 피키아 파스토리스 (Pichia pastoris), 피키아 폴리모르파 (Pichia polymorpha), 피키아 로다넨시스 (Pichia rhodanensis), 피키아 오메리 (Pichia ohmeri), 토룰롭시스 보비아나 (Torulopsis bovina) 또는 토룰롭시스 글라브라타 (Torulopsis glabrata) 로부터 유래한 β-글루칸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β-글루칸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로부터 유래한 β-글루칸일 수 있다.
또한, β-글루칸 생산 효모, 바람직하게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를 첨가한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β-글루칸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과 유사한 면역기능 활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퀘세틴은 황색 색소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 이용될 경우, 갑각류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카테킨은, 중금속, 환경 호르몬과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 이용될 경우, 포유 동물 또는 수산 생물 내의 유해물질을 배설시키는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라스베라트롤은 항균물질로서, 이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 이용할 경우 병원균으로부터의 항균효과, 포유 동물 또는 갑각류 체내에서의 항 염증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소플라본은 콩단백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 이용될 경우, 포유 동물 또는 수산 생물의 면역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 이용되는 생리 활성물질은 전술한 것에 제한되지 않고, 더 다양한 생리 활성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로티노이드 (carotinoid), 폴리페놀 (polyphenol), 친유성 비타민, 플라보노이드 (flavonoid), 이소플라본 (isoflavone), 커르큐미노이드 (curcuminoid), 세라미드 (ceramide), 프로안토시아니딘 (proanthocyanidin), 테르피노이드 (terpenoid), 스테롤 (sterol), 피토스테롤 (phytosterol), 토코트리에놀 (tocotrienol), 스쿠알렌 (squalene) 및 레티노이드 (retinoid) 가 생리 활성물질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액상 형태 또는 미세분말 형태일 때, 동물의 사료와 혼합하여 이용하는 데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형태 또는 미세분말 형태의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포유 동물 또는 수산 생물에 제공했을 때, 다른 형태의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제공했을 때 보다 영양성분 흡수율, 소화 흡수율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같이 이용하는 사료의 형태, 포유 동물의 종류, 축산 또는 양식 환경 등에 따라 용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상의 천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포유 동물의 축산업 또는 갑각류의 양식산업에 제공됨으로써, 항생제 및 화학적 약품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항생제 내성의 병원균의 발생, 포유 동물 또는 갑각류 내의 축적, 수질 오염과 같은 환경 오염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이용은 고가의 간장제, 영양제들의 이용을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포유 동물의 축산업 또는 갑각류의 양식에 있어서 비용 절감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쌀겨, 밀기울, 칼륨, 염화물 및 당을 균질화하는 단계, 혼합물을 획득하도록, 균질화된 쌀겨, 밀기울, 칼륨, 염화물 및 당과 아라비녹실레인, 퀘세틴, 카테킨을 혼합하는 단계, 반응물을 획득하도록, 혼합물에 가수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및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획득하도록, 반응물에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목초액의 복합성분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쌀겨, 밀기울, 칼륨, 염화물 및 당은 갑각류의 영양 공급원일 수 있고,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포함하는 유용 미생물의 영양 공급원일 수 있다. 이에, 영양 공급원은 쌀겨, 밀기울, 칼륨, 염화물 및 당에 제한되지 않으며, 포유 동물 또는 수산 생물 또는, 유용 미생물의 생장에 효과적인 모든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각각의 함량은 갑각류의 종류, 투입 유용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용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하는 단계는, 혼합물을 획득하도록, 균질화된 쌀겨, 밀기울, 칼륨, 염화물 및 당과 아라비녹실레인, 퀘세틴 및 카테킨을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물에 β-글루칸, 레스베라트롤 및 이소플라본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생리 활성물질은 전술한 조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활성 또는 포유 동물 또는 수산 생물의 면역 증강효과를 갖는 한, 다양한 조합의 아라비녹실레인, 퀘세틴, 카테킨, β-글루칸, 레스베라트롤, 이소플라본으로 구성된 생리 활성물질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응시키는 단계는, 혼합물에 가수분해효소를 첨가하여 70 내지 80 ℃에서 10 내지 14 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반응 조건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반응시키는 단계에서는 가수분해효소가 반응할 수 있는 다양한 조건에서, 가수분해효소와 혼합물을 반응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가수분해효소"는 가수분해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를 의미한다. 이때, 가수분해효소는 고분자의 영양 성분, 예를 들어, 쌀겨, 밀기울, 아라비녹실레인, 퀘세틴, 카테킨, β-글루칸, 레스베라트롤, 이소플라본을 가수분해하여 포유 동물 또는 수산 생물 또는, 영양 미생물에 대한 영양 흡수율을 높이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가수분해효소로는, 에스테르 가수분해효소 (esterase), 글루코사이드 가수분해효소 (glucosidase) 류의 전분 가수분해효소 (amylase), 셀룰로오스 가수분해효소 (cellulase), 헤미룰로오스 가수분해효소, 펙틴 가수분해효소 (pectinase), 키틴 가수분해효소 (chitinase) 및 라이소자임 (lysozyme) 과 펩타이드 가수분해효소 (peptidase),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protease), 아마이드류 가수분해효소 (amidase), 글루타민 가수분해효소 (glutaminase), 아스파라긴 가수분해효소 (asparaginase), 요소 가수분해효소 (urease) 또는 ATP 가수분해효소 (ATPase, adenosinetriphosphatase), 옥살로아세트산 가수분해효소 (oxaloacetase) 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물 사료에 첨가되는 사료용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용 조성물은, 전술한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료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첨가에 따라, 포유 동물 또는 수산 생물, 특히 갑갑류에 대한 면역 증강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질환을 유발하는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사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2 내지 2.0 중량 %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함량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동물의 종류, 동물의 상태, 양식 환경 등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이 0.2 내지 2.0 중량 %로 첨가된 사료용 조성물의 경우, 갑각류들 중, 새우의 면역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고, 다양한 병원성균 중, 흰 반점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는 사료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료용 조성물은, 새우의 높은 성장률, 이에 따른 높은 수익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사료용 조성물은 사료를 변질시키는 유해 미생물의 번식이 억제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는 사료보다 높은 보존률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유용 미생물 및 목초액의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포유 동물 또는 수산 생물의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 효과와 갑각류 특히, 새우의 면역 증강 활성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흰 반점 바이러스, 비브리오 콜레라, 장염 비브리오와 같은 새우 양식에 심각한 폐사를 일으키는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갖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따라, 폐사율을 감소시키고, 새우 양식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무분별한 항생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포유 동물의 축산업 또는 갑각류의 양식업에 있어서, 항생제 사용에 따른 문제점들을 예방하거나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동물의 사료를 변질시킬 수 있는 유해 미생물의 활성을 억제함에 따라, 사료의 부패 또는 산패를 장시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포유 동물 및 갑갑류의 면역 증강효과가 우수한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유효 함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쌀겨, 밀기울, 칼륨, 염화물 및 당 각각이 분쇄되어 미세 분말로의 균질화가 수행된다 (S110). 균질화 단계 (S110) 에서 쌀겨, 밀기울, 칼륨, 염화물 및 당은 갑각류의 영양 공급원과 동시에, 후술되는 유용 미생물들의 영양 공급원일 수 있다. 이에, 영양 공급원은 전술한 쌀겨, 밀기울, 칼륨, 염화물 및 당의 조합에 제한되지 않으며, 동물 또는 유용 미생물의 생장에 효과적인 모든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이들 각각의 함량은 동물의 종류, 투입 유용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용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 다음, 균질화 단계 (S110) 에서 획득한 균질화된 쌀겨, 밀기울, 칼륨, 염화물 및 당으로 구성된 영양원에 아라비녹실레인, 퀘세틴 및 카테킨이 혼합된다 (S120). 이때, 아라비녹실레인, 퀘세틴 및 카테킨은 생리 활성물질로서, 포유 동물 및 갑각류의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병원균 감염의 위험을 낮추며,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질 수 있다. 혼합하는 단계 (S120) 에서는, 선택적으로, β-글루칸, 레스베라트롤, 이소플라본의 생리 활성물질이 더 혼합될 수 있다. 한편, 생리 활성물질은 전술한 조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혼합하는 단계 (S120) 에서는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활성 또는 갑각류의 면역 증강효과를 갖는 한, 다양한 조합의 아라비녹실레인, 퀘세틴, 카테킨, β-글루칸, 레스베라트롤, 이소플라본의 생리 활성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그 다음, 혼합하는 단계 (S120) 에서 획득한 혼합물이 가수분해효소가 첨가되어 반응된다 (S130). 반응시키는 단계 (S130) 에서는 가수분해효소가 첨가된 혼합물을 70 내지 80 ℃에서 10 내지 14 시간 반응시킨다. 이때, 가수분해효소는 획득한 혼합물에 대한 포유 동물 또는 수산 생물, 예를 들어 갑각류의 소화 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반응시키는 단계 (S130) 에서 획득한 반응물에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의 유용 미생물 및 목초액의 복합성분이 혼합된다 (S140). 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이 획득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유용 미생물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최소 1.0 x 106 CFU/g의 함량으로 반응물에 혼합될 수 있다. 한편, 유용 미생물 및 목초액의 복합성분을 혼합하는 단계 (S140) 에서는 사료 첨가제로서의 이용의 용이함을 위해, 선택적으로 획득한 첨가용 조성물을 분말화하고, 이를 건조하는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효과에 대한 평가 방법 및 결과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의 유용 미생물로 구성된 생균제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의 미생물들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최소 1 x 106 CFU/g의 함량으로 포함된다. 또한, 본 평가에서는 흰 다리 새우가 이용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효과는 흰 다리 새우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다 다양한 갑각류, 나아가 수산 생물 또는 포유 동물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평가는 서로 다른 지역의 흰 다리 새우 양식장 2 곳에서 수행되었고, 각각의 양식장은 시험군 및 대조군의 2 개의 필드로 구성되었다. 시험군 필드에는 흰 다리 새우의 생육 기간 동안 새우 사료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이 살포되었고, 대조군 필들에서는 새우 사료만이 살포되었다. 이때, 새우 사료는 매일 3 회 살포되었다. 한편, 시험군 필드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이 새우 사료 1 kg 당 0.48 ml의 양으로, 새우 사료와 동시에 살포되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 대한 평가 (1)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 대한 평가 방법 및 결과를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Figure 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본 평가가 수행된 양식장의 면적은 4000 m2이고, 평가에 이용된 새우 개체수는 170000마리이다. 이에, 시험군 및 대조군 필드 내의 흰 다리 새우의 사육밀도는 면적당 43마리이다.
구체적으로, 시험군 및 대조군 필드는 사료 공급, 수질 관리, 양식장 소독 및 조류 관리 등과 같은 양식조건이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나아가, 이용된 새우 사료는 Nuri 인공사료이고, 공급빈도 및 공급량은 제조 업체의 지침에 따른다. 시험군 및 대조군의 수질은 매주 요오드와 EM으로 관리하고, 비가 올 때는 라임을 추가로, 조류가 심할 때는 지올라이트를 이용한다. 또한, 시험군 및 대조군의 수온은 26 내지 34 ℃로, 용존 산소량은 4 ppm 이상을 유지한다.
Figure 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평가 동안 총 5 번의 새우 발육측정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기간 2, 기간 3에서는 시험군 필드 내의 흰 다리 새우의 성장률이 대조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기간 4 내지 기간 5에서는 대조군의 필드에서 흰 반점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이 발생됨에 따라, 대조군 필드 내의 흰 다리 새우들이 모두 수확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이 첨가된 시험군 필드에서는, 질병이 발생되지 않았고 흰 다리 새우들은 또한 높은 성장률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흰 다리 새우의 면역력을 증강 활성 효과와 흰 반점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활성 효과를 갖고, 이에 따라 흰 다리 새우들은 높은 성장률을 유지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표 3을 참조하면, 시험군 필드내에서 수확된 흰 다리 새우의 평균 무게는 26.32 g으로, 대조군의 조기 수확된 흰 다리 새우의 평균 무게인 14.1 g보다 높게 나타남에 따라, 시험군 필드내의 흰새우는 대조군보다 높은 성장률이 나타난다. 이에 따라, 시험군 필드의 흰 다리 새우 생산량은 4560 kg으로, 대조군보다 약 2.2 배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나아가, 시험군 필드 내의 흰 다리 새우는 대조군 필드 내의 흰 다리 새우보다 맑고 투명한 색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단위 체중 증가에 필요한 사료 섭취량을 나타내는 사료 요구율 (FCR, feed conversion ration) 은, 대조군의 1.31에 비하여 시험군이 1.24로 낮은 결과를 나타낸다. 이는, 흰 다리 새우의 성장에 있어서, 시험군 필드의 흰 다리 새우들이 대조군의 흰 다리 새우들보다, 요구하는 사료량이 적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화학적 항생제 대신에 이용한 허브 및 약품의 경비는 시험군 필드와 대조적으로, 대조군 필드에서 큰 비용이 소요된 것으로 나타난다. 즉,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이용이 항생제나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의약품의 이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험군 필드의 이익률은 125.93 %로, 대조군의 12.36 %에 비하여 약 10 배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 대한 평가 (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 대한 평가 방법 및 결과를 표 4 내지 표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Figure pat00004
표 4를 참조하면, 본 평가가 수행된 양식장의 면적은 5200 m2이고, 평가에 이용된 새우 개체수는 250000 마리이다. 이에, 시험군 및 대조군 필드 내의 흰 다리 새우의 사육밀도는 면적당 48 마리이고, 평균 무게는 1.85 g이다.
구체적으로, 시험군 및 대조군 필드는 사료 공급, 수질 관리, 양식장 소독 및 조류 관리 등과 같은 양식조건이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나아가, 이용된 새우 사료는 Grovest 인공사료이고, 공급빈도 및 공급량은 제조 업체의 지침에 따른다. 시험군 및 대조군의 수질은 매주 요오드와 EM으로 관리하고, 비가 올 때는 라임을 추가로, 조류가 심할 때는 지올라이트를 이용한다.
Figure pat00005
표 5를 참조하면, 평가 동안 총 6 번의 새우 발육측정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기간 2, 기간 3에서는 시험군 필드 내의 흰 다리 새우의 성장률이 대조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기간 4 내지 기간 6에서는 대조군의 필드에서 흰 반점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이 발생됨에 따라, 대조군 필드 내의 흰 다리 새우들이 모두 수확된다. 한편, 시험군 필드에서도 흰 반점 바이러스에 따른 질병이 발생되었으나, 허브 및 프로바이오틱스의 투입만으로 4 일만에 회복되고, 평가가 끝날 때까지 흰 다리 새우들은 높은 성장률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흰 다리 새우의 면역력을 증강 활성 효과와 흰 반점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활성 효과를 갖고, 이에 따라 흰 다리 새우들은 높은 성장률을 유지할 수 있다.
Figure pat00006
표 6을 참조하면, 시험군 필드 내에서 수확된 흰 다리 새우의 평균 무게는 약 27 g으로, 대조군의 조기 수확된 흰 다리 새우의 평균 무게인 13 g보다 높게 나타남에 따라, 시험군 필드내의 흰새우는 대조군보다 높은 성장률이 나타난다. 이에, 시험군 필드의 흰 다리 새우 생산량은 6980 kg으로, 대조군보다 약 2.5 배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나아가, 시험군 필드 내의 흰 다리 새우는 대조군 필드 내의 흰 다리 새우보다 맑고 투명한 색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사료 요구율은, 대조군의 1.35에 비하여 시험군이 1.12로 낮은 결과를 나타낸다. 이는, 흰 다리 새우의 성장에 있어서, 시험군 필드의 흰 다리 새우들이 대조군의 흰 다리 새우들보다, 요구하는 사료량이 적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흰 반점 바이러스 질병 발생에 따라, 허브 및 약품의 경비는 대조군 필드보다 시험군 필드에서 많은 비용이 소요된 것으로 나타나지만, 이는 대조군의 조기 수확에 의한 결과일 수 있다. 또한, 시험군 필드의 이익률은 178.03 %로, 대조군 필드의 50.58 %에 비하여 약 3.5 배 높은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새우 양식에 있어서 높은 수익률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실시예 1 및 2의 결과로,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로 구성된 유용 미생물들과 목초액의 복합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새우 양식에 있어서 사료와 함께 이용됨으로써, 높은 새우 성장률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높은 이익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사료 1 kg 당 0.48 ml의 적은량의 투입으로도 병원균에 따른 질병을 예방할 수 있고, 나아가 새우의 면역 증강 효과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이 살포된 필드 내의 새우들은, 면역력이 증가됨에 따라 흰 반점 바이러스, 비브리오 콜레라, 장염 비브리오에 대하여 면역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새우, 나아가 갑각류에 대한 면역 증강용 조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포유 동물에 대한 사료 첨가용 조성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료용 조성물은, 상기 사료 첨가용 조성물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들은 또한 자체적으로 질병을 유발하는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질 수 있음에 따라, 화학적 항생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항생제 사용에 따른 문제점들을 예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들을 제공함에 따라, 사료를 변질시킬 수 있는 유해 미생물은 활성이 억제될 수 있고, 그 결과 본 발명은 사료의 부패 또는 산패를 장시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Claims (12)

  1. 동물의 사료에 첨가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로서,
    상기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쌀겨, 밀기울, 칼륨, 염화물 및 당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 (Saccharomyces cerevisiae),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균주 및 목초액의 복합성분 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모두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1.0 x 106 CFU/g 이상의 함량을 갖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은 포유 동물 또는 수산 생물인, 사료 첨가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은 새우아목, 집게아목 및 게아목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동물인, 사료 첨가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장염 비브리오 (Vibrio parahaemolyticus), 비브리오 콜레라 (Vibrio cholerae), 흰 반점 바이러스 (White spot syndrome virus) 및 니마바이러스 (Nimavirus)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병원균에 항균활성을 갖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생리 활성물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생리 활성물질은 아라비녹실레인 (arabinoxylane), β-글루칸 (β-glucan), 퀘세틴 (quercetin), 카테킨 (catechin), 레스베라트롤 (resveratrol) 및 이소플라본 (isoflavone)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β-글루칸은,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 유래의 β-글루칸인, 사료 첨가용 조성물.
  9. 쌀겨, 밀기울, 칼륨, 염화물 및 당을 균질화하는 단계;
    혼합물을 획득하도록, 상기 균질화된 쌀겨, 밀기울, 칼륨, 염화물 및 당과 아라비녹실레인, 퀘세틴, 카테킨을 혼합하는 단계;
    반응물을 획득하도록, 상기 혼합물에 가수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및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획득하도록, 상기 반응물에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목초액의 복합성분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혼합물을 획득하도록, 상기 균질화된 쌀겨, 밀기울, 칼륨, 염화물 및 당과 상기 아라비녹실레인, 상기 퀘세틴 및 상기 카테킨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β-글루칸, 레스베라트롤 및 이소플라본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시키는 단계는,
    상기 혼합물에 상기 가수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70 내지 80 ℃에서 10 내지 14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동물의 사료용 조성물로서,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상기 사료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2 내지 2.0 중량 %로 참가되는, 사료용 조성물.
KR1020170088388A 2017-07-12 2017-07-12 갑각류 및 포유 동물의 면역력 증강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5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388A KR101975806B1 (ko) 2017-07-12 2017-07-12 갑각류 및 포유 동물의 면역력 증강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388A KR101975806B1 (ko) 2017-07-12 2017-07-12 갑각류 및 포유 동물의 면역력 증강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219A true KR20190007219A (ko) 2019-01-22
KR101975806B1 KR101975806B1 (ko) 2019-05-07

Family

ID=6532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388A KR101975806B1 (ko) 2017-07-12 2017-07-12 갑각류 및 포유 동물의 면역력 증강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8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7359A (zh) * 2019-08-29 2019-12-10 清远海贝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虾用抗肠道弧菌保健料
KR102154172B1 (ko) * 2019-03-28 2020-09-10 전한택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및 비브리오 세균의 갑각류 감염을 억제하는 생균제 및 그의 용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874B1 (ko) * 1995-02-04 2001-04-16 바이오텍 에이에스에이 이스트 글루칸을 포함하는 동물사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동물 성장 촉진 방법
KR100944757B1 (ko) * 2008-02-05 2010-03-0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가축용 생균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087269B1 (ko) * 2009-04-07 2011-11-29 농업회사법인조인주식회사 약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유해세균 억제용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사료 첨가제 급여에 의한 계란의 생산방법
KR101144473B1 (ko) * 2007-12-17 2012-07-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섯부산물(폐배지)을 주원료로 이용한 가축용 발효조사료 제조방법
KR101738591B1 (ko) * 2015-02-06 2017-05-24 한국해양자원연구소 주식회사 어업회사법인 갑각류 양식용 미생물 제재 및 이를 이용한 갑각류의 생산성 증진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874B1 (ko) * 1995-02-04 2001-04-16 바이오텍 에이에스에이 이스트 글루칸을 포함하는 동물사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동물 성장 촉진 방법
KR101144473B1 (ko) * 2007-12-17 2012-07-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섯부산물(폐배지)을 주원료로 이용한 가축용 발효조사료 제조방법
KR100944757B1 (ko) * 2008-02-05 2010-03-0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가축용 생균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087269B1 (ko) * 2009-04-07 2011-11-29 농업회사법인조인주식회사 약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유해세균 억제용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사료 첨가제 급여에 의한 계란의 생산방법
KR101738591B1 (ko) * 2015-02-06 2017-05-24 한국해양자원연구소 주식회사 어업회사법인 갑각류 양식용 미생물 제재 및 이를 이용한 갑각류의 생산성 증진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172B1 (ko) * 2019-03-28 2020-09-10 전한택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 및 비브리오 세균의 갑각류 감염을 억제하는 생균제 및 그의 용도
CN110547359A (zh) * 2019-08-29 2019-12-10 清远海贝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虾用抗肠道弧菌保健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806B1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Dietary administration of probiotic Paenibacillus ehimensis NPUST1 with bacteriocin-like activity improves growth performance and immunity against Aeromonas hydrophila and Streptococcus iniae i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US20160128337A1 (en) Antibacteri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KR101536901B1 (ko)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및 파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KR101904622B1 (ko) 당 영양소 첨가 복합 미생물 배양액을 포함하는 기능성 사료 곡물 발효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하는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
CN108289478A (zh) 包含精油和溶菌酶的用于水生动物的饲料添加剂
WO2017147130A2 (en) Direct fed microbial for prevention of shrimp disease
CN105104878B (zh) 一种预防和清除蟹膏和蟹黄化学和重金属污染物多功能微生态河蟹营养饲料
KR101975806B1 (ko) 갑각류 및 포유 동물의 면역력 증강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57771B1 (ko)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및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에를 포함하는 어류사료첨가용조성물
CN106720956A (zh) 一种鲤鱼饲料
KR20100027280A (ko) 식품폐기부산물을 이용한 발효사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발효사료
KR101215422B1 (ko) 신균주 페디오코쿠스 에시딜락티시 wrl-1 및 이의 용도
Chandran et al. Immunomodulatory and growth-promoting potential of lowcost probiotic product in Penaeus monodon culture system
KR101088442B1 (ko) 감태발효 사료첨가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JP4997500B2 (ja) 動物用生菌剤、飼料組成物、及びこれらの使用方法
JP2010077056A (ja) 感染症予防剤
KR101670955B1 (ko) 양식어류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양식시킨 양식어류
Sarojini et al. Studies on the adhesion, aggregative properties and the probiotic efficiency of a potent bacteriocin-producing shrimp gut isolate Bacillus subtilis subsp. inaquosorum V 1 against Carassius auratus
JP4056099B2 (ja) 水生動物の寄生生物性疾患の予防および治療剤
KR20010008211A (ko) 유기산 생성 미생물과 광합성 미생물을 이용한 기능성발효사료
KR20190076979A (ko) 사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3704464A (zh) 鳊鱼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549195B (zh) 一种海刺参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371062B1 (ko) 새우 양식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685229B (zh) 一种微生态复合添加剂及其在水产养殖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